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간 (군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간은 1573년에 태어나 1665년에 사망한 조선 시대의 무신이다. 그는 영의정 윤두수의 아들이며, 1591년 광국원종공신, 1604년 호성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1609년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 종성부사 등을 거쳐 1614년 위성원종공신이 되었고, 인조반정 이후 호군을 역임했다. 이후 강서현령, 안주목사 등을 지냈으며, 1628년 영사원종공신, 1625년 진무원종공신에 책록되었다. 아들 윤겸지는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 순국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73년 출생 - 도이 도시카쓰
    도이 도시카쓰는 에도 막부 초기에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데타다, 이에미쓰 3대 쇼군을 섬기며 막부의 정치, 행정, 재정 등 여러 분야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막번 체제 확립과 외교, 통화 제도 개혁에 기여했으나, 후반에는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된 인물이다.
  • 1573년 출생 - 시몬 마리우스
    시몬 마리우스는 독일의 천문학자로,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별개로 목성의 주요 위성들을 발견하고 이름을 붙였으며, 안드로메다 은하를 관측하는 등 업적을 남겼으나, 우주 구조에 대한 견해는 지동설을 지지하지 않았다.
  • 원종공신 - 윤호 (평정공)
    윤호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성종의 계비 정현왕후의 아버지이며 영원부원군에 봉해졌고, 우의정까지 올랐으나 결단력 부족으로 비판받기도 했으며, 아들 윤탕로와 함께 『파천집』과 『구급간이방』을 편찬했고 시호는 평정이다.
  • 원종공신 - 이수광
    이수광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실학자로, 문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 거치며 외교에도 참여했고, 『지봉유설』을 저술하여 실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았으며, 인조반정 후 이조판서를 역임하고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 조선 인조 - 인조반정
    인조반정은 1623년 서인 세력이 광해군의 폭정을 명분으로 일으킨 쿠데타이며, 광해군 폐위 후 인조가 즉위했으나 서인 세력 간의 갈등과 외침으로 조선 사회에 혼란을 가져왔다.
  • 조선 인조 - 정축하성
    정축하성은 1636년 병자호란 때 조선이 청나라에 맞서 남한산성에서 항전했으나 청군의 빠른 진격과 보급 부족으로 인조가 항복을 결정하며 조선이 청나라의 속국이 된 사건이다.
윤간 (군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윤간 (尹旰)
유자(幼孜), 유경(幼敬)
생애1573년 - 1665년 2월 12일
출생지조선
사망지조선
군사 정보
복무조선군
복무 기간1591년 ~ 1665년
최종 계급병마절도사(종2품)
부대조선 육군
지휘조선 국군
주요 참전 전투/전쟁
서훈 내역1591년 광국원종공신 3등(光國原從功臣三等)
1604년 호성원종공신 3등
1614년(광해군 6년) 8월 27일 위성원종공신 3등(衛聖原從功臣三等)
1625년 진무원종공신 1등(振武原從功臣一等)
1628년(인조 6) 영사원종공신 1등(寧社原從功臣一等)

2. 생애

윤간은 1573년(선조 6) 군자감정, 사도시부정(司導寺副正)을 지내고 증 이조참판과 증 의정부영의정 해징부원군(海澄府院君)에 추증된 윤변의 손자이자, 의정부 영의정 윤두수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평안도 출신이나, 본관은 알 수 없다. 1609년(광해군 1) 무렵에는 생존해 있었다.[1] 출생년도는 오랫동안 실전되었다가, 만력37년기유10월14일증광문무과방목(萬曆三十七年己酉十月十四日增廣文武科榜目)의 급제자 란에 생년이 계유(癸酉)로 되어 있어 1573년생인 것이 확인되었다. 정확한 생일은 기록이 전하지 않아 알 수 없다.

영의정을 지낸 윤방, 지중추부사를 지냈으며 윤치호, 윤보선의 선조가 되는 윤흔, 윤휘, 황해도, 평안도관찰사와 부체찰사를 지낸 윤훤 등은 모두 그의 이복 형들이었다. 선조의 서녀 정혜옹주의 남편 윤신지는 그의 조카였다. 숙부는 해원부원군 윤근수이고, 이복 백부는 윤춘수, 윤담수이다.

1591년(선조 24) 광국원종공신 3등(光國原從功臣三等)에 녹훈되었다.[2] 1592년 4월 임진왜란이 터지고 선조의 어가가 의주로 몽양갈 때 동참한 호종한 공로로, 훗날 1604년 호성원종공신 3등에 녹훈되었다.[3]

전란 종결 이후 수문장이 되었고[4], 1601년(선조 34) 부친상으로 사직했다가 1603년 다시 수문장으로 복직하고, 1604년 겸사복(兼司僕)을 역임했다. 겸사복 재직 중 1604년 4월 5일 호성원공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5] 어느 시점에 허통(許通)이 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소장 중인 만력37년기유10월14일증광문무과방목(萬曆三十七年己酉十月十四日增廣文武科榜目)의 급제자방에 의하면 그는 허통이었다 한다.[6]

1609년(광해군 1) 증광 무과에 병과(丙科) 10위로 급제, 선전관, 종성부사, 첨사 등을 거쳐 1614년(광해군 6년) 8월 27일 위성원종공신 3등(衛聖原從功臣三等)에 책록되었다.

1617년 부령부사가 후임자를 여러 명 천거할 때 그를 추천했으나[7], 선발되지 못했다. 1617년부터 1618년(광해군 10) 인목대비의 폐모를 주청하는 논의에 형 윤방이 불참하자 그도 역시 참여를 거부하고 불참하였다. 그는 서자는 어머니도 없는가 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한다. 1618년 5월 첨지사(僉知事)로 재직 중 안동에 내려가 있었다.[8] 이후 외직을 자청하여 1620년(광해군 13년) 함경도 경성부사(鏡城府使), 1621년 종성부사(鍾城府使)로 부임하였다. 이때 김류 등이 외지로 부임해서는 안된다고 만류하였으나 외직을 자청하였다. 1623년 호군이 되었다.

1623년 (광해군 15) 3월 인조반정을 지지했고 호군을 역임했다. 그해 평안도 강서군의 학동서원을 개보수하였다. 1625년 진무원종공신 1등(振武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고[9], 별장(別將)을 역임했다.

1625년 8월 12일 인조로부터 이민구(李敏求)를 통해 궁시(弓矢)를 하사받았다.[10] 1626년(인조 4) 4월 임기가 만료되면서 병조의 계로 경상도우수영 우후(慶尙道右水營虞候)에 추천되었으나, 평안도에서 아병(牙兵)을 모집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어 평안도관찰사의 건의로 유임되어 계속 서도(西道)의 일에 전념하였다.

1626년 4월 가의대부(嘉義大夫) 행용양위(行龍驤衛)로 승진하고, 1628년(인조 6) 5월 25일 강서현령(江西縣令)으로 발령받았다.[11] 강서현령 재임 중 송정(松亭) 김반(金泮)을 모신 사당 학동서원(鶴洞書院)을 복건(復建)하였다.[12]

1628년동지중추부사로 승진했다. 1628년(인조 6) 유효립의 옥사 당시 진압을 도운 공로로 영사원종공신 1등(寧社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1629년 안주목사 겸 방어사(安州牧使兼防禦使)로 부임하였다. 1637년(인조 14년) 아들 윤겸지가 남한산성에서 순국하여, 아들 겸지의 공로로 훈련도정(訓鍊都正)에 제수되었다. 1644년 다시 강서현령으로 부임하여 학동서원 원기(院記)와 봉안제문(奉安 祭文)을 지었다.[13]

윤간은 경기도 수원군 북부면 또는 일용면 석산동(현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 입모봉(笠帽峰) 간좌(艮坐)에 묻혔다. 후처 정선전씨의 묘소와 쌍봉으로 되어 있다. 본처 여흥이씨의 묘소는 경기도 수원군 남부 구산동(현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구천동) 자좌(子坐)에 있다.

2. 1. 초기 생애

윤간은 1573년(선조 6) 군자감정, 사도시부정(司導寺副正)을 지내고 증 이조참판과 증 의정부영의정 해징부원군(海澄府院君)에 추증된 지족암 윤변(知足庵 尹忭)의 손자이자, 의정부 영의정 오음 윤두수(尹斗壽)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평안도 출신이나, 본관은 알 수 없다. 무과에 급제할 1609년(광해군 1) 무렵에는 생존해 있었다.

출생년도는 오랫동안 실전되었다가, 만력37년기유10월14일증광문무과방목(萬曆三十七年己酉十月十四日增廣文武科榜目)의 급제자 란에 생년이 계유(癸酉)로 되어 있어 계유년(1573년)생인 것이 확인되었다. 정확한 생일은 기록이 전하지 않아 알 수 없다.

영의정을 지낸 윤방(尹昉), 지중추부사를 지냈으며 윤치호, 윤보선의 선조가 되는 도재 윤흔(陶齋 尹昕), 윤휘(尹暉), 황해도, 평안도관찰사와 부체찰사를 지낸 백사 윤훤(白沙 尹暄) 등은 모두 그의 이복 형들이었다. 선조의 서녀 정혜옹주의 남편 윤신지는 그의 조카였다. 숙부는 해원부원군 월정 윤근수이고, 이복 백부는 윤춘수, 윤담수이다.

1591년(선조 24) 광국원종공신 3등(光國原從功臣三等)에 녹훈되었다.[1] 1592년(선조 25) 4월 임진왜란이 터지고 선조의 어가가 의주로 몽양갈 때 동참한 호종한 공로로, 훗날 1604년 호성원종공신 3등에 녹훈되었다.[2]

2. 2. 관직 생활

전란 종결 이후 수문장이 되었고[3], 1601년(선조 34) 부친상으로 사직했다가 1603년 다시 수문장으로 복직하고, 1604년(선조 37) 겸사복(兼司僕)을 역임했다. 겸사복 재직 중 1604년 4월 5일 호성원공공신 3등에 책록되었다.[4] 어느 시점에 허통(許通)이 되었는지 알 수 없으나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소장 중인 만력37년기유10월14일증광문무과방목(萬曆三十七年己酉十月十四日增廣文武科榜目)의 급제자방에 의하면 그는 허통이었다 한다.[5]

1609년(광해군 1) 증광 무과에 병과(丙科) 10위로 급제, 선전관, 종성부사, 첨사 등을 거쳐 1614년(광해군 6년) 8월 27일 위성원종공신 3등(衛聖原從功臣三等)에 책록되었다.

1617년(광해군 9) 부령부사가 후임자를 여러 명 천거할 때 그를 추천했으나[6], 선발되지 못했다. 1617년부터 1618년(광해군 10) 공론에 의해 인목대비의 폐모를 주청하는 논의에 형 윤방이 불참하자 그도 역시 참여를 거부하고 불참하였다. 그는 서자는 어머니도 없는가 라며 불만을 토로했다 한다. 1618년(광해군 10) 5월 첨지사(僉知事)로 재직 중 안동에 내려가 있었다.[7] 이후 외직을 자청하여 1620년(광해군 13년) 함경도 경성부사(鏡城府使), 1621년 종성부사(鍾城府使)로 부임하였다. 이때 김류 등이 외지로 부임해서는 안된다고 만류하였으나 외직을 자청하였다. 1623년 호군이 되었다.

2. 3. 인조반정 이후

1623년 (광해군 15) 3월 인조반정을 지지했고 호군을 역임했다. 그해 평안도 강서군의 학동서원을 개보수하였다. 1625년 진무원종공신 1등(振武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고[9], 별장(別將)을 역임했다.

1625년 8월 12일 인조로부터 이민구(李敏求)를 통해 궁시(弓矢)를 하사받았다.[10] 1626년(인조 4) 4월 임기가 만료되면서 병조의 계로 경상도우수영 우후(慶尙道右水營虞候)에 추천되었으나, 평안도에서 아병(牙兵)을 모집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어 평안도관찰사의 건의로 유임되어 계속 서도(西道)의 일에 전념하였다.

1626년 4월 가의대부(嘉義大夫) 행용양위(行龍驤衛)로 승진하고, 1628년(인조 6) 5월 25일 강서현령(江西縣令)으로 발령받았다.[11] 강서현령 재임 중 송정(松亭) 김반(金泮)을 모신 사당 학동서원(鶴洞書院)을 복건(復建)하였다.[12]

1628년동지중추부사로 승진했다. 1628년(인조 6) 유효립의 옥사 당시 진압을 도운 공로로 영사원종공신 1등(寧社原從功臣一等)에 책록되었다. 1629년 안주목사 겸 방어사(安州牧使兼防禦使)로 부임하였다. 1637년(인조 14년) 아들 윤겸지가 남한산성에서 순국하여, 아들 겸지의 공로로 훈련도정(訓鍊都正)에 제수되었다. 1644년 다시 강서현령으로 부임하여 학동서원 원기(院記)와 봉안제문(奉安 祭文)을 지었다.[13]

2. 4. 사망

윤간은 경기도 수원군 북부면 또는 일용면 석산동(현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 입모봉(笠帽峰) 간좌(艮坐)에 묻혔다. 후처 정선전씨의 묘소와 쌍봉으로 되어 있다. 본처 여흥이씨의 묘소는 경기도 수원군 남부 구산동(현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구천동) 자좌(子坐)에 있다.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증조부윤희림(尹希琳)
조부윤변
조모이씨
이복 백부윤담수(尹聃壽)
이복 백부윤춘수
이복 백부윤기수(尹期壽)
조모현씨아버지 윤두수, 숙부 윤근수의 생모
숙부윤근수
숙모조씨조안국(趙安國)의 딸
아버지윤두수
어머니황씨
부인여흥이씨(驪州李氏)세자익위사 부솔(世子翊衛司副率) 이진(李鎭)의 딸
부인정선전씨전인경(全仁慶)의 딸
이름 미상


4. 기타

아들 윤겸지는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 훈련도감 우별초관(右別哨官)을 지내고 병자호란 때 전사하였다.[14]

1636년(인조 14년) 1월 25일 훈련도감 우별초관으로 재직 중 술에 취하여 저지른 실수로, 훈련도감의 보고 후 태거(汰去)를 받았다. 다시 선전관으로 강등당했다가 병자호란이 터지자 인조를 남한산성까지 수행하였다. 1637년 1월 25일 남한산성의 동쪽 성문을 지키다가 탄환에 맞고 죽었다. 그가 임종에 달하자 특지로 절충장군 훈련원도정에 제수하였다는 교지가 당도하여 선전관이 읽어주자마자 숨이 끊어졌다 한다. 시신은 병자호란 종결 후 선산 근처에 매장되었다.[14]

승정원일기에 의하면 1756년(영조 32) 홍상한이 윤겸지에게 다시 포증해줄 것을 건의했는데, 윤겸지의 추가 증직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15]

참조

[1] 문서 光國原從功臣錄券
[2] 문서 호성원종공신록 22페이지
[3] 문서 최립, 윤두수신도비문
[4] 문서 호성원종공신록 22페이지
[5] 문서 만력37년기유10월14일증광문무과방목(萬曆三十七年己酉十月十四日增廣文武科榜目) 尹旰 편
[6] 비변사등록 비변사등록 광해군 9년 1617년 6월21일(음) 1617-06-21
[7] 일록 김령, 계암일록 삼(溪巖日錄 三) ○ 1618년 (五月)六日 1618-05-06
[8] 문서 春官通考 卷38 吉禮, 院祠 平安道
[9] 문서 진무원종공신녹권 10페이지
[10]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8책 (탈초본 1책) 인조 3년 8월 12일 무자 9/25 기사 1625년 天啓(明/熹宗) 5년, 平安監司 등에게 弓矢를 지급하라는 전교 1625-08-12
[11]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21책 (탈초본 1책) 인조 6년 5월 25일 을유 2/26 기사 1628년 崇禎(明/毅宗) 1년, 洪命耉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1628-05-25
[12] 문서 関西邑誌 제16권(1872) 강서,영유 편, 강서편 54페이지 1872
[13] 문서 関西邑誌 제16권(1872) 강서,영유 편, 강서편 58페이지 1872
[14]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인조 14년 병자(1636) 1월 25일(신미) 맑음 3번째 기사 1636-01-25
[15]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1138책 (탈초본 63책) 영조 32년 11월 16일 기유 13번째 기사 1756-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