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치방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참치방어는 전갱이과에 속하는 유일한 종으로,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분포한다. 몸은 길쭉한 방추형이며, 옆면에 두 개의 푸른색 줄무늬가 있어 '무지개 깃대돔' 등으로 불린다. 주로 원해 상층부에 서식하며, 작은 물고기, 두족류, 갑각류 등을 먹고 산다. 상업 어업에서는 혼획으로 잡히며, 일부 지역에서는 레크리에이션 낚시 대상이 되기도 한다. 살은 식용으로 이용되지만, 시가테라 중독의 위험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갱이과 - 흑점줄전갱이
흑점줄전갱이는 몸 중앙의 노란색 옆줄과 아가미 뚜껑의 흑점이 특징인 전갱이목 어종으로, 전 세계 아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식용 가치가 높아 낚시 대상 및 고급 식재료로 이용된다. - 전갱이과 - 매지방어
매지방어는 농어목 전갱이과 아이브리속의 유일한 종으로, 최대 70cm까지 성장하며 인도양 및 서태평양 열대·아열대 해역에 분포하고, 육식성 어류로서 어업 대상이 되며 식용으로 사용된다. - 대서양의 물고기 - 바다칠성장어
바다칠성장어는 턱이 없는 원구류 어류로 흡반 모양의 입으로 다른 어류의 혈액을 섭취하며, 북대서양과 서대서양, 유럽과 북미 해안에 분포하고, 강에서 유생 시기를 거쳐 바다에서 기생 생활을 한 뒤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강해성 어류이지만, 북미 오대호에서는 침입종으로 분류되어 방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대서양의 물고기 - 청어과
청어과는 대서양과 태평양 연안에 주로 서식하는 해양 어류 분류군으로, 머리에 비늘이 없고 긴 아가미 갈퀴를 이용해 플랑크톤을 걸러 먹으며, 청어, 정어리, 멸치 등이 대표적이다.
참치방어 |
---|
2. 분류 및 명칭
무지개깃대돔은 단형 속인 ''Elagatis''의 유일한 종이며, 전갱이과에 속한다. 전갱이과는 농어목 농어아목 어류이다.[2] 1825년 프랑스 동물학자 장 르네 콩스탕트 콰이와 조제프 폴 가이마르가 처음 학명 ''Seriola bipinnulata''로 명명했다.[3] 이후 ''Elagatis bipinnulatus''로 학명이 변경되었으며, 계통발생학적으로 방어 속인 ''Seriola''와 가장 가깝다.[7]
몸은 길쭉한 방추형이며, 원통형에 가깝다. 머리와 주둥이는 길고 뾰족하며, 꼬리 지느러미 앞부분은 가늘다. 눈은 비교적 작고, 이빨은 턱에 융털 모양의 띠로 배열되어 있으며, 입천장과 혀에도 미세한 이빨이 있다.[10] 두 개의 등지느러미가 있는데, 첫 번째 등지느러미는 6개의 가시로 구성되어 있고, 두 번째 등지느러미는 1개의 가시와 25~30개의 연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지막 두 개는 별도의 지느러미 조각으로 되어 있다. 무지개 러너의 약 4%는 첫 번째 등지느러미에 가시가 5개밖에 없으며, 가시 없이 태어나는 것으로 보인다.[11] 뒷지느러미는 1개의 가시와 18~22개의 연조를 가지며, 등지느러미처럼 마지막 두 개는 지느러미 조각을 형성한다.[12] 가슴 지느러미는 작고 배 지느러미와 길이가 비슷하며 초승달 모양이 아니다. 꼬리 지느러미는 깊게 갈라져 있으며, 17개의 꼬리 줄기(등쪽 9개, 배쪽 8개)로 구성되어 있다.[2] 측선은 약간의 앞쪽 아치를 가지며 측선에는 가시가 없다.[2] 몸, 아가미 덮개 일부, 뺨, 가슴 지느러미, 배 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는 빗비늘로 덮여 있다. 이 종은 24개의 척추를 가지고 있다.[2]
몸 윗부분은 짙은 올리브색에서 파란색 또는 녹색이며, 아래로 갈수록 흰색으로 변한다. 옆면에는 두 개의 좁고 밝은 파란색 또는 푸르스름한 흰색 줄무늬가 세로로 뻗어 있고, 그 사이에 더 넓은 올리브색에서 노란색 줄무늬가 있다.[13] 이러한 눈에 띄는 색깔에서 영어 이름인 '무지개 러너(Rainbow runner)'가 유래되었다. 일본 이름인 "츠무"는 방추의 옛말로, 방어와 비슷하고 몸이 가늘고 긴 방추형을 하고 있는 데에서 유래한다.
참치방어는 전 세계의 열대 및 일부 아열대 해역에 서식한다. 서부 대서양에서는 매사추세츠주와 버뮤다에서 브라질 북동부까지, 북부 및 남부 멕시코만, 바하마, 대 앤틸리스 제도와 소 앤틸리스 제도를 포함하여 최소 아조레스 제도까지 뻗어 있다.[2] 태평양 전역에 널리 분포하지만, 인도양 일부 지역에서는 약간 덜 흔하며, 페르시아만에서는 드물거나 없다.[16]
참치방어는 전갱이과의 30개 속 가운데 하나인 ''Elagatis'' 속의 유일한 종이다. 크기가 작은 다양한 물고기, 두족류[48], 새우, 게 등을 잡아먹는다.[49] 몇 마리에서 수백 마리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의 무리를 형성하는 경우가 많으며, 회유성이 강하다. 생화학적 연구에 따르면 근육에 지방산 도코사헥사엔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는 다른 기관에 지질이 축적되어 근육에 지질이 적기 때문일 수 있다.[23] 참치와 같은 다른 회유성 어류도 이러한 적응을 가지고 있어, 이는 수렴 진화의 특징임을 시사한다.[23]
이 종은 넓은 서식지 덕분에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가장 흔한 영어 이름은 색상과 관련하여 rainbow runner(무지개깃대돔)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rainbow yellowtail(무지개 방어), Hawaiian salmon(하와이 연어), salmon(연어, 부정확함), Spanish jack(스페인 잭) 등이 있다.[8] 일본어 이름인 "츠무"는 방추의 옛말로, 방어와 비슷하고 몸이 가늘고 긴 방추형을 하고 있는 데에서 유래한다. 영어 이름 "Rainbow runner"는 몸 측면의 세로 줄무늬가 무지개와 같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3. 형태
4. 색상
5. 분포 및 서식지
지중해에 가끔 출현하며, 일반적으로 수에즈 운하를 통한 레셉스 이주로 추정되지만, 다른 종처럼 영구적으로 정착하지는 않았다.[17] 인근 카나리아 제도에도 서식하며, 동쪽에서 지중해로 들어갈 가능성도 있다.[18]
한국에서는 한반도 이남, 특히 제주도 및 남해에서 발견되지만, 남서 제도나 이즈·오가사와라 제도에서 개체 수가 많으며, 혼슈 연안 등에서는 드물다.
주로 원해에 살며, 수층 상부 164m에 서식한다.[19] 때로는 암초 및 산호초 시스템 위의 육지와 가깝게, 그리고 멀리 떨어진 해안에서도 발견된다. 가끔 해안에 매우 가까이 오며, 짧은 기간 동안 석호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20] 심지어 대만의 강어귀 시스템에서 어린 개체가 보고되기도 했다.[21]
6. 생태
6. 1. 먹이
참치방어는 빠르게 헤엄치는 육식성 어류로, 작은 물고기, 두족류[48], 새우, 게를 포함한 갑각류, 플랑크톤 등을 먹는다.[49][24] 먹이에 대한 선택성을 보이며, 태평양의 참치방어는 다른 먹이보다 ''Decapterus macarellus''를 더 많이 섭취한다. 성장함에 따라 수영 및 먹이 탐색 능력이 향상되어 선호하는 먹이를 찾는 데 더 효율적이 된다.[25] 바다 표면에 머무는 곤충인 바다거미(''Halobates'' spp.)도 잡아먹는다.[26]
6. 2. 이동 및 군집
참치방어는 몇 마리에서 수백 마리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의 무리를 형성한다. 회유성이 강하며, 생화학적 연구에 따르면 근육에 지방산 도코사헥사엔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는 다른 기관에 지질이 축적되어 근육에 지질이 적기 때문일 수 있다.[23] 참치와 같은 다른 회유성 어류도 이러한 적응을 가지고 있어, 이는 수렴 진화의 특징임을 시사한다.[23]
6. 3. 번식
성적 성숙은 암컷의 경우 포크 길이 약 600mm에서 이루어지며,[2] 수컷은 600~650mm 사이에서 성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28] 수온이 27°C 이상인 해역에서는 연중 산란하며, 서태평양 해역에서는 5월과 12월~1월에 산란 정점을 보인다.[2]
이 어종은 난생이며, 부유성 알과 유생을 낳는다. 유생 단계는 자세히 연구되었으며, 상두개 능선과 독특한 색소 및 멜라노포어 패턴이 유생의 진단적 특징이다.[30] 1, 2, 3, 4, 5세의 어류의 크기는 각각 30, 46, 59, 69, 77cm로 추정된다.[2] 어린 개체의 이동 경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적도 산란장에서 일본 해안으로의 이동만이 기록되어 있고,[2] 종종 큰 ''사르가즘'' 덩어리 아래의 해류에 떠다닌다.[31]
7. 인간과의 관계
무지개러너는 참치나 청어와 같이 주요 상업 어종은 아니지만, 다른 어종을 잡을 때 함께 잡히는 경우가 많다. 살은 개인적인 선호도에 따라 훌륭하거나 매우 훌륭하다고 평가되며, 시장에서 비교적 낮은 가격에 거래되는 편이다.[32] 미크로네시아 캐롤라인 제도의 카핑아마랑이와 누쿠오로 환초의 선사 시대 사람들은 카누에서 '트롤링' 루어 훅으로 보이는 것으로 많은 수의 무지개러너를 식량으로 잡았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있다.[33]
7. 1. 상업적 어업
무지개러너는 상업 어종으로 거의 잡히지 않지만, 많은 수가 참치 및 상어 어업의 혼획으로 잡히는 경우가 많다.[34] 서인도 제도 참치 어업의 혼획량만 1985년에서 1994년 사이에 총 720ton~1877ton에 달한다.[35] 최근 몇 년 동안 이 수치는 증가했으며, FAO가 추정한 전 세계 어획량은 1998년에 연간 18940ton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2000/01년에는 연간 약 15000ton으로 감소했다.[2] 이러한 혼획은 거의 항상 보관되어 신선, 염장 또는 냉동 상태로 시장에서 판매된다.[2]대부분의 무지개러너를 잡는 데 사용되는 방법은 선망, 낚시 및 기타 고유 어업 기술이다.[36] 이 종에 대한 시가테라 중독 사례가 최소 한 건 버진 아일랜드에서 보고되었다.[2]
7. 2. 레크리에이션 어업
일부 지역에서는 무지개 전갱이를 대상으로 하는 소규모 레크리에이션 어업이 존재한다. 종종 참치나 고등어와 같은 다른 어종을 트롤링하는 중에 잡히기도 하지만, 미주 서해안의 낚시꾼들이 표면 포퍼 스타일의 루어를 사용하여 연안에서 목표로 삼는 경우가 많다.[37] 이 물고기는 딥 다이빙 루어, 표면 루어, 심지어 바다용 플라이[38]까지 다양한 루어와 미끼로 잡힌다. 또한 살아있는 물고기와 토막 낸 물고기, 오징어, 문어를 포함하여 다양한 미끼를 사용하며, 자연 먹이와 유사한 다른 갑각류도 섭취한다.[39] 특히 더 큰 크기에서는 열대어로서 명성이 높다.[2] 이 종은 돛새치와 참치와 같은 더 큰 어종을 잡기 위한 미끼로도 널리 사용되며, 살아있는 미끼 또는 죽은 미끼를 트롤링하여 잡는다.[40]7. 3. 식용
살은 맛이 좋아 회, 데리야키 등으로 조리해 먹는다. 다만 대형 개체에서는 시가테라 중독이 보고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45][47] 미크로네시아의 카핑아마랑이와 누쿠오로 환초의 선사 시대 사람들은 무지개 깃대돔을 식량으로 잡았다.[33]참조
[1]
간행물
"''Elagatis bipinnulata''"
2015
[2]
웹사이트
2007-11-16
[3]
서적
Zoological Catalogue of Australia Vol. 35 (2) Fishes
CSIRO
[4]
서적
List of the Specimens of British Animals in the Collection of the British Museum: Part VII - Lepidoptera
British Museum of Natural History
[5]
논문
Note on ''Elagatis bipinnulatus''
Academy of Natural Sciences
[6]
논문
A Review of the Carangid Fishes (Family Carangidae) From Taiwan with Descriptions of Four New Records
http://cat.inist.fr/[...]
1999-05-19
[7]
논문
Molecular systematics of the Jacks (Perciformes: Carangidae) based on mitochondrial cytochrome b sequences using parsimony, likelihood, and Bayesian approaches
[8]
웹사이트
[9]
논문
A revision of selected genera of the family Carangidae (Pisces) from Australian waters
[10]
서적
FAO species identification guide for fishery purposes. The living marine resources of the Western Central Pacific. Volume 5. Bony fishes part 3 (Menidae to Pomacentridae)
ftp://ftp.fao.org/do[...]
FAO
[11]
논문
"''Elagatis bipinnulata'' (Pisces: Carangidae): Morphology of the Fins and Other Characters"
[12]
서적
Fishes of the Gulf of Mexico: Myxiniformes to Gasterosteiformes
University of Texas Press
[13]
서적
Coastal Fishes of Oman
University of Hawaii Press
[14]
서적
Características generales de la ictiofauna
Instituto de Oceanología Academia de Ciencias de Cuba and Centro de Investigaciones de Quintana Roo
[15]
논문
New records of marine fishes from the Azores
[16]
논문
On the rare occurrence of ''Elagatis bipinnulata'' off Kakinada coast
[17]
논문
The Main Biogeographical Features and Problems of the Mediterranean Fish Fauna
[18]
논문
New fishes from the Canary Islands
[19]
논문
Biological features of five poorly known carangid fishes frequenting inland and ocean waters of North Carolina
[20]
논문
Behaviour of pelagic larvae of four coral-reef fish species in the ocean and an atoll lagoon
[21]
논문
Structure, composition and seasonal dynamics of the larval and juvenile fish community in the mangrove estuary of Tanshui River, Taiwan
http://ntur.lib.ntu.[...]
[22]
논문
Study on Aggregation Effect of Artificial Floating Fish Reef
[23]
논문
Lipids of three highly migratory fishes: ''Euthynnus affinis'', ''Sarda orientalis'', and ''Elagatis bipinnulata''
[24]
논문
Ecological Relationships of the Fish Fauna on Coral Reefs of the Marshall Islands
[25]
논문
Maturity and feeding habits of rainbow-runner, Elagatis bipinnulatus, in the western Pacific Ocean
[26]
논문
Predation of fishes on open-ocean species of sea-skaters (''Halobates'' spp.)
[27]
논문
Fishing and Acoustic Behavior of Fraser's Dolphin (''Lagenodelphis hosei'') near Dominica, Southeast Caribbean
[28]
논문
Distribution and Size Composition of the Rainbow Runner, ''Elagatis Bipinnulata'' in the Western Pacific Ocean
[29]
논문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the Larvae of the Family Carangidae in Cuban Waters
[30]
서적
Early Stages Of Atlantic Fishes: An Identification Guide For The Western Central North Atlantic
CRC Press
[31]
논문
Effects of mat morphology on large ''Sargassum''-associated fishes: observations from a remotely operated vehicle (ROV) and free-floating video camcorders
[32]
서적
Seafood of South-East Asia: A Comprehensive Guide with Recipes
Ten Speed Press
[33]
논문
The Quest for Rainbow Runner Prehistoric Fishing on the Kapingamarangi and Nukuoro Atolls; Micronesia, Pacific Ocean
[34]
서적
The Directed Shark Gillnet Fishery: Catch and Bycatch, 2003
National Marine Fisheries Service Southeast Fisheries Science Center
2003-12
[35]
논문
Bycatch in the tuna purse-seine fisheries of the western Indian Ocean
http://fishbull.noaa[...]
[36]
논문
Shift of the Fishing Ground and Features of Shoals Caught by Purse seine Fishery in the Tropical Seines of the west Pacific Ocean
[37]
서적
Complete Guide to Saltwater Fishing
Woods N' Water, Inc.
[38]
서적
The Cruiser's Handbook of Fishing
McGraw-Hill Professional
[39]
서적
Pacific Shore Fishing
University of Hawaii Press
[40]
서적
The Australian Fishing Book
Bacragas Pty. Ltd.
[41]
서적
蒲原稔治著・岡村収補訂『エコロン自然シリーズ 魚』
保育社
[42]
서적
檜山義夫監修『野外観察図鑑4 魚』
旺文社
[43]
서적
岡村収・尼岡邦夫監修『山渓カラー名鑑 日本の海水魚』
山渓
[44]
서적
井田齋 他『新装版 詳細図鑑 さかなの見分け方』
講談社
[45]
서적
石川皓章『釣った魚が必ずわかるカラー図鑑』
永岡書店
[46]
간행물
鹿児島の定置網の魚たち
いおワールドかごしま水族館
[47]
웹사이트
Elagatis bipinnulata
http://www.fishbase.[...]
FishBase
2009-11
[48]
서적
FAO species identification guide for fishery purposes. The living marine resources of the Western Central Pacific. Volume 5. Bony fishes part 3 (Menidae to Pomacentridae)
ftp://ftp.fao.org/do[...]
FAO
[49]
저널
Ecological Relationships of the Fish Fauna on Coral Reefs of the Marshall Islan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