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음음성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음음성학은 인간의 발성 기관과 발성 과정을 연구하는 음성학의 한 분야이다. 이 학문은 생리학적 구조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음성이 생성되는 원리를 탐구하며, 공기역학적 에너지의 음향 에너지 변환, 조음 위치 및 방법, 음성 표기, 음성 규칙 등을 연구한다. 조음음성학은 발성 기관과 음성 생성의 원리를 밝히고, 발성된 음성을 기술하는 음성 표기, 특정 언어 현상의 규칙화 연구를 포함한다. 조음음성학의 연구에는 공기 통로의 구성 요소, 자음과 모음의 조음 위치 및 방법, 기류 메커니즘, 소리원 등이 포함되며, 19세기 말부터 실험적 기법을 통해 과학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실험 기법으로는 구개음도, 전기구개음도, 체적 기록법, MRI 등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조음음성학 | |
---|---|
개요 | |
분야 | 음성학, 언어학 |
연구 대상 | 사람이 소리를 내는 방법, 조음 기관의 움직임, 조음 방법 등 |
관련 학문 | 청각 음성학, 음향 음성학, 언어 병리학 |
조음 기관 | |
주요 조음 기관 | 폐 기관 후두 인두 입 코 |
하위 기관 | 혀 입술 이 턱 입천장 (경구개, 연구개, 목젖) |
조음 방법 | |
주요 조음 방법 | 폐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 성대의 진동 여부 조절 입, 코 등의 조음 기관을 사용하여 소리 형성 |
세부 조음 방법 |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비음 유음 반모음 |
추가 정보 | |
설명 | 사람의 발성 기관을 통해 만들어지는 소리를 연구하는 학문 |
2. 연구 내용
조음음성학은 인간의 발성 기관과 발성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8]。
또한, 발성 기관과 발성 과정의 연구를 바탕으로 발성된 음성을 기술하는 음성 표기의 문제를 고찰한다[8]。
발성된 음성을 기술할 때, 음성에 나타나는 언어 현상에는 특정 패턴이 존재할 수 있으며[8], 이러한 패턴을 규칙화하여 기술한다. 예를 들어, "모음에 끼인 /t/는 일본어의 라행 자음처럼 발음한다"라는 음성 현상은 "탄음화"라는 규칙으로 설명된다.
2. 1. 발성 기관과 음성 생성
인간은 다양한 생리학적 구조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음성을 생성하며, 이는 공기역학 에너지에서 음향 에너지로의 변환과 관련이 있다. 공기역학적 에너지란 성도를 통과하는 기류를 말한다. 그 잠재적 형태는 기압이며, 운동 형태는 실제 동적 기류이다. 음향 에너지는 음파로 나타낼 수 있는 기압의 변화이며, 음파는 인간의 청각계에 의해 소리로 인식된다.[8]소리는 폐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것만으로 생성되지만, 말하기를 가능하게 하는 음질을 바꾸기 위해서는 보통 두 개의 음성 기관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접촉함으로써 특정 방식으로 공기를 형성하는 장애물을 만들어야 한다. 가장 큰 장애물의 지점을 조음 위치라고 하며, 장애물이 형성되고 해제되는 방법이 조음 방법이다. 예를 들어, [p]음을 낼 때 입술이 굳게 모이고 순간적으로 공기가 차단되어 기압이 상승한다. 그 후, 입술이 갑자기 해제되어 소리가 폭발한다. 따라서 이 소리의 조음 위치는 양순(양순음), 조음 방법은 파열(파열음)이다. 또한 무성음이므로, [p]음은 무성 양순 파열음이라고 한다.[8]
2. 2.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
인간은 다양한 생리학적 구조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음성을 생성하며, 이는 공기역학 에너지에서 음향 에너지로의 변환과 관련이 있다. 공기역학적 에너지는 성도를 통과하는 기류를 말하며, 잠재적 형태는 기압이고 운동 형태는 실제 동적 기류이다. 음향 에너지는 음파로 나타낼 수 있는 기압의 변화이며, 음파는 인간의 청각계에 의해 소리로 인식된다.소리는 폐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것만으로 생성되지만, 말하기를 가능하게 하는 음질을 바꾸기 위해서는 보통 두 개의 음성 기관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접촉함으로써 특정 방식으로 공기를 형성하는 장애물을 만들어야 한다. 가장 큰 장애물의 지점을 조음 위치라고 하며, 장애물이 형성되고 해제되는 방법이 조음 방법이다. 예를 들어, [p]음을 낼 때 입술이 굳게 모이고 순간적으로 공기가 차단되어 기압이 상승한다. 그 후, 입술이 갑자기 해제되어 소리가 폭발한다. 따라서 이 소리의 조음 위치는 양순(양순음), 조음 방법은 파열(파열음)이다. 또한 무성음이므로, [p]음은 무성 양순 파열음이라고 한다.[8]
2. 3. 음성 표기
인간이 발성 기관을 통해 음성을 생성하고, 이를 기술하기 위한 음성 표기 방법은 조음음성학에서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8]。 음성 표기는 발음 기호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조음음성학뿐만 아니라 음성학 전반에서도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진다[8]。발성된 음성을 기술할 때, 특정 패턴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8]。 예를 들어, 영어 단어 'water'([wɑ:tər])의 /t/처럼 모음 사이에 오는 /t/는 일본어의 라행 자음과 비슷하게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모든 /t/ 소리가 라행 자음처럼 발음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러한 /t/를 일반적인 /t/와 동일하게 취급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특정 패턴을 규칙화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모음 사이에 오는 /t/는 일본어의 라행 자음처럼 발음한다"는 현상은 "탄음화"라는 규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
2. 4. 음성 규칙
음성으로 나타나는 언어 현상에는 특정 패턴이 존재할 수 있다[8]。 예를 들어, 영어 단어 'water'[wɑ:tər]의 /t/와 같이 모음 사이에 있는 /t/는 일본어의 ラ행 자음처럼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모든 /t/ 소리를 일본어의 ラ행 자음처럼 발음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 /t/를 보통의 /t/와 똑같이 취급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따라서, 그러한 특정 패턴을 규칙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모음에 끼인 /t/는 일본어의 ラ행 자음처럼 발음한다"라는 음성의 언어 현상은 "탄음화"라는 규칙으로 대체되어 기술된다.
3. 구성 요소
조음음성학에서 소리를 내기 위한 구성 요소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 공기 공동
- 피스톤
- 공기 밸브
이 구성 요소들은 공기역학적-생체역학 모델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공기 공동은 특정 부피와 질량을 가진 공기 분자들이 들어 있는 공간이다. 조음 기관에는 성문상강과 성문하강이 있으며, 이들은 후두 내 성대 사이의 성문을 기준으로 나뉜다. 성문상강은 다시 구강 하위강과 비강 하위강으로 나뉜다. 성문하강은 기관과 폐로 구성된다.
피스톤은 공기 공동의 부피를 변화시켜 공기 압력을 바꾸는 역할을 하는 개시자이다. 조음 기관에는 후두, 혀 몸통, 폐 부피를 조절하는 구조(특히 가슴 바닥과 벽)가 있다. 폐 피스톤은 폐쇄음 기류를, 후두는 성문음 기류를, 혀 몸통은 연구개 기류를 생성한다.
공기 밸브는 공동 사이의 기류를 조절한다. 공기 밸브가 열리고 연결된 공동 사이에 압력 차이가 있을 때 기류가 발생한다. 성대(성문), 연구개인두 통로, 혀, 입술 등이 공기 밸브 역할을 한다.
3. 1. 공기 통로
성도의 공기 통로는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공기역학적-생체역학 모델을 통해 볼 수 있다.# 공기 공동
# 피스톤
# 공기 밸브
공기 공동은 특정 부피와 질량의 공기 분자의 용기이다. 조음계에 존재하는 주요 공기 공동은 성문상강과 성문하강이다. 이들은 후두 내부의 성대 사이의 열린 공간인 성문이 두 공동을 분리하기 때문에 그렇게 명명되었다. 성문상강 또는 구비강은 구강 하위강(성문에서 입술까지의 공동, 비강 제외)과 비강 하위강(연구개인두 통로에서 시작하는 공동, 연구개를 들어올려 닫을 수 있음)으로 나뉜다. 성문하강은 기관과 폐로 구성된다. 조음 줄기에 외부의 대기도 공기 공동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신체와 관련하여 잠재적인 연결 지점은 콧구멍과 입술이다.
피스톤은 개시자이다. "개시자"라는 용어는 피스톤이 공기 공동의 부피 변화를 시작하는 데 사용된다는 사실을 나타내며, 보일의 법칙에 따라 해당 공동의 공기 압력이 변화한다. "개시"라는 용어는 이러한 변화를 나타낸다. 연결된 공동 사이의 공기 압력 변화는 공동 간의 기류로 이어지기 때문에, 개시는 또한 "기류 기작"이라고도 한다. 조음계에 존재하는 세 개의 피스톤은 후두, 혀 몸통, 폐 부피를 조작하는 데 사용되는 생리학적 구조(특히, 가슴의 바닥과 벽)이다. 폐 피스톤은 폐쇄음 기류(모든 인간 언어에서 발견됨)를 시작하는 데 사용된다. 후두는 후두의 수직 운동(닫힌 성문)을 통해 성문상강과 성문하강의 부피를 변경하여 성문음 기류 기작을 시작하는 데 사용된다. 파열음과 내파음은 이 기류 기작으로 만들어진다. 혀 몸통은 구강 내 압력을 변경하여 연구개 기류를 생성한다. 혀 몸통은 구강 하위강을 변경한다. 클릭 자음은 연구개 기류 기작을 사용한다. 피스톤은 다양한 근육에 의해 제어된다.
밸브는 공동 사이의 기류를 조절한다. 기류는 공기 밸브가 열려 있고 연결된 공동 사이에 압력 차이가 있을 때 발생한다. 공기 밸브가 닫히면 기류가 없다. 공기 밸브는 성문상강과 성문하강 사이를 조절하는 성대(성문), 구강과 비강 사이를 조절하는 연구개인두 통로, 구강과 대기 사이를 조절하는 혀, 그리고 구강과 대기 사이를 조절하는 입술이다. 피스톤과 마찬가지로 공기 밸브도 다양한 근육에 의해 제어된다.
3. 2. 소리 생성 (Initiation)
성도의 공기 통로는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공기역학적-생체역학 모델을 통해 볼 수 있다.# 공기 공동
# 피스톤
# 공기 밸브
공기 공동은 특정 부피와 질량의 공기 분자의 용기이다. 조음계에 존재하는 주요 공기 공동은 성문상강과 성문하강이다. 이들은 후두 내부의 성대 사이의 열린 공간인 성문이 두 공동을 분리하기 때문에 그렇게 명명되었다. 성문상강 또는 구비강은 구강 하위강(성문에서 입술까지의 공동, 비강 제외)과 비강 하위강(연구개인두 통로에서 시작하는 공동, 연구개를 들어 올려 닫을 수 있음)으로 나뉜다. 성문하강은 기관과 폐로 구성된다. 조음 줄기에 외부의 대기도 공기 공동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신체와 관련하여 잠재적인 연결 지점은 콧구멍과 입술이다.
피스톤은 개시자이다. "개시자"라는 용어는 피스톤이 공기 공동의 부피 변화를 시작하는 데 사용된다는 사실을 나타내며, 보일의 법칙에 따라 해당 공동의 공기 압력이 변화한다. "개시"라는 용어는 이러한 변화를 나타낸다. 연결된 공동 사이의 공기 압력 변화는 공동 간의 기류로 이어지기 때문에, 개시는 또한 "기류 기작"이라고도 한다. 조음계에 존재하는 세 개의 피스톤은 후두, 혀 몸통, 폐 부피를 조작하는 데 사용되는 생리학적 구조(특히, 가슴의 바닥과 벽)이다. 폐 피스톤은 폐쇄음 기류(모든 인간 언어에서 발견됨)를 시작하는 데 사용된다. 후두는 후두의 수직 운동(닫힌 성문)을 통해 성문상강과 성문하강의 부피를 변경하여 성문음 기류 기작을 시작하는 데 사용된다. 파열음과 내파음은 이 기류 기작으로 만들어진다. 혀 몸통은 구강 내 압력을 변경하여 연구개 기류를 생성한다. 혀 몸통은 구강 하위강을 변경한다. 클릭 자음은 연구개 기류 기작을 사용한다. 피스톤은 다양한 근육에 의해 제어된다.
밸브는 공동 사이의 기류를 조절한다. 기류는 공기 밸브가 열려 있고 연결된 공동 사이에 압력 차이가 있을 때 발생한다. 공기 밸브가 닫히면 기류가 없다. 공기 밸브는 성문상강과 성문하강 사이를 조절하는 성대(성문), 구강과 비강 사이를 조절하는 연구개인두 통로, 구강과 대기 사이를 조절하는 혀, 그리고 구강과 대기 사이를 조절하는 입술이다. 피스톤과 마찬가지로 공기 밸브도 다양한 근육에 의해 제어된다.
4. 자음
자음은 성도의 완전하거나 부분적인 폐쇄를 통해 발음되는 음성이다. 일반적으로 기류 기제의 수정에 의해 생성되며, 이는 폐에서 배출된다. 기류를 생성하고 수정하는 데 사용되는 호흡 기관은 성도(후두 상부), 후두, 그리고 성대 하부 시스템의 세 영역으로 나뉜다. 기류는 폐쇄음(성도 밖으로) 또는 내파음(성도 안으로)일 수 있다. 폐쇄음에서 기류는 성대 하부 시스템의 폐에 의해 생성되어 후두와 성도를 통과한다. 성문 자음은 폐에서 기류가 흐르지 않고 후두의 움직임에 의해 생성된 기류를 사용한다. 설클릭음 자음은 혀를 사용하여 공기를 희소화한 다음, 혀의 앞쪽 폐쇄를 해제하여 발음된다.[8]
4. 1. 조음 위치
자음은 성도의 완전하거나 부분적인 폐쇄를 통해 발음되는 음성이다. 일반적으로 기류 기제의 수정에 의해 생성되며, 이는 폐에서 배출된다. 기류를 생성하고 수정하는 데 사용되는 호흡 기관은 성도(후두 상부), 후두, 그리고 성대 하부 시스템의 세 영역으로 나뉜다. 기류는 폐쇄음 (성도 밖으로) 또는 내파음 (성도 안으로)일 수 있다. 폐쇄음에서 기류는 성대 하부 시스템의 폐에 의해 생성되어 후두와 성도를 통과한다. 성문 자음은 폐에서 기류가 흐르지 않고 후두의 움직임에 의해 생성된 기류를 사용한다. 설클릭음 자음은 혀를 사용하여 공기를 희소화한 다음, 혀의 앞쪽 폐쇄를 해제하여 발음된다.자음은 일반적으로 입 안의 성도에서 발음된다. 조음 위치를 설명하려면 능동 조음 기관과 수동 조음 기관을 알아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능동 조음 기관은 입술과 혀이다. 수동 조음 기관은 제약이 발생하는 표면이다. 입술로 만들어지는 제약은 순음화라고 한다. 제약은 성도의 여러 부분에서 만들어질 수 있으며, 크게 설단음, 설배음, 설근음 조음 위치로 분류된다.[8] 이러한 구분은 모든 음성을 구별하고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않다.[8] 예를 들어, 영어에서 [s]와 [ʃ] 소리는 모두 설단음이지만, 입 안의 다른 위치에서 생성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제약이 발생하는 입 안의 영역을 기반으로 한 더 자세한 조음 위치가 필요하다.
소리는 폐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것만으로 생성되지만, 말하기를 가능하게 하는 음질을 바꾸기 위해서는 보통 두 개의 음성 기관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접촉함으로써 특정 방식으로 공기를 형성하는 장애물을 만들어야 한다. 가장 큰 장애물의 지점을 '''조음 위치'''라고 한다. 예를 들어, [p]음을 낼 때 입술이 굳게 모이고 순간적으로 공기가 차단되어 기압이 상승한다. 그 후, 입술이 갑자기 해제되어 소리가 폭발한다.
4. 1. 1. 순음
입술을 이용한 조음은 두 입술(양순음), 한쪽 입술과 이(순치음), 혀와 윗입술(설순음)의 세 가지 방식으로 만들 수 있다.[1] 사용되는 정의에 따라, 이러한 조음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순음 조음 범주로 분류될 수 있다. Ladefoged와 Maddieson(1996)은 설순 조음을 순음보다는 치경음으로 간주해야 한다고 제안하지만, 모든 조음의 분류와 마찬가지로 이 분류도 모호하고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2] 설순음은 입술을 조음 위치로 사용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이 섹션에서 순음으로 포함된다.양순 자음은 두 입술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소리를 낼 때 아랫입술이 윗입술과 만나기 위해 가장 많이 움직이며, 윗입술도 약간 아래로 움직인다.[3]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구멍(입술 사이의 열림)을 통과하는 공기의 힘 때문에 입술이 함께 닿는 것보다 더 빨리 벌어질 수 있다.[4] 다른 대부분의 조음과 달리, 두 조음체 모두 연조직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양순 파열음은 치아나 구개와 같은 단단한 표면을 포함하는 조음보다 불완전한 폐쇄로 생성될 가능성이 더 높다. 양순 파열음은 윗입술이 약간의 능동적인 아래쪽 움직임을 보이면서 성도의 상단 부분의 조음체가 능동적으로 아래로 움직인다는 점에서 특이하다.[5]
순치 자음은 아랫입술이 윗니로 올라가면서 만들어진다. 순치 자음은 가장 흔히 마찰음이며, 순치 비음도 유형학적으로 흔하다.[6] 진정한 순치 파열음이 어떤 자연어에서 발생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6] 줄루어,[7] 통가어,[8] 및 슈비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에서 순치 파열음이 존재한다고 보고된다.[6] 총가어에서 순치 파찰음이 보고되며,[9] 이는 파찰음의 파열 부분이 순치 파열음이어야 함을 의미하지만, Ladefoged와 Maddieson(1996)은 순치 파찰음이 독일어의 "pf"와 같이 양순 폐쇄를 포함할 가능성을 제기한다. 파열음과 파찰음과 달리 순치 비음은 여러 언어에서 흔히 발견된다.[6]
설순 자음은 혀의 날이 윗입술에 접근하거나 접촉하여 만들어진다. 양순 조음과 마찬가지로 윗입술은 더 활동적인 조음체 쪽으로 약간 움직인다. 이 그룹의 조음은 국제 음성 기호에 자체 기호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대신 치경 범주에 암묵적으로 배치하는 다이아크리틱과 정점 기호를 결합하여 형성된다.[2] 바누아투의 탕고아어와 같은 여러 토착 언어에 존재하지만, 초기 설명에서는 정점-순음 자음이라고 언급했다. "설순음"이라는 이름은 혀의 끝이 아닌 날을 사용하여 생성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플로이드 라운즈버리에 의해 제안되었다.[2]
4. 1. 2. 설정 자음
설정 자음은 혀의 끝이나 혀날로 만들어지며, 혀 앞부분의 민첩성 때문에 위치뿐만 아니라 혀의 자세에서도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설정 조음 위치는 혀가 닿거나 좁아지는 입 안의 영역을 나타내며, 치경음, 치조음, 후치조음을 포함한다. 혀끝을 사용하는 혀 자세는 혀끝의 윗부분을 사용하면 설단음, 혀날로 만들면 설측음, 혀끝을 뒤로 말아서 혀의 아랫부분을 사용하면 권설음이 될 수 있다. 설정 자음은 모든 조음 방법이 증명되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호주 원주민 언어는 해당 지역 언어 내에서 그리고 언어 간에 나타나는 많은 수의 설정 대조로 잘 알려져 있다.[1]
치경음은 혀의 끝이나 혀날과 윗니로 만들어진다. 혀의 어떤 부분을 사용하여 생성하는지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뉜다. 설단 치경음은 혀끝이 치아에 닿아 생성되고, 치간음은 혀날을 사용하여 혀끝이 치아 앞쪽으로 튀어나오게 생성된다. 두 가지 모두 대조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변이음으로 존재할 수 있다.[1]
치조음은 혀의 끝이나 혀날로 치아 바로 뒤의 치조제에서 만들어지며, 마찬가지로 설단 또는 설측음이 될 수 있다.[1]
언어학적으로, 치경음과 치조음은 자주 대조되며 언어학적 패턴의 여러 일반화로 이어진다. 조음 위치의 차이는 혀의 어떤 부분을 사용하여 생성하는지에서도 대조되는 경향이 있다. 치경 파열음을 가진 대부분의 언어는 설측 치경음을 가지고 있는 반면, 치조 파열음을 가진 언어는 일반적으로 설단 파열음을 가지고 있다. 언어는 설측성에서 대조를 이루는 동일한 위치에 두 개의 자음을 갖는 경우가 드물지만, 타아어(ǃXóõ)는 이러한 패턴의 반례이다. 언어가 치경 파열음 또는 치조 파열음 중 하나만 가지고 있다면, 치경 파열음인 경우 일반적으로 설측음이 되며, 치조 파열음인 경우 일반적으로 설단 파열음이 되지만, 템네어와 불가리아어는 이러한 패턴을 따르지 않는다. 언어가 설단 파열음과 설측 파열음 모두를 가지고 있다면, 설측 파열음이 이소코어에서처럼 마찰음화될 가능성이 더 높지만, 다할로어는 치조 파열음이 더 마찰음화되는 반대 패턴을 보인다.[1]
권설음은 혀의 위치 또는 입천장의 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정의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혀끝이 어느 정도 위로 말려 올라가는 조음의 그룹을 나타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권설 조음은 치조, 후치조 및 구개 영역을 포함하여 입천장의 여러 다른 위치에서 발생할 수 있다. 혀끝의 아랫면이 입천장에 닿으면 설하음이지만, 설단 후치조음도 권설음으로 묘사된다. 설하 권설 파열음의 전형적인 예는 일반적으로 드라비다어에서 발견되며, 일부 미국 원주민 언어에서는 치경 파열음과 치조 파열음의 대조적 차이가 치조 파열음의 약간의 권설화이다. 음향적으로, 권설화는 더 높은 포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1]
치조제 바로 뒤에서 일어나는 조음은 후치조음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용어로 언급되어 왔다. 설단 후치조음은 종종 권설음이라고 불리며, 설측 조음은 때때로 구개치조음이라고 불린다. 호주 언어학 문헌에서는 이러한 설측 파열음이 종종 '구개음'으로 묘사되지만, 일반적으로 구개음으로 묘사되는 구개 영역보다 더 앞에서 생성된다. 개별적인 해부학적 변형으로 인해, 구개치조 파열음(그리고 일반적으로 설정 자음)의 정확한 조음은 언어 공동체 내에서 광범위하게 달라질 수 있다.[1]
4. 1. 3. 배면 자음
배면 자음은 혀의 끝이나 혀의 날이 아닌 혀 몸통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자음을 말한다.경구개 자음은 입천장 지붕의 경구개에 혀 몸통을 대어 만든다. 연구개 자음 또는 구개수 자음과 자주 대조되지만, 세 가지 모두를 동시에 대조하는 언어는 드물며, 자카루어가 세 가지 대조의 가능한 예시이다.[1]
연구개 자음은 소엽에 혀 몸통을 대어 만든다. 거의 모든 언어는 연구개 파열음을 가지고 있을정도로 언어학적으로 매우 흔하다. 연구개음과 모음은 모두 혀 몸통을 사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모음과의 공동조음에 의해 매우 큰 영향을 받으며, 경구개 앞쪽이나 구개수 뒤쪽으로 멀리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일반적으로 모음 공간과 평행하게 전설, 중설, 후설 연구개음으로 나뉜다.[2] 음성학적으로 경구개 자음과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지만, 전형적인 경구개 자음 영역보다 약간 뒤에서 생성된다.[3]
구개수 자음은 혀 몸통이 구개수에 접촉하거나 접근하여 만들어진다. 아메리카와 아프리카의 넓은 지역에는 구개수 자음을 가진 언어가 없을 정도로 드물며, 언어의 약 19%에서 발생한다. 구개수 자음을 가진 언어에서, 파열음이 가장 흔하며 그 다음으로 지속음 (비음 포함)이 온다.[4]
4. 1. 4. 근본 자음
근본 자음은 혀의 뿌리 또는 후두개를 사용하여 발음한다.[1]인두 자음은 혀의 뿌리를 뒤로 당겨 인두 벽에 닿게 함으로써 만들어진다. 발음하기 어렵기 때문에 마찰음과 접근음만 이러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2][3]
후두개 자음은 후두개와 인두 뒷벽으로 만들어진다. 후두개 파열음은 다할로어에서 기록되었다.[3] 유성 후두개 자음은 성문과 후두개 사이의 공간이 발성을 허용하기에는 너무 작기 때문에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4]
4. 1. 5. 성문 자음
성문 자음은 후두의 성대를 사용하여 생성되는 자음이다. 성대는 발성의 근원이며 구강-비강 성도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성 성문 파열음과 같은 일부 성문 자음은 불가능하다. 무성 성문 파열음과 두 개의 성문 마찰음, 총 세 개의 성문 자음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자연어에서 나타난다.[1]성문 파열음은 성대를 닫아 생성되며, 세계 언어에서 특히 흔하게 나타난다.[2] 많은 언어에서 구 경계를 구분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우아우틀라 마사텍어와 같은 일부 언어에서는 대립적인 음소로 사용된다. 또한, 성문 파열음은 이 언어에서 뒤따르는 모음의 후두화로 실현될 수 있다.[3] 성문 파열음은 특히 모음 사이에 위치할 때 완전한 폐쇄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진정한 성문 파열음은 일반적으로 겹자음일 때만 발생한다.[4]
4. 2. 조음 방법
성도의 완전하거나 부분적인 폐쇄를 통해 발음되는 자음은 조음이 일어나는 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뉜다. 조음 방법은 능동 조음 기관이 성도를 어떻게 수정하고, 좁히거나 막는지 정확히 설명한다.- 파열음: 기류가 완전히 막히는 자음이다. 조음 과정에서 입 안에 압력이 생기고, 조음 기관이 떨어지면서 작은 소리 덩어리로 방출된다. 연구개가 올라가서 공기가 비강을 통과할 수 없게 된다. 연구개가 내려가서 공기가 코를 통해 흐르면 비음 파열음이 발생하는데, 음성학자들은 이를 보통 "비음"이라고 부른다.
- 파찰음: 동일한 위치에서 파열음 다음에 마찰음이 오는 일련의 소리이다.
- 마찰음: 기류가 성도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막아 난류를 일으키는 자음이다.
- 치찰음: 난류 기류가 치아 쪽으로 향하여 높은 쉿 소리를 내는 특별한 종류의 마찰음이다.
- 비음: 구강에 폐쇄가 있고 연구개가 내려가 공기가 코를 통해 흐르도록 하는 자음이다.
- 접근음: 조음 기관이 가까이 오지만 기류를 난류로 만들 만큼 가까워지지는 않는다.
- 설측음: 기류가 성도의 중앙을 따라 막혀 기류가 한쪽 또는 양쪽으로 자유롭게 흐르도록 하는 자음이다.
- 전동음: 혀나 입술이 기류에 의해 움직이는 자음이다. 조음은 기류가 부드러운 조음 기관의 열리고 닫히는 패턴을 반복하도록 형성된다. 설단 전동음은 일반적으로 두세 번의 진동 주기로 구성된다.
- 탄음 및 탄음: 혀가 입천장에 부딪히는 단일하고 빠르고 일반적으로 설단음 동작으로, 매우 빠른 파열음과 비슷하다. 탄음에서는 혀가 한 번의 동작으로 입천장에 닿는 반면, 탄음에서는 혀가 입천장에 접하면서 접선 방향으로 움직인다.
- 방출음: 성문 기류 메커니즘 동안 성문이 닫혀 공기 덩어리가 갇히고, 닫힌 성문의 위쪽 움직임은 이 공기를 밖으로 이동시킨다.
- 흡착음: 성문 기류 메커니즘 동안 성문이 닫혀 공기 덩어리가 갇히고, 성문이 내려가 더 많은 공기를 입으로 빨아들인다.
- 설륵음: 혀의 움직임이 입 안으로 공기를 빨아들이게 하는 파열음(구강 기류)이다. 설륵음 동안 공기는 두 조음 폐쇄 사이에서 희소화되어, 전방 폐쇄가 해제될 때 큰 '클릭' 소리를 낸다. 코이산어족 및 반투어족과 같은 여러 아프리카 언어족에서 사용된다.
5. 모음
모음은 후두와 성도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생성된다. 대부분의 모음은 유성음이다(즉, 성대가 진동한다). 몇몇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성도가 열려 있어 기류가 마찰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빠져나갈 수 있다.[1]
모음의 음질 변화는 성문, 인두, 연구개, 혀, 입술과 같은 조음 구조에 의해 생성된다.
5. 1. 조음 기관
조음음성학은 인간이 가진 발성 기관과 이를 이용하여 실행되는 발성 과정에 대한 연구를 기본으로 한다.[8] 인간은 다양한 생리학적 구조의 상호 작용을 통해 음성을 생성하며, 이는 공기역학 에너지에서 음향 에너지로의 변환과 관련이 있다. 공기역학적 에너지는 성도를 통과하는 기류를 말하며, 그 잠재적 형태는 기압, 운동 형태는 실제 동적 기류이다. 음향 에너지는 음파로 나타낼 수 있는 기압의 변화이며, 인간의 청각계에 의해 소리로 인식된다.소리는 폐에서 공기를 배출하는 것만으로 생성되지만, 말하기를 가능하게 하는 음질을 바꾸기 위해서는 보통 두 개의 음성 기관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접촉함으로써 특정 방식으로 공기를 형성하는 장애물을 만들어야 한다. 가장 큰 장애물의 지점을 조음 위치라고 하며, 장애물이 형성되고 해제되는 방법이 조음 방법이다.
성문, 인두, 연구개, 혀, 입술은 조음에 관여하는 주요 기관들이다.
5. 1. 1. 성문
모음의 음질 변화는 다음과 같은 조음 구조에 의해 생성된다. 성문은 후두에 위치한 성대 사이의 열린 공간을 말한다. 성문의 위치는 유성음과 무성음을 구별하기 위한 서로 다른 진동 패턴을 만들어낸다.[1] 또한, 모음의 음높이는 성대의 진동 주파수를 변화시켜 변경된다. 일부 언어에서는 서로 다른 발성 유형을 가진 모음 간에 대조가 존재한다.[2]5. 1. 2. 인두
모음은 후두와 성도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생성된다. 대부분의 모음은 유성음이다(즉, 성대가 진동한다). 몇몇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성도가 열려 있어 기류가 마찰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빠져나갈 수 있다.모음의 음질 변화는 다음과 같은 조음 구조에 의해 생성된다.
인두는 연구개 아래, 후두 위의 성도의 영역이다. 모음은 혀 뿌리를 인두화하거나(또한 ''후두개화'', ''괄약근화'' 또는 ''거친 소리'') 할 수 있다. 모음은 또한 혀 뿌리 전진으로 발음될 수 있다.[2] 이 모음 특징(ATR)이 모음의 긴장/이완 구분과 다른지 여부에 대한 논의가 있다.[2]
5. 1. 3. 연구개
연구개, 즉 연(軟)구개는 비강을 통한 기류를 조절한다. 비음 및 비음화된 소리는 연구개를 낮추고 공기가 코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함으로써 생성된다. 모음은 일반적으로 연구개가 올라간 상태에서 생성되어 코를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연구개를 낮춘 결과로 모음이 비음화될 수 있다. 많은 언어에서 비음화를 대조적으로 사용한다.5. 1. 4. 혀
혀는 매우 유연한 기관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움직일 수 있다. 모음 발음에서 주요 변동은 모음 높이와 후설성 및 전설성의 차원이다.[2] 덜 일반적인 모음 품질의 변동은 혀 앞부분의 모양 변화로 인해 생성될 수 있으며, 이는 설모음 또는 로타화 모음을 발생시킨다.[2]5. 1. 5. 입술
입술은 모음 발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두 가지 주요 변수가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즉, 입술 둥글기(또는 순음화)와 입술 돌출이다. 예를 들어, [p]음을 낼 때 입술이 굳게 모이고 순간적으로 공기가 차단되어 기압이 상승한다. 그 후, 입술이 갑자기 해제되어 소리가 폭발한다. 따라서 이 소리의 조음 위치는 양순(양순음), 조음 방법은 파열(파열음)이다. 또한 무성음이므로, [p]음은 무성 양순 파열음이라고 한다.6. 기류
인간은 성도를 통과하는 기류를 이용하여 음성을 생성하며, 이는 공기역학 에너지에서 음향 에너지로의 변환과 관련이 있다. 기류의 잠재적 형태는 기압이며, 운동 형태는 실제 동적 기류이다.
다음과 같은 상황을 고려할 수 있다.
1. 성대 밸브가 닫혀 성문상강 공간과 성문하강 공간이 분리된다.
2. 입이 열려 있어 성문상강 기압이 대기압과 같다.
3. 폐가 근육 수축하여 성문하강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진다.
이후 성대 밸브가 열리면, 이전에 분리되었던 두 공간은 하나로 통합되지만, 밸브 사이의 성문 밸브가 작고 제한적이므로 공동은 여전히 공기역학적으로 격리된다. 파스칼의 법칙에 따라 시스템 내 압력은 전체에서 같아야 한다. 성문하강 압력이 성문상강 압력보다 크면, 통합된 공동 내에 압력 불균형이 생긴다. 압력은 정의상 표면적에 적용되는 힘이고, 힘은 뉴턴의 운동 제2법칙에 따라 질량과 가속도의 곱이므로, 압력 불균형은 성문하강 공간의 공기 분자 질량 일부가 성문상강 공간으로 이동하면서 해결된다. 이 질량의 이동이 기류이다. 기류는 압력 평형이 이루어질 때까지 계속된다.
마찬가지로, 반사음과 성문음 기류 메커니즘의 경우, 입술이나 혀(구강 또는 설 밸브)가 처음에 닫히고 닫힌 성문(후두 피스톤)이 올라가 밸브 폐쇄 뒤의 구강 부피를 감소시켜 압력을 증가시킨다. 닫힌 밸브가 열리면, 초기 폐쇄 뒤의 공동에서 구강 내 압력이 대기압과 같아질 때까지 기류가 발생한다. 즉, 압력이 잠재 에너지인 상태에서 운동 에너지인 기류로 변환되어, 더 높은 압력의 공동에서 더 낮은 압력의 공동으로 기류가 흘러 평형점에 도달한다.
7. 소리원
소리원은 공기역학적 에너지를 음향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이다. 조음 기관계에는 주기적(또는 더 정확하게는 준주기적)과 비주기적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의 소리원이 있다. 주기적 소리원은 모음과 유성 자음에서 발견되는 성대 진동이다. 덜 흔한 주기적 소리원은 설측 전동음에서 발견되는 혀와 같은 구강 조음기의 진동이다. 비주기적 소리원은 구강 내에서 생성되는 마찰 자음의 난류 소음과 파열음의 짧은 소음 폭발이다.
유성음은 구어에서 흔한 주기적 소리원이며, 성대가 얼마나 가깝게 위치해 있는지와 관련이 있다. 영어에는 '유성'과 '무성'의 두 가지 가능성만 있다. 유성은 성대가 서로 가까이 유지되어 그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진동을 일으키면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발음되는 모든 모음은 유성음이며, 'h'를 제외한 모든 기타 공명음과 나머지 소리 중 일부('b', 'd', 'g', 'v', 'z', 'zh', 'j', 'this'의 'th' 소리)도 유성음이다. 나머지는 모두 무성음이며, 성대는 진동이 없을 정도로 멀리 떨어져 있다. 하지만 'h' 소리처럼 어느 정도 가청 마찰이 여전히 존재한다. 무성음은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과 같이 난류가 있을 경우에만 매우 두드러지며, 이것이 일반적으로 공명음이 유성음으로만 발생하는 이유이다. 예외는 모든 소리가 무성음으로 발음되는 속삭임 동안이다.
8. 역사
9. 실험 기법
소리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이해하기 위해 실험적 절차가 자주 사용된다. 구개음도는 조음 기관에 관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 사용되는 가장 오래된 기기 음성학 기술 중 하나이다.[6] 전통적인 정적 구개음도에서 화자의 입천장은 어두운 가루로 덮여 있다. 그런 다음 화자는 단일 자음을 포함하는 단어를 발음한다. 혀는 조음 위치에서 가루의 일부를 닦아낸다. 실험자는 거울을 사용하여 화자의 입천장 전체 표면을 사진으로 찍을 수 있다. 조음 위치가 가루가 제거된 영역으로 보이는 이 사진을 구개음도라고 한다.[7]
그 이후 기술의 발달로 전기구개음도 (EPG)가 가능해졌다. EPG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화자는 여러 개의 전극이 포함된 특수 보철 구개를 장착한다. 발화 중 혀가 전극에 "접촉"하는 방식은 음성학자에게 다양한 음성에서 구개와 접촉하는 정도, 구개의 어느 영역이 접촉하는지, 접촉의 지속 시간 등과 같은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참조
[1]
서적
Principles of Phone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2]
서적
The Sounds of the World's Languages
Blackwell
1996
[3]
문서
[4]
문서
[5]
논문
Real-time MRI of Speaking at a Resolution of 33 ms: Undersampled Radial FLASH with Nonlinear Inverse Reconstruction.
2010
[6]
서적
A Course In Phonetics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1993
[7]
웹사이트
Palatography
http://www.linguisti[...]
[8]
서적
最新の音声学・音韻論 - 現代英語を中心に -
研究社出版株式会社
1987-05-08
[9]
웹사이트
調音音声学とは
https://kotobank.j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