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음악 교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음악 교육은 각국의 문화와 역사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해왔으며, 음악적 능력 함양을 목표로 한다. 서구권에서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중요한 교양 과목으로 여겨졌고, 18세기 이후 공교육 제도가 확립되면서 정규 교과목으로 채택되었다. 비서구권 국가에서도 각 지역의 전통 음악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한국은 전통적인 구전심수 방식에서 개화기 이후 서양 음악을 수용하여 학교 교육을 시작했다. 음악 교육은 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 스즈키 등 다양한 교수법을 활용하며, 학교, 학교 외, 가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국 음악 교육은 입시 위주 교육, 지역 및 계층 간 교육 기회 불평등, 저작권 침해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음악 교육 - 코다이 교수법
    코다이 교수법은 "음악은 모든 사람의 것이다"라는 철학을 바탕으로 노래 부르기를 중심으로 음악적 능력과 창의성을 키우도록 고안된 헝가리 작곡가이자 교육가인 코다이 졸탄의 음악 교육 방법이다.
  • 음악 교육 - 실용음악
    실용음악은 특정 목적이나 상황을 위해 만들어진 음악으로,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 사회 통합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했으며 현대에는 영화, 광고, 대중음악 등 다양한 형태로 사회 문화적 흐름을 반영하고 대중의 정서를 대변한다.
  • 음악 관련 직업 - 음악가
    음악가는 작곡, 편곡, 연주, 지휘 등 음악 관련 활동을 하는 사람을 통칭하며, 작곡가, 연주자, 가수, 지휘자, 음반 프로듀서 등으로 분류된다.
  • 음악 관련 직업 - 작사가
    작사가는 노래의 멜로디와 분위기에 맞춰 가사를 창작하여 메시지와 감정을 전달하는 사람으로, 저작권료로 수입을 얻으며 작곡가와 협업하여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한다.
음악 교육
음악 교육
코다이 졸탄
음악 교육의 역사적 인물 중 한 명인 코다이 졸탄
개요
정의음악을 가르치고 배우는 방법
관련 분야음악학
목표음악적 소양 함양
창의적 표현 능력 개발
음악 감상 능력 향상
음악을 통한 정서 함양 및 사회성 발달
역사
고대고대 그리스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음악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
중세교회 음악 중심의 교육
기욤 드 마쇼 등의 음악가들이 음악 교육에 기여
르네상스인문주의 영향으로 세속 음악 교육 확대
조스캥 데 프레 등의 음악가들이 음악 교육에 참여
근대요한 하인리히 페스탈로치의 영향으로 음악 교육 방법론 발전
달크로즈, 오르프, 코다이 등의 음악 교육 방법론 등장
현대다양한 음악 교육 방법론의 발전 및 통합
정보 기술을 활용한 음악 교육 연구 활발
방법론
주요 방법론달크로즈 유리드믹스: 신체 움직임을 통한 음악 교육
오르프 슐베르크: 악기 연주, 노래, 춤, 연극 등을 통합한 음악 교육
코다이 메소드: 민요를 활용한 음악 교육
스즈키 메소드: 모국어 습득 방식의 음악 교육
음악 감상 교육
창작 중심 음악 교육
교육 과정
내용음악 이론 (음정, 리듬, 화성 등)
악기 연주 (피아노, 바이올린, 기타 등)
노래 부르기
음악사
음악 감상
음악 창작
수준별 내용유아 음악 교육
초등학교 음악 교육
중등학교 음악 교육
대학교 음악 교육
특수 음악 교육
평가
평가 방법수행 평가 (악기 연주, 노래 부르기, 창작 활동 등)
지필 평가 (음악 이론, 음악사 등)
포트폴리오 평가
자기 평가 및 동료 평가
평가 기준음악적 지식 및 이해
음악적 기능 (연주, 노래, 창작 등)
음악적 태도 (흥미, 적극성, 협동심 등)
음악 교육의 효과
긍정적 효과인지 능력 향상
창의력 향상
정서적 안정
사회성 발달
집중력 향상
자기 표현 능력 향상
연구 결과음악 교육이 뇌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 존재
음악 교육이 학업 성취도 향상에 기여한다는 연구 결과 존재
참고 문헌
관련 서적음악 교육의 기초
음악 교육 방법론
음악과 교육 과정
관련 논문음악 교육 관련 학술지 논문
관련 단체
국내한국음악교육학회
한국음악교사협회
국제국제음악교육협회
기타
관련 용어음악 치료
음악 심리
예술 교육
전인 교육
관련 인물코다이 졸탄
에밀 자크-달크로즈
카를 오르프
스즈키 신이치
참고 자료A Sensory-Motor Approach to Music Learning. Book I - Primary Concepts.
O'Connor Violin Method

2. 역사

음악 교육의 교수 전략은 해당 지역의 음악 교사와 교육 과정에 의해 결정되지만, 많은 교사들은 최근 세대에 등장하여 20세기 후반에 급속도로 발전한 다양한 교수 방법론 중 하나에 크게 의존한다.


  • - 제4학년 남반의 칭가 수업 (1915년)]]

1872년(메이지 5년) 학제 제정에 따라 초등학교에 창가, 중학교에 '주악'이라는 교과가 설치되면서 일본 학교 음악 교육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당분간 이를 결한다'고 명시되어 내용이 구체화되지 않았다. 1878년(메이지 11년) 이자와 슈지와 메가타 타네타로가 음악에 관한 상신서를 제출하면서 내용이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이들은 당시 음악이 신분 제도를 옹호한다고 비판하며 새로운 국악 추진을 주장했다.[102] 1879년(메이지 12년) 정부는 음악 취조국을 개설하여 서양 음악을 도입하고 교재를 정비했다. 1907년 초등학교 6년 의무 교육이 시행되면서 창가는 필수 과목이 되었다.

1941년(쇼와 16년) 국민학교령 공포로 창가는 예능과 음악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7년(쇼와 22년) 학습 지도 요령에 의해 교과명이 정식으로 '음악'으로 변경되었고, 가창, 기악, 창작, 감상을 중심으로 하는 현재와 같은 내용으로 개정되었다. 발성 및 가창 지도는 학습 지도 요령 처음 고시부터 시안 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동 도법'과 '두성적 발성'으로 지도되었다. 1998년 고시된 학습 지도 요령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자연스럽고 무리가 없는 목소리', 중학교에서 '곡 종류에 따른 발성'을 지도하도록 표기가 개정되었다.

각국의 음악 교육 제도의 변천에서 실천으로 이어지는 사고방식을 총괄하는 연구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2. 1. 세계의 음악 교육

서구 국가의 초등학교에서는 아이들이 건반 악기나 리코더 같은 악기를 배우고, 작은 합창단에서 노래하며, 음악의 요소와 음악사를 배운다. 인도에서는 하모늄이 학교에서 사용되지만, 건반 악기나 바이올린도 흔히 사용된다.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인도 라가 음악의 기본을 배운다.[3] 초등학교중학교에서는 합창단, 오케스트라, 학교 밴드(관악 밴드, 마칭 밴드, 재즈 밴드 등)에서 공연할 기회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중학교에서는 추가적인 음악 수업도 제공될 수 있다. 중학교 또는 그에 상응하는 학교에서 음악은 교육 과정의 필수 부분으로 계속 남아있다.[3]

대학교에서는 대부분의 예술 및 인문학 프로그램 학생들이 서양 예술 음악과 같은 음악사 또는 다양한 음악 스타일에 대한 감상과 학습에 초점을 맞춘 음악 감상과 같은 음악 강좌에 대한 학점을 받는다. 또한 대부분의 북미 및 유럽 대학은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합창단, 관악 밴드, 마칭 밴드 또는 오케스트라와 같은 음악 앙상블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대학은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 음악 교육자를 인증하는 음악 교육 학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D.M.A. 또는 Ph.D와 같은 고급 학위는 대학 취업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학위는 음악 이론, 음악사, 기술 수업, 특정 악기 개인 지도, 앙상블 참여, 경험이 풍부한 교육자에 대한 심층적인 관찰을 완료하면 수여된다. 북미 및 유럽 대학의 음악 교육 부서는 음악 심리학, 음악 교육 역사, 교육 민족음악학, 사회음악학, 음악 교육 철학과 같은 분야의 학제 간 연구를 지원한다.

서양 예술 음악의 연구는 한국, 일본, 중국과 같은 아시아 국가를 포함하여 북미와 유럽 밖에서 음악 교육에서 점점 더 흔해지고 있다. 동시에 서양 대학은 서아프리카 음악, 인도네시아 음악(예: 가믈란 음악), 멕시코 음악(예: 마리아치 음악), 짐바브웨 음악(마림바 음악), 대중음악을 포함하여 서양 예술 음악 정경 밖의 음악을 포함하도록 교육 과정을 확대하고 있다.

음악 교육은 또한 개별화되고 평생 학습, 그리고 지역 사회의 맥락에서 이루어진다. 아마추어 및 전문 음악가 모두 일반적으로 개인 교사와 함께하는 짧은 개인 수업인 음악 레슨을 받는다.

  • - 제4학년 남반의 칭가 수업 (1915년)]]

일본에서는 1872년(메이지 5년)에 제정된 학제에 따라 초등학교에서 "창가", 중학교에서 "주악"이라는 교과가 설치되었다. 이것이 일본 학교 교육에서의 음악 교육의 시작이다. 그러나 "당분간 이를 결한다"고 되어 그 내용에 대해서는 1878년(메이지 11년) 이자와 슈지와 메가타 타네타로가 음악에 관한 상신서를 제출한 것을 계기로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이 안에서 당시의 음악을 (대중음악 등을 포함하여) 신분 제도를 끌어안는 것으로 부정하고 새로운 국악을 추진해야 한다는 취지의 의견이 언급되었다.[102] 1879년(메이지 12년) 정부에 의해 음악 취조국이 개설되어 서양 음악의 수입이 진행됨과 동시에 교재 등도 정비되었다. 교과로서의 "창가"가 필수 과목이 된 것은 1907년, 초등학교가 6년 의무 교육이 되었을 때이다.

1941년(쇼와 16년)에 국민학교령이 공포되어 "창가"는 "예능과 음악"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7년(쇼와 22년) 학습 지도 요령에 의해 교과명이 정식으로 "음악"으로 변경되었고, 내용도 현재와 같은 가창·기악·창작·감상을 중심으로 하는 것으로 되었다. 발성·가창에 대해서는 학습 지도 요령이 처음 고시되었을 때부터 시안 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동 도법"과 "두성적 발성"으로 지도되었다. 1998년 고시의 학습 지도 요령에서는 초등학교에서는 "자연스럽고 무리가 없는 목소리", 중학교에서는 "곡 종류에 따른 발성"을 지도하도록 표기가 개정되었다.

2. 2. 한국의 음악 교육

한국의 전통적인 음악 교육은 스승이 소리와 동작으로 가르치고 제자가 이를 따라 하며 익히는 구전심수(口傳心授)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조선시대에는 궁중 음악 기관인 장악원과 민간의 향교, 서원 등에서 음악 교육이 이루어졌다. 개화기 이후 서양 음악이 도입되면서 학교 교육에서 창가라는 이름으로 음악 교육이 시작되었다.

현대에는 학교 교육뿐만 아니라 가정, 사회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음악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2. 2. 1. 일제강점기 한국의 음악 교육

1872년(메이지 5년) 학제 제정으로 초등학교에는 창가, 중학교에는 주악 교과가 설치되며 일본 학교 음악 교육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내용이 구체화되지 않아 1878년(메이지 11년) 이자와 슈지와 메가타 타네타로가 음악 상신서를 제출하며 구체화되었다. 이들은 당시 음악이 신분 제도를 옹호한다며 비판하고 새로운 국악 추진을 주장했다.[102] 1879년(메이지 12년) 음악취조국이 개설되어 서양 음악 수입과 교재 정비가 이루어졌다. 1907년 초등학교 6년 의무 교육이 시행되며 창가는 필수 과목이 되었다.

1941년(쇼와 16년) 국민학교령 공포로 창가는 예능과 음악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3. 주요 교수법

음악 교육의 교수 전략은 해당 지역의 음악 교사와 교육 과정에 의해 결정되지만, 많은 교사들은 최근 세대에 등장하여 20세기 후반에 급속도로 발전한 다양한 교수 방법론 중 하나에 크게 의존한다.

3. 1. 국제적으로 널리 알려진 교수법

오르프 음악 교육법에 사용되는 악기들


카를 오르프는 독일의 작곡가였다. 오르프 슐베르크는 음악 교육에 대한 "접근법"으로 여겨진다. 이는 기본적인 리듬과 멜로디를 사용하여 음악의 기본적인 형태에 참여하려는 학생들의 타고난 능력에서 시작한다. 오르프는 전신을 타악기로 간주하며, 학생들은 서양 음악의 발달과 병행하는 방식으로 음악적 능력을 개발하도록 이끌어진다. 이 접근법은 학생들의 자기 발견을 장려하고, 즉흥 연주를 권장하며, 어른의 압력과 기계적인 훈련을 지양한다.[4] 카를 오르프는 슐베르크 과정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글로켄슈필, 실로폰, 메탈로폰, 드럼 및 기타 타악기의 변형을 포함한 특별한 악기 그룹을 개발했다. 악기의 각 막대는 제거할 수 있어 다양한 음계를 형성할 수 있다. 오르프의 악기는 다른 악기를 아직 연주할 수 없는 어린 아이들의 운동 능력을 시각적 및 운동 감각적으로 향상시킨다.[4]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미국 스즈키 메소드 학생 그룹


스즈키 메소드는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일본의 스즈키 신이치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음악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삶과 도덕성을 풍요롭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방법은 "모든 아이들은 음악 교육을 잘 받을 수 있다"는 전제와, 높은 수준의 음악 연주를 배우는 것은 또한 사람의 영혼을 더 아름답게 만드는 특정 성격 특성 또는 덕목을 배우는 것을 포함한다는 이중 전제에 기반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주요 방법은 사람이 모국어를 배우는 것과 동일한 환경을 음악 학습에 조성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이 '이상적인' 환경에는 사랑, 고품질의 예시, 칭찬, 암기 훈련 및 반복, 그리고 특정 기술을 배우기 위한 학생의 발달 준비성에 맞춰진 시간표가 포함된다. 스즈키 메소드는 국제적으로 매우 인기가 있지만, 일본 내에서는 가와카미 겐이치가 야마하 음악 진흥회와 연계하여 설립한 야마하 메소드에 비해 그 영향력이 덜하다.

3. 2. 한국의 교수법

음악 교육의 교수 전략은 해당 지역의 음악 교사와 교육 과정에 의해 결정되지만, 많은 교사들은 최근 세대에 등장하여 20세기 후반에 급속도로 발전한 다양한 교수 방법론 중 하나에 크게 의존한다. 위에 설명된 네 가지 주요 국제 방법 외에도 다른 접근 방식들이 영향을 미쳤다. 덜 알려진 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음악은 표현의 일종이므로 음악 교육에서도 표현을 어떻게 신장시킬지에 대해 다룬다. 그래서 먼저 표현 그 자체에 대해 다시 파악하고, 그것을 어떻게 지도에 활용할지를 연구한다.

4. 학교 음악 교육

학교 음악 교육은 정규 교육 과정의 일부로서, 모든 학생에게 음악적 경험을 제공하고 음악적 소양을 함양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학교 음악 교육은 가창, 기악, 창작, 감상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대학교 수준에서 대부분의 예술 및 인문학 프로그램 학생들은 음악 감상과 같은 음악 강좌에 대한 학점을 받는다. 이러한 강좌는 서양 예술 음악과 같은 음악사 또는 다양한 음악 스타일에 대한 감상과 학습에 초점을 맞춘다.[3] 또한 대부분의 북미 및 유럽 대학은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는 합창단, 관악 밴드, 마칭 밴드 또는 오케스트라와 같은 음악 앙상블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대학은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 음악 교육자를 인증하는 음악 교육 학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D.M.A. 또는 Ph.D와 같은 고급 학위는 대학 취업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학위는 음악 이론, 음악사, 기술 수업, 특정 악기 개인 지도, 앙상블 참여, 경험이 풍부한 교육자에 대한 심층적인 관찰을 완료하면 수여된다. 북미 및 유럽 대학의 음악 교육 부서는 음악 심리학, 음악 교육 역사, 교육 민족음악학, 사회음악학 및 음악 교육 철학과 같은 분야의 학제 간 연구를 지원한다.

서양 예술 음악의 연구는 한국, 일본, 중국과 같은 아시아 국가를 포함하여 북미와 유럽 밖에서 음악 교육에서 점점 더 흔해지고 있다. 동시에 서양 대학은 서아프리카 음악, 인도네시아 음악(예: 가믈란 음악), 멕시코 음악(예: 마리아치 음악), 짐바브웨 음악(마림바 음악), 대중음악을 포함하여 서양 예술 음악 정경 밖의 음악을 포함하도록 교육 과정을 확대하고 있다.

4. 1. 초등학교

서구 국가의 초등학교에서는 아이들이 건반 악기나 리코더와 같은 악기를 배우고, 작은 합창단에서 노래하며, 음악의 요소와 음악사에 대해 배운다.[3] 인도와 같은 국가에서는 하모늄이 학교에서 사용되지만, 건반 악기나 바이올린과 같은 악기도 흔히 사용된다.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인도 라가 음악의 기본을 배운다.[3]

일본의 학교에서 음악 수업은 일제 수업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작곡이나 연주(기악성악 등)를 통한 표현으로 합창, 합주, 즉흥 연주 등을 체험하게 한다. 또한 음악 감상이 수업에서 다루어진다. 악전음악학 등의 관련 지식도 표현, 감상과 함께 적절히 다루어진다.

유치원보육원 등에서는 리듬 교육 등을 도입한 수업・보육을 하는 경우도 있다.

특별 활동으로는 학교 행사로 학교 내 합창 콩쿠르를 개최하는 학교도 많으며, 현장 학습이나 체육 대회 등과 마찬가지로 전교 행사로 어린이학생 전원이 참가하는 경우도 많다. 또한 합창이나 기악 합주・취주악클럽 활동・부 활동으로서의 음악 교육도 이루어지고 있다.

4. 2. 중학교

서구 국가의 중학교에서는 음악이 교육 과정의 필수 부분으로 계속 남아있는 경우가 많다.[3] 중학교 학생들은 합창단, 오케스트라, 또는 학교 밴드(관악 밴드, 마칭 밴드, 재즈 밴드)와 같은 음악 앙상블에서 공연할 기회를 가질 수도 있다. 일부 중학교에서는 추가적인 음악 수업을 제공하기도 한다.

4. 3. 고등학교

고등학교에서는 음악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고 비평하는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음악 이론, 음악사, 음악 분석 등 심층적인 학습을 통해 음악적 안목을 넓힌다.

일본의 학교에서는 음악 수업이 일제 수업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작곡이나 연주(기악성악 등)를 통한 표현으로 합창, 합주, 즉흥 연주 등을 체험하게 한다. 음악 감상 수업도 진행되며, 악전음악학 등의 관련 지식도 표현, 감상과 함께 적절히 다루어진다.

특별 활동으로는 학교 행사로 학교 내 합창 콩쿠르를 개최하는 학교가 많으며, 현장 학습이나 체육 대회 등과 마찬가지로 전교 행사로 어린이학생 전원이 참가하는 경우도 많다. 또한 합창이나 기악 합주・취주악클럽 활동・부 활동으로서의 음악 교육도 이루어지고 있다.

5. 학교 외 음악 교육

2009년 워싱턴 주 시애틀 프리몬트 페어에서 공연하는 폴 그린 록 음악 학교 학생들.


대중음악 교육은 록 음악 교육, 현대 밴드, 대중음악 교육, 또는 록 음악 교육이라고도 불리며, 1960년대에 록 음악 및 다른 형태의 대중음악을 공식적인 교실 환경 안팎에서 체계적으로 가르치고 배우는 음악 교육의 발전이다. 대중음악 교육은 그룹 즉흥 연주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으며,[10] 완전하게 제도화된 학교 음악 앙상블보다는 지역 사회 음악 활동과 더 일반적으로 관련이 있다.[11]

악기 소유율에서 나타나듯이 가정에서의 음악 전문 교육도 활발하다. 아이에게 피아노, 전자 오르간 개인 레슨을 받게 하는 곳도 적지 않다.

또한, 학교 교육을 마친 성인을 대상으로 음악 교실, 문화센터 등 평생 학습으로서의 음악 교육의 장이 많이 마련되어 있다.[101]

6. 음악 교육의 과제

한국의 음악 교육은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창의성과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또한 지역 간, 계층 간 음악 교육 기회의 불평등이 존재하며, 이는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1965년 미국에서는 학교 음악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맨해튼빌 음악 커리큘럼 프로젝트(MMCP)가 개발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학생들이 음악을 정적인 내용이 아닌, 개인적이고 현재적이며 진화하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돕는 창의적인 접근 방식을 목표로 한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함께 해결해야 할 특정 문제를 제시하고, 학생들은 나선형 커리큘럼에서 창작, 연주, 즉흥 연주, 지휘, 연구 등 음악의 다양한 측면을 탐구한다. MMCP는 학교에서 창의적인 작곡 및 즉흥 연주 활동을 위한 프로젝트의 선구자로 여겨진다.

6. 1. 음악 교육과 저작권

2017년 일본음악저작권협회(JASRAC)는 민간 음악 교실에 대해 음악 저작물 사용료로 연간 수강료 수입의 2.5%를 징수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음악 교실을 운영하는 일본 국내 약 250개 단체 및 사업자가 반발하여 소송을 제기했다.[105] 1심 도쿄 지방 재판소 판결은 JASRAC에 대한 사용료 지불을 인정했지만, 2심 지적재산고등재판소는 지불할 필요가 없다며 1심 판결을 뒤집었다. JASRAC는 상고했지만, 2022년 10월 24일 최고재판소는 JASRAC의 상고를 기각했다.[105] 이 판결은 학생의 연주에 대한 사용료 문제에 한정되며, 교사의 연주와 관련된 사용료에 대해서는 별도 협상이 계속 진행될 예정이다.[106]

7. 음악 교육 관련 단체


  • 미국 합창 지휘자 협회
  • 미국 오르프-슐베르크 협회
  • 미국 현악기 교사 협회
  • 국제 재즈 교육 협회[99]
  • 국제 음악 교육 학회
  • 국제 음악 교육 철학 학회[100]
  • 전국 음악 교육 협회 (미국 기반: NafME, 이전 MENC로도 불림)
  • 전국 음악 교사 협회
  • 북유럽 음악 교육 네트워크 (NNME)

참조

[1] 논문 A Sensory-Motor Approach to Music Learning. Book I - Primary Concepts. http://www.eric.ed.g[...] 2018-04-15
[2] 서적 Hidden Treasure : A Map to the Child's Inner Self Karnac Books 2006
[3] 서적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86
[4] 서적 Teaching General Music: Approaches, Issues, and Viewpoints https://oxford.un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9-24
[5] 웹사이트 Orff Approach https://www.thecanad[...] 2006-07-02
[6] 논문 Audiation, Improvisation, and Music Learning Theory 1991
[7] 웹사이트 Gordon's Music Learning on Piano https://pianoin21day[...] Owensboro 2018-02-23
[8] 웹사이트 GIML: The Gordon Institute for Music Learning http://www.giml.org/[...] 2022-03-12
[9] 서적 Teaching Music Globally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0] 서적 Free to be Musical: Group Improvisation in Music Rowman & Littlefield Education 2010
[11] 서적 Community Music: In Theory and in Practic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12] 뉴스 Music School Founder Tried to 'Brainwash' Students http://timesofindia.[...] Times of India 2005-04-01
[13] 뉴스 SC Jails Elusive Boss School Women for 15 Days http://zeenews.india[...] Zee News India 2012-03-14
[14] 웹사이트 CETA http://surfaquarium.[...] 2022-03-12
[15] 웹사이트 Can Music Help Improve Learning Mathematics? https://mussila.com/[...] 2022-12-05
[16] 웹사이트 Music as a Teaching Tool https://www.edutopia[...] 2022-12-05
[17] 웹사이트 Lullabies of Europe http://www.lullabies[...] 2012-02-28
[18] 웹사이트 home http://folkdc.eu/ 2018-04-15
[19] 웹사이트 PopuLLar - Music and Language Learning https://www.facebook[...] 2018-04-15
[20] 웹사이트 ARTinED - A new approach to education using the arts http://www.artined.e[...] 2018-04-15
[21] 뉴스 Is music the key to success?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3-10-12
[22] 논문 Music students and academic growth 1994
[23] 논문 Classroom Keyboard Instruction Improves Kindergarten Children's Spatial-Temporal Performance: A Field Experiment 2000
[24] 논문 Neuroanatomical Disposition, Natural Development, and Training-Induced Plasticity of the Human Auditory System from Childhood to Adulthood: A 12-Year Study in Musicians and Nonmusicians 2023-09-13
[25] 논문 Memory for music: Effect of melody on recall of text 1994
[26] 논문 Background music and context-dependent memory 1985
[27] 문서 (H. Res. 266)
[28] 논문 Rural Appalachian Band Directors' Academic Preparation: Musical Preparation, Facilities, Monetary Resources, and Methods of Student Evaluation, and Their Students' Musical Independence ERIC Clearinghouse 1990
[29] 논문 Investigating High School Band Recruitment Procedures Using Educational Marketing Principles 2011
[30] 논문 Money for music education: a district analysis of the how, what, and where of spending for music education 2011
[31] 웹사이트 Benefits of Music Education - How do students benefit from music? http://www.childrens[...] 2018-04-15
[32] 논문 The use of music to enhance reading skills of second grade students and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2007
[33] 논문 The use of music to enhance reading skills of second grade students and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2007
[34] 웹사이트 Music Educ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https://nafme.org/ad[...] 2020-09-15
[35] 논문 Dyslexia, temporal processing and music: The potential of music as an early learning aid for dyslexic children 2000
[36] 논문 Can music be used to teach reading?
[37] 논문 Music lessons enhance IQ
[38] 논문 Early adolescents' emotional perceptions and engagement with popular music activities in everyday life
[39] 논문 The impact of art-education on human Capital: An empirical assessment of a youth orchestra 2019
[40] 웹사이트 About IEA https://www.iea.nl/n[...] 2022-03-12
[41] 논문 Cognitive and academic benefits of music training with children: A multilevel meta-analysis 2020
[42] 웹사이트 Music training may not make children smarter after all https://www.scienced[...] 2021-02-07
[43] 논문 Prelude or requiem for the 'Mozart effect'?
[44] 논문 The Mystery of the Mozart Effect: Failure to Replicate
[45] 논문 No Evidence for the Mozart Effect in Children 2006
[46] 논문 Mood, arousal, and the Mozart effect
[47] 논문 The Mozart Effect: Music Listening is Not Music Instruction
[48] 논문 Oh That Magic Feeling! Multicultural Human Subjectivity, Community, and Fascism's Footprints
[49] 웹사이트 http://miter.mit/edu[...] 2018-01-01 # 추정 날짜, dead link 정보만 있음
[50] 서적 Music Matters,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51] 웹사이트 Music education and intellectual development in children: historical, research,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http://www.seer.unir[...] 2022-05-22
[52] 서적 Music Matters, A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53] 서적 Understanding Music Pearson/Prentice Hall
[54] 논문 Equity in Music Education: Back to Class: Music Education and Poverty
[55] 웹사이트 Cross-Cultural Research and the Nature of Music https://www.psycholo[...]
[56] 논문 Singing and cultural understanding: A music education perspective 2013-05-01
[57] 웹사이트 Women Composers In American Popular Song, Page 1 http://parlorsongs.c[...] 2018-04-15
[58] 논문 Women Music Educators In The United States: A History
[59] 웹사이트 A historical view of women in music education careers http://www.slideshar[...] 2018-04-15
[60] 논문 Aztec Music Culture https://www.jstor.or[...] 2007
[61] 논문 Traces of Aztec Cultural Memory in Sixteenth-Century Songs and Chronicles: The Case of Tlacahuepan 2020
[62] 논문 Music of the Maya https://www.jstor.or[...] 1988
[63] 논문 An Approach to the History of Music Education in Latin America: Part II: Music Education 16th–18th Centuries http://dx.doi.org/10[...] 2004
[64] 논문 Esteban Salas and His Legacy of Music Education in Cuba http://journals.sage[...] 2013
[65] 웹사이트 Early Music America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1-31
[66] 논문 An Approach to the History of Music Education in Latin America 1997
[67] 논문 Policies for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in Puerto Rico http://www.tandfonli[...] 2007-11-01
[68] 논문 Music Education in Fourteen Latin-American Republics 1945
[69] 논문 The impact of art-education on human Capital: An empirical assessment of a youth orchestra 2019
[70] 논문 The Argument for Music Education http://dx.doi.org/10[...] 2020
[71] 논문 Does music soothe the soul? Evaluating the impact of a music education programme in Medellin, Colombia https://link.springe[...] 2021-03-01
[72] 웹사이트 "The Indigenous Voice Is the Voice of Today": A Music Video Playlist of Indigenous Latin American Hip-Hop https://folklife.si.[...] 2021-11-08
[73] 논문 Hip hop as empowerment: voices in El Alto, Bolivia 2012-06-01
[74] 논문 Permitted Indians and Popular Music in Contemporary Peru: The Poetics and Politics of Indigenous Performativity 2011-01-01
[75] 웹사이트 The Colonial Period: 1600-1800 https://web.archive.[...]
[76] 논문 Portrait of a Nineteenth-Century School Music Program https://www.jstor.or[...] MENC: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Music Education 1990-06-01
[77] 웹사이트 Child's Bill of Rights https://web.archive.[...] 2008-09-29
[78] 웹사이트 National Standards for Music Education https://web.archive.[...] 2008-04-24
[79] 웹사이트 Tanglewood II - Charting the Future http://www.bu.edu/ta[...] 2018-04-15
[80] 웹사이트 http://bern.library.[...] 2018-07-01
[81] 웹사이트 Critical Theory as a Foundation for Critical Thinking in Music Education http://users.rider.e[...] 2022-03-12
[82] 논문 Feminist theory in music education research: grrl-illa games as nomadic practice (or how music education fell from grace) 2007-01-01
[83] 웹사이트 About the MayDay Group – Mayday Group http://www.maydaygro[...] 2018-04-15
[84] 논문 Music Education, Multiculturalism, and Anti-Racism – Can We Talk? http://act.maydaygro[...] 2006-12-01
[85] 논문 Talkin' Musical Identities Blues http://act.maydaygro[...] 2004-05-01
[86] 논문 Social Class and School Music 2012-01-01
[87] 논문 Institutional Belonging, Pedagogic Discourse and Music Teacher Education: The Paradox of Routinization http://act.maydaygro[...] 2007-01-01
[88] 논문 Sustainable School Music for Poor, White, Rural Students http://act.maydaygro[...] 2011-11-01
[89] 서적 Advancing Music Education in Northern Europe Routledge 2019-01-01
[90] 서적 Javanese Gamelan Oxford University Press 1979-01-01
[91] 서적 Music of Death and New Creation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9-01-01
[92] 서적 Theory and Method in Historical Ethnomusicology
[93] 논문 A Survey of Music Education in the Primary Schools of South Africa's Cape Peninsula 2005-01-01
[94] 논문 Music Education in Africa and the West: We Can Learn from Each Other 1970-01-01
[95] 웹사이트 Music https://www.australi[...] 2023-10-21
[96] 웹사이트 Music can help lift our kids out of the literacy rut, but schools in some states are still missing out https://theconversat[...] 2023-08-10
[97] 웹사이트 Don't stop the Music https://www.musicavi[...] 2019-01-31
[98] 웹사이트 Don't Stop the Music-ABC Television Documentary. All the links you need to support this amazing series. https://www.asme.edu[...] 2019-02-02
[99] 웹사이트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Jazz Education http://iaje.org/ 2018-04-15
[100] 웹사이트 ISPME – Home http://www2.siba.fi/[...] 2018-04-15
[101] 서적 さまざまな音楽学習の場 玉川大学出版部 2000-01-01
[102] 서적 音楽教育の歴史に学ぶ
[103] 서적 表現の原理と教育的意義
[104] 서적 音楽と身体性 東京書籍 1991-01-01
[105] 뉴스 音楽教室での生徒の演奏、著作権料「支払う必要なし」 最高裁が初判断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2-10-24
[106] 웹사이트 最高裁がJASRACの訴え棄却、生徒演奏分は音楽教室に著作権使用料の支払い義務なし https://xtech.nikkei[...] 日経クロステック 2022-10-24
[107] 서적 Understanding Music Pearson/Prentice Hall 2008
[108] 뉴스 Mark O’Connor to release American strings method http://www.bluegrass[...] Blue Grass Journal
[109] 웹인용 O'Connor Violin Method http://markoconnor.c[...] Mark O'Connor Musik International 2010-02-01
[110] 서적 The New Harvard Dictionary of Music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198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