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만령 헝가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만령 헝가리는 16세기부터 17세기 말까지 오스만 제국이 헝가리 왕국의 일부 지역을 점령한 시기를 지칭한다. 16세기 초 헝가리는 모하치 전투에서 패배하며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헝가리는 왕령 헝가리, 오스만령 헝가리, 트란실바니아 공국으로 분할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이 지역을 행정 구역으로 나누어 통치했으며, 이슬람 문화를 전파하고 건축물을 건설했다. 그러나 잦은 전쟁과 억압으로 인해 헝가리 인구는 감소했고, 민족 구성에도 변화가 일어났다. 1683년 제2차 빈 포위전 이후 오스만 제국의 세력이 약화되면서,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은 헝가리 영토 대부분을 합스부르크 가문에 할양하며 오스만령 헝가리는 종말을 맞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만 제국의 역사 - 불가리아 공국
불가리아 공국은 1878년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하여 세워진 자치 공국으로, 베를린 조약에 따라 소피아를 수도로, 1879년 터르노보 헌법을 제정하고 알렉산더 1세가 즉위했으며, 이후 동루멜리아와의 통합 등을 거쳐 1908년 불가리아 왕국으로 발전했다. - 오스만 제국의 역사 - 신성 동맹 (1684년)
1684년 신성 동맹은 교황 인노첸시오 11세의 주도하에 신성 로마 제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베네치아 공화국이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결성되었으며, 러시아 차르국이 합류하여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서 승리 후 카를로비츠 조약 체결 후 해체되었다. - 헝가리의 역사 - 헝가리 왕국
헝가리 왕국은 1000년 이슈트반 1세 대관식과 함께 성립되어 1946년까지 존속한 중앙유럽의 왕국으로, 아르파드 왕조를 시작으로 여러 왕조를 거쳐 합스부르크 가문이 왕위를 세습했으며, 중세 시대 중앙유럽 강국이었으나 오스만 제국 침략으로 영토가 분할,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원으로 존속하다 제1차 세계 대전 후 영토를 상실, 1946년 공화국 수립으로 왕정이 폐지되었음에도 '헝가리 왕국'이라는 명칭과 국체가 유지되었다. - 헝가리의 역사 - 범유럽 피크닉
범유럽 피크닉은 1989년 헝가리에서 열린 행사로, 헝가리와 오스트리아 국경이 일시적으로 개방되면서 동독 시민들의 서독 탈출을 묵인하여 냉전 종식과 독일 통일에 기여했다.
오스만령 헝가리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오스만령 헝가리 |
헝가리어 명칭 | Török hódoltság (퇴뢰크 호돌츠ág) |
종교 | 로마 가톨릭교 헝가리 개혁교 이슬람 |
민족 | 헝가리인 |
존속 기간 | 1541년 – 1699년 |
역사적 시대 | 초기 근대 |
현재 국가 | 헝가리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슬로바키아 루마니아 |
정치 | |
정치 체제 | 에얄렛 (1541년–1699년) 속국 (트란실바니아 공국, 상부 헝가리 공국) |
통치자 칭호 | 베일레르베이, 파샤, 아gha, 데y |
역사 | |
주요 사건 | 부다 점령 (1541년) 부다 재정복 (1686년) 카를로비츠 조약 (1699년) |
언어 | |
공용어 | 헝가리어 |
2. 역사
1360년대부터 헝가리는 오스만 제국과 대립했다. 헝가리 왕국은 여러 차례의 십자군 원정, 군사 작전을 이끌었고 오스만 제국에 맞서 여러 방어 전투와 공성전을 수행했다. 헝가리는 15세기 동안 유럽의 오스만 전쟁의 주된 타격을 받았지만, 오스만 제국의 진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1490년, 헝가리의 마차시 왕의 죽음 이후 헝가리의 왕권은 쇠퇴했고, 헝가리 흑군은 해산되었다.
16세기 초, 오스만 제국의 힘은 점차 증가했으며, 발칸 반도에서 그들이 통치하는 영토도 확장되었다. 한편 헝가리 왕국은 1514년 죄르지 도자가 이끈 농민 반란으로 약화되었다. 러요시 2세 (1516–1526)의 통치 하에서 내부 분열은 귀족들을 갈라놓았다.
1521년, 헝가리는 술탄 쉴레이만 대제의 침략을 받았고, 헝가리 왕국의 핵심이자 남쪽 관문으로 여겨졌던 국경 요새 베오그라드는 세 번째 베오그라드 포위전에서 오스만 제국에게 함락되었다. 술탄은 약화된 왕국에 대한 공격을 감행했고, 1526년 모하치 전투에서 더 작은 규모의 헝가리군은 패배했으며, 러요시 2세 왕은 사망했다.[4]
헝가리 왕의 죽음 이후,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왕가와 헝가리 귀족 서폴러이 가문 모두 왕국 전체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다. 헝가리의 야노시 1세는 동헝가리 왕국을 다스렸고, 합스부르크가는 헝가리의 서부를 다스렸다. 합스부르크가는 여러 차례 헝가리 전체를 자신들의 통치 하에 통일하려 했지만, 오스만 제국은 동헝가리 왕국을 지원함으로써 이를 방해했다. 야노시 1세가 1540년에 사망하자, 합스부르크군은 1541년 헝가리의 수도 부다를 포위했고, 술탄 쉴레이만은 구원군을 이끌고 와서 합스부르크군을 격파했으며, 오스만 제국은 부다 포위전 동안 계략으로 도시를 점령했고 왕국의 남중부 및 중부 지역은 오스만 제국의 지배 하에 들어갔다. 따라서 헝가리는 3개 지역으로 분할되었다. 헝가리 왕국의 북서쪽 가장자리는 정복되지 않았고, 헝가리 왕으로서 합스부르크 왕가의 일원을 인정하여 "로열 헝가리"라는 이름을 부여했다. 동헝가리 왕국은 트란실바니아 공국의 전신으로, 1570년 슈파이어 조약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동헝가리 왕은 최초의 트란실바니아 공이 되었다. 트란실바니아 공국은 반독립적인 국가였으며 오스만 제국의 속국이었지만, 공법상 헝가리 왕국의 일부로 남아 있었고, 야노시 지그몬드의 재산은 헝가리 성관에 속했으며, 헝가리 국가의 생존을 상징했다. 그 후 세 영토 사이의 경계는 향후 150년 동안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의 최전선이 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통치 시대, 헝가리의 평화는 위태로웠다. 합스부르크 왕가는 무슬림 침략자로부터 국토를 해방할 계획을 추진했고, 대응 종교 개혁을 추진했다. 오스만 제국은 1620년과 1683년 두 차례에 걸쳐 빈을 포위할 때 오스만 제국령 헝가리를 거점으로 이용했고, 신성 로마 제국과 신교도와의 사이의 대립을 이용하려는 시도도 있었다.
이 시대, 오늘날 헝가리 영토는 오스만 점령으로 변화를 겪기 시작했다. 광대한 토지가 비어 있고 숲으로 덮여 있었다. 범람원은 늪이 되었다. 오스만 측 주민들의 삶은 안전하지 않았다. 농민들은 숲과 늪으로 도망쳐 하이두 부대라고 알려진 게릴라 부대를 형성했다. 결국, 오늘날 헝가리 영토는 오스만 제국에 부담이 되었고, 많은 수입을 긴 국경 요새 유지에 쏟아부었다. 그러나 경제의 일부는 번성했다. 거대한 무인 지역에서 마을은 소를 길렀고, 이 소들은 남부 독일과 북부 이탈리아로 몰려갔다. 어떤 해에는 50만 마리의 소를 수출했다. 포도주는 체코, 오스트리아 및 폴란드로 거래되었다.[6]
1683년 카라 무스타파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군대가 제2차 빈 공방전에서 얀 3세 소비에스키가 지휘하는 폴란드-신성 로마 제국 연합군에 패배하면서 이 지역의 세력 균형이 바뀌었다.[7] 1699년, 대튀르크 전쟁을 종식시킨 카를로비츠 조약에 따라 오스만 제국은 중세 헝가리 왕국으로부터 이전에 점령했던 영토의 상당 부분을 합스부르크 가문에 양도했다. 이 조약 이후 합스부르크 왕조는 훨씬 더 확장된 합스부르크 헝가리 왕국을 통치했다(이전에는 "왕실 헝가리"로 알려진 지역만 통제했다. 헝가리 왕국 (1526–1867) 참조).
150년 이상 헝가리 영토는 열강 간의 전쟁터였다. 군사적 충돌은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내내 끊이지 않았으며, 헝가리에는 두 왕(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가문과 헝가리 귀족 자폴야 가문) 사이에 분쟁이 계속되었다. 습격은 매일 이루어졌으며, 주로 세금 징수와 약탈을 목적으로 했으며, 이는 헝가리 정착 지역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 물질적 파괴, 인구 이동, 납치 및 살인이 발생했다.
헝가리 왕국의 최남단 지역의 쇠퇴는 오스만 제국 통치 훨씬 전부터 시작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은 이미 1390년에서 1400년 사이에 헝가리 남부를 침략했다.[4]
150년 동안의 기독교 국가와 오스만 제국 간의 끊임없는 전쟁의 결과, 인구 증가는 둔화되었고, 도시화된 부르주아 거주자들이 있는 헝가리 중세 정착촌의 네트워크는 사라졌다. 중세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던 영토의 민족 구성은 추방과 학살을 통해 근본적으로 변화되어, 오스만 제국 시대 말에 존재했던 헝가리인의 수는 상당히 감소했다.[14]
2. 1. 오스만 제국의 헝가리 점령 (16세기)
16세기까지 오스만 제국의 세력이 점차 강해져 발칸 반도를 점령해 가는 동안, 헝가리 왕국은 중세 후기의 농민 폭동으로 약화되었다. 러요시 2세 시대(1516년 - 1526년)에는 국내의 갈등이 귀족을 양분하고 있었다.1521년 베오그라드 함락 이후 쉴레이만 1세 (재위: 1520년 - 1566년)는 약화된 헝가리 왕국을 공격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았고, 10만 명의 적에 대해 2만 6천 명으로 수적으로 열세인데다 지휘도 서투른 헝가리군은 1526년 8월 29일 모하치 전투에서 패배했다.[4] 쉴레이만은 이처럼 헝가리에 영향을 미치게 된 한편, 전사한 러요시 2세의 후계 헝가리 왕위를 둘러싸고 쉴레이만 1세에 반종속 상태가 된 서포여이 야노시와 쉴레이만의 적이었던 오스트리아 대공 (후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1세가 서로 다퉜다. 쉴레이만은 더 나아가 오스트리아 군을 괴멸시키려고 시도하여 1529년에는 빈을 포위(제1차 빈 포위)했지만, 겨울이 와서 퇴각할 수밖에 없었고, 빈 공략은 실패로 끝났다. 헝가리 왕위는 1540년까지 서포여이 야노시와 페르디난트 사이에서 다투어졌다. 1541년 오스만 제국군에 의해 부더 (현재 부다페스트의 일부)가 제압된 후, 헝가리의 서부와 북부는 합스부르크 가문을 왕으로 인정하여 왕령 헝가리가 되었고, 중앙부와 남부는 오스만 제국군이 점령하여 '''오스만령 헝가리'''가 되었으며, 동부는 서포여이의 아들이 동헝가리 왕국의 이름으로 지배하여 1570년 이후 트란실바니아 공국으로 불렸다.


2. 2. 오스만 제국의 통치와 헝가리의 변화
16세기까지 오스만 제국의 세력이 점차 강해져 발칸 반도를 점령해 가는 동안, 헝가리 왕국은 중세 후기의 농민 폭동으로 약화되었다. 러요시 2세 시대(1516년 - 1526년)에는 국내의 갈등이 귀족을 양분하고 있었다.
1521년 베오그라드 함락 이후 쉴레이만 1세 (재위: 1520년 - 1566년)는 약화된 헝가리 왕국을 공격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았고, 10만 명의 적에 대해 2만 6천 명으로 수적으로 열세인데다 지휘도 서투른 헝가리군은 1526년 8월 29일 모하치 전투에서 패배했다. 쉴레이만은 헝가리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전사한 러요시 2세의 후계 헝가리 왕위를 둘러싸고 쉴레이만 1세에 반종속 상태가 된 서포여이 야노시와 쉴레이만의 적이었던 오스트리아 대공 (후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1세가 서로 다퉜다. 쉴레이만은 더 나아가 오스트리아 군을 괴멸시키려고 시도하여 1529년에는 빈을 포위(제1차 빈 포위)했지만, 겨울의 도래로 퇴각하였고, 빈 공략은 실패로 끝났다. 헝가리 왕위는 1540년까지 서포여이 야노시와 페르디난트 사이에서 다투어졌다. 1541년 오스만 제국군에 의해 부더 (현재 부다페스트의 일부)가 제압된 후, 헝가리의 서부와 북부는 합스부르크 가문을 왕으로 인정하여 왕령 헝가리가 되었고, 중앙부와 남부는 오스만 제국군이 점령하여 '''오스만령 헝가리'''가 되었으며, 동부는 서포여이의 아들이 동헝가리 왕국의 이름으로 지배하여 1570년 이후 트란실바니아 공국으로 불렸다.
오스만 제국의 통치 시대, 헝가리의 평화는 위태로웠다. 합스부르크 가문은 무슬림 침략자로부터 국토를 해방하는 계획을 추진했고, 반종교 개혁을 추진했다. 오스만 제국은 1620년, 1683년의 제2차 빈 포위에서는 오스만령 헝가리를 거점으로 사용하여 신성 로마 제국과 개신교와의 대립을 이용하려 했다.
이 무렵 헝가리에서는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다. 광대한 국토는 인구가 희박하고, 숲으로 덮여 있었다. 범람원은 늪지가 되어 갔다. 점령자인 튀르크인들의 생활도 불안정했다. 냉혹한 새 주인으로부터 소작농이 숲이나 습지로 도망가 게릴라 부대를 결성했다. 길게 이어진 국경을 따라 요새를 유지하기 위해 헝가리로부터의 세입의 대부분은 다 써버렸고, 결국 헝가리는 오스만 제국을 소모시키게 되었다. 그러나 경제의 일부는 번영했다. 광대한 미개 지역에 남독일이나 북이탈리아로 옮겨지는 소를 마을이 사육했다. 수년 동안 수출된 소는 500,000마리에 달했다. 와인은 보헤미아, 모라비아, 오스트리아, 폴란드로 매매되었다.
그러나 끊임없는 전쟁으로 튀르크 지배와 합스부르크 가문의 억압은 국토를 황폐하게 만들었다.
1683년 제2차 빈 포위에서 카라 무스타파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군이 얀 3세 소비에스키가 지휘하는 폴란드-신성 로마 제국 연합군에 패퇴한 것은 오스만 제국의 쇠퇴를 결정짓는 사건이 되었고, 이 지역의 힘의 균형을 뒤흔들게 되었다. 1699년 대튀르크 전쟁을 끝낸 카를로비츠 조약의 체결로, 오스만 제국은 헝가리 왕국에서 빼앗은 영토의 거의 전부를 합스부르크 가문에 할양했다. 이 조약에 따라 합스부르크 가문은 헝가리 왕위를 계승하게 되었다(그 전까지는 구 헝가리 왕국의 북부와 서부인 합스부르크령 헝가리 왕국만 영유하고 있었다).
2. 3.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헝가리 해방 (17세기)
1683년 제2차 빈 포위에서 카라 무스타파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군이 얀 3세 소비에스키가 지휘하는 폴란드-신성 로마 제국 연합군에 패퇴한 것은 오스만 제국 쇠퇴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이었고, 이 지역의 힘의 균형을 뒤흔들었다.[7] 1699년 대튀르크 전쟁을 끝낸 카를로비츠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은 헝가리 왕국에서 빼앗은 영토 대부분을 합스부르크 왕가에 할양했다. 이 조약에 따라 합스부르크 왕가는 헝가리 왕위를 계승했다(그전까지는 구 헝가리 왕국의 북부와 서부인 합스부르크령 헝가리 왕국만 영유하고 있었다).3. 행정
오스만 제국령 헝가리는 에얄레트 (주)로 나뉘었고, 에얄레트는 다시 산자크(현)으로 나뉘었다. 오스만 제국의 최고위 관리인 부다의 파샤와 산자크의 베그(현지사)는 행정, 사법, 방위에 책임을 졌다. 오스만 제국의 관심은 이 영토의 지배권을 확보하는 것뿐이었다. 대재상부(오스만 제국의 지배 기구 또는 그 수장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단어)는 독점적인 토지 소유자였고, 토지의 약 20%를 자신의 권익으로 관리했으며, 나머지는 군인과 문관에게 할당되었다.
새로운 지주의 주요 관심은 이 지역에서 최대한 빨리 많은 부를 착취하는 것이었다. 수도 이스탄불에 대한 헝가리의 주요 중요성은 세금 징수였으며, 세금 징수는 앞서 언급한 지주에게는 거의 남지 않았다.
귀족 대부분과 다수의 도시 주민은 합스부르크령 헝가리 왕국("로열 헝가리")으로 이주했다. 전쟁, 노예 획득, 영지를 잃은 귀족들의 이주로 지방 인구가 감소했다. 그러나 튀르크인들은 종교적 관용을 실천해 오스만 제국 내에 거주하는 다양한 민족 집단이 내부 문제에 대해 상당한 자치권을 갖는 것을 허용했다. 도시는 일부 자치를 유지했고, 미술 공예와 교역을 통해 풍부한 중산층이 출현했다.
오스만령 헝가리는 약 91,250km²를 차지했다.[10] 처음에는 현재 헝가리에 있는 오스만 제국의 통치 지역은 부딘 에얄레트의 일부였다. 이후 테메슈바르 에얄레트, 지게트바르 에얄레트, 카니제 에얄레트, 에그리 에얄레트, 바라트 에얄레트가 새롭게 형성되었다. 부딘, 지게트바르, 카니제, 에그리 에얄레트의 행정 중심지는 현재 헝가리 영토에 위치했으며, 행정 중심지가 현재 루마니아 영토에 있는 테메슈바르 및 바라트 에얄레트는 현재 헝가리의 일부도 포함했다.
4. 문화
오스만 제국 시대 헝가리에는 이슬람 문화가 번성했다. 16세기와 17세기에 걸쳐 헝가리 전역에는 5개의 베크타시 교단 수도원 또는 데르비시 수도원이 세워졌는데, 부다에 2개, 에게르에 1개, 세케슈페헤르바르에 1개, 리파에 1개가 있었다.[31]
4. 1. 오스만 건축과 문화의 영향
합스부르크 왕가와의 끊임없는 무력 충돌에도 불구하고, 오스만 제국의 변경 지역이었던 이곳에는 여러 문화적 중심지가 번성했다. 이스탄불과 에디르네와 같은 유명한 중심지에서 고전주의 시대 오스만 건축의 뛰어난 사례들을 볼 수 있었지만, 헝가리에서도 모스크, 다리, 샘, 목욕탕, 학교 등이 건설되었다. 하지만 합스부르크 왕가가 이 지역을 정복한 후, 이러한 건축물 대부분은 파괴되어 오늘날에는 거의 남아있지 않다.[1] 루다스 욕탕(부다에 있다)의 건설과 함께 하맘이 도입되면서 헝가리에서 오랜 투르크식 목욕탕 전통이 시작되었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 적어도 75개의 하맘(증기탕)이 건설되었다.[1]4. 2. 이슬람 학교와 학문
17세기, 오스만령 헝가리의 39개 주요 도시에는 165개의 초등학교 (''메크테브'')와 77개의 중등 및 고등 교육 기관인 마드라사(''메드레세'')가 운영되었다.[31] 초등학교에서는 쓰기, 기초 산수, 쿠란(코란) 읽기, 그리고 가장 중요한 기도문을 가르쳤다.[31] 마드라사는 이슬람 종교학, 이슬람 법학, 자연 과학 분야에서 중등 및 고등 교육을 실시했다.[31]마드라사 중 12개는 부다에서 운영되었고, 페치에는 5개, 에게르에는 4개의 마드라사가 있었다.[31] 오스만 제국령 헝가리에서 가장 유명한 마드라사는 부다에 있었으며, 보스니아인 대재상 소콜루 무스타파 파샤가 헝가리를 통치하던 기간(1566년-1578년)에 건설되었다.[32]
모스크(다자미스)에서는 사람들이 기도만 한 것이 아니라, 읽고 쓰는 법을 배우고, 쿠란(코란)과 기도문을 읽는 법을 배웠다. 설교는 가장 효과적인 정치 교육 형태였다.[31] 모스크 외에도 수많은 초등학교와 중등학교가 있었으며, 데르비시 교단의 수도원도 문화와 교육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31]
문화 확산은 도서관을 통해 이루어졌다. 부다에 있는 소콜루 무스타파 파샤 학교 도서관에는 이슬람 종교학 외에도 이슬람 문학, 웅변술, 시, 천문학, 음악, 건축, 의학 관련 서적이 소장되어 있었다.[32][33]
5. 종교
오스만 제국은 종교적 관용을 실천하여 기독교는 금지되지 않았다. 오스만 술탄의 통치 하에 있던 지역에서 이슬람교는 강제로 전파되지 않았지만,[34] 17세기 작가의 말을 인용하여 아놀드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렸다.
그 동안 그는 [터키인]은 힘보다 술수로 [개종자를] 얻고, 인간의 마음에서 사기를 통해 그리스도를 빼앗아간다. 터키인은 현재 폭력으로 어떤 나라도 배교하도록 강요하지는 않지만,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눈에 띄지 않게 기독교를 뿌리 뽑는다...영어[35]
오스만 제국의 상대적인 종교적 관용은 헝가리의 개신교 (예: 헝가리 개혁 교회)가 가톨릭 합스부르크 통치 헝가리 영토의 억압에 맞서 살아남을 수 있게 했다.
현재의 헝가리의 오스만 통치 지역에는 약 8만 명의 무슬림 정착민이 있었으며, 이들은 주로 크림 타타르 출신의 행정가, 군인, 장인 및 상인이었다. 무슬림의 종교 생활은 새로 지어졌거나 이전 기독교 교회에서 개조된 모스크에 의해 감독되었다. 모스크 봉사자의 급여와 교회의 유지 보수는 오스만 국가 또는 자선 단체의 책임이었다.
수니파 이슬람 외에도, 베크타시(베크타시 교단), 할베티 및 메블레비를 포함한 여러 데르비시 공동체도 번성했다. 60명의 데르비시를 보호하는 부딘(부다)의 유명한 귈 바바 수도원은 베크타시 교단에 속했다. 예니체리 진영 근처에 위치한 이곳은 부딘의 세 번째 베글레르 베이(총독)인 자흐파사자데 메흐메드 파샤에 의해 건설되었다. 귈 바바의 묘(튀르베)는 오늘날까지 이슬람 정복의 최북단 지역이다.[36]
당시 또 다른 유명한 수도원은 할베티 데르비시의 수도원이었다. 1576년경 시게트바르(지게트바르)의 술탄 쉴레이만 1세(1520–1566)의 튀르베 옆에 지어진 이곳은 곧 이 지역의 종교 및 문화 중심지가 되었다. 자비예(수도원)의 유명한 수도원장은 보스니아의 셰이크 알리 데데였다. 페츄이(페치)의 야코발리 하산 파샤 수도원은 또 다른 유명한 장소였다. 그곳의 가장 뛰어난 수도원장은 터키인이자 페츄이 출신인 메블레비 데르비시 페체비 아리피 아흐메드 데데였다.
16세기 말까지 오스만 헝가리 주민의 약 90%가 개신교도였으며, 대부분 칼뱅주의자였다.[37]
무슬림은 오스만 헝가리의 바라냐와 페치시에 정착했다. 페치 포위전 이후 합스부르크가 이를 되찾았을 때, 일부 무슬림은 1686년에서 1713년 사이에 가톨릭 신앙으로 개종했다.[38]
6. 오스만 제국 통치하의 민족 변화
오늘날 헝가리 영토에서 오스만 제국 요새에 복무한 오스만 군인 17,000~19,000명 중 다수는 정교회와 수니 발칸 슬라브족이었다.[5] 이들은 아킨지 등 경보병으로 약탈에 참여하기도 했다.[5]
1683년 카라 무스타파 파샤가 이끄는 오스만 군대가 제2차 빈 공방전에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신성 로마 제국 연합군에 패배하면서 이 지역의 세력 균형이 바뀌었다.[7]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은 중세 헝가리 왕국에서 점령했던 영토 대부분을 합스부르크 가문에 넘겨주었다.
16세기 말 헝가리 세 지역(오스만령 헝가리, 합스부르크령 헝가리, 트란실바니아) 전체 인구는 약 350만 명에서 17세기 말 약 400만 명으로 증가했다.[28] 16세기 말 오스만령 헝가리 인구는 90만 명, 합스부르크령 헝가리는 180만 명, '자유' (트란실바니아) 헝가리는 80만 명이었다.[30] 17세기 오스만령 헝가리의 인구 증가는 90만 명에서 약 100만 명으로 미미했다.[30]
17세기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은 간헐적으로 좁은 지역에서 벌어져, 헝가리 민간인 사망률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28] 중세 시대 장기 전쟁과 관련된 사회 질서 붕괴, 경제적 연계 단절은 17세기 오스만 전쟁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28] 1604년부터 1606년 사이 보치카이 반란으로 헝가리가 내전에 빠지면서 오스만-합스부르크 군대 간 대결의 영향이 커졌다.[28]
6. 1. 잦은 전쟁과 인구 이동
이 시기 오늘날 헝가리 영토는 오스만 제국의 점령으로 인해 변화를 겪기 시작했다. 광대한 토지가 비어 있고 숲으로 덮여 있었으며, 범람원은 늪이 되었다. 오스만 측 주민들의 삶은 안전하지 않았다. 농민들은 숲과 늪으로 도망쳐 하이두 부대라고 알려진 게릴라 부대를 형성했다. 결국, 오늘날 헝가리 영토는 오스만 제국에 부담이 되었고, 많은 수입을 긴 국경 요새 유지에 쏟아부었다.[6] 그러나 경제의 일부는 번성했다. 거대한 무인 지역에서 마을은 소를 길렀고, 이 소들은 남부 독일과 북부 이탈리아로 몰려갔다. 어떤 해에는 50만 마리의 소를 수출했다. 포도주는 체코, 오스트리아 및 폴란드로 거래되었다.[6]150년 이상 헝가리 영토는 강대국 간의 전쟁터였다. 군사적 충돌은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내내 끊이지 않았다.[4] 헝가리는 1521년부터 1568년까지 수많은 오스만 군사 작전과 포위를 견뎌냈으며, 헝가리에는 합스부르크 가문과 헝가리 귀족 자폴야 가문 사이에 분쟁이 계속되었다. 1591년부터 1593년과 1606년 사이에는 장기 전쟁이 벌어졌고, 1660년부터 1664년까지는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이, 1683년부터 1699년까지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헝가리 해방 전쟁이 벌어지는 등 양측은 매년 약 5만 명의 군인을 투입했다.[4]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동안, 상대적으로 평온한 시기조차 평화롭지 않았으며, 국경에서 전쟁이 계속되었다. 세금 징수와 약탈을 목적으로 한 습격은 매일 이루어졌으며, 이는 헝가리 정착 지역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 물질적 파괴, 인구 이동, 납치 및 살인이 발생했다. 17세기에는 트란실바니아 공국이 벌인 작전으로 인해 이와 유사하게 상당한 손실이 발생했다.[4]
150년 동안의 기독교 국가와 오스만 제국 간의 끊임없는 전쟁의 결과, 인구 증가는 둔화되었고, 도시화된 부르주아 거주자들이 있는 헝가리 중세 정착촌의 네트워크는 사라졌다. 중세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던 영토의 민족 구성은 추방과 학살을 통해 근본적으로 변화되어, 오스만 제국 시대 말에 존재했던 헝가리인의 수는 상당히 감소했다.[14]
현대 추산에 따르면, 15세기 말 카르파티아 분지에서 헝가리인의 비율은 약 75-80%였으며, 비헝가리인은 총 인구의 20-25%에 불과했다.[23][24][25][26] 헝가리 인구는 오스만 제국 정복 시기에 감소하기 시작했다.[23][24] 헝가리인의 감소는 150년 동안의 끊임없는 전쟁, 오스만 습격, 기근, 그리고 역병 때문이었다.[23][24][27] 전쟁의 주요 지역은 헝가리인이 거주하는 영토였으므로, 사망자 수는 다른 민족보다 훨씬 빠르게 소진되었다.[23][27]
6. 2. 부다의 인구 변화
오스만 제국 시대에 오늘날의 헝가리 영토는 큰 변화를 겪었다. 광대한 토지가 비어 숲으로 덮였고, 범람원은 늪이 되었다. 오스만 측 주민들의 삶은 불안정했고, 농민들은 숲과 늪으로 도망쳐 '하이두'라 불리는 게릴라 부대를 조직했다.[6] 헝가리 영토는 오스만 제국에 큰 부담이 되었고, 많은 수입이 국경 요새 유지에 쓰였다. 그러나 경제 일부는 번성하여, 무인 지역에서 소를 길러 남부 독일과 북부 이탈리아로 수출했고, 포도주는 체코, 오스트리아, 폴란드와 거래되었다.[6]1540년대 부다 (2,965명), 페슈트 (1,481명), 세게슈페헤르바르 (2,978명), 에스테르곰 (2,775명)의 4개 주요 요새에는 총 10,200명의 병력이 있었다.[8] 오스만 헝가리에 주둔한 오스만 수비대 병력 수는 다양했지만, 16세기 중반 절정기에는 20,000명에서 22,000명에 달했다.[9] 1640년, 전선이 비교적 조용했을 때는 부딘 에얄레트 전체를 수비하는 데 8,000명의 예니체리로 충분했다.[9]
150년 이상 헝가리 영토는 전쟁터였다.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내내 군사적 충돌이 끊이지 않았고, 잦은 습격으로 물질적 파괴, 인구 이동, 납치, 살인이 발생했다.[4] 17세기 트란실바니아 공국의 작전도 큰 손실을 초래했다.[4]
헝가리 왕국 최남단 지역의 쇠퇴는 오스만 제국 통치 이전부터 시작되었으며, 오스만 제국은 이미 1390년에서 1400년 사이에 헝가리 남부를 침략했다.[4] 150년 동안의 전쟁으로 인구 증가는 둔화되었고, 도시화된 헝가리 중세 정착촌은 사라졌다. 추방과 학살로 헝가리인의 수는 크게 감소했다.[14]
오스만 제국 정복 당시 헝가리 수도였던 부다의 경제는 정체되었다. 1686년 도시 인구는 2세기 전보다 많지 않았다.[16] 오스만 제국은 헝가리 왕궁을 폐허로 방치했고,[17] 나중에는 화약 저장고와 탄약고로 사용하여[18] 1686년 포위 공격 중 폭발을 일으켰다. 기독교 헝가리 인구는 로열 헝가리로 도망쳐, 1647년 부다의 원래 기독교 인구는 약 70명으로 감소했다.[19] 유대인과 집시 이민자들이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부다에서 지배적이 되었다.[20]
도시의 헝가리인들은 오스만 군대의 위협을 느끼면 다른 곳으로 이주했다. 오스만 행정 중심지가 된 도시에서는 기독교 인구가 감소했고, 헝가리 인구는 오스만 수비대가 없는 도시에만 남아있었다.[21] 17세기 초부터 세르비아 난민은 오스만이 통제하는 헝가리의 상당 부분에서 민족적 다수를 차지했다.[22]
현대 추산에 따르면, 15세기 말 헝가리인의 비율은 약 75-80%였고, 비헝가리인은 20-25%에 불과했다.[23][24][25][26] 헝가리 인구는 오스만 제국 정복 시기에 감소하기 시작했다.[23][24] 이는 끊임없는 전쟁, 오스만 습격, 기근, 역병 때문이었다.[23][24][27] 전쟁의 주요 지역은 헝가리인이 거주하는 곳이었으므로, 사망자 수는 다른 민족보다 훨씬 빨랐다.[23][27]
헝가리의 세 부분(합스부르크 헝가리, 오스만 헝가리, 트란실바니아)은 17세기에 인구 증가에서 사소한 차이만 보였다.[28] 남 슬라브 민족(세르비아인, 보스니아인)은 오스만 제국 정복 후 북쪽으로 확장되었고, 살아남은 헝가리 인구는 17세기 동안 그 지역을 탈출했다. 17세기 내내, 새로 정착한 정교회 남 슬라브 인구는 오스만 군대의 군사 수비대, 물류 지원 및 식량 공급을 보장했다. 헝가리인들은 오스만 제국 정복 지역을 "라시아"(세르비아)라고 경멸적으로 불렀다.[29]
6. 3. 헝가리인의 감소와 이민
이 시기에 오늘날 헝가리 영토는 오스만 제국의 점령으로 인해 변화를 겪기 시작했다. 광대한 토지가 비어 있고 숲으로 덮여 있었으며, 범람원은 늪이 되었다. 오스만 측 주민들의 삶은 안전하지 않았고, 농민들은 숲과 늪으로 도망쳐 하이두 부대라고 알려진 게릴라 부대를 형성했다.[6] 결국, 오늘날 헝가리 영토는 오스만 제국에 부담이 되었고, 많은 수입을 긴 국경 요새 유지에 쏟아부었다.[6] 그러나 경제의 일부는 번성했는데, 거대한 무인 지역에서 마을은 소를 길러 남부 독일과 북부 이탈리아로 몰아갔고, 어떤 해에는 50만 마리의 소를 수출하기도 했다. 포도주는 체코, 오스트리아 및 폴란드로 거래되었다.[6]150년 이상 헝가리 영토는 열강 간의 전쟁터였다.[4] 군사적 충돌은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내내 끊이지 않았고, 헝가리는 1521년부터 1568년까지 수많은 오스만 군사 작전과 포위를 견뎌냈으며, 헝가리에는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가문과 헝가리 귀족 자폴야 가문 사이에 분쟁이 계속되었다.[4] 1591년부터 1593년과 1606년 사이에는 장기 전쟁 동안 대규모 군대가 관련된 무력 충돌이 있었고, 1660년부터 1663년과 1664년 사이에는 오스트리아-튀르크 전쟁이, 1683년부터 1699년까지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의 헝가리 해방 전쟁이 벌어졌으며, 양측은 매년 약 5만 명의 군인을 투입했다.[4] 오스만 제국 통치 기간 동안, 상대적으로 평온한 시기조차 평화롭지 않았으며, 전쟁은 국경에서 계속되었다.[4] 습격은 매일 이루어졌으며, 주로 세금 징수와 약탈을 목적으로 했으며, 이는 헝가리 정착 지역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 물질적 파괴, 인구 이동, 납치 및 살인이 발생했다.[4] 17세기에는 트란실바니아 공국이 벌인 작전으로 인해 이와 유사하게 상당한 손실이 발생했다.[4]
150년 동안 기독교 국가와 오스만 제국 간의 끊임없는 전쟁의 결과, 인구 증가는 둔화되었고, 도시화된 부르주아 거주자들이 있는 헝가리 중세 정착촌의 네트워크는 사라졌다.[14] 중세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던 영토의 민족 구성은 추방과 학살을 통해 근본적으로 변화되어, 오스만 제국 시대 말에 존재했던 헝가리인의 수는 상당히 감소했다.[14]
현대 추산에 따르면, 15세기 말 카르파티아 분지에서 헝가리인의 비율은 약 75-80%였으며, 비헝가리인은 총 인구의 20-25%에 불과했다.[23][24][25][26] 헝가리 인구는 오스만 제국 정복 시기에 감소하기 시작했다.[23][24] 헝가리인의 감소는 150년 동안의 끊임없는 전쟁, 오스만 습격, 기근, 그리고 역병 때문이었다.[23][24][27] 전쟁의 주요 지역은 헝가리인이 거주하는 영토였으므로, 사망자 수는 다른 민족보다 훨씬 빠르게 소진되었다.[23][27]
헝가리의 세 부분, 즉 합스부르크 헝가리, 오스만 헝가리 및 트란실바니아는 17세기에 인구 증가에서 사소한 차이만 경험했다.[28] 가장 권위 있는 연구에서 제시된 자료에 따르면, 16세기 말 3개 지역 전체 인구는 약 350만 명에서 17세기 말 약 400만 명으로 증가했다.[28]
16세기 말 헝가리의 인구는 오스만령 헝가리에 90만 명, 합스부르크령 헝가리에 180만 명, '자유' (트란실바니아) 헝가리에 80만 명으로, 전체 헝가리 인구는 총 350만 명이었다.[30] 17세기 오스만령 헝가리의 인구 증가는 미미했다. 90만 명에서 약 100만 명으로, 이는 왕령 헝가리와 트란실바니아에서 경험한 것과 유사한 비율이다.[30]
참조
[1]
웹사이트
A Guide to the United States' History of Recognition, Diplomatic, and Consular Relations, by Country, since 1776: Hungary
https://history.stat[...]
[2]
서적
Osmanlı'Nın Macaristanı - Osmanlı Hakimiyetindeki Macaristan'In Tarihi Coğrafyası Ve İdari Taksimat-Sadık Müfit Bilge Değerlendirmeleri
Kitabevi Yayınları
[3]
서적
The Peace of Passarowitz, 1718
http://www.jstor.org[...]
Purdue University Press
2011
[4]
간행물
The Impact of the Ottoman Rule on Hungary
https://efolyoirat.o[...]
Hungarian Studies Association of Canada, National Széchényi Library
2001
[5]
문서
The Ottoman Empire
[6]
웹사이트
The Effects of Turkish Rule in Hungary
http://www.hungarian[...]
[7]
웹사이트
Part I - The Decline of the Ottoman Empire - MuslimMatters.org
https://muslimmatter[...]
2011-12-20
[8]
문서
Ottoman Warfare 1500-1700
[9]
문서
Ottoman Warfare 1500–1700
[10]
서적
Early Modern Religious Communities in East-Central Europe: Ethnic Diversity, Denominational Plurality, and Corporative Politics in the Principality of Transylvania (1526-1691)
https://books.google[...]
BRILL
[11]
서적
Changing Ethnic Patterns of the Carpatho-Pannonian Area
http://www.mtafki.hu[...]
The Hungarian Academy of Sciences – Research Centre for Astronomy and Earth Sciences Geographical Institute
[12]
서적
National Atlas of Hungary – Volume 3 – Society
https://nemzetiatlas[...]
Eötvös Loránd Research Network (ELKH), Research Centre for Astronomy and Earth Sciences (CSFK), Geographical Institute
[13]
서적
Changing Ethnic Patterns of the Carpatho–Pannonian Area from the Late 15th until the Early 21st Century – Accompanying Text
https://www.mtafki.h[...]
Hungarian Academy of Sciences, Research Centre for Astronomy and Earth Sciences, Geographical Institute
[14]
뉴스
The changing facets of Hungarian nationalism - Nationalism Reexamined
http://findarticles.[...]
2011-06-05
[15]
서적
Evlia Cselebi török világutazó magyarországi utazásai 1660–1664
MTA [Hungarian Academy of Science]
[16]
서적
Budapest: a history from its beginnings to 1998, Volume 86 van Atlantic studies on society in change, Volume 462 van East European monographs
https://books.google[...]
Social Science Monographs
[17]
서적
The Enemy at the Gate: Habsburgs, Ottomans, and the Battle for Europe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18]
서적
Lonely Planet Budapest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19]
서적
A History of Hungar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
서적
Encyclopedia of the Ottoman Empire Facts on File Library of World History Gale virtual reference library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1]
서적
Suleyman the Magnificent and His Age: The Ottoman Empire in the Early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22]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Minor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23]
백과사전
Hungary
http://www.britannic[...]
2009-05-11
[24]
서적
A Country Study: Hungary
http://lcweb2.loc.go[...]
Federal Research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2009-03-06
[25]
웹사이트
'International Boundary Study – No. 47 – April 15, 1965 – Hungary – Romania (Rumania) Boundary'
http://www.law.fsu.e[...]
US Bureau of Intelligence and Research
[26]
지도
Historical World Atlas
Carthographia
[27]
웹사이트
Twenty-Five Lectures on Modern Balkan History (The Balkans in the Age of Nationalism), Lecture 4: Hungary and the limits of Habsburg authority
http://staff.lib.msu[...]
Michigan State University Libraries
2009-05-11
[28]
문서
Ottoman Warfare 1500–1700
[29]
서적
Hungary Between Two Empires 1526–1711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30]
문서
Ottoman Warfare 1500–1700
[31]
간행물
BEKTAŞI MONASTERIES IN OTTOMAN HUNGARY
[[Akadémiai Kiadó]]
[32]
문서
Sokollu Mustafa Pasa'nin Budin'deki Camileri ve Mescitleri
Ahmet Yesevi Üniversitesi
[33]
문서
Building and builder: Constructions under Sokollu Mustafa Pasha's reign in medieval Buda
Manggha Museum of Japanese Art and Technology & Polish Institute of World Art Studies
[34]
서적
The preaching of Islam: a history of the propagation of the Muslim faith
[35]
서적
The preaching of Islam: a history of the propagation of the Muslim faith
[36]
서적
Frommer's Budapest & the Best of Hunga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2004
[37]
서적
The Jews of Hungary: History, Culture, Psychology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38]
서적
Die Baranya in den Jahren 1686 bis 1713: Kontinuität und Wandel in einem ungarischen Komitat nach dem Abzug der Türken
https://books.google[...]
Universitätsverlag Göttingen
2005-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