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공지능의 개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인공지능(AI)은 인간의 지능을 모방하여 컴퓨터 시스템이 학습, 추론, 문제 해결, 지각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 및 과학 분야이다. AI는 기능과 능력에 따라 좁은 AI, 인공 일반 지능(AGI), 초지능으로 분류되며, 기호적 AI, 비기호적 AI, 통계적 AI 등 접근 방식에 따라서도 구분된다. AI는 탐색, 최적화, 논리, 확률적 방법, 분류기, 신경망 등 다양한 알고리즘과 기법을 활용하며, 자연어 처리, 컴퓨터 비전, 로봇 공학, 지식 경영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AI의 역사는 논리학, 기계 학습, 자연어 처리 등의 발전과 함께 이루어졌으며, 튜링 테스트, AI 효과 등의 개념과 관련된다. AI의 미래는 AGI, 초지능, 기술적 특이점, AI 윤리, AI 안전 등과 관련된 논의를 포함하며, 관련 단체와 연구자, 오픈 소스 도구, 프로젝트, 출판물 등이 존재한다.

2. 인공지능의 유형

인공지능은 기능과 능력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 지능 형태:
  • 합성 지능: 인간이 만든 실질적인 지능을 의미한다.
  • 테크놀로지 유형:
  • 컴퓨팅 유형: 일부 지능적 기능을 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한다.
  • 이머징 기술
  • 분야:
  • 학문과학의 한 분야이며, 응용과학의 분기이다.
  • 컴퓨터 과학의 분기로 간주된다.
  • 기능 및 능력 기반 분류
  • 약한 AI(좁은 AI): 지각 능력이 없는 기계 지능으로, 특정 업무에 초점을 맞춘다.
  • 강한 AI / 인공 일반 지능(AGI): 특정 문제뿐만 아니라 모든 문제에 지능을 적용할 수 있는 기계(가설적)이다. 이는 기술적 특이점과 연관되어 세계재앙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 초지능: 가장 뛰어난 인간의 지능을 초월하는 인공지능(가설적)이다. 반복적인 자가 개선을 통해 인공 일반 지능에서 빠르게 발전할 수 있다고 예측된다.
  • 접근 방식에 따른 분류
  • 기호적 AI vs. 하위 기호적 AI
  • 기호적 AI
  • 물리적 기호 시스템
  • 드레이퍼스의 AI 비판
  • 모라벡의 역설
  • 우아하고 단순함 vs. 임시적이고 복잡함
  • 니트 vs. 스커피
  • ''마음의 사회''(스커피 접근 방식)
  • ''마스터 알고리즘''(니트 접근 방식)
  • 일반성과 유연성 수준
  • 인공 일반 지능
  • 좁은 AI
  • 정밀도와 정확성 수준
  • 소프트 컴퓨팅
  • "하드" 컴퓨팅
  • 지능 수준
  • 인공 지능의 발전
  • 초인공지능
  • 의식, 마음의도성 수준
  • 중국어 방
  • 의식의 어려운 문제
  • 계산주의
  • 기능주의 (마음의 철학)
  • 로봇 권리
  • 사용자 착각
  • 인공 의식

2. 1. 지능 형태

2. 2. 기술 유형

2. 3. 능력 수준

인공지능은 능력 수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약한 AI(weak AI, 좁은 AI/narrow AI) – 지각이 없는 기계 지능으로, 일반적으로 폭이 좁은 업무에 초점을 맞춘다.
  • 강한 AI / 인공 일반 지능(strong AI,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GI) – (가설적) 하나의 특정한 문제가 아닌 모든 문제에 지능을 적용할 수 있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적어도 일반인만큼 똑똑한" 것을 의미한다. 기술적 특이점으로 거론되며 세계재앙위험을 구성한다.
  • 초지능(Superintelligence, 가설적) – 가장 밝고 가장 재능이 많은 인심을 초월하는 인공지능이다. 반복적인 자가 개선으로 인해 초지능은 인공 일반 지능 만들기의 빠른 산출물이 될 것으로 예견된다.

3. 인공지능의 접근 방식

심볼릭 AI는 1950년대 중반 디지털 컴퓨터가 등장하면서 시작된 접근 방식으로, 인간 지능이 기호 처리(symbolic manipulation)로 축소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탐구했다. 해석적 AI(Interpretational AI)는 단어 등의 입력을 사용하여 자연어 내에서 사물(특징이나 행위 포함)의 추상적 표현을 식별한다. GOFAI도 심볼릭 AI의 일종이다.

초기 사이버네틱스와 뇌 시뮬레이션은 초기의 인공지능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행위 기반 AI는 로드니 브룩스가 제안한 포섭 아키텍처와 관련이 있으며, 누벨 AI와도 연관된다. 소프트 컴퓨팅은 계산적 창의, 기계 학습, 퍼지 시스템, 진화 연산 등을 포함한다.

기계 학습의 한 종류인 신경망은 하이브리드 신경망, 순환 신경망, 퍼셉트론 등으로 세분화된다. 서포트 벡터 머신도 기계 학습의 중요한 방법론 중 하나이다. 진화 연산유전 알고리즘, Differential evolution 등의 진화 알고리즘과 개미 집단 최적화, 입자 집단 최적화 등의 메타휴리스틱떼 지능, 그리고 BELBIC 등을 포함한다.

확률 방식에는 베이즈 네트워크, 은닉 마르코프 모형, 칼만 필터 등이 있으며, 혼돈 이론도 비기호적 접근 방식에 포함된다.

통계 AI는 1990년대에 걸쳐 발전하였으며, 데이터 마이닝과 같이 다른 공학 문제에도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 통계적 AI는 베이즈 네트워크, 은닉 마르코프 모형, 칼만 필터와 같은 확률 방식과, 신경망, 서포트 벡터 머신과 같은 기계 학습, 그리고 혼돈 이론 등을 포함한다.

3. 1. 기호적 접근 (Symbolic AI)

1950년대 중반 디지털 컴퓨터의 등장으로, AI 연구는 인간 지능이 기호 처리(symbolic manipulation)로 축소될 수 있는지 탐구하기 시작했다. 해석적 AI(Interpretational AI)는 단어 등의 입력을 사용하여 자연어 내에서 사물의 추상적 표현을 식별한다. 이때, 사물뿐 아니라 특징이나 행위도 포함된다.

3. 2. 비기호적 접근 (Subsymbolic AI)

초기 사이버네틱스와 뇌 시뮬레이션은 초기의 인공지능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행위 기반 AI는 로드니 브룩스가 제안한 포섭 아키텍처와 관련이 있으며, 누벨 AI와도 연관된다. 소프트 컴퓨팅은 계산적 창의, 기계 학습, 퍼지 시스템, 진화 연산 등을 포함한다.

기계 학습의 한 갈래인 신경망은 하이브리드 신경망, 순환 신경망, 퍼셉트론 등으로 세분화된다. 서포트 벡터 머신도 기계 학습의 중요한 방법론 중 하나이다. 진화 연산유전 알고리즘, Differential evolution 등의 진화 알고리즘과 개미 집단 최적화, 입자 집단 최적화 등의 메타휴리스틱떼 지능, 그리고 BELBIC 등을 포함한다.

확률 방식에는 베이즈 네트워크, 은닉 마르코프 모형, 칼만 필터 등이 있으며, 혼돈 이론도 비기호적 접근 방식에 포함된다.

3. 3. 통계적 AI (Statistical AI)

통계적 AI는 1990년대에 걸쳐 발전하였으며, 데이터 마이닝과 같이 다른 공학 문제에도 성공적으로 사용되었다. 통계적 AI는 베이즈 네트워크, 은닉 마르코프 모형, 칼만 필터와 같은 확률 방식과, 신경망, 서포트 벡터 머신과 같은 기계 학습, 그리고 혼돈 이론 등을 포함한다.

4. 인공지능의 알고리즘 및 기법

행동 선택, 감성 컴퓨팅, AI 상자 등 다양한 개념이 탐색과 관련되어 있다.[1]

이산 탐색 알고리즘은 비정보 탐색과 정보 탐색으로 나뉜다.[2] 비정보 탐색에는 무작위 탐색, 탐색 트리를 활용하는 너비 우선 탐색, 깊이 우선 탐색 등이 있다. 상태 공간 탐색은 이러한 탐색 방법들의 기반이 된다. 정보 탐색에는 최선 우선 탐색, A* 탐색 알고리즘이 있으며, 휴리스틱과 가지치기 (알고리즘) 기법이 활용된다.[3]

적대적 탐색에는 미니맥스 알고리즘이 사용된다. 탐색은 논리로도 표현될 수 있는데,[4] 생산 시스템 (컴퓨터 과학), 규칙 기반 시스템, 생산 규칙, 추론 규칙, 혼 절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정방향 연쇄와 역방향 연쇄는 추론 과정에 사용된다.

탐색은 계획 수립에도 활용된다. 상태 공간 탐색과 수단-목표 분석은 계획 문제 해결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그 외에도 인공지능 시스템 통합, 자동화된 추론, 자율 컴퓨팅, 베이즈 네트워크, 생체 모방 컴퓨팅의 일종인 인공면역체계, 블랙보드 시스템, 챗봇, 상식적 추론, 계산 유머, 컴퓨터를 이용한 증명, 개념 의존 이론, 다윈 머신, 서술논리, 사고범위 문제, 게임 이론, 인포매틱스, 인텔리전트 컨트롤, 키넥트, LIDA, 모라벡의 역설, 음악과 인공지능, PEAS, 퍼셉트, 지각 컴퓨팅, 셀프 매니지먼트, 소프트 컴퓨팅,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의 일종인 지능형 에이전트/합리적 에이전트 등이 탐색과 관련된 개념들이다. 자동화 에이전트, 자동화 계획 및 스케줄링, 제어 시스템(계층적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포함), 분산 인공지능,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모니터링 및 감시 에이전트, 체화된 행위자, Situated AI, 서스만 이상, 웻웨어 등도 탐색과 관련이 있다.

최적화는 수학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5] 언덕 오르기, 시뮬레이티드 어닐링, 빔 서치, 무작위 최적화 등의 방법이 있다.

진화 연산은 유전자 알고리즘, 유전자 발현 프로그래밍, 유전자 프로그래밍, 차분 진화 등을 포함한다.[6][7][8]

사회 기반 학습 알고리즘은 군집 지능을 활용하며, 입자 떼 최적화, 개미 집단 최적화, 메타 휴리스틱 등이 이에 속한다.[9]

자동 추론은 인공지능의 중요한 분야로, 컴퓨터가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을 연구한다.[10] 논리는 자동 추론의 핵심적인 도구로 사용되며, 다양한 형태의 논리가 활용된다.[10]

명제 논리는 참 또는 거짓으로 평가되는 명제들을 연결하여 추론하는 기본적인 논리 체계이다.[11] 일차 논리는 명제 논리보다 더 복잡한 문장을 다룰 수 있으며, 객체와 객체 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12] 등식이 있는 일차 논리는 객체의 동일성을 다루는 데 사용된다.

퍼지 논리는 불확실성을 다루기 위한 논리 체계로, 퍼지 집합 이론에 기반한다.[13][14] 퍼지 시스템, Combs 방식, 가중 평균 집성 연산자, 지각 컴퓨팅 등은 퍼지 논리의 응용 분야이다.

기본 추론은 일반적인 상식에 기반한 추론을 의미하며, 프레임 문제와 자격 문제와 같은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었다.[15] 비단조 논리, 귀추 추론,[16] 기본 논리, 주변화 (논리), 폐쇄 세계 가정 등이 이러한 해결책에 해당한다.

특정 도메인에 대한 지식을 표현하고 추론하기 위한 논리도 연구되고 있다.[17] 범주 및 관계 표현을 위한 기술 논리, 시맨틱 네트워크, 상속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프레임 (인공 지능), 스크립트 (인공 지능) 등이 여기에 속한다. 사건 및 시간을 표현하기 위한 상황 계산, 사건 계산, 유창한 계산 등의 방법론도 연구되고 있다. 원인과 결과를 다루는 인과 계산[18], 지식에 대한 지식을 다루는 신념 수정, 양상 논리, 비모순 논리 등도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논리는 계획 수립에도 활용될 수 있다.[19] Satplan은 논리 기반 계획 알고리즘의 한 예시이다. 또한, 논리는 귀납적 논리 프로그래밍, 설명 기반 학습, 관련성 기반 학습, 사례 기반 추론 등 기계 학습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동 정리 증명은 일반적인 논리 알고리즘으로, 주어진 명제의 참/거짓 여부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데 사용된다.


계층적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 ** 분산 인공지능
  • **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 ** 모니터링 및 감시 에이전트
  • * 체화된 행위자
  • * Situated AI
  • 서스만 이상
  • 웻웨어


불확실한 추론을 위한 확률적 방법은 인공지능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21] 이 방법에는 베이즈 네트워크[22], 베이즈 추론 알고리즘[23], 베이즈 학습 및 기대값-최대화 알고리즘, 베이즈 의사 결정 이론 및 베이즈 의사 결정 네트워크 등이 포함된다.

확률적 지각 및 제어에는 동적 베이즈 네트워크, 은닉 마르코프 모델, 칼만 필터, 퍼지 논리 등이 사용된다.

경제학의 의사 결정 도구로는 의사 결정 이론, 의사 결정 분석, 정보 가치 이론, 마르코프 의사 결정 과정, 동적 의사 결정 네트워크, 게임 이론, 메커니즘 설계 등이 활용된다.

알고리즘 정보 이론에는 알고리즘 확률이 포함된다.

분류기 및 통계적 학습 방법은 인공지능의 중요한 분야이다.[24] 이 방법들은 데이터를 분석하고 패턴을 인식하여 예측 또는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된다.

  • 분류기: 데이터를 미리 정의된 범주로 할당하는 알고리즘이다.[24]
  • 교대 결정 트리: 결정 트리의 한 종류이다.[25]
  • 인공 신경망: 인간 뇌의 신경망 구조를 모방한 알고리즘이다.[26]
  • K-최근접 이웃 알고리즘: 새로운 데이터 포인트를 가장 가까운 k개의 이웃을 기반으로 분류하는 알고리즘이다.
  • 커널 방법: 데이터 포인트 간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커널 함수를 사용하는 알고리즘이다.
  • 지지 벡터 기계: 데이터를 고차원 공간으로 매핑하여 최적의 분리 초평면을 찾는 알고리즘이다.
  •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 베이즈 정리를 기반으로, 각 특성이 독립적이라고 가정하는 확률적 분류기이다.


이 외에도 행동 선택, 감성 컴퓨팅, AI 상자, AI-완전, 알고리즘 확률 등 다양한 방법론이 존재한다. 인공면역체계나 지능형 에이전트, 합리적 에이전트와 같은 생체 모방 컴퓨팅 및 에이전트 기반 접근 방식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자동화 에이전트, 제어 시스템, 분산 인공지능,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등은 복잡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한 기술들이다.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은 인간의 뇌 구조와 기능에서 영감을 받은 계산 모델이다.[26] 신경망은 여러 개의 층으로 구성되며, 각 층은 서로 연결된 노드(뉴런)들로 이루어져 있다.
네트워크 토폴로지신경망의 구조는 크게 피드포워드 신경망과 순환 신경망으로 나뉜다.[27][28]

  • 피드포워드 신경망[27]: 정보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는 신경망이다.
  • 퍼셉트론: 가장 단순한 형태의 신경망이다.
  • 다층 퍼셉트론: 여러 층의 퍼셉트론을 쌓아 올린 형태이다.
  • 방사 기저 함수 네트워크: 방사 기저 함수를 활성화 함수로 사용하는 신경망이다.
  • 합성곱 신경망: 이미지 처리 등에 주로 사용되는 신경망이다.
  • 순환 신경망[28]: 정보가 순환적으로 흐르는 신경망으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적합하다.
  • 장단기 기억(LSTM)[29]: 순환 신경망의 한 종류로, 장기 의존성을 학습할 수 있다.
  • 홉필드 네트워크: 모든 노드가 서로 연결된 형태의 신경망이다.
  • 어트랙터 네트워크: 홉필드 네트워크와 유사하며, 특정 패턴으로 수렴하는 특징을 가진다.

신경망 학습 알고리즘신경망은 데이터를 통해 학습하며, 가중치를 조절하여 원하는 출력을 생성하도록 훈련된다.

  • 헤브 학습: 연결 강도가 동시에 활성화되는 뉴런 사이에서 증가한다는 원리를 기반으로 한다.
  • 역전파[30]: 출력값과 정답의 차이(오차)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이다.[31]
  • GMDH: 그룹 데이터 처리 방법(Group Method of Data Handling)의 약자로, 복잡한 시스템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된다.
  • 경쟁 학습: 뉴런들이 서로 경쟁하여 입력 패턴에 대한 반응을 학습하는 방법이다.
  • 신경 진화[32]: 유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신경망의 구조와 가중치를 최적화하는 방법이다.
  • 제한된 볼츠만 머신: 확률적 생성 모델의 한 종류이다.


이 외에도 딥 러닝, 하이브리드 신경망 등 다양한 종류의 신경망이 존재하며, 지도 학습등 다양한 학습방법이 존재한다.

생체 모방 컴퓨팅은 인공 면역 시스템을 포함한다.[33] 지능형 에이전트는 자동화 에이전트, 자동화 계획 및 스케줄링, 제어 시스템(계층적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포함), 분산 인공지능,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모니터링 및 감시 에이전트를 포함한다. 체화된 행위자는 상황적 AI(Situated AI)와 관련이 있다. 행동 기반 인공지능은 포섭 아키텍처, 누벨 인공지능, 발달 로봇공학, 상황적 인공지능, 생물 모방 컴퓨팅, 인공 면역 시스템, 구체적 인지 과학, 구체적 인지, 자유 에너지 원리와 연관된다.

행동 선택, 감성 컴퓨팅, AI 상자, AI-완전, 알고리즘 확률 등의 개념이 연구되고 있다. 인공지능 시스템 통합은 인공지능 시스템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동화된 추론, 자율 컴퓨팅, 자율 네트워킹, 후방 추론, 베이즈 네트워크 등의 기술이 활용된다.

생체 모방 컴퓨팅의 일환으로 인공면역체계가 연구되고 있다. 블랙보드 시스템, 챗봇, 콤보스 메소드, 상식적 추론, 계산 유머, 컴퓨터를 이용한 증명, 개념 의존 이론 등도 관련된 분야이다. 다윈 머신, 서술논리, 사고범위 문제, 게임 이론, Grammar systems theory, 인포매틱스, 인텔리전트 컨트롤, 키넥트, LIDA, 수단-목표 분석, 모라벡의 역설, 음악과 인공지능 등의 연구도 진행 중이다.

Ordered weighted averaging aggregation operator, PEAS, 퍼셉트, 지각 컴퓨팅, 규칙 기반 시스템, 셀프 매니지먼트, 소프트 컴퓨팅 등의 개념도 중요하다.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의 한 종류로 지능형 에이전트 / 합리적 에이전트가 있으며, 이는 자동화 에이전트, 자동화 계획 및 스케줄링, 제어 시스템(계층적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 분산 인공지능은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과 모니터링 및 감시 에이전트를 포함한다. 체화된 행위자와 Situated AI도 주목받는 분야이다. 서스만 이상과 웻웨어도 인공지능과 관련된 개념이다.

인지 아키텍처에는 LIDA (인지 아키텍처), AERA (AI 아키텍처) 등이 있다. 에이전트 아키텍처, 제어 시스템(계층적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분산 인공지능,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 하이브리드 지능 시스템, 모니터링 및 감시 에이전트, 블랙보드 시스템 등도 인지 아키텍처 및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과 관련된 주요 개념이다.

4. 1. 탐색 (Search)

행동 선택, 감성 컴퓨팅, AI 상자 등 다양한 개념이 탐색과 관련되어 있다.[1]

이산 탐색 알고리즘은 비정보 탐색과 정보 탐색으로 나뉜다.[2] 비정보 탐색에는 무작위 탐색, 탐색 트리를 활용하는 너비 우선 탐색, 깊이 우선 탐색 등이 있다. 상태 공간 탐색은 이러한 탐색 방법들의 기반이 된다. 정보 탐색에는 최선 우선 탐색, A* 탐색 알고리즘이 있으며, 휴리스틱과 가지치기 (알고리즘) 기법이 활용된다.[3]

적대적 탐색에는 미니맥스 알고리즘이 사용된다. 탐색은 논리로도 표현될 수 있는데,[4] 생산 시스템 (컴퓨터 과학), 규칙 기반 시스템, 생산 규칙, 추론 규칙, 혼 절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정방향 연쇄와 역방향 연쇄는 추론 과정에 사용된다.

탐색은 계획 수립에도 활용된다. 상태 공간 탐색과 수단-목표 분석은 계획 문제 해결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그 외에도 인공지능 시스템 통합, 자동화된 추론, 자율 컴퓨팅, 베이즈 네트워크, 생체 모방 컴퓨팅의 일종인 인공면역체계, 블랙보드 시스템, 챗봇, 상식적 추론, 계산 유머, 컴퓨터를 이용한 증명, 개념 의존 이론, 다윈 머신, 서술논리, 사고범위 문제, 게임 이론, 인포매틱스, 인텔리전트 컨트롤, 키넥트, LIDA, 모라벡의 역설, 음악과 인공지능, PEAS, 퍼셉트, 지각 컴퓨팅, 셀프 매니지먼트, 소프트 컴퓨팅,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의 일종인 지능형 에이전트/합리적 에이전트 등이 탐색과 관련된 개념들이다. 자동화 에이전트, 자동화 계획 및 스케줄링, 제어 시스템(계층적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포함), 분산 인공지능,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모니터링 및 감시 에이전트, 체화된 행위자, Situated AI, 서스만 이상, 웻웨어 등도 탐색과 관련이 있다.

4. 2. 최적화 탐색 (Optimization Search)

최적화는 수학적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다.[5] 언덕 오르기, 시뮬레이티드 어닐링, 빔 서치, 무작위 최적화 등의 방법이 있다.

진화 연산은 유전자 알고리즘, 유전자 발현 프로그래밍, 유전자 프로그래밍, 차분 진화 등을 포함한다.[6][7][8]

사회 기반 학습 알고리즘은 군집 지능을 활용하며, 입자 떼 최적화, 개미 집단 최적화, 메타 휴리스틱 등이 이에 속한다.[9]

4. 3. 논리 (Logic)

자동 추론은 인공지능의 중요한 분야로, 컴퓨터가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을 연구한다.[10] 논리는 자동 추론의 핵심적인 도구로 사용되며, 다양한 형태의 논리가 활용된다.[10]

명제 논리는 참 또는 거짓으로 평가되는 명제들을 연결하여 추론하는 기본적인 논리 체계이다.[11] 일차 논리는 명제 논리보다 더 복잡한 문장을 다룰 수 있으며, 객체와 객체 간의 관계를 표현할 수 있다.[12] 등식이 있는 일차 논리는 객체의 동일성을 다루는 데 사용된다.

퍼지 논리는 불확실성을 다루기 위한 논리 체계로, 퍼지 집합 이론에 기반한다.[13][14] 퍼지 시스템, Combs 방식, 가중 평균 집성 연산자, 지각 컴퓨팅 등은 퍼지 논리의 응용 분야이다.

기본 추론은 일반적인 상식에 기반한 추론을 의미하며, 프레임 문제와 자격 문제와 같은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었다.[15] 비단조 논리, 귀추 추론,[16] 기본 논리, 주변화 (논리), 폐쇄 세계 가정 등이 이러한 해결책에 해당한다.

특정 도메인에 대한 지식을 표현하고 추론하기 위한 논리도 연구되고 있다.[17] 범주 및 관계 표현을 위한 기술 논리, 시맨틱 네트워크, 상속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프레임 (인공 지능), 스크립트 (인공 지능) 등이 여기에 속한다. 사건 및 시간을 표현하기 위한 상황 계산, 사건 계산, 유창한 계산 등의 방법론도 연구되고 있다. 원인과 결과를 다루는 인과 계산[18], 지식에 대한 지식을 다루는 신념 수정, 양상 논리, 비모순 논리 등도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논리는 계획 수립에도 활용될 수 있다.[19] Satplan은 논리 기반 계획 알고리즘의 한 예시이다. 또한, 논리는 귀납적 논리 프로그래밍, 설명 기반 학습, 관련성 기반 학습, 사례 기반 추론 등 기계 학습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동 정리 증명은 일반적인 논리 알고리즘으로, 주어진 명제의 참/거짓 여부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데 사용된다.
계층적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Networked control system)

  • ** 분산 인공지능(Distributed artificial intelligence)
  • **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 ** 모니터링 및 감시 에이전트(Monitoring and Surveillance Agents)
  • * 체화된 행위자(Embodied agent)
  • * Situated AI
  • 서스만 이상(Sussman anomaly)
  • 웻웨어

4. 4. 불확실한 추론을 위한 확률적 방법 (Probabilistic Methods for Uncertain Reasoning)

불확실한 추론을 위한 확률적 방법은 인공지능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21] 이 방법에는 베이즈 네트워크[22], 베이즈 추론 알고리즘[23], 베이즈 학습 및 기대값-최대화 알고리즘, 베이즈 의사 결정 이론 및 베이즈 의사 결정 네트워크 등이 포함된다.

확률적 지각 및 제어에는 동적 베이즈 네트워크, 은닉 마르코프 모델, 칼만 필터, 퍼지 논리 등이 사용된다.

경제학의 의사 결정 도구로는 의사 결정 이론, 의사 결정 분석, 정보 가치 이론, 마르코프 의사 결정 과정, 동적 의사 결정 네트워크, 게임 이론, 메커니즘 설계 등이 활용된다.

알고리즘 정보 이론에는 알고리즘 확률이 포함된다.

4. 5. 분류기 및 통계적 학습 방법 (Classifiers and Statistical Learning Methods)

분류기 및 통계적 학습 방법은 인공지능의 중요한 분야이다.[24] 이 방법들은 데이터를 분석하고 패턴을 인식하여 예측 또는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된다.

  • 분류기: 데이터를 미리 정의된 범주로 할당하는 알고리즘이다.[24]
  • 교대 결정 트리: 결정 트리의 한 종류이다.[25]
  • 인공 신경망: 인간 뇌의 신경망 구조를 모방한 알고리즘이다.[26]
  • K-최근접 이웃 알고리즘: 새로운 데이터 포인트를 가장 가까운 k개의 이웃을 기반으로 분류하는 알고리즘이다.
  • 커널 방법: 데이터 포인트 간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커널 함수를 사용하는 알고리즘이다.
  • 지지 벡터 기계: 데이터를 고차원 공간으로 매핑하여 최적의 분리 초평면을 찾는 알고리즘이다.
  •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 베이즈 정리를 기반으로, 각 특성이 독립적이라고 가정하는 확률적 분류기이다.


이 외에도 행동 선택, 감성 컴퓨팅, AI 상자, AI-완전, 알고리즘 확률 등 다양한 방법론이 존재한다. 인공면역체계나 지능형 에이전트, 합리적 에이전트와 같은 생체 모방 컴퓨팅 및 에이전트 기반 접근 방식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자동화 에이전트, 제어 시스템, 분산 인공지능,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등은 복잡한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제어하기 위한 기술들이다.

4. 6. 인공 신경망 (Artificial Neural Networks)

인공 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은 인간의 뇌 구조와 기능에서 영감을 받은 계산 모델이다.[26] 신경망은 여러 개의 층으로 구성되며, 각 층은 서로 연결된 노드(뉴런)들로 이루어져 있다.
네트워크 토폴로지신경망의 구조는 크게 피드포워드 신경망과 순환 신경망으로 나뉜다.[27][28]

  • 피드포워드 신경망[27]: 정보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는 신경망이다.
  • 퍼셉트론: 가장 단순한 형태의 신경망이다.
  • 다층 퍼셉트론: 여러 층의 퍼셉트론을 쌓아 올린 형태이다.
  • 방사 기저 함수 네트워크: 방사 기저 함수를 활성화 함수로 사용하는 신경망이다.
  • 합성곱 신경망: 이미지 처리 등에 주로 사용되는 신경망이다.
  • 순환 신경망[28]: 정보가 순환적으로 흐르는 신경망으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적합하다.
  • 장단기 기억(LSTM)[29]: 순환 신경망의 한 종류로, 장기 의존성을 학습할 수 있다.
  • 홉필드 네트워크: 모든 노드가 서로 연결된 형태의 신경망이다.
  • 어트랙터 네트워크: 홉필드 네트워크와 유사하며, 특정 패턴으로 수렴하는 특징을 가진다.

신경망 학습 알고리즘신경망은 데이터를 통해 학습하며, 가중치를 조절하여 원하는 출력을 생성하도록 훈련된다.

  • 헤브 학습: 연결 강도가 동시에 활성화되는 뉴런 사이에서 증가한다는 원리를 기반으로 한다.
  • 역전파[30]: 출력값과 정답의 차이(오차)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업데이트하는 방법이다.[31]
  • GMDH: 그룹 데이터 처리 방법(Group Method of Data Handling)의 약자로, 복잡한 시스템을 모델링하는 데 사용된다.
  • 경쟁 학습: 뉴런들이 서로 경쟁하여 입력 패턴에 대한 반응을 학습하는 방법이다.
  • 신경 진화[32]: 유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신경망의 구조와 가중치를 최적화하는 방법이다.
  • 제한된 볼츠만 머신: 확률적 생성 모델의 한 종류이다.


이 외에도 딥 러닝, 하이브리드 신경망 등 다양한 종류의 신경망이 존재하며, 지도 학습등 다양한 학습방법이 존재한다.

4. 7. 생체 기반 또는 구체화 (Biologically Based or Embodied)

생체 모방 컴퓨팅은 인공 면역 시스템을 포함한다.[33] 지능형 에이전트는 자동화 에이전트, 자동화 계획 및 스케줄링, 제어 시스템(계층적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포함), 분산 인공지능,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모니터링 및 감시 에이전트를 포함한다. 체화된 행위자는 상황적 AI(Situated AI)와 관련이 있다. 행동 기반 인공지능은 포섭 아키텍처, 누벨 인공지능, 발달 로봇공학, 상황적 인공지능, 생물 모방 컴퓨팅, 인공 면역 시스템, 구체적 인지 과학, 구체적 인지, 자유 에너지 원리와 연관된다.

4. 8. 인지 아키텍처 및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 (Cognitive Architecture and Multi-agent Systems)

행동 선택, 감성 컴퓨팅, AI 상자, AI-완전, 알고리즘 확률 등의 개념이 연구되고 있다. 인공지능 시스템 통합은 인공지능 시스템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자동화된 추론, 자율 컴퓨팅, 자율 네트워킹, 후방 추론, 베이즈 네트워크 등의 기술이 활용된다.

생체 모방 컴퓨팅의 일환으로 인공면역체계가 연구되고 있다. 블랙보드 시스템, 챗봇, 콤보스 메소드, 상식적 추론, 계산 유머, 컴퓨터를 이용한 증명, 개념 의존 이론 등도 관련된 분야이다. 다윈 머신, 서술논리, 사고범위 문제, 게임 이론, Grammar systems theory, 인포매틱스, 인텔리전트 컨트롤, 키넥트, LIDA, 수단-목표 분석, 모라벡의 역설, 음악과 인공지능 등의 연구도 진행 중이다.

Ordered weighted averaging aggregation operator, PEAS, 퍼셉트, 지각 컴퓨팅, 규칙 기반 시스템, 셀프 매니지먼트, 소프트 컴퓨팅 등의 개념도 중요하다.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의 한 종류로 지능형 에이전트 / 합리적 에이전트가 있으며, 이는 자동화 에이전트, 자동화 계획 및 스케줄링, 제어 시스템(계층적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과 관련이 있다. 분산 인공지능은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과 모니터링 및 감시 에이전트를 포함한다. 체화된 행위자와 Situated AI도 주목받는 분야이다. 서스만 이상과 웻웨어도 인공지능과 관련된 개념이다.

인지 아키텍처에는 LIDA (인지 아키텍처), AERA (AI 아키텍처) 등이 있다. 에이전트 아키텍처, 제어 시스템(계층적 제어 시스템,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분산 인공지능,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 하이브리드 지능 시스템, 모니터링 및 감시 에이전트, 블랙보드 시스템 등도 인지 아키텍처 및 다중 에이전트 시스템과 관련된 주요 개념이다.

5. 인공지능의 철학

인공지능의 정의는 여러 관점에서 제시되어 왔다. 페이 왕은 인공지능을 정의했고, 다트머스 제안에서는 "학습의 모든 측면 또는 지능의 다른 모든 특징은 원칙적으로 기계가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정확하게 설명될 수 있다"라고 언급되었다.

튜링 테스트는 계산 기계와 지성에서 제시된 개념이다. 인공지능은 지능형 에이전트 및 합리적 에이전트와 관련이 있으며, 행동 선택을 포함한다. AI 효과도 인공지능의 정의와 관련된 개념 중 하나이다.

인공지능의 분류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이루어진다.

기호적 AI는 물리적 기호 시스템 가설에 기반하며, 드레이퍼스의 AI 비판과 같은 논쟁을 낳았다. 모라벡의 역설은 기호적 AI가 인간 수준의 추론 능력을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설명한다.

인공지능 연구는 '우아하고 단순함'(니트)을 추구하는 접근 방식과 '임시적이고 복잡함'(스커피)을 추구하는 접근 방식으로 나뉜다. 마빈 민스키의 ''마음의 사회''는 스커피 접근 방식을 대표하며, 페드로 도밍고스의 ''마스터 알고리즘''은 니트 접근 방식을 대표한다.

일반성과 유연성 수준에 따라 인공 일반 지능과 좁은 AI로 분류할 수 있다. 정밀도와 정확성 수준에 따라 "하드" 컴퓨팅과 소프트 컴퓨팅으로 나뉜다.

지능 수준에 따라서는 인공 지능의 발전 단계를 거쳐 초인공지능에 도달할 수 있다는 예측이 있다.

의식, 마음, 의도성 수준에 따른 분류는 중국어 방 논쟁, 의식의 어려운 문제, 계산주의, 기능주의 (마음의 철학), 로봇 권리, 사용자 착각, 인공 의식 등의 철학적 논의와 연결된다.

5. 1. 인공지능의 정의

인공지능의 정의는 여러 관점에서 제시되어 왔다. 페이 왕은 인공지능을 정의했고, 다트머스 제안에서는 "학습의 모든 측면 또는 지능의 다른 모든 특징은 원칙적으로 기계가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정확하게 설명될 수 있다"라고 언급되었다.

튜링 테스트는 계산 기계와 지성에서 제시된 개념이다. 인공지능은 지능형 에이전트 및 합리적 에이전트와 관련이 있으며, 행동 선택을 포함한다. AI 효과도 인공지능의 정의와 관련된 개념 중 하나이다.

5. 2. 인공지능 분류

인공지능의 분류는 다양한 기준에 따라 이루어진다.

기호적 AI는 물리적 기호 시스템 가설에 기반하며, 드레이퍼스의 AI 비판과 같은 논쟁을 낳았다. 모라벡의 역설은 기호적 AI가 인간 수준의 추론 능력을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현상을 설명한다.

인공지능 연구는 '우아하고 단순함'(니트)을 추구하는 접근 방식과 '임시적이고 복잡함'(스커피)을 추구하는 접근 방식으로 나뉜다. 마빈 민스키의 ''마음의 사회''는 스커피 접근 방식을 대표하며, 페드로 도밍고스의 ''마스터 알고리즘''은 니트 접근 방식을 대표한다.

일반성과 유연성 수준에 따라 인공 일반 지능과 좁은 AI로 분류할 수 있다. 정밀도와 정확성 수준에 따라 "하드" 컴퓨팅과 소프트 컴퓨팅으로 나뉜다.

지능 수준에 따라서는 인공 지능의 발전 단계를 거쳐 초인공지능에 도달할 수 있다는 예측이 있다.

의식, 마음, 의도성 수준에 따른 분류는 중국어 방 논쟁, 의식의 어려운 문제, 계산주의, 기능주의 (마음의 철학), 로봇 권리, 사용자 착각, 인공 의식 등의 철학적 논의와 연결된다.

6. 인공지능의 응용 분야

인공지능은 사회 전반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흐름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며,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자동 번호판 인식(Automatic number plate recognition)
자동 이미지 주석(Automatic image annotation)

  • ** 개체명 추출(Named-entity extraction)

대용어 해소(Coreference resolution)

개체명 인식

관계 추출

용어 추출

6. 1. 일반 지능 (General Intelligence)

인공 일반 지능은 이론적으로 인간이 할 수 있는 모든 지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계의 지능을 의미한다. 이는 AI 완전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

6. 2. 추론 및 문제 해결 (Reasoning and Problem Solving)

인공지능은 추론 및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는 자동화된 추론전문가 시스템을 통해 구현된다. 전문가 시스템은 특정 분야의 지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며,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포함한다. 특히,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은 의료 분야에서 진단 및 치료 결정을 지원하는 데 활용된다.

수학 분야에서는 자동 정리 증명기와 컴퓨터 보조 증명을 통해 복잡한 수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인공지능이 활용된다. 또한, 컴퓨터 대수 시스템은 수학적 계산 및 수식 처리를 자동화한다.

일반 문제 해결사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설계된 초기 인공지능 프로그램이다.

6. 3. 지식 표현 (Knowledge Representation)

지식 경영의 주요 분야 중 하나인 지식 표현인공지능 연구에서 다루는 핵심 주제이다. 지식 표현은 인공지능 에이전트가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정보를 표현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시맨틱 웹은 지식 표현의 한 예시로, 웹 상의 정보를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여 지능적인 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6. 4. 계획 (Planning)

자동 계획 및 스케줄링은 인공지능의 주요 응용 분야 중 하나이다. 이 분야는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행동 순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전략적 기획은 군사적 의사 결정과 같이 복잡하고 장기적인 목표를 다루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초기 인공지능 연구에서 발생했던 서스만 이상 현상은 계획 문제에서 나타나는 특수한 현상으로, 하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이 다른 하위 목표를 방해하는 경우를 말한다.

6. 5. 학습 (Learning)

인공지능의 학습은 기계 학습을 통해 이루어지며, 여기에는 지도 학습, 약한 지도 학습(반지도 학습), 비지도 학습 등의 방법이 있다. 이 외에도, 제약 조건부 모델, 딥 러닝, 신경 모델링 분야 등이 기계 학습과 관련된 분야이다.

6. 6. 자연어 처리 (Natural Language Processing)

자연어 처리(개요)는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컴퓨터가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여기에는 챗봇, 언어 식별, 자연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자연어 이해, 기계 번역, 통계적 의미론, 질의 응답, 의미 번역 등이 포함된다.

정보 추출은 개체명 추출과 같은 기술을 포함하며, 개체명 추출은 다시 공동 참조 해결, 개체명 인식, 관계 추출, 용어 추출 등으로 세분화된다. 개념 마이닝은 데이터 마이닝, 텍스트 마이닝, 프로세스 마이닝 등을 포함한다. 이메일 스팸 필터링 또한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한다. 대규모 언어 모델은 최근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6. 7. 지각 (Perception)

지각은 인공지능의 한 분야로, 기계가 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여 주변 환경을 이해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 분야는 다양한 하위 분야를 포함하며, 컴퓨터 비전, 컴퓨터 청각, 패턴 인식 등이 대표적이다.

컴퓨터 비전(개요)은 기계가 이미지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다룬다. 디지털 화상 처리, 물체 인식(Object recognition), 광학 마크 인식 등의 기술이 여기에 포함된다. 광학 마크 인식의 하위 분야로는 필기 인식, 광학 문자 인식이 있으며, 광학 문자 인식에는 자동 번호판 인식 기술이 활용된다. 안면 인식은 사람의 얼굴을 식별하고 인증하는 기술로, 침묵의 언어 인터페이스(Silent speech interface)와 같은 응용 분야에 사용된다.

컴퓨터 오디션(Computer Audition)은 기계가 소리를 듣고 이해하는 능력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음성 인식화자 인식이 이 분야의 핵심 기술이다.

패턴 인식은 데이터에서 특정 패턴을 찾아내고 분류하는 기술이다. 광학 문자 인식, 필기 인식, 음성 인식, 안면 인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정보 추출은 비정형 데이터에서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이다. 이미지 검색 및 자동 이미지 주석과 같은 응용 분야가 있다.

6. 8. 로봇공학 (Robotics)

로봇공학은 행위 기반 로봇공학, 인지 로봇 공학, 사이버네틱스, 발달 로봇공학(Developmental robotics), 진화 로봇공학(Evolutionary robotics)등을 포함한다.

6. 9. 제어 (Control)

인공지능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어 제어(Control)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자동화 계획 및 스케줄링, 자동화된 추론과 같은 기술은 복잡한 작업을 자동화하는 데 사용된다.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는 디지털 화상 처리, 물체 인식, 광학 마크 인식 등의 기술이 활용되며, 특히 안면 인식은 보안 및 감시 시스템에 널리 사용된다. 광학 문자 인식자동 번호판 인식과 같이 특정 목적을 위해 사용된다.

전문가 시스템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의 형태로 의료,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가의 지식을 활용하여 의사 결정을 지원한다. 특히,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은 의료 분야에서 진단 및 치료 결정을 돕는다.

게임 인공지능은 비디오 게임 봇이나 컴퓨터 체스, 컴퓨터 바둑과 같이 게임 플레이를 자동화하거나 전략을 수립하는 데 사용된다.

지식 경영 분야에서는 데이터 마이닝, 텍스트 마이닝, 프로세스 마이닝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유용한 정보를 추출한다. 이메일 스팸 필터링은 정보 추출 기술을 활용한 예시 중 하나이다.

자연어 처리챗봇, 기계 번역, 질의 응답 시스템 등에서 사용되며, 인간의 언어를 이해하고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로봇공학에서는 행위 기반 로봇공학, 인식, 사이버네틱스 등의 기술을 통해 로봇의 자율적인 제어를 구현한다.

지능 제어는 자동 관리 (컴퓨터 과학)의 한 부분으로 자율 컴퓨팅과 자율 네트워킹에서 활용된다.

6. 10. 사회 지능 (So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은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인간의 지적 능력을 모방하고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주요 응용 분야는 다음과 같다:

6. 11. 게임 플레이 (Game Playing)

인공지능게임에서도 활용된다. 컴퓨터 체스컴퓨터 바둑과 같이 특정 게임에 특화된 인공지능은 물론, 다양한 게임에 적용 가능한 제너럴 게임 플레잉(General game playing, GGP)과 제너럴 비디오 게임 플레잉(General video game playing) 기술도 연구되고 있다.

6. 12. 창의성, 예술 및 엔터테인먼트 (Creativity, Art and Entertainment)

인공지능은 인공적 창의(Artificial Creativity), 인공생명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특히, 예술 및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인공지능은 인공지능 예술, 음악과 인공지능 등 새로운 창작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챗봇은 자연어 처리 (개요)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와 대화하며, 엔터테인먼트 목적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계산 유머는 인공지능을 통해 유머를 생성하고 이해하는 분야이다. 생성 인공지능은 텍스트, 이미지, 음악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창작하는 데 사용된다.

6. 13. 통합 AI 시스템 (Integrated AI Systems)

통합 AI 시스템은 여러 인공지능 기술을 결합하여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단일 기술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고, 인간과 유사한 수준의 지능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아이보(AIBO)는 소니가 개발한 로봇 개로, 시각, 청각, 운동 능력을 통합하여 사용자와 상호작용한다.
  • 아시모(Asimo)는 혼다에서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걷기, 달리기, 계단 오르내리기, 음성 명령 및 얼굴 인식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합하여 복잡한 환경에서 동작한다.
  • MIRAGE는 증강 현실 환경에서 구현된 인공지능 휴머노이드이다.
  • Cog는 로드니 브룩스의 지휘 아래 진행된 M.I.T.의 휴머노이드 로봇 프로젝트이다.
  • 큐리오(QRIO)는 소니에서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이다.
  • 토피오(TOPIO)는 TOSY에서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인간과 탁구를 칠 수 있다.
  • 왓슨은 IBM이 개발한 컴퓨터로, 퀴즈쇼 ''Jeopardy!''에서 우승했다. 자연어 처리, 정보 검색, 지식 표현, 자동 추론, 기계 학습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합하여 질문에 답하고, 현재는 의료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프로젝트 디베이터는 IBM 연구소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컴퓨터 시스템으로, 주어진 주제에 대해 일관성 있는 주장을 생성한다.


이 외에도 컴퓨터 비전, 자연어 처리, 전문가 시스템, 로봇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기술들이 통합 AI 시스템 개발에 활용되고 있다.

6. 14. 지능형 개인 비서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s)

아마존 알렉사(Amazon Alexa)는 지능형 개인 비서 중 하나이다.

6. 15. 기타 응용 분야

인공지능은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인공적 창의, 인공생명, 자동화 계획 및 스케줄링, 자동화된 추론, 자동화 등의 분야에서 활용된다.

컴퓨터 오디션 분야에서는 음성 인식화자 인식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컴퓨터 비전(개요) 분야에서는 디지털 화상 처리, 인텔리전트 단어 인식, 물체 인식, 광학 마크 인식 등이 연구되며, 광학 마크 인식의 하위 분야로는 필기 인식, 광학 문자 인식이 있다. 광학 문자 인식자동 번호판 인식 등에 활용된다. 안면 인식은 침묵의 언어 인터페이스와 같은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전문가 시스템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으로 활용되며, 특히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은 의료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게임 인공지능은 비디오 게임 봇, 인공지능 AI 등으로 구현되며, 컴퓨터 체스, 컴퓨터 바둑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제너럴 게임 플레잉과 제너럴 비디오 게임 플레잉은 게임 이론과 함께 연구된다.

지능형 에이전트는 에이전트 구조를 가지며, 인지적 구조를 포함한다. 인텔리전트 컨트롤은 지능형 시스템의 제어에 활용된다. 지식 경영은 콘셉트 마이닝을 포함하며, 데이터 마이닝, 텍스트 마이닝, 프로세스 마이닝 등으로 구성된다. 이메일 스팸 필터링, 정보 추출 기술도 활용된다. 정보 추출행동 인식, 이미지 검색, 개체명 추출 등을 포함하며, 개체명 추출은 대용어 해소, 개체명 인식, 관계 추출, 용어 추출 등으로 구성된다.

기계 학습은 Constrained Conditional Model, 딥 러닝, 신경 모델링 분야 등 다양한 기술을 포함한다. 자연어 처리 (개요)는 챗봇, 언어 인식, 자연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자연어 이해, 기계 번역 등에 활용된다. 기계 번역은 통계적 의미론을 사용하며, 질의 응답, 의미 중심 번역 등의 기술도 포함한다.

패턴 인식광학 문자 인식, 필기 인식, 음성 인식, 안면 인식 등에 활용된다. 로봇공학은 행위 기반 로봇공학, 인식, 사이버네틱스, 발달 로봇공학, 진화 로봇공학 등의 분야를 포함한다.

이 외에도 전략적 기획, 차량 인프라 통합, 버추얼 인텔리전스, 가상현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7. 인공지능의 역사

인공지능 역사는 오랜 기간 동안 끊임없이 발전해 왔다.


  • AI 효과 - 인공지능이 어떤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면, 그 문제는 더 이상 대중에게 인공지능의 일부로 여겨지지 않는다. 이 현상은 지금까지 인공지능 개발 역사 동안 생산된 모든 인공지능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하여 발생했다.
  • AI 겨울 - 인공지능에 대한 높은 기대와 자금 지원이 있은 후 실망과 자금 지원 축소가 발생하는 기간. 예를 들어, 1970년대에 이러한 자금 삭감이 발생했다.


==== 주제별 역사 ====

  • 논리학사는 형식적 추론의 AI에 대한 중요한 전조이다.
  • 기계 학습의 역사 (연표)
  • 기계 번역의 역사 (연표)
  • 자연어 처리의 역사
  • 광학 문자 인식의 역사 (연표)

7. 1. 주제별 역사


  • 논리학사는 형식적 추론의 AI에 대한 중요한 전조이다.
  • 기계 학습의 역사 (연표)
  • 기계 번역의 역사 (연표)
  • 자연어 처리의 역사
  • 광학 문자 인식의 역사 (연표)

8. 인공지능의 미래

인공지능은 미래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 인공 일반 지능: 모든 지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다재다능한 지능형 기계이다.
  • 초인공지능: 인간의 지능을 훨씬 뛰어넘는 수준의 지능을 가진 기계이다.
  • 기술적 특이점: 기하급수적으로 자체 개선되는 컴퓨터가 초지능 수준으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짧은 기간이다.
  • 재귀적 자기 개선: 강한 인공지능이 스스로를 재프로그래밍하여 훨씬 더 지능적으로 만들 수 있는 능력이다. 지능이 높아질수록 더 빠르게 반복적으로 스스로를 개선할 수 있게 되어, 잠재적으로 초지능의 출현으로 이어지는 지능 폭발을 초래할 수 있다.
  • 지능 폭발: 재귀적 자기 개선 및 자기 복제를 통해 지능형 기계의 규모가 초지능을 달성하여, 인간이 저항할 수 있는 능력을 능가할 수 있다.
  • 인간 향상: 인간은 AI의 노력이나 AI와의 융합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 트랜스휴머니즘: 인간 변형의 철학이다.
  • 포스트휴머니즘: 사람들이 생존할 수 있지만 현재의 현대인과 비교했을 때 인식할 수 없을 수 있다.
  • 인공 일반 지능으로부터의 실존적 위험:
  • AI 장악: 인간이 더 이상 지구상의 지배적인 지능 형태가 아니고 기계 지능이 지배하게 된다.
  • AI의 무기화:
  • 인공지능 군비 경쟁: 두 개 이상의 국가가 최고의 "인공지능"(AI)으로 군대를 갖추기 위한 경쟁이다.
  • 치명적 자율 무기, 군사 로봇, 무인 전투 항공기 등이 개발될 수 있다.
  • 위험 완화:
  • AI 안전, AI 제어 문제, 기계 윤리, AI 규제 등이 연구되고 있다.
  • 우호적 AI: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고 비우호적 AI의 개발을 막도록 설계된 가설적 AI이다.
  • 자기 복제 기계: 스마트 컴퓨터와 로봇은 기하급수적으로 또는 대량 생산을 통해 스스로 더 많은 것을 만들 수 있다.

9. 인공지능 관련 단체 및 연구자

앨런 인공지능 연구소(Allen Institute for Artificial Intelligence)는 마이크로소프트 공동 창업자 폴 앨런의 자금 지원을 받아 설립되었으며, 추론, 학습 및 읽기 능력을 갖춘 AI 시스템을 구축하는 연구소이다. 현재 주력 프로젝트는 프로젝트 아리스토(Project Aristo)이며, 교과서와 학습 가이드로 시험을 준비한 후 학교 과학 시험(4학년, 8학년 및 12학년)을 통과할 수 있는 컴퓨터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이다.

인공 지능 응용 연구소(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Institute), 인공 지능 발전 협회(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유럽 인공 지능 조정 위원회(European Coordinating Committee for Artificial Intelligence), 유럽 신경망 학회(European Neural Network Society), 인류의 미래 연구소(Future of Humanity Institute) 등이 인공지능 관련 단체이다.

생명 미래 연구소(Future of Life Institute)는 인류가 직면한 실존적 위험, 특히 첨단 인공 지능으로 인한 실존적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자원 봉사 기반의 연구 및 홍보 기관이다.

ILabs, 국제 인공 지능 연합 컨퍼런스(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s on Artificial Intelligence), 기계 지능 연구소(Machine Intelligence Research Institute)도 인공지능 관련 단체 및 학회이다.

AI 파트너십(Partnership on AI)은 2016년 9월 아마존, 페이스북, 구글, IBM, 마이크로소프트가 설립했으며, 애플은 2017년 1월에 합류했다. 인공 지능 시스템에 대한 최상의 관행을 수립하고 AI에 대해 대중을 교육하는 데 중점을 둔다.

인공 지능 및 행동 시뮬레이션 연구 학회(Society for the Stud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Simulation of Behaviour), 인도의 AI 기업도 인공지능 관련 단체이다.

알파벳(Alphabet Inc.)은 다음과 같은 자회사를 통해 인공지능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딥마인드(DeepMind)
  • * 구글 X(Google X)
  • ** 메카 로보틱스(Meka Robotics) (구글 X에 인수됨[34])
  • ** Redwood Robotics (구글 X에 인수됨[34])
  • ** 보스턴 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 (구글 X에 인수됨[34])

바이두(Baidu), IBM,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OpenAI, 유니버설 로보틱스(Universal Robotics) 등도 인공지능 관련 기업이다.

9. 1. 오픈 소스 AI 개발 도구

허깅 페이스 (Hugging Face), 오픈에이아이알 (OpenAIR), 오픈코그 (OpenCog), 래피드마이너 (RapidMiner), 텐서플로우 (TensorFlow), 파이토치 (PyTorch) 등이 오픈 소스 AI 개발 도구로 사용된다.

9. 2. 인공지능 프로젝트

인공지능 프로젝트 목록에는 다양한 인공지능 프로젝트가 나열되어 있다. 1977년 자동 수학자를 시작으로, 1980년대 후반에는 앨런 (로봇)이 개발되었다. 1999년부터는 오픈 마인드 상식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2000년부터 2005년까지는 마인드픽셀 프로젝트가 있었다. 2003년부터 2008년까지는 학습하고 정리하는 인지 조수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2005년부터 현재까지 블루 브레인 프로젝트가 진행 중인데, 이는 포유류의 뇌를 분자 수준까지 역설계하여 인공적인 뇌를 만들려는 시도이다. 2011년에는 구글 딥마인드가 설립되었고, 2013년부터는 인간 두뇌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IBM 왓슨 그룹은 2014년부터 왓슨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왓슨의 개발을 발전시키고 시장성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배포하고 있다.

9. 3. 인공지능 경진대회 및 상

인공지능 대회 및 상은 튜링 테스트를 통과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대회이다. 뢰브너 상은 매년 개최되는 대회로, 가장 인간과 비슷한 대화를 하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에게 수여된다.

9. 4. 인공지능 관련 출판물


  • ''[http://theinnovationscout.com/artificial-intelligence-where-do-we-go-from-here/ Artificial Intelligence: Where Do We Go From Here?] ''
  • ''적응 행동''
  • ''AI 메모''
  • ''인공지능: 현대적 접근''
  • ''인공 지능''
  • ''계산 지능''
  • ''계산 기계와 지능''
  • ''인공 지능에 관한 전자 거래''
  • ''IEEE 지능형 시스템''
  • ''IEEE 패턴 분석 및 기계 지능 트랜잭션''
  • ''신경망''
  • ''온 인텔리전스''
  • ''AI 프로그래밍의 패러다임: 공통 Lisp의 사례 연구''
  • ''컴퓨터가 할 수 없는 일''
  • 아사다 외(2009)는 "인지 발달 로봇 공학: 설문 조사"를 IEEE 자율 정신 개발 거래에 발표했다.
  • 다니엘 크레비어(1993)는 "AI: 인공 지능을 위한 격동의 탐구"를 BasicBooks에서 출판했다.
  • 더글러스 레넛과 R. V. 구하(1989)는 "대규모 지식 기반 시스템 구축"을 Addison-Wesley에서 출판했다.
  • 조지 루거와 윌리엄 스터블필드(2004)는 "인공 지능: 복잡한 문제 해결을 위한 구조 및 전략" 5판을 Benjamin/Cummings에서 출판했다.
  • 룽가렐라 외(2003)는 "발달 로봇 공학: 설문 조사"를 연결 과학에 발표했다.
  • 한스 모라벡(1988)은 "마인드 아이들"을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에서 출판했다.
  • 우데이(2010)는 "곤충 항해에서 인간 인지 발달까지: 행동 및 인지 과학에서 로봇 공학의 영향"을 IEEE 자율 정신 개발 거래에 발표했다.
  • 스튜어트 J. 러셀과 피터 노빅(2003)은 "인공 지능: 현대적 접근 방식" 2판을 프렌티스 홀에서 출판했다.
  • 웽 외(2001)는 "로봇과 동물의 자율 정신 발달"을 과학에 발표했다.


참조

[1] 논문
[1] 논문
[2] 논문
[2] 논문
[3] 논문
[3] 논문
[4] 논문
[4] 논문
[5] 논문
[5] 논문
[6] 서적 Adaptation in Natural and Artificial System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7] 서적 Genetic Programming (On the Programming of Computers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 MIT Press
[8] 서적 A Field Guide to Genetic Programming http://www.gp-field-[...] Lulu.com
[9] 서적 Search Methodologies: Introductory Tutorials in Optimization and Decision Support Techniqu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10] 논문
[10] 논문
[11] 논문
[11] 논문
[12] 논문
[12] 논문
[13] 논문
[14] 뉴스 What is 'fuzzy logic'? Are there computers that are inherently fuzzy and do not apply the usual binary logic? https://www.scientif[...] 2018-05-05
[15] 논문
[15] 논문
[16] 논문
[17] 논문
[17] 논문
[18] 서적 Computational Intelligence: A Logical Approach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 논문
[19] 논문
[20] 논문
[20] 논문
[20] 논문
[20] 논문
[21] 논문
[21] 논문
[22] 논문
[22] 논문
[23] 논문
[23] 논문
[24] 논문
[24] 논문
[25] 논문
[25] 논문
[26] 논문
[26] 논문
[27] 논문
[27] 논문
[28] 논문
[28] 논문
[29] 간행물 Long Short-Term Memory
[30] 논문
[30] 논문
[31] 간행물 Learning multiple layers of representation
[32] 뉴스 Artificial intelligence can 'evolve' to solve problems https://www.science.[...] 2018-01-10
[33] 논문
[33] 논문
[33] 논문
[33] 논문
[34] 웹사이트 The 6 craziest robots Google has acquired https://www.business[...] 2018-06-13
[35] 웹사이트 Google Hires Famed Futurist Ray Kurzweil https://blogs.wsj.co[...] The Wall Street Journal 2012-12-14
[36] 뉴스 Google's Lab of Wildest Dreams https://www.nytimes.[...] 2011-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