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 오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원 오씨는 해주 오씨에서 분파된 한국의 성씨로, 시조는 오사충이다. 오사충은 고려 시대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을 지냈으며, 조선 개국 공신으로 영성군에 봉해졌다. 본관은 현재의 평안남도 녕원군에 해당하는 녕원이며, 100명 남짓의 소수 씨족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원 오씨 - 오사충
오사충은 고려 말과 조선 초에 활동한 문신으로, 고려 공민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치고, 조선 개국 후 개국공신으로 녹훈되었으며 강직한 성품을 보였으나 정몽주 제거에 가담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영원 오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자 표기 | 寧遠吳氏 |
로마자 표기 | Yeongwon O ssi |
주요 거주지 | 평안남도 녕원군 |
시조 | 오사충(吳思忠) |
기원 | |
창성 시기 | 고려 시대 |
창성자 | 오사충(吳思忠) |
인구 통계 (2017년) | |
인구수 | 80명 |
2. 역사
영원 오씨(寧遠 吳氏)는 시조 오사충(吳思忠)으로부터 시작된다. 오사충의 선조는 본래 경상도 영일현(迎日縣)에 거주하였으나, 이후 평안도 영원진(寧遠鎭)으로 이주하면서 연일 오씨에서 분관한 것으로 추정된다.[3] 오사충은 고려 말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사전(私田)의 폐단을 지적하는 등 개혁적인 목소리를 냈다. 1392년 이성계(李成桂)를 추대하여 조선 건국에 참여하였고, 그 공으로 개국공신 3등에 책록되고 영성군(寧城君)에 봉해졌다. 이후 여러 관직을 거치며 활동하였다.
2. 1. 시조 오사충
영원 오씨(寧遠 吳氏)의 시조는 '''오사충'''(吳思忠)이다. 그의 처음 이름은 오사정(吳思正)이며, 선조는 본래 경상도 영일현(迎日縣) 사람이었으나 후에 평안도 영원진(寧遠鎭)으로 이주하여 연일 오씨에서 분파된 것으로 보인다.[3] 아버지는 간의대부(諫議大夫) 오순(吳洵)이다.1355년 (고려 공민왕 4년) 문과에 급제하여 감찰규정, 헌납(獻納), 집의(執義) 등을 역임했다. 창왕 때에는 좌사의대부로서 사전(私田)의 폐단을 지적하는 상소를 올렸다. 같은 해 공양왕이 즉위하자 사인(舍人) 조박(趙璞) 등과 함께 상소를 올려 우왕과 창왕을 폐위하여 서인(庶人)으로 삼을 것을 주장했으며, 이색(李穡), 조민수(曺敏修), 이인임(李仁任) 등이 우왕과 창왕을 옹립한 행위를 탄핵하였다. 이러한 상소로 인해 한때 관직을 박탈당하기도 했으나, 다시 복직되어 대사성을 거쳐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에 이르렀다.
1392년 (조선 태조 원년) 정몽주(鄭夢周)가 이성계(李成桂) 세력을 제거하려 했을 때 연루되어 관직을 잃고 유배되었으나, 정몽주가 피살된 후 풀려나 좌상시(左常侍)가 되었다. 1392년 7월 17일 이성계 추대에 참여하여 조선 개국공신 3등에 책록되었고, 호조 전서가 되었으며 영성군(寧城君)에 봉해졌다.
1394년 중추원부사에 임명되었고, 교주강릉도관찰사(交州江陵道觀察使)로 재직하며 정도전(鄭道傳), 남은(南誾) 등과 가까운 관계에 있던 수령이나 군인들 중 직무를 태만히 하거나 부당하게 승진한 이들을 엄격히 조사하여 처리하였다. 1395년 상의중추원사(商議中樞院事)가 되었고, 이듬해에는 정당문학(政堂文學) 겸 경기좌도관찰사를 지냈다. 1404년 (조선 태종 4년) 판사평부사(判司平府事)로 재직 중 영성군(寧城君)에 다시 봉해졌다. 1406년에 사망하였으며, 시호는 공희(恭僖)이다. 아들은 오계종(吳繼宗)이다.
2. 2. 조선 건국과 오사충
녕원 오씨(寧遠 吳氏)의 시조 '''오사충'''(吳思忠)은 처음 이름이 오사정(吳思正)이었으며, 그의 선조는 본래 경상도 영일현(迎日縣) 사람이었으나 후에 평안도 영원진(寧遠鎭)으로 이주하여 살았다. 이 때문에 연일 오씨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여겨진다.[3] 그의 아버지는 간의대부(諫議大夫)를 지낸 오순(吳洵)이다.오사충은 1355년(고려 공민왕 4년) 문과에 급제한 뒤 감찰규정, 헌납(獻納), 집의(執義) 등 여러 관직을 거쳤다. 창왕 때에는 좌사의대부로서 사전(私田) 제도의 폐단을 지적하는 상소를 올리기도 했다. 공양왕이 즉위하자, 사인(舍人) 조박(趙璞) 등과 함께 우왕과 창왕을 왕위에서 물러나게 하여 서인(庶人)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색(李穡), 조민수(曺敏修), 이인임(李仁任) 등이 우왕과 창왕을 옹립한 것을 강하게 비판하며 탄핵했다. 이러한 과감한 주장으로 인해 한때 관직을 박탈당하기도 했으나, 곧 복직되어 대사성을 거쳐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에 이르렀다.
1392년(조선 태조 원년) 정몽주(鄭夢周)가 이성계(李成桂) 세력을 제거하려 할 때, 오사충도 연루되어 관직을 잃고 유배되었다. 그러나 정몽주가 피살된 후 풀려나 좌상시(左常侍)가 되었다. 같은 해 7월 17일, 오사충은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하는 데 참여하여 조선 개국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 이후 호조전서에 임명되고 영성군(寧城君)에 봉해졌다.
1394년에는 중추원부사로 승진했으며, 교주강릉도관찰사(交州江陵道觀察使)로 재직할 때는 정도전(鄭道傳), 남은(南誾) 등과 가까운 관계를 이용하여 직무를 소홀히 하거나 부당하게 승진한 수령과 군인들을 엄격하게 조사하여 처리했다. 1395년에는 상의중추원사(商議中樞院事)가 되었고, 이듬해에는 정당문학(政堂文學)과 경기좌도관찰사를 역임했다. 1404년(조선 태종 4년) 판사평부사(判司平府事)로 재직하다가 다시 영성군(寧城君)에 봉해졌다.
1406년에 세상을 떠났으며, 시호는 공희(恭僖)이다. 아들은 오계종(吳繼宗)이다.
3. 기원
오씨는 중국 춘추전국시대 주나라의 제후국이었던 오나라에서 유래하였다. 신라 지증왕 때 오첨(吳瞻)이 중국에서 건너와 한국 오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전해진다. 이후 고려 시대를 거치며 오연총(吳延寵)을 중시조로 하여 해주 오씨, 연일 오씨 등 여러 본관으로 분파되었다.
3. 1. 오씨의 기원
오씨의 유래는 춘추전국시대 중국 양쯔강 부근에 있던 주나라의 제후국 오(吳) 나라에서 시작되었다. 오씨는 고대 중국 양쯔강 부근의 주나라 일족으로, 주태왕(周太王)의 장남인 오태백(吳太伯)을 시조로 하여 본래 희(姬)씨 성에서 나왔다. 제후국 오나라는 오태백을 초기 군주로 시작하였으며, 후대 자손인 부차왕의 손자 루양이 천자로부터 오씨 성을 하사받으면서 오씨 성을 사용하게 되었고, 오나라의 왕이 되었다.오씨대동보(吳氏大同譜)에 따르면, 한국 오씨의 도시조(都始祖)는 서기 500년 신라 지증왕(智證王) 때 중국에서 신라로 건너온 오첨(吳瞻)이다. 오첨의 18세손인 오연총(吳延寵)은 1107년(고려 예종 2년)에 여진(女眞)을 토벌한 공으로 오씨의 중시조(中始祖)가 되었다. 오연총의 6세손인 오수권(吳守權)에게는 세 아들이 있었는데, 장남 오현보(吳賢輔)는 해주군(海州君)에 봉해져 해주 오씨의 시조가 되었다. 또한, 오연경(吳延慶)은 도시조 오첨의 24세손이자 오현보의 8세 차손으로, 연일 오씨로 분파되었다.
3. 2. 한국 오씨의 도시조
오씨의 유래는 춘추전국시대 중국 양자강 부근의 주나라 제후국이었던 오(吳) 나라에서 시작되었다. 오씨는 고대 중국 양자강 부근의 주나라 일족으로, 주태왕(周太王)의 장남인 오태백을 시조로 하여 희(姬)씨 성에서 나왔다. 제후국 오(吳) 나라는 오태백을 초기 군주로 시작했으며, 그의 후손인 부차왕의 손자 루양이 천자로부터 오씨 성을 하사받아 오씨가 되었다.오씨대동보(吳氏大同譜)에 따르면, 한국 오씨의 도시조(都始祖)는 신라 지증왕 때인 서기 500년경 중국에서 신라로 건너온 오첨(吳瞻)이다. 오첨의 18세손인 오연총(吳延寵)은 1107년(고려 예종 2년)에 여진을 토벌하는 공을 세워 한국 오씨의 중시조(中始祖)가 되었다.
오연총의 6세손인 오수권(吳守權)에게는 3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그중 장남인 오현보(吳賢輔)는 해주군(海州君)에 봉해져 해주 오씨의 시조가 되었다. 한편, 도시조 오첨의 24세손이자 오현보의 8세 차손인 오연경(吳延慶)은 연일 오씨로 분파되었다.
4. 본관
영원 오씨의 본관인 녕원(寧遠)은 현재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녕원군에 해당하는 지역이다.[1] 이 지역은 고조선 시기부터 이어져 온 곳으로, 고려 시대에는 북방 방어를 위한 영원진(寧遠鎭)이 설치되었고 조선 시대에는 영원군(寧遠郡)으로 불리는 등 역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다.[1]
4. 1. 녕원의 역사
녕원(寧遠)은 현재의 평안남도 녕원군 지역에 해당한다. 고대에는 고조선의 영역이었으며, 이후 고구려가 남진 정책을 펼치면서 동천왕 대에 고구려의 영토로 편입되었다.[1]고려 시대에는 북진 정책 추진 과정에서 대동강 상류 지역으로 진출하면서 922년(태조 5년) 이곳에 영원진(寧遠鎭)을 설치하고 영청현(永淸縣, 현재의 함경남도 정평군)에 소속시켜 북방 민족의 침입에 대비하였다.[1] 1041년(정종 7년)에는 국경 방비를 강화하기 위해 최충(崔沖)에게 명하여 북계(北界) 요지에 성을 쌓게 했는데, 이때 영원진에도 성이 축조되었다.[1] 이후 영청현의 중심지가 동해안으로 옮겨가면서 영원진은 희주(熙州)로 소속이 변경되었다.[1] 고려 중기 이후에는 거란족과 여진족이 이 지역에 자주 출몰했으며, 몽골의 침략 이후인 1270년(원종 11년)부터 1290년(충렬왕 16년)까지는 동녕부(東寧府)의 지배 아래 놓이기도 하였다.[1]
조선 시대에 들어 1396년(태조 5년) 영청현과 통합되어 영녕현(永寧縣)이 되었고, 1413년(태종 13년) 서북면을 평안도(平安道)로 개편하면서 영원군(寧遠郡)으로 승격되었다.[1] 세종 대에는 잠시 영원현으로 격하되었으나, 1466년(세조 12년) 다시 영청과 분리되어 군으로 승격되었고, 진(鎭)을 설치하여 영원군 목사가 첨절제사(僉節制使)를 겸임하며 군사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다.[1] 1525년(중종 20년)에는 군의 중심지를 남쪽 소초역(所草驛)으로 옮기고 잉목진(仍木鎭)이라 불렀다. 이후에도 영원군의 치소는 여러 차례 이전되었다.[1] 정묘호란 이후 북방 정세가 불안정해지자 1633년(인조 11년) 이곳에 둔전(屯田)을 설치했으며, 1684년(숙종 10년)에는 청성부원군(淸城府院君) 김석주(金錫胄)의 요청으로 영성진(寧城鎭)을 두었다.[1] 그러나 이듬해 폐단이 크다는 보고가 있어 진을 폐지하고 다시 둔전을 설치했다가, 1686년 국방상 요충지라는 이유로 독진(獨鎭)으로 삼고 첨사(僉使)가 군무를 관장하게 하였다.[1] 1823년(순조 23년) 영성진을 다시 폐지하고 군수가 군무를 겸하도록 하였다.[1]
1895년 지방 행정구역 개편 시 평양부 소속의 녕원군이 되었고, 1896년 평안도를 남북으로 나눌 때 4등군으로서 평안남도에 속하게 되었다.[1] 1917년에는 쾌락면과 영청면을 합쳐 영락면으로 하고, 기존의 읍내면을 녕원면으로 개칭하였다.[1] 현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녕원군에 속해 있다.[1]
5. 분파
영원 오씨는 해주 오씨에서 분파된 성씨이다.[1] 영원 오씨의 시조 '''오사충'''(吳思忠)의 선조는 본래 영일현(迎日縣) 사람이었으나, 이후 평안도 영원진(寧遠鎭)으로 이주하여 뿌리를 내렸다.[1]
5. 1. 해주 오씨
영원 오씨는 해주 오씨에서 분파되었다. 해주 오씨의 시조 오인유(吳仁裕)는 중국 송(宋) 출신의 대학사이다. 그는 984년(고려 성종 3년) 고려에 귀화하여 검교군기감을 역임하였다.6. 인구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 내 인구는 다음과 같다.
연도 | 가구 수 | 인구 수 |
---|---|---|
1985년 | 7가구 | 25명 |
2000년 | 19가구 | 62명 |
다만, 관향인 영원군이 북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실제로는 북한 지역에 더 많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조
[1]
서적
Doosan Encyclopedia 오 吳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3
[3]
문서
고려사열전 - 오사충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