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무기 보유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핵무기 보유국은 핵확산금지조약(NPT) 상 핵무기 보유국과 NPT 비가입국, 핵무기 개발 의혹 국가, 과거 핵무기 보유국 등으로 분류된다. NPT 핵무기 보유국은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5개국이며, NPT 비준 미가입국은 인도, 파키스탄, 북한, 이스라엘이다. 이란, 시리아, 미얀마 등은 핵무기 개발 의혹을 받고 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과거 핵무기를 보유했었다. 핵 공유는 핵무기 보유국이 동맹국과 핵무기를 공동으로 관리하고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미국은 벨기에,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튀르키예에 핵무기를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과거 핵무기 개발을 시도했으나 중단되었고, 현재는 NPT를 준수하며 핵무기 개발을 포기하고 있다.
핵확산금지조약(NPT) 상의 핵보유국과 NPT 이외의 핵보유국으로 나뉜다. 핵무기 보유국(및 의혹국)과 2023년 1월 기준 보유 핵탄두 수, 최초 핵실험 연도, NPT 및 CTBT 대응 현황은 아래 표와 같다. 미국과 러시아를 제외한 대부분 국가의 핵탄두 수는 근사치이며, 북한 등의 데이터는 신뢰성이 낮다.[251]
2. 핵무기 보유국 현황 (2023년)
나라 가용 탄두/전체* 최초 실험 연도(코드명) NPT CTBT 핵 보유 선언국 미국 1,700 / 5,244[251] 1945년 (트리니티) 비준 서명 러시아(1991년 이전에는 소련) 1,674 / 5,889[251] 1949년 (RDS-1) 비준 비준 영국 120 / 225[251] 1952년 (허리케인) 비준 비준 프랑스 280 / 290[251] 1960년 (제르부아즈 블뢰) 비준 비준 중국 n.a. / 410[251] 1964년 (596) 비준 서명 인도 n.a. / 164[251] 1974년 (미소짓는 부처) 미가입 미가입 파키스탄 n.a. / 170[251] 1998년 (차가이-I) 미가입 미가입 북한 n.a. / 30[251] 2006년 (2006년 핵 실험) 탈퇴 미가입 보유 선언을 하지 않은 핵 보유국 이스라엘 n.a. / 90[251] 미상 (1979년 벨라 사건일 가능성) 미가입 서명
2. 1. NPT 상의 핵보유국 (5개국)
핵확산방지조약(NPT)에 따라 공식적으로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는 나라는 미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의 다섯 국가이다.[250] 이들은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UNSC)의 상임 이사국이기도 하다.
나라 | 가용 탄두/전체* | 최초 실험 연도(코드명) |
---|---|---|
미국 | 1,700 / 5,244[251] | 1945년 (트리니티) |
러시아(1991년 이전에는 소련) | 1,674 / 5,889[251] | 1949년 (RDS-1) |
영국 | 120 / 225[251] | 1952년 (허리케인) |
프랑스 | 280 / 290[251] | 1960년 (제르부아즈 블뢰) |
중국 | n.a. / 410[251] | 1964년 (596) |
2. 1. 1. 미국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이 먼저 핵무기를 개발할 것이라는 우려에서 영국 및 캐나다와 협력하여 맨해튼 계획을 통해 최초의 핵무기를 개발했다. 1945년 7월 16일 최초의 핵무기 실험("트리니티")을 하였고,[251]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 폭탄을 투하한 유일한 국가이다. 1945년 10월 1일까지의 프로젝트 지출은 명목상 18억 4,500만 달러에서 20억 달러였다.[45][46] 이는 1945년 미국 GDP의 약 0.8%에 해당하며, 오늘날 약 192.25억달러에 해당한다.미국은 수소 폭탄을 개발한 최초의 국가였으며, 1952년에 실험("아이비 마이크")을, 1954년에는 실전 배치 가능한 무기("캐슬 브라보")를 시험했다. 냉전 기간 동안 핵무기 비축량을 지속적으로 현대화하고 확대했지만, 1992년부터는 주로 비축량 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해 왔다.[47][48][49][50] 미국의 핵무기 비축량은 냉전 절정기(1966년)에 31,175개의 탄두를 포함했다.[51] 냉전 기간 동안 미국은 약 70,000개의 탄두를 만들었다.[52][53]
국가 | 기지 | 추정치 |
---|---|---|
Belgium|벨기에영어 | 클라인 브로겔 | 20 |
Deutschland|독일de | 뷔헬 | 20 |
Italia|이탈리아it | 아비아노 | 20 |
게디 | ||
Nederland|네덜란드nl | 볼켈 | 20 |
Türkiye|튀르키예tr | 인시르릭 | 20 |
100 | ||
NATO 핵무기 공유에 따라 미국은 벨기에,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및 튀르키예에 핵무기를 제공하여 배치하고 저장하도록 했다.[116] 여기에는 "비핵" NATO 국가의 조종사 및 기타 직원이 미국의 핵폭탄을 훈련, 취급 및 투하하고, 비 미국산 군용기를 개조하여 미국의 핵폭탄을 투하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나 모든 미국의 핵무기는 허가 활동 링크로 보호되어 있어, 주최국은 미 국방부의 승인 코드 없이는 폭탄을 쉽게 장착할 수 없다.[117] 이탈리아의 전 대통령 프란체스코 코시가는 이탈리아 내 미국 핵무기의 존재를 인정했다.[118] 미국의 핵무기는 1963년부터 캐나다와 그리스에도 배치되었다. 그러나 미국은 1972년까지 캐나다에서 핵 탑재가 가능한 무기 시스템 4개 중 3개를 철수했고, 1984년까지 나머지 1개를 철수했으며, 2001년까지 그리스에서 모든 핵 탑재가 가능한 무기 시스템을 철수했다.[119][120] 2019년 기준으로, 미국은 유럽에 약 100개의 핵무기를 유지하고 있다.[115]
2002년 부시 행정부의 "핵 태세 검토"('''NPR''': Nuclear Posture Review)에서는 러시아의 위협에 근거하여 핵 전력을 결정하는 것을 그만두고, 우호국의 안보상 필요 최소한의 수준의 핵 전력을 유지하는 동시에, 앞으로는 핵 전력뿐만 아니라 통상 전력과 방위 시스템을 포함한 새로운 억지력이 필요하다고 했다.[166]
2009년 오바마 행정부는 프라하 연설에서 미 대통령으로 처음으로 "핵 없는 세계"의 실현을 위한 노력을 표명하고, 안보에서 핵무기의 의존도를 낮추는 조치로 신 START 등 군축·군비 관리 노력을 촉진했다. 2010년의 NPR에서도 핵 테러와 핵 확산 방지를 핵 문제의 최우선 과제로 삼는 동시에, 전력 구성 면에서는 잠수함 발사형 핵 토마호크 (TLAM-N)를 퇴역시키고, 그 재배치 옵션을 포기하는 것 등이 명시되었다.[167]
트럼프 행정부는 2018년의 NPR에서, 2010년 이후 안보 환경이 급속히 악화되어 지금까지 없었던 위협과 불확실성이 초래되었다고 지적했다.[167] 그 위에 극한의 상황에는 통상 무기에 의한 미국 및 동맹국에 대한 공격에도 핵으로 보복할 가능성을 명시하는 동시에, 선제 불사용 정책은 채택하지 않고 핵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 대한 모호성을 유지하는 정책을 유지할 생각도 보였다.[168] 전력 구성 면에서는, 기존의 SLBM의 일부 탄두를 개수하여 저출력화한 "소형 핵"을 개발하여, 핵 능력의 유연성 및 다양성을 높임으로써 억지력의 실효성을 확보하는 데 힘썼다.[167] 또한 트럼프 행정부는 INF에 대해, 러시아가 조약을 준수하지 않는다고 하여 2019년 8월 2일에 탈퇴, 지금까지 동 조약에서 발사 시험과 생산·보유가 규제되었던 중거리 사정거리를 갖는 통상 탄두 탑재 지상 발사형 미사일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는 2022년 NPR에서 중국을 "대응을 끊임없이 요구하는 도전"으로 규정하고, 핵 억지력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고 했다. 2030년대에는 러시아에 이어 중국도 핵 강국이 될 것이라는 생각을 보여, 역사상 처음으로 2개의 핵 강국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러시아는 전선에서 핵무기를 중시하고, 핵 전력의 현대화 및 확장을 계속하며, 수정주의적 안전 보장 정책을 지지하기 위해 핵무기를 휘두르고, 미국이나 동맹국 등에 영구적인 존립과 관련된 위협이라는 인식을 보이면서, 패배를 피하기 위한 제한적인 핵 사용의 가능성도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핵을 둘러싼 정세 인식을 보인 후에, 핵무기의 역할 감소를 미국의 목표로 하고, 핵의 리스크를 감축하기 위해, 다른 핵 보유국과의 관여를 계속 추구할 생각을 표명했다. 또한, 선언적 정책으로, 핵무기의 기본적인 역할은 적의 핵 공격을 억지하는 것이며, 극한의 상황에서만 핵무기 사용을 검토한다고 하며, "선제 불사용" 및 "유일한 목적"을 포함한 선언적 정책에 대해서는, 미국이나 동맹국에 전술 수준의 피해를 줄 수 있는 위협을 억제할 필요성에서 채택하지 않지만, "유일한 목적"으로의 이행 목표는 유지한다는 생각을 보였다.
중국과 러시아가 확장주의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제한적인 핵 위협을 동반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음을 인식한 위에, 그러한 전략에 대항하기 위해 미국의 억지력을 조정하는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연하게 조정 가능한 핵 전력으로서, 현재 운용 중인 저출력 핵탄두 탑재 SLBM(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은 유지하지만, 이전 NPR에서 제시된 해양 발사형 핵 탑재 순항 미사일 계획은 중단을 표명했다. 또한, NATO의 핵 임무를 지원하기 위해, 핵·비핵 양용기(DCA)의 역할을 F-ISE에서 F-35A로 이행하는 계획을 보이고 있다. 또한, 2021년 2월에 러시아와의 사이에 5년간의 기한 연장을 합의한 신 START는 2023년 2월에 푸틴 대통령이 이행의 일시 중단을 발표한 것으로부터, 향후의 핵 군비 관리의 동향이 주목된다.
2. 1. 2. 러시아
소련은 미국보다 4년 늦은 1949년에 최초의 원폭 실험 RDS-1을 실시했다.[169] 소련의 핵 개발은 부분적으로 스파이 활동을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소련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핵실험을 실시한 국가이다. 핵 개발의 직접적인 목적은 냉전 시기 미국과의 군사력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1955년에는 최초의 메가톤급 수소폭탄 실험에 성공했다.[169] 또한, 소련은 인류 역사상 최대 위력을 가진 핵무기 "차르 봄바"를 제조했다. 차르 봄바는 원래 100Mt의 위력을 가지도록 설계되었지만, 방사성 물질 확산을 우려하여 50Mt로 출력을 낮춰 실험했다. 그러나 너무 거대하여 ICBM에 탑재할 수 없는 등 실용적인 무기는 아니었다. 1991년 12월 소련 붕괴 이후, 소련이 보유했던 핵무기는 주로 러시아로 계승되었다.[170] 소련 붕괴 당시 관리 체제가 허술해지면서 핵 기술이 국외로 유출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었다.2009년 5월 러시아가 발표한 '2020년까지의 국가 안보 전략' 문서에 따르면,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핵 없는 세계' 이념에는 공감하면서도, 단기적으로는 러시아의 대국 지위를 보장하는 핵무기를 포기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171]
2009년 10월 러시아 안전 보장 회의 서기 니콜라이 파트루셰프는 러시아가 핵무기를 이용한 선제 예방 공격 조건 완화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172] 이는 확대되는 NATO에 대한 대응 및 국제 분쟁의 중심이 대규모 충돌에서 저강도 분쟁으로 옮겨가는 상황에 대한 예측에 따른 것이라고 한다.[173]
2. 1. 3. 영국
미국이 맨해튼 계획에서 얻은 데이터를 이어받아, 영국은 1952년 핵실험 허리케인을 성공시켰다.[174] 영국은 서방의 유럽 국가 중에서는 최초로 핵무기 개발과 핵실험을 실시한 국가이다. 영국의 핵 개발 목적은 소련에 대한 억지력 확보였다. 영국은 1957년에 수소폭탄 개발에 성공했다.[174] 또한 4척의 뱅가드급 원자력 잠수함에 트라이던트 SLBM 시스템을 장착하여 보유하고 있다. 영국 정부는 앞으로 10년 안에 현재의 트라이던트 시스템을 교체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06년 12월 백서 '영국의 핵 억지에 관한 미래'에서는 가까운 미래에 영국이나 동맹국에 대한 직접적인 국가 간 전략적 위협은 없을 것이라고 하면서도, 예측 불가능한 국제 안보 환경을 고려하여 2020년대에도 SLBM 기반의 독자적인 핵 억지력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175]
2. 1. 4. 프랑스
프랑스는 1960년에 거의 독자적인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핵실험(제르부아즈 블루)을 성공시켜 핵무기 보유국이 되었다.[176] 핵 개발의 동기는 수에즈 위기 때 소련과 서방 국가 사이에 생긴 외교적 긴장 때문이었다. 당시 프랑스는 자국의 외교력과 군사력이 약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식민지 시대 이후 냉전기에 영국에 이어 강대국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었다. (핵 타격력 문서 참조).프랑스는 1968년에 첫 수소 폭탄 실험(카노푸스 작전)에 성공했다.[177] 냉전 이후, 프랑스는 핵탄두 175발을 감축했다. 탄도 미사일원자력 잠수함(SSBN)과 중거리 공대지 미사일을 갱신하면서 핵탄두도 함께 갱신했다. 그러나 새로운 핵무기를 개발 중이며, 아프가니스탄에서의 불굴의 자유 작전 중에 핵 부대 훈련을 실시하기도 했다.
2006년 자크 시라크 당시 대통령은 "프랑스에 대한 대량 살상 무기를 사용한 테러에 대해서는 핵무기로 반격하겠다"고 밝혔다.[178] 2008년 3월 21일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은 핵 전력이 핵 확산 등의 위험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프랑스를 지키는 것이라는 견해를 보였다. 동시에 항공기 발사형 핵 전력의 1/3을 감축하고, 핵탄두 수를 300개 이하로 줄이겠다고 발표했다.[179] 2015년 2월 19일, 올랑드 대통령이 감축 완료를 보고했다.[180] 2020년 2월 7일, 마크롱 대통령은 핵 억지력이 국가 주권의 독립과 방위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하며, 다자간 협의를 통한 핵 군축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또한 프랑스의 핵무기를 EU와 공유하는 억지력으로 운용하자는 제안을 했다.
2023년 현재, 프랑스는 전략 원자력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과 항공기 탑재 공대지 미사일의 두 종류의 핵 전력을 보유한다. 항공모함 탑재 공격기에 핵 전력 일부를 탑재하는 것이 프랑스의 특징이다. 2022년 8월 NPT 재검토 회의에 제출한 보고서(Government of France 2022)에 따르면 탄두 수는 300개 이하이며,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은 1척당 16기로 3척분, 공중 발사 핵 순항 미사일은 54발이다.[181]
2. 1. 5. 중국

중화인민공화국은 1964년 로프 누르 시험장에서 첫 핵무기 실험("596 (핵 실험)")을 성공시켜 핵무기 보유국이 되었다.[182] 이 핵무기는 미국과 소련 양국을 견제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2년 뒤, 중국은 핵 미사일에 탑재 가능한 핵분열 폭탄을 보유하게 되었다. 1967년에는 첫 수소폭탄 실험("6차 핵실험")에 성공했는데, 이는 첫 핵무기 실험 후 불과 32개월 만에 이루어진 것으로, 핵분열-핵융합 개발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였다.[60]
중국은 핵확산금지조약(NPT) 핵무기 보유국 중 유일하게 "선제 불사용" 정책이라는 무제한적인 부정적 안보 공약을 제시하고 있다.[61][62] 1992년 핵확산금지조약에 가입했다.[57] 2016년 기준으로, JL-2 잠수함에 SLBM을 탑재했다.[63]
중국은 핵무기 선제 불사용을 선언했지만, 핵전력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다. 스톡홀름 국제 평화 연구소(SIPRI)에 따르면, 중국은 핵무기 현대화 및 확장의 중요한 단계에 있으며, 핵탄두 비축량은 향후 10년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8] SIPRI의 2024년 연감에 따르면, 중국의 핵탄두 비축량은 2023년에 90개가 증가하여 500개에 달했다.[65] 2024년 2월 기준으로 약 500개의 탄두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64]
미국 국방부 관계자는 중국이 2024년 12월 기준으로 600개 이상의 실전 배치된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1,000개의 핵무기를 보유할 것으로 예상했다.[66]
나라 | 가용 탄두/전체* | 최초 실험 연도(코드명) |
---|---|---|
중국 | n.a. / 410[251] | 1964년 (596) |
2. 2. NPT 이외의 핵보유국 (4개국)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 북한은 핵확산금지조약(NPT)에 가입하지 않았거나 탈퇴한 국가로, 핵무기 개발 및 보유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153] 이들 국가는 핵무기 개발을 통해 지역 안보 불안을 야기하고 있으며, 국제 사회의 제재 및 압박을 받고 있다.- 인도 : 1974년에 최초 핵실험을 하였으며, 핵확산방지조약(NPT)에는 가입하지 않았다.
- 파키스탄 : 1998년에 최초 핵실험을 하였으며, 핵확산방지조약(NPT)에는 가입하지 않았다.
- 이스라엘 : 핵무기 보유에 대해 공식적으로는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고 있으나,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북한 : 2006년에 최초 핵실험을 하였으며, 핵확산방지조약(NPT)에서 탈퇴하였다.
나라 | 가용 탄두/전체* | 최초 실험 연도(코드명) |
---|---|---|
인도 | n.a. / 164[251] | 1974년 (미소짓는 부처) |
파키스탄 | n.a. / 170[251] | 1998년 (차가이-I) |
이스라엘 | n.a. / 90[251] | 미상 (1979년 벨라 사건일 가능성) |
북한 | n.a. / 30[251] | 2006년 (2006년 핵 실험) |
2. 2. 1. 인도
인도는 핵확산방지조약(NPT)에 가입하지 않았지만, 1974년 '미소짓는 부처'라는 암호명으로 첫 핵실험을 실시했다.[251] 이는 네루 수상이 국제적인 핵 개발은 반대하면서도 국내 핵 개발은 적극 지원한 결과였다. 인도가 핵 개발을 추진한 배경에는 1962년 중국-인도 국경 분쟁에서의 패배와 1964년 중국의 핵실험 성공, 그리고 1965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등이 있었다.[67]국제사회의 제재로 잠시 중단되었던 인도의 핵 개발은 파키스탄의 핵무장 추진에 대응하여 1998년 재개되었다. 인도는 '작전 샥티'라는 이름으로 열핵무기를 포함한 핵탄두 실험을 진행했다.[70] 이후 인도는 "선제 불사용" 정책을 채택했다.[71]
2006년, 인도는 미국과 인도-미국 민간 핵 협정을 체결하고 국제 원자력 기구(IAEA)의 사찰을 일부 허용했다.[250] 이 협정은 중국을 견제하려는 미국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72][73][74][75][76][77] 미국 국무부는 인도를 핵무기 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79] 핵 공급국 그룹은 인도에 대한 핵물질 수출 제한을 완화했다.[81] 2024년 6월 현재 인도는 172개의 핵탄두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5][82][16]
가용 탄두/전체* | 최초 실험 연도(코드명) |
---|---|
n.a. / 164[251] | 1974년 (미소짓는 부처) |
2. 2. 2. 파키스탄
냉전 시대에 미국과 동맹이었으나 인도-파키스탄 전쟁을 겪으며 동맹이 약화됐고 파키스탄은 이때부터 비밀리에 핵 개발을 시작했다. 미국은 이에 반대했으나 1980년대 소련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하면서 미국은 파키스탄을 중요하게 여기기 시작했고 핵 개발을 암묵적으로 용인했다. 냉전 이후 소련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하자 다시 미국은 파키스탄의 핵 무장에 제재를 가했다. 그러나 이미 파키스탄의 핵 기술은 충분히 진보된 상태였다. 1998년 인도의 핵실험에 대응해 같은 해 두 차례의 핵실험을 했다.[250]
파키스탄은 핵확산 금지 조약의 당사국이 아니다. 1970년대 후반부터 수십 년에 걸쳐 비밀리에 핵무기를 개발했다. 1970년대 초 서방 국가들이 주로 공급한 장비와 재료를 사용하여 카라치 근처에 첫 번째 핵 발전소를 건설한 후 처음으로 원자력에 착수했다. 줄피카르 알리 부토 파키스탄 총리는 1971년, 인도가 핵무기를 만들 수 있다면 파키스탄도 그렇게 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는 "풀을 먹어야 하더라도 우리는 핵무기를 개발할 것이다."라고 말했다.[83]
파키스탄은 1980년대 중반부터 핵무기를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84] 미국은 파키스탄이 그러한 무기를 보유하지 않았다고 계속 인증했으며, 1990년에는 프레슬러 수정안에 따라 제재가 가해져 파키스탄에 대한 미국의 경제 및 군사 지원이 중단되었다.[85] 1998년, 파키스탄은 몇 주 전에 인도가 실시한 5차례의 핵실험에 대응하여 라스 코 언덕에서 최초의 6차례의 핵실험을 실시했다.
2004년, 파키스탄의 야금학자 아브둘 카디르 칸은 파키스탄 핵무기 프로그램의 핵심 인물로, 핵무기 기술을 판매하는 국제 암시장 조직을 이끌었다고 자백했다. 특히 칸은 가스 원심 분리기 기술을 북한, 이란, 리비아에 판매했다. 칸은 파키스탄 정부나 군의 공모를 부인했지만, 이는 언론인과 IAEA 관계자들에 의해 의문시되었으며, 나중에 칸 자신의 진술과도 상반되었다.[86]
2013년 초 기준으로 파키스탄은 약 140개의 탄두를 비축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87] 2014년 11월에는 2020년까지 200개의 탄두를 만들 수 있을 만큼 충분한 핵분열 물질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되었다.[88] 2024년 현재, SIPRI는 파키스탄이 약 170개의 탄두를 비축하고 있다고 추정했다.[8]
2. 2. 3. 이스라엘
이스라엘은 핵무기 보유 여부에 대해 공식적으로 확인하거나 부인하지 않는 '모호성 정책'을 유지하고 있지만, 핵무기 보유국으로 간주된다.[251] 최초 핵실험 연도는 미상이지만, 1979년 벨라 사건이 핵실험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2. 2. 4. 북한
북한은 1998년 5월 30일 파키스탄에서 대리 핵실험을 했다는 설이 있다. 2003년 핵확산금지조약(NPT)에서 탈퇴했으며, 이후 2006년 10월, 2009년 5월, 2013년 2월, 2016년 1월과 9월, 2017년 9월에 걸쳐 총 6차례 공식 핵실험을 실시했다. 아브둘 카디르 칸 박사의 고백으로 파키스탄 핵 기술 유출 의혹도 제기되었다.2017년, 북한은 최대 60발의 핵탄두를 제조할 수 있는 핵무기 원료를 보유하고 있다고 알려졌다.[206] 같은 해 100~300kt급 수소탄 실험에도 성공했다.
북한의 핵탄두 보유량에 대한 추정치는 다양하다.
- 2020년 11월, 미 국방대 산하 국가전략연구소(INSS)는 15~60기로 추정했다.
- 2021년, 지그프리드 해커 교수는 20~60개(45개일 가능성 높음)로 추정했다.
- 2023년 1월 12일, 한국국방연구원은 80~90기로 추정했다.
- 2023년 1월 23일, 데이비드 올브라이트 소장은 45~80개로 추정했다.
- 2023년 2월 16일, 한국 국방부는 플루토늄 70여 kg 보유를 공식 평가했다.
- 2023년 4월, 미국과학자연맹(FAS)은 30발로 추정했다.
- 2023년 5월, 과학계 및 전문가들은 100기가 넘는다고 주장했다.
- 2023년 6월, 나가사키 대학교 핵무기폐기연구센터(RECNA)는 40발로 추정했다.
나라 | 가용 탄두/전체* | 최초 실험 연도(코드명) |
---|---|---|
북한 | n.a. / 30[251] | 2006년 (2006년 핵 실험) |
이란, 시리아, 미얀마는 핵무기 개발 의혹을 받고 있는 국가들이다.[159][160] 이들 국가는 핵무기 개발을 통해 국제사회의 제재와 압박을 받고 있으며, 핵 개발 포기를 위한 국제적인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3. 핵무기 개발 의혹 국가
4. 과거 핵무기 보유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우라늄 매장량이 풍부하여 1960년대부터 미국의 원자로 기술을 받아들여 1970년대부터 핵개발을 시작했다. 냉전 시대였고 안보 불안 때문에 핵무장을 했다고 하지만,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다는 분석도 있다. 냉전 이후 국제적인 압박에 의해 1993년 핵무기를 폐기했다.[250] 1979년, 인도양에서 은밀한 핵실험으로 추정되는 벨라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는 이스라엘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협력과 지원을 받아 실시한 실험이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있었지만 확인되지 않았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1991년에 핵확산 금지 조약에 가입했다.[132][133]
카자흐스탄은 자국 영토에 1,400개의 소련 시대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었으나, 핵확산금지조약(NPT)에 가입한 후 1995년까지 모두 러시아로 이전했다.[134]
우크라이나는 1991년 소련으로부터 독립했을 때 자국 영토에 최대 3,000개의 핵무기를 배치하고 있었으며, 이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핵무기 비축량이었다. 우크라이나는 1994년 12월 NPT에 가입하면서 자국 영토 내의 모든 핵무기를 폐기하기로 합의했다. 탄두는 1996년까지 우크라이나에서 제거되어 러시아에서 해체되었다.[135]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에도 불구하고, 우크라이나는 핵무기 비보유국으로서 핵확산금지조약에 가입하기로 한 1994년 결정을 재확인했다.[136]
벨라루스는 소련의 구성국이었던 1990년대까지 자국 영토에 단일 탄두 미사일을 배치하고 있었다. 1991년 소련 붕괴 당시 81기의 단일 탄두 미사일이 벨라루스 영토에 배치되었지만, 1996년까지 모두 러시아로 이전되었다. 벨라루스는 1992년 5월부터[137] 2022년 2월까지 핵확산 금지 조약(NPT)의 회원국이었으며, 2022년 벨라루스 헌법 국민투표를 통해 비핵 지위를 종료했다.[138] 2023년부터 러시아 핵무기를 재배치했다.
카자흐스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세 국가는 NPT 가입과 관련하여 부다페스트 안전 보장 각서에 명시된 바와 같이, 주권, 독립 및 영토 보전이 존중될 것이라는 보장을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보장은 2014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 이후 러시아에 의해 무시되었다.[139][140][141]
5. 핵 공유 국가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의 핵무기 공유 정책에 따라, 미국은 벨기에,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튀르키예에 핵무기를 제공하여 배치하고 보관하도록 하고 있다.[116] 이러한 핵 공유에는 "비핵" NATO 국가의 조종사 및 기타 직원들이 미국의 핵폭탄을 다루고 투하하는 훈련을 받고, 비 미국산 군용기를 개조하여 미국의 핵폭탄을 탑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나 모든 미국의 핵무기는 허가 활동 링크로 보호되어, 미 국방부의 승인 코드 없이는 주최국이 폭탄을 쉽게 장착할 수 없다.[117] 이탈리아의 전 대통령 프란체스코 코시가는 이탈리아 내 미국 핵무기의 존재를 인정한 바 있다.[118] 과거 미국은 1963년부터 캐나다와 그리스에도 핵무기를 배치했으나, 1972년과 1984년에 걸쳐 캐나다에서, 2001년에는 그리스에서 모든 핵무기를 철수했다.[119][120] 2019년 4월 기준으로, 미국은 유럽에 약 100개의 핵무기를 유지하고 있다.[115]
비동맹 운동 회원국들은 모든 국가에 "어떠한 종류의 안보 협정 하에서도 군사적 목적으로 핵 공유를 자제할 것"을 촉구했다.[125] 이슬라마바드 전략 연구소(ISSI)는 이러한 핵 공유 협정이 NPT 제1조 및 제2조를 위반한다고 비판했다. ISSI는 "이 조항은 핵무기 보유국이 자국의 핵무기 통제권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타인에게 위임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126] 반면, 북대서양 조약 기구는 "유럽에 배치된 미국의 핵무기는 미국의 단독 소유이며 지속적이고 완전한 관리 및 통제하에 있다"며 핵무기 공유가 NPT를 준수한다고 주장한다.[127]
1990년대까지 미국은 자국 영토 외에 핵무기를 배치하고 공유 국가들과 핵무기를 배치했다.[142]
6. 한국의 핵무기 개발 시도
대한민국의 핵무기 개발은 1970년대 박정희 정권 시절에 비밀리에 추진되었다. 그러나 미국의 압력과 박정희 대통령의 사망으로 인해 중단되었다.[55][56] 이후 한국은 핵확산금지조약(NPT)을 준수하며 핵무기 개발을 포기하고,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에 주력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의 핵 위협이 계속되면서, 한국의 보수 진영 일각에서는 자체 핵무장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국제 사회의 제재와 고립을 초래할 수 있으며, 한반도 비핵화 원칙에도 어긋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orld Nuclear Forces, SIPRI yearbook 2020
https://www.sipri.or[...]
2020-01
[2]
간행물
Trilateral Nuclear Dialogues Role of P3 Nuclear Weapons Consensus Statement
https://www.csis.org[...]
2010-05-13
[3]
뉴스
Calls for Olmert to resign after nuclear gaffe Israel and the Middle East
https://www.theguard[...]
2006-12-12
[4]
웹사이트
Nuclear Forces
http://www.sipri.org[...]
[5]
문서
There are a wide range of estimates as to the size of the Israeli nuclear arsenal. For a compiled list of estimates, see [[Avner Cohen]], The Worst-Kept Secret: Israel's bargain with the Bomb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 Table 1, page xxvii and page 82.
[6]
서적
The Worst-Kept Secret: Israel's bargain with the Bomb
Columbia University Press
[7]
문서
Arms Control and Global Security, Paul R. Viotti – 2010, p 312
[8]
간행물
World Nuclear Forces 2023
https://www.sipri.or[...]
Oxford University Press
2023
[9]
문서
"Nuclear club", ''Oxford English Dictionary'': "nuclear club n. the nations that possess nuclear weapons." The term's first cited usage is from 1957.
[10]
뉴스
The Nuclear Club: Who are the 9 members?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16-01-06
[11]
뉴스
Nuclear weapons: how many are there in 2009 and who has them?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9-09-06
[12]
웹사이트
Trea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https://treaties.uno[...]
2023-08-29
[13]
웹사이트
Status of Signature and Ratification of the Comprehensive Test Ban Treaty
http://www.ctbto.org[...]
2012-01-13
[14]
웹사이트
The Nuclear Testing Tally
https://www.armscont[...]
Arms Control Association
2022-08
[15]
웹사이트
Role of nuclear weapons grows as geopolitical relations deteriorate—new SIPRI Yearbook out now
https://www.sipri.or[...]
2024-06-17
[16]
간행물
Status Of World Nuclear Forces
https://fas.org/init[...]
2023
[17]
문서
IISS 2012
[18]
간행물
Russian nuclear weapons, 2023
2023-05-04
[19]
뉴스
Putin revokes Russia's ratification of nuclear test ban treaty
https://www.reuters.[...]
2023-11-02
[20]
웹사이트
Nuclear Weapons: Who Has What at a Glance
https://www.armscont[...]
Arms Control Association
2019-07
[21]
문서
IISS 2012
[22]
간행물
French nuclear weapons, 2023
2023-07-04
[23]
문서
IISS 2012
[24]
간행물
Chinese nuclear weapons, 2023
2023-03-04
[25]
문서
'The Long Shadow: Nuclear Weapons and Security in 21st Century Asia by Muthiah Alagappa (NUS Press, 2009), page 169: "China has developed strategic nuclear forces made up of land-based missiles, submarine-launched missiles, and bombers. Within this triad, China has also developed weapons of different ranges, capabilities, and survivability."'
[26]
문서
IISS 2012
[27]
간행물
Indian nuclear weapons, 2022
2022-07-04
[28]
문서
IISS 2012
[29]
뉴스
Now, India has a nuclear triad
http://www.thehindu.[...]
2016-10-18
[30]
뉴스
India's Nuclear Triad Finally Coming of Age
https://thediplomat.[...]
2014-06-12
[31]
웹사이트
Nuclear triad weapons ready for deployment: DRDO
http://www.livemint.[...]
2014-07-07
[32]
간행물
Pakistani nuclear weapons, 2021
2021-09-03
[33]
웹사이트
Striking Asymmetries: Nuclear Transitions in Southern Asia
https://carnegieendo[...]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2024-06-18
[34]
웹사이트
How Pakistan Developed Its Own Nuclear Triad
https://nationalinte[...]
2023-07-08
[35]
웹사이트
Babur (Hatf 7)
https://missilethrea[...]
2023-07-08
[36]
논문
Israeli nuclear weapons, 2021
2022-01-02
[37]
간행물
The Third Temple's holy of holies: Israel's nuclear weapons
1999-09
[38]
서적
The Samson option: Israel's Nuclear Arsenal and American Foreign Policy
Random House
[39]
문서
An Atlas of Middle Eastern Affairs
Routledge
[40]
문서
IISS 2012
[41]
논문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2022
https://www.tandfonl[...]
2022-09-03
[42]
뉴스
U.S.: Test Points to N. Korea Nuke Blast
https://www.washingt[...]
2017-09-03
[43]
간행물
Trea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Declarations, statements, reservations and notes
https://treaties.uno[...]
[44]
웹사이트
CSIS 2022
https://missilethrea[...]
[45]
서적
The Road to Trinity
William Morrow and Company
[46]
뉴스
Atomic Bomb Seen as Cheap at Price
https://news.google.[...]
2012-01-01
[47]
서적
U.S. nuclear weapons: The secret history
Aerofax
[48]
서적
The Swords of Armageddon: U.S. nuclear weapons development since 1945
http://www.uscoldwar[...]
Chukelea Publications
2016-02-20
[49]
서적
Atomic Audit: The Costs and Consequences of U.S. Nuclear Weapons Since 1940
Brookings Institution Press
[50]
잡지
An Aging Army
https://www.scienceh[...]
2018-03-22
[51]
웹사이트
Fact Sheet: Increasing Transparency in the U.S. Nuclear Weapons Stockpile
http://www.defense.g[...]
U.S. Department of Defense
2013-08-31
[52]
웹사이트
Policy Library
https://www.nrdc.org[...]
2016-08-23
[53]
간행물
Global nuclear stockpiles, 1945–2006
https://web.archive.[...]
2006-07/08
[54]
서적
Stalin and the bomb: The Soviet Union and atomic energy, 1939–1956
Yale University Press
[55]
서적
Independence and deterrence: Britain and atomic energy, 1945–1952
Macmillan
[56]
서적
Britain and the H-bomb
Palgrave
[57]
웹사이트
Trea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http://disarmament.u[...]
United Nations Office for Disarmament Affairs
[58]
뉴스
France 'would use nuclear arms'
http://news.bbc.co.u[...]
BBC
2006-01
[59]
웹사이트
Nuclear deterrent important in 'dangerous world', says Hollande
http://www.spacedail[...]
2016-02-20
[60]
서적
China Builds the Bomb
Stanford University Press
[61]
웹사이트
No-First-Use (NFU)
http://nuclearthreat[...]
[62]
보고서
Statement on security assurances issued on 5 April 1995 by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www.security[...]
United Nations
2012-09-20
[63]
논문
Chinese nuclear forces, 2019
2019-07-04
[64]
웹사이트
Chinese Nuclear Forces, 2024: A “Significant Expansion”
https://fas.org/publ[...]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24-01-16
[65]
웹사이트
Chinese Nuclear Arsenal Grows by Seventeen Percent in 2022, SIPRI Reports
https://www.gcatglan[...]
2023-06-21
[66]
뉴스
Pentagon report: China boosts nuclear stockpile
https://www.politico[...]
2024-12-18
[67]
서적
India's Nuclear Bomb: The Impact on Global Prolifer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8]
웹사이트
18 MAY 1974 – SMILING BUDDAH
https://www.ctbto.or[...]
2018-01-24
[69]
서적
India's Nuclear Bomb: The Impact on Global Prolifer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70]
웹사이트
India's Nuclear Weapons Program: Operation Shakti
http://nuclearweapon[...]
2006-10-10
[71]
뉴스
No first use nuclear policy: Explained
https://timesofindia[...]
2023-04-19
[72]
웹사이트
Joint Statement Between President George W. Bush and Prime Minister Manmohan Singh
https://georgewbush-[...]
2009-05-15
[73]
웹사이트
Implementation of the India-United States Joint Statement of July 18, 2005: India's Separation Plan
https://web.archive.[...]
2006-09-03
[74]
웹사이트
U.S.- India Civil Nuclear Cooperation Initiative – Bilateral Agreement on Peaceful Nuclear Cooperation
https://2001-2009.st[...]
2019-05-22
[75]
웹사이트
IAEA Board Approves India-Safeguards Agreement
http://www.iaea.org/[...]
2009-05-15
[76]
웹사이트
Statement on Civil Nuclear Cooperation with India
http://www.carnegiee[...]
2008-10-18
[77]
웹사이트
Congressional Approval of the U.S.-India Agreement for Cooperation Concerning Peaceful Uses of Nuclear Energy (123 Agreement)
https://2001-2009.st[...]
2019-05-22
[78]
웹사이트
Secretary of State Condoleezza Rice and Indian Minister of External Affairs Pranab Mukherjee At the Signing of the U.S.-India Civilian Nuclear Cooperation Agreement
https://2001-2009.st[...]
2019-05-22
[79]
Webarchive
Interview With Undersecretary of State for Arms Control and International Security Robert Joseph
http://www.armscontr[...]
2006-05
[80]
webarchive
Was India misled by America on nuclear deal?
http://www.indianexp[...]
Indian Express
[81]
웹사이트
ACA: Final NSG Statement
http://www.armscontr[...]
2008-10-18
[82]
웹사이트
India and Pakistan
https://armscontrolc[...]
2023-09-16
[83]
웹사이트
Historical Background: Zulfikar Ali Bhutto
http://www.nuclearw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FAS)
2018-08-19
[84]
Webarchive
NTI Pakistan Profile
http://www.nti.org/c[...]
[85]
웹사이트
Case Studies in Sanctions and Terrorism: Pakistan
http://www.iie.com/r[...]
Iie.com
2009-05-15
[86]
문서
A.Q. Khan: Investigation, dismissal, confession, pardon and aftermath
[87]
웹사이트
Status of World Nuclear Forces
https://fas.org/issu[...]
2018-01-24
[88]
뉴스
Pakistan to Have 200 Nuke Weapons by 2020: US Think Tank
http://timesofindia.[...]
2014-11-28
[89]
뉴스
How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Has Grown
https://www.nytimes.[...]
2017-02-18
[90]
뉴스
TIMELINE:North Korea: climbdowns and tests
https://www.reuters.[...]
2009-05-25
[91]
뉴스
North Korea Test Shows Technical Advance
2016-01-07
[92]
웹사이트
The nuclear explosion in North Korea on 3 September 2017: A revised magnitude assessment
https://www.norsar.n[...]
2017-09-15
[93]
뉴스
North Korea has Begun Dismantlement of the Punggye-ri Nuclear Test Site'
https://www.38north.[...]
2018-08-03
[94]
뉴스
'Destruction at North Korea''s Nuclear Test Site: A Review in Photos'
https://www.38north.[...]
2018-08-03
[95]
뉴스
North Korea Is No Longer Bound by Nuclear Test Moratorium, Kim Says
https://www.nytimes.[...]
2020-06-18
[96]
웹사이트
North Korea declares itself a nuclear weapons state, in 'irreversible' move
https://edition.cnn.[...]
2022-09-09
[97]
간행물
Israel and the Bomb
https://archive.org/[...]
Columbia University Press
[98]
웹사이트
Transcript of the Director General's Interview with Al-Ahram News
http://www.iaea.org/[...]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2007-06-03
[99]
웹사이트
Nuclear Overview
https://web.archive.[...]
NTI
2009-06-23
[100]
서적
My Promised Land
[101]
웹사이트
Israel's Quest for Yellowcake: The Secret Argentina-Israel Connection, 1963–1966
http://www.wilsoncen[...]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2017-11-22
[102]
웹사이트
Nuclear Weapons
https://fas.org/nuke[...]
2015-11-07
[103]
Webarchive
NTI Israel Profile
http://www.nti.org/e[...]
[104]
서적
The Worst-Kept Secret: Israel's bargain with the Bomb
Columbia University Press
[105]
웹사이트
Israel
http://www.sipri.org[...]
2015-01-19
[106]
웹사이트
Israel's nuclear option remark raises 'huge number of questions': Russia's foreign ministry says Israel appeared to have admitted that it has nuclear weapons and is willing to use them.
https://www.aljazeer[...]
Al Jazeera America
2023-11-17
[107]
웹사이트
Whose Finger Is On the Button?
https://www.ucsusa.o[...]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2021-02-21
[108]
웹사이트
"When the Urgency of Time and Circumstances Clearly Does Not Permit . . .": Pre-delegation in Nuclear and Cyber Scenarios
https://carnegieendo[...]
2017-10-16
[109]
뉴스
MILITARY GOT AUTHORITY TO USE NUCLEAR ARMS IN 1957
https://www.washingt[...]
2024-10-03
[110]
뉴스
Every new British prime minister pens a handwritten 'letter of last resort' outlining nuclear retaliation
https://www.washingt[...]
2016-07-13
[111]
웹사이트
Whose Finger Is on the Button? {{!}}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https://www.ucsusa.o[...]
2023-07-06
[112]
간행물
Adventures of the "Nuclear Briefcase"
http://www.ccc.nps.n[...]
2004-09-00
[113]
뉴스
A 2nd Briefcase for Putin
http://www.themoscow[...]
2008-05-20
[114]
웹사이트
N. Korea adopts nuclear use manual, signaling return to parallel pursuit of nukes, economy
https://english.hani[...]
2023-03-25
[115]
문서
Q105699219
[116]
웹사이트
Berlin Information-center for Transatlantic Security: NATO Nuclear Sharing and the N.PT – Questions to be Answered
http://www.bits.de/p[...]
Bits.de
2009-05-15
[117]
서적
Security Engineering: A Guide to Building Dependable Distributed Systems
Ross Anderson, University of Cambridge Computing Laboratory
2010-04-29
[118]
웹사이트
Cossiga: "In Italia ci sono bombe atomiche Usa"
http://notizie.tisca[...]
2015-09-16
[119]
문서
Weapons of Mass Debate - Greece: a Key Security Player for both Europe and NATO
https://www.institut[...]
Institut Montaigne
2001-12-07
[120]
보고서
U.S. Nuclear Weapons in Europe
http://www.nrdc.org/[...]
Natural Resources Defense Council
2006-05-23
[121]
웹사이트
Russian Nuclear Weapons Deployment Plans in Belarus: Is There Visual Confirmation?
https://fas.org/publ[...]
2023-07-17
[122]
웹사이트
Lukashenko: I have veto over use of Russian nuclear weapons in Belarus
https://www.reuters.[...]
2023-07-17
[123]
웹사이트
Russia delivers first nuclear warheads to Belarus - Budanov
https://english.nv.u[...]
NV
2023-09-10
[124]
웹사이트
Russian Foreign Ministry Announces Conversion of Belarusian Su-25 Aircraft to Carry Nuclear Weapons
https://www.eurointe[...]
European Pravada
2022-10-17
[125]
문서
Statement on behalf of the non-aligned state parties to the Trea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https://web.archive.[...]
2005-05-02
[126]
문서
ISSI – NPT in 2000: Challenges ahead
http://www.issi.org.[...]
The Institute of Strategic Studies, Islamabad
[127]
웹사이트
NATO's Positions Regarding Nuclear Non-Proliferation, Arms Control and Disarmament and Related Issues
http://www.nato.int/[...]
NATO
2013-09-08
[128]
서적
Pulling Back from the Nuclear Brink: Reducing and Countering Nuclear Threats
Psychology Press
2014-08-06
[129]
간행물
Post-Soviet Russia and Ukraine: Who can push the Button?
http://cns.miis.edu/[...]
2014-08-06
[130]
웹사이트
Revisiting South Africa's Bomb
http://www.armscontr[...]
2015-12-06
[131]
뉴스
Revealed: how Israel offered to sell South Africa nuclear weapons
https://www.theguard[...]
2022-02-06
[132]
문서
Nuclear Weapons Program (South Africa)
https://fas.org/nuk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00-05-29
[133]
서적
The Bomb – South Africa's Nuclear Weapons Programme
Litera
2015-00-00
[134]
웹사이트
Kazakhstan Special Weapons
https://fas.org/nuk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15-11-07
[135]
웹사이트
Ukraine Special Weapons
https://fas.org/nuk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15-11-07
[136]
문서
Joint Statement by the United States and Ukraine
https://obamawhiteho[...]
2014-03-25
[137]
웹사이트
Belarus Special Weapons
https://fas.org/nuk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15-11-07
[138]
웹사이트
Belarus votes to give up non-nuclear status
https://www.aljazeer[...]
2022-03-01
[139]
웹사이트
Ukraine war: what is the Budapest Memorandum and why has Russia's invasion torn it up?
http://theconversati[...]
2022-05-05
[140]
웹사이트
The Budapest Memorandum and U.S. Obligations
https://www.brooking[...]
Brookings Institution
2022-05-05
[141]
웹사이트
Ukraine's forgotten security guarantee: The Budapest Memorandum
https://www.dw.com/e[...]
Deutsche Welle
2014-05-12
[142]
웹사이트
The Withdrawal of U.S. Nuclear Weapons From South Korea
http://www.nukestrat[...]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05-09-28
[143]
뉴스
US stored nukes in Philippines under Marcos–Bayan
https://newsinfo.inq[...]
2024-04-15
[144]
웹사이트
Presidential Decision on Categories of Information for Symington Subcommittee to be protected by executive privilege
https://nsarchive2.g[...]
[145]
서적
Taiwans's Former Nuclear Weapons Program: Nuclear Weapons On-Demand
https://isis-online.[...]
Institute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Security
[146]
서적
Ba nian can mou zong zhang ri ji
https://openlibrary.[...]
Commonwealth Publishing
2000-01-01
[147]
뉴스
United States Secretly Deployed Nuclear Bombs In 27 Countries and Territories During Cold War
https://nsarchive2.g[...]
1999-10-20
[148]
encyclopedia
Canada and Nuclear Weapons
https://www.thecanad[...]
[149]
웹사이트
Greece
https://www.icanw.or[...]
[150]
문서
原子爆弾
[151]
문서
アメリカ合衆国
[152]
웹사이트
Treaty on the Non-proliferation of Nuclear Weapons (international agreement) -- Britannica Online Encyclopedia
http://www.britannic[...]
Britannica
[153]
웹사이트
核兵器不拡散条約 (NPT) の概要
https://www.mofa.go.[...]
外務省
[154]
뉴스
NPT撤退に関する北朝鮮の声明のテキスト
https://www.atomicar[...]
[155]
웹사이트
外務省:朝鮮半島エネルギー開発機構(KEDO)
https://www.mofa.go.[...]
外務省
[156]
뉴스
イスラエル、少なくとも150発の核兵器を保有=カーター元米大統領
http://jp.reuters.co[...]
ロイター通信
2008-05-07
[157]
웹사이트
Calls for Olmert to resign after nuclear gaffe Israel and the Middle East | Guardian Unlimited
http://www.guardian.[...]
Guardian
[158]
문서
南アフリカ:核兵器不拡散条約(NPT)への加盟
https://treaties.uno[...]
[159]
간행물
"Implementation of the NPT Safeguards Agreement in the Islamic Republic of Iran"
http://www.iaea.org/[...]
IAEA Board of Governors
2005-09
[160]
위키뉴스
イラン、核開発を続けることを決定 「イラン、核開発を続けることを決定」
http://ja.wikinews.o[...]
2005-09-20
[161]
웹사이트
条約の署名・批准状況
https://www.mofa.go.[...]
[162]
웹사이트
世界の核兵器保有数(2023年1月時点)
国際平和拠点ひろしま
[163]
웹사이트
Trinity
http://www.lanl.gov/[...]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164]
웹사이트
Operation Ivy, 1952 - Enewetak Atoll, Marshall Islands
http://nuclearweapon[...]
nuclearweaponarchive
[165]
문서
Global Governance Monitor on Nonproliferation
[166]
서적
平成21年度版 日本の防衛 防衛白書
防衛省
[167]
웹사이트
核抑止の仕組みとその機能 米国における核戦略論の史的展開 - 提言・論考 - SSDP 安全保障・外交政策研究会 - Society of Security and Diplomatic Policy Studies
http://ssdpaki.la.co[...]
[168]
웹사이트
(いちからわかる!)アメリカの核政策、新しくなったの?: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2-11-18
[169]
웹사이트
The Soviet Nuclear Weapons Program
http://nuclearweapon[...]
nuclearweponarchive
[170]
서적
Stalin and the bomb: The Soviet Union and atomic energy, 1939-1956
イェール大学出版会
[171]
웹사이트
ロシア 安全保障戦略を刷新 経済・エネ前面も消せぬ軍事頼み
http://www.business-[...]
フジサンケイ ビジネスアイ.Bloomberg GLOBAL FINANCE
2009-06-18
[172]
웹사이트
ロシア:核兵器先制使用の条件緩和を検討
https://web.archive.[...]
毎日新聞社
2009-10-14
[173]
웹사이트
核先制使用の条件緩和へ ロシア新軍事ドクトリン
http://www.asahi.com[...]
asahi.com
[174]
웹사이트
Britain's Nuclear Weapons From MAUD to Hurricane
http://nuclearweapon[...]
[175]
서적
平成21年度版 日本の防衛 防衛白書
防衛省
[176]
간행물
French Senate report #179: The first French tests in the Sahara
http://www.senat.fr/[...]
[177]
웹사이트
Week of August 22, 1968, MR POPHistory
http://www.mrpopcult[...]
2009-11-04
[178]
웹사이트
France 'would use nuclear arms'
http://news.bbc.co.u[...]
BBC
2006-01-19
[179]
웹사이트
平成21年版防衛白書
http://www.clearing.[...]
防衛省・自衛隊
2023-10-07
[180]
웹사이트
フランスの核戦力一覧長崎大学 核兵器廃絶研究センター(RECNA)
https://www.recna.na[...]
2023-10-06
[181]
웹사이트
フランスの核戦力一覧長崎大学 核兵器廃絶研究センター(RECNA)
https://www.recna.na[...]
2023-10-06
[182]
문서
http://www.physicsto[...]
[183]
문서
China's Nuclear Weapon Development, Modernization and Testing
Nuclear Threat Initiative
2003-09-26
[184]
간행물
Report to Congress on Status of China, India and Pakistan Nuclear and Ballistic Missile Programs(アメリカ国家安全保障会議)
http://www.fas.org/i[...]
アメリカ科学者連盟
[185]
웹사이트
ANNUAL REPORT ON THE MILITARY POWER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www.defenseli[...]
アメリカ国防情報局
2009-11-03
[186]
웹사이트
Statement For the Record Senate Armed Services Committee 28 February 2006
http://www.dia.mil/p[...]
アメリカ国防情報局
2009-11-03
[187]
웹사이트
China's National Statement on Security Assurances 5 April 1995
http://www.nti.org/d[...]
2009-11-04
[188]
뉴스
台湾海峡紛争に介入なら核使用も=中国軍当局者、米国に警告-英紙
時事通信
2005-07-15
[189]
서적
2、中国の軍事から目をそらすな
https://books.google[...]
PHP新書
[190]
뉴스
中国が核の先制使用を容認 河野外相の米核戦略「高く評価」発言を高く評価する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191]
서적
日本人が知らない中国「魔性国家」の正体
成甲書房
[192]
뉴스
中国、新たな核ミサイル格納庫を建設か 米研究者
https://jp.wsj.com/a[...]
ウォールストリートジャーナル
2021-07-28
[193]
웹사이트
世界の核兵器保有数(2021年1月時点)
https://hiroshimafor[...]
[194]
웹사이트
世界の核弾頭一覧
https://www.recna.na[...]
[195]
뉴스
世界の保有核弾頭1万3080発、前年比減少…実戦使用可能は増加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1-06-14
[196]
뉴스
世界の核弾頭1万3130発 核兵器禁止条約発効後も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1-06-11
[197]
웹사이트
イスラエルの核戦力一覧長崎大学 核兵器廃絶研究センター(RECNA)
https://www.recna.na[...]
2023-10-07
[198]
웹사이트
その他いろいろな怪しい地帯
https://web.archive.[...]
[199]
뉴스
核の地球儀にイスラエル表示
中国新聞
2009-05-08
[200]
웹사이트
India's Nuclear Weapons Program - Smiling Buddha: 1974
http://nuclearweapon[...]
Nuclear Weapon Archive
2009-11-01
[201]
웹사이트
India's Nuclear Weapons Program Operation Shakti: 1998
http://nuclearweapon[...]
2009-11-01
[202]
웹사이트
最近のパキスタン情勢と日・パキスタン関係
http://www.mofa.go.j[...]
日本外務省
2009-11-03
[203]
웹사이트
インドの核戦力一覧長崎大学 核兵器廃絶研究センター(RECNA)
https://www.recna.na[...]
2023-10-07
[204]
웹사이트
パキスタンによる地下核実験の実施 (我が国の対応:クロノロジー)
https://www.mofa.go.[...]
日本外務省
1998-06-09
[205]
웹사이트
「日本企業、パキスタンの核開発を支援」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09-02-16
[206]
뉴스
韓国政府「北朝鮮の核能力、懸念を持って鋭意注視中」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7-02-09
[207]
웹사이트
イランの核問題 (概要及び我が国の立場)
https://www.mofa.go.[...]
日本外務省
2006-11-08
[208]
웹사이트
イラン、ウラン濃縮用の新型遠心分離機テスト
https://web.archive.[...]
イザ!
2009-04-10
[209]
웹사이트
Israel Struck Syrian Nuclear Project, Analysts Say
http://www.nytimes.c[...]
NYTimes.com
2009-11-03
[210]
웹사이트
対シリア「核協力説」、北朝鮮政府が否定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07-09-19
[211]
웹사이트
イスラエル特殊部隊、シリアの北朝鮮製核物質を奪取か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09-11-03
[212]
웹사이트
US confirms Israeli air strike on Syria
http://www.telegraph[...]
テレグラフ
2009-11-03
[213]
웹사이트
ミャンマーに「極秘核施設」証言 北朝鮮協力 豪紙報道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09-11-03
[214]
웹사이트
ミャンマー、14年に核武装も 豪紙報道、北朝鮮が協力し核開発
http://www.nikkei.co[...]
日本経済新聞
2009-11-03
[215]
웹사이트
Burma’s nuclear secrets
http://www.smh.com.a[...]
The Sydney Morning Herald
2009-11-03
[216]
뉴스
ミャンマー、核兵器開発に着手か=反軍政メディアが証拠放映
http://www.jiji.com/[...]
時事通信
2010-06-05
[217]
뉴스
過去に核開発、初めて認める ミャンマー国防相
https://web.archive.[...]
2012-06-03
[218]
문서
NRDC: U.S. Nuclear Weapons in Europe
http://www.nrdc.org/[...]
[219]
웹사이트
Berlin Information-center for Transatlantic Security: NATO Nuclear Sharing and the N.PT - Questions to be Answered
http://www.bits.de/p[...]
Bits.de
2009-05-15
[220]
뉴스
【この50年の世界 1968~2018】第3部 核兵器禁止への道(中)南ア自ら核廃絶/アパルトヘイトに限界
毎日新聞
2018-04-22
[221]
문서
Nuclear Weapons Program (South Africa)
アメリカ科学者連盟
[222]
뉴스
90年代に核移送反対 ウクライナ元交渉担当/ロシア いつか敵になると確信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2-07-04
[223]
뉴스
【ポスト「冷戦後」のかたち】終わらぬICBM処分/ウクライナ 米露のはざまで
毎日新聞
2019-12-02
[224]
웹사이트
Ukraine Special Weapons
http://www.globalsec[...]
GlobalSecurity.org
2009-11-03
[225]
뉴스
【世界発2017】「核武装」くすぶるウクライナ 元世界第3位の保有国
朝日新聞デジタル
2017-07-04
[226]
Youtube
ETV特集:ウクライナ侵攻が変える世界(3)国際政治学者 イアン・ブレマーに聞く
https://www.nhk.jp/p[...]
[227]
웹사이트
Belarus Special Weapons
http://www.fas.org/n[...]
FAS
2008-10-23
[228]
웹사이트
Kazakhstan Special Weapons
http://www.fas.org/n[...]
FAS
2008-10-11
[229]
뉴스
北非核化「モデル」米、旧ソ連方式に注目
読売新聞
2018-06-04
[230]
문서
日本の軍縮・不拡散外交 - 外務省
https://www.mofa.go.[...]
[231]
웹사이트
1950年代にスウェーデンが核開発を計画
https://web.archive.[...]
[232]
웹사이트
1945年にはスイスに核兵器開発計画があった
https://web.archive.[...]
核燃料サイクル開発機構
[233]
서적
黒いスイス
https://www.shinchos[...]
新潮新書
2004
[234]
웹사이트
Brazilian Nuclear Cooperation with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www.wilsonce[...]
ウイルソン・センター
2019-06-11
[235]
웹사이트
BRAZILIAN NUCLEAR HISTORY
https://digitalarchi[...]
ウイルソン・センター
2019-06-16
[236]
간행물
Brasil-RPC. Energia Nuclear. Informação para o Senhor Presidente da República 102, 4 April 1984, quoted in PATTI, Carlo (2012). Brazil in Global Nuclear Order. PhD thesis. Universitá degli Studi di Firenze, Italy. p. 207.
[237]
논문
"The Military Nuclear Program in Brazil"
Center for International Security and Arms Control Working Paper, Stanford University
[238]
서적
World Inventory of Plutonium and Highly Enriched Uranium, 1992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239]
웹사이트
ORIGINS OF BRAZIL-ARGENTINA NUCLEAR COOPERATION
https://digitalarchi[...]
ウイルソン・センター
2019-06-16
[240]
웹사이트
China, Pakistan, and the Bomb:The Declassified File on U.S. Policy, 1977-1997
https://nsarchive2.g[...]
アメリカ国家安全保障アーカイブ
2019-06-16
[241]
간행물
National Geographic
1986-08
[242]
뉴스
The Nuclear Club: Membership has its kilotons
CBC News Online
2006-04-12
[243]
웹사이트
Nuclear Weapons Program Argentina
http://www.fas.org/n[...]
2009-11-03
[244]
뉴스
米、北朝鮮に誘い水 非核化「リビア方式」否定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5-18
[245]
웹사이트
The Nuclear Vault: The Algerian Nuclear Problem
http://www.gwu.edu/~[...]
アメリカ国家安全保障アーカイブ
2019-06-18
[246]
웹사이트
Algeria Special Weapons
https://fas.org/nuke[...]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19-06-18
[247]
뉴스
台湾:[[陳水扁|陳]][[中華民国総統|総統]]、過去の核開発認める 初の公式表明
毎日新聞
2007-10-29
[248]
뉴스
【核開発】韓国の核開発技術はどの程度の水準か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06-10-04
[249]
뉴스
IAEA査察団再派遣…政府は何をしていたのか
http://www.chosunonl[...]
조선일보
2004-09-14
[250]
뉴스
다른 나라들은 어떻게 핵무장을 했을까?
https://www.bbc.com/[...]
BBC
2017-10-05
[251]
웹인용
세계의 핵무기 보유수(2023년 1월 기준
https://hiroshimafor[...]
국제 평화 거점
2023-10-07
[252]
뉴스
플루토늄 1㎏으로도 원폭제조 가능
연합뉴스
1994-08-23
[253]
뉴스
"북, 수입플루토늄으로 핵무기 제조"
연합뉴스
2005-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