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조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조어는 시노티베트어족 쿠키친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미조어는 여러 방언을 가지며, 루샤이어는 미조족 상위 계급을 가리키는 외부 명칭이다. 미조어의 음운론은 자음, 모음, 성조로 구성되며, 로마자를 기반으로 한 25개의 문자를 사용한다. 미조어는 동사 활용, 명사 굴절, 대명사, 부정, 수사, 어순 등 다양한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미조어는 문어와 구전 전통을 가진 문학이 발달했으며, 미조람 지역에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티베트어족 - 중국어파
중국어파는 중국어 및 그 방언들을 묶어 부르는 말로, 중국티베트어족의 주요 어군이며, 현대 언어학에서는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로 차이가 큰 여러 방언들을 별개의 어군으로 분류한다. - 중국티베트어족 - 발티어
발티어는 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과 인도 카르길 및 라다크 지역에서 사용되는 시노티베트어족 언어로, 네 가지 상호 이해 가능한 방언으로 나뉘며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주로 사용하고 풍부한 음운 체계를 가지나, 우르두어와 영어의 영향 및 정치적·종교적 요인으로 인해 언어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인도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인도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미조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미조어 |
고유 이름 | Mizo ṭawng 또는 Duhlián ṭawng |
사용 국가 | 인도 방글라데시 미얀마 |
사용 지역 | 미조람 주, 인도 치타공 구릉지대, 방글라데시 친 주 및 사가잉 주, 미얀마 미조족이 거주하는 기타 지역 |
사용자 | 1,000,000+명 |
사용자 수 정보 | 2011–2022년 기준 인도 830,846명, 미얀마 189,000명, 방글라데시 70,000명; 총 1,089,846명 (디아스포라 제외) |
민족 | 미조족 |
언어 계통 | 중국티베트어족 티베트-미얀마어파 중앙 티베트-미얀마어군(?) 쿠키친나가어군 쿠키친어군 중앙 쿠키친어군 |
문자 | 라틴 문자 (미조 문자) 벵골-아삼 문자 |
공용어 지정 국가 | 미조람 주 (인도) |
ISO 639-2 | lus |
ISO 639-3 | lus |
Glottolog | lush1249 |
Glottolog 설명 | 미조어 |
![]() | |
언어 상태 | |
취약성 | 취약 |
2. 분류
미조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쿠키친어군으로 분류된다.[8] 미조어 화자들은 이 어군을 'Zohnahthlâk ṭawngho' 또는 'Mizo ṭawngho'라고 부르며, 이 어군에 속한 언어들과 상당수의 단어를 공유한다.[9]
미조어에는 여러 방언이 존재한다. 루샤이어(Lushai)는 외부 명칭이며, 미조족의 상위 계급을 가리키는 lû-séi에서 유래했다. '미조'는 미조족의 자칭이며, '고지(zó)의 사람(mî)'을 의미한다.
(내용 보강 필요)
3. 방언
4. 역사
5. 음운론
5. 1. 자음
미조어는 다음과 같은 자음을 가지고 있으며, 첫 번째 기호는 정자법 형태이고 두 번째 기호는 IPA에서의 표현이다:[10]
rowspan=2 colspan=2| | 순음 | 치음 | 치경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중설 | 설측 | ||||||
파열음/ 파찰음 | 무성 | p | t | ch [t͡s] | tl [t͡l] | k | h 1 |
유기 | ph [] | th [] | chh [t͡s], [] | thl [t͡lʰ] | kh [] | ||
유성 | b | d | |||||
탄음 | ṭ [t͡ɾ] | ||||||
유기 탄음 | ṭh [t͡ɾʰ] | ||||||
마찰음 | 무성 | f | s | h | |||
유성 | v | z | |||||
공명음 | 평음 | m | n | r | l | ng | |
유기 | hm [] | hn [] | hr [] | hl [] | ngh [] | ||
성문음화1 | rh [] | lh [] |
성문음과 성문음화 자음은 종결 위치에서만 나타난다.
Chhangte (1986)는 /t/, /th/를 치음, []로 보고 있으며, /r/, /hr/을 탄음, /tl/, /thl/을 파찰음으로 취급하고 있다. 음절의 말음에 오는 단일 자음은 /p, t, k, s, ʔ, m, n, r, l/이다. 유음과 성문 폐쇄음의 자음 결합 /lʔ, rʔ/도 음절 말에 나타날 수 있다.
5. 2. 모음
단순 모음은 /a, e, i, o, u/의 5종류가 있으며, 각각 장모음과 단모음으로 구별된다[10]. /e/와 /o/는 음소상 [ɛ], [ɔ]로 실현된다.
이중 모음에는 /ai, ei, oi, ui, au, ou, iu, ua, ia/가 있다. 또한 삼중 모음으로 /iau/가 있다.
5. 2. 1. 단모음
미조어의 단순 모음은 /a, e, i, o, u/의 5종류가 있으며, 각각 장모음과 단모음으로 구별된다.[10] /e/와 /o/는 음소상 [ɛ], [ɔ]로 실현된다.
5. 2. 2. 이중 모음
wikitablea로 시작 | e로 시작 | i로 시작 | u로 시작 |
---|---|---|---|
ai (/aɪ̯/, /ɑːi/ 또는 /ai/) | ei (/eɪ̯/, /ɛi/ 또는 /ɛɪ̯/) | ia (/ɪə̯/ /ɪa/, /ja/ 또는 /ɪa̭/) | ua (/u̯a/ 또는 /ua̭/) |
au (/aʊ̯/, /ɑːʊ̯/) | eu (/ɛu/, /eʊ/ 또는 /eʊ̯/) | iu (/ɪʊ̯/ 또는 /iw/) | ui (/ɥi/ 또는 /ʔwi/) |
```
이중 모음에는 /ai, ei, oi, ui, au, ou, iu, ua, ia/가 있다. 또한 삼중 모음으로 /iau/가 있다.
5. 2. 3. 삼중 모음
- '''iai''', 예시: ''iai'', ''p'''iai''''
- '''iau''', 예시: ''r'''iau''''' ruau, ''t'''iau''''' tuau 등.
- '''uai''', 예시: '''uai''', ''z'''uai''''', ''t'''uai''''', ''v'''uai'''''
- '''uau''', 예시: riau ''r'''uau''''', tiau ''t'''uau''''', ''s'''uau''' s'''uau'''''.
5. 3. 성조
미조어는 성조 언어이므로, 음높이와 음높이 윤곽의 차이는 단어의 의미를 바꿀 수 있다.[11] 성조 체계는 많은 하위 언어에서 독립적으로 발전했으며, 주로 가능한 음절 종결 자음과 음절 시작 자음의 단순화에 의해 이루어졌다.[11] 일반적으로 무성 자음과 유성 자음 사이의 구별은 고음과 저음의 구별으로 대체되며, 하강조와 상승조는 음절 종결 ''h''와 성문 파열음에서 발전했는데, 이들은 종종 이전의 자음을 반영한다.[11]모음 ''a''(그리고 미조어의 모든 성조를 구성하는 모음 ''aw'', ''e'', ''i'', ''u'')가 가질 수 있는 8개의 성조와 억양은 다음과 같이 문자 시퀀스 '''p'''-'''a'''-'''n'''-'''g'''로 표시된다:[11]
- 장고음: '''''páng''' là'' (문장 ''Thingküng '''sáng''' tak kan huanah a ding''의 '''sáng'''과 같은 억양)
- 장저음: ''Tui a kawt '''pàng''' pâng mai'' (단어 '''''vàng'''laini''의 '''vàng'''과 같은 억양)
- 피크 성조: ''Tui a kawt pàng '''pâng''' mai'' (문장 ''I hla phuah '''thlûk''' chu a va mawi ve''의 '''thlûk'''과 같은 억양)
- 하강 성조: ''Tuibur a hmuam '''päng''' mai'' (문장 ''Kan huan ka '''säm''' vêl mai mai''의 '''säm'''과 같은 억양)
- 단음 상승조: ''nau'''pǎng''''(문장 ''Kan huanah '''thǎng''' ka kam''의 '''thǎng'''과 같은 억양)
- 단음 하강조: ''I va inkhuih '''pȧng''' ve?'' (문장 ''I lam ka rawn '''pȧn''' ''의 '''pȧn'''과 같은 억양)
- 단음 중간조: ''A dik lo nghâl '''pang''''(문장 ''Sazu ka '''man''' ''의 '''man'''과 같은 성조)
- 단음 저음: ''I '''pạng''' a sá a nih kha'' (문장 ''I '''chạl'''ah thosí a ''fù'' ''의 '''chạl'''과 같은 성조)
단음 | 장음 | ||||||
---|---|---|---|---|---|---|---|
중간 | 상승 | 하강 | 저음 | 피크 | 고음 | 하강 | 저음 |
a | (ǎ / ă) / ả | (ȧ / ã) / ą | ạ | â | á | ä | à |
o | (ǒ / ŏ) / ỏ / (ó) | ọ / (ò) | |||||
aw | (ǎw / ăw) / ảw | (ȧw / ãw) / ąw | ạw | âw | áw | äw | àw |
u | (ǔ / ŭ) / ủ | (ů / ũ) / ų | ụ | û | ú | ü | ù |
e | (ě / ĕ) / ẻ | (ė / ẽ) / ę | ẹ | ê | é | ë | è |
i | (ǐ / ĭ) / ỉ | (ĩ) / į | ị | î | í | ï | ì |
발음 구별 기호를 사용한 성조의 정확한 표기법은 아직 표준화되지 않았다.[11] 장음과 단음을 구분하기 위해 곡절 부호를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특히 네 개의 단음의 구별을 위한 발음 구별 기호의 혼란스럽거나 상충되는 선택으로 인해 문제가 있다. 또한, 적어도 일곱 개의 발음 구별 기호가 필요하면, 미조어 자체에 기본 라틴 문자가 모두 필요하지 않더라도 데드 키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쉬운 키보드 레이아웃을 설계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출판물은 이중 문자를 사용하여 단음을 나타낼 수 있다(예: 일부 아포스트로피 또는 성문 문자를 추가하여) 필요한 발음 구별 기호의 수를 데드 키 두 개에만 네 개(현재 장음에 사용되는 것)로 줄인다.
각 음절은 고평형 á [55], 저평형 a [22], 고강형 â [51], 저강형 à [21] 중 하나의 피치를 동반한다. 음절 말에 /p, t, k, ʔ/가 오는 경우에는 고평형과 저평형만 구별된다.
6. 문자
미조어 문자는 로마자를 기반으로 하며 25개의 문자를 가지고 있다.[16]
문자 | a | aw | b | ch | d | e | f | g | ng | h | i | j | k |
---|---|---|---|---|---|---|---|---|---|---|---|---|---|
문자 | l | m | n | o | p | r | s | t | ṭ | u | v | z |
---|---|---|---|---|---|---|---|---|---|---|---|---|
현재 형태는 미조람의 최초 기독교 선교사인 J. H. 로레인과 F. W. 사비지가 헌터 시스템의 음역을 기반으로 고안했다.[16] 이 정자법은 두 사람이 1898년에 출판한 "루샤이어" 사전에 사용되었다. 로레인과 서비지의 정자법에서 음절 초두의 /ʔ/는 표기되지 않지만, 음절 말의 /ʔ/는 '''h'''로 쓴다.
웃음표 ''^''는 모음에 추가되어 장모음을 나타냈으며, Â, Ê, Î, Ô, Û 등은 미조어의 톤을 완전히 표현하기에 불충분했다.[17][18] 최근, 미조람의 주요 신문인 ''Vanglaini'', 잡지 ''Kristian Ṭhalai'' 및 기타 출판사들은 장음과 톤을 나타내기 위해 Á, À, Ä, É, È, Ë, Í, Ì, Ï, Ó, Ò, Ö, Ú, Ù, Ü를 사용하기 시작했다.[17][18]
다음 문장은 미조어의 정자법을 야부의 음운 전사와 대조한 것이다.
: Sikul ah châw ka ei. (sìkúl-ʔaʔ còo ká-ʔéi) "나는 학교에서 밥을 먹었다"
미조람 주의 2011년 문해율은 91.58%로, 인도 전체 평균 74.04%를 크게 웃돌고 있다.[23]
7. 문법
미조어의 동사 뒤에는 시제나 상, 무드 등을 나타내는 다양한 형식이 나타난다.[1]
법 조어 -ʔaŋ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ʔem은, 부정 표지 -lò 뒤에 나타난다.
:ʔâ-kál-dóon-lò-ʔaŋ.
:"그는/그녀는 가지 않을 것이다."
명령은 -rooʔ, 부정의 명령은 -suʔ를 붙여 나타낸다.[1]
:*kál-suʔ "가지 마."
동작의 양태를 나타내는 부사는, 동사의 앞과 뒤 어느 쪽에나 붙는다.[2]
:rang tak-ʔìn ʔâ-thou.
:"그는/그녀는 매우 빠르게 몸을 일으켰다."
:ʔâ-thou rang.
:"그는/그녀는 빠르게 몸을 일으켰다."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요소는 동사 앞에 나타난다.[2]
:ni mín-ʔaʔ ʔâ-thíi.
:"그는/그녀는 어제 죽었다."
:Ái zóol-ʔaʔ zúu ʔâ-zúar.
:"그는/그녀는 아이자울에서 맥주를 판다."
미조어[12] 동사의 시제는 ''상''과 입자 추가로 표시된다:[13]
- ''ang'' (단순 미래)
- ''tawh'' (단순 과거 및 과거 완료)
- ''mék'' (진행 시제, 현재 및 과거)
- ''dáwn'' (단순 미래)
- ''dáwn mék'' (근미래)
동명사와 과거 분사는 tihdanglamnalus라고 불리는 어미의 변화를 통해 형성된다.
동사 | 변형된 형태 |
---|---|
쓰다/ziaklus | 쓰기, 쓰여진/ziahlus |
갈다/tâtlus | 갈기, 갈린/tahlus |
이혼하다/màlus | 이혼하기, 이혼된/mâklus |
미조어 명사는 굴절을 통해 격으로 변화한다.[14]
주격/대격 | 소유격 | 능격 | 도구격 | ||||||||||||||||||||||||||||||||||||||||||||||||||||||||||||||||||||||||||||||||||||||||||||||||||||||
---|---|---|---|---|---|---|---|---|---|---|---|---|---|---|---|---|---|---|---|---|---|---|---|---|---|---|---|---|---|---|---|---|---|---|---|---|---|---|---|---|---|---|---|---|---|---|---|---|---|---|---|---|---|---|---|---|---|---|---|---|---|---|---|---|---|---|---|---|---|---|---|---|---|---|---|---|---|---|---|---|---|---|---|---|---|---|---|---|---|---|---|---|---|---|---|---|---|---|---|---|---|---|---|---|---|
그 소녀/nụlálus | 그 소녀의/nụlalus | 그 소녀에 의해/nụláịnlus | 그 소녀를 통해/nụláinlus | ||||||||||||||||||||||||||||||||||||||||||||||||||||||||||||||||||||||||||||||||||||||||||||||||||||||
{{llang|lus|tǔi|} | }
단수 | 복수 |
---|---|
남자/mipalus | 남자들/mipate, mipaholus |
아이/naupanglus | 아이들/naupangte, naupangholus |
명사와 이를 수식하는 요소의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복수 접미사 -té는 "~등"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 ʔin-té "여러 채의 집" "집 등"
- ká-nûu-té ká-pâa-té "나의 어머니라든가 아버지라든가"
동사가 수식어로서 명사 뒤에 직접 붙는 경우 주어 인칭 접사는 붙지 않는다.
- mî-ṭhà "선인"(사람-좋은)
- khâ mî-khá ʔâ-ṭhà-ʔê. "그 사람은 좋다"(그 사람-그 3SG-좋은-문미 조어)
명사구 뒤에는 격의 표지가 나타난다. 능격 표지 -ʔìn은 도구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 tiaŋ-ʔìn ká-vuaa. "나는 (그것을) 막대기로 쳤다." (막대기-INS 1SG-치다)
장소를 나타내는 -ʔaʔ (이형태 -ʔà)는 여격, 향격, 처격, 탈격에 상당하는 폭넓은 기능을 갖는다.
모든 미조어 대명사는 자유형과 부착형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나며 격변화를 한다.[15]
평서문에서 부정은 문장 끝에 입자 ''lo'' (아니다)를 추가하여 나타낸다.
문장 | 부정 |
---|---|
라라 아 로 칼 라라가 온다/라라가 왔다 | 라라 아 로 칼 로 라는 오지' 않는다 |
파투민 파룩 아 셈 테이 3은 6을 나눈다 | 파투민 파룩 아 셈 테이 로 은 6을 나누지' 않는다 |
미조어의 수사 체계는 다음과 같다.
- 하나/pakhatlus
- 둘/pahnihlus
- 셋/pathumlus
- 넷/palilus
- 다섯/pangálus
- 여섯/paruklus
- 일곱/pasarihlus
- 여덟/pariatlus
- 아홉/pakualus
- 열/sàwmlus
- 열하나/sàwmpakhatlus
- 열아홉/sàwmpakualus
- 스물/sawmhnihlus
- 서른/sawmthumlus
- 아흔/sawmküalus
- 백/zàlus
- 오백/zangálus
- 천/säng(khat)lus
- 만/sïng(khat)lus
- 십만/nûaih(khat)lus
- 백만/maktadûaihlus
- 천만/vaibelchhialus
- 억/vaibelchhetaklus
- 십억/tlûklehdingäwnlus
1부터 10까지의 수사는 다음과 같다。
1 | pà-khat |
---|---|
2 | pà-hniʔ |
3 | pà-thúm |
4 | pà-lí |
5 | pà-ŋá |
6 | pà-ruk |
7 | pà-sariʔ |
8 | pà-riat |
9 | pà-kua |
10 | sòom |
"11"은 sòom-leʔ pà-khat (접미사 -leʔ는 병렬을 나타냄), "20"은 sòom-hniʔ가 된다。
미조어의 기본 어순은 SOV형이다.[24] 얼라인먼트는 능격-절대격 유형으로, 타동사의 주어에는 능격 표지 -ʔìn이 붙는다. 반면 자동사의 주어나 타동사의 목적어에는 아무것도 붙지 않는다(즉, 절대격 표지는 제로이다).
{{예시
|label = (2)
| ex1 = lál-hô-∅
| ex2 = ʔan-lo kál.
|gloss1 = 족장-PL-ABS
|gloss2 = 3PL-오다
| translation = "족장 일행이 왔다."
|ref = (야부 1993: 452, 글로스를 일부 수정)
}}
{{예시
|label = (3)
| ex1 = lál-hô-vìn
| ex2 = còo-∅
| ex3 = ʔan-ʔéi.
|gloss1 = 족장-PL-ERG
|gloss2 = 밥-ABS
|gloss3 = 3PL-먹다
| translation = "밥은 족장 일행이 먹었다."
|ref = (야부 1993: 452, 글로스를 일부 수정)
}}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별 없이, 동사의 인칭과 수는 주어와 일치한다. 위의 예시에서 주어 lál-hô "족장들"은 삼인칭 복수를 나타내는 동사 접두사 ʔan-과 호응하고 있다.
미조어의 지시사는 화자와 지시 대상의 위치 관계에 따라 근칭, 중칭, 원칭으로 구분된다. 원칭 지시사에는 "동일 평면상에 있는 것", "상방에 있는 것", "하방에 있는 것"의 3종류가 있다.
단수 | |
---|---|
근칭 | hei...hî, he...hî |
중칭 | khâ...khá, chû...chú |
평원칭 | sô...só |
상원칭 | khî...khí |
하원칭 | khû...khú |
지시사를 명사에 덧붙여 사용할 경우, 명사는 ...의 위치에 나타난다. 예를 들어 sô...só의 경우, "sô ʔui-só"는 '저 개'를 의미한다. 지시사의 복수는 명사 앞에 오는 부분에 '''ŋ'''을 붙여서 형성된다. (예: he'''ŋ'''hî "이것들")
미조어에서 명사와 이를 수식하는 요소의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도식화할 수 있다.
복수 접미사 -té는 "~등"의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다.
- ʔin-té "여러 채의 집" "집 등"
- ká-nûu-té ká-pâa-té "나의 어머니라든가 아버지라든가"
동사가 수식어로서 명사 뒤에 직접 붙는 경우 주어 인칭 접사는 붙지 않는다.
- mî-ṭhà "선인"(사람-좋은)
- khâ mî-khá ʔâ-ṭhà-ʔê. "그 사람은 좋다"(그 사람-그 3SG-좋은-문미 조어)
명사구 뒤에는 격 표지가 나타난다. 능격 표지 -ʔìn은 도구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 tiaŋ-ʔìn ká-vuaa. "나는 (그것을) 막대기로 쳤다." (막대기-INS 1SG-치다)
장소를 나타내는 -ʔaʔ (이형태 -ʔà)는 여격, 향격, 처격, 탈격에 상당하는 폭넓은 기능을 갖는다.
미조어에서는 동작이 행해지는 위치나 방향을 나타내는 접사가 동사의 바로 앞에 나타난다. 이러한 방향 접사에는 vá(화자에게서 향하는 동작), ròn(청자에게 향하는 동작 (의문문), 화자에게 향하는 동작 (그 외)), lo(화자에게 향하는 동작), hàn(화자의 상방을 향하는 동작), zuk(화자의 하방을 향하는 동작) 등이 있다.
방향 조사는 지시사와 의미상 일치를 보인다. 예를 들어, 위를 향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방향 조사 hàn은 상원칭의 지시사 khî...khí와 함께 사용된다.
상태 동사에 방향 조사가 붙으면, 정도가 심하거나 예상을 넘어서고 있음을 나타낸다.
7. 1. 동사
미조어의 동사 뒤에는 시제나 상, 무드 등을 나타내는 다양한 형식이 나타난다.[1]법 조어 -ʔaŋ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ʔem은, 부정 표지 -lò 뒤에 나타난다.
:ʔâ-kál-dóon-lò-ʔaŋ.
:"그는/그녀는 가지 않을 것이다."
명령은 -rooʔ, 부정의 명령은 -suʔ를 붙여 나타낸다.[1]
:*kál-suʔ "가지 마."
동작의 양태를 나타내는 부사는, 동사의 앞과 뒤 어느 쪽에나 붙는다.[2]
:rang tak-ʔìn ʔâ-thou.
:"그는/그녀는 매우 빠르게 몸을 일으켰다."
:ʔâ-thou rang.
:"그는/그녀는 빠르게 몸을 일으켰다."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요소는 동사 앞에 나타난다.[2]
:ni mín-ʔaʔ ʔâ-thíi.
:"그는/그녀는 어제 죽었다."
:Ái zóol-ʔaʔ zúu ʔâ-zúar.
:"그는/그녀는 아이자울에서 맥주를 판다."
7. 1. 1. 활용
미조어[12] 동사의 시제는 ''상''과 입자 추가로 표시된다:[13]- ''ang'' (단순 미래)
- ''tawh'' (단순 과거 및 과거 완료)
- ''mék'' (진행 시제, 현재 및 과거)
- ''dáwn'' (단순 미래)
- ''dáwn mék'' (근미래)
동사 뒤에는 시제나 상, 무드 등을 나타내는 다양한 형식이 나타난다.
- -tooʔ: 과거/완결
- -dóon: 근접 미래
- -méek: 진행
- -tâ: 시동
- -thèi: 가능
- -duʔ: 희망
- -ʔaŋ: "그럴듯한 사건이나 상태"
법 조어 -ʔaŋ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ʔem은, 부정 표지 -lò 뒤에 나타난다.
- ʔâ-kál-dóon-lò-ʔaŋ. ("그는/그녀는 가지 않을 것이다.")
명령은 -rooʔ, 부정의 명령은 -suʔ를 붙여 나타낸다.
- kál-suʔ "가지 마."
동작의 양태를 나타내는 부사는, 동사의 앞과 뒤 어느 쪽에나 붙는다.
- rang tak-ʔìn ʔâ-thou. ("그는/그녀는 매우 빠르게 몸을 일으켰다.")
- ʔâ-thou rang. ("그는/그녀는 빠르게 몸을 일으켰다.")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요소는 동사 앞에 나타난다.
- ni mín-ʔaʔ ʔâ-thíi. ("그는/그녀는 어제 죽었다.")
- Ái zóol-ʔaʔ zúu ʔâ-zúar. ("그는/그녀는 아이자울에서 맥주를 판다.")
7. 1. 2. 동사의 변형
동명사와 과거 분사는 tihdanglamnalus라고 불리는 어미의 변화를 통해 형성된다.동사 | 변형된 형태 |
---|---|
쓰다/ziaklus | 쓰기, 쓰여진/ziahlus |
갈다/tâtlus | 갈기, 갈린/tahlus |
이혼하다/màlus | 이혼하기, 이혼된/mâklus |
동사 뒤에는 시제나 상, 무드 등을 나타내는 다양한 형식이 나타난다.
법 조어 -ʔaŋ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ʔem은, 부정 표지 -lò 뒤에 나타난다.
:'ʔâ-kál-dóon-lò-ʔaŋ.'
:"그는/그녀는 가지 않을 것이다."
명령은 -rooʔ, 부정의 명령은 -suʔ를 붙여 나타낸다.
:*kál-suʔ "가지 마."
동작의 양태를 나타내는 부사는, 동사의 앞과 뒤 어느 쪽에나 붙는다.
:'rang tak-ʔìn ʔâ-thou.'
:"그는/그녀는 매우 빠르게 몸을 일으켰다."
:'ʔâ-thou rang.'
:"그는/그녀는 빠르게 몸을 일으켰다."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요소는 동사 앞에 나타난다.
:'ni mín-ʔaʔ ʔâ-thíi.'
:"그는/그녀는 어제 죽었다."
:'Ái zóol-ʔaʔ zúu ʔâ-zúar.'
:"그는/그녀는 아이자울에서 맥주를 판다."
7. 2. 명사
미조어 명사는 굴절을 통해 격으로 변화한다.[14]주격/대격 | 소유격 | 능격 | 도구격 | |||||||||||||||||||||||||||||||||||||||||
---|---|---|---|---|---|---|---|---|---|---|---|---|---|---|---|---|---|---|---|---|---|---|---|---|---|---|---|---|---|---|---|---|---|---|---|---|---|---|---|---|---|---|---|---|
그 소녀/nụlálus | 그 소녀의/nụlalus | 그 소녀에 의해/nụláịnlus | 그 소녀를 통해/nụláinlus | |||||||||||||||||||||||||||||||||||||||||
{{llang|lus|tǔi|} | }
단수 | 복수 |
---|---|
남자/mipalus | 남자들/mipate, mipaholus |
아이/naupanglus | 아이들/naupangte, naupangholus |
명사와 이를 수식하는 요소의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복수 접미사 -té는 "~등"의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 ʔin-té "여러 채의 집" "집 등"
- ká-nûu-té ká-pâa-té "나의 어머니라든가 아버지라든가"
동사가 수식어로서 명사 뒤에 직접 붙는 경우 주어 인칭 접사는 붙지 않는다.
- mî-ṭhà "선인"(사람-좋은)
- khâ mî-khá ʔâ-ṭhà-ʔê. "그 사람은 좋다"(그 사람-그 3SG-좋은-문미 조어)
명사구 뒤에는 격의 표지가 나타난다. 능격 표지 -ʔìn은 도구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 tiaŋ-ʔìn ká-vuaa. "나는 (그것을) 막대기로 쳤다." (막대기-INS 1SG-치다)
장소를 나타내는 -ʔaʔ (이형태 -ʔà)는 여격, 향격, 처격, 탈격에 상당하는 폭넓은 기능을 갖는다.
7. 3. 대명사
모든 미조어 대명사는 자유형과 부착형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나며 격변화를 한다.[15]
7. 4. 부정
평서문에서 부정은 문장 끝에 입자 ''lo'' (아니다)를 추가하여 나타낸다.문장 | 부정 |
---|---|
라라 아 로 칼 라라가 온다/라라가 왔다 | 라라 아 로 칼 로 라는 오지' 않는다 |
파투민 파룩 아 셈 테이 3은 6을 나눈다 | 파투민 파룩 아 셈 테이 로 은 6을 나누지' 않는다 |
7. 5. 수사
미조어의 수사 체계는 다음과 같다.- 하나/pakhatlus
- 둘/pahnihlus
- 셋/pathumlus
- 넷/palilus
- 다섯/pangálus
- 여섯/paruklus
- 일곱/pasarihlus
- 여덟/pariatlus
- 아홉/pakualus
- 열/sàwmlus
- 열하나/sàwmpakhatlus
- 열아홉/sàwmpakualus
- 스물/sawmhnihlus
- 서른/sawmthumlus
- 아흔/sawmküalus
- 백/zàlus
- 오백/zangálus
- 천/säng(khat)lus
- 만/sïng(khat)lus
- 십만/nûaih(khat)lus
- 백만/maktadûaihlus
- 천만/vaibelchhialus
- 억/vaibelchhetaklus
- 십억/tlûklehdingäwnlus
1부터 10까지의 수사는 다음과 같다。
1 | pà-khat |
---|---|
2 | pà-hniʔ |
3 | pà-thúm |
4 | pà-lí |
5 | pà-ŋá |
6 | pà-ruk |
7 | pà-sariʔ |
8 | pà-riat |
9 | pà-kua |
10 | sòom |
"11"은 sòom-leʔ pà-khat (접미사 -leʔ는 병렬을 나타냄), "20"은 sòom-hniʔ가 된다。
7. 6. 어순
미조어의 기본 어순은 SOV형이다.[24] 얼라인먼트는 능격-절대격 유형으로, 타동사의 주어에는 능격 표지 -ʔìn이 붙는다. 반면 자동사의 주어나 타동사의 목적어에는 아무것도 붙지 않는다(즉, 절대격 표지는 제로이다).{{예시
|label = (2)
| ex1 = lál-hô-∅
| ex2 = ʔan-lo kál.
|gloss1 = 족장-PL-ABS
|gloss2 = 3PL-오다
| translation = "족장 일행이 왔다."
|ref = (야부 1993: 452, 글로스를 일부 수정)
}}
{{예시
|label = (3)
| ex1 = lál-hô-vìn
| ex2 = còo-∅
| ex3 = ʔan-ʔéi.
|gloss1 = 족장-PL-ERG
|gloss2 = 밥-ABS
|gloss3 = 3PL-먹다
| translation = "밥은 족장 일행이 먹었다."
|ref = (야부 1993: 452, 글로스를 일부 수정)
}}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별 없이, 동사의 인칭과 수는 주어와 일치한다. 위의 예시에서 주어 lál-hô "족장들"은 삼인칭 복수를 나타내는 동사 접두사 ʔan-과 호응하고 있다.
7. 7. 지시사
미조어의 지시사는 화자와 지시 대상의 위치 관계에 따라 근칭, 중칭, 원칭으로 구분된다. 원칭 지시사에는 "동일 평면상에 있는 것", "상방에 있는 것", "하방에 있는 것"의 3종류가 있다.단수 | |
---|---|
근칭 | hei...hî, he...hî |
중칭 | khâ...khá, chû...chú |
평원칭 | sô...só |
상원칭 | khî...khí |
하원칭 | khû...khú |
지시사를 명사에 덧붙여 사용할 경우, 명사는 ...의 위치에 나타난다. 예를 들어 sô...só의 경우, "sô ʔui-só"는 '저 개'를 의미한다. 지시사의 복수는 명사 앞에 오는 부분에 '''ŋ'''을 붙여서 형성된다. (예: he'''ŋ'''hî "이것들")
7. 8. 명사구
미조어에서 명사와 이를 수식하는 요소의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도식화할 수 있다.복수 접미사 -té는 "~등"의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다.
- ʔin-té "여러 채의 집" "집 등"
- ká-nûu-té ká-pâa-té "나의 어머니라든가 아버지라든가"
동사가 수식어로서 명사 뒤에 직접 붙는 경우 주어 인칭 접사는 붙지 않는다.
- mî-ṭhà "선인"(사람-좋은)
- khâ mî-khá ʔâ-ṭhà-ʔê. "그 사람은 좋다"(그 사람-그 3SG-좋은-문미 조어)
명사구 뒤에는 격 표지가 나타난다. 능격 표지 -ʔìn은 도구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 tiaŋ-ʔìn ká-vuaa. "나는 (그것을) 막대기로 쳤다." (막대기-INS 1SG-치다)
장소를 나타내는 -ʔaʔ (이형태 -ʔà)는 여격, 향격, 처격, 탈격에 상당하는 폭넓은 기능을 갖는다.
7. 9. 동사구
미조어에서 동사 뒤에는 시제, 상, 무드 등을 나타내는 다양한 형식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tooʔ는 과거/완결, -dóon는 근접 미래, -méek는 진행, -tâ는 시동, -thèi는 가능, -duʔ는 희망을 나타낸다. 법 조어 -ʔaŋ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ʔem은, 부정 표지 -lò 뒤에 나타난다.명령은 -rooʔ, 부정 명령은 -suʔ를 붙여 나타낸다.
- kál-suʔ "가지 마."
동작의 양태를 나타내는 부사는 동사의 앞과 뒤 어느 쪽에나 붙을 수 있다.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내는 요소는 동사 앞에 나타난다.
7. 10. 방향 접사
미조어에서는 동작이 행해지는 위치나 방향을 나타내는 접사가 동사의 바로 앞에 나타난다. 이러한 방향 접사에는 vá(화자에게서 향하는 동작), ròn(청자에게 향하는 동작 (의문문), 화자에게 향하는 동작 (그 외)), lo(화자에게 향하는 동작), hàn(화자의 상방을 향하는 동작), zuk(화자의 하방을 향하는 동작) 등이 있다.방향 조사는 지시사와 의미상 일치를 보인다. 예를 들어, 위를 향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방향 조사 hàn은 상원칭의 지시사 khî...khí와 함께 사용된다.
상태 동사에 방향 조사가 붙으면, 정도가 심하거나 예상을 넘어서고 있음을 나타낸다.
8. 문학
미조어는 문어와 구전 전통을 모두 갖춘 번성하는 문학을 가지고 있으며, 20세기에 상당한 변화를 겪었다.[20] 미조 문학은 이러한 미조어 문학의 발전을 보여주는 중요한 예시이다. 미조람 언론 정보국은 2013년 3월 현재 아이자울 시에만 약 20개의 미조어 일간 신문이 등재되어 있다고 밝혔다.[21]
9. 샘플 텍스트
모든 사람은 자유롭게 태어나며 존엄성과 권리에서 평등하다. 그들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다. 그러므로 그들은 서로에게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해야 한다.[19]모든 인간은 자유롭게 태어나며 존엄성과 권리에서 평등하다. 그들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다. 그러므로 그들은 서로에게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해야 한다./All human beings are born free and equal in dignity and rights. They are endowed with reason and conscience. Therefore, they should act towards one another in a spirit of brotherhood.영어
참조
[1]
웹사이트
Statement 1: Abstract of speakers' strength of languages and mother tongues – 2011
http://www.censusind[...]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2022-04-01
[2]
뉴스
Why is Bangladesh driving Kuki refugees into Mizoram, a year after Myanmar militias did the same from Rakhine?
https://indianexpres[...]
2023-11-12
[3]
웹사이트
Kuki Mizo
https://kokborokoml.[...]
2022-08-30
[4]
웹사이트
Mizo
https://web.archive.[...]
2023-11-12
[5]
웹사이트
Ministry of Development of Northeastern Region, Mizoram State Information
https://mdoner.gov.i[...]
2021-11-09
[6]
문서
mzuir.inflibnet.ac.in
http://mzuir.inflibn[...]
[7]
웹사이트
Lalthangliana, B., ''Mizo tihin ṭawng a nei lo tih kha''
http://www.vanglaini[...]
[8]
서적
The Higlangders of Thailand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9]
웹사이트
Vanglaini
https://web.archive.[...]
2020-01-14
[10]
서적
Component Analysis of Lushai Phonology
John Benjamins B.V.
1975
[11]
문서
Mizo ṭawng thumal thar
[12]
간행물
Mizo Grammar
2002
[13]
간행물
Mizo Grammar and Composition
2002
[14]
웹사이트
The Grammar of Simple Clauses in Mizo
http://sealang.net/s[...]
2020-01-14
[15]
문서
This form is also used as the Accusative caseaccusative
[16]
서적
History and Culture of Mizo in India, Burma and Bangladesh
Aizawl
2001
[17]
문서
The Mizo Wiktionary
http://incubator.wik[...]
[18]
웹사이트
Wt/lus/Thlûkna chungchanga kaihhruaina - Wikimedia Incubator
https://incubator.wi[...]
2022-11-06
[19]
웹사이트
UDHR in Sino-Tibetan languages
https://www.omniglot[...]
2024-03-28
[20]
웹사이트
Lalthangliana, B., ''Mizo tihin ṭawng a nei lo tih kha''
http://www.vanglaini[...]
[21]
웹사이트
See the website
http://pibaizawl.nic[...]
2020-01-14
[22]
문서
Distribution of the 100 non-scheduled languages
http://www.censusind[...]
[23]
웹사이트
State of Literacy
https://censusindia.[...]
2024-09-29
[24]
문서
母音で終わる語の後では、しばしば異形態-nや-vìnが現れる。
[25]
웹인용
Statement 1: Abstract of speakers' strength of languages and mother tongues – 2011
http://www.censusind[...]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2018-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