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반니 보카치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반니 보카치오는 이탈리아의 작가이자 시인으로, 《데카메론》의 저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피렌체에서 성장하여 초기에는 상업을 배우려 했으나, 문학에 대한 열정으로 나폴리에서 고전 문학을 접하며 인문주의적 영향을 받았다. 보카치오는 대표작 《데카메론》을 포함하여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단테의 작품을 연구하고 페트라르카와 교류하며 르네상스 시대를 선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반니 보카치오 - 보카치오 70
    1962년에 공개된 이탈리아 옴니버스 영화 보카치오 70은 마리오 모니첼리, 페데리코 펠리니, 루키노 비스콘티, 비토리오 데 시카 4명의 감독이 성과 사랑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담아 연출한 작품으로, 소피아 로렌, 로미 슈나이더,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등이 출연한다.
  • 조반니 보카치오 - 숙녀들의 도시
    크리스틴 드 피장이 여성 억압에 맞서 여성의 업적을 기리고자 세 여신의 도움으로 건설되는 도시를 배경으로 여성의 다양한 모습과 가치를 조명하며, 여성에 대한 부정적 시각 논쟁, 결혼과 여성 역할, 기독교 성녀들의 이야기를 통해 여성의 지혜, 덕, 강인한 신앙심을 보여주는 소설이다.
  • 1313년 출생 - 고곤 천황
    고곤 천황은 고후시미 천황의 아들로 태어나 고다이고 천황의 막부 타도 계획 실패 후 즉위했으나 폐위되었고, 이후 동생 고묘 천황을 즉위시킨 뒤 남조에 납치되었다가 선불교에 귀의하여 수행하다가 사망했으며, 와카에 능하여 『풍아와카집』을 편찬하는 등 문화적 업적을 남겼다.
  • 1313년 출생 - 이달존
    이달존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이제현의 아들이며, 음서로 관직 생활을 시작했으나 과거에 급제하여 학문적 재능과 뛰어난 문장으로 기대를 받았고, 아버지 이제현을 따라 원나라에 다녀오기도 했다.
  • 1375년 사망 - 전록생
    고려 후기 문신 전록생은 충혜왕 때 등과하여 공민왕 때 기거사인, 전라도안렴사 등을 지냈고 홍건적의 난 당시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2등 공신에 책록되었으나, 우왕 즉위 후 이인임 세력에 의해 유배 도중 사망한 인물이다.
  • 1375년 사망 - 코케 테무르
    코케 테무르는 원나라 말기 홍건적의 난을 진압하며 세력을 키워 하남왕에 봉해진 무장으로, 차간 테무르의 양자로서 그의 군대를 이어받아 원나라 권력 다툼에 관여했으나 명나라 군에 패하여 북원으로 후퇴 후 병사했으며, 여러 대중 매체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조반니 보카치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라파엘로 모르겐의 초상화, 1822년경
이름조반니 보카치오
원어 이름Giovanni Boccaccio
출생일1313년 6월 16일
출생지체르탈도, 피렌체 공화국 (현재 토스카나 주, 이탈리아)
사망일1375년 12월 21일
사망지체르탈도, 피렌체 공화국 (현재 토스카나 주, 이탈리아)
직업작가, 시인
활동 언어이탈리아어 (토스카나 방언 및 피렌체 방언)
라틴어
활동 시기초기 르네상스
활동 기간1341년–1375년
장르서사시
서정시
소네트
전원시
단편 소설
문학 평론
전기
서간
사조이탈리아 르네상스
대표 작품데카메론
친구페트라르카
아버지Boccaccino di Chellino
계모마르게리타 데 마르돌리
발음
기타
다른 뜻보카치오

2. 생애

조반니 보카치오는 피렌체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정확한 출생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체르탈도 인근으로 추정된다. 어린 시절 피렌체에서 교육을 받았고, 14세 무렵 아버지의 뜻에 따라 나폴리로 가서 상업과 법학을 공부했으나 적성에 맞지 않았다. 대신 문학에 열정을 느껴 독학에 몰두했으며, 나폴리의 활발한 문화적 분위기 속에서 고전 문학과 인문주의 사상을 접했다.

아버지의 사업 실패와 사망 이후 피렌체로 돌아와 시 정부에서 일하며 외교관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350년에는 평소 존경하던 페트라르카를 만나 평생에 걸친 깊은 교우 관계를 맺었으며, 이는 그의 학문과 사상에 큰 영향을 주었다. 보카치오는 단테를 높이 평가하여 그의 작품을 연구하고 해설했으며, 단테의 서사시에 '신성한'이라는 형용사를 덧붙여 『신곡』이라는 제목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19]

그의 대표작으로는 흑사병 시대를 배경으로 한 『데카메론』(1349년~1351년)이 있으며, 이 외에도 다수의 시와 산문 작품을 남겼다. 말년에는 건강 악화와 개인적인 시련 속에서도 고전 연구와 저술 활동에 매진했으며, 특히 단테 연구에 힘썼다. 1374년 페트라르카의 죽음에 큰 충격을 받았고, 이듬해 고향 체르탈도에서 생을 마감했다. 그는 페트라르카와 더불어 리나시멘토(르네상스)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20]

2. 1. 초기 생애 (1313년 ~ 1330년)

안드레아 델 카스타뇨(Andrea del Castagno)의 초상화, 1450년경


보카치오의 정확한 출생지는 불확실하며, 피렌체 혹은 그의 가족이 살던 체르탈도 근처 마을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4][5] 일각에서는 파리 출생설도 제기된다. 그는 피렌체 상인이자 환전상이었던 보카치노 디 첼리노(Boccaccino di Chellino)의 아들이었다. 어머니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이름 없는 프랑스인 여성이라는 설이 있으며, 보카치오는 사생아였을 가능성이 높다. 아버지는 곧 그를 인정한 것으로 보인다.[6]

보카치오는 피렌체에서 성장하며 아버지의 사업을 익히는 한편 초보적인 교육을 받았다. 그의 아버지는 바르디 상회(Compagnia dei Bardi)에서 일했으며, 1320년대에 부유한 가문 출신인 마르게리타 데이 마르돌리(Margherita de' Mardoli)와 결혼하여 그녀가 보카치오의 계모가 되었다.[6] 가정교사였던 조반니 마주올리(Giovanni Mazzuoli)를 통해 일찍부터 단테의 작품을 접했을 가능성이 있다.

1326년, 아버지가 은행장으로 임명되면서 가족과 함께 나폴리로 이주했다. 14세 무렵(1327년경)부터 보카치오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은행에서 견습생으로 일하며 장사를 배웠으나, 이 일을 매우 싫어하여 훗날 "그 6년간은 시간 낭비 외에 얻은 바가 없었다"고 회고했다. 그는 아버지를 설득하여 법학 공부를 허락받았고, 1330년경부터 나폴리 대학교의 전신인 ''스투디움''에서 6년간 교회법을 공부했다.[7] 그러나 법학 공부 역시 큰 흥미를 느끼지 못했으며, 오히려 이 시기부터 문학에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2. 2. 나폴리 시절 (1330년 ~ 1340년)

14세 때 상인인 아버지를 따라 장사를 배우기 위해 나폴리로 보내졌다. 보카치오 본인은 나폴리에서의 첫 6년을 "시간 낭비 외에 얻은 바가 없었다"고 회고했다. 이후 6년 동안 법학을 공부했지만 큰 흥미를 느끼지는 못했다.

오히려 그는 문학에 깊은 매력을 느끼고 열정적으로 독학에 몰두했다. 당시 나폴리는 문예 부흥의 열기가 뜨거운 곳이었고, 보카치오는 활발한 사교 모임에 참여하고 여러 친구들을 사귀었다. 특히 인문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고전 문학에 눈을 뜨게 되었다. 이 시기 경험한 한 여성과의 열렬한 사랑은 그의 초기 문학 작품 창작에 중요한 영감을 주었다.

나폴리에서 보카치오는 시(詩)를 자신의 진정한 소명으로 여기고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이 시기에 창작된 주요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8]

  • ''필로스트라토'' (Il Filostrato|일 필로스트라토ita)
  • ''테세이다'' (Teseida|테세이다ita): 이 두 작품은 후일 제프리 초서(Geoffrey Chaucer)의 ''트로일러스와 크리세이드''(Troilus and Criseyde)와 ''기사 이야기''(The Knight's Tale)의 원전이 되었다.
  • ''필로콜로'' (Il Filocolo|일 필로콜로ita): 기존 프랑스 연애 소설을 산문 형식으로 각색한 작품이다.
  • ''다이아나의 사냥'' (La caccia di Diana|라 카차 디 디아나ita): 나폴리 여성들을 테르차 리마(terza rima) 형식으로 노래한 시이다.


이 시기 보카치오는 시칠리아 8행시(Sicilian octave)를 도입하는 등 형식적인 면에서도 상당한 혁신을 이루었다. 이는 페트라르카에게도 영향을 준 것으로 추정된다.[8]

보카치오는 앙주 왕가와 피렌체 사이의 정치적 긴장이 고조되자 1341년 초, 나폴리를 떠나 피렌체로 돌아왔다.[8]

2. 3. 피렌체 귀환과 작품 활동 (1341년 ~ 1350년)

1341년 초, 보카치오는 나폴리의 앙주 왕과 피렌체 사이의 긴장 관계로 인해 피렌체로 돌아왔다.[8] 그는 1338년 파산하여 피렌체로 돌아온 아버지와 합류했지만, 어머니는 그 직후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 피렌체 생활에 불만을 느꼈음에도 그는 작품 활동을 계속하여, 1341년 산문과 시가 혼합된 『피렌체 님프의 희극』(Comedia delle ninfe fiorentineita) 또는 『아메토』(Ametoita)를 발표했다. 이듬해인 1342년에는 50편의 칸토(canto)로 이루어진 우의시 『사랑스러운 비전』(Amorosa visioneita)을 완성했고, 1343년에는 『피아메타의 애가』(Elegia di Madonna Fiammettaita)[9]를 썼다. 목가적인 작품인 "닌팔레 피에솔라노"(Ninfale fiesolanoita) 역시 이 시기에 쓰인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1343년 그의 아버지는 비체 델 보스티키(Bice del Bostichi)와 재혼했고, 1344년 이복동생 이아코포(Iacopo)가 태어났다.

흑사병을 피하는 보카치오와 다른 사람들; 데카메론(Decamerone)의 프랑스어판(1485년경) 삽화


1347년부터 보카치오는 새로운 후원을 찾아 라벤나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1348년, 피렌체는 흑사병(Black Death)의 대유행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 이 재앙은 훗날 『데카메론』에 생생하게 묘사되었으며, 도시 인구의 약 4분의 3이 사망하는 결과를 낳았다. 보카치오 자신이 당시 흑사병으로 황폐해진 피렌체에 있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8] 그의 계모는 이 전염병으로 사망했으며, 도시의 식량 공급 책임자였던 그의 아버지 역시 정부의 방역 노력에 깊이 관여했다. 같은 해 피렌체에서는 발터 6세 드 브리엔 백작이 축출되고 노동자 중심의 "소시민"(popolo minutoita) 정부가 들어섰는데, 이는 귀족과 부유 상인 계급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고 피렌체의 상대적 쇠퇴에 영향을 미쳤다.

1349년,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보카치오는 가족의 가장으로서 더 큰 책임을 져야 했다. 그는 이 무렵 『데카메론』(Decameronita)[10][11] 집필을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작품 속 많은 이야기의 골격은 그의 초기 경력에서 비롯되었을 수 있지만, 100개의 이야기와 세 명의 남성과 일곱 명의 여성으로 구성된 즐거운 모임(lieta brigataita)이라는 틀 구조는 이 시기에 만들어졌다.

1350년부터 보카치오는 이탈리아 인문주의 운동과 피렌체 정부 활동에 깊이 관여하기 시작했다. 그의 첫 공식 임무는 1350년 말 로마냐 지역으로 파견된 것이었다. 그는 또한 그리스어 연구를 장려하고 호메로스, 에우리피데스, 아리스토텔레스 작품 번역을 지원했으며, 이 시기에 하급 성직(minor orders)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12]

특히 1350년 10월, 그는 페트라르카가 피렌체를 방문했을 때 그를 맞이하고 자신의 집으로 초대하는 영광을 누렸다. 이 만남은 매우 생산적이었으며, 이후 두 사람은 평생의 친구가 되었다. 보카치오는 페트라르카를 자신의 스승이자 마에스트로(magisterlat)로 존경했으며, 페트라르카의 격려로 고전 그리스어라틴어 문학 연구에 더욱 매진하게 되었다.[13] 이 시기는 보카치오가 문학가로서뿐만 아니라 공직자로서도 활동 영역을 넓히기 시작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2. 4. 페트라르카와의 교류와 말년 (1350년 ~ 1375년)

1350년은 보카치오에게 중요한 전환점이 된 해였다. 그는 피렌체 정부의 일에 깊이 관여하기 시작하여 첫 공식 임무로 로마냐에 파견되었고, 이후 브란덴부르크, 밀라노, 아비뇽 등지로 사절 임무를 수행했다.[12] 이 시기 그는 그리스어 연구를 장려하여 바르람 칼라브리아를 초빙하고 호메로스, 에우리피데스, 아리스토텔레스 작품 번역을 지원했으며, 하급 성직(minor orders)을 받기도 했다.[12]

같은 해 10월, 보카치오는 오랫동안 만나기를 염원했던 페트라르카피렌체에서 맞이하는 기쁨을 누렸다. 자신의 집에 페트라르카를 초대하여 머물게 했고, 이 만남은 두 사람 사이에 평생 지속될 깊은 우정의 시작이 되었다. 보카치오는 페트라르카를 스승이자 마에스트로(magister)로 존경했으며, 페트라르카는 보카치오에게 고전 그리스어와 라틴어 문학 연구에 매진할 것을 격려했다. 1351년 파두아에서 다시 만났을 때, 보카치오는 페트라르카에게 피렌체 대학교 교수직을 제안했으나 성사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이때 나눈 대화는 보카치오가 『이교 신들의 계보』(Genealogia deorum gentilium)를 집필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1360년에 초판이 완성된 이 저작은 이후 4세기 이상 고전 신화 연구의 핵심 참고 자료로 자리 잡았으며, 고대 문학과 사상의 가치를 옹호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보카치오는 고전 문물이 기독교 신앙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일부 성직자들의 우려에 맞서, 고대로부터 배울 것이 많다는 점을 강조하며 고전 연구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이는 르네상스 정신의 확립에 필수적인 역할을 했다.[13] 페트라르카와의 교류는 보카치오의 문학관 형성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일부 연구자들은 페트라르카의 영향으로 보카치오의 문학 스타일이 『데카메론』의 개방적 인본주의에서 벗어나 다소 금욕적인 방향으로 변화했다고 분석하기도 한다.

보카치오는 1349년경부터 집필하기 시작한 『데카메론』(The Decameron)을 1352년까지 대부분 완성했다.[10][11] 이는 그의 마지막 주요 문학 작품이자 토스카나 방언으로 쓰인 마지막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그는 1370년에서 1371년 사이에 『데카메론』을 수정하고 개작했으며, 이 원고는 현재까지 보존되어 있다. 이 시기 다른 중요한 작품으로는 1355년 또는 1365년에 쓰인 『코르바치오』(Corbaccio)가 있다.

1359년 교황 인노켄티우스 6세 및 페트라르카와의 만남 이후, 보카치오가 일종의 종교적 지위를 얻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1362년에는 한 점쟁이가 예언한 죽음의 날짜를 믿고 충격을 받아 은둔하며 고전 연구를 포기하려 했으나, 페트라르카의 강력한 권유로 마음을 돌려 연구를 계속했다. 이 무렵 보카치오가 『데카메론』 등 자신의 초기 작품들을 세속적이라며 부정했다는 설이 있으나, 명확한 근거는 부족하다.

1374년 보카치오가 쓴 106명의 유명한 여성의 전기를 담은 책 『명성 있는 여성들』(De Claris Mulieribus)에 나오는 키르케(Circe)의 그림 – 1541년 독일어 번역본에서 발췌


1360년부터는 106명의 유명한 여성들의 전기를 담은 『명성 있는 여성들』(De mulieribus claris) 집필을 시작하여 1374년에 완성했다. 또한 1355년부터 1374년까지 도덕적 교훈을 담은 인물 전기 모음집 『저명한 남성들의 흥망』(De casibus virorum illustrium)을 저술했다.[14]

1361년 피렌체에서 발생한 쿠데타 시도와 그에 따른 숙청으로 보카치오의 가까운 친구들과 지인들이 처형되거나 추방당하는 비극을 겪었다. 이 사건에 직접 연루되지는 않았지만, 보카치오는 피렌체를 떠나 체르탈도에 머물며 공적인 활동에서 거리를 두었다.

1365년에 이르러서야 피렌체 정부를 위한 활동을 재개하여, 교황 우르바누스 5세에게 사절로 파견되었다. 1367년 교황청이 아비뇽에서 로마로 복귀하자 다시 우르바누스 5세에게 축하 사절로 파견되었으며, 베네치아나폴리에도 외교 임무를 띠고 다녀왔다. 이 기간 중 베네치아에서 페트라르카와 재회하기도 했으며, 1368년 파두아에서 그와 마지막 만남을 가졌다.

말년의 주요 저작으로는 고전 문학에 등장하는 지명들을 정리한 사전 형태의 『산, 숲, 샘, 호수, 강, 늪, 바다의 이름에 관한 책』(De montibus, silvis, fontibus, lacubus, fluminibus, stagnis seu paludibus, et de nominibus maris liber)이 있다. 1373년에는 피렌체의 산토 스테파노 교회에서 단테에 관한 공개 강연을 시작했으며, 이는 그의 마지막 대작인 상세한 주해서 『단테의 코메디아에 대한 해설』(Esposizioni sopra la Commedia di Dante) 집필로 이어졌다.[15] 보카치오는 페트라르카와 함께 초기 르네상스 시대 고고학 분야에서 가장 뛰어난 학식가 중 한 명으로 인정받는다.[16]

1374년 7월 19일 페트라르카의 사망 소식은 보카치오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었다. 그는 깊은 슬픔 속에서 친구를 추모하는 시를 써 자신의 시집 『리메』(Rime)에 수록했으며, 이 일로 인해 전년부터 진행하던 단테 강연마저 중단하게 되었다.

노령과 가난, 그리고 비만과 심한 부종(오늘날의 울혈성 심부전으로 추정됨)과 같은 질병으로 고통받던 보카치오는 나폴리피렌체에서의 삶에 점차 흥미를 잃고 고향 체르탈도에 은거하며 고전 연구에 몰두했다. 결국 1375년 12월 21일, 체르탈도에서 세상을 떠났으며 그곳에 안장되었다. 그의 사후, 소장했던 모든 장서는 피렌체의 산토 스피리토 수도원에 기증되어 오늘날까지 보존되고 있다.[17]

3. 작품

''Genealogia deorum gentilium'', 1532


조반니 보카치오의 작품은 그 수가 많으며, 다양한 형식을 갖춘 서정시는 주로 사랑을 주제로 다루고 있다. 이는 단테페트라르카의 영향을 뚜렷하게 보여준다. 또한, 당시 유행했던 로맨스 문학의 범주에 속하는 작품들도 다수 집필했다. 이 작품들은 연애의 다양한 중세적 모습을 묘사하면서도, 소재는 고전 신화, 전설, 문학 등에서 가져왔다. 그러나 작품의 핵심에는 작가 자신의 경험과 감상이 녹아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데카메론》이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18]

3. 1. 초기 작품



보카치오의 초기 작품들은 다양한 형식을 갖춘 서정시와 로맨스 문학의 범주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주로 사랑을 주제로 다루었으며, 단테페트라르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소재는 고전 신화, 전설, 문학 등에서 가져왔지만, 그 중심에는 작가 자신의 경험과 감상이 녹아 있었다. 연애의 다양한 모습을 중세의 배경 속에서 그려냈다.

보카치오의 주요 초기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카치아 디 디아나'' (Caccia di Diana, 1334~1337년)
  • ''필로스트라토'' (Filostrato, 1335년 또는 1340년): 트로이의 왕자와 적국 그리스 여성 그리세이다 사이의 비극적인 사랑을 그린 9장의 연애시이다.
  • ''필로콜로'' (Filocolo, 1336~1339년): 나폴리에서 쓴 첫 작품으로, 로마 전설에서 소재를 가져왔다. 프로리오와 비안코피오레의 사랑과 모험을 다룬 산문 이야기이다.
  • ''테세이데'' (Teseide delle nozze di Emilia, 1341년 이전): 그리스 전설을 바탕으로 한 12장의 장시이다. 아마존 여왕의 동생 에밀리아를 둘러싼 두 청년 알치테와 파레모네의 사랑 싸움을 묘사하고 있다.
  • ''닌팔레 다메토'' (Ninfale d'Ameto 또는 Comedia delle ninfe fiorentine, 1341~1342년): 한 목동이 요정을 향한 순수한 사랑을 그린 이야기로, 산문을 섞어 쓴 독특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 ''아모로사 비시오네'' (Amorosa visione, 1342년): 50장으로 이루어진 비유적이고 교훈적인 장시이다. 주인공이 환영 속에서 학문, 영광, 부, 사랑으로 유명했던 고금의 인물들과 운명의 희생자들을 목격하며 깨달음을 얻고, 결국 선(善)을 추구하여 낙원에서 피암메타를 만나 축복을 받는다는 내용이다.
  • ''피암메타'' (Elegia di Madonna Fiammetta, 1343~1344년): 사랑하는 남자 판필로에게 배신당한 여성 피암메타가 겪는 괴로움을 그린 산문 작품이다. 섬세한 심리 묘사가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 ''닌팔레 피에솔라노'' (Ninfale fiesolano, 1344~1346년 이내, 연도 논란 있음): 젊은 목동 아프리코와 요정 멘솔라의 사랑 이야기이다. 신의 계율 때문에 이들의 사랑이 비극으로 끝나고, 결국 두 사람은 아르노 강에 몸을 던진다는 내용의 목가(牧歌)로, 신화에서 소재를 가져왔다.
  • ''데 카나리아'' (De Canaria, 1341~1345년 이내)[18]
  • ''데카메론'' (Decameron, 1348~1353년 작성, 1370~1371년 개정): 그리스어로 '10일'이라는 뜻을 가진 보카치오의 대표작이다.


이 외에도 후기 작품으로 ''부콜리쿰 카르멘'' (Bucolicum carmen, 1367~1369년), ''코르바치오'' (Corbaccio, 1365년경), ''데 카수부스 비로룸 일루스트리움'' (De casibus virorum illustrium, 1360년경 작성, 1373년 초까지 개정), ''데 뮬리에리부스 클라리스'' (De mulieribus claris, 1361년 작성, 1375년까지 개정), ''에스포시치오니 소프라 라 코메디아 디 단테'' (Esposizioni sopra la Comedia di Dante, 1373~1374년), ''게네알로기아 데오룸 겐틸리움 리브리'' (Genealogia deorum gentilium libri, 1360년 작성, 1374년까지 개정), ''리메'' (Rime, 1374년 완성), ''트라타텔로 인 라우데 디 단테'' (Trattatello in laude di Dante, 1357년 작성), ''지발도네 말리아베키아노'' (Zibaldone Magliabechiano, 1351~1356년 이내) 등이 있다.[18]

3. 2. 《데카메론》 (1348년 ~ 1353년)

데카메론(Decameron)은 그리스어로 '10일'을 의미하며, 보카치오의 대표적인 걸작으로 꼽힌다.[18]

3. 3. 후기 작품



보카치오의 작품은 그 수가 많으며, 다양한 시 형식을 갖춘 서정시는 주로 사랑을 주제로 다루고 있다. 이는 단테페트라르카의 영향을 뚜렷하게 받았다. 또한, 당시 유행했던 로맨스 문학의 범주에 속하는 작품들도 다수 집필했다. 이 작품들은 연애의 다양한 중세적 모습을 묘사하면서도, 소재는 고전 신화, 전설, 문학 등에서 가져왔다. 그러나 작품의 핵심에는 작가 자신의 경험과 감상이 녹아 있다.

아래는 보카치오의 주요 작품 목록이다.

작품명원제 및 다른 이름창작 연도설명
필로콜로Filocolo1336년 ~ 1339년로마 전설에서 취재한 나폴리 시대 최초의 작품. 프로리오와 비안코피오레의 사랑을 주제로 한 모험 이야기로 산문 형식이다.
필로스트라토Filostrato1335년 또는 1340년트로이 왕자와 적측의 그리스 처녀 그리세이다 사이의 비련을 그린 9장의 연애시이다.
테세이데Teseide delle nozze di Emilia (테세오의 노래)1341년 이전그리스 전설에서 소재를 얻어 쓴 12장의 장시. 아마존 여왕의 동생 에밀리아에 대한 사랑 때문에 일어나는 알치테, 파레모네 두 청년 간의 사랑 싸움을 묘사했다.
코메디아 델레 님페 피오렌티네Comedia delle ninfe fiorentine (닌팔레 다메토, Ninfale d'Ameto; 아메토 요정의 희곡)1341년 ~ 1342년한 목동의 요정(妖精)에 대한 순정을 그린 이야기. 산문을 한데 엮어놓은 형식을 취하고 있다.
아모로사 비시오네Amorosa visione (사랑의 환영)1342년비유와 교훈을 담은 장시 50장. 환영에 이끌려 넓은 광장에 이르고 거기서 학문·영광·부유·연애로 고명한 고금의 사람들과 운명의 희생이 된 사람들의 명화상을 보고 깨닫고, 좁은 문으로 찾아들어 선덕(善德)을 구하며 낙원에 이르러 피암메타를 만나 무한의 축복을 얻는다는 내용이다.
피암메타Elegia di Madonna Fiammetta1343년 ~ 1344년깊이 사랑하는 남자 판피로에게 배신당하여 괴로운 나머지 죽음까지도 택하려 하는 여성의 심리를 묘사한 산문 50장. 심리 해부의 명작으로 평가받는다.
닌팔레 피에솔라노Ninfale fiesolano (페조레의 요정)1344년 ~ 1346년 이내 (논란 있음)젊은 목동과 요정의 깊은 사랑이 신의 계율로 막혀 이뤄지지 못하자 둘은 아르노 강에 투신해 죽는다는 비련의 목가로서 신화에서 취재한 것이다.
데카메론Decameron1349년 ~ 1352년 (1370년 ~ 1371년 개정)그리스어10일이란 뜻으로 보카치오의 걸작이다.
부콜리쿰 카르멘Bucolicum carmen1367년 ~ 1369년
카치아 디 디아나Caccia di Diana1334년 ~ 1337년
코르바치오Corbaccio1365년경 (논란 있음)
데 카나리아De Canaria1341년 ~ 1345년 이내
데 카수부스 비로룸 일루스트리움De casibus virorum illustrium1360년경 (1373년 초까지 개정)
데 뮬리에리부스 클라리스De mulieribus claris1361년 (1375년까지 개정)
에스포시치오니 소프라 라 코메디아 디 단테Esposizioni sopra la Comedia di Dante1373년 ~ 1374년
게네알로기아 데오룸 겐틸리움 리브리Genealogia deorum gentilium libri1360년 (1374년까지 개정)
리메Rime1374년 완성
트라타텔로 인 라우데 디 단테Trattatello in laude di Dante1357년 (개정됨)
지발도네 말리아베키아노Zibaldone Magliabechiano1351년 ~ 1356년 이내



더 자세한 작품 목록은 콘솔리의 서지 목록을 참조할 수 있다.[18]

참조

[1] 서적 An excerpt from an Italian language grammar in German 1844
[2] 논문 Source or Hard Analogue? 'Decameron X, 10' and the 'Clerk's Tale' 2003
[3] 서적 Italy's three crowns: reading Dante, Petrarch and Boccaccio https://www.worldcat[...] Bodleian Library 2007
[4] 서적 The elegy of Lady Fiammetta
[5] 서적 Renaissance and Reformation
[6] 서적 The Concept of Woman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1997
[7] 백과사전 Boccaccio, Giovanni Standard Educational Corporation 1992
[8] 웹사이트 Complete list of Boccaccio works at Decameron http://www.brown.edu[...] 2014-10-05
[9] 웹사이트 Boccaccio, Giovanni La Fiammetta (1342), Project Gutenberg https://www.gutenber[...] 2003-11-01
[10] 웹사이트 Boccaccio, Giovanni The Decameron, Volume I, Project Gutenberg https://www.gutenber[...] 2003-02-01
[11] 웹사이트 Boccaccio, Giovanni The Decameron, Volume II, Project Gutenberg https://www.gutenber[...] 2004-08-03
[12]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medieval literature – Boccaccio, Giovanni http://medieval_lite[...] 2013-12-04
[13] 서적 The Renaissance in Europe Laurence King Publishing 2003
[14] 웹사이트 The chronological archives of his complete works http://digilander.li[...] Digilander.libero.it 2010-02-17
[15] 웹사이트 IntraText Digital Library: Author Card: Giovanni Boccaccio http://www.intratext[...] 2022-01-12
[16] 논문 Boccaccio's Archaeological Knowledge https://www.jstor.or[...] 1937
[17] 웹사이트 Library of Liberty http://oll.libertyfu[...] Oll.libertyfund.org 2010-02-17
[18] 서적 Giovanni Boccaccio: an Annotated Bibliography Garland 1992
[19] 웹사이트 『神曲』図解 Dante La Divina Commedia http://commedia.jako[...]
[20] 서적 ペトラルカ=ボッカッチョ往復書簡 岩波文庫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