짜장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짜장면은 중국 산둥 지역의 자장몐(炸醬麵)이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변형된 음식으로, 1890년대 인천항 부두 노동자들이 춘장에 국수를 비벼 먹던 것에서 유래했다. 1905년 인천 차이나타운에 공화춘이 문을 열면서 짜장면을 판매하기 시작했고, 1950년대에는 춘장에 캐러멜을 넣어 단맛을 내는 방식으로 변화하며 중국 자장몐과는 다른 음식이 되었다. 1960년대에는 감자와 양파를 넣어 원가를 절감했고, 분식 장려 운동과 산업화 시대를 거치며 대중적인 음식이 되었다. 2011년에는 '짜장면'이 표준어로 인정되었으며, 다양한 종류와 조리법, 그리고 대중문화 속에서 폭넓게 사랑받는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수 - 우동
우동은 일본의 면 요리로, 굵고 쫄깃한 면발이 특징이며 따뜻한 국물이나 차가운 츠유에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어 일본 각지의 특색을 살린 여러 종류가 있고,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인기를 얻어 각 나라의 식문화에 맞게 변형되기도 한다. - 국수 - 칼국수
칼국수는 밀가루 반죽을 칼로 썰어 만든 면을 사용하여 만든 한국의 국수 요리로, 조선시대에는 고급 음식이었으나 한국전쟁 이후 대중화되었으며, 멸치, 바지락, 닭 등으로 우려낸 육수에 채소를 넣어 끓여 먹고, 지역과 재료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우동과의 기원 논쟁이 있기도 하다. - 한국식 중국 요리 - 유린기
유린기는 닭고기를 튀겨 소스를 곁들여 먹는 중화 요리로, 닭고기 종류, 소스, 튀김옷에 따라 다양하게 조리되며, 중국 광둥 요리가 기원이다. - 한국식 중국 요리 - 마라탕
마라탕은 쓰촨성 러산 지역에서 유래한 화자오와 말린 고추로 맛을 낸 마라 소스를 사용한 음식으로, 손님이 직접 고른 다양한 재료를 무게에 따라 가격을 매기는 방식이 특징이며, 한국에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고 있지만 위생 논란도 있다. - 볶음국수 - 팟 타이
팟타이는 쁠랙 피분송크람 총리의 정책으로 개발되어 제2차 세계대전 중 태국 국민 음식으로 자리 잡은, 쌀국수와 여러 재료를 볶아 만든 새콤달콤짭조름한 태국식 볶음 요리이며, 기원에 대한 논란이 있다. - 볶음국수 - 야키소바
야키소바는 제2차 세계 대전 후 중국식 볶음면에서 유래된 일본의 볶음면 요리로, 중화면을 돼지고기, 양배추 등과 함께 볶아 소스 등으로 간을 하고 고명을 얹어 먹으며, 지역 특색을 살린 야키소바와 인스턴트 야키소바로도 판매된다.
짜장면 - [음식]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짜장면 |
다른 이름 | 자장면 |
국가 | 중국 (원래), 한국 (도입) |
지역 | 동아시아 |
요리 종류 | 한국식 중국 요리, 면 |
코스 | 메인 |
주요 재료 | 돼지고기, 양파, 양배추, 밀가루 |
부가 재료 | 감자, 호박, 해산물 |
맛 | 달콤하고 짭짤함 |
특징 | 면이 두껍고 부드러움 |
상세 정보 | |
주재료 | 추면, 춘장, 고기, 채소, 때로는 해산물 |
변형 | 간짜장 |
1인분 | 650g |
열량 | (간짜장 기준) 825 |
역사 | |
기원 | 1905년 중국 이민자들이 한국에 소개 |
변화 | 짠맛에서 단맛으로 변형 (카라멜 첨가) |
한국어 표기 | |
한글 | 자장면, 짜장면 |
한자 | 炸醬麵 |
로마자 표기 | jajangmyeon, jjajangmyeon |
발음 | , |
일본어 표기 | |
가타카나 | チャジャンミョン |
로마자 표기 | chajangmyun |
참고 자료 | |
관련 자료 | Restaurant Prices of 8 Popular Meals All Surged in 2022 |
관련 자료 | Korean jajangmyeong popular in China |
관련 자료 | Jajangmyeon |
기타 | |
![]() |
2. 역사
짜장면은 19세기 후반 산둥성 출신 중국 이주 노동자들에 의해 한국 인천으로 전해졌다.[9] 1905년 인천 차이나타운의 공화춘에서 짜장면을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현재 이 건물은 짜장면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10]
1960년대~1970년대 대한민국 정부의 분식장려운동과 짧은 조리 시간은 산업화 시대와 맞물려 짜장면의 전성기를 이끌었다.[43] 1950년대 중반 한국전쟁 직후, 짜장면은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되어 인천항의 상인과 부두 노동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전국으로 퍼져나가, 한국 고유의 음식으로 자리 잡았다.[12]
2. 1. 유래
짜장면은 중국 산둥반도 지역의 가정식이었던 자장몐(炸醬麵)이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변하여 만들어진 음식이다. 1890년대 중국 산둥(山東) 지방에서 건너 온 부두 근로자인 쿠리(苦力·하역 인부)들이 인천항 부둣가에서 간단히 끼니를 해결하기 위해 춘장에 국수를 비벼 먹던 음식이 짜장면의 시작이었다.[38]이후 청조계지를 중심으로 짜장면을 만들어 파는 중식음식점이 많이 생겼는데, 흔히 '원조 짜장면 집'으로 알려진 공화춘은 1905년에 문을 열었다.[39][40] 1948년 영화장유가 창업하여 짜장면용 면장을 만들어 공급하기 시작하였다. 한국 전쟁 직후인 1950년대 중반, 영화장유의 사장 왕송산은 춘장에 캐러멜을 넣어 단맛이 나도록 하고 사자표 춘장이라는 상품명으로 출시하였다. 이로써 한국의 짜장면은 여러모로 중국의 자장몐과는 다른 음식이 되었다.[41] 1960년대에 짜장면의 원가를 낮추기 위해 감자와 양파를 넣게 되었다.[42]
1882년의 임오군란으로 청 군대가 조선에 들어온 것을 계기로 19세기 말부터 화교의 조선 이주가 진행되었다.[27] 이들 화교의 90% 이상이 산둥성 출신이었기 때문에, 산둥성의 가정 요리였던 짜장면이 조선인들에게도 퍼져나갔고, 간편하고 맛이 좋아 인천에서 전국으로 퍼진 것으로 보인다.[16] 인천 차이나타운에서 정희광이 창업한 산동회관이라는 호텔 겸 중화요리점이 짜장면 발상지로 인정되고 있으며, 중화민국 건국을 축하하여 1912년에 공화춘으로 개명했다고 한다.[27][28]
공화춘이 짜장면 판매를 시작했다는 견해에 대한 의문점은 다음과 같다.[27]
- 인천시립박물관 조사에 따르면, 공화춘 건물은 1930년경에 건설되었다.
- 공화춘이 판매를 처음 시작했다는 문서 자료나 증언이 존재하지 않는다.
- 짜장면은 일반적인 가정 요리였으며, 공화춘만이 메뉴로 한정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2. 2. 한국 짜장면의 발전
짜장면은 중국 산둥반도 지역의 가정식 자장몐이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변화된 음식이다.[37] 1890년대 중국 산둥 지방에서 건너온 부두 노동자(쿠리)들이 인천항 부둣가에서 춘장에 국수를 비벼 먹던 것이 짜장면의 시작이었다.[38]1905년에는 청조계지를 중심으로 짜장면을 파는 중식음식점이 많이 생겼는데, '원조 짜장면 집'으로 알려진 공화춘이 문을 열었다.[39][40] 1948년 영화장유가 창업하여 짜장면용 면장을 만들어 공급하기 시작하였다. 한국 전쟁 직후인 1950년대 중반, 영화장유의 사장 왕송산은 춘장에 캐러멜을 넣어 단맛이 나도록 하고 사자표 춘장이라는 상품명으로 출시하였다.[41] 이로써 한국 짜장면은 중국 자장몐과 다른 음식이 되었다.[41]
1960년대에는 짜장면 원가를 낮추기 위해 감자와 양파를 넣게 되었다.[42] 1960년대~1970년대 대한민국 정부의 분식장려운동과 짧은 조리 시간은 산업화 시대와 맞아 떨어지면서 짜장면은 전성기를 맞았다.[4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한국에서는 화교가 경영하는 중국 요리점이 증가하였고, 1973년에는 정부가 분식을 장려하는 정책을 펼쳐, 1960년대부터 1970년대에 걸쳐 짜장면은 한국 내에서 급속도로 보급되었다.[17][27] 1948년에 왕산성이 춘장에 캐러멜을 첨가하여 춘장을 개발한 것도 한국인에게 친숙한 맛을 내는 데 영향을 주었다.[28]
1974년에는 짜장면이 물가의 기본 품목으로 지정되어 가격 인상이 금지되었다.[27] 1980년에는 화교 경영 중국 요리점이 감소했지만, 한국인이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점포 등이 증가하여 2009년에는 한국의 중국 요리점이 약 24,000개에 달하게 되었다.[27]
2011년 8월 31일, 국립국어원은 '짜장면'을 표준어로 추가했다.[30] 2012년에는 짜장면의 발상지로 여겨지는 공화춘 건물이 짜장면 박물관이 되었다.[28][31][32]
2. 3. 명칭 논쟁과 표준어 등재
1986년 문교부(현 교육부) 고시 외래어 표기법과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자장면'만이 표준어이자 맞춤법에 맞는 표기로 등재되어 있었다.[45] 그러나 2002년 국립국어원 표준 발음 실태 조사에 따르면, 서울·경기 지방 사람 210명 중 151명이 '자장면'이 아닌 '짜장면'으로 발음했다.[46]국립국어원 박용찬은 자장면이 짬뽕과 달리 중국 된장을 뜻하는 '자장'과 한자어 '면'(麵)의 결합 형태로 보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45] 반면, 시인 안도현은 작품 《짜장면》에서 "짜장면을 먹자고 해야지, 자장면을 먹자고 하면 영 입맛이 당기지 않을 게 뻔하다."라고 썼다.[47] 또한 "짜장면은 자장면으로 쓰면서 짬뽕은 왜 잠봉이 아닌지[48] 의문"이라며 현행 외래어 표기법을 비판했다.[49]
2009년 5월 17일 SBS 스페셜 164회 "자장면의 진실"은 "짜장면" 표기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프로그램 자체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 91.8%가 "짜장면"으로 부르고 있었다.[50]
2011년 8월 31일, 국립국어원은 "짜장면"이 실생활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는 현실을 반영하여, 아나운서 등을 제외하고는 거의 쓰이지 않는 "자장면"과 함께 "짜장면"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였다.[51]
3. 특징
짜장면은 중화요리에서 파생된 면 요리이다. 짜장면은 주로 티엔미엔장을 사용하지만, 한국식 짜장면은 춘장을 사용하며, 한국인의 기호에 맞춰 기름기와 고기가 줄어들었다.[16] 한국식 짜장면은 단맛이 나는 경우가 많다. 한국 중화요리에서는 짬뽕, 탕수육과 함께 대표적인 음식이다.[18]
2005년 한국에서는 하루 평균 720만 그릇의 짜장면이 소비되어 국민음식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6] 2006년에는 한국 정부에 의해 『100가지 한국 전통 문화의 상징』으로 지정되었다.[19] 2009년 조사에 따르면, 일반적인 짜장면은 한 그릇에 2500KRW~4000KRW 정도였고, 사천짜장면이나 삼선짜장면은 6000KRW 정도였다.[21] 중국 음식점에서는 한 그릇부터 오토바이 등을 이용한 배달을 받기 때문에 직장이나 가정에서 주문하는 경우가 많다.[17]
또한, 짜장면은 색깔 때문에 블랙데이의 음식이 되었으며[19], "올해도 짜장면을 먹을 것 같아"와 같은 대사(블랙데이=4월 14일까지 연인이 없을 것 같다는 의미)가 한국 드라마나 소설 등에 자주 등장한다. 졸업식 후 가족끼리 짜장면을 먹는 풍습도 있었다.[28]
3. 1. 재료 및 조리법
짜장면은 굵은 국수에 검은색에 가까운 양념을 얹어 비벼 먹는 음식이다.- '''국수''': 짜장면은 밀가루를 반죽하여 늘려 만든 굵은 국수가락을 사용한다. 스파게티 면보다는 굵고 우동 면보다는 가늘다. 면은 밀가루, 소금, 베이킹소다, 물로 만들어지며, 손으로 치거나 기계로 뽑는다.[13] 계란은 들어가지 않는다.[16]
- '''양념''': 돼지고기, 양파 등에 춘장을 넣어 식용유와 함께 볶아 만든다. 춘장은 볶은 춘장에 간장(혹은 굴소스)을 섞고, 고기(주로 돼지고기, 때로는 소고기), 해산물(주로 오징어나 새우), 향신료(파, 생강, 마늘), 채소(주로 양파, 애호박 또는 한국 호박, 또는 배추), 육수, 전분 용액 등을 넣어 만든다.[13] 차장 소스를 만들 때는 춘장을 기름에 볶고, 그 기름에 다진 고기와 양파 등을 볶는다.[20] 여기에 감자전분 등의 전분을 물에 풀어 섞는다.[16] 목이버섯, 양배추, 감자, 주키니, 당근 등도 재료로 사용된다.[16] 조미료로는 설탕, 소금, 후추, 굴소스 등을 사용하기도 한다.[25]

짜장면에는 오이 채, 파, 계란 고명(삶은 계란 또는 지단), 데친 새우 또는 볶은 죽순 조각을 얹기도 한다.[13] 보통 단무지, 생양파, 춘장 소스를 곁들여 양파를 찍어 먹도록 제공한다.[13] 곁들임으로는 깍두기와 양파가 나온다.[22]
3. 2. 영양
짜장면 1인분의 열량은 대략 700kcal 정도로, 이는 한국 성인 기준 남성 1일 섭취량의 28%, 여성의 35%이다.[35]4. 종류
짜장면은 원재료와 조리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 '''간짜장''': 물과 녹말가루를 넣지 않고 춘장을 기름에 볶아 만든다.[36] 면과 짜장 소스가 따로 나오며, 양파의 아삭한 식감이 특징이다. 부산 등 남부 지방에서는 계란 프라이를 곁들이기도 한다.
- '''삼선짜장''': 새우, 오징어, 해삼 등 해산물을 넣어 만든다.[36] '삼선'은 세 가지 신선한 재료를 뜻하는 중국어에서 유래했다.[14]
- '''유니짜장''': 채소와 고기를 잘게 갈아 넣어 부드러운 짜장이다.[36] '유니'는 다진 고기를 뜻하는 중국어 肉泥(육니)의 산둥 지방 발음에서 왔다.[36]
- '''유슬짜장''': 재료를 실처럼 가늘고 길쭉하게 채 썰어 국수와 같이 볶아 넓은 접시에 담아낸다.[36] '유슬'은 채 썬 고기를 뜻하는 중국어 肉絲(육사)의 산둥 지방 발음에서 유래했다.[36]
- '''옛날짜장''': 소스가 묽고 감자가 들어가 춘장의 맛이 부드럽다.
- '''사천짜장''': 춘장 대신 두반장을 사용하고, 고추나 겨자를 넣어 매운 맛이 특징이다.[20][25] 두반장만 사용하면 붉은색을 띤다.
- '''쟁반짜장''': 큰 쟁반에 볶은 짜장을 올려 여럿이 함께 먹는 짜장이다. 해물을 넣은 해물 쟁반짜장이 대표적이다.
- '''짜장밥''': 면 대신 밥에 짜장을 비벼 먹는 음식이다.
이 외에도, 짜파게티, 짜짜로니 등 짜장 라면도 인기를 얻고 있다.[26]


5. 대중문화 속 짜장면
짜장면은 저렴한 가격으로 어디서나 시켜 먹을 수 있어 한국 사람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북극해 횡단을 3개월 만에 마친 등산가 허영호는 인터뷰에서 가장 먹고 싶은 음식으로 짜장면을 꼽아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한국에서 외식산업이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전인 1980년대 이전에는 서민들이 외식할 때 가장 쉽게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인기가 높았으며, 특히 입학·졸업[44]·생일, 이사하는 날 등에 가족들이 함께 즐겨 먹었다.
god의 1집 수록곡 《어머님께》에서도 짜장면을 통해 돌아가신 어머니에 대한 기억을 떠올리는 내용이 나온다. 노래뿐만 아니라 영화 《주유소 습격사건》, 《살인의 추억》과 드라마 《환상의 커플》 등 많은 작품에서 짜장면이 등장했다. 허영만 화백의 만화 《식객》에서는 중화요리의 대를 이어온 화교 삼부자 이야기에 짜장면이 등장했다.
2005년에는 한국에서 하루 평균 720만 그릇이 소비되어 국민음식으로 여겨지기도 했다.[16] 2006년에는 한국 정부에 의해 『100가지 한국 전통 문화의 상징』으로 지정되었다.[19]
또한, 색깔 때문에 블랙데이의 음식이 되었으며,[19] "올해도 짜장면을 먹을 것 같아"와 같은 대사(블랙데이=4월 14일까지 연인이 없을 것 같다는 의미)가 한국 드라마나 소설 등에 자주 등장한다. 졸업식 후 가족 모두 짜장면을 먹는 풍습도 있었다.[28]
6. 짜장면과 관련된 날
블랙데이에는 짜장면을 먹는 경우가 많으며,[19] "올해도 짜장면을 먹을 것 같아"와 같은 대사(블랙데이=4월 14일까지 연인이 없을 것 같다는 의미)가 한국 드라마나 소설 등에 자주 등장한다. 졸업식 후에는 가족 모두 짜장면을 먹는 풍습도 있었다.[28]
7. 가격
1963년 무렵 짜장면 한 그릇의 가격은 20~30원이었다.[52] 2010년 가격을 100으로 하였을 때 짜장면의 물가 지수는 아래 표와 같다.[53]
참조
[1]
웹사이트
Korea's 'Black Day' noodle dish and its Chinese roots
https://www.scmp.com[...]
2017-03-10
[2]
웹사이트
Restaurant Prices of 8 Popular Meals All Surged in 2022
http://world.kbs.co.[...]
2023-01-13
[3]
웹사이트
Korean jajangmyeong popular in China
https://www.koreatim[...]
2023-01-23
[4]
웹사이트
Jajangmyeon
https://www.gastroto[...]
2023-01-23
[5]
위키소스
대한민국 외래어 표기법(제85-11호)
[6]
뉴스
그래도 짜장면 이다
http://www.hani.co.k[...]
2005-10-05
[7]
뉴스
[밀물썰물] 짜장면 시위
http://news20.busan.[...]
2016-10-12
[8]
뉴스
'짜장면', 표준어 됐다
http://www.yonhapnew[...]
2011-08-31
[9]
웹사이트
Chinese, Korean and Japanese Versions of One Noodle Bowl and Where to Find Them
https://www.westword[...]
2016-04-12
[10]
웹사이트
[Visual History of Korea] Jjajangmyeon, Korean Chinese dish invented in Incheon by Chinese migrant workers
https://www.koreaher[...]
2022-03-24
[11]
웹사이트
[ICONIC FOOD] Jajangmyeon, a dish full of emotions: The famous black noodles have gone from copied special luxury to a cheap comfort
https://koreajoongan[...]
2019-03-31
[12]
웹사이트
장면
http://korean.visitk[...]
2018-04-21
[13]
웹사이트
Jjajangmyeon
https://www.doopedia[...]
Doosan Corporation
2017-07-22
[14]
뉴스
집밥 백선생' 백종원이 알려주는 짜장면의 종류, 간짜장·유니짜장·쟁반짜장의 차이는?
http://www.sportsq.c[...]
2015-08-19
[15]
논문
Pronunciation Errors in Korean Syllable Coda by Native Chinese Speakers
http://www.dbpia.co.[...]
2014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Youtube
チャジャン麺の混ぜ方
iXGCYFAgO54
2009-12-22
[24]
서적
文芸春秋
[25]
웹사이트
キーワードで見る食文化 チャジャンミョン
http://www.yangnyeom[...]
モランボン薬念研究所
2019-01
[26]
서적
[27]
서적
[28]
웹사이트
第338話 韓国のジャージャー麺、チャジャンミョンについて
http://rki.kbs.co.kr[...]
韓国放送公社
2015-02-26
[29]
웹사이트
チャジャン麺がジャージャー麺だったワケ
https://megalodon.jp[...]
朝鮮日報
2011-09-01
[30]
웹사이트
「チャジャン麺」が標準語に] 39語を標準語と認定
https://megalodon.jp[...]
朝鮮日報
2011-09-01
[31]
뉴스
자장면 발상지 ‘문화재 됐다’
http://www.hani.co.k[...]
ハンギョレ新聞
2006-04-14
[32]
웹사이트
짜장면박물관의 역사
https://www.icjgss.o[...]
인천중구시설관리공단
[33]
뉴스
돼지고기 수육, 칼로리 1위 … 나트륨 제일 많은 건 짬뽕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5-07-04
[34]
서적
음식천국, 중국을 맛보다
매일경제신문사
[35]
뉴스
[라이벌열전] 자장면 1인분, 열량은 얼마나 될까?
https://www.joongang[...]
일간스포츠
2008-04-10
[36]
뉴스
지위도 체통도 白旗투항… 온국민 홀린 '검은 마력'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37]
서적
짜장면뎐
프로네시스
2009
[38]
뉴스
짜장면-쫄면의 원조도시에 '누들타운' 만든다
https://news.v.daum.[...]
동아일보
2014-03-18
[39]
서적
자장면 경제학
좋은책만들기
2010
[40]
뉴스
자장면 발상지 '문화재 됐다'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06-04-14
[41]
서적
짜장면뎐
프로네시스
2009
[42]
서적
한국인, 무엇을 먹고 살았나: 한국 현대 식생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7
[43]
웹인용
"한국인, 하루에만 자장면 600만 그릇 먹죠"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9-03-22
[44]
웹인용
졸업식날 자장면 '옛말'
http://www.medipaper[...]
메디뉴스
2007-11-04
[45]
웹인용
‘짜짱면’, ‘짬뽕’
https://www.korean.g[...]
국립국어연구원
2021-05-23
[46]
서적
표준 발음 실태 조사
https://www.korean.g[...]
국립국어원
2002
[47]
웹인용
그래도 짜장면 이다
https://www.hani.co.[...]
한겨레
2021-05-23
[48]
백과사전
짬뽕의 어원
[49]
간행물
한국어 외래어 표기법의 문제점
배달말학회
[50]
웹인용
[SBS스페셜]⑤발음공방 '짜장면 대 자장면'
https://news.sbs.co.[...]
SBS
2021-05-23
[51]
웹인용
'짜장면', 표준어 됐다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1-05-23
[52]
뉴스
서민 굶주림 해결한 ‘라면의 代父’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4-07-12
[53]
웹사이트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대한민국 통계청
[54]
뉴스
글로벌 경제 '디스인플레' 조짐…돈 풀어도 물가는 주춤
http://www.hankyung.[...]
한국경제신문
2013-08-23
[55]
뉴스
자장면 값 두 배 올라도 쌀 값은 그대로
http://www.gnmaeil.c[...]
경남매일
2012-11-25
[56]
뉴스
여수시내 음식값 등 크게 올라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0-03-0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초저가' 짜장면에 손님 '바글바글'…얼마길래
'대결! 팽봉팽봉' 열흘간 대장정 마침표…진한 여운 선사하며 종영 | JTBC 뉴스
“돈 없다면서”…추경에 10억짜리 짜장면 축제 예산 세운 인천시
인생에 ‘절대 어쩌구저쩌구’는 없지 [양희은의 어떤 날]
'팽봉팽봉' 이은지, 근무 중 “한국 가고 싶어” 폭탄 발언 | JTBC 뉴스
[오마주]이민자의 집밥, 그 뿌리는 어디일까···흔적 찾아 떠나는 여행
전국 방방곡곡 맛난 음식과 술 총정리
카카오톡으로 피자헛 피자를 주문해 보았다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