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충령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충령탑은 메이지 유신 이후 제국 재향군인회가 주도하여 건립된 전몰자 위령 시설이다. 1930년대 후반 전시 체제 강화와 함께 유골을 모시는 충령탑 건립이 활발해졌으며, 내무성은 건립 조건을 제시하고 육군은 '대일본 충령 현창회'를 설립하여 탑 건립을 장려했다. 자금은 국민들의 자발적인 모금으로 충당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군국주의 상징으로 여겨져 철거되었으나 일부는 존속되었다. 1952년 일본의 주권 회복 이후에는 위령비가 충령탑을 대신하였으며, 현재 충령탑은 자치체와 지역 주민들의 관리 속에 위령 및 추도의 대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본 국내 및 국외에도 충령탑이 존재하며, 일본은 과거 식민지배 지역 및 점령 지역에도 충령탑을 건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사기념물 - 그레이트 오션 로드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주 해안 도로인 그레이트 오션 로드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들을 위한 일자리 창출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건설되었으며, 아름다운 해안 경관과 12사도상, 로크 아드 협곡 등 기암괴석으로 유명한 관광 명소이다.
  • 군사기념물 - 전승기념비 (라이프치히)
    1813년 라이프치히 전투를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전승기념비는 독일 통일 염원과 민족주의 열망을 상징하며, 나치 시대와 동독 시대를 거쳐 현재는 관광 명소로 보존되고 있다.
  • 탑 - 송전탑
    송전탑은 고전압 전력선을 지지하는 구조물로, 국가별로 다양한 디자인과 명칭을 가지며, 강철, 콘크리트, 목재 등의 재료로 만들어지고, 건설 과정에서 지역 주민과의 갈등을 야기하기도 한다.
  • 탑 - 바벨탑
    바벨탑은 창세기에 등장하는 인간이 하늘에 닿기 위해 건설하려다 신의 방해로 실패하고 언어가 나뉘게 되었다는 설화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유사한 형태로 나타나며 여러 외경과 문헌에서 기록을 찾아볼 수 있고 이후 다양한 매체에서 영감을 주어 소통의 중요성과 다양성의 가치를 상징하는 소재로 활용된다.
충령탑
개요
후지산과 충령탑
후지산과 충령탑
위치일본 야마나시현 후지요시다시 아라쿠라야마 센겐 공원
좌표35°30′16″N 138°47′27″E
종류
높이5층
완공1963년
상세 정보
정식 명칭후지요시다시 전몰자 충령탑 (富士吉田市戦没者忠霊塔)
목적후지요시다시의 전몰자를 기리기 위해 건립
특징후지산을 배경으로 한 아름다운 경치로 유명, 벚꽃 명소

2. 역사

메이지 신정부가 탄생한 이후, 제국 재향군인회를 중심으로 각지에 충혼비가 건립되었다. 1930년대 후반, 전시 체제가 강화되면서 각지에서 유골을 모시는 충령탑을 건설하려는 움직임이 높아졌다. 1938년 3월, 내무성 경보국은 "시기상조이므로 잠시 시기를 기다릴 것"을 통첩했지만, 흐름을 막을 수 없었다. 1939년 1월 18일, 내무성은 각 시정촌에 충령탑 건립 허가 방침을 정했다.[1][2]

같은 해 7월 7일, 대일본 제국 육군은 "대일본 충령 현창회"를 설립하여 일본 국내외 전적지와 각 시정촌에 충령탑 건립을 장려했다.[3][4][5][6] 탑 건립 자금은 국가나 자치단체의 지원 외에도, 국민들의 "하루 전사" 운동을 통해 하루치 급여를 갹출하여 마련했다.[3][8] 1941년 9월에는 전사자 증가로 각지 육군 묘지가 충령탑으로 정리되기도 했다.[9]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GHQ는 충령탑을 군국주의의 상징으로 간주하여 철거를 지시했다. 많은 충령탑이 철거되었으나, 일부는 땅에 묻혀 숨겨져 현재까지 남아있다.[3]

1952년 4월 28일, 일본국과의 평화 조약과 미일 안보 조약 발효로 일본이 주권을 회복한 후에는 충령탑 대신 위령비가 건립되었다.[10] 현재 충령탑은 자치단체나 지역 주민들의 자원 봉사로 유지·정비되고 있으며,[12] 매년 전몰자 위령 및 추도의 대상으로 사용된다.

2. 1. 메이지 유신과 충혼비 건립

메이지 신정부가 탄생한 이후, 제국 재향군인회를 중심으로 각지에 충혼비가 건립되었다.[1]

2. 2. 1930년대 전시 체제와 충령탑 건립

1930년대 후반, 전시 체제가 강화되면서 각지에서 유골을 모시는 충령탑을 건설하려는 움직임이 높아졌다. 1938년 3월, 내무성 경보국은 "시기상조이므로 잠시 시기를 기다릴 것"을 통첩했지만, 흐름을 막을 수 없었고, 1939년 1월 18일, 내무성은 각 시정촌에 충령탑 건립 허가 방침을 정하고 다음 조건을 제시했다.[1][2]

조건
충혼비, 표충비 등의 기념비 또는 유골을 납골하는 충령탑은 1시정촌 1기로 한다.
건설 장소는 사유지를 피하고 묘지 취체 규칙에 준거한다.
충령탑의 구축 양식 또는 내용으로, 신사와 혼동될 수 있는 것은 금지한다.
비석 건설을 경쟁하고, 화려하고 웅장함을 다투며, 식전 행사 등에 많은 비용을 투입하거나, 건설자의 매명, 선전 행위가 되지 않도록 엄격히 경계한다.
충령탑의 장소, 유지 관리를 둘러싸고 사찰 또는 교파, 종파 간의 분쟁의 우려가 없도록 주의할 것.


2. 3. 대일본 제국 육군의 충령탑 건립 장려

1930년대 후반, 전시 체제가 강화되면서 각지에서 유골을 모시는 충령탑 건립 움직임이 높아졌다. 1939년 7월 7일 대일본 제국 육군은 '대일본 충령 현창회'를 설립하여 일본 국내외 전적지와 각 시정촌에 충령탑 건립을 장려했다.[3][4][5][6] 대일본 충령 현창회에는 내각총리대신을 명예 회장, 히시카리 타카시 육군 대장을 회장, 각 성 대신, 해군 대장 등이 임원으로 참여했다.[7]

충령탑 건립 자금은 국가 및 자치단체의 지원 외에도 국민들의 '하루 전사' 운동, 즉 하루치 수입이 없었던 것으로 하고 하루치 급여를 갹출하는 자발적인 모금 활동을 통해 마련되었다.[3][8]

2.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변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망한 후, 연합군 최고사령부(GHQ)는 충령탑을 군국주의의 상징으로 간주하고 철거를 지시했다.[3] 많은 충령탑이 철거되었으나, 일부는 주민들이 몰래 땅에 묻는 등의 방식으로 철거를 피하여 현재까지 남아있는 경우도 있다.[3]

1952년 4월 28일,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과 미일 안보 조약이 발효되어 일본이 주권을 회복한 이후에는 충령탑 대신 위령비 건립이 추진되었다.[10] 충령탑은 서남 전쟁, 청일 전쟁, 러일 전쟁, 시베리아 출병, 만주 사변, 중일 전쟁, 태평양 전쟁의 각 전사자의 유골을 모시고, 탑의 하부에는 전사자의 이름이 새겨져 있었다.[9][11] 1954년 4월에 새로 만들어진 치바현 충령탑 등과 같이 ○○현 충령탑 등으로 명칭을 바꾼 것도 몇몇 있다.

3. 일본 국내의 충령탑

4. 일본 국외의 충령탑

일본은 과거 식민 지배 및 점령 지역에도 충령탑을 건립했다.



중국에는 일본군이 13기를 건설했지만, 전후 파괴되었다고 한다.[19]

5. 현재의 충령탑

현재 충령탑은 자치단체나 지역 주민들의 자원봉사로 주변 제초 작업 및 유지·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다.[12] 매년 자치단체나 유족들에 의해 전몰자의 영을 기리고 위령비, 위령탑과 함께 위령 및 추도하는 장소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참조

[1] 웹사이트 1939年(昭和14年)1月、社会、内務省1市町村に1基の忠霊塔建設許可 http://gdb.u-shimane[...] 島根県立大学 2009-04-05
[2] 뉴스 市町村単位で一基、内務省が通牒『東京朝日新聞』(昭和14年1月19日)『昭和ニュース辞典第7巻 昭和14年-昭和16年』p481 昭和ニュース事典編纂委員会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刊 1994年
[3] 웹사이트 【忠魂碑】 https://web.archive.[...] 護国の神々の社 靖國神社 2009-04-05
[4] 웹사이트 土佐百景、種々の草木が優しく包む忠霊塔【高岡】 http://www.jatosashi[...] 土佐市農業協同組合 2009-04-05
[5] 웹사이트 富士紀行(89)深き鎮魂の誠を捧げよ! https://web.archive.[...] Teruo's book 2009-04-05
[6] 웹사이트 東アジア研究第48号、「満州」に建てられた忠霊塔 http://www.keiho-u.a[...] 大阪経済法科大学 2009-04-05
[7] 웹사이트 箕面忠魂碑・慰霊祭違憲訴訟、理由 http://www.cc.kyoto-[...] 京都産業大学 2009-04-05
[8] 문서 CiNii https://ci.nii.ac.jp[...]
[9] 웹사이트 仏蘭西学研究』28号30-39.、広島のフランス人墓地、比治山陸軍墓地 http://home.hiroshim[...] 広島大学 2009-04-05
[10] 웹사이트 相馬基編、非売品書籍:全國民「一日戰死」高唱、大日本忠靈顯彰事業、東京日日新聞社(現:毎日新聞)、昭和14年7月25日 http://aishoren.exbl[...] 全国愛書家連盟 2009-04-05
[11] 웹사이트 忠霊塔掃苔履歴平成20年1月18日 http://www4.airnet.n[...] 群馬県吾妻郡中之条町中之条町立伊参小学校 2009-04-05
[12] 웹사이트 世界平和を願って、平和地区老人クラブ、忠霊塔の清掃 http://www.city.sosa[...] 匝瑳市 2009-04-05
[13] 웹사이트 忠霊塔公園 http://park.publicma[...] アットステージ 2015-08-27
[14] 뉴스 読売新聞2022年8月16日13版千葉2、20面 読売新聞 2022-08-16
[15] 웹사이트 戦没者忠霊塔、老朽化で解体へ 静岡市清水区、遺族会員らが神事|あなたの静岡新聞 https://www.at-s.com[...] 2021-03-14
[16] 뉴스 庄山の麓に忠霊塔が建立(昭和17年10月28日 朝日新聞(徳島版)『昭和ニュース辞典第8巻 昭和17年/昭和20年』p643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刊 1994年
[17] 웹사이트 歴史散歩No.23 平和への願い・久留米の戦争遺跡(2) 陸軍墓地 久留米市野中町 https://www.city.kur[...] 久留米市 2023-07-15
[18] 뉴스 戦禍伝える忠霊塔の案内板 みやま市遺族会が新設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2-08-18
[19] 문서 日本軍が中国に建設した十三基の忠霊 横山篤夫『日本研究』No.49(2014)2枚目頁58下段左端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