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의 민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리핀 민족은 다양한 민족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사 시대 유물과 대만 기원 가설을 바탕으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확산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다. 필리핀 인구의 대부분은 원주민과 모로족을 제외한 주류 언어-민족 집단에 속하며, 이들은 기독교화된 집단으로 분류된다. 주요 원주민 집단으로는 비콜라노족, 가땅족, 이바나그족, 일로카노족, 이바탄족, 카팜팡간족, 모로족, 팡가시난족, 삼발족, 수바논족, 타갈로그족, 비사야족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소수 민족 집단이 존재한다. 또한, 중국계, 미국계, 아랍계, 인도계, 일본계, 스페인계 등 다양한 외국계 이민자 및 혼혈인도 필리핀 사회의 일부를 구성한다.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필리핀인은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동아시아, 유럽, 남아시아, 아메리카 원주민의 유전적 영향을 받았으며, 언어 및 종교, 문화적 다양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민족 - 아티족
아티족은 필리핀 군도, 특히 파나이섬과 보라카이섬에 거주하는 네그리토계 원주민으로, 비사야족보다 먼저 정착하여 이나티어를 사용하며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고 수렵 채집 생활을 했으나, 현재는 농업 등에 종사하며 아티-아티한 축제를 통해 문화를 기념하고, 토지 소유권 문제와 차별 속에서 필리핀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다. - 필리핀의 민족 - 네그리토
네그리토는 동남아시아와 안다만 제도에 거주하며 검은 피부와 작은 키를 공유하는 여러 민족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로, 유전적으로는 동아시아계와 파푸아계의 경계에 위치한 여러 분리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렵채집 생활을 해왔으나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필리핀의 민족 | |
---|---|
개요 | |
![]() | |
민족 구성 | |
민족 | 말레이족 중국계 필리핀인 메스티소 기타 |
주요 민족 그룹 | 비사야족 (33.5%) 타갈로그족 (24.4%) 일로카노족 (8.8%) 모로족 (5%) 비콜라노족 (5%) 기타 (23.3%) |
기타 민족 그룹 | 루마드 |
언어 | |
공용어 | 필리핀어 영어 |
지역어 | 120개 이상의 지역 언어 |
종교 | |
종교 | 가톨릭교 (79.53%) 이슬람교 (10.7%) 기타 기독교 (9.13%) 무교 (0.45%) 기타 (0.26%) |
2. 민족 구성
필리핀에는 다양한 민족 언어 집단이 존재한다. 필리핀 통계국은 인종적 배경이나 개인의 조상에 대한 설명을 하지 않기 때문에, 필리핀 내외의 모든 유형의 메스티소(아시아인, 미국인, 히스패닉, 기타)의 공식 인구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1962년 팔라완에서 발견된 선사시대 타본 원인은 2007년까지 필리핀에서 인류학자들이 발견한 가장 오래된 인류의 유물이었다. 고고학적 증거는 인도네시아와 중국에서 발견된 자바 원인과 북경 원인이라고 불리는 두 초기 인류 화석과 유사성을 가리키고 있다. 2007년, 더 이른 화석에서 나온 중족골이 카가얀주 페냐블란카 칼라오 동굴에서 발견되었다. 이 화석은 칼라오 원인으로 명명되었다.
주요 민족 집단은 다음과 같다.
민족 | 사진 | 설명 |
---|---|---|
비콜라노 | ![]() | 루손 비콜 지방 출신. 약 350만 명의 비콜어 화자가 있다.[141] 고추와 코코넛 밀크를 이용한 요리가 유명하다. |
가땅 | 약 25,000명. 카가얀밸리 상류, 특히 이사벨라주와 누에바비스카야주 지역에 스페인 제국 이전부터 거주. | |
이바나그 | 주로 루손 북부 카가얀주와 이사벨라주에 거주하는 약 50만 명의 저지대 기독교 민족 집단. | |
일로카노 | 루손 북부 해안과 저지대에 사는 주로 기독교를 믿는 집단.[142] 필리핀에서 세 번째로 큰 민족 언어 집단.[144] | |
이바탄 | ![]() | 필리핀섬 바타네스주에서 우세. 타이완 원주민과 문화적으로 밀접하게 연관. |
카팜팡간 | ![]() | 루손 바탄 주부터 누에바에시하주까지 뻗은 중부 평원 출신. 스페인 식민지 시대 용감한 군인으로 알려짐. |
팡가시난 | 필리핀에서 아홉 번째로 큰 민족 언어 집단. | |
삼발 | ![]() | 삼발레스주와 올롱가포 시 주민. |
타갈로그 | 마닐라와 그 주변 지역에 정착한 필리핀에서 가장 많고, 널리 퍼진 집단.[151][152] | |
비사야족 | ![]() | 주로 비사야 지방과 민다나오 많은 지역에 거주하는 저지대 민족 언어 집단. |
삼보앙구에뇨 | 차바카노어는 스페인어 기반 크레올어를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안 후손의 민족 언어 집단. |
1948년 H. Otley Beyer의 "파동 이주" 가설은 현대 인류학자들에 의해 증거가 없는 것으로 완전히 거부되었지만, 필리핀 초등학교 및 공립학교에서 여전히 널리 가르쳐져 필리핀인이 "말레이인"이라는 오해가 퍼지게 되었다.[23][24]
2. 1. 원주민
2008년 리즈 대학교의 《분자생물학과 진화》(''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에 발표된 유전학 연구는, 약 5만 년 전 현대인이 필리핀에 도착한 이후 미토콘드리아 DNA의 염기서열이 동남아 섬들 내부에서 진화해 왔음을 보여주며, 대규모 인구 유입의 증거가 없음을 시사한다.[137]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인구 분산은 1만 년 전 필리핀과 북쪽 지역을 갈라놓는 계기가 되었다.[137]미토콘드리아 DNA 염기서열 조사는 신석기 문화의 오스트로네시아인이 오랜 시간에 걸쳐 동남아 내부에서 진화했음을 보여준다. 인구 분산은 해수면 상승과 더불어 발생했고, 이는 마지막 빙하기 이후 1만년 전에 필리핀으로부터 멀리 북쪽의 타이완까지 이주를 하게 했을 것이다. 옥스퍼드 대학교 인류학 대학의 오펜하이머 박사에 의하면, 인구 이동은 기후 변화, 특히 빙하시대 말기(15,000년 전~7,000년 전)에 보르네오와 자와섬까지 뻗어 있었던 '순다랜드'(Sundaland)라고 불린 거대한 고대 반도가 침수된 영향 때문이었을 확률이 높다. 세 차례의 해수면 상승은 순다 반도를 침수시켜 자바와 남중국해, 그리고 오늘날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을 구성하는 수천 개의 섬들을 만들었다.[137]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의 마크 도노휴와 모나쉬 대학의 팀 덴엄의 연구는 오스트로네시아 언어가 타이완에서 필리핀을 거쳐 동남아시아 섬들로 확산되었다는 언어적 증거가 없다고 주장한다.[139]
필리핀 통계국은 인종적 배경이나 개인의 조상에 대한 설명을 하지 않아, 필리핀 내외 메스티소(아시아인, 미국인, 히스패닉 등)의 공식 인구는 알 수 없다. 스탠포드 대학교의 연구에서 필리핀인 28명의 유전자형 분석 결과 3.6%의 유럽인 유전자 유입이 발견되었으나, 이는 유럽 식민지 시절의 영향으로 추정되며, 표본 수가 적어 9,200만 인구 전체를 대표하기는 어렵다.
두 개의 초기 동아시아 파동(오스트로아시아어족 및 오스트릭어족)이 감지되었는데, 하나는 민다나오 내륙에 거주하는 마노보족에게서 가장 강력하게 입증되었고, 다른 하나는 술루 제도, 삼보앙가 반도 및 팔라완의 사마-바자우족 및 관련 민족에서 감지되었다. 사마족에서 발견된 혼합은 동남아시아 본토의 루아족 및 믈라브리족과의 관계를 나타내며, 서부 인도네시아에서 발견되는 유사한 유전적 신호를 반영한다. 이들은 마지막 빙하기가 끝나갈 무렵인 약 15,000년 전과 12,000년 전에 발생했다.[33]
14세기까지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민족 집단이 대부분 지역에서 네그리토 인구를 지배하고 대체했다. 남부 중국, 일본, 인도, 아라비아의 상인들도 섬의 민족 및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32] 파푸아인의 조상 또한 민다나오의 블란족과 상기르족에게서 감지되었는데, 이는 파푸아뉴기니에서 필리핀으로의 민족의 서쪽 확장을 시사한다. 약 2,000년 전 동남아시아가 인도양 무역 네트워크에 통합된 것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으며, 일부 사마-바자우 공동체 내에서 남아시아 유전 신호가 나타난다.[33]
16세기 스페인 제국의 식민지화는 스페인인과 멕시코인 등 새로운 민족 집단을 필리핀으로 데려왔다. 이들은 필리핀에 정착하여 원주민과 결혼했고, 필리핀 메스티소 (혼혈 오스트로네시아 및 히스패닉 조상)가 생겨났다. 스테파니 J. 매우슨은 저서에서 다양한 인종(아메리카 원주민, 메스티소, 크리올로)으로 구성된 라틴 아메리카(멕시코 및 페루)에서 필리핀으로의 군사적 이주가 있었다고 묘사했다.[34] 1600년대 라틴 아메리카에서 필리핀으로 파견된 군인 정착민은 누적 15,600명으로 기록되었고,[35] 유럽에서 이주해온 스페인인은 600명에 불과했으며,[36] 당시 필리핀 전체 인구는 약 667,612명이었다.[37]
위치 | 1603 | 1636 | 1642 | 1644 | 1654 | 1655 | 1670 | 1672 |
---|---|---|---|---|---|---|---|---|
마닐라[38] | 900 | 446 | — | 407 | 821 | 799 | 708 | 667 |
산티아고 요새[38] | — | 22 | — | — | 50 | — | 86 | 81 |
카비테[38] | — | 70 | — | — | 89 | — | 225 | 211 |
카가얀[38] | 46 | 80 | — | — | — | — | 155 | 155 |
칼라미안 제도[38] | — | — | — | — | — | — | 73 | 73 |
카라가[38] | — | 45 | — | — | — | — | 81 | 81 |
세부[38] | 86 | 50 | — | — | — | — | 135 | 135 |
타이완[38] | — | 180 | — | — | — | — | — | — |
몰루카 제도[38] | 80 | 480 | 507 | — | 389 | — | — | — |
일로일로[38] | 66 | 50 | — | — | — | — | 169 | 169 |
삼보앙가[38] | — | 210 | — | — | 184 | — | — | — |
기타[38] | 255 | — | — | — | — | — | — | — |
[38] | — | — | — | — | — | — | — | — |
총 증원군[38] | 1,533 | 1,633 | 2,067 | 2,085 | n/a | n/a | 1,632 | 1,572 |
1700년대에는 35,000명의 멕시코 이민자가 더 도착했고,[39] 당시 필리핀 인구는 150만 명으로, 인구의 약 2.3%를 차지했다.
1700년대 후반~1800년대 초반, 아구스티누스 수사 호아킨 마르티네스 데 수니가는 "필리핀 제도 통계"에서[40][41] 공납 수(평균 7~10명의 자녀[42]와 2명의 부모로 구성된 가족[43])를 기반으로 스페인-필리핀 인구 조사를 정리, 다음과 같은 통계를 얻었다.
주 | 원주민 공납 | 스페인 메스티소 공납 | 모든 공납 |
---|---|---|---|
톤도[38] | 14,437-1/2 | 3,528 | 27,897-7 |
카비테[38] | 5,724-1/2 | 859 | 9,132-4 |
라구나[38] | 14,392-1/2 | 336 | 19,448-6 |
바탕가스[38] | 15,014 | 451 | 21,579-7 |
민도로[38] | 3,165 | 3-1/2 | 4,000-8 |
불라칸[38] | 16,586-1/2 | 2,007 | 25,760-5 |
팜팡가[38] | 16,604-1/2 | 2,641 | 27,358-1 |
바탄[38] | 3,082 | 619 | 5,433 |
삼발레스[38] | 1,136 | 73 | 4,389 |
일로코스[38] | 44,852-1/2 | 631 | 68,856 |
팡가시난[38] | 19,836 | 719-1/2 | 25,366 |
카가얀[38] | 9,888 | 0 | 11,244-6 |
카마리네스[38] | 19,686-1/2 | 154-1/2 | 24,994 |
알바이[38] | 12,339 | 146 | 16,093 |
타야바스[38] | 7,396 | 12 | 9,228 |
세부[38] | 28,112-1/2 | 625 | 28,863 |
사마르[38] | 3,042 | 103 | 4,060 |
레이테[38] | 7,678 | 37-1/2 | 10,011 |
카라가[38] | 3,497 | 0 | 4,977 |
미사미스[38] | 1,278 | 0 | 1,674 |
네그로스 섬[38] | 5,741 | 0 | 7,176 |
일로일로[38] | 29,723 | 166 | 37,760 |
카피스[38] | 11,459 | 89 | 14,867 |
안티케[38] | 9,228 | 0 | 11,620 |
칼라미안 제도[38] | 2,289 | 0 | 3,161 |
총계 | 299,049 | 13,201 | 424,992-16 |
스페인-필리핀 인구는 주에 따라 크게 달랐다. 톤도 주(마닐라의 이전 이름)는 인구의 19%,[38] 팜팡가 13.7%,[38] 카비테 13%,[38] 라구나 2.28%,[38] 바탕가스 3%,[38] 불라칸 10.79%,[38] 바탄 16.72%,[38] 일로코스 1.38%,[38] 팡가시난 3.49%,[38] 알바이 1.16%,[38] 세부 2.17%,[38] 사마르 3.27%,[38] 일로일로 1%,[38] 카피스 1%,[38] 비콜 20%,[44] 삼보앙가 40%였다.[44] 루손의 많은 부분을 관할하는 마닐라 대교구는 인구의 약 10%가 스페인-필리핀인이었다.[38] 스페인 정착지가 없는 주를 포함, 전체 필리핀에서 스페인계 필리핀 공납의 평균 비율은 총 인구의 5%였다.[38][38]
현대 중국계 필리핀인은 대부분 20세기와 19세기 후반 중국 푸젠성 남부 이민자 후손(약 200만 명)이며, 필리핀인 중 약 27%는 전 시대 및 식민 시대 중국(상글리) 이민자에서 비롯된 부분적인 중국 조상을 가지고 있다.[45][46][47] 이들의 혼인은 주요 도시 및 도시 지역에서 분명하며,[49] 스페인 식민 시대 메스티소 데 상글리(중국계 필리핀인)로 알려진 식민지 중산층에서 유래했다.[50] 19세기 후반 그 후손은 필리핀 혁명과 필리핀 민족주의 창조에 영향력이 컸던 스페인 식민지 필리핀의 ''일루스트라도'' 지식인의 주요 부분을 생산했다.[11]
일본인도 있는데, 도쿠가와 이에야스 쇼군의 일본 기독교 박해를 피해 필리핀 망명을 제안한 스페인 당국으로부터 망명한 기독교인(키리시탄)이 포함, 필리핀의 일본인 정착의 일부를 형성했다.[51] 16세기와 17세기에는 수천 명의 일본인 상인도 필리핀으로 이주하여 현지 인구에 동화되었다.[52]
필리핀은 전 미국의 식민지였고, 미국 식민지 시대에 필리핀에서 태어난 80만 명 이상의 미국인이 있었다.[53] , 이 나라에는 22만 명에서 60만 명의 미국 시민이 거주하고 있었다.[54] 앙헬레스, 마닐라, 올롱가포 도시에 25만 명의 아메라시안이 흩어져 있다.[55]
법의 인류학 연구에서 여러 필리핀 묘지의 두개골 뼈 발굴 결과, 연구원 매튜 C. 고는 발굴 표본 중 평균 7%가 유럽계 혈통이라고 추정했다.[56] 필리핀 대학교 표본 추출 필리핀인 시신 비율은 아시아인 72.7%, 히스패닉 12.7%, 아메리카 원주민 7.3%, 아프리카인 4.5%, 유럽인 2.7%로 표현형 분류되었다.[57]
2013년 필리핀 상원에 따르면 필리핀 인구 내 민족 (또는 순수) 중국인은 약 135만 명, 중국계 후손 필리핀인은 2,280만 명이었다.[12]
필리핀에는 다양한 민족 언어 집단이 존재한다. 주요 민족 집단은 다음과 같다.
민족 | 사진 | 설명 |
---|---|---|
비콜라노 | 루손 비콜 지방 유래. 여러 비콜어가 있으며, 350만 명 정도의 화자가 있다.[141] 고추와 코코넛 밀크를 이용한 요리로 유명하다. | |
가땅 | 카가얀밸리 상류, 특히 이사벨라주와 누에바비스카야주 지역에 스페인 제국 이전부터 거주. 약 25,000명이며, 이바나그어와 요가드 어와 연관된 가땅 어를 사용한다. | |
이바나그 | 루손 북부 카가얀주와 이사벨라주에 주로 거주하는 저지대 기독교 민족 집단. 약 50만 명이며, 일로카노어와 팡가시난어와 연관된 이바나그어를 사용한다. | |
일로카노 | 루손 북부 해안과 저지대에 살고 있는 주로 기독교를 믿는 집단.[142] 삼발레스주, 중앙루손 지방, 메트로 마닐라 바탄주, 민다나오 일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142][143] 약 800만 명, 필리핀 세 번째 큰 민족 언어 집단, 일로카노 어 사용.[144] | |
이바탄 | 필리핀섬 바타네스주에서 우세한 종족. 타이완 원주민과 문화적으로 밀접하게 연관. | |
카팜팡간 | 루손 바탄 주부터 누에야에시자까지 뻗은 중부 평원 유래. 기독교 우세, 2백만 명 이상 카팜팡간 어 사용. 스페인 식민지 시대 용감한 군인으로 알려졌으며, 필리핀 혁명에서 타갈로그족과 함께 중요 역할.[145][146] | |
팡가시난 | 필리핀 아홉 번째 큰 민족 언어 집단. 기독교 지배적, 루손 연안 북서쪽, 주로 팡가시난주 기원.[149] | |
삼발 | 삼발레스주와 올롱가포 시 주민. 삼발어 사용, 카팜팡간 어와 관련. | |
타갈로그 | 마닐라와 주변 지역 정착, 필리핀 최다, 최광역 집단.[151][152] 타갈로그어는 1930년대 필리핀 공식어, 현재 필리핀 어는 사실상 타갈로그 어판.[153] 2000년 인구조사 기준 필리핀 내 2,150만 명, 전 세계 2,380만 명 타갈로그 사용자.[151][154] | |
비사야족 | 주로 비사야 지방과 민다나오 많은 지역 거주 저지대 민족 언어 집단. 3,300만 명, 최대 민족 집단, 비사야해 주변 해양 문명 공유. 세부아노어,[155] 일롱고,[156] 와라이와라이[157] 등 비사야어 사용. | |
삼보앙구에뇨 | 차바카노어는 스페인어 기반 크레올 사용 오스트로네시안 후손 민족 언어 집단, 약 100만 명. 주요 차바노카노 집단은 삼보앙가 반도 주로 삼보앙가 시 근처 거주 삼보앙구에뇨 사람들. |
고대 필리핀인의 기원에 관해서는 여러 상반된 이론이 있다. 1948년 H. Otley Beyer의 "파동 이주" 가설은 필리핀인을 섬으로 이주한 "인도네시아인"과 "말레이인"이라고 주장했지만, 현대 인류학자들에 의해 완전히 거부되었고, 증거로도 뒷받침되지 않는다.[23][24] 그럼에도 이 가설은 필리핀 초등학교 및 공립학교에서 여전히 널리 가르쳐져 필리핀인이 "말레이인"이라는 오해가 퍼지게 되었다.
2. 1. 1.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한족의 정복 이전인 중국 남동부 해안의 양쯔강 삼각주에 있던 신석기 시대의 벼농사 문명에서 유래되었다. 여기에는 량주 문화, 허무두 문화, 마자방 문화와 같은 문명이 포함된다.[27] 이들은 대만 원주민, 섬 동남아시아인, 참족, 섬 멜라네시아인, 미크로네시아인, 폴리네시아인, 말라가시인을 포함하는 공통 언어 및 유전 계보를 가진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 사용자들은 언어와 유전학 외에도 다중선 및 아웃리거 보트, 문신, 쌀 재배, 습지 농업, 이빨 검게 하기, 옥 조각, 빈랑 열매 씹기, 조상 숭배, 그리고 동일한 가축과 작물 (개, 돼지, 닭, 고구마, 바나나, 사탕수수, 코코넛 포함)과 같은 공통 문화적 표지를 공유한다.[25][26][28]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이론은 "대만 기원" 모델로, 신석기 시대에 대만에서 시작되어 인도-태평양 섬으로 퍼져나가 결국 뉴질랜드, 이스터 섬, 마다가스카르에 이르는 일련의 해상 이주를 통해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확산을 따르고 있다.[25][26]
최초의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은 기원전 2200년경에 필리핀에 도착하여 바타네스 제도와 북부 루손에 정착했다. 거기에서 그들은 필리핀의 나머지 섬과 동남아시아로 빠르게 확산되었을 뿐만 아니라 동쪽으로 더 항해하여 기원전 1500년경에 북마리아나 제도에 도달했다.[25][29][30] 그들은 구석기 시대에 도착한 오래된 네그리토 집단을 동화시켰고, 그 결과 현대 필리핀 민족 집단이 형성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네그리토 집단 간의 다양한 비율의 유전적 혼합을 나타낸다.[31]
피터 벨우드가 설명한 최근의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필리핀인, 말레이시아인, 인도네시아인의 조상은 선사 시대에 처음으로 대만 해협을 건넜다. 이 초기 항해자들은 오스트로네시아 민족으로 여겨진다. 그들은 배를 사용하여 대양을 건너 동남아시아, 폴리네시아 섬, 마다가스카르의 여러 지역에 정착했다.
2. 1. 2. 모로족
모로족은 민다나오 남부와 서부에 있는 다양한 민족 언어 집단이다. 그러나 이들은 부족 집단이 아니라 종교 집단으로, 이슬람을 신봉한다. 주요 종족으로는 타우수그족, 마긴다나오족, 마라나오족, 사마족, 야칸족, 반구인구이족이 있다.[147] 이들은 문화와 종교가 다르며, 정치적으로도 독립되어 있다.[147]
이슬람을 믿는 필리핀인들은 코타바토 시에 독립적인 사법권과 교육 제도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필리핀 인구의 약 5~10%를 차지하며, 국가 전체에서 6번째로 큰 민족 집단이다.[148]

모로족 또는 방사모로는 민다나오, 술루 군도, 팔라완에 거주하는 최소 13개의 이슬람화된 언어 민족 집단을 통칭하는 말이다. 필리핀에서 가장 큰 비기독교 다수 민족이며, 인구는 약 500만 명으로 필리핀 전체 인구의 약 5%를 차지한다. 대부분의 모로족은 샤피이 마드하브의 수니파 이슬람을 따른다. 무슬림 모로족은 마긴다나오족을 위한 마긴다나오 술탄국과 부아얀 술탄국, 마라나오족을 위한 라나오 술탄국, 타우수그족을 위한 술루 술탄국과 같은 독립 국가를 가지고 있었다. 술루 술탄국은 한때 현재의 바실란, 팔라완, 술루, 타위타위, 말레이시아 사바주의 동부(구 북보르네오)와 인도네시아 북칼리만탄에 대한 주권을 행사했다.

마긴다나오족은 마긴다나오 술탄국의 역사적인 민족이다. "마긴다나오" 또는 "마긴다나우"라는 단어는 "홍수 평원의 사람들"을 의미하며, "사람 또는 시민"을 뜻하는 "Magi'inged"와 "호수 또는 늪"을 뜻하는 "danaw"에서 유래되었다. "마긴다나오" 또는 "마긴다나우"는 "호수의 사람들"로 번역될 수도 있으며, 이는 그들의 가까운 이웃인 마라나오족과 이란운족과 동일하다. 이 세 그룹은 다나오어군에 속하는 관련 언어를 사용한다. 그들은 주로 마긴다나오주, 소크사르겐, 다바오 지역 및 삼보앙가 반도에 거주하며 마긴다나오어를 사용하고, 힐리가이논어, 세부아노어, 타갈로그어, 아랍어 및/또는 필리핀 영어를 제2언어로 사용한다. 세부아노족과 힐리가이논족 이주민들의 민다나오로의 대규모 유입으로 인해, 많은 마긴다나오족은 비사야 제도 출신의 세부아노어나 힐리가이논어에 노출되어 이를 쉽게 말할 수 있게 되었다. 아랍어는 필리핀 이슬람교의 예배 언어로서, 소수의 모로족이 사용한다. 또한 일부는 스페인 통치 기간과 단명한 삼보앙가 공화국 기간 동안 주요 언어로 인기를 얻은 필리핀 스페인 크리올어인 차바카노어를 사용하며, 특히 코타바토 시티에서 사용되는 코타바테뇨 방언을 사용한다.
2. 1. 3. 루마드족
루마드족은 민다나오섬을 고향으로 하는 여러 오스트로네시아 원주민 집단을 통칭하는 말이다. 이들은 세부아노어로 "토착민" 또는 "원주민"을 의미하는 "루마드"에서 유래했다. 루마드족은 모로족이나 기독교로 개종하지 않은 민족들로, 수바논족, 마노보족, 블라안족 등 다양한 부족을 포함한다.루마드족 중 하나인 수바논족은 "강에서"를 뜻하는 수바논어에서 그 이름이 유래했다. 이들은 민다나오 서부, 특히 삼보앙가 반도 지역의 원주민으로, 남삼보앙가주, 북삼보앙가주, 삼보앙가시부가이주, 바실란주, 서미사미스주, 동미사미스주 등 여러 지역에 분포해 있다.[150] 수바논족은 수바논어를 사용하며, 민다나오에서 가장 큰 루마드 집단으로 알려져 있다.[150]
또 다른 루마드족인 상기어족(상길족)은 원래 인도네시아에 속한 상기헤 제도와 탈라우드 제도 출신으로, 다바오옥시덴탈 (특히 사란가니 제도), 다바오델노르테, 다바오델수르, 술탄쿠다라트, 사우스코타바토, 노스 코타바토 지역에도 거주한다. 이들은 사마 바자우족과 마찬가지로 식민 시대에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사이의 국경이 그어지면서 분리되었다. 상길족은 전통적으로 애니미즘을 믿었으나, 식민 시대에 기독교도인 미나하사족과의 접촉으로 개신교로 개종한 이들도 있고, 필리핀에서는 이웃한 마귄다나오 술탄국의 영향으로 이슬람교로 개종한 이들도 있다.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의 상길족은 여전히 관계를 유지하며, 마나도 말레이어와 세부아노어가 상기르어와 함께 사용된다. 필리핀에 거주하는 상길족은 약 10,000명으로 추산된다.


2. 1. 4. 네그리토족
1962년 팔라완에서 발견된 선사시대 타본 원인은 2007년까지 필리핀에서 인류학자들이 발견한 가장 오래된 인류의 유물이었다. 고고학적 증거는 인도네시아와 중국에서 발견된 자바 원인과 북경 원인이라고 불리는 두 초기 인류 화석과 유사성을 가리키고 있다. 2007년, 더 이른 화석에서 나온 중족골이 카가얀주 페냐블란카 칼라오 동굴에서 발견되었다. 이 화석은 칼라오 원인으로 명명되었다.네그리토인은 약 30,000년 전에 도착하여 섬 전체에 흩어져 있는 여러 지역을 점유했다. 피터 벨우드가 설명한 최근의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필리핀인, 말레이시아인, 인도네시아인의 조상은 선사 시대에 처음으로 대만 해협을 건넜다. 이 초기 항해자들은 오스트로네시아 민족으로 여겨진다. 그들은 배를 사용하여 대양을 건너 동남아시아, 폴리네시아 섬, 마다가스카르의 여러 지역에 정착했다.
2. 2. 비토착민
필리핀에는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그중에는 필리핀에 토착하지 않은 민족들도 포함된다.스페인 제국의 식민 지배를 거치면서 스페인인과 멕시코인 등 새로운 민족 집단이 필리핀으로 유입되었다. 이들 중 상당수는 필리핀에 정착하여 원주민과 결혼했고, 그 결과 오스트로네시아 및 히스패닉 혼혈인 필리핀 메스티소가 생겨났다. 17세기에는 라틴 아메리카(멕시코 및 페루)에서 필리핀으로 15,600명의 군인 정착민이 이주해 왔으며,[35] 1700년대에는 35,000명의 멕시코 이민자가 추가로 유입되었다.[39] 1800년대 초반의 조사에 따르면, 스페인계 필리핀인의 비율은 전체 인구의 약 5% 수준이었다.[38]
현대 중국계 필리핀인의 대다수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에 중국 푸젠성 남부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의 후손으로, 그 수는 약 200만 명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필리핀 인구 중 약 27%는 이전 시대 및 식민 시대의 중국 이민자로부터 부분적인 중국계 혈통을 물려받은 것으로 추정된다.[45][46][47]
일본인 중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 쇼군의 일본 기독교 박해를 피해 필리핀으로 망명한 기독교인(키리시탄)들이 있었다. 이들은 필리핀의 일본인 정착의 일부를 형성했다.[51]
필리핀은 미국의 식민지였던 시절이 있었으며, 당시 필리핀에서 태어난 미국인은 80만 명이 넘었다.[53] 2013년 기준으로, 필리핀에는 22만 명에서 60만 명의 미국 시민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54]
법의 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필리핀 묘지에서 발굴된 두개골 뼈 표본 중 평균 7%가 유럽계 혈통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56]
2. 2. 1. 메스티소
필리핀에는 여러 민족 집단이 존재하지만, 그중에서도 메스티소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 유입된 스페인인과 현지인 사이의 혼혈 후손을 의미한다. 이들은 필리핀 메스티소라고 불리며, 주로 스페인 제국의 식민지화로 인해 스페인인과 멕시코인 등 새로운 민족 집단이 필리핀으로 유입되면서 형성되었다. 많은 이들이 필리핀에 정착하여 원주민과 결혼하였고, 그 결과 혼혈 오스트로네시아 및 히스패닉 조상을 가진 필리핀 메스티소가 생겨났다.[34]17세기에는 라틴 아메리카(멕시코 및 페루)에서 필리핀으로 군사적 성격의 이주가 있었으며,[34] 1600년대에만 15,600명의 군인 정착민이 파견되었다.[35] 반면 유럽에서 온 스페인인은 600명에 불과했고,[36] 당시 필리핀 전체 인구는 약 667,612명이었다.[37]
1800년대 초, 호아킨 마르티네스 데 수니가는 그의 책에서 스페인-필리핀 인구 조사를 정리했는데, 이에 따르면 스페인계 필리핀 공납의 평균 비율은 전체 인구의 약 5%였다.[38] 지역별로 보면, 마닐라가 속한 톤도 주에서는 인구의 약 19%가 스페인-필리핀인이었다.[38]
중국계 필리핀인 또한 필리핀 사회의 중요한 구성원이다. 이들은 대부분 20세기와 19세기 후반에 중국 푸젠성 남부에서 이민 온 사람들의 후손이며, 약 200만 명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필리핀인 중 약 27%는 부분적인 중국 조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45][46][47] 이들 간의 혼인은 주요 도시 및 도시 지역에서 흔하며,[49] 스페인 식민 시대에 메스티소 데 상글리(중국 메스티소)로 알려진 식민지 중산층이 형성되었다.[50] 19세기 후반, 이들의 후손은 필리핀 혁명과 필리핀 민족주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일루스트라도'' 지식인의 주요 부분을 차지했다.[11]
2. 2. 2. 기타 비토착민
필리핀에는 여러 민족 집단 외에도, 비토착민 계통의 사람들도 살고 있다.스페인 제국의 식민지화는 스페인인과 멕시코인 등 새로운 민족 집단을 필리핀으로 데려왔다. 많은 이들이 필리핀에 정착하여 원주민과 결혼했고, 이로 인해 필리핀 메스티소 또는 혼혈 오스트로네시아 및 히스패닉 조상을 가진 개인이 생겨났다. 17세기에는 라틴 아메리카(멕시코 및 페루)에서 필리핀으로 15,600명의 군인 정착민이 이주해 왔고,[35] 1700년대에는 35,000명의 멕시코 이민자가 더 도착했다.[39] 1800년대 초반의 조사에 따르면, 스페인계 필리핀 공납의 평균 비율은 전체 인구의 약 5%였다.[38]
현대 중국계 필리핀인은 대부분 19세기 후반과 20세기에 중국 푸젠성 남부에서 이민 온 사람들의 후손이며, 약 200만 명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필리핀인 중 약 27%는 이전 시대 및 식민 시대의 중국 이민자로부터 부분적인 중국계 혈통을 물려받은 것으로 추정된다.[45][46][47] 이들 간의 혼인은 스페인 식민 시대의 메스티소 데 상글리 (중국 메스티소)로 알려진 식민지 중산층에서 유래했다.[50]
일본인도 있는데, 이들은 도쿠가와 이에야스 쇼군의 일본 기독교 박해를 피해 필리핀으로 망명한 기독교인(키리시탄)이 포함되어 필리핀의 일본인 정착의 일부를 형성했다.[51]
필리핀은 전 미국의 식민지였고, 미국 식민지 시대에 필리핀에서 태어난 80만 명 이상의 미국인이 있었다.[53] 2013년 기준으로, 이 나라에는 22만 명에서 60만 명의 미국 시민이 거주하고 있었다.[54]
법의 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필리핀 묘지에서 발굴된 두개골 뼈 표본 중 평균 7%가 유럽계 혈통에 기인한다고 추정되었다.[56]
2. 3. 외국계 이민자
16세기 스페인 제국의 식민지화로 스페인인과 멕시코인 등 새로운 민족 집단이 필리핀에 유입되었다. 이들은 필리핀에 정착하여 원주민과 결혼했고, 그 결과 필리핀 메스티소라 불리는 혼혈 후손들이 생겨났다.[34] 1600년대 라틴 아메리카에서 필리핀으로 파견된 군인 정착민은 15,600명에 달했지만,[35] 유럽 출신 스페인인은 600명에 불과했다.[36] 당시 필리핀 전체 인구는 약 667,612명이었다.[37]위치 | 1603년 | 1636년 | 1642년 | 1644년 | 1654년 | 1655년 | 1670년 | 1672년 |
---|---|---|---|---|---|---|---|---|
마닐라[38] | 900 | 446 | — | 407 | 821 | 799 | 708 | 667 |
산티아고 요새[38] | — | 22 | — | — | 50 | — | 86 | 81 |
카비테[38] | — | 70 | — | — | 89 | — | 225 | 211 |
카가얀[38] | 46 | 80 | — | — | — | — | 155 | 155 |
칼라미안 제도[38] | — | — | — | — | — | — | 73 | 73 |
카라가[38] | — | 45 | — | — | — | — | 81 | 81 |
세부[38] | 86 | 50 | — | — | — | — | 135 | 135 |
타이완[38] | — | 180 | — | — | — | — | — | — |
몰루카 제도[38] | 80 | 480 | 507 | — | 389 | — | — | — |
일로일로[38] | 66 | 50 | — | — | — | — | 169 | 169 |
삼보앙가[38] | — | 210 | — | — | 184 | — | — | — |
기타[38] | 255 | — | — | — | — | — | — | — |
총 증원군[38] | 1,533 | 1,633 | 2,067 | 2,085 | n/a | n/a | 1,632 | 1,572 |
(출력 없음)
리즈 대학교의 《분자생물학과 진화》(''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에 발표된 2008년 유전학 연구에 따르면, 대규모 타이완인들이 필리핀으로 유입되었다는 주장은 증거가 부족하다.[137] 이 연구는 약 5만 년 전 현대인들이 필리핀에 도착한 이후로, 미토콘드리아 DNA의 염기서열이 동남아 섬들 내부에서 진화되어 왔음을 보여준다.[137]
필리핀에는 100개 이상의 고산족, 저지대, 해안 원주민 소수 민족이 있다.
루손의 고지대에 거주하는 이고로트/코르디예라인은 주로 코르디예라 행정 구역, 카라발로 산맥, 시에라 마드레에 위치해 있다.[62]
[1]
보고서
PIDS DISCUSSION PAPER SERIES: Inequality of Opportunities Among Ethnic Groups in the Philippines
https://pidswebs.pid[...]
Philippine Institute for Development Studies
2021-10-28
1700년대에는 35,000명의 멕시코 이민자가 추가로 유입되었고,[39] 당시 필리핀 인구는 150만 명으로, 이민자 비율은 약 2.3%였다. 1800년경 스페인-필리핀 인구는 주에 따라 1%에서 40%까지 다양했으며, 평균적으로 전체 인구의 약 5%를 차지했다.[38]
현대 중국계 필리핀인은 대부분 20세기와 19세기 후반 중국 푸젠성 남부 이민자들의 후손으로 약 200만 명으로 추정된다. 필리핀인 중 약 27%는 부분적인 중국 혈통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45][46][47] 이들과 원주민 간의 혼인은 메스티소 데 상글리라는 중산층을 형성했으며,[50] 이들은 19세기 후반 필리핀 혁명과 필리핀 민족주의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11]
일본인 중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일본 기독교 박해를 피해 필리핀으로 망명한 기독교인들이 있었다.[51] 16세기와 17세기에는 수천 명의 일본인 상인도 필리핀으로 이주하여 현지인과 동화되었다.[52]
필리핀은 전 미국의 식민지였으며, 미국 식민지 시대에 80만 명 이상의 미국인이 필리핀에서 태어났다.[53] 2013년 기준, 22만 명에서 60만 명의 미국 시민이 필리핀에 거주하고 있었으며,[54] 앙헬레스, 마닐라, 올롱가포 등에 25만 명의 아메라시안이 흩어져 살고 있다.[55]
법의 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필리핀 묘지에서 발굴된 두개골 뼈 표본 중 평균 7%가 유럽계 혈통으로 추정된다.[56] 최신 인류학적 연구에서는 필리핀인 시신 표본의 비율이 아시아인 72.7%, 히스패닉 12.7%, 아메리카 원주민 7.3%, 아프리카인 4.5%, 유럽인 2.7%로 나타났다.[57]
2013년 필리핀 상원에 따르면, 필리핀에는 약 135만 명의 민족 (또는 순수) 중국인이 있으며, 중국계 후손을 둔 필리핀인은 2,280만 명이다.[12]
3. 언어
사마 비힝 또는 사마 리피드는 "해안 사마" 또는 "연안 사마"로도 알려져 있다. 이들은 전통적으로 얕은 해안가에 굄집에서 거주했던 사마 바자우족이다. 사마 시문울이 그 예이다. 이들은 원래 타위타위의 더 큰 섬에서 유래했다. 사마 김바(사마 디라우트 기원)보다 더 유연한 생활 방식을 가지고 있으며, 경작할 땅이 있으면 농사를 짓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사마 디라우트와 다른 육지 기반 민족 간의 무역에서 중개인 역할을 한다.[1]
4. 종교
해설: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필리핀의 민족' 문서의 '종교' 섹션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전 답변과 마찬가지로 해당 섹션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원본 소스에는 사마 디라우트(바자우)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만 있을 뿐, 종교 관련 정보는 없습니다. '출력 없음'은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에 대한 정보가 없어 섹션을 생성할 수 없음을 의미합니다.
5. 유전학 연구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인구 분산이 발생했으며, 이는 1만 년 전 필리핀과 타이완을 갈라놓는 계기가 되었다.[137]
미토콘드리아 DNA 염기서열 조사는 신석기 문화의 오스트로네시안이 오랜 시간에 걸쳐 동남아 내부에서 진화했음을 보여준다. 인구 분산은 해수면 상승과 함께 발생했고, 이는 마지막 빙하기 이후 1만 년 전에 필리핀에서 멀리 북쪽의 타이완까지 이주를 하게 했을 것이다. 옥스퍼드 대학교 인류학 대학의 오펜하이머 박사에 따르면, 인구 이동은 기후 변화, 특히 보르네오와 자와섬까지 뻗어 있었던 '순다랜드'(Sundaland)라고 불린 거대한 고대 반도가 침수된 영향 때문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15,000년 전부터 7,000년 전까지 빙하시대 말기에 일어난 현상이었다. 세 번의 큰 파동으로 일어난 해수면 상승은 순다 반도를 침수시켜 자바와 남중국해, 그리고 오늘날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을 구성하는 수천 개의 섬들을 만들었다.[137]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의 마크 도노휴와 모나쉬 대학의 팀 덴엄의 최근 연구에 따르면, 오스트로네시아 언어가 타이완에서 필리핀으로, 그리고 동남아시아의 섬들로 순차적으로 북에서 남으로 확산되었다는 언어적 증거는 없다.[139]
스탠포드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3.6%의 유럽인 유전자 유입이 필리핀에서 발생했지만, 이는 필리핀 사람 28명의 유전자형 분석에 기반한 것으로, 9천 200만 인구의 특징을 대표하기에는 표본 수가 적어 신뢰성이 떨어진다.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제노그래픽 프로젝트"에서 2008년부터 2009년까지 8만 명의 필리핀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유전자 검사 결과에 따르면, 필리핀인의 평균 유전자는 동남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53%, 동아시아 36%, 남유럽 5%, 남아시아 3%, 아메리카 원주민 2%로 나타났다.[58]
6. 사회 문제
7. 한국과의 관계
참조
[2]
뉴스
Who are the Moro people?
https://opinion.inqu[...]
2019-02-12
[3]
보고서
Philippines
https://2009-2017.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21-10-29
[4]
웹사이트
Philippines
https://2009-2017.st[...]
2021-10-29
[5]
뉴스
Drop 'lumad', use ethnic group names instead: NCIP
https://www.pna.gov.[...]
2021-04-04
[6]
간행물
Statistics on Filipino Children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08
[7]
논문
The Archaeology of Pericolonialism: Responses of the "Unconquered" to Spanish Conquest and Colonialism in Ifugao, Philippines
http://link.springer[...]
2017-03
[8]
웹사이트
Lumad in Mindanao
https://web.archive.[...]
2021-04-18
[9]
서적
Philippine Security in the Age of Terror: National, Regional, and Global Challenges in the Post-9/11 World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20-12-07
[10]
웹사이트
Philippine Music, A Historical Overview
http://ncca.gov.ph/a[...]
2021-11-05
[11]
논문
The Chinese Mestizos and the Formation of the Filipino Nationality
https://www.persee.f[...]
2021-10-21
[12]
보도자료
Senate declares Chinese New Year as special working holiday
http://www.senate.go[...]
PRIB, Office of the Senate Secretary, Senate of the Philippines
2013-01-21
[13]
서적
Essential Outsiders: Chinese and Jews in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Southeast Asia and Central Europ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1-10-24
[14]
서적
World On Fire
Knopf Doubleday Publishing
[15]
서적
Overseas Chinese Entrepreneurship and Capitalist Development in Southeast Asia
Palgrave Macmillan
[16]
서적
Ethnic Business: Chinese Capitalism in Southeast Asia
Routledge
[17]
서적
Essential Outsiders: Chinese and Jews in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Southeast Asia and Central Europ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1-10-26
[18]
웹사이트
With a sample population of 105 Filipinos, the company of ''Applied Biosystems'', analysed the Y-DNA of average Filipinos and it is discovered that about 0.95% of the samples have the Y-DNA Haplotype "H1a", which is most common in South Asia and had spread to the Philippines via precolonial Indian missionaries who spread Hinduism.
https://web.archive.[...]
2018-10-10
[19]
뉴스
A glimmer of hope for castoffs
http://search.japant[...]
2016-08-09
[20]
논문
Discerning the Origins of the Negritos, First Sundaland People: Deep Divergence and Archaic Admixture
http://academic.oup.[...]
2021-10-25
[21]
논문
Who Are the Philippine Negritos? Evidence from Language
https://digitalcommo[...]
2021-10-25
[22]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Asia and Madagascar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4-08-15
[23]
논문
Rethinking history, conserving heritage: archaeology and community engagement in Ifugao, Philippines
https://www.ifugao-a[...]
2019-06-19
[24]
뉴스
Waves of migration
https://opinion.inqu[...]
2019-06-19
[25]
서적
eLS
John Wiley & Sons, Inc.
2013
[26]
서적
Southeast Asia: From Prehistory to History
RoutledgeCurzon
2019-06-19
[27]
서적
The Archaeology of China: From the Late Paleolithic to the Early Bronze 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논문
Fruits and arboriculture in the Indo-Pacific region
https://journals.lib[...]
2019-06-19
[29]
논문
The Early Austronesian Migration To Luzon: Perspectives From The Peñablanca Cave Sites
http://ejournal.anu.[...]
[30]
서적
The Global Prehistory of Human Migration
2014
[31]
논문
Reconstructing Austronesian population history in Island Southeast Asia
https://www.biorxiv.[...]
2019-06-19
[32]
웹사이트
The Cultural Influences of India, China, Arabia, and Japan
http://www.philippin[...]
[33]
논문
Multiple migrations to the Philippines during the last 50,000 years
2021-03-30
[34]
논문
Convicts or Conquistadores? Spanish Soldiers in the Seventeenth-Century Pacific
https://academic.oup[...]
Oxford Academic
2020-07-28
[35]
문서
‘Between Loyalty and Disobedience: The Limits of Spanish Domination in the Seventeenth Century Pacific’
[36]
웹사이트
Spanish Settlers in the Philippines (1571–1599) By Antonio Garcia-Abasalo
http://www.uco.es/aa[...]
2022-10-17
[37]
서적
The Unlucky Country: The Republic of the Philippines in the 21St Century
[38]
논문
Convicts or Conquistadores? Spanish Soldiers in the Seventeenth-Century Pacific By Stephanie J. Mawson
https://academic.oup[...]
[39]
간행물
Forzados y reclutas: los criollos novohispanos en Asia (1756-1808)
https://bagn.archivo[...]
2022-10-17
[40]
웹사이트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PRIMERO By Joaquín Martínez de Zúñiga (Original Spanish)
http://www.xeniaedit[...]
2024-02-03
[41]
문서
ESTADISMO DE LAS ISLAS FILIPINAS TOMO SEGUNDO By Joaquín Martínez de Zúñiga (Original Spanish)
https://ia601608.us.[...]
[42]
뉴스
How big were families in the 1700s?
https://www.ncesc.co[...]
[43]
서적
Conquest and Pestilence in the Early Spanish Philippin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2009-04-16
[44]
웹사이트
Supplementary Information for Multiple migrations to the Philippines during the last 50,000 years (Page 35)
https://www.pnas.org[...]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21-03-23
[45]
서적
Sangley, Intsik und Sino : die chinesische Haendlerminoritaet in den Philippine
http://library.wur.n[...]
Universität Bielefeld
2018-10-10
[46]
웹사이트
The ethnic Chinese variable in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in Malaysia and Indonesia
http://summit.sfu.ca[...]
2012-04-23
[47]
간행물
Resolving the ancestry of Austronesian-speaking populations
[48]
뉴스
Chinese lunar new year might become national holiday in Philippines too
Xinhua News
2009-08-23
[49]
웹사이트
Filipino Food and Culture
http://www.food-link[...]
2012-07-04
[50]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98: Relating to China and the Chinese
https://books.google[...]
A.H. Clark Company
2021-10-21
[51]
서적
Global Reformations: Transforming Early Modern Religions, Societies, and Cultur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5-17
[52]
서적
Interracial Intimacy in Japan: Western Men and Japanese Women, 1543–1900
https://books.google[...]
A&C Black
2016-12-26
[53]
웹사이트
The Bagelboy Club of the Philippines – History of the Bagelboy Club
http://www.thebagelb[...]
2018-10-18
[54]
뉴스
Why the Philippines Is America's Forgotten Colony
http://www.nationalj[...]
2015-01-28
[55]
보도자료
200,000–250,000 or More Military Filipino Amerasians Alive Today in Republic of the Philippines according to USA-RP Joint Research Paper Finding
http://amerasianrese[...]
2016-07-11
[56]
간행물
An Admixture Approach to Trihybrid Ancestry Variation in the Philippines with Implications for Forensic Anthropology
https://www.research[...]
2020-09-11
[57]
간행물
Classification Trends among Contemporary Filipino Crania Using Fordisc 3.1
https://www.academia[...]
University of Florida Press
2020-09-13
[58]
웹사이트
Reference Populations – Geno 2.0 Next Generation
https://genographic.[...]
2017-12-21
[59]
웹사이트
Peoples of the Philippines: Kolibugan
https://ncca.gov.ph/[...]
2019-09-17
[60]
웹사이트
UNHCR Philippines » Hundreds finally out of legal limbo in groundbreaking pilot between Indonesia, the Philippines
http://unhcr.ph/news[...]
2016-09-02
[61]
웹사이트
Indonesians in Mindanao
http://www.hurights.[...]
2019-09-02
[62]
웹사이트
IGOROT Ethnic Groups - sagada-igorot.com
http://sagada-igorot[...]
2010-10-17
[63]
웹사이트
Karao
http://www.ethnicgro[...]
2019-09-17
[64]
웹사이트
Peoples of the Philippines: Iwak
https://ncca.gov.ph/[...]
2019-09-17
[65]
웹사이트
Isinai
http://www.ethnicgro[...]
2019-09-17
[66]
간행물
The Ilongot or Ibilao of Luzon
https://books.google[...]
"1910"
[67]
웹사이트
Lowland Cultural Group of the Tagalogs
https://ncca.gov.ph/[...]
2024-02-08
[68]
웹사이트
Tumandok epic: The Panay indigenous people's struggle for land
http://politika2013.[...]
politika2013.wordpress.com
2013-10-15
[69]
서적
The Star Raft: China's Encounter With Africa
Cornell Univ. Press
[70]
웹사이트
Subanen History
http://www.subanen.o[...]
[71]
서적
Resource Rebels: Native Challenges to Mining and Oil Corporations
https://books.google[...]
South End Press
[72]
웹사이트
Manguwangan
http://www.ethnicgro[...]
2019-09-17
[73]
웹사이트
Kamayo
http://www.ethnicgro[...]
2019-09-17
[74]
웹사이트
Kalagan
http://www.ethnicgro[...]
2019-09-17
[75]
웹사이트
Tiruray
http://www.ethnicgro[...]
2019-09-17
[76]
문서
CCP Encyclopedia of Philippine Art, Peoples of the Philippines, Ilocano
[77]
Webarchive
Discovering Bataan
https://phinder.ph/b[...]
2024-01-31
[78]
웹사이트
Baler And Its People, The Aurorans
http://www.aurora.ph[...]
2018-02-21
[79]
웹사이트
The Filipino Community in Hawaii
http://www.hawaii.ed[...]
University of Hawaii, Center for Philippine studies
2007-07-10
[80]
웹사이트
Ilocano
http://www.ethnologu[...]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2007-07-10
[81]
웹사이트
Peoples of the Philippines: Bago
https://ncca.gov.ph/[...]
2015-06-17
[82]
웹사이트
Malaweg
http://www.ethnicgro[...]
2019-09-17
[83]
웹사이트
Yogad
http://www.ethnicgro[...]
2019-09-17
[84]
웹사이트
Bolinao
http://www.ethnicgro[...]
2019-09-17
[85]
웹사이트
Discover the Philippines: Aurora Province
https://www.discover[...]
2023-12-29
[86]
웹사이트
Discover the Philippines: Aurora Province
https://www.discover[...]
2023-12-29
[87]
문서
CCP Encyclopedia or Philippine Art, Peoples of the Philippines, Kapampangan
[88]
문서
[89]
웹사이트
Kasiguranin
http://www.ethnicgro[...]
2019-09-17
[90]
웹사이트
Peoples of the Philippines: Palanan
https://ncca.gov.ph/[...]
2015-06-17
[91]
문서
CCP Encyclopedia or Philippine Art, Peoples of the Philippines, Tagalog
[92]
문서
[93]
Webarchive
The metamorphosis of Filipino as national language
http://www.languagel[...]
languagelinks.org
2010-11-25
[94]
문서
tgl
[95]
웹사이트
Caviteño
http://www.ethnicgro[...]
2019-09-17
[96]
학위논문
Cavite Chabacano Philippine Creole Spanish: Description and Typology
https://escholarship[...]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15
[97]
웹사이트
Ternateño
http://www.ethnicgro[...]
2019-09-17
[98]
서적
Atlas of Languag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Pacific, Asia, and the Americas: Texts, Volume 2
Walter de Gruyter
2023-09-08
[99]
웹사이트
Supplementary Information for Multiple migrations to the Philippines during the last 50,000 years (Page 35)
https://www.pnas.org[...]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21-01-21
[100]
웹사이트
https://joshuaprojec[...]
[101]
간행물
The Magellan Fallacy: Globalization and the Emergence of Asian and African Literature in Spanish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2
[102]
웹사이트
Peoples of the Philippines: Abaknon
https://ncca.gov.ph/[...]
2015-06-17
[103]
웹사이트
Caluyanon
http://www.ethnicgro[...]
2019-09-17
[104]
웹사이트
Porohanon
http://www.ethnicgro[...]
2019-09-17
[105]
웹사이트
Peoples of the Philippines: Kamiguin
https://ncca.gov.ph/[...]
2015-06-17
[106]
서적
"The Former Philippines thru Foreign Eyes"
1870
[107]
웹사이트
"SECOND BOOK OF THE SECOND PART OF THE CONQUESTS OF THE FILIPINAS ISLANDS, AND CHRONICLE OF THE RELIGIOUS OF OUR FATHER, ST. AUGUSTINE"
http://www.zamboanga[...]
2021-02-28
[108]
웹사이트
Cotabateño
http://www.ethnicgro[...]
2019-09-17
[109]
기타
1991
[110]
서적
Beyond Bilingualism: Multilingualism and Multilingual Education
https://books.google[...]
Multilingual Matters
1998-01
[111]
서적
Asian-american Education: Historical Background and Current Realities
Routledge
2012-12-06
[112]
서적
The Inhabitants of the Philippines
http://www.gutenberg[...]
New York
1900
[113]
서적
Sociology in the Philippine setting: A modular approach
Phoenix Pub. House
1954
[114]
간행물
The Chinese Mestizos and the Formation of the Filipino Nationality
https://www.persee.f[...]
1986
[115]
서적
VIIème Congrès d'Etudes Basques = Eusko Ikaskuntzaren VII. Kongresua = VII Congreso de Estudios Vascos
https://www.worldcat[...]
Eusko Ikaskuntza
2003
[116]
서적
The Former Philippines Through Foreign Eyes
https://books.google[...]
Echo Library
[117]
기타
2004
[118]
뉴스
Cacique Democracy in the Philippines: Origins and Dreams
http://www.newleftre[...]
1988-05
[119]
뉴스
2006-01-28
[120]
문서
"Self-identified East Asian nationalities correlated with genetic clustering, consistent with extensive endogamy. Individuals of mixed East Asian-European genetic ancestry were easily identified; we also observed a modest amount of European genetic ancestry in individuals self-identified as Filipinos"
Institute for Human Genetics,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2015
[121]
웹사이트
Five times more ‘G.I. babies’than previously thought
https://www.philstar[...]
2024-09-17
[122]
서적
Rising India and Indian Communities in East Asia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123]
웹사이트
Chapter 20: Southeast Asia, Table: 20.1
http://indiandiaspor[...]
Ministry of External Affairs
[124]
웹사이트
Overseas Indian Population 2001
http://www.littleind[...]
Little India
[125]
웹사이트
Quests of the Dragon and Bird Clan: Luzon Jars (Glossary)
http://sambali.blogs[...]
2006-09-05
[126]
뉴스
Japanese origins of the Philippine 'halo-halo'
https://opinion.inqu[...]
[127]
서적
Spain, China, and Japan in Manila, 1571–1644
https://oapen.org/do[...]
[128]
뉴스
'Little Tokyo' in Davao
https://lifestyle.in[...]
2017-02-13
[129]
서적
Japanese diasporas: Unsung pasts, conflicting presents, and uncertain futures
Routledge
[130]
웹사이트
Philippines History, Culture, Civilization and Technology, Filipino
http://asiapacificun[...]
[131]
뉴스
A glimmer of hope for castoffs. NGO finding jobs for young, desperate Japanese-Filipinos
http://search.japant[...]
2006-10-11
[132]
웹사이트
Philippines Jewish Community
http://www.jewishtim[...]
Jewishtimesasia.org
[133]
웹사이트
Cauliflower and Ketchup
http://www.feu-alumn[...]
[134]
웹사이트
Country Migration Report The Philippines 2013
https://www.iom.int/[...]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IOM)
2013
[135]
웹사이트
Household Population by Country of Citizenship
https://psa.gov.ph/s[...]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0
[136]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Asia and Madagascar
http://books.google.[...]
2014-08-15
[137]
웹인용
Climate Change and Postglacial Human Dispersals in Southeast Asia
http://www.physorg.c[...]
2010
[138]
웹인용
Farming and Language in Island Southeast Asia
http://www.journals.[...]
2010
[139]
웹인용
Farming and Language in Island Southeast Asia
http://www.journals.[...]
2010
[140]
웹인용
Sample Size Calculator
http://www.surveysys[...]
[141]
웹인용
Bicolano, Central
http://www.ethnologu[...]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2007-07-10
[142]
문서
CCP Encyclopedia of Philippine Art, Peoples of the Philippines, Ilocano
[143]
웹인용
The Filipino Community in Hawaii
http://www.hawaii.ed[...]
2007-07-10
[144]
웹인용
Ilocano
http://www.ethnologu[...]
2007-07-10
[145]
문서
CCP Encyclopedia or Philippine Art, Peoples of the Philippines, Kapampangan
[146]
Harvn
[147]
Harvn
[148]
웹인용
Muslim Filipinos
http://countrystudie[...]
2007-07-10
[149]
웹인용
The Provincial Profile of Pangasinan
http://www.geocities[...]
2015-06-27
[150]
인용
Subanen History
http://www.subanen.o[...]
2015-06-27
[151]
문서
CCP Encyclopedia or Philippine Art, Peoples of the Philippines, Tagalog
[152]
Harvn
[153]
웹인용
The metamorphosis of Filipino as national language
http://www.languagel[...]
1998
[154]
웹인용
Tagalog
http://www.ethnologu[...]
2010-11-24
[155]
웹인용
Cebuano
http://www.ethnologu[...]
2007-07-10
[156]
웹인용
Hiligaynon
http://www.ethnologu[...]
2007-07-10
[157]
웹인용
Waray-Waray
http://www.ethnologu[...]
2007-07-10
[158]
서적
The Bisayan Dialects of the Philippines: Subgrouping and Reconstruction
Dept. of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59]
문서
CCP Encyclopedia or Philippine Art, Peoples of the Philippines, Cebuano
[160]
웹인용
IGOROT Ethnic Groups - sagada-igorot.com
http://sagada-igorot[...]
[161]
서적
The Star Raft: China's Encounter With Africa.
Cornell Univ. Press
[162]
웹인용
Tumandok epic: The Panay indigenous people’s struggle for land
http://politika2013.[...]
2011-10-25
[163]
Harvn
[164]
Harvn
[165]
웹인용
[Cacique Democracy in the Philippines: Origins and Dreams], New Left Review, 169
http://www.newleftre[...]
[166]
뉴스
Philippine Daily Inquirer, A16
Gavin Sanson Bagares
2006-01-28
[167]
웹인용
Overseas Compatriot Affairs Commission, R.O.C.
http://www.ocac.gov.[...]
2015-06-28
[168]
저널
Background Note: Philippines
http://www.state.gov[...]
미국무부
2011-07-01
[169]
서적
Rising India and Indian Communities in East Asia
http://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08
[170]
웹인용
Chapter 20: Southeast Asia, Table: 20.1
http://indiandiaspor[...]
2009-10-12
[171]
웹인용
Overseas Indian Population 2001
http://www.littleind[...]
2009-10-12
[172]
웹인용
A glimmer of hope for castoffs. NGO finding jobs for young, desperate Japanese-Filipinos
http://search.japant[...]
2009-10-18
[173]
웹인용
Philippines History, Culture, Civilization and Technology, Filipino
http://asiapacificun[...]
[174]
인용
More Koreans Look to Retire in Philippines
http://times.hankook[...]
2007-03-27
[175]
인용
"Korean Wave" in Philippines
http://times.hankook[...]
2007-02-16
[176]
웹인용
Smart launches text service in Korean
https://web.archive.[...]
2008-04-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