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합계출산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합계출산율은 가임기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 수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출산율은 조출생률과 구별되며, 특정 연도의 연령별 출산율을 기준으로 계산된다. 합계출산율은 인구의 연령 구조와 무관하게 출산력을 나타내지만, 젊은 여성의 출산율 변화를 예측하는 데 한계가 있다. 대체출산율은 인구 규모 유지를 위한 합계출산율 수준을 의미하며, 2.1명으로 간주된다. 세계적으로 합계출산율은 감소 추세이며, 초저출산은 동아시아, 동유럽, 남유럽 등에서 나타난다.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소득, 교육,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등이 있으며, 이민 정책, 우생학적 정책, 생식권 등과 관련된 논란이 존재한다.

2. 출산율의 정의 및 계산 방법

출산율은 특정 기간 동안 발생한 출생아 수를 해당 기간의 인구수로 나눈 값으로, 일반적으로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조출생률) 또는 가임기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 수(합계출산율)로 나타낸다.

합계출산율을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93]

# 조사 연도의 가임 연령(15~49세) 여성들의 실제 출산율을 연령대별로 조사하여 합한다.

# 5세 단위의 계급으로 계산된 연령별 출산율에 5를 곱한다.

한국에서는 각세별 출산율을 합산하는 방식으로 합계출산율을 계산한다.[68]

어떤 연도에, f(x)를 "조사 대상에서 연령 x의 여성이 1년 동안 낳은 자녀 수", g(x)를 "조사 대상에서 연령 x의 여성 수"라고 하면, 그 해의 합계출산율은 \sum_{x=15}^{49} \frac{f(x)}{g(x)}로 표시된다.

기간 합계출산율은 "어떤 연도의 모든 연령의 여성 출산 상황을 한 여성이 행한다고 가정하여 산출하는 수치"이지만, 조사 대상의 라이프스타일이 세대별로 다르다는 점 등으로부터 "한 여성이 평생 낳는 자녀 수"를 정확하게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혼으로 출산 연령이 빨라지면, 빠른 연령에 출산하는 여성과 종래의 스타일로 출산하는 여성이 같은 해에 존재하게 되므로, 기간 합계출산율은 높은 값을 나타낸다. 반대로, 만혼이 진행 중이라면, 기간 합계출산율은 낮은 값을 나타낸다.

2. 1. 조출생률 (CBR)

조출생률(粗出生率, Crude birth rate)은 인구 1,000명당 태어난 출생아 수를 나타낸 것으로, 가임기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평균 자녀 수를 나타낸 합계출산율과는 다르다. 즉, 출산율은 가임기 여성 인구를 토대로 나온 수치이고, 출생률은 남녀노소(男女老少)를 모두 포함한 전체 인구 대비 출생아 수를 의미한다.[92]

2. 2. 합계출산율 (TFR)

합계출산율(TFR)은 가임기 여성(보통 15~49세)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자녀 수를 나타내는 지표이다.[92] 이는 특정 연도의 연령별 출산율을 기반으로 계산되며, 해당 연도의 출산율이 평생 지속된다고 가정한다.[93] 한국에서는 각세별 출산율을 합산하는 방식으로 합계출산율을 계산한다.

합계출산율은 특정 인구에서 특정 연도에 기록된 15~49세의 연령별 출산율을 경험하는 가상 여성의 출산력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이는 여성이 특정 연도의 연령별 출산율을 적용하여 모든 출산 가능 연령을 단일 연도에 경험한다면 잠재적으로 가질 수 있는 평균 자녀 수를 나타낸다.

합계출산율은 인구의 연령 구조와 무관하므로 조출생률보다 출산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더 적합하다. 그러나 실제 완료된 가족 규모를 추정하는 데는 각 연령대별 출산율의 합계로 얻어지는 합계기수출산율(Total Cohort Fertility Rate)보다 정확도가 떨어진다.

합계출산율은 현재 젊은 여성들이 결국 몇 명의 자녀를 낳을지 반드시 예측하지 못한다. 앞으로 그들의 출산율이 현재 고령 여성들의 출산율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합계출산율은 현재 출산 수준을 요약하는 데 적절한 지표이다.

합계출산율은 시기 효과의 영향을 받는다. 만약 출산 연령이 증가하고 생애 출산율이 변하지 않는다면, 출산 연령이 증가하는 동안에는 출산이 늦어지기 때문에 합계출산율은 낮아진다. 그러다 출산 연령의 증가가 멈추면, 생애 출산율은 변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전에 미뤄졌던 출산이 이후 기간에 발생하기 때문에 합계출산율은 증가한다.

어떤 연도에, f(x)를 "조사 대상에서 연령 x의 여성이 1년 동안 낳은 자녀 수", g(x)를 "조사 대상에서 연령 x의 여성 수"라고 하면, 그 해의 합계출산율은 \sum_{x=15}^{49} \frac{f(x)}{g(x)}로 표시된다.

2. 3. 코호트 출산율

코호트(같은 시대에 태어난 사람들)의 출산율을 모두 더해 계산한다.

특정 코호트의 출산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코호트가 50세가 될 때까지는 최종 수치가 확정되지 않는다.

2. 4. 순재생산율 (NRR)

순생식률(NRR)은 특정 연도의 연령별 출산율과 사망률을 적용했을 때 한 여성이 평생 동안 낳을 딸의 수를 계산하는 지표이다. 순생식률이 정확히 1이면 여성 세대는 자신을 정확하게 대체한다.

순생식률은 합계출산율만큼 흔히 사용되지는 않지만, 성비 불균형성별 선택으로 인해 태어나는 남아의 수가 매우 많은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이는 세계 인구 역학에서 중요한 고려 사항이며, 특히 중국인도와 같이 인구가 많은 국가에서 성비 불균형이 심각한 것을 고려할 때 더욱 그렇다. 조합출산율(GRR)은 순생식률과 같지만, 합계출산율과 마찬가지로 평균수명을 고려하지 않는다.

3. 대체출산율

일반적으로 대체출산율은 한 국가가 현재 인구 규모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합계출산율 수준을 의미한다. 한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대체출산율이 보통 2.1명으로 간주되지만, 영아 사망률이 높은 개발도상국에서는 더 높은 수준이 필요하다.[4] 2010년~2015년 기준 안정적인 세계 인구로 이어지는 대체출산율의 세계 평균은 여성 1명당 2.3명이었다.[4][5]

대체출산율은 사망률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순이민이 0일 경우, 인구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여성이 출산하는 아기의 수를 나타내는 합계출산율이다.[3] 대체출산율이 충분히 긴 기간 동안 유지되면 각 세대는 자신을 정확하게 대체하게 된다.[3]

인구의 남녀 비율이 1:1이라고 가정하고, 모든 여성이 출산 가능 연령 상한인 49세를 넘을 때까지 산다고 하면, 합계출산율이 2이면 인구는 '''정체'''를 보이고, 이를 상회하면 자연 증가, 하회하면 자연 감소가 된다. 하지만 실제로는 태어나는 아이의 남녀 비율이 남성이 약간 높고, 15세 미만으로 출산 가능 연령 하한에서 사망하는 여성이 있는 등의 이유로, 의료 기술과 영양 상태가 양호한 현대 선진국에서도 인구 유지를 위해 필요한 합계출산율은 2.08 정도로 여겨지며, 이를 하회하면 인구는 감소하는 계산이 된다.[70] 물론, 영아 사망률이 높은 개발도상국이나 분쟁 지역 (아프리카아시아에 많은), 중국이나 인도처럼 출생 성비가 남성에게 치우친(남아 선호 사상이 나타나는) 국가에서는 인구를 유지하는 데 더 높은 합계출산율이 필요하다.[71]

반대로 미국이나 스웨덴처럼 이민 등으로 인구를 충당할 수 있는 국가나 지역에서는 합계출산율이 2.08을 하회하더라도 인구를 유지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71][72]

국가별 인구 대체 수준 미만 출산율 최초 기록 연도 (TFR<2.1)
국가명최초 기록 연도
프랑스1915년
독일1916년
영국1927년
스웨덴1928년
스위스1929년
체코 노르웨이1931년
벨기에 오스트리아1933년
룩셈부르크1956년
일본 세르비아1957년
헝가리1960년
루마니아1962년
크로아티아 우크라이나1963년
불가리아1965년
러시아1967년
핀란드 덴마크1969년
네덜란드1973년
미국 캐나다1972년
오스트리아1976년
이탈리아1977년
벨라루스 뉴질랜드 리투아니아1978년
스페인1981년
그리스 포르투갈1982년
대한민국1983년
타이완1984년
폴란드 슬로바키아 아일랜드1989년


4. 세계적 동향

유엔에 따르면, 2015~2020년 전 세계 평균 출산율은 2.47명으로, 1950년 이후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으며, 향후에도 계속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94] 지역별로는 아프리카가 평균 4.44명으로 가장 높았고, 유럽이 1.61명으로 가장 낮았다.[94]

지역별 여성 1인당 출산율[94]
지역1950-19551990-19952015-20202045-20502095-2100
아프리카6.575.724.443.242.14
아시아5.832.902.151.901.76
유럽2.661.571.611.711.77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5.833.082.041.771.73
북아메리카3.342.001.751.781.81
오세아니아3.892.522.362.111.84
전 세계4.973.012.472.211.94



21세기 말까지 출산율 감소폭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이다.[96][95] 2021년 기준으로 선진국 중 합계출산율이 인구 대체 수준 2.1을 넘는 국가는 이스라엘뿐이다.[73][74]

4. 1. 연령별 출산

유엔에 따르면, 지난 수십 년간 한국, 일본 등을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 청소년(15~19세) 산모의 출산율은 계속 감소하고 있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여전히 높은 출산율을 유지하고 있다. 2015~2020년까지 청소년(15~19세) 여성 인구 1,000명당 출산율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이 104명으로 가장 높았고,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이 63명으로 두 번째로 높았다. 총 출산 횟수에서 청소년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으로, 15~19세 출산율이 전체 출산율의 15%를 차지했다. 2015~2020년까지 15~19세 산모에게서 태어난 전 세계 출생아 수는 명으로 추산되며, 이들 중 46%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 18%는 중앙아시아 및 남아시아 지역, 14%는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에서 태어난 것으로 예측된다.[95][96]

5. 초저출산

합계출산율이 1.3 이하인 경우를 초저출산이라고 부르며[97], 주로 동아시아, 동유럽, 남유럽 국가에서 나타난다.[98] 초저출산은 출산율 반등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한다.[100] 인구학자 빌러리와 코흘러는 합계출산율이 1.3 미만을 3년 이상 지속하면 출산율이 다시 올라가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2001년에는 유럽 인구의 절반 이상이 초저출산 국가에 거주했지만, 현재는 출산율이 이보다 약간 더 상승했다.[99] 그러나 2023년 스페인의 합계출산율은 1.19,[9] 이탈리아의 합계출산율은 1.2명으로 떨어졌다.[10]

세계적으로 기록된 역사상 가장 낮은 합계출산율은 2000년 중국 헤이룽장성 지암시 향양구에서 기록한 0.41이다.[11] 2023년 대한민국의 합계출산율은 0.72로 세계 최저치였다.[12]


6. 국가별 현황

인구 대체 수준은 모든 여성이 인구 수준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수의 자녀를 출산하고, 사망률은 일정하며, 순이동이 0이라고 가정할 경우의 합계출산율(TFR)이다.[69] 인구의 남녀 비율이 1:1이라고 가정하고, 모든 여성이 출산 가능 연령 상한인 49세를 넘을 때까지 산다고 하면, 합계출산율이 2이면 인구는 정체, 이를 상회하면 자연 증가, 하회하면 자연 감소가 된다. 하지만 실제로는 출생아의 남성 비율이 약간 높고, 15세 미만으로 사망하는 여성이 있는 등의 이유로, 의료 기술과 영양 상태가 양호한 현대 선진국에서도 인구 유지를 위해 필요한 합계출산율은 2.08 정도로 여겨진다.[70]

영아 사망률이 높은 개발도상국이나 분쟁 지역, 중국이나 인도처럼 남아 선호 현상이 나타나는 국가에서는 인구를 유지하는 데 더 높은 합계출산율이 필요하다.[71] 반대로 미국이나 스웨덴처럼 이민 등으로 인구를 충당할 수 있는 국가나 지역에서는 합계출산율이 2.08을 하회하더라도 인구를 유지할 수 있다. 2010-2015년 기준 전 세계 인구 대체 수준은 세계 평균 TFR 2.3이다.[71][72]

2021년 기준으로 선진국 중 합계출산율(TFR)이 인구대체 수준 2.1을 넘는 국가는 이스라엘(2.9명)뿐이다.[73][74] 최저 출산율(lowest-low fertility)이라는 용어는 합계출산율(TFR)이 1.3 이하인 경우에 사용된다.[84] 이 현상은 동유럽, 남유럽, 동아시아, 중남미 국가에서 많이 나타난다.[85]

국가별 인구 대체 수준 미만 출산율 최초 기록 연도 (TFR<2.1)
국가명최초 기록 연도
프랑스1915년
독일1916년
영국1927년
스웨덴1928년
스위스1929년
체코, 노르웨이1931년
벨기에, 오스트리아1933년
룩셈부르크1956년
일본, 세르비아1957년
헝가리1960년
루마니아1962년
크로아티아, 우크라이나1963년
불가리아1965년
러시아1967년
핀란드, 덴마크1969년
네덜란드1973년
미국, 캐나다1972년
오스트리아1976년
이탈리아1977년
벨라루스, 뉴질랜드, 리투아니아1978년
스페인1981년
그리스, 포르투갈1982년
대한민국1983년
대만1984년
폴란드, 슬로바키아, 아일랜드1989년



국가별 최저 출산율 최초 기록 연도 (합계출산율 ≤ 1.3)
국가명최초 기록 연도
홍콩1989년
독일1992년
이탈리아, 스페인1993년
불가리아, 라트비아, 체코, 그리스, 슬로베니아, 마카오1995년
러시아1996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1997년
에스토니아1998년
헝가리1999년
슬로바키아2000년
루마니아, 리투아니아, 아르메니아2001년
한국, 폴란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2002년
대만, 일본, 싱가포르2003년
몰도바2005년
포르투갈2012년
안도라2013년
푸에르토리코2016년
몰타2017년
타이2019년
중국, 칠레2020년
우루과이, 코스타리카, 모리셔스2022년
핀란드, 캐나다2023년


6. 1. 대한민국

2023년 대한민국의 합계출산율은 0.72로 그 해 세계 최저치였다.[12] 가장 낮은 지역인 서울특별시의 합계출산율은 0.55였다.

대한민국은 1983년에 처음으로 인구 대체 수준 미만의 출산율을 기록했다.

국가별 인구 대체 수준 미만 출산율 최초 기록 연도 (TFR<2.1)
국가명최초 기록 연도
대한민국1983년


6. 2. 일본

후생노동성이 발표하는 「인구동태통계 특수보고」에 따르면,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제1차 베이비붐 시기에는 합계출산율이 4.5 이상으로 높았지만,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1957년에는 '''인구 대체 수준''' 아래로 떨어졌다.[75] 1966년에는 병오년의 영향으로 1.58로 급감했다. 이후 1967년부터 1973년까지는 인구 대체 수준을 일시적으로 상회했으나,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75]

단카이 세대가 출산 적령기를 지난 1989년에는 1.57을 기록하며 '1.57 쇼크'라 불리는 저출산 현상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다.[75] 이후에도 출산율은 계속 감소하여 2005년에는 '''1.26'''까지 떨어졌다.

2006년부터는 소폭 상승세로 전환[76]되어 2015년에는 1.45를 기록하며 1994년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77]

그러나 2007년 이후 합계출산율 상승에도 불구하고 출생아 수는 감소 추세가 이어졌다.[78][79] 이는 출산 가능 여성 인구 감소가 원인이다.[80]

2019년에는 출생아 수가 86만 5234명으로 90만 명 아래로 떨어졌고, 합계출산율도 1.36으로 하락했다. 2020년판 저출산 사회 대책 백서에서는 이를 '86만 쇼크'라 칭하며 위기 상황임을 강조했다.[81]

일본의 합계출산율(TFR)과 출생아 수(천 명 단위)의 추이

6. 3. 유럽

유럽 연합(EU)의 합계출산율은 2021년 기준 1.53명이다.[54] EU 회원국 중에서는 프랑스(1.84명)가 가장 높았고, 체코(1.83명), 루마니아(1.81명), 아일랜드(1.78명), 덴마크(1.72명)가 그 뒤를 이었다.[54] 반면, 몰타(1.13명)는 가장 낮았으며, 포르투갈(1.35명), 키프로스(1.39명), 그리스(1.43명), 스페인(1.19명), 이탈리아(1.25명) 등 남유럽 국가들도 매우 낮은 수치를 보였다.[54]

2021년 영국의 합계출산율은 1.53명이었다. 같은 해 EU 비회원 유럽 국가 중 포스트소비에트 국가들의 합계출산율은 러시아 1.60명, 몰도바 1.59명, 우크라이나 1.57명, 벨라루스 1.52명이었다.[37]

동유럽에서 서유럽으로의 젊은 인구 이동은 불가리아, 몰도바, 루마니아, 우크라이나 등 동유럽 국가들의 인구 문제를 심화시키고 있다.[55]

6. 4. 기타 국가

2023년 캐나다의 합계출산율은 1.26이었다.[56]

미국의 합계출산율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0년대 후반에 여성당 약 3.8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1970년대 초반에는 대체 수준 이하로 떨어졌고, 1999년에는 2명이었습니다.[59] 현재 미국에서 태어난 사람들 사이에서는 출산율이 대체 수준보다 낮고, 대부분 더 높은 출산율 국가에서 미국으로 이주해 온 이민자 가정 사이에서는 대체 수준보다 높습니다. 그러나 미국의 이민자들의 출산율은 2세대에서 교육 수준과 소득이 향상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60] 2021년 미국의 합계출산율은 1.664명이었으며, 주에 따라 2명이 넘는 곳도 있고 1.6명 미만인 곳도 있었습니다.[6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오스트레일리아의 합계출산율은 약 3.0이었다.[62] 2017년 오스트레일리아의 합계출산율은 1.74로, 대체 수준 이하였다.[63]

2023년 기준, 남아메리카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국가인 브라질의 합계출산율은 1.75로 추정되었다.[37] 2021년 기준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국가인 멕시코의 합계출산율은 1.73으로 추정되었다.[37] 이 지역에서 그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4개국(콜롬비아, 아르헨티나, 페루, 베네수엘라)의 2023년 합계출산율은 각각 1.94, 2.17, 2.18, 2.20이었다. 벨리즈는 2023년 기준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합계출산율인 2.59를 기록했다. 2021년 기준 푸에르토리코는 가장 낮은 1.25를 기록했다.[37]

국가별 인구 대체 수준 미만 출산율 최초 기록 연도 (TFR<2.1)
국가명최초 기록 연도
프랑스1915년
독일1916년
영국1927년
스웨덴1928년
스위스1929년
체코, 노르웨이1931년
벨기에, 오스트리아1933년
룩셈부르크1956년
일본, 세르비아1957년
헝가리1960년
루마니아1962년
크로아티아, 우크라이나1963년
불가리아1965년
러시아1967년
핀란드, 덴마크1969년
네덜란드1973년
미국, 캐나다1972년
오스트리아1976년
이탈리아1977년
벨라루스, 뉴질랜드, 리투아니아1978년
스페인1981년
그리스, 포르투갈1982년
대한민국1983년
타이완1984년
폴란드, 슬로바키아, 아일랜드1989년


7.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출산율은 개인의 선택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 문화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합계출산율(TFR)이 장기간 3.8을 유지하고 사망률이나 이민율이 높지 않다면 인구는 빠르게 증가한다. 반면 합계출산율이 장기간 2.0을 유지한다면, 상당한 규모의 이민이 없는 한 인구는 감소한다.

합계출산율 변화가 출산율에 반영되려면 연령 분포가 균형에 도달할 때까지 몇 세대가 걸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대체 수준 출산율 이하로 떨어진 인구는 여전히 증가할 수 있는데, 이는 최근 높은 출산율로 인해 많은 젊은 부부가 생겨났고, 이들이 현재 출산 연령대에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여러 세대에 걸쳐 지속되며 인구 모멘텀, '인구 관성' 또는 '인구 지체 효과'라고 한다.

합계출산율과 장기 인구 증가율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안정 상태에 있고 이주가 없는 인구 구조의 경우, 출산 여성의 평균 연령을 고려하여 증가율을 계산할 수 있다.

7. 1. 긍정적 요인

자녀 출산 의향, 높은 수준의 성 평등, 가치관의 세대 간 전승, 결혼, 동거, 모성 및 사회적 지원, 농촌 거주, 정부의 출산 장려 정책, 낮은 IQ, 식량 생산 증가는 일반적으로 출산율 증가와 관련된 요인이다.[37]

7. 2. 부정적 요인

소득 증가, 가치관 및 태도 변화, 교육,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 증가, 인구 조절, 피임, 불임 등은 일반적으로 출산율 감소와 관련된 요인이다.[37] 이러한 요인들과 인간개발지수(HDI)는 역상관관계를 보인다. 즉, 일반적으로 국가의 HDI가 낮을수록 출산율이 높다.[37]

경제 개발과 출산율 간의 관계는 1인당 GDP와 합계출산율(TFR)의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는데, 1인당 GDP가 출산율과 역상관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37] 1974년 부쿠레슈티에서 열린 유엔 인구 회의에서 인도의 전 인구부 장관 카란 싱(Karan Singh)은 "개발이 최고의 피임 수단이다"라고 말했다.[14]

높은 1인당 GDP를 가진 부유한 국가는 낮은 1인당 GDP를 가진 빈곤한 국가보다 일반적으로 출산율이 낮다. 이는 언뜻 보기에 상식과 반대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소득과 출산율 간의 이러한 역상관 관계는 진화 생물학에서 더 많은 자원을 가진 사람이 더 적은 자녀가 아닌 더 많은 자녀를 낳을 것이라고 예상하기 때문에 "인구통계-경제적 역설"이라고 불린다.[37]

하지만 이러한 요인들은 지역과 사회 계급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칸디나비아 국가와 프랑스는 EU에서 가장 종교적이지 않은 국가 중 하나이지만 가장 높은 합계출산율을 보이는 반면, 포르투갈, 그리스, 키프로스, 폴란드, 스페인은 그 반대이다.[54]

8. 논란 및 쟁점

합계출산율과 관련하여 이민 정책, 우생학적 정책과 관련된 논란 및 쟁점이 존재한다.

8. 1. 이민 정책과의 관계

프랑스에서는 1995년부터 2000년까지 프랑스 국적 부부와 이민자 부부의 자녀 수가 모두 증가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프랑스 국적 부부의 자녀 수는 변화가 없었던 반면, 프랑스 국적자와 이민자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 수가 늘어나 2010년에는 그 비율이 13.3%를 기록하며, 프랑스 국내 출생의 10%를 넘었다.[82] 프랑스 국적자와 이민자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의 출신 국가는 유럽이 15%, 프랑스어권 아프리카가 65%, 터키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가 약 15%이다. 프랑스 국적자와 이민자 사이 자녀 중 한쪽 부모가 비EU권 백인인 경우는 15%에 불과하며, 프랑스 국적 여성과 EU 외 국가 남성의 자녀가 44%, 프랑스 국적 남성과 EU 외 국가 여성의 자녀가 41%이다.

우치우미 나츠코에 따르면, 영국, 독일, 스웨덴 등 북유럽과 유럽 여러 국가에서도 이슬람교를 중심으로 한 원리주의에 의한 명예살인과 이민자들이 유입시키는 범죄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 피해자 대부분은 여성이다. 스웨덴은 출산율 유지를 위해 이민 정책을 채택하고 있다. 이민자들의 문화적 관습을 억제하거나 금지하는 정책을 시행하려고 하면 "인종차별이다"라는 비판이 제기되기 때문에 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 반대로 이라크 출신 인권 운동가인 사라 모하메드와 쿠르드계 저널리스트인 딜샤 테밀바그스탄 등은 "명예를 구실로 한 폭력은 이민자 문화에 뿌리를 둔 것이다. 해결의 실마리를 찾으려면 그 문화적 배경에 주목해야 한다"면서, 수용국의 문화나 규칙을 지키지 않는 비세속적 이민자를 받아들이는 이민 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82]

8. 2. 우생학적 정책

일부 정부는 우생학적 정책을 통해 사회의 특정 집단이 출산할 수 있는지를 규제하려고 시도했는데, 여기에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인구 집단에 대한 강제 불임 수술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정책들은 20세기 전반 유럽과 북미의 소수 민족에 대해 시행되었고, 최근에는 1990년대 라틴 아메리카의 원주민 인구에 대해 시행되었다. 페루에서는 전 대통령 알베르토 후지모리가 원주민(주로 케추아족과 아이마라족)을 대상으로 한 불임 수술 프로그램으로 인해 집단 학살과 반인도적 범죄 혐의를 받고 있다.[20]

참조

[1]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4, Standard Projections, Compact File, Estimates tab.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https://en.wikipedia[...] 2024-01-01
[2]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4, Standard Projections, Compact File, Median Variant tab https://population.u[...] 2024-01-01
[3] 논문 Replacement level fertility and future population growth https://pubmed.ncbi.[...] 1994-01-01
[4] 논문 The surprising global variation in replacement fertility https://link.springe[...]
[5] 논문 Is half the world's population really below 'replacement-rate'? 2019-12-02
[6] 웹사이트 Low Fertility in Europe: Causes, Implications and Policy Options http://www.ssc.upenn[...] 2006-02-15
[7] 논문 Persistent low fertility among the East Asia descendants in the United States: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2019-06-01
[8] 웹사이트 Fertility statistics https://ec.europa.eu[...]
[9] 뉴스 Spanish birth rate hits lowest level since records began in 1941 https://www.reuters.[...] Reuters 2024-02-21
[10] 웹사이트 Italy's falling birth rate is a crisis that's only getting worse https://www.euronews[...] 2024-05-10
[11] MS thesis Fertility In China In 2000: A County Level Analysis https://oaktrust.lib[...] Texas A&M University 2005-05-01
[12] 뉴스 South Korea's fertility rate dropped to a fresh record low in 2023 https://www.reuters.[...] Reuters 2024-02-28
[13] 웹사이트 East Germany Overtakes West Germany: Recent Trends in Order-Specific Fertility Dynamics https://www.demogr.m[...] 2011-07-01
[14] 서적 Economic Growth Addison-Wesley
[15] 웹사이트 Country Comparison :: Population size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6] 웹사이트 China's Generation of Only Children Wants the Same for Their Kids https://foreignpolic[...]
[17] 웹사이트 Country Comparison :: GDP - per capita (PPP)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8] 서적 Political Demography: The Banning of Abortion in Ceausescu's Roman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 뉴스 Shock at Chinese abortion photo https://www.bbc.com/[...] 2012-06-14
[20] 뉴스 Mass sterilisation scandal shocks Peru http://news.bbc.co.u[...] 2002-07-24
[21] 웹사이트 Handbook http://www.ohchr.org[...] www.ohchr.org
[22] 웹사이트 Fertility Rate https://ourworldinda[...] 2024-03-01
[23] 서적 A Farewell to Alms: A Brief Economic History of the Worl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4] 웹사이트 Mortality in the past: every second child died https://ourworldinda[...] 2023-01-01
[25] 웹사이트 Fertility and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https://eh.net/encyc[...]
[26] 웹사이트 Breaking out of the Malthusian trap: How pandemics allow us to understand why our ancestors were stuck in poverty https://ourworldinda[...] 2020-11-06
[27] 웹사이트 The Demographic Transition https://web.archive.[...]
[28] 웹사이트 Bubble Chart of 'Babies per Woman' vs 'Child Mortality' https://www.gapminde[...] Gapminder
[29]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2, Standard Projections, Compact File, Estimates tab, Total Fertility Rate column https://population.u[...] 2022-01-01
[30]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2, Standard Projections, Compact File, Variant tab, Total Fertility Rate column https://population.u[...] 2022-01-01
[31] 웹사이트 Fertility rate, total (births per woman) https://data.worldba[...] The World Bank
[32] 웹사이트 Suddenly There Aren't Enough Babies. The Whole World Is Alarmed. https://www.wsj.com/[...]
[33] 웹사이트 Thailand is one of the world's fastest-ageing developing nations. This is how it happened https://www.channeln[...]
[34] 웹사이트 Chile birth rate plummets as women say no to motherhood https://www.france24[...] 2024-09-18
[35]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9, Dep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File: Total Fertility https://population.u[...] United Nations Population Division 2019-01-01
[36] 보고서 Achieving Replacement Level Fertility https://www.wri.org/[...] 2013-07-08
[37] 웹사이트 Country Comparisons - Total Fertility Rate https://www.cia.gov/[...] 2022-02-26
[38] 웹사이트 WHO - Family planning in sub-Saharan Africa: progress or stagnation? https://www.who.int/[...]
[39] 웹사이트 Fertility rate, Macau SAR, China https://data.worldba[...] 2022-02-26
[40] 웹사이트 China's fertility rate drops to record low 1.09 in 2022- state media Reuters https://www.reuters.[...] 2023-08-15
[41] 웹사이트 China's Aging Population Becoming More Of A Problem https://www.forbes.c[...] 2017-02-21
[42] 웹사이트 Tokyo's fertility rate lowest in Japan as births fall for 7th year The Asahi Shimbun: Breaking News, Japan News and Analysis https://www.asahi.co[...]
[43] 뉴스 Info https://www.ft.com/c[...] www.ft.com 2019-04-12
[44] 뉴스 South Korea's Plan to Rank Towns by Fertility Rate Backfires https://www.nytimes.[...] 2016-12-30
[45] 웹사이트 South Korea's fertility rate falls to record low - CNN https://edition.cnn.[...] Edition.cnn.com 2019-08-29
[46] 뉴스 S. Korea records world's lowest fertility rate at mere 0.78 https://english.hani[...] Hankyoreh 2023-02-23
[47] 보도자료 2022년 출생 통계 https://kostat.go.kr[...]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3-08-30
[48] 뉴스 Fertility rate in Bangladesh 2.0, life expectancy 73yrs https://www.newagebd[...]
[49] 웹사이트 How Long Is A Generation? https://yourdna.com/[...] 2019-05-06
[50] 웹사이트 Better education of women helped push total fertility rate down | India News - Times of India https://timesofindia[...] 2020-07
[51] 웹사이트 National Family and Health Survey: More women than men in India for the 1st time; Hindustan Times Nov 25, 2021 https://www.hindusta[...] 2021-11-25
[52] 웹사이트 Iran's demographic issue: fertility reaches lowest rate in 8 years https://www.tehranti[...] 2020-11-11
[53] 웹사이트 Late marriages, late births: Turkish population below replacement level https://www.dailysab[...] 2020-07-06
[54] 웹사이트 Fertility statistics https://ec.europa.eu[...] 2023-03
[55] 웹사이트 Central and Eastern Europe Face Emigration Challenge https://www.stratfor[...]
[56] 웹사이트 Canada's fertility rate has hit a record low. What's behind the drop? https://globalnews.c[...] 2022-09-25
[57] 뉴스 The modern family size is changing. Four charts show how. https://www.nbcnews.[...] NBC News 2023-01-12
[58] 웹사이트 Births dropped in 2023, ending pandemic baby boom https://www.axios.co[...] Axios 2024-04-25
[59] 웹사이트 Fertility rate, total (births per woman) https://data.worldba[...]
[60] 간행물 How Fertility Changes Across Immigrant Generations Public Policy Institute of California 2002
[61] 웹사이트 Births: Provisional Data for 2021 https://www.cdc.gov/[...] 2022-05-24
[62] 웹사이트 Ageing Baby Boomers in Australia https://nationalseni[...] 2012
[63] 웹사이트 Australian women are now having children older than ever http://www.abs.gov.a[...] 2018-12-11
[64] 웹사이트 合計特殊出生率について https://www.mhlw.go.[...]
[65] 웹사이트 合計特殊出生率とは https://kotobank.jp/[...]
[66] 웹사이트 2つの出生力推移データが示す日本の「次世代育成力」課題の誤解-少子化社会データ再考:スルーされ続けた次世代育成の3ステップ構造- https://www.nli-rese[...]
[67] 웹사이트 少子化は「未婚者の増加」だけが原因じゃない ソロモンの時代―結婚しない人々の実像― https://toyokeizai.n[...] 2017-11-16
[68] 웹사이트 厚生労働省公式サイト - 合計特殊出生率について https://www.mhlw.go.[...]
[69] 논문 Replacement level fertility and future population growth https://pubmed.ncbi.[...] 1994
[70] 웹사이트 内閣府ホームページ https://www8.cao.go.[...]
[71] 논문 The surprising global variation in replacement fertility https://www.semantic[...]
[72] 논문 Is half the world's population really below 'replacement-rate'? 2019-12-02
[73] 웹사이트 先進国で出生率 3以上の国がある? http://www.hokkaido.[...]
[74] 웹사이트 「超正統派」優遇 高まる不満 イスラエル、異例の再選挙へ: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022-05-19
[75] 웹사이트 平成18(2006)年版 厚生労働白書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1-03-29
[76] 웹사이트 平成21(2009)年 人口動態統計(確定数)の概況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0-10-03
[77] 웹사이트 平成27(2015)年人口動態統計(確定数)の概況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6-12-25
[78] 웹사이트 平成30年(2018)人口動態統計月報年計(概数)の結果を公表します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019-06-07
[79] 웹사이트 出生数 最少の94万6000人 出生率1.43、2年連続低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12-22
[80] 웹사이트 出生数、初の100万人割れ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6-12-25
[81] 웹사이트 出生数「86万ショック」 少子化白書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0-08-23
[82] 웹사이트 https://www.fsight.j[...]
[83] 문서 전쟁·분쟁이나 국가의 통합·분열, 사회 혼란의 발생에 의한 예외적인 급락은 제외한다.
[84] 웹사이트 European data http://www.ssc.upenn[...] 2020-01-27
[85] 웹사이트 The End of 'Lowest-Low' Fertility? https://www.demogr.m[...] Max Planck Institute for Demographic Research 2020-01-27
[86] 웹사이트 Data http://www.rug.nl/re[...] 2020-01-27
[87] 웹사이트 https://m.guancha.cn[...]
[88] 뉴스 専門家が中国政府の人口統計に疑問符 実際の人口は12.8億人程度か=台湾報道 https://news.yahoo.c[...] wowkorea.jp 2021-12-06
[89] 웹사이트 第2章 人口・世帯 https://www.stat.go.[...] 総務省 統計局 2021-09-19
[90] 뉴스 South Korea's birthrate sinks to fresh record low as population crisis deepens https://www.theguard[...] 2023-02-22
[91]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 Population Division - United Nations https://population.u[...] 2023-02-22
[92] 뉴스 [통계다시보기]'출산율'과 '출생률' 어떻게 다를까요 https://news.bizwatc[...] 2021-07-06
[93] 웹사이트 사전식보기 - 합계출산율[Total fertility rate] https://kostat.go.kr[...]
[94] 웹사이트 2019 Revision of World Population Prospects https://population.u[...]
[95]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9 https://population.u[...]
[96] 웹사이트 [유엔 세계인구전망 2019] 세계 인구, 2100년에 109억 명 도달... 한국은? - 향후 인구 증감, 출산율, 기대수명, 국제 이동 예측 https://blog.naver.c[...] 2021-07-08
[97] 웹사이트 European data http://www.ssc.upenn[...] 2020-01-27
[98] 웹사이트 The End of 'Lowest-Low' Fertility? http://www.demogr.mp[...] Max Planck Institute for Demographic Research 2020-01-27
[99] 웹사이트 Data http://www.rug.nl/re[...] 2020-01-27
[100] 서적 인구, 미래, 공존 북스톤
[101] 논문 Fertility in China in 2000: A County-Level Analysis http://txspace.tamu.[...] Texas A&M Universi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