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쇠족제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쇠족제비는 족제비속에 속하는 작은 포유류로, 털 색깔과 크기에 따라 다양한 아종으로 분류된다. 쇠족제비는 유라시아, 북아프리카, 북아메리카 등 넓은 지역에 분포하며, 숲, 평야, 농경지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한다. 설치류를 주로 먹지만, 작은 새, 곤충, 양서류, 죽은 고기 등도 섭취하며, 겨울에는 흰색 털을 갖는 특징이 있다. 쇠족제비는 붉은여우, 흑담비 등 다양한 포식자에게 위협받으며, 서식지 파괴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기도 한다. 쇠족제비는 문화적으로 다양한 의미를 가지며, 고대 마케도니아에서는 길조로 여겨지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라시아의 포유류 - 유라시아늑대
    유라시아늑대는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유럽 등 유라시아 대륙에 분포하는 늑대의 아종으로, 과거 멸종 위기를 겪었으나 보호 정책으로 개체 수가 회복되고 있으며, 인간 문화에 영향을 미치고 가축 공격 등의 갈등 사례도 있다.
  • 유라시아의 포유류 - 숲멧토끼
    숲멧토끼는 토끼목에 속하며 유럽과 아시아가 원산지이고, 털 색깔, 신체 크기 등으로 아종을 구분하며, 야행성 초식 동물로 시속 70km로 달릴 수 있고, 식용 및 사냥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 뉴질랜드의 포유류 - 뉴질랜드큰짧은꼬리박쥐
    뉴질랜드큰짧은꼬리박쥐는 뉴질랜드에 서식했던 중간 크기의 박쥐로 뉴질랜드작은짧은꼬리박쥐보다 크고 튼튼한 체형을 지녔으나, 폴리네시아 쥐의 유입과 서식지 파괴로 1965년 이후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으나 2000년대 후반 목격담으로 생존 가능성이 제기되어 IUCN 적색 목록에 '심각한 위기' 종으로 분류되어 추가 조사가 진행 중이다.
  • 뉴질랜드의 포유류 - 더스키돌고래
    더스키돌고래는 남반구 해안에 서식하는 몸길이 1.6~2.2m의 작은 돌고래로, 어두운 회색 몸통과 밝은 배를 가지며, 포경, 혼획,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 족제비속 - 페럿
    페럿은 족제비과 동물로 유럽족제비로부터 가축화되어 사냥이나 쥐 퇴치에 활용되다가 현재는 다양한 털색과 품종으로 애완동물로 사육되며, 물건을 숨기는 습성과 영역성이 강하고 특정 질병에 취약하며 먹이 선호가 뚜렷한 특징을 가진다.
  • 족제비속 - 긴꼬리족제비
    긴꼬리족제비는 북미에서 처음 나타나 굴을 파는 설치류 사냥에 유리하게 진화한 족제비과의 동물로, 현재 42종의 아종이 서식 환경에 따라 나뉜다.
쇠족제비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국 야생 동물 센터의 쇠족제비
영국 서리의 영국 야생 동물 센터에 있는 쇠족제비
학명Mustela nivalis
명명자Linnaeus, 1766
상태LC (관심 필요)
상태_기준IUCN3.1
쇠족제비의 전 세계적 분포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동물강
식육목
족제비과
족제비속
쇠족제비
일반 정보
영어 이름European common weasel
Least weasel
Weasel
일본어 이름이이즈나
분포 지역전 세계
보전 상태
IUCN관심 필요
환경부 (대한민국)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기타

2. 진화 및 분류

쇠족제비는 족제비속 중에서 가장 분화되지 않은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유아형성 두개골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5] 쇠족제비의 직계 조상은 중기 홍적세와 빌라프란키안 시기에 유럽에 살았던 ''Mustela praenivalis''이며, 그 이전에는 플리오세의 ''M. pliocaenica''가 조상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6]

현생 쇠족제비는 후기 홍적세에 나타났으며,[6] 500만~700만 년 전 북부 숲이 개방된 초원으로 바뀌면서 작은 굴을 파는 설치류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진화하게 되었다.[7] 쇠족제비의 조상은 현재보다 몸집이 컸으나, 새로운 먹이를 사냥하기 위해 몸집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쇠족제비는 작은 몸집과 긴 몸통 덕분에 눈 아래에서도 쉽게 활동하고 굴 속에서 사냥할 수 있어 빙하기 동안 번성했으며, 20만 년 전 베링 육교를 통해 북아메리카로 이동했다.[7]

1766년 칼 폰 린네는 《자연의 체계》 제12판에서 쇠족제비에게 ''Mustela nivalis''라는 학명을 부여했다. 종명 ''nivalis''는 라틴어로 "눈"을 의미하는 ''nix''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겨울철에 쇠족제비의 털이 흰색으로 변하는 특성 때문이다.[2] 모식 산지는 스웨덴 베스테르보텐이다.[2]

쇠족제비는 넓은 분포 지역에 걸쳐 다양한 지리적 변이를 보인다. 이 종은 여러 차례 재검토되었으며, 일부 학자들은 두개골 특징에 따라 쇠족제비를 여러 종으로 분할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집트족제비(''M. subpalmata'')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별개의 종으로 인정되지 않았다.[3]

2. 1. 아종

쇠족제비는 지리적 변이가 심하여 18종의 아종[75]으로 분류되며, 털 색깔, 몸 크기, 꼬리 길이 등에 따라 크게 세 그룹으로 나뉜다.[8]

  • ''pygmaea–rixosa'' 그룹 (작은 쇠족제비): '''작은 쇠족제비 그룹''' 참고.
  • ''boccamela'' 그룹 (큰 쇠족제비): '''큰 쇠족제비 그룹''' 참고.
  • ''nivalis'' 그룹 (중간 크기 쇠족제비): '''중간 크기의 쇠족제비 그룹''' 참고.


2005년 기준으로 18아종[75]이 인정되고 있으며, 2010년에는 대만의 개체군이 아종 ''M. n. formosana''로 추가되었다.[59]

아종이명법 권위자분포동의어
북방족제비
M. n. nivalis
(기준 아종)
린네, 1766발트 3국에서 중부 및 남부 우랄 산맥까지의 러시아 유럽 지역, 북유럽홋카이도caraftensis (Kishida, 1936)
kerulenica (Bannikov, 1952)
punctata (Domaniewski, 1926)
yesoidsuna (Kishida, 1936)
앨러게니 쇠족제비
M. n. allegheniensis
로즈, 1901미국 북동부
대초원 쇠족제비
M. n. campestris
잭슨, 1913미국 대평원
캅카스 쇠족제비
M. n. caucasica
바렛-해밀턴, 1900dinniki (Satunin, 1907)
산악 투르케스탄 쇠족제비
M. n. pallida
바렛-해밀턴, 1900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의 산악 지역 등
시베리아 쇠족제비
M. n. pygmaea
J. A. Allen, 1903시베리아 전체 등kamtschatica (Dybowksi, 1922)
중부 유럽 쇠족제비
M. n. vulgaris
에르크슬레벤, 1777남부 러시아 유럽 지역, 알프스 산맥과 피레네 산맥까지의 유럽 지역, 뉴질랜드[19][20]dumbrowskii (Matschie, 1901)
hungarica (Vásárhelyi, 1942)
minutus (Pomel, 1853)
monticola (Cavazza, 1908)
nikolskii (Semenov, 1899)
occidentalis (Kratochvil, 1977)
trettaui (Kleinschmidt, 1937)
vasarhelyi (Kretzoi, 1942)
M. n. rossicaAbramov & Baryshnikov, 2000우랄 산맥 서쪽에서 벨라루스, 몰도바 북부[54]
M. n. tonkinensisBjörkegren, 1941베트남 (사파)[54]



쇠족제비는 칼 폰 린네의 저서 《자연의 체계》 제12판에서 학명 ''Mustela nivalis''를 부여받았다.[2] 쇠족제비의 직계 조상은 중기 홍적세와 빌라프란키안에 유럽에 살았던 ''Mustela praenivalis''이며, 현생 종은 아마도 후기 홍적세에 나타났을 것이다.[6] 쇠족제비는 500만~700만 년 전 북부 숲이 개방된 초원으로 바뀌면서 작은 굴을 파는 설치류가 폭발적으로 진화하면서 시작된 과정의 산물이다.[7]

본 종을 여러 종으로 분할하는 설도 있다.

2. 1. 1. 작은 쇠족제비 그룹 (pygmaea-rixosa group)

작은 쇠족제비 그룹(pygmaea-rixosa group)은 짧은 꼬리와 소아형 두개골 형태를 지니며, 겨울에는 털이 흰색으로 변하는 특징이 있다. 이 그룹은 북서부 러시아, 시베리아, 극동 러시아, 핀란드, 북스칸디나비아반도, 몽골, 북동중국, 일본, 북미 지역에 서식한다.[75]

해당 그룹에 속하는 아종은 다음과 같다.

아종학명분포 지역특징
알라스카족제비Mustela nivalis eskimo|무스텔라 니발리스 에스키모la (Stone, 1900)미국 (알래스카 주) 및 캐나다 (유콘 준주)소형 아종,[54] 털 색깔은 "nivalis"형[54]
일본족제비Mustela nivalis namiyei|무스텔라 니발리스 나미에이la (Kuroda, 1921)일본 (혼슈 북부)홋카이도북방족제비보다 소형,[65] 털 색깔은 "nivalis"형,[54] 염색체 수 2n=38[57]
Mustela nivalis pygmaea|무스텔라 니발리스 피그마이아la (J. A. Allen, 1903)시베리아 북동부 ~ 캄차카 반도최소형 아종,[54] 머리부터 몸통까지의 길이 수컷 13.5-18cm, 꼬리 비율 12%[54], 털 색깔은 "nivalis"형[54]
아메리카족제비Mustela nivalis rixosa|무스텔라 니발리스 릭소사la (Bangs, 1896)캐나다 ~ 미국 북부소형 아종,[54] 머리부터 몸통까지의 길이 수컷 17.7–20.8cm, 꼬리 비율 17%[54], 털 색깔은 "nivalis"형[54]
Mustela nivalis russelliana|무스텔라 니발리스 루셀리아나la (Thomas, 1911)중국 (쓰촨 성)소형 아종,[54] 털 색깔은 "nivalis"형[54]


2. 1. 2. 큰 쇠족제비 그룹 (boccamela group)

큰 쇠족제비 그룹(boccamela group)은 두개골이 크고, 꼬리가 상대적으로 길며, 밝은 색을 띤다.[75] 겨울에 털갈이를 통해 흰색으로 변하지 않거나, 변하더라도 부분적으로만 흰색으로 변한다.[75] 서식지는 서부 카자흐스탄에서 세미레치에 이르는 트랜스코카서스 지역과 중앙아시아 사막 지역이다.[75]

아종명학명 및 명명자특징분포 지역모식 산지
이베리아 반도 쇠족제비M. n. boccamela Bechstein, 1800대형 아종.[54] 털 색깔은 "vulgaris"형.[54] 염색체 수는 2n=42.[59] 머리부터 몸통까지의 길이는 21–32cm, 꼬리 비율은 35–39%이다.[54]이베리아 반도 북부에서 프랑스 남부, 이탈리아 반도와 주변 도서사르데냐 섬[53]
헤프트너 쇠족제비M. n. heptneri Morozova-Turova, 1953대형 아종.[54] 털 색깔은 "nivalis"형.[54]중앙아시아[54]투르크메니스탄[54]
지중해 쇠족제비M. n. numidica (Pucheran, 1855)대형 아종.[54] 털 색깔은 "nivalis"형.[54] 머리부터 몸통까지의 길이는 21–32cm, 꼬리 비율은 35–39%이다.[54]북아프리카에서 남유럽에 걸친 지중해 연안부[54]모로코 탕헤르[53]
스톨리츠카 쇠족제비M. n. stoliczkana Blanford, 1877대형 아종.[54] 털 색깔은 "vulgaris"형.[54]중국 서부[54]야르칸드 현[53]


2. 1. 3. 중간 크기의 쇠족제비 그룹 (nivalis group)

앞의 두 그룹의 중간 형태이다. 서식지는 서부와 서남부 러시아, 크림반도, 북코카서스, 서카자흐스탄, 남부와 중부 우랄 지방, 코페트다크산맥을 제외한 중부아시아 저산지대이다.[75]

2. 1. 4. 한국의 쇠족제비

모리가 1927년에 명명한 무산쇠족제비(''M. n. mosanensis'')는 한반도에 분포하는 쇠족제비의 아종이다.[54] 모식 산지는 한반도 북동부(무산군)이다.[54]

머리부터 몸통까지의 길이꼬리 길이꼬리 비율체중
수컷25cm[54]3.4cm[55]17%[54] 또는 33%[55]80–100g[55]
암컷22.5cm[54]2.7cm[55]17%[54] 또는 33%[55]50g[55]



털 색깔은 한반도 북부에서는 "nivalis"형(여름 털의 등과 배의 경계선이 직선)이지만, 남부에서는 "vulgaris"형(여름 털의 등과 배의 경계선이 반점)이 나타난다.[55]

2. 2. 계통 분류

다음은 2018년 로(Law) 등의 연구에 기초한 족제비아과의 계통 분류이다.[76] 쇠족제비는 족제비속 내에서 등줄무늬족제비, 말레이시아족제비 등과 가까운 관계에 있으며, 족제비속은 아메리카밍크속과 자매군을 이룬다.

3. 신체적 특징

쇠족제비는 가늘고 긴 몸과 짧은 다리를 가진 유연한 동물이다. 머리는 작고 길쭉하며 뭉툭한 주둥이를 가졌고, 목보다 두껍지 않다. 눈은 크고 불룩하며 진한색을 띤다. 다리와 꼬리는 비교적 짧으며, 꼬리 길이는 몸 길이의 절반을 넘지 않는다. 발에는 날카롭고 진한색의 발톱이 있으며, 발바닥에는 털이 많다.[21]

쇠족제비의 두개골은 다른 족제비속 동물들과 비교했을 때, 특히 족제비나 콜로노크에 비해 덜 발달된 외형을 보인다. 두개골은 비교적 큰 두개골 부분과 짧은 얼굴 영역을 가진다.[22] 전체적으로 족제비의 두개골과 유사하지만 더 작으며, 큰 수컷 쇠족제비의 두개골은 작은 암컷 족제비의 두개골과 크기가 비슷하다.[24] 암컷은 보통 네 쌍의 젖꼭지를 가지고 있지만, 수컷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음경뼈는 16mm에서 20mm로 짧고, 두껍고 곧은 몸통을 가졌다.[23] 지방은 척추, 신장, 내장 간막, 팔다리 주변에 쌓인다. 쇠족제비는 꼬리 아래에 7by 크기의 항문샘을 가지고 있으며, 티에탄과 디티아사이클로펜탄을 포함한 황 냄새가 나는 휘발성 물질을 분비한다. 이 화학 물질의 냄새와 화학적 조성은 족제비와 다르다.[24] 쇠족제비는 깡충 뛰며 이동하고, 앞발과 뒷발 사이의 간격은 18cm에서 35cm이다.[25]

리데커의 ''새로운 자연사''에 묘사된 쇠족제비 골격


눈이 없을 때 쇠족제비의 겨울 털은 눈에 띄게 된다.


쇠족제비의 크기는 지역에 따라 매우 다르다. 큰 쇠족제비는 작은 쇠족제비보다 네 배나 무거울 수 있다. 일부 큰 종에서는 수컷이 암컷보다 1.5배 더 크다. 꼬리 길이도 몸통 길이의 13~30%로 다양하다. 수컷과 암컷의 평균 몸길이, 꼬리 길이, 몸무게는 다음과 같다.

구분평균 몸길이꼬리 길이몸무게
수컷130mm ~ 260mm12mm ~ 87mm36g ~ 250g
암컷114mm ~ 204mm17mm ~ 60mm29g ~ 117g

[26]

겨울 털은 빽빽하지만 짧고 몸에 밀착되어 있다. 북부 지역의 쇠족제비는 털이 부드럽고 매끄러운 반면, 남부 지역의 쇠족제비는 털이 거칠다. 여름 털은 매우 짧고, 숱이 적으며 거칠다. 여름에 몸 윗부분의 털은 진한 색이지만, 지역에 따라 어두운 황갈색 또는 초콜릿색에서 옅은 황갈색이나 모래색까지 다양하다. 과 다리 안쪽을 포함한 아랫부분은 흰색이다. 어두운 윗부분과 밝은 아랫부분을 나누는 선은 보통 직선이지만, 때로는 불규칙한 선을 이룬다. 꼬리는 갈색이며, 때로는 끝부분이 약간 더 어둡지만 검은색은 아니다. 북부와 고산 지대에 사는 쇠족제비는 겨울에 털갈이를 하여 순백색의 털을 가지며, 드물게 검은색 털이 섞이기도 한다.[22][27]

몸길이(머리부터 몸통까지)는 수컷 14–26cm, 암컷 10–20cm이며, 꼬리 길이는 3–9cm이다. 꼬리 비율(꼬리 길이의 머리부터 몸통까지의 길이에 대한 비율)은 꼬리가 짧은 개체군에서는 25% 정도이며, 꼬리가 긴 개체군에서는 30–40%에 달한다. 체중은 수컷 30–250g이다. 암컷은 수컷보다 약간 작다. 북방보다 남방, 동방보다 서방의 개체군이 두개골이 대형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성적이형성도 뚜렷해진다. 여름에는 등 쪽이 갈색이고 배 쪽이 흰색이다. 겨울에는 키타이이즈나나 일본족제비 등 북방 아종에서는 온몸이 순백색이 되지만, 유럽족제비 등 남방 아종에서는 그다지 하얗게 되지 않는다.

4. 행동 및 생태

쇠족제비는 성격이 거칠고 움직임이 민첩하며, 깊은 산림, 평야, 논밭, 산지 등 다양한 곳에 서식한다.[53] 일본 도호쿠 지방에서는 주로 평야나 낮은 산지에 살고,[63] 홋카이도에서는 해안 초원 등에서도 볼 수 있다.[60] 류가 주식이지만, 작은 새, 곤충류, 양서류, 죽은 고기도 먹는다.[53]

번식기를 제외하고 단독으로 생활하며, 행동권은 수컷 7–15헥타르, 암컷 1–4헥타르이다.[56] 연중 번식하며 1년에 1–2번 출산한다. 임신 기간은 34–36일이며, 한 번에 1–11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생후 3–4개월에 독립한다.[60] 야생 수명은 1–2년이지만, 사육 상태에서는 10년까지 생존한 예도 있다.[60]

도시 확대로 산림 및 호소가 감소하면서 번식 지역이 좁아지고 있다.[64]

4. 1. 생식과 발달

쇠족제비는 4월에서 7월 사이에 짝짓기를 하며, 임신 기간은 34~37일이다. 북반구에서 평균 새끼 수는 6마리이며, 3~4개월 만에 성적 성숙에 이른다. 수컷은 생애 첫 해에 짝짓기를 할 수 있지만, 대개 성공하지 못한다. 수컷은 2월에서 10월 사이에 다산하지만, 정자 형성의 초기 단계는 겨울에도 일어난다. 암컷의 무발정은 9월부터 2월까지 지속된다.[30]

암컷은 수컷의 도움 없이 새끼를 키운다. 태어날 때 몸무게는 1.5g에서 4.5g이다. 갓 태어난 새끼는 분홍색이며 털이 없고, 눈과 귀가 멀고 들리지 않지만, 생후 4일이 되면 부드러운 흰색 털을 얻는다. 10일이 되면 어두운 윗부분과 밝은 아랫부분 사이의 경계가 나타난다. 젖니는 생후 2~3주에 나며, 이때 새끼는 고형식을 먹기 시작하지만, 수유는 12주까지 지속될 수 있다. 눈과 귀는 생후 3~4주에 열리고, 8주가 되면 사냥 행동이 발달한다. 가족은 9~12주 후에 해체된다.[30] 1년에 한 번 출산하며, 쇠족제비는 7~8년 동안 살 수 있다.[27]

4. 2. 영토적, 사회적 행동

쇠족제비는 전형적인 족제빗과 동물의 영토 패턴을 보이는데, 수컷의 배타적인 영역이 여러 암컷의 영역을 포함한다. 각 영토의 개체 밀도는 식량 공급과 번식 성공에 크게 좌우되며, 따라서 특정 영토의 사회 구조와 개체 밀도는 불안정하고 유동적이다.[31] 족제비와 마찬가지로 수컷 쇠족제비는 봄이나 식량 부족 시기에 자신의 영역을 확장한다. 쇠족제비의 냄새 표시 행동은 족제비와 유사하며, 배설물, 소변 및 항문 및 피부선의 분비물을 사용하며, 후자의 두 가지는 항문 끌기 및 몸 비비기를 통해 배설된다. 쇠족제비는 스스로 굴을 파지 않고, 두더지나 쥐와 같은 다른 종의 버려진 굴에서 둥지를 튼다.[32] 굴 입구의 너비는 약 2.5cm이며, 땅속 15cm 깊이에 위치한 둥지 챔버로 이어진다. 둥지 챔버(잠자기, 새끼 양육 및 식량 저장을 위해 사용됨)의 직경은 10cm이며, 짚과 쇠족제비 먹이의 가죽으로 덮여 있다.[33]

쇠족제비는 네 가지 기본 발성을 가지고 있다. 경고 시에 내는 으르렁거리는 소리, 짧은 비명과 비명이 섞여 나온다. 방어적일 때는 날카로운 울부짖음이나 비명을 지른다. 수컷과 암컷 간의 만남이나 어미와 새끼 사이에서는 높은 음조의 트릴 소리를 낸다. 쇠족제비의 공격성 표현 방식은 족제비와 유사하다. 우세한 쇠족제비는 공격적인 만남 중에 달려들고 비명을 지르는 반면, 열세한 쇠족제비는 복종적인 비명을 지른다.[32]

두 마리의 쇠족제비의 싸움

4. 3. 식단

쇠족제비는 주로 생쥐, 햄스터, 사막쥐와 같은 설치류를 먹지만, 때때로 개구리, 물고기, 작은 나 새알도 먹는다.[34] 자신보다 훨씬 큰 자고새, 관상닭, 토끼를 사냥하는 경우도 있다.[34] 들쥐(''Microtus agrestis'')는 쇠족제비가 선호하는 먹이로, 들쥐가 풍년인 해에는 쇠족제비 식단의 최대 54%를 차지하기도 한다. 그러나 들쥐가 흉년인 해에는 새가 식단의 더 큰 부분을 차지하며, 암컷 쇠족제비는 번식에 실패할 수도 있다.[35]

제노바 자연사 박물관에서 유럽산 멧토끼를 공격하는 족제비 박제 전시물


쇠족제비는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사나운 사냥꾼으로, 몸무게의 5~10배에 달하는 토끼를 죽일 수 있다.[36] 흔히 토끼를 사냥하지만, 주로 어린 토끼를 사냥하며, 작은 설치류가 부족하고 토끼 새끼가 풍부한 봄철에 중요한 식량원이 된다. 수컷 쇠족제비는 암컷보다 더 많은 비율의 토끼를 사냥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더 다양한 먹이를 사냥하는데, 이는 수컷이 암컷보다 크고 더 넓은 영역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37]

쇠족제비는 여우맹금류에게 발각되지 않도록 덮개 안에서 먹이를 찾는다. 굴 속으로 먹이를 쫓아 들어가도록 적응되었지만, 굴에서 먹이를 쫓아내어 밖에서 죽일 수도 있다.[37] 들쥐와 같은 작은 먹이는 두개골의 뒤통수 부위[34] 또는 목을 물어 경추를 탈구시켜 죽인다. 큰 먹이는 일반적으로 출혈 또는 순환 쇼크로 죽는다.[37] 먹이가 풍부할 때는 먹이의 작은 부분, 보통은 만 먹는다. 평균 일일 식사량은 35g이며, 이는 동물의 체중의 30–35%에 해당한다.[34]

5. 분포 및 서식지

쇠족제비는 환북극구와 홀극에 걸쳐 분포하며, 유럽, 북아프리카, 아시아 대부분, 그리고 북아메리카 일부 지역에 서식한다. 뉴질랜드,[19] 몰타, 크레타, 아조레스 제도, 서아프리카 해안의 상투메 섬에도 도입되었다. 아일랜드를 제외한 유럽 전역과 주요 지중해 섬에서 발견된다.[28] 또한 일본혼슈홋카이도, 러시아쿠나시르섬, 이투루프섬, 사할린섬에서도 서식한다.[1]

알래스카 쇠족제비 (''M. n. eskimo'')


쇠족제비는 해발 3000m까지의 들판, 탁 트인 숲, 덤불 및 바위가 많은 지역, 공원 및 정원에서 서식한다.[27] 깊은 산림, 평야, 논밭, 산지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발견된다.[53]

6. 위협 요인 및 보존

쇠족제비는 크기가 작아서 붉은여우, 흑담비, 스텝 또는 숲 긴털족제비, 담비, 수리부엉이, 올빼미 같은 다른 포식자들의 먹이가 되기 쉽다. 외양간 올빼미, 아메리카 올빼미, 수리부엉이 등은 쇠족제비를 가장 효과적으로 사냥하는 올빼미 종이다. 날개가 큰 독수리와 털발말똥가리도 쇠족제비를 위협한다. 검정쥐잡이뱀과 구렁이를 포함한 뱀들도 쇠족제비의 포식자가 될 수 있다.[1]

쇠족제비는 담비와 비교했을 때 꼬리에 포식자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검은 표시가 없어 포식자의 위협에 더 취약하다. 쇠족제비는 담비와 설치류를 두고 경쟁하는데, 경쟁을 피하기 위해 높은 지역에서 살거나 작은 설치류를 사냥하고, 작은 구멍을 활용한다. 암컷 쇠족제비는 크기가 작아 구멍으로 재빨리 피할 수 있어 담비가 있는 곳에서도 사냥을 한다.[1]

쇠족제비는 넓은 분포와 많은 개체수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대상으로 분류된다.[1] 그러나 일본의 아종 일본쇠족제비(M. n. namiyeila)는 환경성 적색 목록에 멸종 위기 지역 개체군으로 올라 있다.[65]

7. 문화 속 쇠족제비

고대 마케도니아인들은 쇠족제비를 보는 것을 길조로 여겼다. 마케도니아 일부 지역에서는 밤새 받아둔 물로 머리를 감은 후 두통을 겪는 여성들은 쇠족제비가 이전에 그 물을 거울로 사용했다고 추정했지만, 동물이 옷을 망칠까 두려워 그 이름을 언급하는 것을 삼갔다.

비슷하게, 그리스 남부에서는 쇠족제비가 이전에 질투심에 다른 신부의 웨딩드레스를 망치는 씁쓸한 동물로 변한 신부였다는 미신이 널리 퍼져 있었다.[42]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쇠족제비는 바실리스크를 죽일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이었다.

족제비가 바실리스크와 대결하는 17세기 판화


> 이 끔찍한 괴물에게 족제비의 악취는 치명적이다. 이것은 성공적으로 시도된 일인데, 왕들은 죽은 바실리스크의 시체를 보고 싶어했기 때문이다. 자연은 해독제가 없는 것은 아무것도 없도록 하는 것을 기뻐했다는 것이 사실이다. 족제비는 바실리스크 구멍에 던져지는데, 주변 토양이 오염되어 쉽게 알 수 있다. 족제비는 냄새로 바실리스크를 죽이지만, 이 과정에서 스스로 죽는다.[43]

오지브웨족은 족제비가 끔찍한 웬디고항문으로 달려들어 죽일 수 있다고 믿었다.[44]

이누이트 신화에서 족제비는 뛰어난 지혜와 용기를 가진 존재로 여겨졌으며, 신화 속의 이누이트 영웅이 용감한 과업을 수행하고자 할 때면 족제비로 변신하곤 했다.[45]

나가노현 이즈나 산(이이즈나 산)에서 수행자들이 관호라고 불리는 족제비와 비슷한 짐승을 사용하여 주술을 행했다. 그들이 "이즈나 사용"(いづなつかい)이라고 불린 것이 어원이 되었다.[69]

동북 지방과 신슈에서는 "이즈나(飯綱, 이이즈나) 사용" 혹은 "여우 신령을 모시는 사람"으로서 관호(管狐)를 부리는 술법을 사용하는 가문이 있다고 믿어졌다. 나가노현 이즈나 산의 산신 (이즈나 곤겐)으로부터 그 술법을 터득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70]

민속학자 무토 테츠조는 "아키타현 센보쿠 지방에서는 이즈나라고 칭하며, 그것을 사용하는 무녀(이타코)도 있다"고 한다.[71] 또한 키타아키타군 지방에서는 모우스케(猛助)라고 불리며, 요괴로서의 여우보다도 더 두려움의 대상이 되었다.[71]

치리 마시호는 아이누어로 쇠족제비는 또는 ()라고 칭하지만, 쇠족제비(이이즈나) 또한 라고 불린 듯하며, ()의 존칭(""은 "작은"의 뜻)은 쇠족제비를 가리키는 것이라고 추론했다.[72]

참조

[1] IUCN Mustela nivalis 2022-02-18
[2] 학술지 Mustela nivalis https://academic.oup[...] 1994
[3] 서적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Volume 12 https://books.google[...] JHU Press
[4] 학술지 Taxonomic status and origin of the Egyptian weasel (Mustela subpalmata) inferred from mitochondrial DNA 2016
[5] Harvnb
[6] Harvnb
[7] Harvnb
[8] Harvnb
[9] Harvnb
[10] 학술지 A New Weasel from western Pennsylvania
[11] Harvnb
[12] 학술지 Notes on Mustela campestris Jackson, and on the American forms of Least Weasels
[13] Harvnb
[14] 학술지 On three new mammals from Japan https://www.biodiver[...]
[15] Harvnb
[16] Harvnb
[17] Harvnb
[18] Harvnb
[19] 서적 Introduced Mammals of the World: Their History, Distribution and Influence Cabi Publishing
[20] 서적 The Handbook of New Zealand Mammals Oxford University Press
[21] Harvnb
[22] Harvnb
[23] 웹사이트 The Natural History of Weasels and Stoats: Ecology, Behavior, and Manageme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7
[24] Harvnb
[25] Harvnb
[26] Harvnb
[27] 서적 Mammals Collins & Co.
[28] 학술지 Origin and introduction history of the Least Weasels (Mustela nivalis) on Mediterranean and Atlantic islands inferred from genetic data https://www.research[...]
[29] 학술지 Evolution of the European regional large mammals assemblages in the end of the Middle Pleistocene – The first half of the Late Pleistocene (MIS 6–MIS 4) 2021
[30] Harvnb
[31] 학술지 Distribution, territoriality and numbers of the Weasel Mustela nivalis in relation to prey abundance
[32] Harvnb
[33] Harvnb
[34] Harvnb
[35] 학술지 The effect of fluctuating Vole numbers (Microtus agrestis) on a population of Weasels (Mustela nivalis) on farmland
[36] Harvnb
[37] Harvnb
[38] Harvnb
[39] Harvnb
[40] Harvnb
[41] 간행물 The effects of the nematode parasite ''Skrjabingylus nasicola'' on British weasels (''Mustela nivalis'')
[42] 서적 Macedonian Folklor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웹사이트 The Natural History http://www.perseus.t[...] 2022-08-23
[44] 서적 Wisconsin Chippewa Myths & Tales: And Their Relation to Chippewa Lif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45] 서적 Alaska's Animals and Fishes Kessinger Publishing
[46] 웹사이트 Mustela nivalis (amended version of 2016 assessment) https://doi.org/10.2[...] 2024-11-22
[47] 웹사이트 Order Carnivor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8]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日本哺乳類学会
[49] 서적 イイズナ 東海大学出版会
[50] 서적 広辞苑 第4版 岩波書店
[51] 간행물 本邦産イタチ属食肉類2種 (ニホンイイズナ及びホンドオコジョ) の比較核型分析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52] 간행물 イタチ属食肉類2種(ホンドオコジョMustela erminea Nippon及びニホンイイズナM. nivalis namiyei)の核学的関係 [英文短報] https://agriknowledg[...] Genetics Society of Japan
[53] 간행물 Mustela nivalis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54] 간행물 Geographic variation and intraspecific taxonomy of weasel Mustela nivalis (Carnivora, Mustelidae)
[55] 서적 Mustela nivalis Linnaeus, 1766—Least Weasel Life Science Publishing
[56] 서적 イタチ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57] 간행물 日本産食肉類イタチ科の起源と系統進化—核学的知見の示すもの 日本哺乳類学会
[58] 서적 イイズナ 平凡社
[59] 간행물 A new subspecies of the least weasel Mustela nivalis (Mammalia, Carnivora) from Taiwan Mammalogical Society of Japan
[60] 서적 第5章 イイズナとオコジョ―北方の小型食肉類 東京大学出版会
[61] 간행물 Revalidation and expanded description of Mustela aistoodonnivalis (Mustelidae: Carnivora) based on a multigene phylogeny and morphology John Wiley & Sons
[62] 간행물 Taxonomic status and origin of the Egyptian weasel (Mustela subpalmata) inferred from mitochondrial DNA Springer
[63] 간행물 青森県におけるイイズナの生息記録と分布状況 日本哺乳類学会
[64] 서적 北のランドスケープ―保全と創造 環境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65] 문서 ニホンイイズナ(本州亜種) https://ikilog.biodi[...] 株式会社ぎょうせい
[66] 웹사이트 Mustela subpalmata https://doi.org/10.2[...] 2024-11-22
[67] 웹사이트 Mustela russelliana https://doi.org/10.2[...] 2024-11-22
[68] 웹사이트 Mustela tonkinensis https://doi.org/10.2[...] 2024-11-22
[69] 웹사이트 イイズナ https://www.hkd.mlit[...] 国土交通省 2023-08-18
[70] 서적 広辞苑 第4版 岩波書店
[71] 서적 秋田郡邑魚譚 https://dl.ndl.go.jp[...]
[72] 논문 아이누어 수명집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學文學部
[73] 간행물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74] 저널 인용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http://www.biomedcen[...] 2008-02
[75] MSW3
[76] 저널 인용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2018-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