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도움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읽기도움자는 표어 문자 체계에서 발음을 보조하거나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자 또는 기호를 의미한다. 한국어, 일본어, 중국어, 베트남어, 아카드어, 마야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읽기도움자를 활용한다. 한국어에서는 이두, 향찰, 국자 등에서 나타나며, 일본어에서는 한자의 발음을 한정하고 해석을 돕는 오쿠리가나가 대표적이다. 중국어는 형성자를 통해 발음의 암시를 제공하며, 아카드어는 수메르어 쐐기문자를 차용하여 음성 보충어를 사용했다. 마야 문자는 음성 보완을 광범위하게 사용했으며, 영어에서는 숫자 표기 시에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학 - 에스놀로그
에스놀로그는 세계 언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7,000개 이상의 언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언어의 명칭, 화자 수, 지리적 분포, 언어 계통 등을 포함한다. - 언어학 -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대규모 언어 모델이 원하는 작업을 정확히 수행하도록 지시사항, 맥락, 입력 데이터 등을 조합하여 최적화된 프롬프트를 설계하는 방법론으로, 컨텍스트 내 학습을 통해 모델의 창발적 능력을 활용하며 텍스트, 이미지, 코드 생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델 성능 향상에 기여한다.
읽기도움자 |
---|
2. 한국어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한국어 한자 차자표기인 이두, 향찰 등에서도 읽기도움자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표기 방식이 나타난다. 또한 몇 안 되는 한국어 국자 중에서도 음성을 보조하는 요소가 결합된 예를 찾아볼 수 있다.
2. 1. 이두와 향찰
훈민정음 창제 이전의 한국어 한자 차자표기인 이두, 향찰 등에서도 읽기도움자와 유사한 역할을 하는 표기 방식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향찰에서 '夜音'이라는 표기는 '夜'라는 글자만으로는 한자음 '야'로 읽힐 수 있기 때문에, 뒤에 '音'을 덧붙여 고유어 '밤'으로 읽어야 함을 나타내는 역할을 했다. 이러한 향찰 표기 방식을 받쳐적기 또는 말음첨가(末音添加)라고 부르기도 한다.2. 2. 국자
몇 안 되는 한국어 국자 역시 소리를 나타내는 부분과 뜻을 나타내는 부분이 합쳐져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乭'이라는 글자는 '돌'이라고 읽는데, 아랫부분의 '乙'이 소리를 나타내는 데 도움을 준다.일본어에도 국자가 있는데, 일부는 '働', '腺', '鑓'처럼 소리 부분(음부)과 뜻 부분이 결합된 형태이다. 이 글자들의 음부는 각각 '動', '泉', '遣'이다.
3. 일본어
일본어는 현존하는 언어 가운데 읽기도움자를 가장 활발하게 활용하는 언어 중 하나로, 특히 오쿠리가나( 送り仮名|오쿠리가나일본어 )의 사용이 언어생활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한자와 가나를 함께 사용하는 일본어 표기 체계의 특징과 관련이 깊다.
3. 1. 오쿠리가나
일본어는 현존하는 언어 가운데 읽기도움자를 가장 활발하게 활용하며, 읽기도움자 사용법인 오쿠리가나( 送り仮名|오쿠리가나일본어 )가 따로 규정되어 있을 정도로 언어생활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중국 유래의 한자가 문장에서 의미의 핵심이 되고, 가나( 仮名|가나일본어 )는 한자의 발음을 한정하여 해석을 돕는 역할을 한다.아카드어와 마찬가지로, 일본어는 매우 다른 언어 체계를 위해 설계된 표어 문자 체계인 한자를 차용했다. 일본에서는 한자를 간지( 漢字|칸지일본어 )라고 부른다. 한자에 내재된 음성 요소는 일본어로 발음될 때 원래의 기능을 하지 못하며, 한자 하나가 여러 와고( 和語|와고일본어 , 일본 고유어) 단어에 대응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간지 '生'은 한자어에서는 しょう|쇼일본어 또는 せい|세이일본어로 발음되지만, 여러 고유 일본어 단어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단어에 동사, 형용사, 부사 등의 굴절어미가 붙을 때, 어간의 끝부분을 가나로 표기하여 발음을 명확히 하는데, 이것이 오쿠리가나이다.
한자 표기 (오쿠리가나 포함) | 발음 | 의미 |
---|---|---|
生일본어 | なま|나마일본어 또는 き|키일본어 | 날것, 살아있는 |
生う일본어 | おう|오우일본어 | (풀 등이) 자라다, 무성하다 |
生きる일본어 | いきる|이키루일본어 | 살다 |
生かす일본어 | いかす|이카스일본어 | 살리다, 활용하다 |
生ける일본어 | いける|이케루일본어 | 살리다, (꽃꽂이 등을) 하다 |
生む일본어 | うむ|우무일본어 | 낳다, 생산하다 |
生まれる일본어 / 生れる일본어 | うまれる|우마레루일본어 | 태어나다 |
生える일본어 | はえる|하에루일본어 | (털, 이 등이) 나다, 자라다 (자동사) |
生やす일본어 | はやす|하야스일본어 | (수염 등을) 기르다 (타동사) |
生じる일본어 | しょうじる|쇼지루일본어 | 발생하다, 생기다 (혼성 한일어) |
위 표에서 보듯이 '生'이라는 한자 뒤에 붙는 가나(오쿠리가나)에 따라 단어의 발음과 의미가 달라진다. 오쿠리가나는 어간의 굴절 형태를 명확히 보여주고, 여러 발음을 가진 한자의 읽는 법을 구별해주는 음성 보완의 역할을 한다. 특히 '生'을 사용하는 동사들 중 일부는 어간의 첫 음( い|이일본어 , う|우일본어 , は|하일본어 )을 공유하는데, 오쿠리가나는 이러한 공유를 최대한 반영하도록 관례적으로 선택된다.
일반적으로 오쿠리가나는 굴절어미를 포함하는 마지막 음절을 표기한다. 그러나 -しい|-시이일본어로 끝나는 형용동사나, 파생 명사에서 어미가 탈락하는 -る|-루일본어로 끝나는 동사의 경우 마지막 두 음절을 표기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태어나다'라는 뜻의 うまれる|우마레루일본어는 '낳다'라는 뜻의 うむ|우무일본어에서 파생되었기 때문에, 파생 관계를 반영하여 生まれる|우마레루일본어로 쓰거나, 다른 동사들처럼 生れる|우마레루일본어로 쓰는 등 불규칙한 경우도 존재한다.
4. 중국어
중국어는 정식 문자 체계에 표음 문자가 포함되지 않아 순수한 의미의 읽기도움자는 없다. 대신 한자 제자 원리 중 약 90%를 차지하는 형성자(形聲字) 방식에서, 글자 일부가 발음의 암시를 주는 역할을 한다. 형성자는 일반적으로 뜻을 나타내는 부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음성 요소가 결합된 글자이다.
그러나 수천 년에 걸친 음운 변화로 인해 형성자의 음성 요소가 실제 발음과 다른 경우가 많아, 발음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지침이 되지는 못한다. 형성자의 구체적인 원리와 예시, 한계점 등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에서 다룬다.
4. 1. 형성자
중국어는 정식 문자 체계에 표음 문자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순수한 의미의 읽기도움자는 없다. 대신, 한자를 만드는 원리 중 가장 많은 비중(약 90%)을 차지하는 형성자(形聲字)가 발음을 짐작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형성자는 뜻을 나타내는 부수(의미 요소)와 소리를 나타내는 음성 요소가 결합된 글자이다. 예를 들어 '合'(hé, 합) 자를 음성 요소로 포함하는 '盒'(hé, 합), '閤'(hé, 합), '蛤'(há, 하), '哈'(hā, 하) 등은 비슷한 발음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그러나 수천 년에 걸친 음운 변화 때문에 형성자의 음성 요소가 항상 정확한 발음을 알려주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어떤 부분이 음성 요소인지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聽(청)의 음성 요소는 '𡈼'(정)이고, 類(류)의 음성 요소는 '頪'(려)이며, 勝(승)의 음성 요소는 '朕'(짐)이다.
베트남어의 옛 문자 체계인 쯔놈(Chữ Nôm|쯔놈vi) 역시 대부분 형성 문자로 이루어져 있다. 쯔놈의 형성자는 음성 요소와 의미 요소가 각각 독립적인 한자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는 특징이 있다. (예: ''쯔놈'' 𣎏 및 𣩂)
한국어의 국자(國字) 중에도 드물게 형성 원리로 만들어진 글자가 있다. 예를 들어 乭(돌)은 뜻을 나타내는 '石'(석)과 소리를 나타내는 '乙'(을)이 합쳐진 글자로, '돌'이라고 읽는다.
일본어의 국자(国字) 중에도 형성 원리를 따른 글자들이 있다. 예를 들어 '働'(동, '움직일 동')은 '動'(동)을 음성 요소로, '腺'(선, '샘 선')은 '泉'(천)을 음성 요소로, '鑓'(창)은 '遣'(견)을 음성 요소로 사용한 형성자이다.
5. 베트남어
베트남어의 쯔놈은 대부분 형성 문자로 이루어져 있다. 쯔놈에서 음성 요소와 의미 요소는, 한자에서 부수가 사용되는 방식과 달리, 각각 완전한 한자 형태를 띤다(예: 쯔놈 𣎏, 𣩂).
6. 아카드어
(내용 없음)
6. 1. 수메르어와의 관계
수메르어의 쐐기문자를 표기 체계로 받아들인 아카드인들은 셈계 언어인 아카드어와 고립된 언어인 수메르어 사이의 차이점을 인식하고 있었다. 수메르어는 단음절 또는 짧은 음절의 낱말과 동음이의어가 많은 것이 특징이었다. 예를 들어 kur|쿠르sux (𒆳)는 '언덕'과 '국가'라는 뜻의 동음이의어이다.아카드어에서는 이 두 가지 의미를 각각 다른 단어로 표현했는데, '언덕'은 šadú|샤두akk (šadú), '국가'는 mātu|마투akk (mātu)였다. 수메르 설형 문자가 아카드어를 표기하기 위해 차용되었을 때, 두 단어가 동일한 문자(𒆳, 일반적으로 KUR로 표기되며, 수메르어 발음을 따름)로 쓰였기 때문에 의미가 모호해졌다. 아카드인들은 독자가 어떤 아카드어 단어를 의도하는지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언덕'을 의미할 경우에는 읽기도움자(음성 보충어) '-ú'를 KUR 뒤에 써서 KUR-ú|쿠르-우akk가 šadúakk로 발음되도록 했으며, 읽기도움자가 없는 KUR|쿠르akk는 mātuakk('국가')를 의미하도록 했다.
읽기도움자는 아카드어의 주격 및 소유격 등 문법적 격 표지를 표시하는 데도 쓰였다. 마찬가지로, 히타이트 설형 문자는 히타이트의 격 어미를 수메르어 표어와 아카드어 표어에 붙이기 위해 가끔 읽기도움자를 사용했다.
읽기도움자는 단어가 속한 어휘범주(문법 범주)를 결정하고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사용된 한정사(限定詞)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한정사는 단어 앞이나 뒤에 붙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기호 DINGIR|딩기르akk (𒀭)는 종종 신의 이름 앞에 오며, LUGAL|루갈akk (𒈗)은 왕의 이름 앞에 온다. 한정사는 발음되지 않았던 것으로 여겨진다.
7. 마야 문자
마야 문자는 마야 문명에서 사용된 음절 문자 체계로, 음성 보완(phonetic complement)을 광범위하게 활용했다.[1] 음성 보완은 표어 문자의 발음을 명확히 하기 위해 추가되는 음절 기호이며, 조화롭게 또는 비조화롭게 사용될 수 있었다.[2]
조화적 음성 보완의 예로 고전 마야어에서 '재규어'를 뜻하는 단어 'BALAM'을 들 수 있다. 이 단어는 ''BALAM''이라는 표어 문자 하나로 표기될 수도 있지만, 발음을 명확히 하기 위해 표어 문자 아래에 '마'(ma) 소리를 나타내는 음절 문자를 덧붙여 'BALAM-m(a)' 형태로 쓰기도 했다. 이때 추가된 '마'(ma) 음절 문자는 표어 문자의 마지막 음절 모음과 동일한 모음을 가지므로 조화적 보완에 해당한다. 마야 문자에는 마지막 음절과 다른 모음을 가진 음절 문자를 덧붙이는 비조화적인 음성 보완 표기도 존재했다.[3][4]
이처럼 표어 문자에 음절 문자를 덧붙여 발음을 보조하는 방식은 일본어에서 한자에 오쿠리가나를 붙여 쓰는 것이나 아카드어에서 수메르 문자를 차용하여 사용한 방식과 유사한 면이 있다.
8. 영어
영어에서는 2nd에서 -nd가 읽기도움자이다. 보통 2라고만 쓰여 있지만, 'two'로 읽기 때문에 'second'라고 읽으라는 암시를 주기 위해 nd를 붙이는 것이다. 확장된 예를 들면, 2ble(double), 2ple(couple), 2ary(February), b2y(binary), 2r(pair), 2in(twin), 2ni(Gemini) 등으로 표기하는 방식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1-01-17
[2]
문서
DISHARMONY IN MAYA HIEROGLYPHIC WRITING: LINGUISTIC CHANGE AND CONTINUITY IN CLASSIC SOCIETY
[3]
웹사이트
(제목 없음)
http://www.famsi.org[...]
2022-03
[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11-0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