짬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짬뽕은 중국 산둥 지방의 차오마몐에서 유래되었으며, 음식 이름은 일본의 잔폰에서 유래했다. 일제강점기 시대에 한국식 중국 요리인 초마면이 일본의 잔폰과 유사하다고 여겨져 짬뽕으로 불리게 되었다. 1960년대부터 고추기름과 고춧가루를 사용하여 매운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며, 굴짬뽕, 삼선짬뽕, 비빔짬뽕, 짬뽕밥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수 - 우동
우동은 일본의 면 요리로, 굵고 쫄깃한 면발이 특징이며 따뜻한 국물이나 차가운 츠유에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어 일본 각지의 특색을 살린 여러 종류가 있고,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인기를 얻어 각 나라의 식문화에 맞게 변형되기도 한다. - 국수 - 칼국수
칼국수는 밀가루 반죽을 칼로 썰어 만든 면을 사용하여 만든 한국의 국수 요리로, 조선시대에는 고급 음식이었으나 한국전쟁 이후 대중화되었으며, 멸치, 바지락, 닭 등으로 우려낸 육수에 채소를 넣어 끓여 먹고, 지역과 재료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우동과의 기원 논쟁이 있기도 하다. - 한국식 중국 요리 - 짜장면
짜장면은 한국에서 대중적인 면 요리로, 춘장, 채소, 고기 등을 볶아 만든 소스를 밀가루 면에 비벼 먹는 한국식 중화 요리의 대표 메뉴이며, 중국 짜장면에서 유래되어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변형되었고, 저렴한 가격과 간편함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어 특별한 날에 즐겨 먹는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 한국식 중국 요리 - 유린기
유린기는 닭고기를 튀겨 소스를 곁들여 먹는 중화 요리로, 닭고기 종류, 소스, 튀김옷에 따라 다양하게 조리되며, 중국 광둥 요리가 기원이다. - 한국의 국수 요리 - 칼국수
칼국수는 밀가루 반죽을 칼로 썰어 만든 면을 사용하여 만든 한국의 국수 요리로, 조선시대에는 고급 음식이었으나 한국전쟁 이후 대중화되었으며, 멸치, 바지락, 닭 등으로 우려낸 육수에 채소를 넣어 끓여 먹고, 지역과 재료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우동과의 기원 논쟁이 있기도 하다. - 한국의 국수 요리 - 잡채
잡채는 여러 채소를 섞어 만든 음식으로, 당면, 채소, 고기 등을 간장 양념에 버무려 만든 한국 요리이며, 궁중 연회에서 시작되어 당면 도입 후 현재 형태로 발전, 명절이나 잔칫날에 즐겨 먹는다.
| 짬뽕 - [음식]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짬뽕 |
| 한국어 표기 | 짬뽕 |
| 한자 표기 | 攙烹 |
| 로마자 표기 | jjamppong |
| 매큔-라이샤워 표기 | tchamppong |
| IPA 표기 | t͈ɕam.p͈oŋ |
| 다른 뜻 | 잔폰 (일본 국수 요리) |
| 음식 정보 | |
| 종류 | 국수 |
| 요리 종류 | 주요리 |
| 제공 온도 | 뜨겁게 |
| 원산지 | 중국 (원래), 한국 (도입) |
| 지역 | 동아시아 |
| 국가 요리 | 한국식 중화 요리 |
| 1인분 크기 | 100g |
| 기타 정보 | |
2. 유래
이 음식은 중국 산둥식 "차오마몐(炒碼麵|초마면중국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음식 이름은 일본어인 "잔폰(ちゃんぽん일본어)"에서 유래하였다.[8][9][10]
짬뽕은 중국 산둥식 "차오마몐(炒碼麵|초마면중국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음식 이름은 일본어인 "잔폰(ちゃんぽん일본어)"에서 유래하였다.[8][9][10]
일부 식당에서는 감자탕에서 영감을 받은 뼈짬뽕을 판매하는데, 돼지 등뼈 육수, 볶은 해산물, 칠리 오일, 야채를 섞어 만든다. 고추짬뽕은 청양고추를 추가하여 매운맛을 더했다. 일부 식당에서는 짬뽕을 팬에 볶아서 제공하기도 한다.
일본의 잔폰은 짬뽕과 달리 푸젠식 "먼몐(燜麵|민면중국어)"에서 유래된 음식이지만, 일제 강점기 때 조선의 청요리인 초마면이 일본의 잔폰과 유사하다고 여겨 "짬뽕"으로 불리게 되었다.[9]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은 한국의 중국 식당에서 짜오마미엔을 보고 하얀 국물이 찬폰 국물과 비슷하다고 여겨 찬폰이라고 불렀고, 이후 일본어 단어가 한국어로 '짬뽕'으로 음역되었다.[6]
찬폰의 제조 과정을 고려해 볼 때, 탕로우쓰미엔(湯肉絲麵중국어)의 한 종류인 짜오마미엔의 수출된 버전은 돼지고기와 닭 뼈를 삶아 육수를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짬뽕의 기본 육수는 1960년대부터 고추가루와 고추기름을 첨가하여 볶은 해산물과 채소를 주로 사용하는 점에서 다르다.[6]
인천의 짬뽕은 중국 산둥식 차오마미엔(炒碼麺)이 변화하여 만들어졌지만, 일본 나가사키의 짬뽕은 중국의 푸젠식 멘미엔(焖麺)이 변화하여 만들어졌다.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이 한국의 중화요리점에서 판매하는 이 음식을 보고 "짬뽕"이라고 명명했다.[7]
3. 역사
일본의 잔폰은 짬뽕과 달리 푸젠식 "먼몐(燜麵|민면중국어)"에서 유래된 음식이지만, 일제 강점기 때 조선의 청요리인 초마면이 일본의 잔폰과 유사하다고 여겨 "짬뽕"으로 불리게 되었다.[9] 일제강점기(1910~1945) 동안 일본인들은 한국의 중국 식당에서 짜오마몐을 보고 하얀 국물이 잔폰 국물과 비슷하다고 여겨 찬폰이라고 불렀으며, 이후 일본어 단어가 한국어로 '짬뽕'으로 음역되었다.[6]
잔폰의 제조 과정을 고려해 볼 때, 탕로우쓰미엔(湯肉絲麵중국어)의 한 종류인 짜오마몐의 수출된 버전은 돼지고기와 닭 뼈를 삶아 육수를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짬뽕의 기본 육수는 1960년대부터 고춧가루와 고추기름을 첨가하여 볶은 해산물과 채소를 주로 사용하는 점에서 다르다.[6]
중국의 푸젠식 멘미엔(焖麺)이 변화하여 만들어진 일본 나가사키의 짬뽕과 달리, 한국 인천의 짬뽕은 중국의 산둥식 차오마몐(炒碼麺)이 변화하여 만들어졌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한국의 중화요리점에서 판매하는 이 음식을 보고 "짬뽕"이라고 명명했다.[7]
4. 종류
4. 1. 일반 짬뽕
일반적인 짬뽕은 제철 채소를 많이 쓰며, 해산물이 많이 들어간다. 고추기름하고 고춧가루를 넣어서 매콤한 맛을 낸다. 요즘의 한국식 짬뽕은 붉은 색을 띄고 맵지만 초창기의 짬뽕 국물은 멀겋고 뿌연 회색 빛이었다. 한국인 입맛에 맞춰 여러 해산물을 넣다가 1960년대부터는 매운맛을 가미하게 되었고, 한동안 중국집 메뉴에 짬뽕과 매운 짬뽕이 공존하다가 1980년대에는 원래의 짬뽕은 자취를 감추고 매운 짬뽕만을 짬뽕으로 부르게 되었다.[9]
굴짬뽕이 짬뽕의 원형에 가깝다. 짬뽕에는 여러 가지 해산물과 각종 채소가 많이 들어가 푸짐하게 만들며, 면은 일반적으로 짜장면과 같은 것을 쓴다. 보통은 국물을 따로 만들어 두었다가 삶은 면에 부어 내놓기 때문에 짜장면처럼 빠르게 내놓을 수 있다. 볶음밥 같은 음식에 곁들여 국물로 내놓기도 한다.
중국의 복건식 멘미엔(焖麺)이 변화하여 만들어진 일본 나가사키의 짬뽕과 달리, 한국 인천의 짬뽕은 중국의 산둥식 차오마미엔(炒碼麺)이 변화하여 만들어졌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한국의 중화요리점에서 판매하는 이 음식을 보고 "짬뽕"이라고 명명했다.[7]
국물은 돼지뼈 등으로 우려내지만, 고춧가루가 들어가 있어 붉고 매운 맛이다. 주요 재료는 오징어, 새우, 조개, 굴, 해삼, 양파, 당근, 표고버섯, 목이버섯, 돼지고기 등이다. 흰밥에 짬뽕 국물과 재료를 얹으면 짬뽕밥이 된다.
농심, 삼양식품, 오뚜기가 즉석 짬뽕을 제조하고 있다. 맵지 않은 일본식 짬뽕도 즉석식품을 중심으로 판매되고 있다.
4. 2. 굴짬뽕
보통 한국의 짬뽕은 매운 맛이 많이 나는 붉은 짬뽕이지만 굴짬뽕은 굴의 담백하고 시원한 맛을 살리기 위해 고춧가루와 고추기름을 뺀 맑은 하얀 국물로 내어 놓는다. 굴짬뽕은 굴을 넣고 보통 매콤한 흰색 국물에 담아 내는데, 사천탕면이라고도 한다.
4. 3. 삼선짬뽕
삼선짬뽕은 제철 해물을 듬뿍 넣고 즉석에서 볶아 국물을 만들어 고급스럽게 요리한 짬뽕이다. 일반 짬뽕보다 고급 재료와 신선한 맛을 더 느낄 수 있다. 삼선은 육(땅), 해(바다), 공(하늘)의 진미를 말하며, 땅에서 나는 귀한 한가지, 바다에서 나는 귀한 한가지, 하늘에서 나는 귀한 한가지를 넣는다는 뜻으로 송이버섯, 해삼, 꿩을 의미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일반 짬뽕보다 좋은 재료를 넣어 만들었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일부 식당에서는 삼선짬뽕이 더 다양한 해산물을 추가한 고가의 선택지를 의미한다.
4. 4. 비빔짬뽕
짬뽕이지만 국물이 없다. 즉 비빔면의 형태를 지닌 짬뽕으로서 국물이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보통의 짬뽕과 내용물이 동일하다. 다른 종류의 짬뽕과는 달리 가격이 비싸며 판매하는 곳도 많지 않다.
4. 5. 짬뽕밥
짬뽕밥은 면 대신 당면과 밥을 함께 제공하는 국밥 형태의 음식으로, 한국의 중국 음식점에서 단골 메뉴로 꼽힌다. 짬뽕밥은 면 대신 밥을 사용하며, 흰밥에 짬뽕 국물과 재료를 얹어 만든다.[7]
4. 6. 기타 짬뽕
일부 식당에서는 삼선짬뽕을 더 다양한 해산물을 추가한 고가의 선택지로 판매한다. 감자탕에서 영감을 받은 뼈짬뽕은 돼지 등뼈 육수, 볶은 해산물, 칠리 오일, 야채를 섞어 만든다. 굴짬뽕은 굴을 넣고 보통 매콤한 흰색 국물에 담아 내는데, 사천탕면이라고도 한다. 고추짬뽕은 청양고추를 추가하여 매운맛을 더한 짬뽕이다. 일부 식당에서는 짬뽕을 팬에 볶아서 제공하기도 한다. 짬뽕밥은 면 대신 밥을 사용한다.
5. 재료
일반적인 짬뽕은 제철 채소를 많이 쓰며, 해산물이 많이 들어간다. 고추기름하고 고춧가루를 넣어서 매콤한 맛을 낸다. 짬뽕에는 여러 가지 해산물과 각종 채소가 많이 들어가 푸짐하게 만든다.[9] 면은 일반적으로 짜장면과 같은 것을 쓴다.
국물은 돼지뼈 등으로 우려내지만, 고춧가루가 들어가 있어 붉고 매운 맛이다. 주요 재료는 오징어, 새우, 조개, 굴, 해삼, 양파, 당근, 표고버섯, 목이버섯, 돼지고기 등이다.
6. 즉석 짬뽕
농심, 삼양식품, 오뚜기는 즉석 짬뽕을 제조하고 있다. 맵지 않은 일본식 짬뽕도 즉석식품을 중심으로 판매되고 있다.
7. 언어적 표현
짬뽕이라는 말은 서로 다른 것들이 한데 섞여 있는 것을 가리키거나 '-하다'를 붙여 '짬뽕하다'라는 말로 일상에서 자주 쓰이는데, 짬뽕이라는 음식 이름뿐 아니라 이런 언어 표현 역시 일본어에서 유래하였다.[10]
참조
[1]
뉴스
Recipe: Jjampong (Spicy Seafood Noodle Soup)
https://www.wsj.com/[...]
2016-02-02
[2]
서적
The World Cup of Soups: A Recipe Book
https://books.google[...]
Xlibris
2020-10-02
[3]
서적
A World of Noodles
https://books.google[...]
Countryman Press
2020-10-02
[4]
웹사이트
Jjamppong
https://rasamalaysia[...]
2019-10-12
[5]
웹사이트
짬뽕(炒馬麵)
http://encykorea.aks[...]
[6]
뉴스
[명사 70인과의 동행] (38) "중국 초마면 본 일본인이 짬뽕이라 불러"…한국 근대를 맛보다
http://biz.khan.co.k[...]
2017-03-17
[7]
웹사이트
명사 70인과의 동행 (38) “중국 초마면 본 일본인이 짬뽕이라 불러”…한국 근대를 맛보다
http://biz.khan.co.k[...]
[8]
웹인용
짬뽕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8-03-25
[9]
뉴스
[명사 70인과의 동행] (38) “중국 초마면 본 일본인이 짬뽕이라 불러”…한국 근대를 맛보다
https://m.khan.co.kr[...]
2017-03-17
[10]
간행물
'자장면', '짬뽕'
http://www.korean.go[...]
국립국어원 〈우리말 바로 알기〉
2004-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