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제비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족제비속은 족제비, 족제비오소리 등을 포함하는 포유류 속이다. 전 세계에 분포하며, 유연하고 긴 몸과 짧은 다리를 가진 작은 육식동물이다. 족제비라는 단어는 쇠족제비를 지칭하기도 하며, 족제비속의 모든 구성원을 지칭하기도 한다. 족제비속은 다양한 아종으로 분류되며, 한국에는 5종 8아종이 서식한다. 족제비는 문화적으로 불행의 징조로 여겨지기도 하며, 모피, 붓 등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가타현의 요괴 - 낫족제비
낫족제비는 일본의 요괴로, 낫 모양의 발톱을 가졌거나 낫을 든 족제비의 모습으로 나타나 바람과 관련된 현상과 함께 등장하며, 지역에 따라 악신이나 여우 신앙과 연관되기도 하고, 한국에서는 서브컬처 매체를 통해 소개되어 젊은 층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 니가타현의 요괴 - 단자부로 너구리
단자부로 너구리는 일본 전설과 대중문화에 등장하는 너구리 요괴로, 인간에게 호의를 베풀거나 둔갑술로 속이는 등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며, 가난한 사람을 돕거나 여우를 퇴치하는 전설, 에치고 상인 단자부로의 신격화된 모습, 그리고 대중매체를 통해 친근한 이미지로 일본 문화의 상징이 되었다. - 족제비속 - 페럿
페럿은 족제비과 동물로 유럽족제비로부터 가축화되어 사냥이나 쥐 퇴치에 활용되다가 현재는 다양한 털색과 품종으로 애완동물로 사육되며, 물건을 숨기는 습성과 영역성이 강하고 특정 질병에 취약하며 먹이 선호가 뚜렷한 특징을 가진다. - 족제비속 - 긴꼬리족제비
긴꼬리족제비는 북미에서 처음 나타나 굴을 파는 설치류 사냥에 유리하게 진화한 족제비과의 동물로, 현재 42종의 아종이 서식 환경에 따라 나뉜다. - 북아메리카의 포유류 - 쇠돌고래
쇠돌고래는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의 차가운 연안에 분포하는 쇠돌고래속의 소형 이빨고래로, 몸길이 약 1.6m, 체중 약 60kg이며, 짙은 회색 등과 밝은 회색 옆구리, 크림색 배를 가지고, 작은 물고기, 오징어, 갑각류를 먹고, 흰긴수염상어와 범고래에게 포식당하며, 혼획으로 멸종 위협을 받는다. - 북아메리카의 포유류 - 긴수염고래
긴수염고래는 전 세계에 3종이 존재하며 머리에 경결이 있고 등지느러미가 없으며,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고 13~16m 크기에 60~80톤의 무게를 가지며, 고래잡이로 개체 수가 감소했으나 현재 보호받고 있다.
| 족제비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학명 | Mustela |
| 명명자 | Linnaeus, 1758 |
| 모식종 | Mustela erminea |
| 모식종 명명자 | Linnaeus, 1758 |
| 분포 | Mustela range.png |
| 분포 설명 | Mustela 분포 |
| 일반 정보 | |
| 발음 (영어) | /ˈwiːzəlz/ |
| 몸길이 | 173 ~ 217 mm |
| 꼬리 길이 | 34 ~ 52 mm |
| 하위 종 | |
| 분류학적 정보 | |
| 계 | 동물계 |
| 문 | 척삭동물문 |
| 강 | 포유강 |
| 목 | 식육목 |
| 과 | 족제비과 |
| 아과 | 이타치아과 |
| 속 | 이타치속 (Mustela) |
| 속 명명 | Linnaeus, 1758 |
| 한국 정보 | |
| 속 | 족제비속 |
2. 용어
'족제비'라는 단어는 원래 쇠족제비(''Mustela nivalis'')의 유럽형을 지칭하는 말이었으나, 영국 영어에서는 이 이름이 족제비속의 다른 몇몇 작은 종들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그러나 전문적인 담론과 미국식 용법에서 "weasel"(족제비)이라는 용어는 족제비속의 모든 구성원, 족제비속 전체, 심지어 관련 속인 ''Neogale''의 구성원까지 지칭할 수 있다.[6]
족제비속 동물은 유연하고 가늘고 긴 몸통에 짧은 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뾰족한 코에 둥글고 작은 귀가 있다. 많은 종이 체중 2kg 이하로, 고양이목(식육류) 중에서도 가장 작은 그룹이다. 그중에서도 흰족제비(Mustela nivalis|무스텔라 니발리스la)는 고양이목 중 가장 작은 종이며, 체중은 북아메리카흰족제비(M. n. rixosa|M. n. 릭소사la)가 30g-70g, 일본흰족제비(M. n. namiyei|M. n. 나미에이la)가 25g-250g이다.
최근 유전학적 연구 결과에 따라 족제비속의 분류 체계가 재조정되고 있다. 이전에는 족제비속(''Mustela'')으로 분류되었던 일부 종들이 아메리카밍크속( ''Neogale'')으로 재분류되었다.
3. 분포
4. 특징
족제비류는 수컷에 비해 암컷이 극단적으로 작은 것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 경향은 소형 종일수록 현저하다. 암컷의 체중은, 예를 들어 앞서 언급한 북아메리카흰족제비나 수달(M. s. coreana|M. s. 코레아나la)에서는 수컷의 절반, 일반 족제비(Mustela nivalis)에서는 수컷의 3분의 1이다.
작은 체격이지만, 매우 흉폭한 육식 동물이며, 소형의 설치류나 조류는 물론이고, 자신보다 큰 닭이나 토끼 등도 단독으로 포식한다. 반대로 족제비를 포식하는 천적은 독수리, 매, 올빼미와 같은 맹금류와 여우이다.
항문선이 발달해 있으며, 거기에서 강한 악취를 띠는 분비액을 분출하여 외적으로부터 몸을 보호한다.[1]
물가를 좋아하며, 수영도 잘한다.[1]
5. 하위 종
"weasel"(족제비)이라는 용어는 원래 쇠족제비(''Mustela nivalis'')의 유럽형을 지칭하는 말이었으나, 영국 영어에서는 족제비속의 다른 작은 종들을 포함하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전문적인 담론이나 미국식 용법에서는 족제비속 전체, 또는 관련 속인 ''Neogale''의 구성원까지 지칭할 수 있다.[6]
5. 1. 족제비속 (''Mustela'')
Mustela영어는 라틴어로 "족제비"를 의미한다.[22] 통합 분류 정보 시스템과 포유류 다양성(MammalDiversity)에 따르면, 족제비속에는 다음과 같은 종들이 있다.
| 아속 | 이미지 | 학명 | 일반명 | 분포 |
|---|---|---|---|---|
| 족제비 | ![]() | Mustela altaica | 산족제비 | 북아시아 및 남아시아 |
| Mustela aistoodonnivalis | 이빨없는 돼지족제비 | 중국 산시성 및 쓰촨성 | ||
![]() | Mustela erminea | 흰족제비 | 유럽 및 북아시아, 북극 캐나다 및 알래스카 (미국), 남아시아 및 뉴질랜드 (비토착종) | |
![]() | Mustela haidarum | 하이다족제비 | 하이다과이 (브리티시컬럼비아, 캐나다) 및 알렉산더 군도 (알래스카, 미국) | |
![]() | Mustela kathiah | 노랑배족제비 | 남아시아 | |
![]() | Mustela nivalis | 쇠족제비 | 유럽, 북아프리카 및 북아시아, 북아메리카, 남아시아 및 뉴질랜드 (비토착종) | |
![]() | Mustela richardsonii | 아메리카족제비 | 알래스카와 북극권을 제외한 대부분의 북아메리카; 동부 누나부트와 배핀섬 | |
| 족제비오소리 | Mustela itatsi | 일본족제비 | 일본 및 이전에는 사할린섬, 러시아 | |
![]() | Mustela lutreola | 유럽밍크 | 유럽 | |
| Mustela lutreolina | 인도네시아산족제비 | 동남아시아 | ||
| Mustela nudipes | 말레이시아족제비 | 동남아시아 | ||
![]() | Mustela sibirica | 족제비 | 유럽 및 북아시아, 남아시아 | |
![]() | Mustela strigidorsa | 등줄무늬족제비 | 남아시아 | |
| Putorius | ![]() | Mustela eversmanii | 스텝긴털족제비 | 동남유럽 및 북아시아, 남아시아 |
![]() | Mustela furo | 페럿 | 사육, 전 세계 (사육); 뉴질랜드 (비토착종) | |
![]() | Mustela putorius | 긴털족제비 | 유럽, 북아프리카 및 북아시아 | |
![]() | Mustela nigripes | 검은발족제비 | 북아메리카 |
1 유럽 및 북아시아 구분은 중국을 제외한다.
Mammal Diversity Database (2024)에 따르면 협의의 족제비속에 현존하는 종은 다음과 같다.[22] 페럿은 유럽긴털족제비가 원종으로 생각되며, 그 아종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두개골에 스텝긴털족제비와 유사한 특징이 있다.[23] 또한, 일본족제비는 족제비의 아종으로 여겨지기도 한다.[23]
- Missing-toothed pygmy weasel|Chinese pygmy weasel영어 (이즈나에서 분할)
- 알타이족제비 Mountain weasel|Altai mountain weasel영어
- 흰족제비 Beringian ermine영어
- 스텝긴털족제비 Steppe polecat영어
- 페럿 Domestic ferret영어 (가축종)
- Haida ermine영어 (흰족제비에서 분할)
- 일본족제비 Japanese weasel영어
- 노랑배족제비 Yellow-bellied weasel영어
- 유럽밍크 European mink영어
- 인도네시아산족제비 Indonesian mountain weasel영어
- 쇠족제비 Least weasel영어
- 검은발족제비 Black-footed ferret영어
- 말레이시아족제비 Malayan weasel|Malay weasel영어
- 긴털족제비 European polecat영어
- American ermine영어 (흰족제비에서 분할)
- 족제비 Siberian weasel영어
- 등줄무늬족제비 Back-striped weasel영어
5. 2. ''Neogale'' 속
다음은 Neogale|네오게일|영어 속에 속하는 종들이다.[24]6. 계통 분류
다음은 2018년 로(Law) 등의 연구에 기초한 족제비아과의 계통 분류이다.[37]
| 족제비속에 속하는 종 |
|---|
7. 한국에 서식하는 족제비
한국에는 5종 8아종의 족제비속 동물이 서식하며, 이 중 아메리카밍크는 외래종이다. 일본족제비는 일본 고유종이지만, 시베리아족제비의 아종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족제비(자연 분포는 쓰시마만), 이즈나, 오코조의 4아종은 환경부의 레드 리스트에서 NT(준위협)로 지정되어 있다.[1]
국내 이입 아종인 족제비, 국내외 이입종인 일본족제비, 외래종인 아메리카밍크는 재래종 및 아종을 압박하는 문제가 있다.[1]
7. 1. 한국의 족제비 목록
한국에 서식하는 족제비속에는 다음 종들이 있다.- 일본족제비 (''Mustela itatsi''): 시베리아족제비의 아종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홋카이도, 난세이 제도 등에서는 국내 외래종이다. 미야케섬 등 이입된 곳에서는 재래 동물을 압박하고 있다. 야쿠섬, 다네가섬의 개체군은 아종 코이타치(''M. i. sho'')로 구분된다.[1]
- 시베리아족제비 (''Mustela sibirica''):
- 아종 족제비 (''M. s. coreana''): 혼슈 서부, 시코쿠, 규슈, 쓰시마에 분포하며, 쓰시마에는 자연 분포, 그 외에는 외래종이다. 일본족제비보다 크며, 서일본에서 분포를 넓혀가면서 일본족제비를 압박할 가능성이 있다.[1]
- 쇠족제비 (''Mustela nivalis''):
- 아종 키타이즈나 (''M. n. nivalis''): 홋카이도에 분포하며, 대륙에 분포하는 것과 같은 아종이다.[1]
- 아종 일본 쇠족제비 (''M. n. namiyei''):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야마가타현에 분포하는 일본 고유 아종이다. 키타이즈나보다 작으며, 일본에서 가장 작은 식육류이다.[1]
- 흰족제비 (''Mustela erminea''):
- 아종 에조오소리 (''M. e. orientalis''): 홋카이도에 분포한다. 일본 외에는 치시마, 사할린, 러시아 연해주에 분포한다. 평지에서는 국내 외래종인 일본족제비와 외래종인 아메리카밍크의 압박으로 인해 모습을 감추고 있다.[1]
- 아종 혼도오소리 (''M. e. nippon''): 혼슈 중부 지방 이북에 분포하는 일본 고유 아종이다.[1]
- 아메리카밍크 (''Mustela vison''): 북아메리카 원산의 외래종으로, 모피를 위해 사육되던 것이 1960년대부터 홋카이도에서 야생화되었다. 평지에서 에조오소리와 일본족제비를 압박하고 있으며, 양어장 등에도 피해를 주고 있다.[1]
8. 문화적 의미
족제비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상반된 의미를 지닌 동물로 여겨져 왔다. 그리스 문화에서는 족제비가 불행과 악의 징조로 여겨졌지만, 마케도니아에서는 행운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다.[7][8] 근세 독일 메클렌부르크에서는 족제비 부적이 강력한 마법을 지닌 것으로 여겨졌고, 특정 기간에 족제비를 죽이는 풍습이 있었다.[9] 반면 몽타뉴 느와르 (프랑스), 루테니아, 초기 중세 시대 벤드족 문화에서는 족제비를 죽이는 것을 금기시했다.[9]
다니엘 디포에 따르면 족제비를 만나는 것은 불길한 징조였다.[10] 영어권에서는 'weasel'이라는 단어가 교활하고 믿을 수 없는 사람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사용되며, '족제비 단어'(weasel words)는 모호하고 오해의 소지가 있는 단어를 비판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8. 1. 일본의 족제비 관련 미신
일본에서 족제비(鼬、鼬鼠|이타치일본어)는 요괴(이상한 현상을 일으키는 존재)로 여겨졌다. 에도 시대의 백과사전인 왜한삼재도회에 따르면, 족제비 무리는 화재를 일으키고, 족제비의 울음소리는 불행의 전조로 여겨졌다. 니가타현에서는 족제비 무리가 내는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여섯 사람이 쌀을 찧는 소리와 비슷하다고 하여 "족제비의 여섯 사람 절구"라고 불렸으며, 이는 집안이 쇠퇴하거나 번성하는 징조였다. 사람들은 이 소리를 따라가면 소리가 멈춘다고 한다.[11]족제비는 여우(키츠네)나 타누키처럼 둔갑한다고도 하며, 도호쿠 지방과 주부 지방의 전설에 나오는 뉴도보즈는 족제비가 변신한 것으로 여겨지며, 오뉴도나 작은 승려로 둔갑한다고도 한다.[11]
토리야마 세키엔의 그림 모음집 화도백귀야행에서 족제비는 鼬라는 제목으로 묘사되었지만, "이타치"가 아닌 텐으로 읽혔으며,[12] 텐은 백 년을 산 족제비가 초자연적인 힘을 갖게 된 요괴로 여겨졌다.[13] 또 다른 설로는 족제비가 수백 년을 살면 무지나(오소리)가 된다는 것이다.[14]

카마이타치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 갑자기 피부 위에 낫으로 베인 듯한 상처가 생기는 현상을 가리킨다. 과거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족제비 요괴의 짓"이라고 여겨졌다. 한편, "카마이타치"는 "카마에타치(構え太刀, 칼을 든 자세)"가 변형된 것으로, 본래는 족제비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는 설도 있다.
9. 이용
족제비의 모피는 의류나 일용품 등에 이용된다.[1] 밍크는 고급 모피로, 코트 등의 대형 의류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1]
족제비 털을 사용한 붓은 고급품으로 여겨진다.[1] 가격을 낮추기 위해 중심의 긴 부분에만 족제비 털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1]
10. 족제비 관련 표현
- 제자리걸음 - 헛수고만 하고 일이 전혀 진척되지 않음을 비유하는 표현이다.
- 족제비의 마지막 방귀 - 궁지에 몰렸을 때의 마지막 발악을 비유하는 표현이다.
- 족제비의 길 가르기 - 족제비는 같은 길을 지나가지 않는다고 믿어져 족제비가 눈앞을 가로지르면 이별의 불길한 징조로 여겨졌다.
- 족제비의 어행길
- 관동, 가나가와 현 근교의 노래에 "아프면 족제비 똥을 붙여서 3년 동안 붙이고 질려라"라는 구절이 있다. 족제비 똥에 약효가 있는지는 불명이며, "아프다"에 "족제비"라는 말을 걸어 만든 말장난으로 보인다.
- 와일드 위즐
- Weasel word|위즐 워드영어 - "변명"의 의미. 족제비가 달걀 속을 빨아먹은 후, 달걀을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보이게 한다고 여겨지는 데서 유래했다.
참조
[1]
서적
Shorter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
간행물
Carnivores
2010-11-09
[3]
웹사이트
The Weasel
http://www.mammal.or[...]
The Mammal Society
2017-04-11
[4]
문서
A taxonomic review of the genus Mustela (Mammalia, Carnivora)
[5]
간행물
On the nomenclature of the American clade of weasels (Carnivora: Mustelidae)
[6]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Weasels and Stoats: Ecology, Behavior, and Manageme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7]
서적
Modern Greek Folklore and Ancient Greek Religion: A Study in Survival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P
[8]
서적
Macedonian folklore
https://archive.org/[...]
Cambridge UP
2012-02-13
[9]
간행물
Animal Superstitions and Totemism
https://zenodo.org/r[...]
1900-09
[10]
서적
Faiths and folklore: a dictionary of national beliefs, superstitions and popular customs, past and current, with their classical and foreign analogues, described and illustrated
https://archive.org/[...]
Reeves and Turner
2012-02-13
[11]
서적
妖怪事典
毎日新聞社
[12]
서적
鳥山石燕 画図百鬼夜行
国書刊行会
[13]
서적
妖怪の本 異界の闇に蠢く百鬼夜行の伝説
学習研究社
[14]
서적
幻想動物事典
新紀元社
[15]
문서
広辞苑 第4版
岩波書店
[16]
문서
秋田郡邑魚譚
http://dl.ndl.go.jp/[...]
[17]
간행물
アイヌ語獣名集 (On the names of the mammals of the Ainu language)
http://eprints.lib.h[...]
1959-03-30
[18]
서적
諸国怪談奇談集成 江戸諸国百物語 東日本編
人文社
[19]
문서
Order Carnivora
http://www.departmen[...]
[20]
문서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1]
서적
イタチ
平凡社
[22]
웹사이트
Mammal Diversity Database
https://www.mammaldi[...]
2024-11-18
[23]
문서
イタチ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24]
문서
On the nomenclature of the American clade of weasels (Carnivora: Mustelidae)
http://dx.doi.org/10[...]
Lorestan University Press
[25]
간행물
ユーラシアの諸言語におけるクロテンおよび関連種の呼称リスト
https://hdl.handle.n[...]
[26]
웹사이트
トマ(動物)
2023-02-15
[27]
간행물
青森縣産哺乳類目録
https://hirosaki.rep[...]
青森博物研究會
1937-04
[28]
서적
妖怪事典
毎日新聞社
[29]
서적
鳥山石燕 画図百鬼夜行
国書刊行会
[30]
서적
妖怪の本 異界の闇に蠢く百鬼夜行の伝説
学習研究社
[31]
서적
幻想動物事典
新紀元社
[32]
문서
信州の民間薬
医療タイムス社
1971-12-10
[33]
문서
変身物語
[34]
서적
説教節 俊徳丸・小栗判官 他三篇
岩波文庫
[35]
저널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http://www.biomedcen[...]
2008-02
[36]
문서
행복한 세상의 족제비의 주인공 "제삐"의 종족(일본어:오코죠)인 동물
[37]
저널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2018-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