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국계 캐나다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계 캐나다인은 캐나다에 거주하는 중국 혈통의 사람들을 의미한다. 18세기부터 캐나다에 중국인들이 이주해 왔으며, 2000년대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이 캐나다 이민의 가장 큰 출처가 되었다. 중국계 캐나다인은 주로 브리티시컬럼비아주와 온타리오주에 거주하며, 토론토와 밴쿠버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 이들은 다양한 언어와 종교를 가지고 있으며, 캐나다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반중 정서가 증가하면서 차별을 경험하기도 했다. 캐나다 사회에 대한 소속감과 적극적인 참여를 보이며, 미디어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캐나다 관계 - 멍완저우
    멍완저우는 화웨이의 부회장 겸 최고 재무 책임자이며, 미국의 대 이란 제재 위반 혐의로 체포되었다가 석방되어 중국으로 귀국했다.
  • 중국-캐나다 관계 - 2023년 중국 비행체 사건
    2023년 중국 비행체 사건은 2023년 초 미국 영공에서 발견 및 격추된 중국 정찰 풍선 사건으로, 미국과 중국 간의 긴장을 고조시키고 스파이 행위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 캐나다의 민족 - 이누이트
    이누이트는 북극 지역에 거주하며 수렵과 어업을 통해 생활하고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지닌 민족으로, 현대 사회에서 자치권 확보를 위해 노력한다.
  • 캐나다의 민족 - 타지크인
    타지크인은 중앙아시아에 주로 거주하며 페르시아어 계통의 언어를 사용하는 이란계 민족으로, 타지키스탄의 주된 민족이며 아프가니스탄과 우즈베키스탄에도 거주하고, 역사적으로 소그드인과 박트리아인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 중국계 캐나다인 - 원표
    원표는 중국 난징 출신으로 성룡, 홍금보와 함께 1980년대 홍콩 액션 영화의 전성기를 이끈 액션 배우이자 무술 감독, 영화 제작자로서, 스턴트맨으로 경력을 쌓아 다양한 액션 연기와 코믹 연기를 선보이며 중화권에서 폭넓은 인기를 얻었다.
  • 중국계 캐나다인 - 마거릿 맥 닐
    마거릿 맥닐은 중국 출생 캐나다 입양 수영 선수로, NCAA 기록을 세우고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2024년 9월 수영 은퇴를 발표했다.
중국계 캐나다인
기본 정보
2021년 인구 조사에서 센서스 구역 인구의 백분율로 표시된 중국계 캐나다인
2021년 인구 조사에서 센서스 구역 인구의 백분율로 표시된 중국계 캐나다인
인구1,715,770명 (2021년)
비율캐나다 인구의 4.63% (2021년)
주요 거주 지역광역 토론토
메트로 밴쿠버
광역 몬트리올
캘거리 지역
에드먼턴
사용 언어영어
프랑스어
광둥어
표준어
민어
하카어
기타 중국어 방언
종교중국 민간 신앙
불교
기독교
도교
관련 민족홍콩계 캐나다인
타이완계 캐나다인
화교
중국계 미국인
인구 통계
화인 (간체)华裔加拿大人
병음Huáyì Jiānádà Rén
월병Wàhyeuih Gānàdaaih Yàhn
화인 (번체)華裔加拿大人
캐나다 화인 (간체)加拿大华人
캐나다 화인 (번체)加拿大華人
병음Jiānádà Huárén
월병Gānàdaaih Wàhyàhn
추가 정보
참고 문헌Guang Tian, Chinese-Canadians, Canadian-Chinese: Coping and Adapting in North America, Edwin Mellen, January 1999.
Statistics Canada, "Ethnocultural Portrait of Canada – Data table", June 10, 2010.
Statistics Canada, "Classification of visible minority – 1.1 – Chinese", November 25, 2009.
Statistics Canada, "Focus on Geography Series, 2016 Census", 2017.
Government of Canada, Statistics Canada, "Profile table,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 Canada [Country]", February 9, 2022.

2. 역사

캐나다에서 중국계 캐나다인의 역사는 18세기 후반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788년 존 미어스가 마카오에서 중국인 목수들을 고용하여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 섬에 배를 건조한 것이 그 시작이었다.[1]

19세기에는 캐나다 태평양 철도 건설과 골드 러시에 참여하기 위해 많은 중국인 노동자들이 캐나다로 이주했다.[9] 이들은 낮은 임금과 위험한 환경 속에서도 철도 건설에 큰 기여를 했다. 그러나 중국 이민법과 인두세 등 차별적인 정책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14]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캐나다 언론은 캐나다의 차이나타운을 "불결"의 중심지로 묘사하며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용어를 사용했다. 캐나다 신문들은 중국인들의 빈곤을 이용하여 중국인 이민자들이 선천적으로 불결하고 전염병에 걸리기 쉬우며 범죄를 저지르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다.[10]

20세기 초, 윌프리드 로리에 정부는 중국 및 일본 이민에 관한 왕립 위원회를 임명했고, 이 위원회는 아시아인들이 "완전한 시민 자격에 부적합하다"고 주장했다.[10] 이에 따라 중국인 머리세가 인상되었고, 1923년에는 1923년 중국 이민법이 통과되어 중국인 이민이 거의 중단되었다.[10][15] 대공황 기간 동안 중국계 캐나다인들은 더욱 어려운 삶을 살았으며, 앨버타에서는 다른 캐나다인들보다 훨씬 적은 구호금을 받았다.[18]

제2차 세계 대전은 중국계 캐나다인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많은 중국계 캐나다인들이 전쟁에 참여하여 용감하게 싸웠고, 이는 캐나다 사회의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25] 1947년, 중국계 캐나다인은 마침내 연방 선거에서 투표할 권리를 얻었다.[37]

20세기 후반부터 중국계 캐나다인들은 캐나다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기 시작했다. 작가 라리사 라이, 에블린 라우, 영화 감독 크리스티나 웡, 윌리엄 데레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10]

21세기 초, 캐나다 내 중국인 인구의 약 75%가 밴쿠버토론토에 집중되었으며, 특히 밴쿠버는 중국인 인구 비율이 17%에 달했다.[87] 2011년 조사에 따르면 중국 백만장자의 60%가 이민을 계획했으며, 그 중 37%는 캐나다를 선호했다.[88] 이들은 자녀 교육, উন্নত(더 나은) 의료 서비스, 본토의 환경 오염(특히 도시 대기 질), 정치적 불안, 식품 안전 문제 등을 이민의 주요 이유로 꼽았다.

2006년, 스티븐 하퍼 총리는 과거 중국인 이민자들에게 부과했던 중국인 머리세에 대해 공식 사과하고 보상금을 지급하겠다고 발표했다.[39][40]

2020년 코로나19 범유행 이후, 중국계 캐나다인들은 반중 정서와 인종차별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었다.[46]

2. 1. 18세기 이전

1788년 영국 모피 무역상 존 미어스는 마카오에서 중국인 목수 약 70명을 고용하여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 섬 누트카 해협에서 선박 ''노스 웨스트 아메리카''를 건조하도록 했다.[1] 당시 이곳은 태평양 연안에서 점점 더 중요해졌지만 논쟁의 대상이 된 유럽의 전초 기지였으며, 스페인이 점령한 후 미어스는 이곳을 떠났고 목수들의 최종 행방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1]

2. 2. 19세기

캐나다 태평양 철도에서 일하는 중국인 노동자들


1885년 캐나다 태평양 철도(CPR) 완공 전까지 캐나다 다른 지역에서 브리티시컬럼비아로 가는 것은 어려웠다. 브리티시컬럼비아를 새로운 연방에 통합하려면 더 나은 운송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었다.

중국인 철도 노동자들은 브리티시컬럼비아 이글 패스의 크레이겔라치에서 태평양까지 이르는 캐나다 태평양 철도 100마일 구간 두 곳 건설에 노동력을 제공했다. 1871년 브리티시컬럼비아가 연방 가입 조건으로 연방 정부가 10년 안에 브리티시컬럼비아와 캐나다 동부를 연결하는 철도 건설을 내걸었다. 브리티시컬럼비아 정치인과 유권자들은 철도 건설을 위해 영국 제도 이민 프로그램을 요구했지만, 존 A. 맥도날드 경은 중국인 이민자들을 고용하여 철도 건설 비용을 절감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선거구 (빅토리아)의 바람을 저버렸다. 그는 1882년 의회에 "노동력을 확보하거나 철도를 건설하거나,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라고 요약했다.[9]

19세기와 20세기 초까지 캐나다 중국인 공동체는 같은 씨족에 속한 사람들을 연결하는 전통적인 친족 관계 시스템을 중심으로 조직되었다. 모든 자발적 단체를 연결하는 것은 캐나다의 차이나타운을 운영하고, 지역 사회 내 분쟁을 중재하며, 캐나다 정치인과 협상하는 지도자를 제공하는 자선 단체였다.[10] 많은 중국 이민자들은 영어를 거의 또는 전혀 몰랐고, 대부분의 백인 캐나다인들이 그들을 환영하지 않았기 때문에 차이나타운은 더 넓은 캐나다 사회와 단절되어 "섬"처럼 기능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캐나다 언론은 차이나타운을 "불결"의 중심지로 묘사하며 자극적이고 선정적인 용어를 사용했다. 캐나다 신문들은 중국인들의 빈곤을 이용하여 중국인 이민자들이 선천적으로 불결하고 전염병에 걸리기 쉬우며 범죄를 저지르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했다.[10] "황화론"을 반영하여, 언론은 중국인 이민자들이 캐나다 모든 범죄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비난하며, 중국인들이 순진한 백인 캐나다인들을 도박, 매춘, 마약 중독으로 유인한다고 묘사했다.[10]

19세기 광둥성(주로 타이산인과 주강 삼각주 사람들) 출신 노동자들이 캐나다 태평양 철도 건설을 돕기 위해 도착했고, 금광 러시의 중국인 참전 용사들도 있었다. 이 노동자들은 철도 건설 회사가 고용한 중국인 노동 계약자들이 제시한 낮은 임금, 긴 노동 시간, 비중국인 노동자보다 낮은 임금, 위험한 노동 조건 등을 받아들였다. 이는 중국에 남은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서였다. 19세기 대부분의 중국인 이민자들은 광둥어를 사용했으며, 캐나다를 ''Gum San'' (金山|gām sāan중국어)이라고 불렀다.[11] ''Gum San''은 로키 산맥 어딘가에 있는 순금 산으로, 캐나다에서 더 큰 부를 얻고자 하는 중국 이민자들의 희망을 은유했다.[11]

1885년 중국 이민법 통과로 캐나다 정부는 캐나다로 이민 오는 각 중국인에게 상당한 인두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14] 중국인들은 그러한 세금을 내야 했던 유일한 민족 집단이었다. "황화론"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1895년 매켄지 보웰 정부는 아시아계 캐나다인이 투표하거나 공직을 맡는 것을 금지하는 법을 통과시켰다.[14]

2. 3. 20세기 초

1902년, 윌프리드 로리에 경이 이끄는 자유당 정부는 중국 및 일본 이민에 관한 왕립 위원회를 임명했다. 이 위원회의 보고서는 아시아인들이 "완전한 시민 자격에 부적합하고, 자유로운 사회에 혐오스러우며, 국가에 위험하다"고 주장했다.[10] 이 보고서에 따라 의회는 중국인 머리세를 500달러로 인상하여, 중국인들의 캐나다 이민을 일시적으로 중단시켰다.[10]

캐나다로 이주를 희망하는 중국인들은 머리세를 내기 위해 돈을 모으기 시작했고, 이는 브리티시컬럼비아에서 아시아 이민을 금지하라는 연방 정부에 대한 시위를 촉발시켰다.[10] 1907년 9월 7일부터 9일까지 밴쿠버에서 반 아시아인 폭동이 발생했다. 아시아인 배척 연맹은 "영원한 백인 캐나다!"라는 구호 아래 중국, 일본, 한국, 인도 이민자들이 소유한 주택과 사업체를 공격했다. 사망자는 없었지만, 재산 피해가 컸고, 많은 아시아계 캐나다인들이 폭행을 당했다.

1907년 폭동은 캐나다, 특히 서부와 노동자 계급에서 아시아 이민을 완전히 배척하라는 지속적인 시위의 가장 극적인 표현이었다. 1922년, 페미니스트 에밀리 머피는 백인 캐나다인들 사이에서 마약 중독 문제를 일으킨 혐의로 중국 및 흑인 이민자들을 비난하는 베스트셀러 《검은 촛불》을 출판했다.

1923년, 윌리엄 라이언 맥켄지 킹의 연방 자유당 정부는 1923년 중국 이민법을 통과시켜 중국 이민을 금지했다. 사업가, 성직자, 학생 등을 위한 예외 조항이 있었지만, 사실상 이민은 거의 중단되었다.[15] 이 법으로 인해 중국인들은 흑인과 유사하게 인종을 근거로 캐나다 이민에서 특별히 배제되었다. 이후 25년 동안 중국인에 대한 차별적인 법률이 계속 통과되었다. 대부분의 직업은 중국인 남녀에게 폐쇄되었고, 브리티시컬럼비아, 서스캐처원, 온타리오에서는 중국인 고용주가 백인 여성을 고용하는 것이 금지되었다.[16]

1920년 토론토 하이 파크에서 물냉이를 고르는 중국인 남성


대공황 기간 동안 중국계 캐나다인들의 삶은 더욱 어려웠다.[18] 앨버타에서는 중국계 캐나다인들이 다른 캐나다인들에게 지급되는 구호금의 절반도 안 되는 금액을 받았다. 중국인 배척법으로 인해 추가 이민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먼저 도착한 중국인들은 가족과 떨어져 홀로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193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중국계 캐나다인 커뮤니티에서는 여성 100명당 남성 1,240명이었다. 중국인 배척법에 항의하기 위해 중국계 캐나다인들은 매년 7월 1일 도미니언 데이 축하 행사를 보이콧하고 사업을 중단했는데, 이날은 중국계 캐나다인들에게 "굴욕의 날"로 알려지게 되었다.[19]

1937년 일본이 중국을 공격하자, 장제스 정부는 해외 중국인 커뮤니티에 조국을 지원해 줄 것을 요청했다.[21] 중국계 캐나다인들은 정기적으로 모금 행사를 조직하여 중국을 위한 자금을 모았다.[22] 1945년까지 중국계 캐나다인들은 중국에 500만캐나다 달러를 기부했다.[22] 1937년부터 일본 상품 불매 운동이 조직되었고, 일본에 군수 물자를 판매하는 캐나다 기업은 시위의 대상이 되었다.[24] 시위에서 사용된 주요 구호 중 하나는 "아기들을 죽이지 말라"였는데, 이는 일본 제국 육군이 중국 영아를 "총검술 연습"에 사용하는 것을 빗댄 표현이었다.

2. 4.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은 중국계 캐나다인의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1939년 9월부터 중국계 캐나다인들은 캐나다의 전쟁 노력을 위해 자금을 모금하기 시작했고, 1945년까지 약 1000만캐나다 달러 상당의 승리 채권을 구매했다.[25] 빅토리아의 중국 커뮤니티는 승리 채권 구매를 장려하기 위한 행사를 적극적으로 개최한 공로를 인정받아 의회 결의안에서 칭찬을 받기도 했다.[25]

캐나다 승리 채권 구매를 장려하는 중국어 포스터


1941년 12월, 캐나다가 일본에 선전포고를 하면서 중국은 연합국의 일원이 되었고, 이는 백인 캐나다인들의 중국계 캐나다인에 대한 인식 변화에 기여했다.[26] 흑인 신문 ''피츠버그 쿠리어''는 1942년 사설에서 "2중 승리" 또는 "더블 V 캠페인"을 요구하며 흑인 미국인들에게 해외 파시즘과 국내 인종차별에 대한 승리를 위해 노력할 것을 촉구했다.[27] 이 "2중 승리"라는 슬로건은 중국계 캐나다인들도 받아들였다.[29]

투표권이나 공직 출마가 허용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약 600명의 중국계 캐나다인이 해외에서 싸우기 위해 "현역"으로 입대했다.[25]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총리는 중국계 캐나다인 참전 용사들이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처럼 투표권을 요구할 것을 우려하여 이들의 군 복무를 원치 않았다. 그러나 일본 점령하의 아시아에서 잠입할 수 있는 요원이 필요했던 영국 특수 작전 집행부(SOE)의 압력으로 킹 총리는 입장을 바꾸었다.[30]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밴쿠버 출신의 중국계 캐나다인 병사들


많은 중국계 캐나다인들이 SOE에 의해 중국 및 동남아시아의 일본 점령 지역에서 복무하도록 모집되었다.[32] 약 150명의 중국계 캐나다인이 일본군 점령 하의 버마에서 SOE 제136부대와 함께 복무했다.[20] 이들은 일본군에게 체포될 경우를 대비해 청산가리 알약을 지급받았는데, 이는 일본군에게 체포된 SOE 요원들이 고문을 당하고 살해될 것이라는 사실이 알려져 있었기 때문이다.[20] 캐나다 역사학자 브레레톤 그린하우스는 제136부대 요원들의 노력에 대해 "그들 중 여러 명이 그들의 행동으로 장식을 받았으며, 그들의 봉사는 몇 년 후 중국계 및 일본계 캐나다인에게 캐나다 시민으로서의 완전한 권리를 부여하도록 캐나다 정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었다."라고 평가했다.[34]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 조지 차우


전쟁에서 복무한 중국계 캐나다인들은 군대에서 처음으로 동등한 대우를 경험했다고 회상하며, 전쟁 후에도 평등한 대우를 주장했다. 밴쿠버 출신의 프랭크 웡은 "군대에 입대하면 전쟁 후 투표할 권리를 줄 것 같아서 결정했습니다."라고 입대 이유를 밝혔다.[32] 반면, 토론토 출신의 페기 리는 1942년 여성 구급대에 입대한 이유를 캐나다를 위해 "내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라고 말했다.[32]

많은 중국계 캐나다인들은 캐나다가 나치 독일뿐만 아니라 인종차별적 이념과 싸우고 있다면, 캐나다 백인들이 자국 내 백인 우월주의적 태도를 지지하는 것은 위선이라고 주장했다. 중국계 캐나다인 참전 용사 프랭크 웡은 "차이나타운 밖에서 살 수 없고, 전문적인 직업은 [중국계 캐나다인에게] 제공되지 않았다. 공공 수영장에서도 수영할 수 없었다."라고 당시 상황을 묘사했다.[32][36]

캐나다는 중국계 캐나다인에 대한 제한을 해제하고 캐나다 시민으로서의 완전한 권리를 부여하는 데 늦었다. 1947년, 중국계 캐나다인은 마침내 연방 선거에서 투표할 권리를 얻었다.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킹 총리는 중국계 캐나다인에게 참정권을 부여하는 것을 반대했지만, 중국계 캐나다인 참전 용사들은 교회, 노동 조합, 시민 단체 및 참전 용사 협회의 연합을 이끌어 킹 정부에 중국계 캐나다인의 참정권 배제를 종식할 것을 압박했다.[37]

2. 5. 20세기 후반

1947년부터 1970년대 초까지 캐나다로 이민 온 중국인들은 주로 홍콩, 대만 또는 동남아시아 출신이었다.[10] 1970년까지 캐나다와 중화인민공화국(PRC)은 외교 관계를 맺지 않았기 때문에, 가족 재결합 프로그램에 따라 자격을 갖춘 중국 본토 출신은 홍콩 주재 캐나다 고등 판무관을 방문해야 했다. 1980년대 후반부터 대규모의 대만인들이 캐나다로 이민을 와서 대만계 캐나다인 집단을 형성했다. 그들은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밴쿠버, 버너비, 리치먼드, 코퀴틀람과 같은 지역에 정착했다. 홍콩의 부유한 중국인 사업가들이 홍콩 반환 전인 1990년대 초중반에 대거 유입되었다. 캐나다는 투자 비자 발급이 미국 비자보다 훨씬 쉬웠기 때문에 선호되는 지역이었다. 밴쿠버, 리치먼드, 토론토가 이들 중국인들의 주요 목적지였다. 그 당시 홍콩에서 온 이민자들만 해도 전체 중국계 캐나다 이민자의 46%를 차지했다. 1997년 이후, 홍콩 반환 이후의 혼란이 가라앉고 "공산주의 접수"에 대한 두려움이 불필요해지면서, 상당수의 중국인 이민자들이 홍콩으로 돌아갔는데, 그중 일부는 더 영구적인 성격을 띠었다.[10]

20세기 후반부터 중국계 캐나다인들은 캐나다 문화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해왔다. 다음은 주요 인물과 그 활동 분야를 정리한 표이다.

분야인물
작가라리사 라이, 에블린 라우, 데니스 총, 웨이슨 초이, 폴 예, 짐 웡-추, 빈센트 람[10]
영화 제작 (감독 및/또는 각본가)크리스티나 웡, 윌리엄 데레, 콜린 렁, 리처드 펑, 도라 닙, 토니 찬, 융 창, 줄리아 콴, 카린 리, 미나 슘, 미셸 웡, 폴 웡, 키스 록[10]



근면, 학문, 자기 훈련, 배움을 강조하는 유교 전통으로 인해 중국계 캐나다인 가족들은 고등 교육을 강력히 열망했으며,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중국계 캐나다인의 4분의 1 이상이 대학 학위를 소지하고 있었다.[10] 1967년 레스터 피어슨 자유당 정부가 이민 시스템을 자유화했기 때문에, 중국계 캐나다인들은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에 자유당에 투표하는 경향이 있었다.[10] 1993년, 레이먼드 찬이 최초의 중국계 캐나다인 장관이 되었고, 1999년에는 아드리엔느 클락슨이 최초의 중국계 캐나다인 총독이 되었다.[10]

2. 6. 21세기

21세기 초, 캐나다 내 중국인 인구의 약 75%가 밴쿠버토론토에 집중되었다. 특히 밴쿠버는 중국인 인구 비율이 17%에 달했다.[87] 2000년대 초 이민자들의 절반 이상은 가족과 친구들이 이미 정착해 있다는 이유로 특정 지역을 선택했다.

21세기에 들어 중국 본토의 경제 성장은 본토 중국인들의 이민 기회를 크게 확대시켰다. 2011년 조사에서는 중국 백만장자의 60%가 이민을 계획했으며, 그 중 37%는 캐나다를 선호했다.[88] 이들은 자녀 교육, উন্নত 의료 서비스, 본토의 환경 오염(특히 도시 대기 질), 정치적 불안, 식품 안전 문제 등을 이민의 주요 이유로 꼽았다.[89][90][91] 2011년 캐나다 이민 투자자 프로그램(CANIIP) 지원자 700명 중 697명(99.6%)이 본토 중국인이었다.[92]

2006년 6월 22일, 스티븐 하퍼 총리는 캐나다 하원에서 과거 중국인 이민자들에게 부과했던 중국인 머리세에 대해 광둥어로 공식 사과하고, 생존자 또는 배우자에게 약 20000CAD의 보상금을 지급하겠다고 발표했다.[39][40]

2008년 이후 필리핀이 캐나다의 주요 이민 출처가 되면서, 중국 본토를 제치게 되었다.[41] 2010년 중국 본토가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경제 대국으로 성장하면서, 중국인들의 이민 기회는 더욱 확대되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적으로 반중 정서가 증가하면서 중국계 캐나다인들은 큰 어려움을 겪었다.[46] 많은 중국계 캐나다인들이 모욕과 괴롭힘을 당했으며, 60% 이상이 무례한 대우를, 30% 이상이 위협이나 괴롭힘을 경험했다고 보고했다.[47] 이러한 인종차별은 지역 사회의 정신 건강 문제 증가로 이어졌다. 중국계 캐나다인 단체들은 이러한 차별에 맞서 싸우고, 지역 사회를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46][47] 2021년 9월, Project 1907 통계에 따르면 캐나다 내에서 2,265건의 반 아시아 인종차별 사건이 발생하여, 인구 대비 미국보다 100% 이상 높았다.[48]

3. 인구 통계

20세기 초 캐나다의 중국인 인구는 17,312명이었다. 1988년부터 1993년까지 166,487명의 홍콩 이민자가 캐나다에 정착했다.[10] 2001년에는 중국계 인구가 1,094,700명으로 캐나다 전체 인구의 3.5%를 차지했고, 2006년에는 1,346,510명(4.3%)으로 증가했다.[5] 2016년 인구 조사에서는 157만 명(4.6%)으로, 2021년 캐나다 인구 조사에서는 171만 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캐나다 통계청(StatsCan)은 2031년까지 중국계 캐나다인 인구가 240만 명에서 300만 명 사이로 증가하여 캐나다 인구의 약 6%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한다.[54][55][56]

2001년 캐나다의 중국인 중 외국 태생과 캐나다 태생의 31%가 대학 교육을 받은 반면, 전국 평균은 18%였다.[87] 캐나다의 주요 노동 연령 중국인 중 약 20%는 영업 및 서비스, 20%는 비즈니스, 금융 및 행정, 16%는 자연 및 응용 과학, 13%는 관리, 11%는 가공, 제조 및 유틸리티 분야에서 종사했다.[87] 최근에는 농업과 농식품 사업을 위해 작은 마을과 농촌으로 이동하는 추세도 나타나고 있다.[94]

1990년대에 캐나다로 이민 와서 2001년에 전성기였던 중국인들의 고용률은 61%로 전국 평균인 80%보다 낮았다. 외국인 자격인정이 주요 쟁점이라는 보도가 많았다. 다만 캐나다 태생의 중국계 황금연령 남성의 취업률은 86%로 전국 평균과 같았다. 캐나다 태생 중국 여성의 취업률은 83%로 전국 평균 (76%)보다 높았다.[87]

연도별 중국인 인구[50][51][52]
연도캐나다
인구의 비율
18710.0
18810.0
18910.2
19010.3
19110.4
19210.4
19310.4
19410.3
19510.2
19610.3
19710.6
19811.2
19912.3
20013.5
20064.3
20114.5
20165.1
20214.6



21세기 이후 중국 본토의 경제 성장은 본토 중국인들의 이민 기회를 더욱 크게 자극했다. 2011년 조사에 따르면 중국 백만장자의 60%가 이민을 계획했으며, 응답자의 37%가 캐나다로 이민을 가고 싶어했다.[88] 이들은 자녀들을 위한 더 많은 교육 기회, 진보된 의료, 국내의 오염 악화(특히 도시 대기 질), 정치적 불안과 식품 안전에 대한 우려를 이유로 꼽았다.[89][90][91]

3. 1. 지역별 분포

2001년 현재 캐나다 내 중국인 인구의 거의 75%가 밴쿠버토론토에 거주하고 있으며, 밴쿠버 인구의 17%, 토론토 인구의 9%를 차지했다.[87] 2006년 인구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계 캐나다인의 약 70%가 광역 밴쿠버 또는 광역 토론토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10] 2011년 캐나다 인구 조사에 따르면, 순수 중국 출신 개인은 약 1,324,700명으로 추산되었으며, 중국과 다른 인종 및 민족적 기원을 모두 가진 개인을 포함하면 1,487,000명으로 증가했다.[2]

중국계 캐나다인 공동체의 대부분은 브리티시컬럼비아주온타리오주에 집중되어 있다. 중국계 캐나다인 인구가 가장 많은 5개의 대도시권은 토론토 광역권(631,050명), 메트로 밴쿠버(474,655명), 그레이터 몬트리올(89,400명), 캘거리 지역(89,675명), 그리고 에드먼턴 광역권(60,200명)이다. 중국인은 앨버타주와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서 가장 큰 가시적 소수 민족 집단이며, 온타리오주에서는 두 번째로 큰 집단이다.[53] 중국계 캐나다인의 밀집도는 밴쿠버와 리치몬드(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서 가장 높으며, 이곳에서 중국인은 국가별로 가장 큰 민족 집단을 차지하며, 5명 중 1명이 중국인이다.[57][58]

서스캐처원주는 2006년 기준으로 1%가 넘는 중국인 공동체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로 주의 최대 도시인 새스커툰(2.1%)과, 수도인 레지나(1.9%)에서 소수 거주하고 있다. 리버데일 지역은 1900년대 초반부터 중국 이민자들이 그랜드 트렁크 퍼시픽 철도에 고용되어 이 지구에 사업체를 설립하면서 시작된 역사적인 중국 정착촌을 가지고 있다. 리버데일은 현재 많은 중국 식당과 상점의 본거지이다.[59] 중국인은 서스캐처원주에서 가장 큰 가시적 소수 민족 집단이다.[60]

캐나다 통계청의 2021년 자료에 따르면, 각 주 및 준주별 중국계 인구 비율과 총인구는 다음과 같다.

주 / 준주중국계 비율총 중국계 인구
앨버타주4.3%177,990
브리티시컬럼비아주10.5%517,805
매니토바주2.3%29,550
뉴브런즈윅주0.6%4,600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0.5%2,265
노스웨스트 준주0.9%365
노바스코샤주1.2%11,515
누나부트 준주0.3%100
온타리오주5.9%821,835
프린스에드워드아일랜드주2.0%3,050
퀘벡주1.5%123,985
서스캐처원주1.8%19,965
유콘 준주2.1%835
캐나다총계4.7%1,713,870



캐나다의 도시권 중 중국계 인구가 많은 지역은 다음과 같다.[64]

캘거리 중국 문화 센터


도시중국계 인구비율
토론토온타리오주631,05010.8%
밴쿠버브리티시컬럼비아주474,65519.6%
캘거리앨버타주89,6756.5%
몬트리올퀘벡주89,4002.2%
에드먼턴앨버타주60,2004.6%
오타와-가티노온타리오주 / 퀘벡주43,7753.4%
위니펙매니토바주19,8852.6%
빅토리아브리티시컬럼비아주16,3454.6%
키치너-케임브리지-워털루온타리오주15,9403.1%
해밀턴온타리오주13,7901.9%


3. 2. 언어

2001년, 중국계 캐나다인의 87%는 적어도 하나의 공용어를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다고 응답했으며, 15%는 영어프랑스어를 전혀 구사하지 못한다고 응답했다. 공용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사람들 중 50%는 1990년대에, 22%는 1980년대에 캐나다로 이민을 왔다. 이러한 이민자들은 주로 고령층에 속했다. 주된 노동 연령의 중국계 이민자 중 89%는 적어도 하나의 공용어를 알고 있다고 응답했다.[53]

2001년, 중국어 방언들은 영어와 프랑스어 다음으로 세 번째로 흔한 모국어로 보고되었다. 캐나다 인구의 3%, 즉 872,000명이 중국어를 어릴 때 배우고 여전히 이해하는 모국어로 보고했다. 가장 흔한 중국어 모국어는 광둥어이다. 이들 중 44%는 홍콩에서, 27%는 중국 광둥성에서 태어났고, 18%는 캐나다에서 태어났다. 두 번째로 흔한 중국어 모국어는 관화였다. 이들 중 85%는 중국 본토 또는 대만에서 태어났고, 7%는 캐나다에서 태어났으며, 2%는 말레이시아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약 790,500명만이 정기적으로 집에서 중국어를 사용한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보다 81,900명 적은 수치이다. 이는 주로 어릴 때 중국어를 배웠지만 정기적으로 사용하지 않거나 집에서 주요 언어로 사용하지 않는 캐나다 출생자들 사이에서 어느 정도의 언어 소멸이 발생했음을 시사한다.[53] 일부 언어는 응답자가 단순히 "중국어"라고 답하고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아 과소 보고되었을 수 있다.

모국어인구 (2011년)인구 (2006년)비고
중국어 (별도 명시 없음)425,210456,705
광둥어372,460361,450
만다린248,705170,950
민남어9,6359,620
"푸저우어" (푸저우 방언)5,925N/A
객가어5,115N/A
상하이 방언2,920N/A


3. 3. 종교

마컴에 있는 Cham Shan Temple


나이아가라 폭포에 있는 Cham Shan Temple


Cham Shan Temple에서 향을 피우는 모습


세대 차이는 중국계 캐나다인 인구 집단의 종교적 관습과 소속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특히 토론토의 초기 중국 이민자들 사이에서 교회는 회합 장소, 강당, 레저 클럽 역할을 하는 중요한 구조였다. 오늘날에도 토론토에는 30개 이상의 교회가 중국 신도들을 계속 보유하고 있다.

1961년 인구 조사에서 중국인의 60%가 스스로를 기독교인이라고 답하며, 1960년대 초에 기독교는 인기가 최고조에 달했다.[10] 이후 40년 동안 기독교는 캐나다 태생의 중국인과 새로운 이민자 모두에게서 꾸준히 감소했다.[70] 종교적으로 볼 때, 중국계 캐나다인 공동체는 캐나다 전체 인구와 다르다. 중국계 캐나다인의 약 절반이 중국 민간 신앙을 실천한다고 보고된다.[69]

2001년, 15세 이상 중국계 캐나다인의 56%가 종교가 없다고 답했는데, 이는 전국 평균인 17%와 비교된다. 결과적으로 중국계 캐나다인은 인구의 4%를 차지하지만 종교적 소속을 보고하지 않은 모든 캐나다인의 13%를 차지한다. 중국계 캐나다인 중 14%는 불교, 14%는 가톨릭교회, 9%는 개신교 교파에 속했다.[70]

종교
집단
인구
% 1921[10]
인구
% 1961[10]
인구
% 1971[70]
인구
% 1981[70]
인구
% 1991[70]
인구
% 2001[70][71]
인구
% 2018[69]
무교 / 기타43.7%57.4%55.3%55.6%49.3%
기독교10%60%46.4%36.3%32.4%29.2%20.9%
가톨릭교12.9%14.2%16.0%13.8%
개신교33.5%22.1%16.4%15.4%
불교11.4%14.6%24.8%
기타 종교9.9%6.4%
중국 민간 신앙47.4%
인구124,600285,800633,9311,094,6381,376,137


4. 사회 경제

2001년 현재 캐나다 내 중국인 인구의 거의 75%가 밴쿠버토론토에 거주하고 있으며, 밴쿠버 인구의 17%, 토론토 인구의 9%를 차지했다.[87] 2000년~2001년에 막 도착한 중국인 이민자 중 50% 이상이 가족과 친구들이 이미 그곳에 살고 있기 때문에 특정 지역에 정착했다고 밝혔다.

21세기 이후 중국 본토의 경제 성장은 본토 중국인들의 이민 기회를 더욱 크게 자극했다. 2011년 조사에 따르면 중국 백만장자의 60%가 이민을 계획했으며, 응답자의 37%가 캐나다로 이민을 가고 싶어했다.[88] 중국 사업가들이 해외로 이주하려는 주된 이유는 자녀들을 위한 더 많은 교육 기회, 진보된 의료, 국내의 오염 악화(특히 도시 대기 질), 정치적 불안과 식품 안전에 대한 우려였다.[89][90][91] 2011년 캐나다 이민 투자자 프로그램(CANIIP)에 지원한 700명 중 697명 (99.6%)이 본토 중국인이었다.[92] 또한 많은 중국계 이민자들이 이주한 지역의 사업에 투자하도록 하는 지방 지명자 프로그램을 통해 신청하고 있다.[93]

2001년 캐나다의 중국인 중 외국 태생과 캐나다 태생의 31%가 대학 교육을 받은 반면, 전국 평균은 18%였다.[87] 캐나다의 주요 노동 연령 중국인 중 약 20%는 영업 및 서비스, 20%는 비즈니스, 금융 및 행정, 16%는 자연 및 응용 과학, 13%는 관리, 11%는 가공, 제조 및 유틸리티 분야에서 종사했다.[87]

1990년대에 캐나다로 이민 와서 2001년에 전성기였던 중국인들의 고용률은 61%로 전국 평균인 80%보다 낮았다. 다만 캐나다 태생의 중국계 황금연령 남성의 취업률은 86%로 전국 평균과 같았다. 캐나다 태생 중국 여성의 취업률은 83%로 전국 평균 (76%)보다 높았다.[87]

4. 1. 교육

2001년 캐나다 내 중국계 인구 중 외국 태생과 캐나다 태생을 합쳐 31%가 대학교육을 받았으며, 이는 전국 평균 18%에 비해 높은 수치였다.[87]

직업군비율
판매 및 서비스20%
비즈니스, 금융 및 행정20%
자연과학 및 응용과학16%
관리13%
가공, 제조업 및 유틸리티11%



최근 몇 년 동안 중국계 인구가 농업 및 농식품 관련 사업을 위해 소규모 도시와 농촌 지역으로 이동하는 추세가 있다.[94]

1990년대에 캐나다로 이민 와서 2001년에 주된 노동 연령층에 속했던 중국계 인구의 고용률은 61%로, 전국 평균 80%보다 낮았다. 많은 사람들이 외국 자격증 인정 문제가 주요 문제라고 보고했다. 그러나 캐나다 태생 중국계 남성의 주된 노동 연령층 고용률은 86%로 전국 평균과 같았다. 캐나다 태생 중국계 여성의 주된 노동 연령층 고용률은 83%로 전국 평균 76%보다 높았다.[87]

4. 2. 직업

2001년 캐나다의 주요 노동 연령층 중국계 인구 중 약 20%는 판매 및 서비스, 20%는 비즈니스, 금융 및 행정, 16%는 자연 및 응용 과학, 13%는 관리, 11%는 가공, 제조 및 유틸리티 분야에서 종사했다.[87]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중국인들이 농업과 농식품 사업을 위해 작은 마을과 농촌으로 이동하는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94]

1990년대에 캐나다로 이민 와서 2001년에 전성기였던 중국인들의 고용률은 61%로 전국 평균인 80%보다 낮았다. 외국인 자격 인정이 주요 쟁점이라는 보도가 많았다. 다만 캐나다 태생의 중국계 황금연령 남성의 취업률은 86%로 전국 평균과 같았다. 캐나다 태생 중국 여성의 취업률은 83%로 전국 평균 (76%)보다 높았다.[87]

4. 3. 고용 및 소득

2001년, 캐나다 내 중국계 인구 중 외국 태생과 캐나다 태생을 합쳐 31%가 대학교육을 받았으며, 이는 전국 평균 18%에 비해 높은 수치였다.[87]

캐나다의 주된 노동 연령층에 속하는 중국계 인구 중 약 20%는 판매 및 서비스 분야에 종사했으며, 20%는 비즈니스, 금융 및 행정 분야, 16%는 자연과학 및 응용과학 분야, 13%는 관리 분야, 11%는 가공, 제조업 및 유틸리티 분야에 종사했다.[87] 그러나 최근 몇 년 동안 중국계 인구가 농업 및 농식품 관련 사업을 위해 소규모 도시와 농촌 지역으로 이동하는 추세가 있다.[94]

1990년대에 캐나다로 이민 와서 2001년에 주된 노동 연령층에 속했던 중국계 인구의 고용률은 61%로, 전국 평균 80%보다 낮았다. 많은 사람들이 외국 자격증 인정 문제가 주요 문제라고 보고했다. 그러나 캐나다 태생 중국계 남성의 주된 노동 연령층 고용률은 86%로 전국 평균과 같았다. 캐나다 태생 중국계 여성의 주된 노동 연령층 고용률은 83%로 전국 평균 76%보다 높았다.[87]

5. 문화적 적응과 동화

2001년 현재 캐나다 내 중국인 인구의 거의 75%가 밴쿠버토론토에 거주하고 있으며, 밴쿠버 인구의 17%, 토론토 인구의 9%를 차지한다.[87] 2000년~2001년에 막 도착한 중국인 이민자 중 50% 이상은 가족과 친구들이 이미 그곳에 살고 있기 때문에 특정 지역에 정착했다고 밝혔다.

21세기 이후 중국 본토의 경제 성장은 본토 중국인들의 이민 기회를 더욱 크게 자극했다. 2011년 조사에 따르면 중국 백만장자의 60%가 이민을 계획했으며, 응답자의 37%가 캐나다로 이민을 가고 싶어했다.[88] 중국 사업가들이 해외로 이주하려는 주된 이유는 자녀들을 위한 더 많은 교육 기회, 진보된 의료, 국내의 오염 악화(특히 도시 대기 질), 정치적 불안과 식품 안전에 대한 우려였다.[89][90][91]

1947년부터 1970년대 초까지 캐나다로 이민 온 중국인들은 주로 홍콩, 타이완 또는 동남아시아 출신이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대규모의 대만인들이 캐나다로 이민 와서 대만계 캐나다인 집단을 형성했다. 홍콩의 부유한 중국인 사업가들은 홍콩 반환 전인 1990년대 초중반에 대거 유입되었다. 1997년 이후, 홍콩 반환 이후의 혼란이 가라앉으면서, 상당수의 중국인 이민자들이 홍콩으로 돌아갔다.

20세기 후반부터 중국계 캐나다인들은 캐나다 문화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근면, 학문, 자기 훈련, 배움을 강조하는 유교 전통으로 인해 중국계 캐나다인 가족들은 고등 교육을 강력히 열망했으며,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중국계 캐나다인의 4분의 1 이상이 대학 학위를 소지하고 있었다.[10]

21세기에는 홍콩에서 캐나다로의 중국인 이민이 급격히 감소했으며, 현재 중국 이민의 가장 큰 출처는 중국 본토이다. 2008년 12월, 필리핀은 캐나다의 주요 이민 출처로서 중국을 제쳤다.[41]

5. 1. 캐나다 사회 참여

加拿大华人중국어들은 캐나다 사회에 대한 강한 소속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2002년 캐나다 민족 다양성 설문 조사에 따르면, 중국계 캐나다인의 76%가 캐나다에 대한 강한 소속감을 느낀다고 답했으며, 58%는 자신의 민족 또는 문화 집단에 대한 강한 소속감을 느낀다고 답했다.[10]

투표 참여율도 높다. 투표 자격이 있는 중국계 캐나다인의 64%가 2000년 연방 선거에서 투표했으며, 60%는 1996년 주 선거에서 투표했다.[10]

또한, 많은 중국계 캐나다인들이 지역 사회 단체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약 35%는 스포츠 팀이나 지역 사회 단체와 같은 조직에 참여했다고 보고했다.[10]

5. 2. 차별 경험

2002년에 실시된 캐나다 민족 다양성 설문 조사에 따르면, 중국계 캐나다인의 34%가 지난 5년 동안 또는 캐나다에 온 이후 차별, 편견 또는 불공정한 대우를 받았다고 보고했다.[53] 차별을 경험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앵글로색슨족의 악의에 기반한 것이라고 생각했으며, 42%는 직장, 취업 또는 승진 지원 시 차별이 발생했다고 믿었다.[53]

1902년, 자유당 총리 윌프리드 로리에 경이 임명한 왕립 위원회는 아시아인들이 "완전한 시민 자격에 부적합하고, 자유로운 사회에 혐오스러우며, 국가에 위험하다"고 진술했다.[10] 1923년, 윌리엄 라이언 맥켄지 킹의 연방 자유당 정부는 1923년 중국 이민법을 통과시켜 중국 이민을 금지했다.[15] 이로 인해 중국인들은 캐나다가 인종을 근거로 이민을 특별히 배제했던 흑인과 유사한 법적 대우를 받았다.[16]

1919년 토론토 하이 파크의 중국계 캐나다인


1907년 9월 7일부터 9일까지 밴쿠버에서 반 아시아인 포그롬이 발생했다.[10] 아시아인 배척 연맹은 "영원한 백인 캐나다!"라는 구호 아래 중국, 일본, 한국 및 인도 이민자들이 소유한 가옥과 사업체를 공격했다.[10] 1922년, 페미니스트 에밀리 머피는 백인 캐나다인들 사이에서 마약 중독 문제를 일으킨 혐의로 중국 및 흑인 이민자들을 비난하는 베스트셀러 《검은 촛불》을 출판했다.[15]

대공황 기간 동안, 앨버타에서는 중국계 캐나다인들이 다른 캐나다인들에게 지급되는 금액의 절반도 안 되는 구호금을 받았다.[18] 1931년 인구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계 캐나다인 커뮤니티에서는 여성 100명당 남성 1,240명이었다.[19] 중국인 배척법에 항의하기 위해, 중국계 캐나다인들은 사업을 중단하고 매년 7월 1일에 열리는 도미니언 데이 축하 행사를 보이콧했는데, 이는 중국계 캐나다인들에게 "굴욕의 날"로 알려지게 되었다.[19]

제2차 세계 대전은 중국계 캐나다인의 역사에서 전환점이 되었다. 1942년 흑인 신문 피츠버그 쿠리어는 사설에서 "2중 승리" 또는 "더블 V 캠페인"을 요구했는데,[27] 이는 원래 흑인 미국인을 위한 것이었지만, 아시아계 미국인 단체들과[28] 중국계 캐나다인들도 채택한 슬로건이었다.[29]

많은 중국계 캐나다인들은 캐나다가 ''Volkisch'' 운동과 같은 인종차별적 이념과 싸우고 있다면, 캐나다 백인들이 자국 내 백인 우월주의적 태도를 지지하는 것은 위선이라고 주장했다. 중국계 캐나다인 참전 용사 프랭크 웡은 "차이나타운 밖에서 살 수 없고, 전문적인 직업은 [중국계 캐나다인에게] 제공되지 않았다. 공공 수영장에서도 수영할 수 없었다."라고 당시 상황을 묘사했다.[32][36]

1951년 밴쿠버의 맥클린 공원에서 농구를 하는 중국 어린이들. 놀이터 관리자는 릴라 지이다.


2006년 6월 22일, 스티븐 하퍼 총리는 캐나다 하원에서 사과 메시지를 전달했으며, 중국 이민자들이 한때 지불했던 중국인 머리세에 대해 광둥어로 사과하고 보상했다.[39][40]

2020년 3월에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은 전 세계적으로 반중 정서를 급격히 증가시켰으며, 중국인들이 바이러스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다.[46] 캐나다에서 상당수의 중국계 캐나다인들은 모욕과 괴롭힘에 직면했으며, 60% 이상이 무례한 대우를 받았다고 보고했으며, 30% 이상이 위협이나 괴롭힘을 경험했다.[47] 2021년 9월 현재, Project 1907의 통계에 따르면 캐나다 내에서 2,265건의 반 아시아 인종차별 사건이 발생하여, 인구 대비 미국을 100% 이상 초과했다.[48]

5. 3. 세대 간 차이

캐나다 출생 중국계와 해외 출생 중국계 사이에는 인식 차이가 존재한다. 이민자 공동체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강한 민족 유산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새로운 이민자들이 주류 문화에 익숙하지 않아 같은 문화권 출신끼리 교류하기 때문이다.[72][73][74]

반면, 캐나다 출생 중국계, 특히 2세대 이후는 자신을 캐나다인으로 인식하며, 더 진보적이고 서구적인 신념을 갖는 경향을 보인다.[75][76][77][78] 1970년대와 1980년대 출생한 캐나다 출생 중국인들은 주로 홍콩 이민자의 후손이며, 최근 캐나다 출생 중국인은 중국 본토 이민자 출신이다.

6. 저명한 인물


중국계 캐나다인 목록

7. 미디어

캐나다에는 중국계 캐나다인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중국어 미디어 매체가 운영되고 있다.

'''신문'''


  • 《밍파오 데일리 뉴스》 - 밍파오의 캐나다판
  • 《싱타오 데일리》 - 싱타오 데일리의 캐나다판, 토스타와의 합작 투자
  • 《에포크 타임스》
  • 《세븐 데이즈》
  • 《투데이 데일리 뉴스》 – 현재 투데이 상업 뉴스
  • 《월드 저널》 – 캐나다판은 2016년에 발행 중단
  • 《오리엔탈 위클리》


'''라디오'''

  • A1 중국 라디오 (토론토)
  • CHMB (밴쿠버)
  • 페어차일드 라디오 CHKF-FM (캘거리)
  • 페어차일드 라디오 CHKT 및 CIRV-FM (토론토)
  • 페어차일드 라디오, CHKG-FM 및 CJVB (밴쿠버)


'''텔레비전'''

  • C 투데이 TV (토론토)
  • 페어차일드 TV (캐나다 전역)
  • 페어차일드 TV 2 HD (캐나다 전역)
  • LS 타임스 TV (캐나다 전역)
  • 뉴탕린 TV 캐나다
  • 옴니 뉴스 (캐나다 전역)
  • 탤런트비전 (캐나다 전역)
  • 탤런트비전 2 HD (캐나다 전역)
  • WOWtv (캐나다 전역)

참조

[1] 웹사이트 Profile table,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 Canada [Country] https://www12.statca[...] 2023-01-07
[2] 웹사이트 Immigration and Ethnocultural Diversity in Canada http://www12.statcan[...] 2013-12-29
[3] 문서 Note that while the ''English'' term is ambiguous between "Chinese" (Han) culture and "Chinese" (PRC) nationality, the ''Chinese'' terms listed here refer specifically to those of Han Chinese descent.
[4] 서적 Chinese-Canadians, Canadian-Chinese: Coping and Adapting in North America Edwin Mellen 1999-01
[5] 웹사이트 Ethnocultural Portrait of Canada – Data table http://www12.statcan[...] 2.statcan.ca 2012-05-02
[6]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visible minority – 1.1 – Chinese https://www23.statca[...] 2022-01-23
[7] 웹사이트 Focus on Geography Series, 2016 Census https://www12.statca[...] 2019-07-04
[8] 웹사이트 Profile table,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 Canada [Country] https://www12.statca[...] 2022-10-26
[9] 서적 The Last Spike Penguin
[10] 백과사전 Chinese Canadians https://www.thecanad[...] 2019-09-06
[11] 문서 Asian Canadia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12] 문서 Asian Canadia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13] 문서 Asian Canadia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14] 간행물 How Canada tried to bar the "yellow peril" http://www.llss.sd73[...] 2015-01-04
[15] 문서 In the Sea of Sterile Mountains: The Chinese in British Columbia 1976
[16] 웹사이트 The Encyclopedia of Saskatchewan | Details http://esask.uregina[...] Esask.uregina.ca 2011-11-22
[17] 서적 From China to Canada A History of Chinese Communities in Canada McClelland & Stewart 1982
[18] 서적 Brokering Belonging: Chinese in Canada's Exclusion Era, 1885–1945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 뉴스 Chinese mark 'Humiliation Day' 2002-06-29
[20] 뉴스 Chinese-Canadian WWII Veterans From Secret Force 136 Honoured in Documentary https://www.huffingt[...] 2018-05-19
[21] 서적 From China to Canada A History of Chinese Communities in Canada McClelland & Stewart 1982
[22] 서적 From China to Canada A History of Chinese Communities in Canada McClelland & Stewart 1982
[23] 서적 From China to Canada A History of Chinese Communities in Canada McClelland & Stewart 1982
[24] 서적 From China to Canada A History of Chinese Communities in Canada McClelland & Stewart 1982
[25] 서적 From China to Canada A History of Chinese Communities in Canada McClelland & Stewart 1982
[26] 서적 From China to Canada A History of Chinese Communities in Canada McClelland & Stewart 1982
[27] 서적 Freedom from Fear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8] 문서 Internment and World II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29] 서적 Orienting Canada: Race, Empire, and the Transpacific UBC Press
[30] 문서 Asian Canadia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31]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Canada McClelland & Stewart 1999
[32] 웹사이트 Military Heritage Of Chinese Canadians Displayed https://legionmagazi[...] The Legion 2018-05-17
[33] 웹사이트 The Role Played by Chinese-Canadians in WWII with reference to the life of Kam Hem Douglas Sam http://www.viviennep[...] Association for Asian American Studies 2018-05-17
[34] 웹사이트 Canada and the War in the Far East http://www.veterans.[...] Veterans Affairs Canada 2018-05-28
[35] 웹사이트 Chinese Canadian Veterans of WWII http://www.thememory[...] The Memory Project 2018-05-17
[36] 서적 From China to Canada A History of Chinese Communities in Canada McClelland & Stewart 1982
[37] 서적 From China to Canada A History of Chinese Communities in Canada McClelland & Stewart 1982
[38] 웹사이트 CIC Canada "Recent Immigrants in Metropolitan Areas: Canada—A Comparative Profile Based on the 2001 Census" http://www.cic.gc.ca[...]
[39] 웹사이트 PM apologizes in House of Commons for head tax http://sympaticomsn.[...] 2006-06-22
[40] 웹사이트 http://www.rthk.org.[...]
[41] 웹사이트 Philippines takes over China as number one source of Canadian immigrants http://www.visaburea[...] Visabureau.com 2008-12-31
[42] 뉴스 Might Davos Be a Layover for Chinese 'Migratory Birds'? http://rendezvous.bl[...] 2012-01-24
[43] 뉴스 Many Rich Chinese Consider Leaving https://www.wsj.com/[...] 2011-11-02
[44] 웹사이트 Why is Canada keeping out China's rich? http://www.canada.co[...] 2012-03-03
[45] 웹사이트 Foreign realty developers target China http://www.ebeijing.[...] Beijing International
[46] 간행물 Anti-Chinese stigma in the Greater Toronto Area during COVID-19: Aiming the spotlight towards community capacity 2021
[47] 간행물 Chinese Canadians' Experiences of the Dual Pandemics of COVID-19 and Racism: Implications for Identity, Negative Emotion, and Anti-Racism Incident Reporting 2021-12-23
[48] 웹사이트 reporting centre https://www.project1[...] 2023-12-08
[49] 간행물 Network of Asian Federal Employees (NAFE) will officially launch https://www.canada.c[...] 2023-12-08
[50] 서적 "His Dominion" and the "Yellow Peril" https://books.google[...] 2006-05-08
[51] 서적 China's Open Door Policy: The Quest for Foreign Technology and Capital https://books.google[...] UBC Press 2013-01-07
[52] 웹사이트 Immigration and Ethnocultural Diversity Highlight Tables – Ethnic Origin, both sexes, age (Total), Canada, 2016 Census – 25% Sample data https://www12.statca[...] statcan.gc.ca 2023-01-07
[53] 간행물 "Chinese Canadians: Enriching the cultural mosaic," http://www.statcan.c[...] 2005
[54] 웹사이트 The Daily, Tuesday, March 9, 2010. Study: Projections of the diversity of the Canadian population http://www.statcan.g[...] Statcan.gc.ca 2011-07-05
[55] 웹사이트 Chinese New Year... by the numbers http://www42.statcan[...] 2.statcan.ca 2011-01-31
[56] 웹사이트 Canada 2031 – Toward Unique Diversity http://karygiannismp[...] Karygiannismp.com
[57] 뉴스 Canada prepares for an Asian future https://www.bbc.co.u[...] 2012-05-25
[58] 웹사이트 Vancouver Sun: Mandarin, Cantonese top immigrant tongues – Chinese Canadian Stories http://chinesecanadi[...]
[59] 웹사이트 History http://www.riversdal[...] Riversdale Business Improvement District
[60] 웹사이트 The Encyclopedia of Saskatchewan – Chinese Community http://esask.uregina[...] Esask.uregina.ca
[61] 문서 NHS Profile, Canada, 2011 http://www12.statcan[...] 2011
[62] 웹사이트 Focus on Geography Series, 2016 Census https://www12.statca[...] 2017
[63] 웹사이트 Census Profile, 2021 Census of Population https://www12.statca[...] 2022-02-09
[64] 웹사이트 2011 Census of Population – Data products https://www12.statca[...] 2017-02-08
[65] 문서 If China is an Economic Miracle, Why Are Their Millionaires Leaving? – Business Insider http://articles.busi[...] 2011-11-07
[66] 뉴스 Why is Canada keeping out China's rich? http://business.fina[...] 2012-03-03
[67] 웹사이트 Chinese Entrepreneurs Transforming the Economy of Prince Edward Island (PEI) http://www.immigrati[...]
[68] 웹사이트 - Buy Farm -Chinese immigrant farmers http://www.ccagr.com[...]
[69] 서적 World Religion Database Brill
[70] 서적 Religious Preference of Chinese Canadian, from Census 1971–2001 World Scientific 2014
[71] 서적 The Chinese Community in Canada http://www.statcan.g[...] Statistics Canada 2011-10-22
[72] 웹사이트 Chinese Immigrants' Kids Play Balancing Role https://www.npr.org/[...] NPR 2009-07-30
[73] 웹사이트 Expectations of Chinese Immigrant Parents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The Interplay of Chinese Tradition and the Canadian Context http://www.csse-scee[...] Canadian Journal of Education 2012-04-20
[74] 웹사이트 York Events: CERIS presentation: Chinese Immigrant Parents' Communication with School Teachers http://www.yorku.ca/[...] Yorku.ca 2012-03-16
[75] 웹사이트 Chinese Immigrant Parent's Communication with School Teachers http://www.ceris.met[...] York University
[76] 웹사이트 Chinese in Canada http://asia-canada.c[...] Asia/Canada 2012-05-27
[77] 웹사이트 Culture of Canada https://www2.viu.ca/[...] Vancouver Island University 2015-11-05
[78] 웹사이트 A True North guide to Canadian values http://www.canada.co[...] Canada.com 2011-06-30
[79] 웹인용 Immigration and Ethnocultural Diversity Highlight Tables http://www12.statcan[...] statcan.gc.ca 2018-02-16
[80] 웹인용 Immigration and Ethnocultural Diversity in Canada http://www12.statcan[...] 2013-12-29
[81] 문서
[82] 웹인용 People Name: Han Chinese, Cantonese of Canada http://www.peoplegro[...] People Groups 2013-03-27
[83] 서적 Chinese-Canadians, Canadian-Chinese: Coping and Adapting in North America Edwin Mellen 1999-01
[84] 웹인용 Ethnocultural Portrait of Canada - Data table http://www12.statcan[...] 2.statcan.ca 2012-05-02
[85] 웹인용 Classification of visible minority - 1.1 - Chinese https://www23.statca[...] 2022-01-23
[86] 웹인용 Focus on Geography Series, 2016 Census https://www12.statca[...] 2019-07-04
[87] 간행물 Chinese Canadians: Enriching the cultural mosaic http://www.statcan.c[...] 2008-05-11
[88] 웹인용 If China is an Economic Miracle, Why Are Their Millionaires Leaving? - Business Insider http://articles.busi[...] 2022-10-05
[89] 뉴스 Might Davos Be a Layover for Chinese 'Migratory Birds'? - NYTimes.com http://rendezvous.bl[...] Rendezvous.blogs.nytimes.com 2012-05-02
[90] 뉴스 Many Rich Chinese Consider Leaving - WSJ.com https://www.wsj.com/[...] Online.wsj.com 2012-05-02
[91] 뉴스 Why is Canada keeping out China's rich? http://business.fina[...] 2012-09-26
[92] 웹인용 Why is Canada keeping out China's rich? http://www.canada.co[...] Canada.com 2012-05-02
[93] 웹인용 Chinese Entrepreneurs Transforming the Economy of Prince Edward Island (PEI) http://www.immigrati[...] 2015-02-25
[94] 웹인용 - Buy Farm -Chinese immigrant farmers http://www.ccagr.com[...] 2009-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