맨위로가기

억지이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억지 이론은 한 국가가 군사적 위협을 통해 다른 국가의 행동을 제한하려는 국제 안보 연구의 핵심 개념이다. 억제는 자국 영토 방어(직접 억제)와 동맹국 방어(확장 억제)로 나뉘며, 성공적인 억제를 위해서는 군사적 능력뿐 아니라 정치적, 외교적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억제는 징벌적 억제와 거부적 억제로 구분되며, 합리적 억제 이론은 행위자의 합리성을 가정한다. 핵 억제는 핵무기를 이용해 핵 공격이나 재래식 공격을 막는 전략으로, 상호 확증 파괴(MAD)가 대표적이다. 확장 억제는 동맹국에 대한 공격을 억제하는 것이며, 핵우산이 그 예시이다. 사이버 억제는 사이버 활동을 통해 다른 국가를 억제하거나 적의 사이버 작전을 막는 것을 의미한다. 억지 이론은 합리성, 감정적 요인 미고려, 윤리적 문제 등으로 비판받으며, 핵무기 철폐와 비핵 무기 지대 조성을 위한 노력도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핵전략 - 핵우산
    핵우산은 핵 보유국이 동맹국을 보호하기 위해 핵무기를 사용하여 적대국의 공격을 억지하는 전략으로, 핵 공격뿐 아니라 재래식 무기 위협으로부터 동맹국을 보호하며, 미국은 서독, 한국, 일본 등에 핵우산을 제공해 왔고, 북한의 핵 위협으로 인해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 핵전략 - 프랑스 타격군
    프랑스 타격군은 프랑스가 외부 위협으로부터 보호받고 NATO로부터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해 구축한 핵전력 체계로, 핵 삼두 체제를 갖추고 가치 보복 전략과 '약자에서 강자로의 억제' 개념을 바탕으로 핵 공격 억제를 목표로 한다.
  • 국제안보 - 왕립합동군사연구소
    왕립합동군사연구소는 1831년 웰링턴 공작에 의해 설립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군사 안보 씽크탱크로, 군사 교리, 사이버 안보 등 다양한 안보 문제를 연구하며 영국 정부 등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국제적인 연구기관이다.
  • 국제안보 - 군사
    군사는 국가의 안전 보장과 전쟁 수행을 위한 활동을 포괄하는 분야로, 전쟁 이론, 전쟁 유형, 전쟁법, 군사 시스템, 전쟁 능력, 군사 교리 등을 포함한다.
  • 냉전 - 비동맹 운동
    비동맹 운동은 1961년 유고슬라비아에서 창설된 국제기구로, 특정 강대국 블록에 가담하지 않고 독립적인 국가들의 모임이며, 제국주의, 식민주의 등에 반대하며 주권과 영토 보전을 목표로 한다.
  • 냉전 - 이란 혁명
    1979년 이란에서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 샤의 권위주의 통치와 서구화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이란 혁명은, 루홀라 호메이니의 주도 하에 팔레비 왕조를 무너뜨리고 이슬람 공화국을 수립하여 국제 정세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혁명에 참여했던 여성들의 인권 억압 문제와 함께 현재까지도 그 영향이 이어지고 있다.
억지이론
억지 이론
1945년부터의 미국의 핵무기 비축량 수준
1945년부터의 미국의 핵무기 비축량 수준
개요
유형핵 억지
재래식 억지
확장 억지
관련 개념
관련 개념상호 확증 파괴
최소 억지력
핵우산
적극적 거부
세부 사항
목표잠재적 공격자의 공격을 막음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방지
요구 사항신뢰성
생존 가능성
명확성
성공 요인능력
의지
인지
주요 인물
주요 인물토머스 셸링
버나드 브로디
로버트 파페
존 미어셰이머
찰스 글레이저
추가 정보
관련 주제전략
게임 이론
국제 관계
안보 연구
냉전
군비 경쟁
군축
비확산
강압 외교
위기 관리
핵무기

2. 억제의 개념

억제는 한 국가가 다른 국가의 행동을 제한하기 위해 군사적 위협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국제 안보 연구의 핵심 주제이다.[24] 억제는 크게 자국 영토에 대한 공격을 막는 직접 억제와 동맹국에 대한 공격을 막는 확장 억제로 나뉜다. 한국에서는 미국의 확장 억제를 보통 핵우산이라고 부르며, '''확장억제'''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억제 개념은 한 당사자가 제한적인 무력을 사용하여 다른 당사자가 어떤 행동을 시작하지 못하도록 설득하는 것이다.[25][3] 토머스 셸링은 저서 ''Arms and Influence''(1966)에서 억제를 "결과에 대한 두려움으로 행동을 막는 것"으로 정의하면서 더 폭넓은 정의를 제시한다.[6]

성공적인 억제 정책은 군사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치, 외교적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 군사적 측면에서 억제의 성공은 평화 시 외교 및 군사 협력을 위기 또는 군사적 대치로 확대하여 무력 충돌과 전쟁을 위협하는 국가 지도자들의 군사적 위협 및 행동을 막는 것을 의미한다.

2016년 10월 19일, 워싱턴에서 윤병세 외교장관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외교·국방 장관 2+2 회담을 갖고 미국의 대한국 확장억제 제공에 한국 측의 목소리를 더 반영하는 확장억제 전략협의체(EDSCG)를 신설하기로 결정했다. EDSCG(Extended Deterrence Strategy and Consultation Group)는 한미 외교·국방 당국이 '2+2' 형태로 한미 확장억제의 실효적 운용 방안을 논의하는 협의체로, 2018년 1월 이후 중단되었다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제대로 운영되지 못했다.

2022년 3월 15일, 크리스틴 워머스 미국 육군 장관은 미 허드슨연구소 대담에서 "한ㆍ미 간에는 확장 억제 관련 소통의 장이 있고, 한국에 대한 미국의 확장 억제의 신뢰성을 담보하기 위한 플랫폼이 있다"고 강조했다.

2. 1. 징벌적 억제와 거부적 억제

징벌적 억제는 상대방이 먼저 공격했을 때, 보복 공격을 통해 상대방에게 큰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위협하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상대방이 공격을 망설이게 만드는 것이다. 핵무기가 대표적인 예시이며, 상호 확증 파괴와 핵우산이 여기에 해당한다.[27] deterrence by punishment|징벌적 억제영어

거부적 억제는 상대방의 공격을 무력화하거나 방어하여 공격 의지를 꺾는 전략이다. 즉, 상대방이 공격해도 소용없거나 피해가 적을 것이라고 생각하게 만드는 것이다. 징벌적 억제와 달리 핵무기 사용을 전제하지 않으며, 미사일 방어 체계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전략 방위 구상이 거부적 억제의 대표적인 예시이다.[27] deterrence by denial|거부적 억제영어

2. 2. 합리적 억제 이론

합리적 억제 이론은 행위자들이 합리적이며 비용과 편익을 계산하여 행동한다고 가정한다.[29] 행위자들은 다른 행위자의 선택을 고려하고, 비용-편익 계산에 따라 결과를 반영한다.[30][31]

억제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다.

  • 군사력 균형: 방어 국가는 공격 국가에 상당한 비용을 가할 수 있는 군사력을 갖춰야 한다.[25]
  • 신호 및 협상력: 방어 국가는 협력 실패 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점을 공격 국가에 설득력 있게 전달해야 한다. 경제 제재나 무력 사용 위협 등이 활용될 수 있다.[27] 미국의 경제학자 토머스 셸링은 군사 전략이 강압, 위협, 억지의 기술이라고 주장했다.[32]
  • 결의에 대한 평판: 방어 국가는 과거 행동을 통해 결의를 보여줘야 한다. 그러나 평판의 영향에 대해서는 다양한 주장이 존재한다.[25]
  • 관련된 이해 관계: 분쟁에서 더 큰 이해관계를 가진 방어 국가는 무력 사용을 더 결연하게 결심하고 손실을 감수할 의지가 강하다.[25]


킨슬리는 셸링의 게임 이론을 다음과 같은 일화로 요약한다. 당신과 상대방이 낭떠러지 가장자리에 쇠사슬로 묶여 있고, 상대방이 포기하면 큰 상을 받는 상황에서, 상대방을 포기시키려면 벼랑 끝에 더 가까이 다가가 춤을 추는 것이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는 당신이 비합리적인 행동을 할 것이라고 설득하는 대신, 실수로 벼랑에서 떨어질 위험이 더 크다는 것을 믿게 만드는 것이다.

어떤 국가가 핵무기로 반격할 것인가 하는 "확대 억제" 문제는 게임 이론으로 파악 가능하다. 핵 반격 시 공격받는 국가는 파멸적인 피해가 예상되므로, 동맹국을 핵 공격하는 위험을 감수하는 것은 억제 효과를 가져온다.

2. 3. 최소 억제

최소 억제는 핵 공격을 억제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핵무기만 보유하는 전략이다.[95] 이러한 최소 억제 개념은 현재 중국, 인도, 파키스탄, 영국, 프랑스와 같은 핵무기 보유국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억제 형태이다.[95]

미국러시아 간의 군비 통제 협상에서 최소 억제를 추구하면 각 국가는 취약해지지 않으면서 핵 비축량을 감축할 수 있지만, 최소 억제 수준에 도달하면 추가 감축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그 수준을 넘어서는 추가 감축은 국가의 취약성을 증가시키고 적국이 핵무기를 비밀리에 확장할 유인을 제공하기 때문이다.[96]

3. 핵 억제

핵 억제는 핵무기를 사용하여 상대방의 핵 공격 또는 재래식 공격을 억제하는 전략이다.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은 상호 확증 파괴(MAD) 전략을 통해 핵전쟁을 억제했다. 핵 억제는 2차 타격 능력, 즉 보복 능력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38]

성공적인 핵 억제는 자국의 무기가 파괴되기 전에 보복하거나 2차 타격 능력을 보장함으로써 보복 능력을 유지하는 것을 요구한다. 핵 억제는 때때로 핵 삼위일체로 구성되며, 이는 미국, 러시아, 중국, 인도가 소유한 핵무기의 경우와 같다. 영국프랑스와 같은 다른 국가들은 해상 및 공중 기반 핵무기만 보유하고 있다.

핵 억제에는 징벌적 억제와 거부적 억제가 있다.


  • 징벌적 억제 (deterrence by punishment영어): 상대국의 선제 공격 이후 보복적인 반격을 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 상대국이 이득에 상응하지 않는 견딜 수 없는 손해를 입게 될 것이라고 인식하게 하여, 도전 의지를 꺾는 억지 전략이다. 상호 확증 파괴와 "핵우산"은 이 징벌적 억지에 해당한다.
  • 거부적 억제(deterrence by denial): 상대국의 공격 능력을 무력화하는 선제 공격 능력이나 공격을 저지하는 방위 능력을 구축하여, 상대국이 자국이 받을 손해가 제한적이며 목표 달성이 거부될 것이라고 인식하게 함으로써, 그들의 도전 의지를 꺾는 억제 방식이다. 전략 방위 구상은 이 거부적 억제에 해당한다.


자국에 대한 무력 공격 억지를 "기본 억지", 동맹국에 대한 무력 공격 억지를 "확대 억지"라고 한다. 확대 억지 안에서 통상 전력을 사용한 것을 "확대 통상 억지", 핵 전력을 사용한 것을 "확대 핵 억지" 또는 "핵우산"이라고 한다. 확대 핵 억지는 미국 또는 러시아가 동맹국에 대한 제3국으로부터의 무력 공격에는 보복 핵 공격을 가하겠다는 위협을 통해 제3국의 무력 공격 의도를 좌절시키는 시도이며, 냉전이 끝난 현재에도 존재한다.

안정-불안정 역설은 합리적 억지력 이론의 핵심 개념이다. 이는 두 국가가 각각 핵무기를 보유하면 직접적인 전쟁의 가능성은 크게 줄어들지만, 그들 사이의 사소하거나 간접적인 분쟁의 가능성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39][40][41] 예를 들어, 냉전 동안 미국소련은 서로 전쟁을 벌이지 않았지만,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등에서 대리전을 벌였다.[42]

버나드 브로디는 1959년에 신뢰할 수 있는 핵 억지력은 항상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고 썼다.[43]

3. 1. 핵 억제의 역사

냉전 시기 미국의 억지 정책은 상당한 변화를 겪었다. 냉전 초기에는 공산주의 봉쇄 정책으로 개발도상국에 대한 미국의 공격적인 입장이 두드러졌다. 이 시기에는 한국 전쟁을 비롯한 수많은 대리 전쟁이 발생했다.[15] 조지 F. 케넌은 군사적 개입이 아닌 경제적 지원을 주장했지만, 그의 아이디어는 대중에 의해 잘못 해석되었다.[15]

베트남 전쟁 이후 미국과 중국의 관계 정상화, 중소 분쟁 등으로 인해 봉쇄 정책은 폐기되고 데탕트가 시작되었다. 이는 상호확증파괴 (MAD)와 핵무기 비축의 동등성 때문이었다. 데탕트 시기(1960년대 후반~1980년대 초)는 긴장 완화와 냉전 해빙으로 특징지어졌으며, 상호 핵 억제 교리는 미국과 소련, 그리고 새로운 냉전이 시작될 때까지 러시아와의 관계를 규정했다.[15]

1980년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군비 증강을 통해 억지 이론에 변화를 가져왔다. 이란 혁명 이후 이란과 라틴 아메리카에서 증가하는 소련의 영향력에 대한 우려를 정책의 정당성으로 내세웠다. 이란-이라크 전쟁이라크사담 후세인 지원, 아프가니스탄 무자헤딘 지원, 니카라과 산디니스타 정부 전복 등 여러 대리전을 지원했다. 니카라과 콘트라에 대한 자금 지원은 이란-콘트라 사건을 낳았고, ''니카라과 대 미국'' 사건에서 국제사법재판소는 미국에 불리한 판결을 내렸다.[15]

1985년 레이건과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핵전쟁은 이길 수 없으며 결코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데 합의했다.[15]

미국 육군은 소련 붕괴와 핵 기술 확산을 다루면서 억지 이론의 개념을 확장했다. 냉전 이후 미국의 억지 정책은 1995년 "냉전 이후 억지의 본질" 문서에 요약되었다. 이 문서는 러시아와의 관계는 MAD를 따르지만, 소규모 핵 능력을 가진 국가에 대해서는 막대한 보복(또는 선제 공격) 위협을 통해 미국, 그 이익 또는 동맹국을 위협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또한 핵 기술이 없는 국가가 핵무기 개발을 자제하고, 모든 국가가 화학 무기 또는 생물학 무기를 금지하는 보편적 금지를 보장하기 위해 그러한 위협을 사용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현재 이란과 북한의 핵 프로그램에 대한 긴장은 억지 정책의 지속으로 인해 발생한다.[55]

냉전 시대에는 미국과 소련이 거대한 핵 보복 시스템을 구축하여 핵 공격을 억제하고, 공격을 받더라도 보복할 수 있는 핵 전력을 유지하려 했다. 그러나 냉전 종결로 핵 보복 시스템의 필요성이 줄어들었다.

미국은 1993년 바텀업 검토와 1994년 "핵 태세 검토"(NPR)를 통해 핵무기를 감축했다. 중국러시아를 대상으로 하면서도 "불량 국가"와 대량살상무기를 억지하는 내용을 담았으며, 국가 지원을 받지 않는 테러리스트의 핵에는 억지가 효과가 없음을 인정했다. 1997년 빌 클린턴 대통령은 레이건 행정부의 "소련과의 장기 핵전쟁 승리" 전략을 포기하는 대통령 결정 지령 60(PDD60)에 서명했다. 2001년 전략 무기 감축 협상에서 부시는 러시아 대통령 푸틴에게 핵탄두를 1,700~2,200발로 감축할 것을 제안했고, 이는 2002년 모스크바 조약에 명문화되었다. 그러나 2007년 현재 미국의 움직임으로 볼 때 모스크바 조약의 유효성은 불분명하다.[114]

핵 억지 체제는 포기되지 않고 ICBM, 탄도 미사일 잠수함을 통해 동맹국에 핵우산을 제공하며, 불량 국가를 대상으로 지중 관통 핵폭탄 개발도 지속된다. 미국은 핵실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CTBT를 비준하지 않았다.

미국은 NATO 국가들과 핵 공유를 하고 있다.

프랑스는 드 골이 제창한 "전방위 전략"을 채택하고 핵무기의 정치적 가치를 추구한다.[115] 1996년 핵미사일 사일로를 폐쇄하고, 현재는 해군의 SSBN과 공군 및 해군 항공대의 순항 미사일ASMP로 핵 전력을 구성한다. 시라크 대통령은 2006년 연설에서 핵 전력 유지를 명확히 했지만, 이는 소형 핵 사용 방침과는 다르다. 프랑스는 CTBT 옵션 제로를 수용한다.

영국은 핵무기의 정치적 가치를 인정하여 감축을 계속하고 있다. 1998년 "전략 방위 재검토"에서 보유 탄두 수를 300개에서 200개 이하로 감축하기로 결정했고, 토니 블레어 수상은 START와 관계없이 감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해, 공군은 핵무기 운용을 중단했다. 해군은 뱅가드급 SSBN 4척을 운용하며, 트라이던트 SLBM은 최대 12개 재돌입체를 3발로 제한, 1척당 트라이던트 16기를 통해 최대 48발을 운용한다. 2007년 노동당의 반대를 보수당이 뒤집고 갱신 예산안 200억 파운드(4.5조)가 가결되어, 2050년 무렵까지 핵무기가 운용될 예정이다.

중국은 군사 지출 세계 2위(14조 엔)로, 군비 확장이 완료될 때까지 미국 본토에 대량의 핵을 겨냥하여 미국에 적대시되는 것을 피하고 있다. 핵 전력의 양적 확대보다는 근대화를 통해 "미국의 선제 공격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소수의 보복 핵 전력"으로 대미 상호 확증 파괴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구식 액체 연료 ICBM 둥펑 5호는 이동식 고체 연료 ICBM 둥펑 31호 A로 갱신 중이며, MIRV화된 둥펑 41호 개발도 진행 중이다. 두 종류를 합하여 100~150기 배치할 계획이다.
  • 중국 최초의 SSBN 샤급 원자력 잠수함은 진급 원자력 잠수함 5척으로 갱신 중이다. 진급 원자력 잠수함이 탑재하는 쥐랑 2호는 사거리가 8000km로 중국 근해에서도 미국 본토를 공격할 수 있으며, 정숙성이 향상되어 생존성이 높은 보복 핵 전력이 되었다.


2007년 ASAT 실험은 미국 MD 도입 견제, GPS 시스템 붕괴 능력 시위 등의 목적이 있을 수 있다. 군사 위성을 모두 잃으면 미군은 유효한 공격이 불가능해진다.[102]

러시아는 2000년 "러시아 연방 군사 교리"에서 핵 사용에 대해 "핵무기 등이 사용된 경우뿐만 아니라, 러시아 국가 안보에 중대한 상황 하에서의 재래식 무기를 사용하는 대규모 침공에 대한 보복 등을 위해 사용할 권리를 유보한다"고 규정했다. 2001년 부시푸틴 회담에서 대테러 전쟁에 대해 협의했고, 2002년 SORT에 합의하여 전략 핵탄두 수를 1700~2200발로 감축하기로 했다. 2003년 군사 교리에서는 "전략적 억지력을 개별적, 제한적으로 사용할 것을 검토한다"고 밝혀 핵무기에 의한 억지에서 사용으로 전환했지만, CTBT는 비준했다.

북한은 "미국의 침략 전쟁 위험성이 현실화되는 상황에서 자위적인 핵 억지력을 보유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북한은 중국의 8배, 200기 이상의 노동 준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일본을 향해 배치하고 있어 자위적 억지력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많다. 북한이 핵을 수단으로 한 '김씨 왕조'에 의한 한반도 통일 선택지를 버리지 않고, 한·미 양국에 핵 미사일을 들이대어 개입을 저지하려는 의향이 있다는 관측도 있다.[116]

게이오기주쿠 대학 명예교수 오코노기 마사오는 북한의 핵 독트린은 전술핵과 전략핵을 동시 개발하는 것이며[117], "통상 무기에 향해졌던 자본을 핵 개발과 경제 활동으로" 돌린 것으로 "통상 무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고 추측하고[118], 무력 충돌이 발생할 경우 핵무기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놓여 "북한에게도 위험한 선택만 있는 상황"이라고 한다.[118]

  • 2009년 2월 2일, 조선인민군 총참모부는 한반도 비핵화에 대해 "핵무기를 보유한 당사자가 동시에 핵 군축을 실현하는 길밖에 없다. 남조선에서의 핵무기 생산과 반입, 그 배치와 이용, 남조선과 그 주변 지역에서 우리에게 가해지는 모든 핵 위협에 대한 근원적인 청산을 목표로 하는 한반도 전역의 비핵화이다" 등의 견해를 표명한다.[119]

3. 2. 핵 억제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

비국가 행위자(테러리스트 등)는 보복 대상이 없으므로 핵 억제가 어렵다.[92][93] 테러리스트는 핵 공격을 받을 도시가 없기 때문에, 미국이나 동맹국 도시에서 핵무기를 폭발시키는 것을 핵 전력으로 억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93] 냉전 시대의 징벌적 핵 억제는 사회에 대한 받아들일 수 없는 피해 위협에 기반하므로, 명확한 사회가 없는 비국가 주체에게는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멸망 직전의 국가는 자포자기 심정으로 핵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102] 군사적으로 열세여서 멸망 직전이므로 잃을 것이 없어 징벌적 위협은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러시아의 핵 독트린에서는 핵 사용 조건 중 하나를 국가 존립 위기 시라고 명시하고 있다.[103]

사활적 국익을 침해당한 국가는 비례 원칙을 무시하고 핵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104] 여기에는 핵무기 사용도 포함된다. 중국에게 있어서의 대만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중국은 대만을 "핵심적 이익"이라고 하는 성명을 반복해서 발표하고 있다.[105][106]

4. 확장 억제

확장 억제는 동맹국에 대한 공격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하며, 핵우산은 확장 핵 억제의 대표적인 예이다. 대한민국은 미국의 핵우산에 의존하여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하고 있다.[111]

일반적으로 기본 억제에 비해 확대 억제는 신뢰성이 낮다고 평가받는다.[111] 냉전 시대부터 "뉴욕을 희생해서 파리를 지킬 것인가?"[107]와 같이 동맹국이 핵 공격을 받았을 때 미국이 실제로 보복 핵 공격을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걸프전 이후 미국이 미사일 방어에 열중하는 모습은 이러한 의혹을 더욱 증폭시키기도 했다.

미국의 정치인과 학자들 사이에서도 미국의 핵우산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108]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은 저서 『핵무기와 외교 정책』에서 "미국 대통령은 서반구 이외의 국가인 일본은 지킬 가치가 없다고 판단할 것이다"라고 지적했고,[109] CIA 국장을 역임한 스탠스필드 터너는 "만약 러시아가 일본에 핵 미사일을 발사해도, 미국이 러시아에 핵 공격을 가할 리가 없다"고 단언했다.[110]

하지만 미국이 핵우산을 제공하겠다고 명확히 밝힌 이상, 국제 사회에서의 권위 실추와 동맹 해체 등의 정치적 손실을 막기 위해 보복 핵 공격을 감행할 것이라는 주장도 존재한다.

4. 1. 한미 확장억제 전략협의체(EDSCG)

2016년 10월 19일, 워싱턴에서 윤병세 외교장관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은 외교·국방 장관 (2+2) 회담을 열고 미국의 대한국 확장억제 제공에 한국 측의 목소리를 더 반영하는 한미 확장억제 전략협의체(EDSCG)를 신설하기로 결정했다.

EDSCG(Extended Deterrence Strategy and Consultation Group)는 한미 외교·국방 당국이 '2+2' 형태로 한미 확장억제의 실효적 운용 방안을 논의하는 협의체다. 박근혜 정부, 버락 오바마 행정부 시절인 2016년 10월 공식 출범했으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다가 2018년 1월 이후 중단되었다.

2022년 3월 15일, 크리스틴 워머스 미국 육군 장관은 미 허드슨연구소가 '인도태평양 지역의 미 육군'을 주제로 개최한 대담에서 "한ㆍ미 간에는 확장 억제 관련 소통의 장이 있고, 한국에 대한 미국의 확장 억제의 신뢰성을 담보하기 위한 플랫폼이 있다"고 강조했다.

5. 사이버 억제

2000년대 초반부터 사이버 억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사이버 억제는 다음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62]


  • 다른 국가를 억제하기 위한 사이버 활동의 사용
  • 적의 사이버 작전 억제


학자들은 사이버 공격에 대한 책임 소재를 규명하기 더 어려울 수 있다는 점, 진입 장벽이 낮을 수 있다는 점, 사이버 공격을 수행하는 행위자에게 위험과 비용이 낮을 수 있다는 점, 의도를 알리고 해석하기 더 어려울 수 있다는 점, 공격이 방어보다 유리하다는 점, 그리고 약한 행위자와 비국가 행위자도 상당한 사이버 역량을 개발할 수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사이버 역량이 억제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논쟁해 왔다.[62][63][64][65] 또한, 학자들은 파괴적인 사이버 공격을 감행하고 파괴적인 사이버전에 참여하는 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쟁을 벌여왔으며, 대부분의 학자들은 사이버 역량이 국가가 매우 파괴적인 공격을 감행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켰다는 데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했다.[66][67][68] 지금까지 가장 유명한 사이버 공격은 이란의 핵 프로그램을 겨냥한 스턱스넷 공격이다.[66][67] 2019년까지, 전력 중단을 야기한 사이버 공격으로 공개적으로 인정된 유일한 사례는 2015년 우크라이나 전력망 해킹이었다.[69]

사이버 억제에 참여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있다.[62][63][64]

  • 거부: 적의 군사적 목표 달성을 방어하여 방지[65]
  • 응징: 적에게 비용 부과
  • 규범: 적절한 행동 기준을 설정하고 유지[70][71]
  • 확대: 적에게 비용이 부과될 확률을 높임[72]
  • 얽힘과 상호 의존성: 행위자 간의 상호 의존성은 억제 효과를 가질 수 있음[63][68]


공격자의 의도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73][74] 그리고 국가-해커 관계의 복잡성 때문에 사이버 공간에서 의도하지 않은 확전의 위험이 있다.[75] 정치학자 조셉 브라운(Joseph Brown)과 타니샤 파잘에 따르면, 국가들은 확전의 위험(공개적인 인정으로 인한)을 피하면서 사이버 역량과 결의를 나타내기 위해 (정보 기관과 정부가 책임을 졌다고 믿는 경우 달성될 수 있음) 사이버 작전에 대한 책임을 빈번하게 확인하거나 부인하지 않는다.[72]

레나트 마쉬마이어(Lennart Maschmeyer)에 따르면, 사이버 무기는 속도, 강도, 통제가 부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딜레마" 때문에 강압적인 효과가 제한적이다. "이러한 제약은 행위자에게 딜레마를 제기하는데, 하나의 변수에서 이득을 얻으면 다른 두 변수에서 손실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76]

6. 억제 이론에 대한 비판

억제 이론은 여러 학자들로부터 다양한 비판을 받아왔다. 주요 비판점은 다음과 같다.


  • 행위자의 합리성에 대한 의문: 억제 이론은 의사 결정자가 합리적이라는 가정에 기반하지만, 실제로는 오해, 감정, 심리적 편향 등으로 인해 억제가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80][86][87] 예를 들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분석가들의 비용과 편익에 대한 오판이 억제 실패에 기여한 사례로 볼 수 있다.[81]
  • 심리적 요인 간과: 억제 이론은 사고, 자제력 상실, 타인에 대한 통제력 상실을 초래하는 감정과 심리적 편향을 충분히 다루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86][87]
  • 논리적 모순 및 경험적 부정확성: 프랭크 C. 자가레는 억제 이론이 논리적으로 모순되고 경험적으로 부정확하다고 주장하며, '완전 억제' 개념을 제시했다.[88]


특히 핵 억제와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비판이 제기된다.

  • 윤리적 문제: 핵 억제는 무고한 생명을 살해하는 것을 금지하는 기본적인 의무론적 가정과 일치하지 않으며, 본질적으로 부도덕하다는 비판이 있다.[98][99][100][101]
  • 실효성 문제:
  • 자살 공격 행위자에 대한 억제 불가능: 샘 넌, 조지 슐츠 등은 자살 공격을 감행하는 행위자에게는 핵 억제가 효과가 없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92][93] 슐츠는 "자살 공격을 하는 사람들을 생각해 보면, 그런 사람들이 핵무기를 갖게 된다면, 그들은 거의 정의상 억제가 불가능하다."라고 말했다.[93]
  • 테러리스트에 대한 억제 불가능: 국가와 달리 테러리스트는 보복 핵 공격을 받을 도시가 없기 때문에 핵 억제가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102]
  • 국가 멸망 직전의 상황: 국가가 멸망 직전에 놓이면 자포자기하여 핵무기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 징벌적 위협은 의미가 없다.[102]
  • 상호 확증 파괴(MAD)의 문제점:
  • 1960년대 이후 확립된 상호 확증 파괴(MAD)는 핵 보유국 간의 핵 사용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지만, 핵무기 공방으로 인한 파멸적인 결과를 피하려는 자제에 의존한다는 한계가 있다.
  • 1960년대 조기 경보 위성 배치로 상대의 핵 미사일 발사를 빠르게 감지하고 보복 핵 공격을 결단하는 것이 가능해졌지만, 여전히 핵전쟁의 위험성은 존재한다.
  • 핵 확산 문제: 소련 붕괴 이후 이란, 파키스탄, 북한 등에서 핵 확산이 발생하면서 냉전 시대와는 다른 핵 억제 문제가 발생했다.
  • 핵겨울 발생 가능성: 사용된 핵무기의 양에 따라 핵겨울이 발생하여 주변국에 환경 피해를 줄 수 있다.[102]
  • 국제법 위반: 국제 사법 재판소는 1996년 핵무기 위협과 사용이 국제법, 특히 국제 인도법에 일반적으로 위반된다고 권고했다.
  • 상호 불신과 공포: 핵 억지에 의한 평화는 상호 불신과 공포를 바탕으로 유지되므로 진정한 평화와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

7. 핵 군축

냉전 종결 이후 핵무기 감축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미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여러 핵 군축 협상이 진행되었다. 1993년 미국의 바텀업 검토와 1994년 핵 태세 검토(NPR)는 핵무기 감축 방향을 제시했으며, 1997년 빌 클린턴 대통령은 소련과의 장기 핵전쟁 전략을 포기했다.[114]

주요 핵 군축 협상은 다음과 같다.

협상내용
SALT I1969년 협상 시작, 1972년 5월 타결
ABM 제한 조약1972년 체결, 2002년 미국의 탈퇴로 무효화
SALT II1979년 조인, 미국 의회 비준 거부로 1985년 실효
INF 전폐 조약1987년 조인, 1998년 발효, 1991년 폐기 완료
START I1991년 조인, 1994년 비준, 2001년 감축 완료
START II1993년 조인, 양측 미실행
START III (제3차 전략 무기 감축 조약)1999년 협상 개시, 진전 없음
모스크바 조약 (SORT)2002년 체결, 2012년 감축 기한
신 START2010년 조인, 2011년 발효



2001년 전략 무기 감축 협상에서 미국은 러시아에 핵탄두를 1,700~2,200발 수준으로 감축할 것을 제안했고, 이는 2002년 모스크바 조약에서 명문화되었다.[114] 그러나 2007년 미국의 움직임으로 인해 조약의 유효성이 불분명해졌다.[114]

핵무기 감축 노력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ICBM, 탄도 미사일 잠수함을 통한 핵우산을 유지하고, 지중 관통 핵폭탄 개발을 지속하며, CTBT를 비준하지 않았다. 또한, NATO 국가들과 핵 공유를 하고 있다.

8. 비핵 무기 지대

비핵 무기 지대는 핵무기의 개발, 배치, 사용을 금지하는 지역을 의미한다. 소극적 안전 보장으로서 비핵 무기 지대가 있다.

비핵 무기 지대 조약은 다음과 같다.

조약 이름내용
틀라텔롤코 조약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 핵무기 금지 조약
라로통가 조약남태평양 비핵 지대 조약
방콕 조약동남아시아 비핵 무기 지대 조약
펠린다바 조약아프리카 비핵 무기 지대 조약
세메이 조약중앙 아시아 비핵 무기 지대 조약



기타 비핵 무기 지대는 다음과 같다.


  • 남극 조약
  • 해저 핵무기 등 설치 금지 조약
  • 우주 조약, 달 협정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Aviation Osprey
[2] 서적 Introduction: Cross-Domain Deterrence, from Practice to Theory https://oxford.un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8-30
[3] 서적 Deterrence: A Conceptual Analysis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21-08-30
[4] 서적 Cross-Domain Deterrence: Strategy in an Era of Complexity https://oxford.un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08-30
[5] 서적 The Use of Force: Military Power and International Politic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21-08-28
[6] 서적 Arms and Influence https://www.jstor.or[...] Yale University Press 2021-08-30
[7] 서적 Bombing to Win: Air Power and Coercion in War https://www.jstor.or[...] Cornell University Press 2021-08-30
[8] 서적 Conventional Deterrence https://www.jstor.or[...] Cornell University Press 2021-09-05
[9] 서적 Israel and Conventional Deterrence https://www.degruyt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1-09-06
[10] 뉴스 Taiwan and the True Sources of Deterrence https://www.foreigna[...] 2023-12-01
[11] 간행물 Active Denial: Redesigning Japan's Response to China's Military Challenge https://doi.org/10.1[...] 2021-09-06
[12] 간행물 Selection Effects and Deterrence https://doi.org/10.1[...] 2021-09-06
[13] 간행물 Strategies of Extended Deterrence: How States Provide the Security Umbrella 2021
[14] 서적 Analyzing Strategic Nuclear Polic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09-18
[15] 간행물 The General and World War III https://www.newyorke[...] 2023-11-30
[16] 서적 The Use of Force: Military Power and International Politics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21-08-28
[17] 서적 Israel and Conventional Deterrence https://www.degruyt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1-09-06
[18] 서적 NL ARMS Netherlands Annual Review of Military Studies 2020 T.M.C. Asser Press 2021
[19] 간행물 How Does Nuclear Deterrence Differ from Conventional Deterrence? https://www.airunive[...] 2021-09-05
[20] 간행물 The Continuing Relevance of Conventional Deterrence T.M.C. Asser Press 2021
[21] 간행물 Conventional Deterrence and Conventional Retaliation in Europe https://www.jstor.or[...] 2021-09-05
[22] 간행물 Why the Soviets Can't Win Quickly in Central Europe https://www.jstor.or[...] 2021-09-05
[23] 간행물 THE GHOST OF MUNICH: America's Appeasement Complex https://www.jstor.or[...]
[24] 문서 See, for example, Carl von Clausewitz, On War, trans. and ed. Michael Howard and Peter Paret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9)
[25] 간행물 Deterrence and International Conflict: Empirical Findings and Theoretical Debate
[26] 서적 Deterrence and Defens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11-20
[27] 간행물 Who Won Libya https://scholarship.[...] 2021-07-14
[28] 서적 The General Theory and Logic of Coercive Diplomacy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Press
[29] 간행물 Rational Deterrence Theory and Comparative Case Studies https://www.jstor.or[...] 2021-09-11
[30] 간행물 What Makes Deterrence Work? Cases from 1900 to 1980 https://www.jstor.or[...] 2021-09-11
[31] 간행물 Testing Deterrence Theory: Rigor Makes a Difference https://www.jstor.or[...] 2021-09-11
[32] 서적 The Diplomacy of Violence Yale University Press
[33] 웹사이트 "A Nobel Laureate Who's Got Game"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05-10-12
[34] 간행물 Deterrence and Perception
[35] 웹사이트 The Truth About Tripwires: Why Small Force Deployments Do Not Deter Aggression https://tnsr.org/202[...] 2021-06-03
[36] 논문 Advancing without Attacking: The Strategic Game around the Use of Force https://doi.org/10.1[...] 2021-06-03
[37] 논문 Trivial Tripwires?: Military Capabilities and Alliance Reassurance https://doi.org/10.1[...] 2022-02-21
[38] 서적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A Debate https://books.google[...] W.W. Norton 2022-02-15
[39] 서적 The Balance of Power and the Balance of Terror https://books.google[...] 2022-01-28
[40] 논문 Why Nuclear Superiority Doesn't Matter https://www.jstor.or[...] 2022-01-28
[41] 서적 The Meaning of the Nuclear Revolution: Statecraft and the Prospect of Armageddon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2-01-28
[42] 웹사이트 The Stability-Instability Paradox, Misperception, and Escalation Control in South Asia (essay) https://www.stimson.[...] The Henry Stimson Center 2017-08-12
[43] 간행물 "The Anatomy of Deterrence" as found in Strategy in the Missile 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4] 웹사이트 Australia {{!}} Nautilus Institute for Security and Sustainability https://nautilus.org[...] 2021-04-29
[45] 서적 The Logic of American Nuclear Strategy: Why Strategic Superiority Matter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5-07
[46] 논문 Nuclear Superiority and the Balance of Resolve: Explaining Nuclear Crisis Outcomes https://www.jstor.or[...] 2022-05-07
[47] 논문 Crisis Bargaining and Nuclear Blackmail https://www.jstor.or[...] 2022-05-07
[48] 서적 Nuclear Weapons and Coercive Diplomac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05-07
[49] 논문 The Nuclear Balance Is What States Make of It 2022
[50] 논문 Nuclear Weapons and Low-Level Military Conflict https://doi.org/10.1[...] 2023
[51] 논문 Nuclear balance and the initiation of nuclear crises: Does superiority matter? https://doi.org/10.1[...] 2022
[52] 논문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and International Conflict: Does Experience Matter? https://www.jstor.or[...] 2023-08-31
[53] 서적 When Proliferation Causes Peace: The Psychology of Nuclear Crises https://books.google[...] Georgetown University Press 2023-08-31
[54] 간행물 The Limits of Nuclear Learning in the New Nuclear Age https://www.jstor.or[...] Cornell University Press 2023-08-31
[55] 웹사이트 The Nautilus Institute Nuclear Strategy Project: US FOIA Documents https://web.archive.[...]
[56] 잡지 How Russia Is Beating the West at Deterrence https://time.com/615[...] 2023-08-11
[57] 웹사이트 An explosive Elon Musk biography is just hitting shelves. But the book's acclaimed author is already walking back a major claim {{!}} CNN Business https://www.cnn.com/[...] 2023-09-15
[58] 웹사이트 What Russia Got by Scaring Elon Musk https://www.theatlan[...] 2023-09-12
[59] 웹사이트 NATO Must Re-Learn Deterrence https://cepa.org/art[...] 2023-08-11
[60] 문서 Former NATO Commander Says Western Fears Of Nuclear War Are Preventing A Proper Response To Putin Radio Free Europe 2022-04-07
[61] 문서 Deterrence after Ukraine—a critical analysis Quillette 2022-03-24
[62] 간행물 Deterrence in and through Cyberspace https://oxford.un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21-11-06
[63] 논문 Deterrence and Dissuasion in Cyberspace http://www.mitpressj[...] 2021-11-06
[64] 논문 The Logic of Coercion in Cyberspace http://dx.doi.org/10[...] 2017
[65] 논문 Deterrence by denial in cyberspace https://www.tandfonl[...] 2021-11-06
[66] 논문 Stuxnet and the Limits of Cyber Warfare http://dx.doi.org/10[...] 2013
[67] 논문 Weaving Tangled Webs: Offense, Defense, and Deception in Cyberspace http://dx.doi.org/10[...] 2015
[68] 논문 The role of effects, saliencies and norms in US Cyberwar doctrine 2017
[69] 논문 Invisible Digital Front: Can Cyber Attacks Shape Battlefield Events? https://doi.org/10.1[...] 2021-11-15
[70] 논문 Constructing Norms for Global Cybersecurity https://www.jstor.or[...] 2021-11-06
[71] 논문 Constructing Norms for Global Cybersecurity https://www.cambridg[...] 2016
[72] 논문 "#SorryNotSorry: Why states neither confirm nor deny responsibility for cyber operations" https://www.cambridg[...] 2021
[73] 논문 Escalation Dynamics and Conflict Termination in Cyberspace https://www.jstor.or[...] 2012
[74] 논문 The Logic of Coercion in Cyberspace https://doi.org/10.1[...] 2017
[75] 서적 Cyber Mercenaries: The State, Hackers, and Power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76] 논문 The Subversive Trilemma: Why Cyber Operations Fall Short of Expectations 2021
[77] 논문 Emerging technology and intra-war escalation risks: Evidence from the Cold War, implications for today https://doi.org/10.1[...] 2019
[78] 서적 Cooperation Under Fire: Anglo-German Restraint During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1995
[79] 서적 Secret Wars http://dx.doi.org/10[...]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8
[80] 서적 Perception and Misperception in International Politics: New Editi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6
[81] 논문 Utility-based predictions of military escalation: Why experts forecasted Russia would not invade Ukraine 2023
[82] 논문 A New Concert for Europe: Security and Order After the War https://doi.org/10.1[...] 2023
[83] 서적 The Revolution that Failed: Nuclear Competition, Arms Control, and the Cold Wa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84] 간행물 The Nuclear Age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85] 논문 The Perils of Proliferation: Organization Theory, Deterrence Theory, and the Spread of Nuclear Weapons https://www.jstor.or[...] 1994
[86] 웹사이트 Don't Be So Confident in Nuclear Decision-Making https://www.lawfarem[...] 2023-02-26
[87] 논문 The Psychology of Nuclear Brinkmanship https://direct.mit.e[...] 2023
[88] 간행물 Reconciling Rationality with Deterrence: A Re-examination of the Logical Foundations of Deterrence Theory
[89] 뉴스 Nuclear endgame: The growing appeal of zero http://www.economist[...] 2011-06-16
[90] 뉴스 The Growing Appeal of Zero http://www.economist[...] 2011-06-18
[91] 뉴스 Documentary Advances Nuclear Free Movement https://www.npr.org/[...] NPR 2010-06-10
[92] 웹사이트 Cold Warriors say no nukes https://thehill.com/[...] 2010-01-27
[93] 웹사이트 The new abolitionists http://thebulletin.o[...] 2012-03-30
[94] 웹사이트 IS IT TIME TO JUNK OUR NUKES? THE NEW WORLD DISORDER MAKES THEM OBSOLETE https://www.washingt[...] WP Company LLC
[95] 웹인용 From Counterforce to Minimal Deterrence: A New Nuclear Policy on the Path Toward Eliminating Nuclear Weapons https://fas.org/pubs[...] 2009-04
[96] 간행물 Minimal Nuclear Deterrence 1988-09
[97] 논문 The Covert French Connection 1989
[98] 논문 Reviewed work: On War and Morality, Robert L. Holmes https://www.jstor.or[...] 1992
[99] 논문 Reviewed work: On War and Morality, Robert L. Holmes; Paths to Peace: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Sustainable Peace, Richard Smoke, Willis Harman https://www.jstor.or[...] 1989
[100] 논문 Reviewed work: On War and Morality., Robert L. Holmes https://www.jstor.or[...] 1992
[101] 서적 On War and Moralit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07-14
[102] 서적 核兵器の拡散:終わりなき論争 勁草書房 2017-05-20
[103] 웹사이트 日本への核攻撃の可能性を考える:「核の三正面」時代のシミュレーションの観点より http://ssdpaki.la.co[...] 秋山アソシエイツ 安全保障・外交政策研究会 2023-09-07
[104] 뉴스 「戦略的に核兵器を発展させる」と豪語する中国紙 ネットユーザーは冷ややか https://jp.reuters.c[...] 2018-07-25
[105] 뉴스 台湾は核心的利益の核心、中国国防相が米国防長官に伝達 https://jp.reuters.c[...] 2022-11-22
[106] 간행물 Foreign Ministry Spokesperson’s Statement on Tsai Ing-wen’s “Transit” Through the United States http://losangeles.ch[...] The Consulate General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Los Angeles 2023-09-07
[107] 뉴스 「米国の核の傘は日本を果たして守るのか」河野前統合幕僚長が問題提起 冷静な国民的議論の必要性強調 https://news.yahoo.c[...] 2023-09-06
[108] 서적 中国の「核」が世界を制す
[109] 웹사이트 「核の傘」という虚構にすがりつく岸田政権の憐れ…!日本はいつまで「対米従属」を続けるつもりなのか https://gendai.media[...] 講談社 2024-08-02
[110] 문서 Stansfield Turner
[111] 서적 「日本核武装」の論点
[112] 학술지 スナイダーの抑止理論と冷戦期NATOの抑止戦略 航空自衛隊幹部学校 2019
[113] 웹사이트 ロシアが核攻撃に踏み切ったらアメリカはどこに報復するか?米政権内で行われていた机上演習の衝撃的な中身 https://nordot.app/8[...] ノアドット株式会社 2022-05-07
[114] 간행물 日本の自前核兵器整備の徹底研究 2007-07
[115] 웹사이트 フランスの核抑止力政策 http://www.ambafranc[...]
[116] 웹사이트 防衛省防衛研究所主任研究官へのインタビュー記事 http://business.nikk[...]
[117] 웹사이트 核兵器しか選択肢にない北朝鮮という危険な存在 https://toyokeizai.n[...] 2023-04-20
[118] 웹사이트 核兵器しか選択肢にない北朝鮮という危険な存在 https://toyokeizai.n[...] 2023-04-20
[119] 뉴스 北朝鮮軍参謀部、核保有国間の「核軍縮」を主張 http://japanese.yonh[...] 聯合ニュース 2009-02-02
[120] 서적 "The Anatomy of Deterrence" as found in Strategy in the Missile 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21] 서적 The Diplomacy of Violence Yale University Press
[122] 웹인용 Nuclear endgame: The growing appeal of zero http://www.economist[...] 2011-06-16
[123] 웹인용 Nuclear progress, but dangers ahead http://www.theguardi[...] 2010-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