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잠비아의 인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잠비아의 인구는 1950년 231만 명에서 2019년 1786.1만 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2019년 유엔 인구 통계에 따르면 15세 미만 인구는 44.5%, 15~24세 인구는 20.9%, 25~64세 인구는 32.5%, 65세 이상 인구는 2.1%이며, 인구 성장률은 2.9%이다. 잠비아는 70개 이상의 언어가 사용되며, 벰바어가 33.4%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종교는 개신교가 75.3%로 가장 많고, 모성 사망률은 2017년 기준 출산 100,000명 당 213명, 영아 사망률은 2021년 기준 출생 1,000명당 37.91명이다. 2018년 문해율은 86.7%이며, 2019년 GDP의 4.5%를 교육에 지출했다. 2019년 청년 실업률은 30.1%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잠비아의 민족 - 룬다족
    룬다족은 잠베지강 상류와 앙골라 콰고강 상류 지역에서 어업과 농업을 기반으로 옥수수와 수수를 재배하며 번성했고, 노예 및 상아 무역에 참여했으며, 은잠비를 최고 창조주로 믿는 종교를 가졌으며, 현재는 앙골라, 콩고, 잠비아 등에 분포하며 칠룬다어를 사용한다.
  • 잠비아의 민족 - 쇼나인
    쇼나인은 짐바브웨 고원에서 짐바브웨 왕국을 건설하여 번성했으나 포르투갈, 은데벨레족, 영국의 침략으로 권력 구조가 붕괴된 후에도 독특한 생활 방식과 쇼나 조각으로 대표되는 독창적인 문화를 발전시켜 온 반투족 집단이다.
잠비아의 인구
일반 정보
2020년 잠비아 인구 피라미드
2020년 잠비아 인구 피라미드
국가잠비아
민족잠비아인
인구 통계
2022년 추정 인구19,642,123명
인구 성장률 (2022년 추정)2.9%
출생률1,000명당 34.86명
사망률1,000명당 6.12명
기대 수명66.26세
남성 기대 수명64.52세
여성 기대 수명68.06세
합계 출산율4.56명
영아 사망률1,000명당 37.11명
순 이동1,000명당 0.24명
성비 (출생 시)남아 1.03명/여아
총 성비 (2022년 추정)남성 1명/여성

2. 인구 통계

미국 중앙정보국(CIA) 월드 팩트북 등의 자료에 따르면,[31] 잠비아의 인구는 1950년 약 234만 명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2022년에는 약 1970만 명에 이르렀다.[5][4] 2010년 기준으로 15세 미만 인구가 전체의 46.4%를 차지하는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3.1%에 불과하여 매우 젊은 인구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4]

2022년 월드 인구 검토(World Population Review) 자료에 따른 잠비아의 인구 동태는 다음과 같다.[16]


  • 47초마다 출생 1건
  • 4분마다 사망 1건
  • 65분마다 순 이주 1건
  • 57초마다 인구 1명 순 증가


다음 인구 통계는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CIA 월드 팩트북에서 가져온 것이다.[17]

2. 1. 연도별 인구 변화

잠비아의 인구는 유엔(UN) 통계에 따르면 195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왔다.[19] 1950년 약 231만 명이었던 인구는 2019년 약 1786만 명으로 7배 이상 크게 증가했다.[20][21] 이러한 급격한 인구 성장은 높은 출생률과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사망률에 기인하며, 매우 젊은 연령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15세 미만 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반면,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고 있다.

다음은 주요 연도별 인구 변화 추이를 나타낸 표이다.

주요 연도별 잠비아 인구 변화 (단위: 만 명)
19501970199020002005201020152019
231417.9803.71041.61185.61360.61587.91786.1



출처: 유엔 세계인구전망 2019[20][21]

2019년 유엔 인구 통계에 따르면 잠비아의 총인구는 약 1790만 명이며, 연령 구조는 다음과 같다.


  • 15세 미만 인구: 44.5%
  • 15~24세 인구: 20.9%
  • 25~64세 인구: 32.5%
  • 65세 이상 인구: 2.1%


같은 해 기준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당 4.56명, 인구 성장률은 2.9%, 출생 시 기대수명은 63.9세로 나타났다.

2. 1. 1. 1950-2010년

[19]

1950년부터 2010년까지 잠비아의 인구는 꾸준히 증가했다. 1950년 약 234만 명[6]이었던 인구는 2010년 약 1309만 명[5]으로 5배 이상 크게 늘어났다. 이 기간 동안 높은 출생률과 점차 감소하는 사망률이 인구 성장을 이끌었다.

1960-2010 잠비아의 인구 변화 추이. 단위는 백만 명.


유엔 자료에 따르면, 1950년 잠비아의 총인구는 2,340,000명이었다.[4] 2010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15세 미만 인구 비율은 46.4%, 15~64세 인구 비율은 50.6%,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3.1%였다.[4][6]

다음은 주요 연도의 인구 관련 통계이다.

연도인구출생아 수사망자 수자연 증감조출생률
(천 명당)
조사망률
(천 명당)
자연 증감률
(천 명당)
합계출산율
19805,661,801 [5]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7.0align="right" |align="right" |7.2
19907,383,097 [5]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44.0align="right" |align="right" |6.7
20009,855,591 [5]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6.0align="right" |align="right" |6.0
201013,092,666 [5]442,998164,385278,61335.413.122.25.9



출처: 유엔 세계인구전망 2019[20][21] (별도 표기 제외)

다음은 특정 연도의 연령 구조 변화를 보여준다.

연도인구15세 미만 (%)15–24세 (%)25–64세 (%)65세 이상 (%)중위 연령 (세)
19502,310,44244.819.233.42.817.5
19704,179,06747.918.531.02.616.0
19908,036,84547.320.030.22.516.2
200010,415,94446.421.230.02.416.6
200511,856,24747.020.730.12.216.3
201013,605,98447.320.230.42.116.2



출처: 유엔 세계인구전망 2019[20][21]

다음은 5년 단위 기간별 인구 변동 요약이다.

기간출생아 수
(천 명)
사망자 수
(천 명)
자연 증감
(천 명)
조출생률
(천 명당)
조사망률
(천 명당)
합계출산율영아 사망률
(천 명당)
유아 사망률
(천 명당)
출생 성비인구 성장률 (%)
1950–195559325933547.920.96.701382381032.7
1965–197095432463149.316.77.301161871033.2
1985–19901729540118946.214.46.601161781033.0
1995–20002210910129945.318.76.101091761032.7
2000–20052499909159044.916.35.95881391032.6
2005–20102700776192542.412.25.6065961032.8
* 조출생률, 조사망률, 합계출산율, 영아/유아 사망률, 출생 성비, 인구 성장률은 연평균 기준임.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 증감은 해당 기간 전체 합계임.



출처: 유엔 세계인구전망 2019[20][21]

다음은 유엔 추정치에 따른 1950년부터 2010년까지 5년 단위 인구 변화 및 연령 구조이다.[6]

연도총 인구0–14세 인구 (%)15–64세 인구 (%)65세 이상 인구 (%)
19502 340 00044.952.32.7
19552 653 00044.752.72.6
19603 045 00044.952.62.5
19653 537 00045.252.22.6
19704 139 00046.450.92.7
19754 900 00047.050.32.7
19805 775 00047.349.92.8
19856 785 00046.650.62.8
19907 860 00045.851.42.8
19958 919 00045.351.82.9
200010 202 00045.351.82.9
200511 462 00045.951.03.0
201013 089 00046.450.63.1



잠비아의 인구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5]


  • 1969년: 4,056,955명
  • 1980년: 5,661,801명
  • 1990년: 7,383,097명
  • 2000년: 9,855,591명
  • 2010년: 13,092,666명

2. 1. 2. 2010년 이후

잠비아인구, 출산율 및 순 재생산율 변화 (1950-2021) 및 예측 (2022-2032), 유엔 추정치


유엔(UN) 자료에 따르면, 잠비아의 총 인구는 1950년 2,340,000명에서 크게 증가하여 2010년에는 13,092,666명, 2022년에는 19,693,423명을 기록했다.[5] 2010년 기준 연령 구조를 보면, 15세 미만 인구가 46.4%, 15세에서 64세 사이 인구가 50.6%, 65세 이상 인구가 3.1%를 차지했다.[4][6]

아래는 특정 연도의 인구 구조 변화를 보여주는 표이다.

연도총 인구[6]0–14세 인구 (%)15–64세 인구 (%)65세 이상 인구 (%)
200010 202 00045.351.82.9
200511 462 00045.951.03.0
201013 089 00046.450.63.1
201817,351,708



다음은 2010년 인구 센서스를 기반으로 추정한 2020년 7월 1일 기준 성별 및 연령별 인구이다.[7]

연령대남성여성총계%
총계8 852 1749 033 24817 885 422100
0–41 579 2311 554 0093 133 24017.52
5–91 357 4421 343 7762 701 21815.10
10–141 160 2561 154 4092 314 66512.94
15–19958 687954 9231 913 61010.70
20–24833 604851 4211 685 0259.42
25–29693 050727 2481 420 2987.94
30–34496 336579 9461 076 2826.02
35–39433 030493 825926 8555.18
40–44361 566362 160723 7264.05
45–49298 359283 452581 8113.25
50–54205 799193 301399 1002.23
55–59153 109160 905314 0141.76
60–64109 330123 190232 5201.30
65-6972 62479 062151 6860.85
70-7454 28868 013122 3010.68
75-7935 05644 63779 6930.45
80+50 40758 971109 3780.61
연령대남성여성총계퍼센트
0–144 096 9294 052 1948 149 12345.56
15–644 542 8704 730 3719 273 24151.85
65+212 375250 683463 0582.59



잠비아의 총 출산율(TFR,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과 조출생률(CBR, 인구 1,000명당 연간 출생아 수)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9][10]

연도전체도시농촌
조출생률(CBR)총 출산율(TFR)희망 출산율(WFR)조출생률(CBR)총 출산율(TFR)희망 출산율(WFR)조출생률(CBR)총 출산율(TFR)희망 출산율(WFR)
1992456.55.4445.84.7467.16.2
199645.26.085.243.75.084.146.16.866.1
2001–200243.35.94.936.74.33.447.06.95.8
200743.66.25.236.34.33.647.57.56.3
2013–201437.25.34.532.23.73.340.36.65.6
201835.34.74.030.93.42.938.45.85.0
202432.14.028.43.235.34.9



2013-2014년 기준 지역별 출산율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DHS 프로그램).[11]

총 출산율현재 임신 중인 15-49세 여성의 비율 (%)40-49세 여성의 평균 출생 자녀 수
중부5.98.16.8
코퍼벨트4.07.65.5
동부5.88.76.9
루아풀라6.411.46.6
루사카3.77.75.1
무칭가6.310.37.2
북부6.610.47.6
북서부6.29.26.7
남부6.29.26.9
서부5.68.16.0


2. 2. 연령별 인구 구조

잠비아의 인구는 역사적으로 매우 젊은 연령 구조를 보여 왔다. 1950년부터 2020년까지의 통계를 보면, 15세 미만 인구 비율은 꾸준히 44%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2%대에 머물러 있다. 이는 높은 출산율과 낮은 기대수명을 반영하는 전형적인 개발도상국인구 피라미드 형태이다.

아래 표는 시간에 따른 잠비아의 연령별 인구 구조 변화를 보여준다.

연도인구15세 미만 (%)15–24세 (%)25–64세 (%)65세 이상 (%)중위 연령 (세)
19502,310,44244.819.233.42.817.5
19704,179,06747.918.531.02.616.0
19908,036,84547.320.030.22.516.2
200010,415,94446.421.230.02.416.6
200511,856,24747.020.730.12.216.3
201013,605,98447.320.230.42.116.2
201515,879,36146.220.431.42.116.7
202018,383,95544.021.032.82.117.6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잠비아의 중위 연령은 2020년에도 17.6세로 세계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러한 젊은 인구 구조는 높은 출산율에 기인한다. 잠비아의 총 출산율은 지난 30년간 다소 감소했지만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이며, 이는 가족 계획 서비스 접근성 부족, 여성 교육 수준, 고용 기회 부족 등과 관련이 있다. 특히 농촌 지역이나 저소득층, 교육 수준이 낮은 여성일수록 조혼하고 더 많은 자녀를 낳는 경향이 나타나 지역 및 계층 간 건강 불평등 문제와도 연결된다.

2. 2. 1. 2010년 인구 조사

2010년 잠비아 인구 조사 결과, 총인구는 13,605,984명으로 집계되었다. 연령별 인구 구조를 보면, 15세 미만 인구가 전체의 47.3%를 차지하여 매우 젊은 인구 구성을 보였다. 15세에서 24세 사이의 인구는 20.2%, 경제 활동의 주축이 되는 25세에서 64세 사이 인구는 30.4%를 차지했다. 반면,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은 2.1%로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인구의 연령 중간값을 나타내는 중위 연령은 16.2세로 나타났다.

2. 2. 2. 최근 인구 조사

유엔 추정에 따르면 2022년 잠비아의 총 인구는 19,693,423명이며[5], 2021년 7월 추산 인구는 19,077,816명이다.

2020년 추산 연령 구조는 다음과 같다.

  • '''0-14세:''' 45.74% (남성 4,005,134명 / 여성 3,964,969명)
  • '''15-24세:''' 20.03% (남성 1,744,843명 / 여성 1,746,561명)
  • '''25-54세:''' 28.96% (남성 2,539,697명 / 여성 2,506,724명)
  • '''55-64세:''' 3.01% (남성 242,993명 / 여성 280,804명)
  • '''65세 이상:''' 2.27% (남성 173,582명 / 여성 221,316명)


2020년 잠비아의 인구 피라미드


2010년 인구 조사를 기반으로 한 2020년 7월 1일 기준 성별 및 연령별 인구 추정치는 다음과 같다.[7]

연령대남성여성총계%
총계8 852 1749 033 24817 885 422100
0–41 579 2311 554 0093 133 24017.52
5–91 357 4421 343 7762 701 21815.10
10–141 160 2561 154 4092 314 66512.94
15–19958 687954 9231 913 61010.70
20–24833 604851 4211 685 0259.42
25–29693 050727 2481 420 2987.94
30–34496 336579 9461 076 2826.02
35–39433 030493 825926 8555.18
40–44361 566362 160723 7264.05
45–49298 359283 452581 8113.25
50–54205 799193 301399 1002.23
55–59153 109160 905314 0141.76
60–64109 330123 190232 5201.30
65-6972 62479 062151 6860.85
70-7454 28868 013122 3010.68
75-7935 05644 63779 6930.45
80+50 40758 971109 3780.61


2. 3. 출생 및 사망 통계

잠비아의 출생 및 사망 등록은 완전하지 않다.[8] 주요 인구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통계는 다음과 같다.[19]

연도인구출생아 수사망자 수자연 증감조출생률
(인구 1,000명당)
조사망률
(인구 1,000명당)
자연 증감률
(인구 1,000명당)
합계출산율
19805,661,801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7.0align="right" |align="right" |7.2
19907,383,105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44.0align="right" |align="right" |6.7
20009,337,425align="right" |align="right" |align="right" |36.0align="right" |align="right" |6.0
201013,092,666442,998164,385278,61335.413.122.25.9



종교별 합계출산율은 다음과 같다.[27][28][29]

소속 종교합계출산율
개신교6.0
가톨릭5.7
이슬람5.9
힌두교2.0
다른 종교들5.8
무교6.5
잠비아 (전체)5.9



2022년 월드 인구 검토(World Population Review)는 잠비아의 인구 동태를 다음과 같이 추정했다.[16]


  • 47초마다 출생 1건
  • 4분마다 사망 1건
  • 65분마다 순 이주 1건
  • 57초마다 인구 1명 순 증가


CIA 월드 팩트북에 따르면, 2023년 추정 합계출산율은 여성 1인당 4.49명으로 세계 18위 수준이다.[17]

2. 3. 1. 유엔 통계

유엔 세계인구전망 2019[20][21] 및 Our World in Data 웹사이트가 유엔 인구 통계청 자료를 기반으로 추산한 잠비아의 인구 통계는 다음과 같다.[8]

'''주요 인구 동태 변화 (1950-2023, 유엔 추산)'''[8]

연도연도 중반 인구 (천 명)출생아 수 (천 명)사망자 수 (천 명)자연적 변화 (천 명)조출생률 (1,000명당)조사망률 (1,000명당)자연적 변화 (1,000명당)합계출산율 (TFR)영아 사망률 (출생아 1,000명당)기대수명 (년)
19502,318113466748.619.728.86.62135.945.12
19603,1191565410249.917.332.67.12116.949.04
19704,2822146714749.815.534.27.37106.051.49
19805,7202737819647.613.534.17.1593.854.14
19907,68636312823547.116.630.56.53106.147.93
20009,89145416728745.916.929.05.9393.545.23
201013,79257612744941.89.232.65.3652.956.80
201918,38065212153135.56.628.94.4544.262.79
202019,05965611953634.46.328.14.3241.463.4
202119,60466513053633.96.627.34.2540.362.4
202220,15367611353633.55.628.04.1839.365.3
202320,72468610857833.15.227.94.1038.266.3



'''연령대별 인구 구조 변화 (1950-2020, 유엔 추산)'''[20][21]

연도인구15세 미만 (%)15–24세 (%)25–64세 (%)65세 이상 (%)중위 연령 (세)
19502,310,44244.819.233.42.817.5
19704,179,06747.918.531.02.616.0
19908,036,84547.320.030.22.516.2
200010,415,94446.421.230.02.416.6
200511,856,24747.020.730.12.216.3
201013,605,98447.320.230.42.116.2
201515,879,36146.220.431.42.116.7
202018,383,95544.021.032.82.117.6



'''2019년 유엔 인구 통계 요약'''[20][21]



'''성별 및 연령별 인구 추정치 (2020년 7월 1일 기준, 유엔 추산)'''[7]

연령대남성여성총계%
총계8,852,1749,033,24817,885,422100
0–41,579,2311,554,0093,133,24017.52
5–91,357,4421,343,7762,701,21815.10
10–141,160,2561,154,4092,314,66512.94
15–19958,687954,9231,913,61010.70
20–24833,604851,4211,685,0259.42
25–29693,050727,2481,420,2987.94
30–34496,336579,9461,076,2826.02
35–39433,030493,825926,8555.18
40–44361,566362,160723,7264.05
45–49298,359283,452581,8113.25
50–54205,799193,301399,1002.23
55–59153,109160,905314,0141.76
60–64109,330123,190232,5201.30
65-6972,62479,062151,6860.85
70-7454,28868,013122,3010.68
75-7935,05644,63779,6930.45
80+50,40758,971109,3780.61
연령대남성여성총계퍼센트
0–144,096,9294,052,1948,149,12345.56
15–644,542,8704,730,3719,273,24151.85
65+212,375250,683463,0582.59



2. 3. 2. 인구통계 건강조사 (DHS)

(천 명)사망자 수
(천 명)자연 증감
(천 명)조출생률조사망률합계출산율영아 사망률유아 사망률출생 성비인구 성장률 (%)1950–195559325933547.920.96.701382381032.71965–197095432463149.316.77.301161871033.21985–19901729540118946.214.46.601161781033.01995–20002210910129945.318.76.101091761032.72000–20052499909159044.916.35.95881391032.62005–20102700776192542.412.25.6065961032.82010-20152934611232339.88.35.2053731033.12015-20203108563254536.36.64.6646611032.9* 조출생률, 조사망률, 합계출산율, 영아/유아 사망률, 출생 성비, 인구 성장률은 연평균 기준. 출생아 수, 사망자 수, 자연 증감은 해당 기간 전체 합계.



합계출산율 (TFR), 조출생률 (CBR), 희망출산율(WFR)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9][10]

연도전체도시농촌
조출생률 (CBR)합계출산율 (TFR)희망출산율 (WFR)조출생률 (CBR)합계출산율 (TFR)희망출산율 (WFR)조출생률 (CBR)합계출산율 (TFR)희망출산율 (WFR)
1992456.55.4445.84.7467.16.2
199645.26.085.243.75.084.146.16.866.1
2001–200243.35.94.936.74.33.447.06.95.8
200743.66.25.236.34.33.647.57.56.3
2013–201437.25.34.532.23.73.340.36.65.6
201835.34.74.030.93.42.938.45.85.0
202432.14.028.43.235.34.9



2013-2014년 DHS 프로그램에 따른 지역별 출산율 정보는 다음과 같다.[26]

합계출산율현재 임신 중인
15-49세 여성 비율 (%)
40-49세 여성이 평생
가진 평균 자녀 수
중부주5.98.16.8
코퍼벨트주4.07.65.5
동부주5.88.76.9
루아풀라주6.411.46.6
루사카주3.77.75.1
무칭가주6.310.37.2
북부주6.610.47.6
북서부주6.29.26.7
남부주6.29.26.9
서부주5.68.16.0



잠비아의 높은 출산율은 지속적인 인구 증가의 주요 원인이다. 지난 30년간 여성 1인당 출생아 수는 다소 감소했지만, 여전히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가족계획 서비스 접근성 부족, 여성 교육 기회 제한, 여성 고용 문제 등과 관련이 있다. 특히 농촌과 도시 간, 교육 수준 및 소득 계층 간 출산율 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건강 불평등 문제도 존재한다. 상대적으로 빈곤하고 교육 수준이 낮은 농촌 지역 여성들은 조혼 경향이 강하고, 더 많은 자녀를 낳는 경향이 있다. 이는 자녀를 사회적 지위의 상징으로 여기거나, 높은 영유아 사망률로 인해 모든 자녀가 성인까지 생존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인식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 4. 성비

다음은 잠비아의 연령별 성비 (여성 1명당 남성 수)를 나타낸 2020년 추산치이다.

연령대성비 (여성 1명당 남성 수)
출생 시1.03
0-14세1.01
15-24세1.00
25-54세1.01
55-64세0.87
65세 이상0.78



전체 인구의 성비는 여성 1명당 남성 1명으로 나타났다 (2020년 추산).

2. 5. 도시화

잠비아는 아프리카에서 도시화 수준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이다. 2022년 기준으로 전체 인구의 45.8%가 도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는 2021년의 45.2%, 2018년의 43.5%에서 꾸준히 증가한 수치이다. 도시 인구는 연평균 4.15%의 비율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020-25년 추산).

특히 수도인 루사카를 비롯하여 은돌라, 키트웨, 무풀리라 등 중앙 지역의 도시 주변에 인구가 밀집되어 있다. 2021년 기준 루사카의 인구는 약 290.6만 명으로 집계되었다.

3. 민족 구성

잠비아의 인구는 72개 이상의 반투어군 민족 집단으로 구성되어 매우 다양한 민족 구성을 보인다.[1] 잠비아 인구의 대다수인 99.2%는 아프리카계 민족이며, 이 중 벰바족(21%)과 통가족(13.6%)이 인구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민족 집단이다. 그 외에도 체와족, 로지족, 은센가족, 툼부카족, 응고니족 등 다수의 소수 민족 집단이 존재한다.[31][3]

소수이지만 이민자 집단도 존재한다. 대부분 영국 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인 약 4만 명의 백인 잠비아 시민과,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시아인 인구(주로 인도계 및 중국계)가 있다.[2] 잠비아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도시화 비율이 높은 국가 중 하나로, 인구의 44%가 도시 지역에 거주하지만, 여전히 많은 잠비아인이 자급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1]

3. 1. 주요 민족

잠비아의 인구는 72개 이상의 반투어군 민족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일부는 소규모 집단이며, 전체 인구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민족 집단은 두 개뿐이다. 잠비아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가장 도시화된 국가 중 하나로, 인구의 44%가 주요 교통 회랑을 따라 몇몇 도시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농촌 지역은 인구 밀도가 낮다. 잠비아인의 대다수는 자급 농업에 종사한다.[1]

잠비아 민족 집단 분포


2010년 추산에 따른 주요 민족 집단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3]

집단비율
아프리카인99.2%
벰바21%
통가13.6%
체와7.4%
로지5.7%
은센가5.3%
툼부카4.4%
응고니4%
랄라3.1%
카온데2.9%
남왕가2.8%
룬다 (북서부)2.6%
맘브웨2.5%
루발레2.2%
람바2.1%
우시1.9%
렌제1.6%
비사1.6%
음분다1.2%
기타13.8%
미지정0.4%



이민자들은 대부분 영국 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이며, 약 4만 명의 백인 잠비아 시민들도 주로 루사카와 잠비아 북부의 구리 벨트에 거주하며, 이곳에서 광업, 금융 및 관련 활동에 종사하거나 은퇴 생활을 한다. 잠비아에는 또한 작지만 경제적으로 중요한 아시아인 인구가 있으며, 대부분 인도인 또는 중국인이다.[2]

3. 2. 기타 민족

잠비아에는 72개 이상의 다양한 반투계 민족 집단이 공존한다.[1] 주요 민족인 벰바(21%)와 통가(13.6%) 외에도 체와(7.4%), 로지(5.7%), 은센가(5.3%), 툼부카(4.4%), 응고니(4%) 등 다수의 소수 민족 집단이 존재한다. 이 외에도 랄라, 카온데, 남왕가, 룬다, 맘브웨, 루발레, 람바, 우시, 렌제, 비사, 음분다 등 여러 집단이 잠비아 인구를 구성하고 있다. 2010년 추산에 따르면 특정 집단으로 분류되지 않은 '기타' 민족이 인구의 13.8%를 차지하며, 0.4%는 분류가 불명확하다.[3]

이민자 집단도 잠비아 사회의 일부를 이룬다. 약 4만 명의 백인 잠비아 시민은 대부분 영국 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으로, 주로 수도 루사카와 북부의 구리 벨트 지역에 거주한다. 이들은 광업, 금융 및 관련 분야에 종사하거나 은퇴 후 생활하고 있다.[2] 또한, 작지만 경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아시아인 인구도 있으며, 이들은 주로 인도계나 중국계이다.[2]

3. 3. 이민자

이민자들은 대부분 영국 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이다. 약 4만 명의 백인 잠비아 시민들도 주로 루사카와 잠비아 북부의 구리 벨트에 거주하며, 이곳에서 광업, 금융 및 관련 활동에 종사하거나 은퇴한 사람들이다. 잠비아에는 또한 작지만 경제적으로 중요한 아시아인 인구가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인도인 또는 중국인이다.[2]

4. 언어

영어잠비아의 공식적인 공용어이지만, 2010년 추산에 따르면 실제 사용 인구 비율은 1.7%에 그친다.[18] 잠비아에는 약 70개 이상의 언어가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반투어족에 속한다. 많은 언어들은 특정 언어의 방언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18]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는 벰바어로, 전체 인구의 33.4%가 사용한다. 그 뒤를 이어 은야자어(14.7%), 통가어(11.4%), 로지어(5.5%), 체와어(4.5%) 등이 주요 부족 언어로 사용되고 있다.[18] 이 외에도 다양한 언어들이 잠비아 내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잠비아가 다언어 국가임을 보여준다.

4. 1. 공용어

잠비아의 공용어는 영어이며, 2010년 추산으로 인구의 1.7%가 사용한다.[18] 잠비아에는 70개 이상의 언어가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대부분은 반투어족에 속한다.[18] 많은 언어들은 특정 언어의 방언으로 간주될 수 있다.[18]

2010년 추산 주요 언어 사용 비율은 다음과 같다.[18]

언어사용 비율 (%)비고
벰바어33.4
은야자어14.7
통가어11.4
로지어5.5
체와어4.5
은센가어2.9
툼부카어2.5
룬다어1.9북서부
카온데어1.8
랄라어1.8
람바어1.8
영어1.7공용어
루발레어1.5
맘브웨어1.3
남왕가어1.2
렌제어1.1
비사어1
기타9.7
미상0.2


4. 2. 주요 부족 언어

2010년 추산에 따르면 잠비아에서 사용되는 주요 언어와 그 비율은 다음과 같다.

언어사용 비율 (%)
벰바어33.4
은야자어14.7
통가어11.4
로지어5.5
체와어4.5
은센가어2.9
툼부카어2.5
룬다어 (북서부)1.9
카온데어1.8
랄라어1.8
람바어1.8
영어 (공용어)1.7
루발레어1.5
맘브웨어1.3
남왕가어1.2
렌제어1.1
비사어1.0
기타9.7
미상0.2



참고로 잠비아에는 70개가 넘는 언어가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 중 상당수는 특정 언어의 방언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잠비아의 주요 언어들은 대부분 반투어군에 속한다.[18]

4. 3. 기타 언어

2010년 추산에 따르면, 잠비아에서는 벰바어(33.4%), 은야자어(14.7%), 통가어(11.4%), 로지어(5.5%), 체와어(4.5%), 은센가어(2.9%), 툼부카어(2.5%) 등 비교적 높은 사용률을 보이는 언어 외에도 다양한 소수 언어들이 사용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낮은 사용률(1%대)을 보이는 언어들로는 룬다어(북서부, 1.9%), 카온데어(1.8%), 랄라어(1.8%), 람바어(1.8%), 영어(공용어, 1.7%), 루발레어(1.5%), 맘브웨어(1.3%), 남왕가어(1.2%), 렌제어(1.1%), 비사어(1%) 등이 있다. 이 외에도 수많은 언어들이 존재하며, '기타'로 분류된 언어 사용 비율은 9.7%에 달하고, 0.2%는 사용 언어가 불명확하다.

참고로 잠비아에는 약 70개 이상의 언어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특정 언어의 방언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잠비아의 모든 주요 언어들은 반투어족에 속한다.[18]

5. 종교

잠비아기독교 국가로, 2010년 추산에 따르면 인구의 약 75.3%가 개신교 신자이며, 약 20.2%가 로마 가톨릭 신자이다.[14] 그 외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바하이 신앙 등을 믿는 소수 종교 인구가 약 2.7%를 차지하며, 무교 인구는 약 1.8%이다.[14] 종교별로 합계출산율에 차이가 나타나기도 한다.[12][13]

5. 1. 개신교

2010년 추산에 따르면, 잠비아 인구의 75.3%가 개신교 신자이다.

5. 2. 가톨릭

2010년 추산에 따르면 잠비아 인구 중 로마 가톨릭 신자는 약 20.2%를 차지한다.

5. 3. 기타 종교

2010년 추산에 따르면, 잠비아 인구의 약 2.7%가 기타 종교를 믿고 있다. 여기에는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바하이 신앙 등이 포함된다. 종교가 없는 인구(무교)는 약 1.8%로 조사되었다.

5. 4. 종교별 출산율

국가 전체적으로 볼 때, 종교가 없는 여성의 합계출산율이 6.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교를 가진 여성 중에서는 개신교 신자의 합계출산율이 6.0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를 이슬람교 신자(5.9), 가톨릭 신자(5.7)가 이었다.[27][28][12][13]

소속 종교[29]합계출산율
개신교6.0
가톨릭5.7
이슬람교5.9
힌두교2.0
다른 종교들5.8
무교6.5
잠비아 (전체)5.9


6. 보건

잠비아의 보건 상황은 말라리아, HIV/AIDS 등 주요 전염병의 유행과 높은 모성 사망률 및 영아 사망률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기대 수명 역시 과거 HIV/AIDS의 영향으로 크게 감소했다가 최근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자세한 보건 지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6. 1. 주요 전염병

2020년 기준으로 잠비아의 주요 질병 감염 위험도는 매우 높음 수준이다.[1] 주요 전염병은 다음과 같다.[1]

6. 2. 모성 사망률

모성 사망률은 2017년 추산 기준으로 출산 100,000명당 213명이다.

6. 3. 영아 사망률

2021년 추산 잠비아의 영아 사망률은 다음과 같다.[1]

6. 4. 기대 수명

유엔 세계인구전망 2019 자료에 따르면 잠비아의 출생 시 기대수명은 다음과 같이 변화해왔다.[30]

기간기대수명(년)기간기대수명(년)
1950–195543.241985–199051.84
1955–196045.541990–199546.36
1960–196547.681995–200043.36
1965–197049.022000–200546.01
1970–197551.192005–201051.75
1975–198052.502010–201559.29
1980–198552.732015-202063.26



1950년대 이후 꾸준히 증가하던 기대수명은 1980년대 중반 약 53세 전후를 기록한 뒤, 1990년대 들어 급격히 감소하여 2000년대 초반에는 43세 수준까지 떨어졌다. 이는 당시 HIV/AIDS 유행과 같은 보건 위기가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그러나 2000년대 중반 이후 다시 증가세로 돌아서 2010년대에는 50세를 넘어섰고, 2015-2020년 기간에는 63세 이상으로 크게 회복되었다.

2021년과 2022년 추산된 기대수명은 다음과 같다.

연도전체 인구남성여성
2021년 추산65.92세64.15세67.75세
2022년 추산66.26세64.52세68.06세



두 해 모두 여성이 남성보다 약 3~4년 더 높은 기대수명을 보이는 경향이 나타난다.

아래는 다른 출처에서 추산한 특정 연도의 기대수명으로, 유엔 자료와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연도전체 인구남성여성
2000년 추산37.24세37.08세37.41세
2017년 추산52.7세51.1세54.4세
2018년 추산53세51.4세54.7세


7. 교육

잠비아의 교육 현황은 국가 발전의 중요한 척도로 간주된다. 잠비아 인구의 교육 수준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로는 기본적인 읽고 쓰는 능력을 의미하는 문해율, 국내총생산(GDP) 대비 교육 분야 투자 비율을 보여주는 교육 지출, 그리고 교육 이후 청년층의 경제 활동 참여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청년 실업률 등이 있다. 이러한 지표들은 잠비아 교육 시스템의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된다.

7. 1. 문해율

잠비아에서 문해율은 15세 이상 인구 중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사람의 비율을 의미한다.

아래는 연도별 잠비아의 문해율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연도전체 인구남성여성
2015년 추정63.4%70.9%56.0%
2018년86.7%90.6%83.1%



2015년 추정치와 비교했을 때 2018년 잠비아의 문해율은 전체적으로 크게 향상되었다. 전체 인구 문해율은 63.4%에서 86.7%로 증가했으며, 남성은 70.9%에서 90.6%로, 여성은 56.0%에서 83.1%로 각각 상승했다. 여전히 남성의 문해율이 여성보다 높지만, 2015년 14.9%p였던 남녀 간 격차는 2018년 7.5%p로 줄어들었다.

7. 2. 교육 지출

잠비아의 교육 지출은 2019년 기준으로 국내총생산(GDP)의 4.5%를 차지한다. 이는 전 세계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85위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7. 3. 청년 실업

잠비아의 청년 실업률은 최근 몇 년간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아래 표는 2012년과 2019년의 추정치를 비교한 것이다.

연도전체 (%)남성 (%)여성 (%)
2012년 추정15.214.615.8
2019년 추정30.132.127.6



2019년 추정치에 따르면 전체 청년 실업률은 30%를 넘어섰으며, 특히 남성 청년 실업률의 증가 폭이 여성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참조

[1] 서적 Zambia Investment and Business Guide Volume 2 Business, Investment Opportunities and Incentives https://books.google[...] Lulu.com 2016-04-18
[2] 웹사이트 At the Crossroads https://www.oxfordha[...] 2021-05-19
[3] 웹사이트 Field Listing :: Ethnic groups https://www.cia.gov/[...] CIA
[4] 웹사이트 2015 Revision of World Population Prospects http://esa.un.org/un[...] 2016-08-09
[5] 웹사이트 2022 Census https://www.zamstats[...] 2024-01-13
[6] 웹사이트 Zambia 2015 http://populationpyr[...]
[7] 웹사이트 UNSD — Demographic and Social Statistics https://unstats.un.o[...]
[8] 웹사이트 Population & Demography Data Explorer https://ourworldinda[...] 2022-07-22
[9] 웹사이트 Cambodia -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 2010 http://microdata.wor[...] 2016-08-09
[10] 웹사이트 National Health Survey 1998 http://dhsprogram.co[...] 2016-08-09
[11] 웹사이트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 2013-14 http://dhsprogram.co[...] 2017-11-07
[12] 웹사이트 Demographics of Zambia - demographics of zambia What i https://amp.ww.en.fr[...] 2021-05-20
[13] 간행물 Understanding Subgroup Fertility Differentials in Nigeria 2014
[14] PDF https://www.zamstats[...] 2019-08-02
[15]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 Population Division - United Nations https://esa.un.org/u[...] 2018-08-26
[16] 웹사이트 Zambia Population 2022 http://worldpopulati[...] 2022
[17] 문서 Zambia: People CIA World Factbook 2022
[18] 웹사이트 Africa :: ZAMBIA https://www.cia.gov/[...] CIA The World Factbook 2022-04-19
[19] 웹인용 UNSD — Demographic and Social Statistics https://unstats.un.o[...]
[20] 웹인용 Total population, both sexes combined (thousands) https://data.un.org/[...] 2021-09-02
[21] 웹인용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9, Volume II: Demographic Profiles 1 Zambia https://population.u[...] 2021-09-02
[22] URL https://unstats.un.o[...]
[2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cia.gov/[...] CIA 2021-09-02
[24] 웹인용 Cambodia -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 2010 http://microdata.wor[...] 2016-08-09
[25] 웹인용 National Health Survey 1998 http://dhsprogram.co[...] 2016-08-09
[26] 웹인용 Demographic and Health Survey 2013-14 http://dhsprogram.co[...] 2017-11-07
[27] 웹인용 Demographics of Zambia - demographics of zambia What i https://amp.ww.en.fr[...] 2021-05-20
[28] 저널 Understanding Subgroup Fertility Differentials in Nigeria 2014
[29]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ww.zamstats[...] 2021-09-02
[30] 웹인용 Life expectancy at birth for both sexes combined (years) https://data.un.org/[...] 2021-09-02
[31] URL https://www.cia.g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