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응아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응아삐는 "눌린 생선"을 뜻하는 버마어에서 유래된 발효된 생선 제품이다. 미얀마 남부 지역의 주요 식재료이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응아삐는 미얀마 요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역사적으로 경제적 가치를 지녔다. 라카인, 에야와디, 타닌타리 등 지역별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세인자 응아피, 응아피 다웅, 응아피 예이 등 다양한 조리법으로 섭취된다. 단백질과 요오드의 공급원이 될 수 있지만, 염분 함량이 높아 고혈압 환자는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장 - 가룸
    가룸은 고대 로마 시대에 생선 내장과 소금을 발효시켜 만든 생선 소스로, 로마 요리의 필수 조미료였으며 다양한 등급으로 생산되어 멸망 이후 제조법이 단절되었으나 오늘날 여러 음식에 영향을 미쳤다.
  • 어장 - 우스터셔 소스
    우스터셔 소스는 19세기 영국에서 개발되어 상업화된 소스로, 몰트 식초, 주정 식초, 당밀, 설탕, 소금, 멸치, 타마린드 등을 주재료로 하여 독특한 풍미를 내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고 일본에서는 독자적인 소스 문화가 발달했다.
  • 새우 요리 - 발리샹
    발리샹은 크릴새우 발효 조미료로, 동남아시아, 특히 마카오에서 사용되며, 이름의 유래에 대한 여러 설이 있고, 독특한 냄새와 짭짤한 풍미가 특징이며, 마카오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발리샹 골목'이 있다.
  • 새우 요리 - 새우깡
    농심에서 1971년 출시된 새우깡은 대한민국 최초의 스낵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손이 가요 손이 가" CM송으로 유명하고, 논란에도 불구하고 농심의 대표적인 장수 제품이다.
  • 미얀마 요리 - 차파티
    차파티는 인도 아대륙의 주식이자 밀빵의 하나로, 밀가루와 물을 반죽하여 얇게 펴 타바에 구워 만들며, 다양한 음식과 함께 즐기는 납작한 빵이다.
  • 미얀마 요리 - 파라타
    파라타는 인도 아대륙에서 인기 있는 무발효 플랫브레드의 일종으로, 통곡물 반죽을 구워 만들며, 속을 채워 다양한 종류로 즐겨 먹는다.
응아삐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언어별 명칭한국어: 응아삐
미얀마어: ငါးပိ (ngapi)
어원눌린 생선
종류새우장, 어장, 페이스트
국가미얀마
관련 요리미얀마 요리
조리 정보
주재료새우 또는 생선
기타 재료해당사항 없음
영양 정보 (100g 기준)
칼로리정보 없음
단백질정보 없음
지방정보 없음
탄수화물정보 없음
혈당 지수정보 없음
기타
비슷한 음식응아친
새우 페이스트
플라 라
파대크
프라혹
바고옹
시오카라

2. 어원

Ngapi|응아삐mya버마어합성어로, 문자 그대로 "눌린 생선"을 의미한다.[1] 이 버마어 용어는 태국어, 라오어, 크메르어로 kapi|까피tha / kapi|까피lao / kapi|까피khm로 차용되었으며, 현재는 이 언어들에서 어류 페이스트가 아닌 새우젓을 지칭한다. 그러나 방글라데시에서는 새우젓을 "나삐"(nappi)라고 부른다.[1] 또한, 버마 이주민들이 미조람에 응아삐를 도입하면서 미조어 표기법을 사용하여 nghapih|응아피lus라고 불리지만, 새우젓을 의미한다.[2]

영어에서 응아삐는 이전에 여러 방식으로 표기되었으며, 그 중에는 '''응아피'''(ngapee),[3] '''응아-피'''(nga-pee)[4] 및 '''그나피'''(gnapee)[5]가 있었다.

3. 역사

19세기 미얀마 수채화로 묘사된 ''응아삐'' 판매상


''응아삐''는 미얀마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동남아시아 대륙은 발효된 생선 제품의 가장 다양한 종류를 가지고 있다.[1] "응아삐"를 언급하는 가장 오래된 기록은 서기 1세기에 기록된 몬어 암각화이다.[6] ''응아삐'' 제작자는 또한 1100년대에서 1400년대에 걸쳐 기록된 미얀마 석조 및 대리석 비문에 등재되어 있다.[6]

몬족은 1400년대까지 ''응아삐''의 거래 패턴을 확립하여, 상부 미얀마의 바마르족으로부터 루비, 벤조인, 사향과 교환하여 ''응아삐'', 소금, 쌀을 거래했다.[6] ''응아삐''의 거래는 식민지 이전 시대에 경제적으로 중요했으며, 몬 왕국이 꼰바웅 왕국에 조공품으로 바치기도 했다.

1880년, 꼰바웅 왕조 시대의 학자인 포 흘라잉은 ဥတုဗောဇနသင်္ဂဟကျမ်းmya 논문에서 응아삐가 담즙과 가래의 확산을 막고 소화를 향상시키는 등 건강에 좋은 효과가 있다고 언급했다.[6]

영국령 버마 시대 동안, 유럽 관찰자들은 미얀마 요리에서 ''응아삐''의 중요성을 기록하면서도, 그 냄새를 "매우 불쾌하고", "역겹다"고 묘사하기도 했다.[7][8]

4. 활용

집에서 만든 타마린드 응아삐 깨우


''응아삐''는 서부 및 남부 해안 지역에서 유래한 미얀마 남부 요리의 주요 재료이다. 전통적인 미얀마 북부 요리(바마족, 샨족 등)에서는 주요 재료로 쓰이지 않았으나, 현대에 들어 운송 수단이 개선되면서 ''응아삐''는 미얀마 북부에서도 인기를 얻게 되었다.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며 여러 가지 방식으로 섭취된다. 구워서 먹거나 볶아서 단독으로 먹기도 하고, ငါးပိရည်|응아삐 예mya라고 불리는 묽은 소스 형태로 만들거나, 샐러드에 넣거나, 고추와 함께 으깨어 먹거나, ''발라총''처럼 튀겨서 먹기도 한다. 또한 수프의 기본 재료나 주요 요리에도 사용된다.

5. 지역별 종류


  • 라카인 응아삐(ရခိုင်ငါးပိ|Rakhine ngapibur): 라카인 주의 응아삐는 소금을 거의 넣지 않거나 전혀 사용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라카인족은 주로 바다와 관련된 생활을 하기 때문에 해양 어류를 주재료로 사용한다. 라카인 응아삐는 라카인의 대표적인 요리인 '몬 디'(mont di)의 국물 베이스로 사용되며, 다른 응아삐처럼 다양한 요리에 널리 쓰인다.
  • 에야와디 및 타닌타리 응아삐: 에야와디 지역과 타닌타리 지역에서는 주로 민물고기를 사용하여 응아삐를 만든다. 이 지역의 응아삐는 일반적으로 소금을 많이 넣어 만든다. 이런 형태의 응아삐는 미얀마 전역에서 더 널리 사용되며, 미얀마 사람들은 라카인 지역의 응아삐보다 짠맛이 강한 응아삐에 더 익숙하다. 특히 미에 지역의 응아삐는 매우 유명하며, 다른 지역의 응아삐보다 더 짠 편이다.

6. 다양한 응아삐 요리

다양한 전통 미얀마 카레 및 요리에 둘러싸인 ''응아삐 예이 교'' 한 접시


응아삐의 활용도는 미얀마 사람들이 응아삐를 먹기 위해 개발한 다양한 방식에서 잘 드러난다.

  • '''''세인자 응아삐''''' (စိမ်းစားငါးပိmy) – 일반적으로 새우로 만들며, 날것으로 먹을 수 있는 응아삐의 한 종류이다.[9]
  • '''''응아삐 다웅''''' (ငါးပိထောင်းmy, ''가루 응아삐'') – 응아삐를 기름 없이 프라이팬에 굽거나 볶아서 만든다.[10] 지역이나 가족의 취향에 따라 마늘, 붉은 고추 또는 녹색 고추와 함께 돌 절구에 넣고 빻기도 한다.
  • '''''응아삐 예이''''' (ငါးပိရည်my, ''묽은 응아삐'') – 카렌족과 버마족 요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소이다. 사가우 카렌어로는 ''냐-우-티'' (ညၣ်အူထံksw)라고 부른다. 응아삐(주로 통생선 응아삐를 사용하지만, 생선이나 새우 응아삐도 가능)를 양파, 토마토, 마늘, 후추 및 기타 향신료와 함께 끓여 만든다.[11] 이렇게 만든 녹회색의 국물 같은 소스는 모든 미얀마 식탁에 오른다. 신선하거나 데친 채소와 과일(민트, 양배추, 토마토, 그린 망고, 그린 사과, 올리브, 칠리, 양파, 마늘 등)을 응아삐 예이에 찍어 먹는데,[12] 이는 태국의 남 프릭, 인도네시아의 라랍, 말레이시아의 우람과 비슷한 방식이다. 때로는 경제적으로 넉넉하지 못한 가정에서 응아삐 예이가 주요 반찬이자 단백질 공급원이 되기도 한다.
  • '''''응아삐 토케''''' (ငါးပိသုပ်my, ''응아삐 샐러드'') – 라임이나 레몬 주스에 응아삐를 풀고 다진 양파와 고추를 섞어 만든 미얀마 샐러드이다.
  • '''''응아삐 쳇''''' (ငါးပိချက်my, ''요리된 응아삐'') – 기름에 볶아 만든 응아삐 요리이다. 샬롯, 고추, 토마토, 망고, 고추, 마리안 플럼, 타마린드 등 계절에 따라 구할 수 있는 다양한 과일과 채소를 넣어 만든다.[13][14]
  • '''''응아삐 끄에익''''' (ငါးပိကြိတ်my, ''다진 응아삐'') – 구운 라카인 응아삐를 큰 녹색 고추와 마늘과 함께 섞어 만든 라카인 지방의 조미료이다. ''응아욧 끄에익''(다진 칠리)이라고도 불린다.
  • '''''응아삐 가웅''''' (ငါးပိကောင်my, ''통째 응아삐 생선'') – 머리가 붙어 있는 상태로 내장만 제거하여 비교적 건조하게 발효시킨 염장 생선이다. 보통 튀겨서 먹으며, 잘게 부순 마른 붉은 고추 튀김과 으깬 마늘을 곁들여 낸다.
  • '''''페 응아삐''''' (ပဲငါးပိmy) – 고지대인 샨 주에서 유래한 응아삐로, 생선이나 새우 대신 발효시킨 콩으로 만든다. 이는 ''페 복'' 또는 토아 나오(샨어)라고도 불리며, 생선이나 새우 제품이 아니지만 응아삐라고 칭한다. ''페 응아삐''는 샨 요리와 미얀마 요리에서 풍미를 더하는 조미료로 사용되며, 카레를 만드는 데 쓰이기도 한다.
  • '''''응아삐 죠''''' (ငါးပိကြော်my; 또는 '''''응아삐 갸우''''', ''튀긴 응아삐'') – 잘게 썬 새우 플레이크, 양파, 마늘, 고추 등을 주재료로 하여 다양한 재료와 함께 볶아 만든 응아삐 요리이다.[15] 질감은 잼처럼 걸쭉한 것부터 솜털처럼 가벼운 것(''발라창'')까지 다양하며, 맛은 각 가정, 식당, 사원마다 다르다. ''응아삐 죠''는 미얀마 사원의 ''아흘루''(공양 의식)에 거의 항상 포함된다. 일부 ''응아삐 죠''에는 응아삐가 전혀 들어가지 않는 경우도 있다.

7. 영양

쌀과 함께 제공되는 응아삐 쿄


응아삐는 생선, 새우 또는 콩을 주재료로 하여 만들어지므로 좋은 단백질 공급원이다. 특히 바다 생선이나 새우로 만든 응아삐에는 요오드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모든 해산물에 많이 들어있는 영양소이다. 이러한 특징은 평소 요오드 섭취가 부족하거나 요오드화 소금을 구하기 어려운 내륙 지역 주민들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만, 응아삐를 만드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소금이 사용되기 때문에 염분 함량이 높은 편이다. 따라서 염분에 민감하거나 고혈압이 있는 사람은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이 좋다.

참조

[1] 논문 On the Origins, Diffusion and Cultural Context of Fermented Fish Products in Southeast Asia http://icc.fla.sophi[...] Sophia University Institute of Comparative Culture 2021-10-19
[2] Youtube Nghapih Kan Reitak Dah Theih/Shrimp paste Easy & Tasty Recipe Mizo Eisiamo https://www.youtube.[...] 2023-04-12
[3] 간행물 Encyclopædia Britannica 9th ed. 1876
[4] 간행물 Personal Recollections of British Burma and Its Church Mission Work in 1878–79 http://anglicanhisto[...] Society for the Propagation of the Gospel in Foreign Parts 1880
[5] 간행물 Oxford English Dictionary, 3rd ed.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6] 서적 Industrialization of Indigenous Fermented Foods, Revised and Expanded CRC Press 2004-03-26
[7] 서적 The Burman: His Life and Notions https://books.google[...] Macmillan and Company 1882
[8] 서적 Among the Burmans: A Record of Fifteen Years of Work and its Fruitage Flemeng Revell Company
[9] 웹사이트 ကုန်ကြမ်းဖြစ်သော ငါးသေးလေးများ ရှားပါးလာသောကြောင့် ငါးပိစျေးကွက်အတွင်း နှစ်စဉ်စျေးနှုန်း မြင့်တက်လျက်ရှိ https://myanmar.mmti[...] 2021-01-14
[10] 웹사이트 ထားဝယ်ပိထော (ငါးပိထောင်း)၊ ပိသုပ် (ငါးပိသုပ်) https://www.mdn.gov.[...] 2021-01-14
[11] 웹사이트 ပုဇွန်ငါးပိရည်ကျို https://yangonlife.c[...] 2021-01-14
[12] 서적 Mandalay: Recipes and Tales from a Burmese Kitchen Bloomsbury Publishing 2019-06-13
[13] 웹사이트 မြန်မာတွေရဲ့ အသည်းစွဲဟင်းတစ်ခွက် ငါးငါးပိချက် https://www.howtocoo[...] 2021-01-14
[14] 웹사이트 Nga Pi Chet https://www.kite-tal[...] 2023-12-27
[15] 웹사이트 အခြောက်အခြမ်းထားပြီး စားစရာ ငါးပိကြော်နည်း https://www.howtocoo[...] 2021-01-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