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필리핀 독립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 독립교회는 1902년 필리핀 혁명과 스페인 식민 통치에 대한 반발로 설립된 교회이다.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와 이사벨로 데 로스 레예스를 중심으로, 로마 가톨릭교회의 개혁을 시도했으나, 교황 수위권과 교황 무류성을 거부하고 사제의 결혼을 허용하는 등 독자적인 노선을 걸었다. 초기에는 삼위일체론을 따랐으나, 이후 유니테리언주의로 신학적 변화를 겪었으며, 성공회와의 친교를 통해 사도 계승을 이어받았다. 여성 사제 서품, LGBTQ+ 포용 등 사회적 문제에 대한 진보적인 입장을 보이며, 현재는 주교가 이끄는 시노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립 가톨릭교회 - 구 가톨릭교회
    구 가톨릭교회는 19세기에 교황 무류성 교리에 반발하여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분리된 교회들을 통칭하며, 고대 교회의 전통을 따르고 교황의 권위를 제한하며 교황 무류성 등을 인정하지 않고 위트레흐트 연합을 결성하여 교황의 교도권을 부정하며 에큐메니컬 운동에도 참여한다.
  • 독립 가톨릭교회 - 중국천주교애국회
    중국천주교애국회는 1957년에 설립된 중화인민공화국 내 천주교 단체이며, 로마 교황청으로부터 독립하여 교황청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종교의 자유 침해 등의 비판을 받고 있다.
  • 필리핀의 문화 - 앙고노 암각화
    필리핀 리잘 주 앙고노에 있는 앙고노 암각화는 국가 문화 보물로 지정되어 유네스코 세계 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신석기 시대 후기의 암각화 유적으로, 1965년 카를로스 V. 프란시스코에 의해 발견된 127개의 동식물 형상 그림이 새겨져 있다.
  • 필리핀의 문화 - 시눌룩
    시눌룩은 필리핀 세부에서 매년 1월에 열리는 세뇨르 산토 니뇨를 기리는 축제로, "해류와 같은 춤"을 의미하는 시눌룩 춤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기독교 전파 이후 필리핀의 중요한 문화 행사로 자리 잡았다.
필리핀 독립교회
기본 정보
필리핀 독립 교회의 문장
문장
약칭IFI, PIC
다른 이름아글리파얀 교회
주류 아글리파얀 교회
어머니 아글리파얀 교회
토착 필리핀 가톨릭 교회
분류기독교 (서방 기독교)
성향독립 가톨릭교회
앵글로-가톨릭교회
종교적 민족주의
진보 기독교
자유주의 기독교
성경성경
신학삼위일체론 (칼케돈, 성공회, 가톨릭 신학에 기반), 해방 신학
정치 체제감독제
통치총회 (총회)
지도자 직함최고 주교
지도자 이름조엘 O. 폴라레스
총무딘도 D. 라노호
주교 최고 회의 의장호셀리토 T. 크루즈
행정부IFI 총회
IFI 집행 위원회
구조친교
관련 단체필리핀 교회 협의회
아시아 기독교 협의회
세계 교회 협의회
유나이티드 소사이어티 파트너스 인 더 가스펠
동아시아 교회 협의회
완전한 친교목록 참조
교구국내 교구: 49개
해외 교구: 2개
총: 51개
해외 조직 예배 공동체: 4개
설립자필리핀 노동자 민주 연합
이사벨로 F. 데 로스 레예스
그레고리오 L. 아글리파이
설립일1902년 8월 3일
설립 장소퀴아포, 마닐라, 필리핀 제도
독립로마 교황청으로부터: 20세기 이후; 1902년 8월 3일 이후 (자체적인 필리핀 지도부)
분리 대상로마 가톨릭교회
분리된 교회Iglesia de la Libertad (1938년, 소수)
Independent Church of Filipino Christians / Aglipay Memorial Church (ICFC / AMC) (1955년, 소수)
Church Body of Christ – Filipinista (1966년, 소수)
Holy Catholic Apostolic Christian Church (HCAC) (1966년, 소수)
Philippine Independent Catholic Church (Iglesia Catolica Filipina Independiente) – PICC/ICFI (1981년)
Aglipayan Christian Church Inc. (Legion of Mary) (1995년, 소수)
63rd and Mothers Apostolic Church of the Philippines (2000년대 분파, 소수)
필리핀 전역에 IFI와 친교하지 않는 최소 30개의 다른 소규모 "아글리파얀" 분파, 분리주의 집단, 종파 및 분열 단체
지역필리핀
북아메리카
유럽
중동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태평양 제도
언어필리핀어 (링구아 프랑카)
필리핀 토착 지역 언어
영어
필리핀 스페인어
라틴어
전례The Filipino RitualThe Filipino Missal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저, 1961년)
본부필리핀 독립 교회 국립 성자 대성당 #1500 Taft Avenue, 에르미타, 마닐라, 필리핀
신자 수1,458,992명 (2020년 인구 조사)
600만 ~ 700만 명 (WCC 및 2023년 내부 추정)
병원해당 없음
양로원해당 없음
지원IFI – 긴급 구호 태스크 포스 (IFI–TFER)
IFI 우려 및 옹호 구호 및 회복력, 권한 부여 및 지속 가능성 (IFI CARES)
성직자해당 없음
선교사해당 없음
초등학교해당 없음
중등학교해당 없음
세금 현황해당 없음
대학교해당 없음
신학교2개 (필리핀 성공회와 공동 신학교 1개 포함)
출판물The Christian Register
The Sower
웹사이트https://web.archive.org/web/20230922073633/https://ifi.org.ph/%7Cwww.ifi.org.ph
슬로건/모토 (영어)For God and Fatherland - Scripture, Charity, Knowledge, Liberty
IFI 공식 깃발
IFI 공식 깃발
신학교
신학교 목록성 안드레아 신학 대학 (케손 시, 공동)
아글리파이 신학 대학 (우르다네타 시)
IFI 국립 신학교 (에르미타, 마닐라)
친교 교회
완전한 친교 관계를 맺은 교회성공회 공동체
미국 복음주의 루터교회
마라톤 시리아 교회
스페인 개혁 성공회
포르투갈 루시타니아 복음주의 성공회
노르웨이 교회
스웨덴 교회
아르헨티나 성공회 교회
브라질 성공회 교회
멕시코 성공회 교회
캐나다 성공회 교회
미국 성공회 교회
아일랜드 교회
웨일스 교회
스코틀랜드 성공회 교회
잉글랜드 교회
구 가톨릭교회 연합 (위트레흐트 연합)
필리핀 감리교회
로마자 표기
필리핀어Malayang Simbahan ng Pilipinas
일로카노어Nawaya a Simbaan ti Filipinas
스페인어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2. 역사

필리핀 독립교회의 역사는 필리핀 민족주의 운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일로코스 노르테 출신의 가톨릭 사제였던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필리핀-미국 전쟁이 절정에 달했던 1899년, 에밀리오 아기날도자유주의 운동에 참여하고 교황 레오 13세와의 분열을 조장했다는 혐의로 마닐라 대교구 대주교 베르나르디노 노살레다에 의해 파문당했다.[36][19]

초기 필리핀 혁명 당시, 아글리파이와 그의 대학 동창이자 반수도사 동료인 이사벨로 데 로스 레예스는 스페인에 망명 중이던 일루스트라도 작가, 언론인, 노동 운동가로서, 프라이어("프라이어 통치")에 의해 지배되던 필리핀 가톨릭 성직자를 개혁하려 했다. 당시 로마 가톨릭교는 스페인 식민 시대의 국교였으며, 대부분의 필리핀 토착 사제들은 1870년부터 본당 관리가 금지되었고, 스페인 프라이어의 보조 사제에 불과했다. 토착 사제들은 주교 서품도 받을 수 없었다.[20][21]

대통령 에밀리오 아기날도는 스페인 수도사 주교들의 영적 권력을 전복시키고자 1898년 아글리파이를 필리핀 혁명의 군종 사제총장으로 임명하여 토착 필리핀 성직자를 이끌도록 했다.[22] 아글리파이는 말롤로스 의회의 일원이었으며, 종교계에서 유일한 의원이자 고향을 대표했다.[20]

아글리파이는 필리핀-미국 전쟁 동안 소장 계급의 게릴라 지도자였다.[23] 1899년 10월 23일, 파니퀴에서 필리핀 교회 회의를 소집했는데, 이는 아폴리나리오 마비니의 선언문에 대한 응답이었다. 마비니는 세속화 운동에서 영감을 받아 필리핀 성직자에게 "필리핀 국교"를 조직할 것을 촉구했다.[21] 이 아이디어는 아기날도의 지지를 받았다.[24] 이 회의에는 28명의 필리핀 토착 사제가 참석하여 단명한 국교가 실현되었으나, 제1 필리핀 공화국 해체 이후인 1901년에 폐지되었다.[21]

2. 1.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와 필리핀 혁명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는 일로코스 노르테 출신의 로마 가톨릭교 사제이자 독립운동가였다. 초기 필리핀 혁명 시기에 아글리파이와 그의 동료 이사벨로 데 로스 레예스는 스페인에 망명 중이던 일루스트라도 작가, 언론인, 노동 운동가로서, 당시 프라이어("프라이어 통치")에 의해 지배되던 필리핀 가톨릭 성직자 개혁을 시도했다.[20][21] 당시 로마 가톨릭교는 스페인 식민 시대의 국교였으며, 대부분의 필리핀 토착 사제들은 1870년부터 본당 관리가 금지되었고 스페인 프라이어의 보조 사제에 불과했다. 또한 토착 사제들은 주교 서품을 받을 수 없었다.[20][21]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가 최고 주교였을 때의 모습


대통령 에밀리오 아기날도는 스페인 수도사 주교들의 영적 권력을 전복시키기 위해 1898년 아글리파이를 필리핀 혁명의 군종 사제총장으로 임명했다.[22] 아글리파이는 말롤로스 의회의 일원이었으며, 종교계에서 유일한 의원이자 그의 고향을 대표했다.[20]

아글리파이는 필리핀-미국 전쟁 동안 소장 계급의 게릴라 지도자로도 활동했다.[23] 1899년 10월 23일, 그는 파니퀴에서 필리핀 교회 회의를 소집했는데, 이는 아폴리나리오 마비니의 선언문에 대한 응답이었다. 마비니는 세속화 운동에서 영감을 받아 필리핀 성직자에게 로마와의 분열을 반드시 의미하지는 않지만, "필리핀 국교"를 조직할 것을 촉구했다.[21] 이 아이디어는 아기날도의 지지를 받았다.[24] 회의에는 28명의 필리핀 토착 사제가 참석하여 단명한 국교가 실현되었으나, 제1 필리핀 공화국 해체 이후인 1901년에 폐지되었다.[21]

아글리파이는 에밀리오 아기날도자유주의 운동에 참여하고, 교황 레오 13세와의 분열을 조장했다는 혐의로 마닐라 대교구의 대주교인 베르나르디노 노살레다에 의해 파문당했다.[36][19]

2. 2. 이사벨로 데 로스 레예스와 '우니온 오브레라 데모크라티카'

이사벨로 데 로스 레예스는 필리핀-미국 전쟁 이후, 노동조합인 ''우니온 오브레라 데모크라티카 필리피나''를 이끌었고, 1902년 8월 3일 키아포(마닐라)의 ''센트로 데 벨라스 아르테스''에서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필리핀 독립교회|필리핀 독립교회(IFI)es 창립을 주도했다.[25]

데 로스 레예스는 교황 수위권교황 무류성을 거부하고, 사제의 가톨릭교회의 성직자 독신주의를 폐지하여 결혼을 허용하는 등 진보적인 주장을 펼쳤다.[22][59] 그는 스페인 주재 교황 대사였던 주세페 프랑치카-나바 데 본티페와의 대화를 통해, 말롤로스 헌법에 따른 정교 분리에도 불구하고 스페인 수사들이 여전히 교구를 장악하고, 미국 성직자들이 이들을 대체할 것을 우려했다. 그는 필리핀 주도의 독립 교회를 통해 필리핀의 주권을 확보하고자 했다.[13]

데 로스 레예스는 ''우니온 오브레라 데모크라티카 필리피나''에서 "로마 교회의 모든 좋은 점을 보존하고 그리스도의 교리의 도덕적 순수성과 신성함을 타락시키기 위해 로마주의자들이 도입한 모든 기만을 제거하는" 필리핀 주도 독립 교회를 구체화할 인력과 자원을 확보했다.[13]

2. 3. 초기 신학 발전

초기 필리핀 독립교회는 삼위일체론을 따랐으나,[58] 점차 유니테리언 신학으로 변화했다.[41][127] 이는 아글리파이와 데 로스 레예스의 영향으로, 그들은 예수의 신성과 성 삼위일체를 부정하는 합리주의, 진보적 신학을 추구했다.[41][127] 이러한 신학적 견해는 ''Catecismo de la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1905),[42] ''Oficio Divino''(1906),[43] ''Pagsisiyam sa Birhen sa Balintawak''(1925),[44] ''Novenary of the Motherland''(1926) 등에서 나타났다.[44] 그러나 모든 교인이 이러한 신학적 변화를 받아들인 것은 아니었다.[45]

"앙 비르헨 응 발린타왁"("발린타왁의 성모") 이콘. 필리핀 혁명 동안의 마리아 발현으로 여겨진다. 토착 성모 마리아가 전통적인 필리핀 드레스를 입은 고난받는 국가의 어머니로서 아들, 신성한 아기는 카티푸네로로 차려입었다.

2. 4. 분파 및 에큐메니컬 운동

필리핀 독립교회는 창립 초기부터 산티아고 포나시어가 이끄는 유니테리언파와 삼위일체론자파로 나뉘어 있었다.[71] 포나시어는 최고 주교 재임 기간 동안 유니테리언 신학을 옹호했지만, 1946년에 논란으로 인해 주교 최고 위원회에 의해 해임되었다.[71] 이후 이사벨로 데 로스 레예스 주니어가 최고 주교로 선출되면서 교회는 에큐메니즘을 추구하기 시작했다.[71]

1947년, 필리핀 독립교회는 미국 성공회에 사도 계승을 요청했다.[71] 이는 필리핀 독립교회 창립 당시 필리핀인 주교가 없었기 때문에 사도 계승이 단절되었기 때문이다.[71] 1948년, 미국 성공회는 이 요청을 승인하여 필리핀 독립교회 주교들에게 재서품과 안수를 통해 사도 계승을 부여했다.[71] 이로써 필리핀 독립교회는 성공회와의 완전한 친교를 맺게 되었다.[71]

이사벨로 데 로스 레예스 주니어는 "필리핀 에큐메니즘의 아버지"로 불린다.


이후 필리핀 독립교회는 1963년 영국 교회, 1965년 구 가톨릭 위트레흐트 연합과도 정교 조약을 체결하며 에큐메니컬 운동을 확장했다.[71] 1995년에는 스웨덴 교회와, 1997년에는 필리핀 성공회와 완전한 친교를 맺었다.[71]

그러나 필리핀 독립교회 내부에서는 분열이 계속되었다. 1981년에는 마카리오 V. 가 최고 주교와 아르만도 L. 데 라 크루스 사제가 이끄는 "필리핀 독립 가톨릭 교회"(ICFI/PICC)가 분리되었다.[71] 이들은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독재에 대한 입장 차이로 인해 갈등을 겪었다.[71] 1990년대 후반, 가는 필리핀 독립교회와 화해했지만, ICFI/PICC는 여전히 분리된 상태로 남아있다.[71]

3. 교리와 실천

필리핀 독립교회는 성경과 전통의 권위를 모두 긍정하며, 믿음과 이성이 동등하다고 믿는다.[81] 성경 외경에 의해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지만, 7권의 제2경전은 "존경할 가치가 있고 지혜의 원천"으로 간주된다.[81] ''오직 성경''을 고수하지 않는다.[81]

전례 절기, 준수 사항, 전통이 로마 가톨릭 교회와 매우 유사한 연간 IFI 전례 달력을 따른다.[82] 미사 참석자를 위한 규정된 복장 규정은 없지만, 모든 사람에게 적절하게 옷을 입을 것을 권장하며, 성직자가 피어싱문신을 하는 것에 대한 도덕적 금지를 하지 않는다.[81]

로마 가톨릭 교회와 대부분의 성공회와 달리, 현재 수녀가 없다. 일부 교구의 필리핀 독립 교회 여성회(WOPIC) 회원들은 베일과 수도복을 수녀와 유사하게 미사 중에 착용하여 "존경의 표시"를 한다. 사순절 기간 동안, 특정 교구의 WOPIC 회원들 중 "노비시야스"(수련자)라고 불리는 그룹은 40일 동안 교회 봉사를 ''파마마나타''(참회)로 제공하며 "마리아, 예수의 어머니"를 모방하는 영광스러운 방식으로 베일을 착용하며, 이는 "7가지" 여성 "돌로로사스"와 같다. 1960년대에 민다나오의 성 안나 성공회 수녀회와 루손의 성모 마리아 성공회 수녀회가 필리핀 독립 교회 여성을 자매 훈련을 위해 그들의 수도회로 받아들였을 때 수녀들을 두었다. 필리핀 독립 교회 수녀들은 나중에 1970년대에 자체 수도회를 설립했지만, 제도적 후원 부족으로 해산되었고, 일부는 루손의 성공회 수녀회로 다시 합류했다.[31]

3. 1. 예배와 전례

필리핀 독립교회(IFI)의 주요 일요일 전례는 성찬례 또는 성찬 미사로, 자국어로 진행된다. 성찬 전례는 로마 미사 경본과 유사하며, 성공회의 ''공동 기도서'' 요소도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청결을 위한 기도, 봉헌 전 평화의 인사, 성찬 기도, 겸손한 접근의 기도 등이 있다. 로마 가톨릭 교회처럼 IFI 교회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십자 성호를 긋는다. 사도신경과 니케아 신조를 모두 고백하지만, 주로 후자를 사용한다. 7성사를 믿고 시행하며, 교회의 네 가지 표지가 자신들의 교회 안에 존재한다고 주장한다.[81] 예배와 의식 순서는 ''필리핀 전례서''와 ''필리핀 미사 경본''에 포함되어 있다.

아글리파이파는 그리스도의 성찬례 내 현존을 믿지만, 화체설, 공재설, 성사적 연합에 대한 믿음은 확신하지 않는다. 실제 임재에 대한 믿음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성찬 종(성작성병)에 어떻게 임재하시는지를 아는 주장을 의미하지 않으며, 신성한 신비에 맡겨진다고 주장한다. 또한, 성찬 종이 빵과 포도주가 되는 것을 멈춘다는 믿음을 의미하지 않는다. 성찬 종이 성찬 때만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실제적으로 현존하며 전체 성찬 전례에서 실제로 주어진다고 가르침을 받는다. 믿음으로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받으며, 그리스도께서 성찬에 "천상의 영적인 방식"으로 임재하신다고 믿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체설, 공재설, 성사적 연합의 신학적 교리에 대해 공식적으로 이의를 제기한 적은 없다.[79]

IFI 교회는 민족주의적 요소를 강하게 통합한다. 1907년부터 필리핀 국기를 성역에 게양하고 국가를 부르는 등 필리핀의 국가 상징을 전례 관행에 사용한다.[81] 미국 점령 기간 동안, 1907년 국기법이 제정되었을 때, IFI 성직자들은 필리핀 국기의 이미지와 색상으로 성직자 의복을 디자인하여 미사 거행 중에 사용했다. 이러한 디자인은 현재까지 IFI에 의해 여전히 시행되고 있다.[81]

아글리파이파는 묵주 기도를 하지만, 10월을 묵주 달로 기념하지 않고 평신도의 달로 기념한다. 가정 교회를 실천하며, 원죄 없이 잉태되심, 성모 승천, 성모 마리아의 평생 동정성은 교리로 받아들이지 않지만, 신자들이 개인적으로 믿을 수는 있다. 유아 세례를 시행하며, 첫 영성체는 로마 가톨릭 교회와 달리 유아 영성체를 허용한다. 견진 성사는 12세부터 주교만 시행할 수 있다. 고해 성사는 시행하지만, 고해소에서 하는 개별 고백은 거의 시행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성찬례 중 "하나님께 직접" 일반/공개 고백에 참여한다. 연옥의 전통적인 개념을 부인하며, IFI가 믿는 연옥은 지구에 있는 물리적인 장소이다. 기독교의 축귀 과정을 가지고 있지만, 성사로 간주되지 않으며, 모든 서품된 IFI 사제는 주교와 상담하고 의학 검사를 거친 후 최후의 수단으로만 축귀를 수행할 수 있다. 십일조를 실천하도록 권장하지만, 의무적으로 강요되지는 않는다.[83][84][79][85]

IFI 교회는 예배, 전례 및 정책 결정에 평신도의 참여를 강조한다. 평신도는 기도를 인도하고, 성경을 읽고, 성찬 봉사자로 활동한다.

필리핀 독립 교회는 필리핀 식민지 시대에 로마 가톨릭 교회로부터의 해방의 역사를 탈출기의 이야기와 비교한다.[81]

3. 2. 사도 계승

필리핀 독립교회(IFI)는 베드로교황청이 유효한 사도 계승에 대한 배타적인 권리를 갖는 것을 거부한다. IFI는 사도 계승이 베드로뿐만 아니라 모든 사도들의 집단적인 권위를 강조한다고 믿는다. 따라서 IFI는 초기 교회에서 권위의 계승이 베드로에게서만 유래한 것이 아니라 모든 사도들로부터 유래되었다고 강력히 주장한다.[81]

IFI의 주교들은 1948년 4월 7일에 처음으로 미국 성공회(TEC)의 성공회 계보에서 안수를 받아, 끊임없는 사도 계승을 이어받는다. 성공회 계보는 캔터베리 대주교로부터 그 계승을 추적한다. 구 가톨릭 교회는 구 가톨릭 교회와 TEC가 회원으로 있는 성공회 공동체의 모든 교회 사이에 완전한 친교가 이루어진 1931년 본 협정을 통해 성공회 서품의 유효성을 인정한다.[86] 일부 동방 정교회 교회도 성공회 서품의 유효성을 확인한다.[87][88]

구 가톨릭 교회는 1965년 9월 21일 두 교회 사이에 완전한 친교가 이루어진 후 필리핀 독립교회 주교들을 공동 서품하기 시작했으며, 따라서 IFI는 또한 구 가톨릭 계보에서 계승을 추적한다. ''사역 자체의 효험''의 원칙에 따르면, 구 가톨릭 주교들에 의한, 그리고 구 가톨릭 주교들의 특정 서품은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인정되며 교황청에 의해 공식적으로 이의가 제기된 적이 없다.[86]

3. 3. 성직자와 사역

필리핀 독립교회는 주교, 사제, 부제의 세 가지 성직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81] 성직자 독신은 선택 사항이며, 사제는 결혼을 할 수도 있고, 미혼으로 남을 수도 있다.[81] 여성 성직자 또한 허용하는데, 1997년 로잘리나 V. 라바리아가 최초의 여성 사제로 서품되었고,[89] 2019년에는 에멜린 다쿠이쿠이가 최초의 여성 주교로 서임되었다.[90][91][92]

사제가 되려는 사람은 교회의 신학교에서 신학 학사 학위를 취득해야 한다.[81] 부제에는 사제 서품을 기다리는 과도기 부제와, 전문적인 직무를 가지고 있어 반드시 사제로 서품될 필요는 없는 정부(영구) 부제가 있다.[81] 사제와 부제는 교구 주교의 서면 허가 없이는 교회 외부의 직무나 임명으로 봉급을 받을 수 없다.[107] 주교 또한 집행 위원회의 서면 허가 없이는 그러한 노력을 할 수 없다.[107]

필리핀 독립교회는 필리핀 육군 군종 참모의 군목인 사제를 두고 있으며, 선원과 그 가족을 위한 사역인 선원을 위한 선교 PH를 시작했다.

성직자는 서품을 받은 상태에서 직무를 계속 수행하면서 정치적 공직을 맡거나 정치 선거에 참여할 수 없다.[81] 성직자는 후보 등록 최소 두 달 전에 자신의 주교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후보 등록 증명서를 제출하는 즉시 사임한 것으로 간주된다.[81]

일반 성직자의 남성 사제는 "존경하는 아버지"(존경하는/목사)로, 여성 사제는 "목사"("목사" 또는 "레브" 또는 구두 및 참조 스타일로 "파디")로 불린다. 부제는 성별에 관계없이 "존경하는 부제"(존경하는/목사 Dcn.)로 불린다.

교회의 하위 서품에는 부제시종이 있으며, 서품받지 않은 위임된 독서자 (해설자)와 모든 교구에 평신도 독서자/평신도 사역자/또는 평신도 설교자가 있다.[81]

3. 4. 성인

필리핀 독립교회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마찬가지로 성인 공경 신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1902년 독립 이후 로마 가톨릭에 의해 시성된 성인들은 인정하지 않고 있다.

로마 가톨릭 교회와 마찬가지로, IFI 신자들은 마리아 신심과 가톨릭 신심을 따르며, 특히 성경(신약)의 성인들과 가톨릭 성인을 숭배한다. IFI 교회는 공식적으로 "마리아 중심 교회"라고 주장하지 않지만, 예수의 어머니 마리아는 ''테오토코스''로서 성인들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인물로 교회에서 존경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02년 분열 이후 로마에 의해 시성된 여러 가톨릭 성인들은 교회와 그 구성원들에게 인정받지 못한다. 한편, 1902년 분열 이전에 교황 (또는 로마 주교)에 의해 보편적으로 성인으로 시성된 이들은 IFI 교회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다. IFI 교회는 또한 매년 11월 1일 모든 성인의 날과 11월 2일 위령의 날을 기념한다. 성인에 대한 공경은 공식적으로 행해지지만, 반면에 성인의 신격화는 교회에서 신성 모독으로 규정한다.[83]

IFI의 전례력에서, 모든 성인의 날 다음 월요일은 "IFI의 순교자와 고백자 기념일"로 지정된다.

1903년 9월, 아글리파이를 필두로 한 교회는 여러 주교들과 함께 비공개 회의에서 호세 리잘과 곰부르자 사제들을 시성했다. 그러나 교회는 1950년대에 그들의 성인 지위를 철회했으며, 오늘날까지 그들을 성인으로 인정하는 것을 중단했다. 이는 "교회의 민족주의 단계에서 이루어진 일"이었지만, 그들은 여전히 그들을 최고의 국민 영웅이자 초기 IFI 순교자로 인정하고 있다.

3. 5. 사회적 입장

필리핀 독립교회는 사회 문제에 대해 전반적으로 진보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피임성교육을 옹호하는 생식 보건 법안을 지지하며, 이는 낙태율 감소와 인구 증가 억제를 목표로 한다.[97][98] 그러나 "의학적으로 필요하지 않은" 유도 낙태에는 반대한다.[97]

필리핀 독립 교회 신자와 필리핀 성공회 신자들이 필리핀 마리키나 시에서 열린 2017년 프라이드 퍼레이드에 참여하고 있다.


LGBTQ+ 커뮤니티에 대한 포용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다. 2017년, 교회는 성명서를 통해 과거의 "무관심"과 차별에 대해 사과하고, "모든 성별, 성적 지향, 성 정체성 및 표현(SSOGIE)을 가진 하나님의 사람들"을 공개적으로 포용한다고 밝혔다.[99][100] 성스러운 결혼에 대한 입장은 유지하지만, LGBTIQ+ 사람들이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공동체를 제공하고자 한다.[99][100] 2023년에는 트랜스 여성 신학생을 집사로 서품하여 트랜스젠더 성직자를 인정하기도 했다.[102][103]

이혼 법안에 대해서는 일부 교회 관계자들이 열린 입장을 표명했다. 이들은 이혼을 "결혼의 신성함"에 대한 무시가 아닌 실용적인 문제로 보며, "자유, 존엄성, 그리고 정체성에 대한 국민의 권리"를 강조하는 가르침에 따라 최후의 수단으로 고려할 수 있다고 밝혔다.[104]

레드태깅 (공산주의자 또는 테러리스트로 낙인찍는 행위)에 반대하며, 무고 문화를 비판한다.[105][106]

4. 조직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필리핀 독립교회)는 주교가 이끄는 시노드 방식으로 운영되는 교회이다. 총회는 최고 정책 결정 기구이며, 총회가 없을 경우 집행위원회가 최고 정책 결정 기구이다. 이 교회의 지도부는 자치적이며, 다른 교단의 의장 주교와 유사하게 최고 주교가 이끌고 있다. 최고 주교는 집행위원회를 이끌고 있다.[81]

이 교회에는 세 개의 주요 성직자 및 평신도 위원회가 있다. 최고 주교 위원회(SCB), 사제 위원회(COP), 전국 평신도 위원회(NCL).[81]

전국 평신도 위원회 산하에는 교회 내 세 개의 주요 평신도 단체(평신도 단체)가 있다.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청년회(YIFI), 필리핀 독립 교회 여성회(WOPIC),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평신도회(LIFI).[81]

한편, 사제들 또한 자체적인 단체인 전국 사제 조직(NPO)을 가지고 있다. 교회 내 다른 단체로는 성직자 배우자 조직(CSO)과 비공식적인 성직자 자녀 조직(CCO)이 있다. 로마 가톨릭 교회처럼, IFI에도 경건한 단체가 있다.[81]

5. 다른 기독교 교파와의 관계

필리핀 독립교회는 성공회, 구 가톨릭 위트레흐트 연합, 스웨덴 교회 등 여러 기독교 교파와 완전한 친교 관계를 맺고 있다.[54][56][55][52][69][59][93] 1948년 미국 성공회를 통해 사도 계승을 받았으며, 1961년에는 성공회 친교와 완전한 친교를 맺었다.[116][52][117] 1965년에는 구 가톨릭 교회와 완전한 친교를 맺고 공동 서품을 시작했다.[86]

필리핀 독립교회와 필리핀 성공회 간의 완전한 친교 협약에 대한 역사적 기념 표지판.


20세기 후반부터 로마 가톨릭교회와 종교 간 대화를 지속해 왔으며, 양측은 "공동 성명"을 통해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해왔다. 2021년 8월 3일, 필리핀 가톨릭 주교 회의(CBCP) 소속 로마 가톨릭 교회 지도자들은 필리핀 독립교회 창립 119주년 및 필리핀 기독교 500주년 기념의 일환으로 필리핀 독립교회와 함께 "에큐메니컬 협력을 위한" 두 건의 문서에 서명하며 상호 세례를 인정했다.[93][118][119]

2021년 필리핀 기독교 500주년 기념 행사의 일환으로 서로의 다양성을 인정하며 상호 협약을 체결하는 IFI와 필리핀 가톨릭 주교 회의(CBCP) 지도자들. 사진에는 당시 최고 주교 리 팀방이 CBCP 대표들에게 IFI의 전례 서적을 증정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


세계 교회 협의회(WCC), 아시아 기독교 협의회(CCA) 등 여러 교회 연합 기구의 회원이며,[71] 필리핀 연합 그리스도 교회(UCCP)와 같이, 이들 기구의 교회 일치 회원인 다른 교파들과도 에큐메니컬 관계를 맺으며 협력하고 있다.[71]

5. 1. 친교 관계

필리핀 독립교회는 성공회, 구 가톨릭 위트레흐트 연합, 스웨덴 교회 등 여러 기독교 교파와 완전한 친교 관계를 맺고 있다.[54][56][55][52][69][59][93] 1948년 미국 성공회를 통해 사도 계승을 받았으며,[81] 1961년에는 성공회 친교와 완전한 친교를 맺었다.[116][52][117]

1965년, 구 가톨릭 교회는 필리핀 독립교회와 완전한 친교를 맺은 후, 필리핀 독립교회 주교들을 공동 서품하기 시작했다.[86]

필리핀 독립교회가 완전한 친교를 맺고 있는 교파는 다음과 같다.

교파
잉글랜드 교회
스코틀랜드 성공회
위트레흐트 연합
필리핀 성공회
서인도 제도 관구 교회
중앙 아프리카 관구 교회
서아프리카 관구 교회
케냐 성공회
탄자니아 성공회
북인도 교회
남인도 교회
파키스탄 교회
미얀마 관구 교회
실론 교회 (교구 외)
일본 성공회(Nippon Sei Ko Kai)
아일랜드 교회
루시타니아 가톨릭 사도 복음주의 교회 (교구 외)
캐나다 성공회
우간다 교회
르완다 성공회
부룬디 성공회
스페인 개혁 성공회 (교구 외)
남아프리카 성공회
아오테아로아, 뉴질랜드 및 폴리네시아 성공회
오스트리아 구 가톨릭 교회
체코 구 가톨릭 교회
독일 구 가톨릭 교회
네덜란드 구 가톨릭 교회
스위스 기독교 가톨릭 교회
미국 폴란드 국가 가톨릭 교회
크로아티아 구 가톨릭 교회
브라질 성공회
스웨덴 교회


5. 2. 로마 가톨릭교회와의 에큐메니컬 관계

필리핀 독립교회(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IFI)는 20세기 후반부터 로마 가톨릭교회와 종교 간 대화를 지속해 왔으며, 양측은 "공동 성명"을 통해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해왔다. 이는 2021년에 공식화되었다.[93]

2021년 8월 3일, IFI 창립 119주년 및 필리핀 기독교 500주년 기념의 일환으로, 필리핀 가톨릭 주교 회의(CBCP) 소속 로마 가톨릭 교회 지도자들은 IFI와 함께 "에큐메니컬 협력을 위한" 두 건의 문서에 서명했다. 이 자리에서 양 교회는 상호 세례를 인정했다.[93][118][119] 이는 IFI와 로마 가톨릭 교회 간의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된다.

첫 번째 공동 성명에서 양측은 "과거에 입힌 모든 상처에 대해 서로 용서를 구하고 기도하며" "구성원 간의 기억을 치유하고 정화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밝혔다. 또한 IFI가 "아글리파얀 전통에서 설립된 다른 분리된 교회들과의 치유와 화해를 위해 노력한다"는 점도 명시했다.[93][118][119]

두 번째 공동 성명은 양 교회의 "세례 상호 인정"을 강조한다. IFI의 삼위일체 세례 공식은 이미 로마 가톨릭 교회가 다른 기독교 교회가 유효하게 집행한 세례 목록에서 인정한 상태였다.[94]

IFI 관계자들은 2015년 교황 프란치스코의 필리핀 국빈 방문 중 교황 프란치스코의 축복과 같은 로마 가톨릭 교회의 세례 의식 인정을 얻기 위해 노력해 왔다. 이를 통해 교파 간 결혼을 용이하게 하여, 아글리파얀 신자들이 로마 가톨릭 신자와 결혼하기 전에 더 이상 로마 가톨릭 신자로 세례를 받을 필요가 없도록 했다.[120][121][122]

당시 IFI 최고 주교 리 팀방은 IFI 국립 대성당에서 열린 두 문서의 전례 발표식에서 CBCP 사무총장 베르나르도 판틴 신부에게 IFI의 전례 서적과 명부를 전달했다.[118]

IFI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세례를 받고 IFI에 합류하려는 개인에 대해 별도의 세례를 요구하지 않는다. 이들은 주교 또는 주교 부재 시 사제나 부제가 집전하는 IFI 영입 의식을 통해, 필요한 교리 교육 과정을 이수한 후 교회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진다.[93]

5. 3. 기타 에큐메니컬 관계

필리핀 독립교회는 세계 교회 협의회(WCC), 아시아 기독교 협의회(CCA) 등 여러 교회 연합 기구의 회원이다.[71] 필리핀 연합 그리스도 교회(UCCP)와 같이, 이들 기구의 교회 일치 회원인 다른 교파들과도 에큐메니컬 관계를 맺으며 협력하고 있다.[71]

6. 주요 인물

인물설명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1898년부터 1899년까지 교회의 초대 최고 주교이자 혁명 정부의 총대리. 말롤로스 헌법 제정 당시 유일하게 참석한 성직자 대표.[36][19]
이사벨로 데 로스 레예스 시니어돈 벨롱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19세기와 20세기의 저명한 필리핀 정치인, 작가, 노동 운동가. IFI의 설립을 선포. 저술과 노동조합 활동, 특히 필리핀 민주 노동 연합으로 인해 "필리핀 사회주의의 아버지"로 불림. 일로카노어성경을 번역함. 평신도 지도자였으며, 초기 IFI의 사실상 수석 신학자. 1929년에 명예 주교가 되었고, 아들 이사벨로 주니어는 나중에 1946년에 최고 주교가 됨.[27][28]
알베르토 라멘토IFI의 아홉 번째 최고 주교. 2006년 정부 비판자이자 필리핀 인권 침해에 반대하는 활동가였다는 이유로 암살당함.
에프라임 파유타가나2011년부터 2017년까지 IFI의 열두 번째 최고 주교이자 필리핀 전국 교회 협의회의 전 의장.
리 팀방2017년부터 2023년까지 IFI의 열세 번째 최고 주교.
조엘 포랄레스2023년부터 IFI의 열네 번째이자 현 최고 주교.
페르난도 부이서IFI 주교이자 최고 주교 평의회의 전 수장. 세부아노 문학의 다작 인물로, 세부아노어 소네트 형태인 소나노이를 발명.
가르데오파트라 키자노치과의사이자 교육자, 여성주의 작가. 필리핀 독립교회 여성회(WOPIC) 전국 회장(1975–1977). IFI 주교 후안 P. 키자노의 딸.
필리페 부엔카미노 1세변호사; 말롤로스 헌법 공동 저술자이자 필리핀 제1공화국의 외무부 장관. IFI 초창기의 최초이자 선구적인 구성원 중 한 명.
알렉산더 게스문도법학자; 2021년부터 제27대이자 현직 필리핀 대법원장.[123]
힐라리아 델 로사리오 데 아기날도초대 필리핀 대통령인 에밀리오 아기날도 장군의 첫 번째 부인; 1897년 3월부터 1901년 4월까지 공식적으로 최초의 필리핀 영부인.
세사르 비라타임시 바타상 팜반사 및 정규 바타상 팜반사 하에서 제4대 필리핀 총리 (1981–1986).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마르코스 독재 시대 동안 1970년부터 재무부 장관을 역임, 1981년 총리가 됨. 80년대 내내 재무부 장관 겸임. 초대 필리핀 대통령인 에밀리오 아기날도의 종손.
에르메네힐도 크루스작가, 필리핀 의회의원. 필리핀 민주 노동 연합의 저명한 멤버, IFI 설립 당시 최초의 선구적인 멤버 중 한 명.[124]
호세 가르비다 플로레스방기, 일로코스 노르테 출신의 애국자이자 다작의 일로카노 작가 겸 극작가. IFI 예배에서 불리는 "필리피나스, 나다야그 아 필리피나스" 작곡.
라파엘 팔마마닐라 출신의 저명한 작가, 관료, 변호사 출신 정치인, 제4대 필리핀 대학교 총장.[125]
파스쿠알 H. 포블레테작가, 언어학자, 호세 리살의 소설 Noli Me Tangere를 최초로 타갈로그어로 번역. 필리핀 민주 노동 연합의 저명한 멤버, IFI 설립 당시 최초의 선구적인 멤버 중 한 명.[126]
로페 K. 산토스극작가, 작가, 시인, 정치인, 민족주의자. 파시그 출생, 판다칸, 마닐라 성장, 1940년에 아바카다 타갈로그어 철자법 개정 도입. "필리핀 문법의 아버지".[21]
비센테 소토극작가, 작가, 언론인, 반수도사, "앙 수가"와 "엘 푸에블로" 발행인 겸 편집자, 정치인. 세부의 필리핀 교회 설립자. 비센테 "티토" 소토 III와 빅 소토의 할아버지, 비코 소토의 증조부.
아우렐리오 톨렌티노팜팡가인 작가, 극작가, 비밀 결사 카티푸난의 초기 창립 멤버. 팜팡가에 필리핀 교회 설립 옹호.[59]
에드가 아글리파이(Edgar Aglipay)퇴역 경찰 장군; 2004년부터 2005년까지 필리핀 국가 경찰청장, 1998년부터 2000년까지, 2001년부터 2002년까지 수도권 경찰청 부청장; DIWA 정당 명예 회장;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 후손.[136]
발도메로 아기날도(Baldomero Aguinaldo)혁명가 장군, 카티푸난 멤버; 카티푸난 마그달로 파벌 지도자; 카비테 카위트에서 IFI Comite de Caballeros(신사 위원회) 회장; 1904년 카위트 비나카얀에서 IFI 지역 평신도 조직 결성, 1938년 분파 Iglesia de la Libertad 됨; 에밀리오 아기날도 장군의 사촌, 세사르 비라타의 할아버지.[127][74]
마리아노 알바레스(Mariano Álvarez)카비테 노벨레타 출신 혁명가 장군, 카티푸난 멤버; 카티푸난 마그디왕 파벌 지도자.
파스쿠알 알바레스(Pascual Álvarez)혁명가 장군, 초대 내무부 국장, 테헤로스 혁명 정부 활동; 마리아노의 조카.
산티아고 알바레스(Santiago Álvarez)혁명가 장군, 달라히칸, 카비테 역사적 혁명군 최고 사령관; Kidlat ng Apoy(불의 번개), "달라히칸 전투의 영웅"; 마리아노의 아들.
멜초라 아키노(Melchora Aquino)1896년 필리핀 혁명 발발 당시 84세, Tandang Sora(늙은 소라)로 알려진 혁명가. "혁명의 위대한 여성", "발린타왁의 어머니". 칼루칸에서 교회의 저명하고 헌신적인 추종자.[128]
라디슬라오 디와(Ladislao Diwa)카비테 시(Cavite City) 출신, 카티푸난 공동 창립자, 고위 간부; 필리핀 혁명 당시 카비테에서 혁명군에 합류.[129]
레안드로 풀론(Leandro Fullon)필리핀 혁명, 필리핀-미국 전쟁 참전 혁명가 장군. Visayas 모든 필리핀 군대 사령관, 안티케 주의 해방자. 안티케 혁명 지방 정부 초대 필리핀 주지사 설립, 역임.[130]
마리아노 노리엘(Mariano Noriel)필리핀 혁명, 필리핀-미국 전쟁 참전 혁명가 장군. 1898년 미국 군대 인트라무로스 상륙 전 필리핀 선봉대 지휘. 바코르, 카비테(Bacoor, Cavite)에서 IFI 평신도 조직 초대 회장.[131][132]
파시아노 리잘(Paciano Rizal)필리핀 혁명, 필리핀-미국 전쟁 여단장 임명 혁명가 장군; 라구나 칼람바 전투 지휘. 은퇴 후 1903년부터 1904년까지 라구나 비난에 IFI 설립 옹호; 호세 리잘의 형.[133]
도미나도르 고메스민족주의자, 의사, 노동 운동 지도자, 작가, 필리핀 의회 의원. 필리핀 민주 노동 연합 회원, IFI 창립 당시 최초이자 선구적인 멤버.[124]
크리스핀 벨트란입법자, 노동 지도자, "필리핀 노동계의 원로". 13대 필리핀 국회 정당 명부 대표, 전 킬루상 마요 우노(KMU) 의장, 현대 필리핀 역사 중요 인물.[134][135]
니콜라스 부엔디아1935년부터 1941년까지 불라칸 제1선거구 국회의원, 제8대 불라칸 주지사, 1941년부터 1946년까지 상원 의원. IFI 창립 당시 최초의 선구적인 구성원.
로도라 카디아오현직 주지사 (2015년~).
마리아노 마르코스변호사, 일본 협력자, 일로코스노르테 출신 정치인. 1925년부터 1931년까지 하원의원. 전 대통령, 독재자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아버지.
살바시온 Z. 페레즈2001년부터 2010년까지 안티케 전 주지사; 전 대법관 칼릭스토 잘디바르의 딸.[136]
게데온 G. 키자노전 미사미스옥시덴탈 주지사, 의사. 지방 역사상 가장 오래 재임한 주지사. IFI 주교 후안 P. 키자노의 아들.
칼릭스토 잘디바르전 안티케 단독 선거구 대표 (1934–1935), 전 안티케 주지사 (1951–1955), 전 대법원 대법관 (1964–1974). IFI 전국 평신도 조직 전 회장.[137]
산티아고 포나시에르1940년부터 1946년까지 필리핀 독립 교회 두 번째 최고 주교, 분리, 파생 교파인 필리핀 기독교 독립 교회(ICFC) 설립. 1912년부터 1916년까지 일로코스 노르테 제1선거구 필리핀 하원 의원, 1919년부터 1925년까지 필리핀 상원 제1 상원 선거구 상원 의원.
에밀리오 아귀날도초대 필리핀 대통령. 카비테 출신 혁명 장군, 장교들과 IFI 카비테 거점 확보 기여. 사촌 발도메로는 카비테 IFI Comité de Caballeros(신사 위원회) 회장, 막내 여동생 펠리시다, 아내 힐라리아 델 로사리오, 어머니 트리니다드 파미는 교회 Comisión de Damas(여성 위원회) 임원. 노년에 로마 가톨릭교로 재개종.[138][24]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전 필리핀 대통령, 독재자 (1965–1986); 마리아노의 아들. 아글리파얀 신자로 세례, 성장, 레이테 출신 이멜다 로물데스와 결혼 위해 로마 가톨릭교로 개종.


7. 주요 교회

로마 가톨릭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필리핀 독립 교회의 교회 건물 구조는 필리핀의 로마 가톨릭 교회 건물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지교회인 성당 또한 마찬가지이다.[78][80]

성 아기 대성당(국립 대성당)의 세례당


타프트 애비뉴를 따라 위치한 마닐라 에르미타의 성 아기 대성당은 필리핀 독립 교회의 국립 대성당이자 최고 주교의 자리이다. 건축가 카를로스 아르구엘레스가 설계한 이 교회의 건설은 1964년에 시작되어 초대 최고 주교인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의 109번째 생일을 기념하기 위해 1969년 5월 8일에 봉헌되었다.[108] 이 교회는 주로 노출 콘크리트와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경사진 사다리꼴 벽과 수평 홈으로 질감이 표현된 매달린 블록과 삼각형 블록으로 매달린 구조로 유명하다.[109]

호세 리잘의 ''상처 없는 십자가''를 의미하는 라틴어 제목la에 등장하는 마리아 클라라를 따서 명명된 마리아 클라라 본당 교회(구 마리아 클라라 그리스도 교회)는 필리핀 마닐라 산타 크루즈에 위치해 있으며, 1923년 나무 구조물로 처음 건설되었으며 1950년대에 콘크리트 구조물로 확장 및 재건축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톤도에 있는 필리핀 독립 교회의 원래 국립 대성당이 파괴되었을 때, 마리아 클라라 본당 교회는 1969년 현재의 성스러운 아기 대성당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대주교의 임시 사무실이 되었다. 발린타왁의 성모의 원본 조각상은 마리아 클라라 본당 교회에 보관되어 있다. 본당의 관리는 대마닐라 교구에 속해 있지만, 물리적 재산과 교회 건물 자체는 데 로스 레예스 가문이 소유하고 있다. 현재 교회의 주교이자 본당 주교는 이사벨로 주니어의 아들이자 이사벨로 시니어의 손자인 반퇴 주교 그레고리오 데 로스 레예스이다.[108][110]

참조

[1] 웹사이트 Statement on Ministry http://ifi.org.ph/on[...] 2023-02-25
[2] 논문 The Bible in the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https://muse.jhu.edu[...] 2022-11-03
[3] 논문 Chalcedon on the Road to Justice and Peace (The Case of the Mar Thoma–Old Catholic Dialogue) https://onlinelibrar[...] 2023-02-10
[4] 웹사이트 Philippine Independent Church https://www.oikoumen[...] 2022-11-02
[5] 웹사이트 Council of Churches of East Asia – Anglican Communion News Service https://www.anglican[...] 2022-12-03
[6] 웹사이트 VALID BAPTISMS RECOGNIZED BY THE CATHOLIC CHURCH IN THE PHILIPPINES https://archdioceseo[...] Archdiocese of Palo 2022-11-10
[7] AV media MGA BATA NGA NAKASUTANA, TRENDING SA SOCIAL MEDIA https://www.youtube.[...] 104.1 THE ROCK RADIO 2021-01-15
[8] 뉴스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unveils liturgical book in Filipino https://newsinfo.inq[...] 2022-11-27
[9] 간행물 Religious Affiliation in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2023-03-12
[10] 웹사이트 POPULATION OF THE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PER PROVINCE / Based on the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of the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https://www.facebook[...] IFI Page Gallery 2024-09-09
[11] 간행물 Religion: The Aglipayans https://content.time[...] 2023-03-01
[12] 웹사이트 2021 Report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Philippines https://www.state.go[...] OFFICE OF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2022-11-03
[13] 뉴스 How the First Filipino Church Was Born: The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https://www.esquirem[...] 2022-11-05
[14] 뉴스 How the Death of Gomburza Led to a Wholly Filipino Church https://www.esquirem[...] 2022-11-08
[15] 서적 Aglipayan: The Flourishing of Independent Catholicism in the Philippines https://www.academia[...] Independently Published 2020-10-27
[16] 뉴스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A Revolutionary Heritage https://www.bulatlat[...] 2022-11-17
[17] 서적 500 Years of Christianity and the Global Filipino/A Palgrave Macmillan, Cham 2024-09-29
[18] 뉴스 "[The Wide Shot] Joining the Aglipay revolution" https://www.rappler.[...] 2024-08-11
[19] 뉴스 "Pope Orders Sharp Action; Archbishop of Manila Instructed to Excommunicate Philippine National Church Promoters" New York Times 1902-12-29
[20] 웹사이트 Church–State Relations in the 1899 Malolos Constitution: Filipinization and Visions of National Community https://www.jstage.j[...] Kyoto University 2022-11-07
[21] 논문 Apolinario Mabini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Church https://www.asj.upd.[...] 2022-11-07
[22] 웹사이트 Philippine Independent Church https://www.encyclop[...] New Catholic Encyclopedia 2022-10-27
[23] 웹사이트 Novenary of the motherland : (the motherland is symbolized in the envisioned Mother of Balintawak) https://quod.lib.umi[...] The United States and its Territories, 1870 - 1925: The Age of Imperialism 2022-12-17
[24] 웹사이트 Indigenous Christian Churches: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Philippines: A Country Study) http://countrystudie[...] Washington: GPO for the Library of Congress, 1991 2022-11-05
[25] 논문 Publicizing Independence: The Filipino Ilustrado Isabelo de Los Reyes and the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in a Colonial Public Sphere https://www.jstor.or[...] 2022-11-03
[26] 웹사이트 SEC Admin Case No. 10-10-123 https://www.sec.gov.[...]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2022-11-07
[27] 문서 The Religious Coup d'Etat 1898–1901: a documentary history University Press 1971
[28] 웹사이트 History http://ifi.org.ph/ab[...] IFI
[29] 서적 History of the Filipino people https://archive.org/[...] Garotech Pub 1990
[30] 논문 Don Isabelo delos Reyes (1864-1938): Forerunner of Filipino Theology https://www.academia[...] 2023-02-26
[31] 웹사이트 The Nationalist and Ecumenical Expressions in the Ministry of the Nine Bishops (1902-2002) https://www.scribd.c[...] Part of the Dissertation of the Very Rev. Eleuterio J. Revollido, S.Th.D. (International Church Leaders Solidarity Summit) 2022-11-21
[32] 문서 Religion & Religions Dominican House of Studies 1982
[33] 웹사이트 Emilio Aguinaldo Lodge No. 31 https://grandlodge.p[...] 2022-11-02
[34] 논문 The True Birth Date of Gregorio Aglipay https://www.jstor.or[...] Ateneo de Manila University 2023-03-06
[35] 웹사이트 Aglipayanism and the Philippine Independence Church http://www.seasite.n[...] The American University 2022-11-02
[36] 논문 The Aglipay Schism in the Philippine Islands https://www.jstor.or[...] 2022-12-17
[37] 뉴스 Aglipayan Church in Abra damaged by magnitude 6.7 quake https://newsinfo.inq[...] 2022-10-26
[38] 서적 Revolutionary Clergy: The Filipino Clergy and the Nationalist Movement, 1850-1903 https://books.google[...] Ateneo de Manila U Press
[39] 서적 '10,000 Famous Freemasons, Part One'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2004
[40] 뉴스 The Aglipayan Church in our history https://usa.inquirer[...] 2022-11-02
[41] 웹사이트 Aglipayan Church, The https://rpl.hds.harv[...] 2022-11-02
[42] 서적 Catecismo de la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http://bdh-rd.bne.es[...] Imprenta de Fajardo y Compañía 2020-02-11
[43] 서적 Oficio divino de la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http://bdh-rd.bne.es[...] Isabelo de los Reyes 2020-02-11
[44] 논문 'Time, Identity, and Nation in the "Aglipayan Novenario ng Balintawak" and "Calendariong Maanghang"' http://www.jstor.org[...] 2022-11-21
[45] 웹사이트 Novenary of the motherland : (the motherland is symbolized in the envisioned Mother of Balintawak) https://quod.lib.umi[...] The United States and its Territories, 1870 - 1925: The Age of Imperialism 2022-11-21
[46] 웹사이트 Santiago S. Fonacier https://legacy.senat[...] 2022-11-18
[47] 웹사이트 OM's Message to the Church On the 43rd Death Anniversary of past Obispo Maximo, Bishop Santiago Fonacier https://www.dgma.ph/[...] Rhee Timbang 2022-11-18
[48] 웹사이트 Philippine Independent Church https://www.encyclop[...] New Catholic Encyclopedia 2022-05-06
[49] 논문 Filipinos in History https://dfa.gov.ph/i[...] Department of Foreign Affairs 2023-12-27
[50] 웹사이트 DECLARATION OF FAITH AND ARTICLES OF RELIGION of the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https://www.dgma.ph/[...] IFI Diocese of Greater Manila Area 2023-05-06
[51] 웹사이트 IFI's Gift of Apostolic Succession https://antonioablon[...] 2022-11-10
[52] 웹사이트 The Concordat of Full Communion Between the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and The Episcopal Church https://www.episcopa[...] 2022-11-10
[53] 웹사이트 Ecumenical Unity in Philippines Achieves Historic Milestone https://acsociety.or[...] 2022-11-10
[54] 웹사이트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IFI) https://uspg.mychurc[...] 2022-11-10
[55] 서적 Old Catholic and Philippine Independent Ecclesiologies in History, The Catholic Church in Every Place https://brill.com/di[...] Brill's Series in Church History, Volume: 52 2022-11-10
[56] 웹사이트 Union of Utrecht and Philippine Independent Church celebrate 50 years of full communion https://www.oikoumen[...] 2022-11-10
[57]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the IARF https://iarf.net/wp-[...] 2023-02-25
[58] 웹사이트 Philippine Independent Church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22-11-01
[59]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ifi.org.ph/ab[...] IFI official 2022-11-01
[60] 웹사이트 History of the AGLIPAYAN CHRISTIAN CHURCH http://www.netminist[...] 2022-11-01
[61] 웹사이트 Aglipayanism and the Philippine Independent Church http://www.phil-am-w[...] Foreign Area Studies, The American University, Washington, D.C., 1976 (Area Handbook for the Philippines, Chapter 8: Religions) 2022-11-01
[62] 논문 Bishop Isabelo De Los Reyes, Jr.: An Ecumenical Tribute (1971) https://philippinest[...] Ateneo de Manila University 2008-06-30
[63] 뉴스 IFI, ICFI bring war to court https://www.philstar[...] 2022-11-01
[64] 웹사이트 ARCHBISHOPRIC OF METRO MANILA AND THE ENTIRE PHILIPPINES OF THE P.I.C.C. https://companieshou[...]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2022-11-01
[65] 웹사이트 ARCHBISHOPRIC OF METRO MANILA AND THE ENTIRE PHILIPPINES OF THE P.I.C.C. https://sois.psa.gov[...]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2-11-01
[66] 웹사이트 Concordat of Understanding Between The Anglican Church in North America and The Philippine Independent Catholic Churches of Jesus Christ Also Known as Iglesia Catolica Filipina Indpendiente https://anglicanchur[...] The Anglican Church in North America 2022-11-01
[67] 웹사이트 Bilateral relations https://www.svenskak[...] 2022-12-22
[68] 웹사이트 IFI and ECP Celebrate 15th Concordat Anniversary https://sites.google[...] 2022-11-10
[69] 웹사이트 Commentary on the ECP-IFI Concordat https://nccphilippin[...] 2022-11-10
[70] 웹사이트 Unity Accord Celebrated Between Churches in the Philippines https://episcopalarc[...] The Archives of the Episcopal Church 2022-11-10
[71] 웹사이트 Philippine Independent Church https://web.archive.[...] Oikoumene.org 2011-08-13
[72] 간행물 Table 1.10; Household Population by Religious Affiliation and by Sex; 2010 https://psa.gov.ph/s[...]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5-10
[73] 웹사이트 2021 Philippines in Figures https://psa.gov.ph/s[...]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2-07-17
[74] 논문 The Aglipayan Churches and the Census of 1960 http://www.jstor.org[...] 2022-11-07
[75] 웹사이트 Filipino bishop Alberto Ramento found stabbed to death https://www.anglican[...] 2006-10-04
[76] 웹사이트 Justice remains elusive eight years after bishop's murder https://www.ucanews.[...] 2017-10-24
[77] 웹사이트 'To live simply', A tale of 3 Aglipayan priests https://www.bulatlat[...] 2015-04-02
[78] 웹사이트 Epiphany in Lagonoy: The Nationalist Church of Sts. Philip and James https://www.bicolmai[...] 2019-12-27
[79] 논문 What Aglipayans Believe https://www.jstor.or[...]
[80] 뉴스 How a Catholic Church turned 'Aglipayan' https://www.dailygua[...] 2021-12-10
[81] 서적 Know Your Faith: A Question-and-Answer approach of knowing the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IFI) Bienvinido E. Nallos, Jr. and Graphic Etc. Printhaus
[82] 웹사이트 Statement on Church Mission https://sites.google[...] IFI 2023-01-17
[83] 웹사이트 Articles of Religion https://sites.google[...] IFI 2022-11-03
[84] 웹사이트 Ten Year Strategic Plan 2014-2024 https://sites.google[...] IFI 2022-11-03
[85] 웹사이트 Exorcisms are on the rise. Here's what happens during one https://www.premierc[...] 2021-12-22
[86] 논문 National, Catholic, and Ecumenical https://web.archive.[...] 2024-04-02
[87] 논문 Reviewed work: Orthodox Statements on Anglican Orders, E. R. Hardy, Jr https://www.cambridg[...] American Society of Church History 1948-06
[88] 웹사이트 Anglicanism and Eastern Orthodoxy - Historically Speaking https://anglicanprov[...] 2022-05-03
[89] 웹사이트 Philippine Independent Church prepares to consecrate first woman bishop https://www.episcopa[...] 2019-04-29
[90] 웹사이트 First woman bishop makes history in Philippine Independent Church https://www.episcopa[...] Episcopal News Service 2019-05-24
[91] 뉴스 Women priests https://www.philstar[...] 2007-10-16
[92] 웹사이트 Breakaway Philippine church marks 20 years of female priests https://www.ucanews.[...] Union of Catholic Asian News 2022-11-16
[93] 웹사이트 Philippine Catholic Church inks documents with nationalist Church for reconciliation, common baptism https://www.catholic[...] 2021-08-05
[94] 뉴스 Catholic, Aglipayan churches issue statement on mutual recognition of baptism https://mb.com.ph/20[...] 2021-08-03
[95] 웹사이트 Jose Rizal: A Hero-Saint? https://nhcp.gov.ph/[...] 2012-09-19
[96] 웹사이트 'Saint' Jose Rizal http://www.thepoc.ne[...] Philippine Online Chronicles 2011-06-30
[97] 웹사이트 Statement in Support to the Reproductive Health Bill https://sites.google[...] IFI 2022-11-04
[98] 뉴스 Council of Churches pushes passage of RH bill https://www.philstar[...] 2010-12-06
[99] 웹사이트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asks forgiveness from the LGBTQ community, extends hand with pro-equality statement https://outragemag.c[...] Outrage Magazine 2018-11-28
[100] 웹사이트 Church must embrace people of all SOGIE, says IFI in historic LGBT statement https://outragemag.c[...] Outrage Magazine 2017-03-28
[101] 뉴스 'Women are called': Photo of female church leaders breaks religious stereotypes https://coconuts.co/[...] Coconuts Manila 2022-12-20
[102] 뉴스 Historic, revolutionary: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ordains first trans woman clergy in PH https://www.rappler.[...] 2023-02-24
[103] 뉴스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Is Ordaining the Country's First Transwoman Clergy https://www.esquirem[...] 2023-02-23
[104] 뉴스 Religious group supports divorce https://www.sunstar.[...] 2010-09-03
[105] 뉴스 Red-tagging of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and partners https://www.panaynew[...] Panay News 2019-03-02
[106] 웹사이트 Red-tagged IFI bishop: We fear for our lives and liberty http://davaotoday.co[...] 2019-02-24
[107] 웹사이트 Constitution and Canons https://sites.google[...] IFI 2023-03-05
[108] 웹사이트 History http://ifinc.org/his[...]
[109] 서적 Arkitekturang Filipino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Press
[110] 웹사이트 Isabelo de los Reyes tomb https://www.facebook[...] ADVOCATES for HERITAGE PRESERVATION (AHP) 2022-11-25
[111] 웹사이트 FILIPINO CHURCH LEADER RECEIVES AWARD FROM THE NETHERLANDS' OLD CATHOLIC CHURCH https://dfa.gov.ph/d[...] 2022-11-04
[112] 웹사이트 Episcopal Church, Philippine Independent Church to celebrate 60th anniversary of full communion https://www.episcopa[...] Episcopal Church Office of Public Affairs 2022-11-04
[113] 웹사이트 Anti-colonialism and religious independence in the Philippines around 1900: Preserving the archival records of the early history of the Iglesia Filipina Independente (EAP855) https://eap.bl.uk/pr[...] 2022-11-04
[114] 웹사이트 60th Anniversary of the Full Communion Concordat between The Episcopal Church and the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IFI) https://www.episcopa[...] 2022-11-04
[115] 웹사이트 St. Andrew's Theological Seminary – Official website homepage https://www.sats.ph/ 2022-11-04
[116] 간행물 Anglican Communion: Churches in Communion https://www.anglican[...]
[117] 간행물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Philippine Independent Church) (IFI). (Comments from Churches Involved in Union Negotiations) https://link.gale.co[...] The Ecumenical Review, vol. 54, no. 3, pp. 414+ 2022-11-01
[118] 웹사이트 Celebrating the gift of faith, learning from the past, and journeying together https://philippines.[...] LICAS News 2022-11-14
[119] 뉴스 From separation to reconciliation https://opinion.inqu[...] 2022-11-14
[120] 뉴스 Aglipayans seek pope's blessing https://manilastanda[...] 2022-11-15
[121] 뉴스 Unprecedented: NCCP and IFI Obispo Maximo lauds Pope https://www.manilati[...] The Manila Times 2022-11-15
[122] 뉴스 NCCP: Pope's meeting with religious leaders a 'milestone' https://news.abs-cbn[...] 2022-11-15
[123] AV media Solidarity Message of Chief Justice Alexander Gesmundo https://www.facebook[...] IFI Page Gallery 2022-11-24
[124] 뉴스 Union Obrera Democratica at 120: The seeds of workers' struggle https://www.bulatlat[...] 2022-02-07
[125] AV media 3/6 -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History https://www.youtube.[...] ContagionX10 2023-02-11
[126] 웹사이트 Poblete, Pascual H. (2015) https://philippinecu[...] Sagisag Kultura (Vol 1). Manila: National Commission for Culture and the Arts 2022-11-08
[127] 간행물 The Baptismal Rites in Filipino Christian Churches http://www.jstor.org[...] 2022-11-29
[128] 뉴스 On Tandang Sora's 203rd birth anniversary https://www.philstar[...] 2022-11-08
[129] 간행물 " Ladislao Diwa, Historiography, and the Curious Letter "J"" https://www.jstor.or[...] 2022-12-06
[130] 웹사이트 Philippine Ethnography – Antique https://nlpdl.nlp.go[...] NLP Digital Collection 2022-11-25
[131] 웹사이트 An army officer's Philippine studies (1849-1910., Volz, John R , ed.) https://quod.lib.umi[...] UNIVERSITY OF MICHIGAN LIBRARY DIGITAL COLLECTIONS 2022-11-08
[132] 웹사이트 Noriel https://eng.ichacha.[...] Native English Web Dictionary 2022-11-08
[133] 웹사이트 IT'S XIAOTIME! TAG: PACIANO https://xiaochua.net[...] 2023-04-04
[134] 뉴스 Crispin Beltran: the politics of the possible—Fides Lim https://news.abs-cbn[...] ABS-CBN News 2022-11-08
[135] 뉴스 Friends, allies say goodbye to Beltran at IFI church https://www.gmanetwo[...] GMA News 2022-12-17
[136] 연설 PGMA's Speech During the Centennial Celebration of the Founding of the Iglesia Filipina Independiente (Aglipay Church https://www.official[...] 2019-12-14
[137] 웹사이트 MW Calixto O. Zaldivar https://grandlodge.p[...] 2022-11-21
[138] 뉴스 Filipinos mourning death of Aguinaldo https://www.nytimes.[...] 2022-11-08
[139] 뉴스 Marian Rivera needs to get baptized again in Catholic church before her wedding https://www.gmanetwo[...] 2014-08-21
[140] 웹사이트 CONJUGATIONS – The Papal Visit: a Protestant Perspective https://www.philstar[...] Pilipino Star Ngayon 2015-01-19
[141] 뉴스 Famous Iglesia ni Cristo personalities https://www.rappler.[...] Rappler 2014-07-22
[142] 뉴스 The sad, dramatic, if redeeming, life of Juan Ponce Enrile https://sg.news.yaho[...] VERA Files 2012-10-05
[143] 뉴스 Sen. Juan Ponce Enrile, captain of the Senate https://newsinfo.inq[...] 2012-07-12
[144] 웹사이트 フィリピン独立教会の司教逮捕 アジアキリスト教協議会は当局を非難 https://www.christia[...] クリスチャントゥデイ 2017-05-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