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프반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케이프반도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위치한 반도로, 북쪽의 무이예 포인트에서 남쪽의 케이프 포인트까지 약 52km 뻗어 있으며, 다양한 지형과 풍경을 자랑한다. 지질학적으로는 케이프 슈퍼그룹의 퇴적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테이블 마운틴과 케이프 포인트를 비롯한 여러 랜드마크가 위치해 있다. 기후는 지중해성으로, 다양한 식물과 동물이 서식하며, 특히 핀보스 관목지가 특징이다. 테이블 마운틴 국립공원과 케이프 식물 구역 보호 지역군으로 지정되어 생태계를 보호하고 있으며, 인간의 정착과 개발로 인해 자연 환경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이프타운의 지리 - 희망봉
희망봉은 케이프 반도 남쪽 끝에 위치한 곶으로, 아프리카 일주 항해 시도와 아시아-유럽 항해의 중간 정박지 역할을 했으며, 다양한 생태계를 보유하고 전설적인 유령선의 본거지로 알려져 있다. - 케이프타운의 지리 - 로벤섬
로벤섬은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 근처에 위치한 섬으로, 정치범 수용소로 사용되다가 1997년부터 박물관으로 운영되며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케이프반도 | |
---|---|
개요 | |
![]() | |
위치 | 남아프리카 공화국 웨스턴케이프 주 |
좌표 | 34°12′18″S 18°24′14″E |
면적 | 약 470 제곱킬로미터 |
지리 | |
주요 지점 | 케이프 포인트 케이프타운 테이블 마운틴 채프먼스 피크 콘스탄티아버그 |
역사 | |
식민 시대 | 유럽인 정착 이전에는 코이산족이 거주했으며, 이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 의해 식민지가 됨. |
현대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일부로 남아 있음. |
행정 구역 | |
주요 도시 | 케이프타운 (대부분 지역) |
관광 | |
주요 명소 | 테이블 마운틴 국립공원 케이프 포인트 커스텐보쉬 국립 식물원 보울더스 해변 (아프리카 펭귄 서식지) 로벤 섬 |
기타 | |
특징 | 다양한 동식물 서식지이며, 독특한 지형과 아름다운 해안선으로 유명함. |
2. 지리
케이프반도는 북쪽의 테이블 마운틴에서 남쪽의 희망봉과 케이프 포인트까지 이어지는 반도이다. 이 지역은 테이블 마운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케이프 식물 보호 지역군의 일부로서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도 등재되어 있다.
흔히 희망봉이 대서양과 인도양의 경계 지점으로 알려져 있지만, 국제수로기구(IHO)는 두 대양의 공식적인 경계를 남동쪽으로 약 200km 떨어진 아굴라스곶으로 규정하고 있다.
지질학적으로 케이프반도는 약 6천만 년 전까지 섬이었으나, 해저에서 케이프 플랫츠가 융기하면서 아프리카 본토와 연결되었다. 2000년 행정 구역 개편 이후 반도 전체가 케이프타운 시에 속하게 되었으며, 케이프타운 시내에서 폴스만 연안의 뮤젠버그[2]를 거쳐 사이먼스타운까지 메트로레일 남부선이 운행된다.
2. 1. 지형
케이프반도는 북쪽의 무이예 포인트(Mouille Point)에서 남쪽의 케이프 포인트까지 52km에 달하며, 전체 길이는 약 75km이다. 면적은 약 470km2로, 남아프리카의 다른 비슷한 크기의 지역보다 더 다양한 지형을 가지고 있어 장관을 이룬다. 이곳은 다양한 저영양 토양, 큰 암석 노두, 스크리(scree, 암설) 경사면, 주로 만(bay) 형태의 해변이 있는 바위 해안선, 그리고 지역별로 상당한 기후 조건 변화를 특징으로 한다.지질학적으로 반도는 케이프 슈퍼그룹의 퇴적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그라프워터(Graafwater) 지층과 페닌슐라(Peninsula) 지층의 일부가 남아 있다. 이 암석들은 약 2억 8천만 년에서 2억 1천만 년 전에 융기되었고, 중생대 동안 광범위하게 침식되었다. 제3기 동안 지질학적으로 안정되면서 내구성이 강한 사암이 천천히 벗겨지는 과정을 겪었다. 침식 속도와 배수는 단층선과 균열의 영향을 받았고, 이로 인해 테이블 마운틴과 같이 측면이 가파른 잔존 암괴(massif)가 형성되었다. 이 암괴들은 침식된 물질의 퇴적물로 둘러싸여 오래된 암석 위에 덮여 있다.
반도의 북쪽 끝에는 테이블 마운틴이 있고, 남쪽 끝에는 희망봉과 케이프 포인트가 위치한다. 이 두 지점은 페닌슐라 산맥의 양 끝에 있는 국제적으로 유명한 랜드마크이다. 반도의 동쪽에는 케이프 플랫츠(Cape Flats)와 폴스만(False Bay)이 있으며, 서쪽에는 대서양이 펼쳐진다. 전체적으로 사암 고원과 능선이 지배적인 지형이며, 이들은 가장자리에서 주변의 잔해 경사면으로 가파르게 떨어진다. 피쉬 후크(Fish Hoek)-노르드후크(Noordhoek) 계곡에서 주요한 지형적 틈새가 나타난다. 반도의 남쪽 지역은 대부분 모래 언덕이 있는 낮은 사암 고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높은 지점은 테이블 마운틴으로, 해발 고도는 1113m이다.
흔히 희망봉이 대서양과 인도양의 경계로 알려져 있지만, 국제수로기구(IHO)는 두 대양의 공식적인 경계를 남동쪽으로 약 200km 떨어진 아굴라스곶(Cape Agulhas)으로 규정하고 있다.
케이프반도 지역은 테이블 마운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케이프 식물 보호 지역(Cape Floral Region Protected Areas)의 일부로서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도 등재되어 있다.
2. 2. 산과 봉우리
봉우리 이름 | 높이 (m) | 설명 |
---|---|---|
Baboon hill | 500m | |
Belle Ombre | 725m | |
Blinkwater Peak | 989m | 캠프스 베이 상공 |
Blokhuiskop | 417m | |
Bokkop | 410m | |
Bonteberg | 237m | 스카버러 남쪽 언덕 |
Brakkloofrant | 305m | |
Cave Peak | 445m | |
채프먼스 피크 | 592m | 호트 베이 남쪽 |
Cleft Peak | 833m | |
콘스탄티아버그 | 900m | 호트 베이 계곡으로 가는 동쪽 길의 콘스탄티아 넥 남쪽 |
Corridor Buttress (St. Paul) | 750m | |
Dassenberg | 163m | 노르두크 계곡 |
Dassiekop | 640m | |
데빌스 피크 | 1000m | 시티 볼 동쪽 봉우리 |
Eagles Nest | 417m | |
Else Peak (Elsie's Peak) | 303m | 사이먼스 타운과 피쉬 훅 사이의 작은 봉우리 |
Fernwood Peak | 1003m | |
Fountain Peak | 1051m | |
Grootkop | 857m | |
Grootkop | 390m | 스카버러 북동쪽 |
Higher Steenberg Peak | 537m | |
Judas Peak | 758m | 반도 서쪽의 12사도 봉우리 체인에서 가장 남쪽에 있는 봉우리 |
Judas Peak | 319m | 스미츠윈켈 베이 바로 남쪽 절벽 위 봉우리 |
Junction Peak | 919m | |
Kalkbaaiberg (Kalk Bay Peak) | 516m | 칼크 베이 상공 봉우리 |
Kapteinspiek | 414m | 호트 베이 서쪽, 카본켈버그 동쪽 |
Karbonkelberg | 653m | 듀이커 포인트 상공, 호트 베이 서쪽 |
Klaassenskop | 742m | |
Klaasjagersberg | 560m | |
Klassenkop | 902m | |
Klein-Tuinkop | 492m | |
Langeberg | 320m | (추정치) |
라이언스 헤드 (Leeukop) | 669m | 시티 볼 서쪽 봉우리 |
Little Lions Head (Klein Leeukop) | 436m | 란두드노와 호트 베이 계곡 사이의 봉우리 |
Lower Chapman's Peak | 500m | |
Low Steenberg | 463m | |
Maiden Peak | 372m | |
Matrooskop | 109m | 버펄스 베이 연안의 작은 지역 봉우리 |
Minor Peak | 856m | 데빌스 피크 북쪽 측면 봉우리 |
Muizenberg | 507m | 뮤이젠버그 교외 서쪽 봉우리, 그리고 펄스 베이 서쪽 면을 직접 조망하는 가장 북쪽 봉우리 |
Noordhoek Lower | 494m | |
Noordhoek Peak (Noordhoekpiek) | 764m | |
North Peak | 477m | |
Paulsberg | 369m | 스미츠윈켈 베이 남쪽을 조망하는 가장 높은 봉우리 |
Platkop | 371m | |
Reserve Peak | 844m | |
Ridge Peak | 507m | |
Rooihoogte | 275m | (스미츠윈켈 베이 상공) |
Rooikrans | 193m | |
Saint James Peak | 422m | |
Saint Michael Peak | 917m | |
Sentinel (Hangberg) | 331m | 호트 베이 서쪽 봉우리 |
Signal Hill | 340m | 라이언스 헤드 북쪽 능선, 시티 볼을 대서양 해안에서 분리 |
Simonsberg | 564m | 사이먼스 타운 상공 봉우리 |
Skildersgatkop | 127m | |
Skoorsteenkop | 523m | |
Skoorsteenberg Sub | 540m | |
Slangolie Buttress | 780m | |
Spitskop | 447m | |
Steenbergkoppie | 290m | |
Suther Peak | 614m | |
Swartkop (Zwartkop) | 679m | 케이프 반도에서 가장 높은 지점 |
테이블 마운틴 (Maclear's Beacon) | 1086m | 케이프 반도에서 가장 높은 지점 |
Trappies Kop (Trappieskop) | 240m | 칼크 베이 상공 언덕 |
12사도 봉우리 | - | 테이블 마운틴 남쪽 서해안을 따라 있는 여러 봉우리와 부벽의 무리 |
Vasco da Gama Peak (Cape Point Highpoint) | 250m | 케이프 반도에서 펄스 베이 입구 근처의 가장 높은 지점 |
Vlakkenberg | 560m | |
Vlooiberg | 377m | |
Wolfkop | 393m |
2. 3. 해안선
케이프반도의 해안선은 북쪽의 테이블 만에 있는 솔트 강 어귀에서 시작하여 케이프 포인트를 돌아 남동쪽의 폴스 만에 있는 뮤젠버그의 샌드블레이 어귀까지 이어진다. 북쪽의 무이예 포인트에서 남쪽의 케이프 포인트까지의 직선 거리는 52km이다. 해안선은 다양한 저영양 토양, 큰 암석 노두, 스크리 경사면, 그리고 주로 만이 있는 바위 해안선과 모래 해변으로 특징지어진다.대서양 연안대서양 쪽 해안선은 북쪽에서 남쪽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지형지물을 포함한다.
- 솔트 강 어귀
- 테이블 만: 케이프 반도의 북쪽 경계
- 그레인저 만
- 물리에 포인트
- 그린 포인트 등대
- 쓰리앵커 베이
- 록랜드 해변
- 시 포인트
- 반트리 베이
- 클리프턴 베이: 4개의 모래 해변(퍼스트, 세컨드, 서드, 포스 비치) 포함
- 캠프스 베이
- * 글렌 비치
- * 캠프스 베이 해변
- 바코번 베이
- 쾨엘바이
- 오데크랄
- 샌디 베이
- * 샌디 베이 해변
- 오데 쉬프
- 디 미델마스
- 리구트 (마오리 베이)
- 뒤커 포인트
- 뒤커 섬
- 호트 베이
- * 요크 포인트
- * 호트 베이 항구
- * 호트 베이 해변
- 블록하우스 포인트
- 디 조시
- 채프먼스 포인트
- 채프먼스 베이
- * 노르두크 해변
- 클라인 슬랑코푸트
- 슬랑코푸트
- 위트산즈바이
- * 위트산즈 해변
- 슈스터스 베이
- * 슈스터스 베이 해변 (스카버러 해변)
- 올리펀츠보스푼트
- 호크 반 보베얀
- 희망봉 (케이프 맥클리어)
- 디아즈 해변
- 케이프 포인트: 반도의 최남서단
폴스 만 연안폴스 만 쪽 해안선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지형지물을 포함한다.
- 루이크란스
- 버펄스 베이
- 보르지에스리프
- 헬스 게이트
- 바차타 록
- 스미츠윈켈 베이
- 파트리지 포인트
- 핀레이스 포인트
- 캐슬 록스
- 럼블리 베이
- 밀러스 포인트
- 록랜드 포인트
- 오트랜드 포인트
- 피셔맨스 비치
- 프로기 폰드
- 윈드밀 비치
- 사이먼스 베이
- * 볼더스 비치 (시포스)
- * 사이먼스 타운 해군 기지 항구
- * 롱 비치
- * 매커럴 베이
- * 엘세바아이
- ** 글렌케언 비치
- 피쉬 혹 만 (Vishoekbaai)
- * 피쉬 혹 비치
- 칼크 베이 (Kalkbaai)
- 칼크 베이 항구
- 뮤젠버그[2]
대서양과 인도양의 공식적인 경계는 희망봉이 아니라, 국제수로기구(IHO)에 의해 남동쪽으로 약 200km 떨어진 아굴라스 곶으로 규정되어 있다.
2. 4. 수문
어떤 지역의 강과 습지의 특징은 해당 지역과 주변 지역의 장기간 역사에 걸쳐 지질, 수문, 생태, 그리고 최근에는 기술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복잡한 결과물이다. 케이프반도의 강들은 일반적으로 지역의 현재 지형을 따라 가파르고 좁다. 현재의 지형은 유역의 형태와 구조를 결정하며, 이는 과거의 배수 패턴과 당시의 지표 지질, 기후 및 해수면의 변화, 그리고 더 장기간의 구조적 움직임으로 인한 고도 및 경사의 변화에 의해 결정된다.반도 대부분 강들의 흐름은 테이블마운틴 그룹 암석의 구조적 특성에 의해 제어된다. 주요 선형 구조는 남부 반도에서는 주로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북부 반도에서는 북동쪽으로 놓여 있다.
테이블베이의 동쪽에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주요 강과 유역은 다음과 같다.
'''시티 볼의 강'''
- 케이프슬루트: 악마의 봉우리 서쪽 경사면에서 흘러나오는 개울로, 희망의 성이 처음 건설되었을 때 해자를 채우기 위해 도랑으로 전환되었다. 1905년에 테이블베이 항구로 흘러드는 빗물 시스템의 플라테클립 스트림과 합쳐졌다.
- 플라테클립 스트림: 플라테클립 협곡에서 시작하여 관개용으로 헤렌그라흐트로 운하화되었고, 해안가 물탱크로 공급되었으며, 나중에는 현재 빗물 배수구를 통해 테이블베이로 흘러가는 케이프슬루트로 전환되었다.
- 세 번째 개울, 자르트리비어 및 몰렌워터: 몰렌워터는 오란예지히트의 샘에서 흘러나와 클루프 넥 근처 워터호프와 레우엔호프 샘에서 흘러나오는 세 번째 개울과 자르트리비어에 의해 콤파니 정원 꼭대기에서 합류한다. 이들은 부이텐그라흐트로 운하화되었으며 현재는 빗물로 방출된다.
'''대서양 연안'''
- 디프슬루트: 캠프스 베이 북쪽에 있으며, 바다에 도달하기 직전에 캠프스 베이 개울과 합류한다.
- 블링크워터 개울: 캠프스 베이 바로 남쪽으로 바다로 직접 흘러든다.
- 카스텔포르트 개울: 바코벤 바로 남쪽으로 바다로 직접 흘러든다.
'''호트 베이 계곡'''
- 호트 베이 강: 테이블 마운틴 꼭대기 근처의 백 테이블에서 디사 강으로 시작하여 일련의 폭포를 지나 오렌지 클루프로 흘러간다. 하류는 호트 베이 강으로 알려져 있다. 지류로는 보커만스크루프 개울과 바비안스크루프 강이 있다. 이 강은 겨울에 열리는 작은 강어귀를 가지고 있다.
'''노르드후크 습지'''
- 북쪽, 동쪽, 그리고 어느 정도 남쪽의 유역은 정의되지 않은 경로를 통해 세 개의 영구적인 수역인 미셸 호수와 두 개의 빌데보엘브레이가 있는 큰 습지인 파프킬스브레이로 흘러든다.
- 노르드후크 해변에는 두 개의 길고 좁은 뒷쪽 석호가 있다.
- 보크람스프루이트: 노르드후크 계곡 남서쪽 모퉁이에 있는 코메티에 근처의 바다로 흘러든다.
'''케이프 포인트 지역의 서쪽으로 배수되는 강'''
여러 계절성 개울, 샘물, 그리고 브레이(vlei, 얕은 호수나 습지)가 있으며, 대부분 여름에는 마른다. 영구적인 강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슈스터스 강: 스카보로 내륙의 레드 힐과 빌데슈츠브랜드 지역을 배수하고, 하류에 있는 넓은 습지 지역에 공급하며, 스카보로 남쪽의 작은 석호를 통해 바다로 들어간다.
- 클라스야흐터스 강: 스와르트코프베르그와 밀러스 포인트에서 더 서쪽 지역을 배수한다. 상류에서는 남쪽으로, 서쪽으로 흘러 올리판츠보쉬포인트 북쪽에 있는 꽤 큰 석호에 도달한 다음 바다로 배수된다. 과거에는 그로테, 크롬, 크롬, 호트, 스미츠빈켈 강으로도 알려졌다.
- 크롬 강: 폴스버그의 서쪽 유역을 배수하고 스미츠빈켈블락테를 가로질러 북서쪽으로 흘러 클라스야흐터스 강과 합류한다.
'''남부 반도의 동쪽으로 배수되는 강'''
이 강들은 일반적으로 상당히 짧고 가파르며, 실버마인 강과 엘스지 강과 같은 일부 강은 해안에 계곡 바닥 습지를 가지고 있다.
- 실버마인 강: 원래 에셀스타인 리비어라고 불렸으며, 스테인버그 산 남쪽 계곡을 배수하고 스테인버그 고원을 가로질러 동쪽으로 흐른 다음 실버마인 계곡을 거쳐 해안 피쉬 훅 평원을 가로질러 클로벨리에서 피쉬 훅 베이 북쪽에 있는 폴스 베이로 흘러든다.
- 엘스지스 강: 레드 힐 고원에서 글렌케언 계곡의 폴스 베이로 흐른다.
- 클라버스브레이 강: 밀러스 포인트 위의 산 뒤에서 북서쪽으로 흘러 사이먼스 타운 뒤의 고원을 지나 절벽과 높은 폭포 위로 동쪽으로 향하여 기차역 근처의 만으로 들어간다.
- 버펠스 강: 작은 샘에서 버펠스 베이의 입구로 흐른다.
'''샌드브레이 유역'''
무이젠버그 북쪽과 리스베크 유역 남쪽의 산의 동쪽을 배수하여 폴스 베이로 흘러간다.
- 샌드브레이(잔드브레이): 폴스 베이 해안선에 있는 8개의 강어귀 중 가장 큰 곳으로, 약 155ha의 면적을 가지고 있다. 웨스트레이크, 케이서스 및 샌드 강이 이 지역에 물을 공급한다.
- 디프 강: 콘스탄티아 위의 산에서 리틀 프린세스브레이로 흘러가며, 샌드 강에 의해 배수되어 샌드브레이 북동쪽으로 흘러든다.
- 웨스트레이크 강: 스테인버그 또는 라프크랄 강이라고도 불리며 스테인버그의 경사면에서 시작하여 키르스텐호프 습지를 거쳐 샌드브레이 북서쪽으로 흘러들어가며,
- 케이서스 강과 그 지류인 그루트보쉬, 스파안스마체트, 프린세스카스텔 강은 콘스탄티아버그에서 시작된다. 스파안스마체트 강 상류는 콘스탄티아 넥 아래에서 시작되어 이글스 네스트 개울과 합류하는 글렌 알핀 개울로 알려져 있다.
'''리스베크 계곡'''
테이블 마운틴 북동쪽의 리스베크 계곡은 산의 북동쪽을 배수하여 테이블 베이로 흘러든다.
- 리스베크 강: 발카트, 너서리, 스켈레톤 개울로 시작하여 윈도우 버트레스의 남쪽에서 흘러나와 키르스텐보쉬의 프로테아 개울로 흘러들어가며, 윈도우 버트레스 북쪽 경사면에서 흘러나오는 윈도우 개울과 맥클리어 비콘 근처에서 흐르는 히딩 개울에 의해 합류한다. 파펜붐, 뉴랜드, 앨버트 및 마운트 플레전트 개울과 같은 다양한 다른 지류들은 테이블 베이에서 약 2km 떨어진 블랙 리버에 합류하기 전에 빗물 배수관을 통해 리스베크로 파이프된다.
3. 지질
약 6천만 년 전에는 섬이었으나, 해저에서 케이프 플랫츠가 융기하면서 아프리카 본토와 연결되었다. 케이프반도는 북쪽의 무이예 포인트(Mouille Point)에서 남쪽의 케이프 포인트까지 52km에 달하며, 면적은 약 470km2이다. 이 지역은 남아프리카의 다른 비슷한 크기의 지역보다 지형이 더 다양하여 장관을 이룬다. 다양한 저영양 토양, 큰 암석 노두, 스크리(암설) 경사면, 주로 만(bay)이 있는 바위 해안선, 그리고 기후 조건의 상당한 지역적 변화가 특징이다.
케이프 슈퍼그룹의 퇴적암은 그라프워터(Graafwater) 지층과 페닌슐라(Peninsula) 지층의 일부가 남아 있으며, 이는 약 2억 8천만 년에서 2억 1천만 년 전에 융기되었다. 이후 중생대 동안 광범위하게 침식되었다. 이 지역은 제3기 동안 지질학적으로 안정되어, 내구성이 강한 사암이 천천히 벗겨지는 과정을 겪었다. 침식 속도와 배수는 단층선과 균열의 영향을 받아, 테이블 마운틴과 같이 측면이 가파른 잔존 산괴(massif)를 남겼다. 이 산괴들은 침식된 물질의 퇴적물로 둘러싸여 오래된 암석 위에 덮여 있다.
테이블 마운틴과 케이프 포인트는 페닌슐라 산맥의 양쪽 끝에 위치한 국제적으로 유명한 랜드마크이다. 반도의 동쪽에는 케이프 플랫츠와 폴스만이 있고, 서쪽에는 대서양이 있다. 이 지역의 풍경은 사암 고원과 능선이 주를 이루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가장자리에서 주변의 잔해 경사면으로 가파르게 떨어진다. 피쉬 후크(Fish Hoek)-노르드후크(Noordhoek) 계곡에서 주요한 지형적 틈새가 나타난다. 반도의 남쪽 부분은 대부분 모래 언덕이 있는 낮은 사암 고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높은 지점은 테이블 마운틴으로, 해발 1m에 달한다.
케이프반도는 이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인 말름즈베리군(Malmesbury Group)과 '반도 심성암(Peninsula Pluton)'의 화강암 관입에 의해 지지된다. 말름즈베리군은 약 8억 3천만 년에서 9억 8천만 년 전(830–980 Mya)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약 6억 3천만 년에서 5억 년 전(630–500 Mya)의 화강암 관입 이전과 그 기간 동안 살다니아 조산 운동(Saldanian orogeny) 주기 동안 변성 및 변형되었다. 화강암 관입 전에 소규모 관입이 먼저 발생했다. 이 암석군의 기저(가장 아랫부분)는 지표에 노출되어 있지 않다. 이 기반암들은 이후 준평원으로 침식되었으며, 라이온스 헤드와 데블스 피크 남쪽 반도 대부분을 덮고 있는 화강암이 노출되었다. 찰스 다윈이 묘사한 유명한 '씨포인트 접촉대(Sea Point contact)'는 말름즈베리 암석에 화강암이 관입암 형태로 뚫고 들어가 형성된 변성암 지역이다.
이 기반암들은 나중에 부정합적으로 케이프 상군(Cape Supergroup)에 의해 덮였다. 케이프 상군은 8개의 지층으로 나뉘는데, 그중 가장 오래된 3개 지층이 케이프반도에 존재한다. 가장 아래층은 붉은색의 '그라프워터 층(Graafwater Formation)'으로, 셰일과 사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그라프워터 층은 Ou Kaapse Weg 도로가 웨스트레이크(Westlake)에서 실버마인(Silvermine) 고원으로 올라가는 두 번째 급커브길의 절개면에서 명확하게 관찰할 수 있다. 이 절개면에서는 그 위에 놓인 테이블 마운틴 사암(현재는 반도 층 사암(Peninsula Formation Sandstone)으로 알려짐)으로의 갑작스럽고 뚜렷한 전환도 볼 수 있다. 아래에서 위로 첫 번째 급커브길로 올라가는 경사면에서는 그라프워터 층이 놓여 있는 화강암 기반암을 볼 수 있으며, 첫 번째 급커브길의 절개면에서는 화강암이 풍화되어 생긴 황토색의 거친 점토가 드러난다. 비교적 얇은 그라프워터 층(케이프반도에서는 두께 60m~70m) 위에는, 단단하고 침식에 강한 석영질 사암으로 주로 구성된 눈에 띄는 반도 층이 놓여 있으며, 이 지층이 케이프반도의 높고 두드러진, 거의 수직에 가까운 절벽들을 형성한다. 테이블 마운틴 정상, 맥클리어의 비콘(Maclear's Beacon)에는 세더버그 산맥(케이프타운에서 북쪽으로 약 200km 떨어짐)에서 더 잘 나타나는 '파쿠이스 빙퇴석(Pakhuis diamictite)'의 작은 잔해가 남아 있다.
케이프반도의 토양은 케이프 습곡대의 다른 지역과 유사하게 비슷한 암석에서 유래했으며, 주로 모래가 많고 영양분이 부족하다. 가장 척박한 토양은 사암 고원과 상부 경사면과 관련된 토양으로, 회색이고 산성이며 침출되었고 일반적으로 얕다. 이 토양은 대부분 배수가 잘 되지만, 겨울철 강우와 여름철 남동풍 구름 강수로 인해 배수가 잘 안 되는 비교적 평평한 고원과 고지대도 있는데, 이곳의 토양은 매우 산성이 강하고 유기물 함량이 높다. 셰일이나 화강암이 기반암인 붕적토(colluvial) 경사면의 더 깊은 토양은 더 무겁고, 주황색에서 붉은색을 띠며, 산성이 덜하고 영양분이 더 풍부한 경향이 있다. 오래된 제4기 퇴적물과 관련된 토양은 사암에서 유래된 토양보다 비교적 깊고, 중간 정도의 산성을 띠며 비옥한 경향이 있다. 해안선을 따라 있는 더 젊은 모래는 알칼리성이며 응집력이 약하다.
4. 해양
케이프 반도는 때때로 대서양과 인도양이 만나는 지점으로 잘못 인식되기도 한다. 그러나 국제수로기구(IHO)의 협정에 따르면, 두 바다가 만나는 지점은 아프리카 대륙의 가장 남쪽 끝인 아굴라스 곶으로, 케이프반도에서 남동쪽으로 약 200km 떨어져 있다. 반도의 서쪽 해안은 '대서양 해안' 또는 '서쪽 해안'으로 불리지만, 동쪽 해안은 일반적으로 '폴스 베이 해안'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케이프 포인트가 아프리카 서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는 차가운 벵겔라 해류와 동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흐르는 따뜻한 아굴라스 해류가 항상 만나는 지점이라는 것도 일반적인 오해이다. 실제로 남쪽으로 흐르는 아굴라스 해류는 이스트 런던과 포트 엘리자베스 사이에서 아프리카 해안선을 벗어나 대륙붕 가장자리를 따라 흐른다. 이 해류는 아굴라스 곶에서 남쪽으로 250km 떨어진 아굴라스 뱅크 남쪽 끝까지 이동한 뒤, 남극 주변을 동쪽으로 도는 서풍 피류(Antarctic Circumpolar Current)에 의해 동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반면, 벵겔라 해류는 아프리카 남부 서해안에서 대서양 깊은 곳의 차갑고 영양분이 풍부한 물이 표면으로 올라오는 용승 현상으로 인해 발생한다. 표면에 도달한 물은 우세한 바람과 코리올리 효과의 영향으로 북쪽으로 흐른다. 따라서 벵겔라 해류는 실제로는 케이프 포인트 부근에서 시작되어 북쪽으로 흐르며, 더 먼 바다에서는 남대서양 순환의 일부로 남아메리카에서 대서양을 건너온 표층수와 합쳐진다. 결과적으로 벵겔라 해류와 아굴라스 해류는 특정 지점에서 직접 만나는 것이 아니지만, 아굴라스 해류에서 떨어져 나온 소용돌이가 때때로 케이프 주변에서 벵겔라 해류와 섞이기도 한다.
조수 간만의 차는 크지 않은 편으로, 반도 양쪽 해안 모두에서 사리 때 약 1.8m에서 1.9m 정도의 차이를 보이며, 조류의 영향은 미미하다.
폴스만(False Bay)의 수심은 케이프반도 서쪽 해안과 다른 특징을 보인다. 서쪽 해안의 해저는 폴스만보다 더 가파르게 깊어지는 경향이 있다. 해안 가까운 곳은 얕지만, 수심 100m 등심선은 서쪽 해안에서 약 10km 이내에 나타난다. 반면, 폴스만 전체는 가장 깊은 곳도 수심이 약 80m를 넘지 않는다. 폴스만의 해저는 북쪽 해안의 완만한 해변에서 만 입구까지 비교적 평탄하게 기울어져 있으며, 해안선 근처를 제외하면 동쪽에서 서쪽까지 수심이 비교적 일정하다.
5. 기후
서케이프주의 대부분처럼 케이프반도 역시 지중해성 기후를 나타내며, 따뜻하고 건조한 여름과 서늘하고 습한 겨울이 특징이다. 겨울철 강우는 주로 6월부터 8월 사이에 극서풍에서 발달한 전선 저기압의 영향으로 발생하며, 최소 일주일에 한 번 정도 비가 내린다. 여름철 기후는 남대서양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서쪽 해안으로 남동풍이 분다. 10월부터 3월까지 이어지는 여름철 강수량의 약 25%는 전선 통과 후의 조건과 관련이 있다.
반도 내 지역별 강수량 편차가 크다. 북쪽 테이블 마운틴 정상의 매클리어 비콘은 연평균 2270mm의 비가 내리지만, 남쪽 끝 케이프 포인트는 약 402mm에 그친다.
지역 | 연평균 강수량 |
---|---|
테이블 마운틴 | 1000mm–2000mm |
시티 볼 | 600mm–800mm |
남부 교외 | 1000mm–1500mm |
케이프 플랫츠 | 500mm–600mm |
남부 반도 | 400mm–700mm |
이러한 강수량 차이는 고도, 방향, 그리고 비를 유도하고 가두는 지형적 특징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고지대에서는 남동풍 구름으로 인한 강수량이 상당하다. 눈은 매우 드물게 내리며 테이블 마운틴 정상에 국한되고, 내려도 하루나 이틀 안에 녹는다.
케이프반도는 인접한 바다의 영향을 많이 받고 육지 폭이 좁으며 산의 최대 높이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기온 변화가 크지 않다. 북부 반도의 북향 지역 해수면 연평균 기온은 약 22°C이고, 산 정상 부근은 약 16°C이다. 그 외 지역의 평균 기온은 18°C에서 20°C 사이다. 특정 장소의 일교차나 연교차를 나타내는 평균 최고 기온과 평균 최저 기온의 차이는 좁은 편으로, 테이블 마운틴에서는 10°C, 케이프 포인트에서는 6°C 정도이다. 서리는 드물고 심하지 않으며, 주로 산에서 발생하고 해안선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는다.
반도 전역에 바람이 강하게 불 수 있다. 겨울에는 북서풍이 종종 강풍 수준을 넘어서며, 케이프 플랫츠 지역의 평균 풍속은 시속 20km, 케이프 포인트에서는 시속 30km에 달한다. 여름에는 남동풍과 남서풍이 일주일 이상 지속적으로 강하게 불기도 하지만, 바람 방향에 따라 상대적으로 바람이 약한 지역도 존재한다.
6. 생태
케이프반도는 북쪽의 무이예 포인트에서 남쪽의 케이프 포인트까지 52km에 걸쳐 있으며, 면적은 약 470km2이다. 남아프리카의 다른 비슷한 크기의 지역보다 더 다양한 지형을 가지고 있어 장관을 이루는 풍경을 보여준다. 다양한 저영양 토양, 큰 암석 노두, 스크리(scree, 암석 부스러기) 경사면, 주로 만이 있는 해변이 있는 바위 해안선, 그리고 기후 조건의 상당한 지역적 변화가 나타난다.
케이프 슈퍼그룹의 퇴적암은 그라프워터 및 페닌슐라 지층의 일부가 남아 있으며, 2억 8천만 년에서 2억 1천만 년 전에 융기된 후 중생대 동안 광범위하게 침식되었다. 이 지역은 제3기 동안 지질학적으로 안정되어 내구성이 강한 사암이 느리게 벗겨졌다. 침식률과 배수는 단층선과 균열의 영향을 받아 테이블 마운틴과 같이 가파른 측면의 잔존 덩어리가 남았으며, 이는 침식된 물질의 퇴적물로 둘러싸여 오래된 암석 위에 덮여 있다.
테이블 마운틴과 케이프 포인트는 페닌슐라 산맥의 양쪽 끝에 있는 두 개의 국제적으로 주목할 만한 랜드마크이다. 동쪽에는 케이프 플랫츠와 폴스만이 있고 서쪽에는 대서양이 있다. 이 풍경은 사암 고원과 능선이 지배적이며, 일반적으로 가장자리에서 주변의 잔해 경사면으로 가파르게 떨어진다. 피쉬 후크-노르드후크 계곡에서 주요 틈새가 발생한다. 남쪽 지역은 대부분 모래 언덕이 있는 낮은 사암 고원이다. 최대 고도는 테이블 마운틴에서 1113m이다.
반도는 지형의 변화가 매우 심하며, 좁은 지역 내에서도 연간 강수량의 변동 폭이 크고, 영양분이 부족한 다양한 토양을 가지고 있어 광범위한 서식지와 생태 공동체를 지원한다. 이러한 환경 덕분에 반도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케이프 식물 지역에 속하며,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의 생물 다양성을 나타낸다. 특히 핀보스 식생이 대표적이며 다양한 동물 군집이 서식한다.
테이블 마운틴 국립공원(이전 명칭: 케이프 반도 국립공원)은 테이블 마운틴 산맥의 자연 환경, 특히 희귀한 핀보스 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1998년 5월 29일에 지정되었다. 이 공원은 케이프 반도의 개발되지 않은 지역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남아프리카 국립공원 위원회에서 관리한다. 케이프 반도를 둘러싼 연안 해역은 2004년에 해양 보호 구역으로 선포되었으며, 몇 개의 어획 금지 구역을 포함하고 국립 공원의 일부를 이룬다. 이 해양 보호 구역의 해역은 두 개의 뚜렷한 연안 해양 생태 지역, 즉 아굴라스 생태 지역과 벵겔라 생태 지역의 일부라는 점에서 특이하며, 그 경계는 케이프 포인트에 있다.
6. 1. 식물
반도는 지형 변화가 심하고, 좁은 지역 내에서도 연간 강수량 변동이 크며, 영양분이 부족한 다양한 토양을 가지고 있어 광범위한 서식지와 생태 공동체를 지원한다. 반도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케이프 식물 지역에 속하며, 약 2,285종의 식물이 서식하는 등 식물과 무척추동물의 다양성이 세계적으로 높은 지역이다. 식생은 화재에 취약한 약 12가지 유형의 핀보스 관목지가 주를 이룬다. 무척추동물 군집 구조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척추동물 군집은 반복되는 화재와 영양 제한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대부분 작고 개체수 밀도가 낮다.테이블 마운틴 국립공원(이전 명칭: 케이프 반도 국립공원)은 테이블 마운틴 산맥의 자연 환경, 특히 희귀한 핀보스 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1998년 5월 29일에 지정되었다. 이 공원은 케이프 반도의 개발되지 않은 상당 부분을 포함하며, 남아프리카 국립공원 위원회에서 관리한다. 반도 주변 해역은 2004년에 해양 보호 구역으로 선포되었으며, 여러 어획 금지 구역을 포함하고 국립 공원의 일부를 이룬다. 이 해양 보호 구역은 아굴라스 생태 지역과 벵겔라 생태 지역이라는 두 개의 뚜렷한 연안 해양 생태 지역의 일부라는 점에서 독특하며, 그 경계는 케이프 포인트에 있다.


케이프 반도는 매우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자랑하며, 그 식물상은 독특하고 풍부한 케이프 핀보스의 여러 유형으로 주로 구성된다. 주요 식물 유형은 멸종 위기 등급인 반도 사암 핀보스이지만, 심각한 멸종 위기 등급인 반도 화강암 핀보스, 반도 셰일 레노스터벨드 및 아프로몬탄 숲도 반도 산맥의 작은 부분에 존재한다. 모래 해변인 케이프 플랫 저지대에는 보호받는 케이프 플랫 샌드 핀보스가 몇 군데 있다.
반도의 식물 유형은 케이프 꽃 지역 보호 구역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 보호 구역은 세계 유산이며, 약 2,200종의 식물이 테이블 마운틴 산맥에 국한되어 있는데, 이는 영국 전체의 식물 종 수와 거의 같다. 프로테아를 포함한 많은 종이 이 산에 고유하며 다른 곳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디사 유니플로라는 웨스턴케이프 내에서 제한적인 분포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테이블 마운틴과 백 테이블의 연중 습한 지역(폭포, 시냇물, 샘)에서 비교적 흔하게 발견되지만 케이프 반도의 다른 지역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 화려한 난초는 테이블 마운틴 사암 지역에서 1월부터 3월까지 핀다. 백 테이블에서 널리 분포하지만, 스켈레톤 고지와 맥클리어스 비콘 사이 중간 지점의 스머츠 트랙에서 벗어난 "수도교"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다.
토착 숲의 잔존 구역은 더 습한 협곡에 남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토착 숲은 희망봉 건설에 필요한 석회 가마용으로 초기 유럽 정착민들에 의해 벌목되었다. 원래 숲의 정확한 범위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대부분 데블스 피크, 테이블 마운틴, 백 테이블의 동쪽 경사면을 따라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론데보쉬, 키르스텐보쉬, 클래센보쉬, 위테보멘과 같은 지명이 남아 있는데, 이는 네덜란드어로 "보쉬(bosch)"가 숲을, "보멘(bomen)"이 나무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후트 베이(네덜란드어로 "후트(hout)"는 나무를 의미) 역시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목재와 연료의 공급원이었다. 1900년대 초, 콘스탄티아버그에서 데블스 피크 앞까지, 심지어 산 정상까지 상업용 소나무 농장이 조성되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제거되어 토착 아프로몬탄 숲이 없었거나 살아남지 못한 지역에서 핀보스가 다시 번성하고 있다.
핀보스는 화재에 적응한 식물군으로, 정기적인 화재가 없다면 건조한 핀보스를 제외한 모든 핀보스는 나무로 뒤덮일 것이라는 증거가 있다. 정기적인 화재는 지난 12,000년 동안 주로 인간 활동의 결과로 핀보스를 지배해 왔다. 1495년 바스코 다 가마는 수많은 화재 연기 때문에 남아프리카 해안선을 "테라 데 퓨메(Terra de Fume, 연기의 땅)"라고 명명했다. 이는 처음에는 식용 구근(특히 왓소니아)의 생산량을 유지하고 사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나중에는 목축민이 도착한 후 비가 내린 뒤 신선한 목초지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 따라서 오늘날 핀보스를 구성하는 식물들은 오랜 기간 다양한 화재 체제에 노출되었으며, 현재 그 보존에는 정기적인 화재가 필수적이다. 화재 빈도는 특정 지역을 지배하는 식물 구성을 결정하지만, 10–15년 간격의 화재는 더 큰 프로테아 종의 번식에 유리한 것으로 여겨진다. 더 잦은 화재로 인해 희귀한 지역 군집인 ''Aulax umbellata''(프로테아과)가 반도에서 멸종되었으며, 실키 헤어 핀쿠션(''레우코스페르뭄 베스티툼''), 레드 슈가부쉬(''프로테아 그란디셉스''), 버첼의 슈가부쉬(''프로테아 버첼리이'')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테이블 마운틴과 데블스 피크 사이의 안장에서 약 12그루의 ''프로테아 버첼리이''가 최근 "재발견"되었다. 일부 구근 식물 역시 너무 잦은 화재로 멸종했을 수 있다. 오늘날 산에서 발생하는 화재는 여전히 주로 규제되지 않은 인간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며, 화재 빈도는 보존보다는 우연에 의해 결정되는 실정이다.
집중적인 보존 노력에도 불구하고 테이블 마운틴 산맥은 동일 면적의 대륙 지역 중 멸종 위기 종의 밀도가 세계에서 가장 높다. 케이프 반도의 비도시 지역(주로 산과 산비탈)은 1세기 이상 침입 외래 식물의 대규모 확산으로 고통받고 있다. 가장 심각한 침입종은 군집 소나무로, 부분적으로는 산 동쪽 경사면, 뮤이젠버그 북쪽에 광범위한 상업적 조림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 침입 외래 나무의 급속한 확산을 통제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다른 침입 식물로는 검은 아카시아, 블랙우드, 포트 잭슨, 루이크란스(모두 호주 원산의 아카시아과 식물)와 여러 ''하케아'' 종 및 블랙베리가 있다.

식물상은 케이프 플로리스트 지역 남서부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인다. 5개의 가장 큰 과는 국화과(286종, 이 중 47종은 ''Senecio''), 붓꽃과(168종), 콩과(162종, 이 중 55종은 ''Aspalathus''), 벼과(141종), 진달래과(112종, 이 중 103종은 ''에리카'')이다. 또한 ''Oxalis''(괭이밥과) 38종, ''Ficinia''(사초과) 37종이 있다. 이 식물상에는 서부 케이프의 전형적인 겨울 강우 지역 종뿐만 아니라 여름 강우 지역까지 분포하는 종도 포함된다.
케이프 반도에는 세 가지 주요 식물 군락이 존재한다: 케이프 파인보스 관목지, 레노스터벨드 관목지 및 관련 초원, 숲과 덤불이다. 파인보스가 가장 넓은 면적(역사적으로 약 92%)을 차지하며 대다수 종을 포함한다. 이는 불에 잘 타는 경엽성 관목지로, 레스티오이드(Restionaceae과 식물)가 풍부하다. 레노스터벨드 역시 불에 잘 타는 관목지이지만, 레스티오이드 대신 풀이 우세하고 프로테오이드 관목이 없으며, 관목 구성 요소는 에리코이드 관목이 지배적이다. 세 번째 군락인 숲과 덤불은 넓은 잎을 가진 아프로템퍼레이트 숲의 상록수와 관목이 특징이며 불에 잘 타지 않는다. 이는 다양한 서식지, 주로 습하고 비교적 비옥하며 불로부터 보호받는 토양에서 자라며, 종 다양성은 비교적 낮다.
'''파인보스 유형:'''
- 사구 국화과 파인보스
- 해안 사면 국화과 파인보스
- 에리카과 파인보스
- 중습성 중영양 프로테오이드 파인보스
- 습지 중영양 프로테오이드 파인보스
- 중습성 빈영양 프로테오이드 파인보스
- 습지 빈영양 프로테오이드 파인보스
- 사질 평원 프로테오이드 파인보스
- 고지대 레스티오이드 파인보스
- 습지 레스티오이드 파인보스
- 미분화된 절벽 군집
'''기타 식물 군락:'''
- 레노스터벨드 및 초원
- 습지
- 블레이스 (Vleis, 계절성 습지)
- 숲과 덤불
6. 2. 동물
반도는 지형의 변화가 매우 심하며, 좁은 지역 내에서 연간 강수량의 변동 폭이 크고, 영양분이 부족한 다양한 토양을 가지고 있어 광범위한 서식지와 생태 공동체를 지원한다. 반도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케이프 식물 지역에 위치하며, 약 2,285종의 식물이 서식하는 등 식물과 무척추동물의 다양성이 세계적으로 높은 지역이다. 식생은 화재에 취약한 약 12가지 유형의 핀보스 관목지가 지배적이다. 무척추동물 군집 구조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척추동물 군집은 반복되는 화재와 영양 제한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것으로 여겨지며, 대부분의 척추동물은 작고 개체수 밀도가 낮다.테이블 마운틴 국립공원은 이전에는 케이프 반도 국립공원으로 알려졌으며, 테이블 마운틴 산맥의 자연 환경, 특히 희귀한 핀보스 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1998년 5월 29일에 선포되었다. 이 공원은 케이프 반도의 개발되지 않은 지역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남아프리카 국립공원 위원회에서 관리한다. 케이프 반도를 둘러싼 연안 해역은 2004년에 해양 보호 구역으로 선포되었으며, 몇 개의 어획 금지 구역을 포함하고 국립 공원의 일부이다. 이 해양 보호 구역의 해역은 두 개의 뚜렷한 연안 해양 생태 지역, 즉 아굴라스 생태 지역과 벵겔라 생태 지역의 일부라는 점에서 특이하며, 경계는 케이프 포인트에 있다.
산에서 가장 흔했던 포유류는 '다시'(dassie|더시af, 바위너구리)였다. 그러나 2000년에서 2004년 사이 알 수 없는 이유로 그 수가 급격히 줄었다. 과거에는 케이블카 상부 승강장 근처 식당 주변 등 관광객이 주는 먹이 근처에 몰려들기도 했다. 바위너구리의 감소는 케이프 반도의 베로우 독수리 개체 수 감소와 연관이 있을 수 있다. 1950년대부터 1990년대 사이 베로우 독수리는 3쌍 정도만 번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고, 한 해에 새끼를 낳는 쌍은 최대 2쌍에 불과했다.[1] 1993년 공식 조사가 시작된 후, 2004년에는 두 쌍의 번식 쌍이 기록되었다. 하지만 2006년 케이블카 근처 둥지가 버려졌고, 노르두크 피크 아래 절벽의 둥지만 남았다. 이 쌍은 2013년까지 비교적 규칙적으로 번식했으나, 이후 한 마리가 사라졌다. 2013년부터 2017년 1월까지는 암컷으로 추정되는 한 마리만 남아 둥지를 지켰지만 짝을 찾지 못했다. 다행히 2017년 초, 여러 관찰자에 의해 독수리 한 쌍이 다시 목격되었다. 바위너구리는 반도에서 베로우 독수리의 중요한 먹이이다. 최근 몇 년 사이 바위너구리는 바코벤의 아틀란틱 해안, 실버마인 지역, 테이블 마운틴 정상 등에서 다시 관찰되기 시작했지만, 1990년대만큼 흔하지는 않다.
테이블 마운틴에는 아프리카호저, 몽구스, 뱀, 도마뱀, 거북이 등 다양한 동물이 서식한다. 특히 이곳에서만 발견되는 희귀 고유종 양서류인 테이블 마운틴 유령 개구리도 살고 있다. 이 지역의 마지막 사자는 1802년경 사살되었고, 표범은 1920년대까지 존재했으나 현재는 지역적으로 멸종했다. 작고 은밀한 야행성 육식동물인 카라칼(아프리칸스어로 rooikat|루이카트af)과 남아프리카 야생 고양이(발카트 또는 vaalboskat|발보스카트af)는 과거 흔했지만, 현재 루이카트는 드물게 목격되고 발보스카트의 상태는 불확실하다. 산 절벽에는 베로우 독수리 외에도 자칼 쇠개구리매, 부츠 독수리(여름 철새), 아프리카 사냥매, 송골매, 황갈색 쇠부리매 등 여러 맹금류가 서식한다. 2014년에는 세 쌍의 아프리카 물수리가 반도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그들은 일반적으로 반도에서 인간 거주지에서 가능한 한 멀리 떨어진 나무에 둥지를 짓는다. 2017년 그들의 수는 알려지지 않았다.
1990년대 후반까지 차크마 개코원숭이는 테이블 마운틴 바로 뒤의 백 테이블을 포함하여 반도의 모든 산에서 발견되었다. 그 이후로 그들은 테이블 마운틴과 백 테이블을 버리고 콘스탄티아베르크와 남쪽의 산에서만 발견된다. 그들은 또한 많은 산 꼭대기를 버리고 특히 산 꼭대기의 핀보스보다 더 많거나 더 높은 품질의 음식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이는 소나무 농장이 덮여 있을 때 낮은 경사면을 선호했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서식지는 케이프 타운의 교외에서도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이는 인간 및 개와의 갈등과 교통사고의 위험을 초래한다. 2014년에는 콘스탄티아베르크에서 케이프 포인트까지 산에 흩어져 있는 7명에서 100명 이상으로 구성된 12개의 무리가 반도에 있었다. 개코원숭이 무리는 그들의 움직임(개인과 무리 모두), 생리, 유전학, 사회적 상호 작용 및 습관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의 대상이다. 또한, 그들의 잠자는 장소는 매일 저녁 기록되므로, 페인트볼 총을 소지한 감시자들이 하루 종일 무리와 함께 교외로 돌아다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계획이 2009년에 시작된 이후 반도의 개코원숭이 수는 350마리에서 450마리로 증가했으며, 주민에 의해 죽거나 부상당한 개코원숭이의 수는 감소했다.

히말라야 타르는 1936년 케이프타운 대학교 근처 그루트 슈어 동물원에서 탈출한 타르의 도망자 후손으로, 산의 접근하기 어려운 상부에서 흔했다. 외래종으로, 토종 클립스프링어의 재도입을 위해 남아프리카 국립공원이 시작한 도태 프로그램을 통해 거의 근절되었다. 최근까지 유럽에서 온 소수의 알락 사슴과 동남아시아에서 온 삼바 사슴도 있었다. 이들은 주로 로드스 기념관 지역에 있었지만, 1960년대에는 시그널 힐만큼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발견될 수 있었다. 이러한 동물들은 제거하거나 재배치하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가끔 보일 수 있다.
데블스 피크의 낮은 경사면, 그루트 슈어 병원 위에, 세실 존 로즈가 케이프 타운시에 유증한 동물 캠프가 최근 콰가 프로젝트의 일부로 사용되었다. 콰가는 케이프 반도, 카루, 자유주에서 많은 수로 돌아다녔지만, 1800년대 초에 멸종될 때까지 사냥당했다. 마지막 콰가는 1883년 암스테르담 동물원에서 죽었다. 1987년 라인홀드 라우는 박물관 표본에서 얻은 미토콘드리아 DNA를 사용하여 콰가가 평원 얼룩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확인한 후 콰가를 역교배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2005년 1월 20일에는 줄무늬가 줄어든 것이 보이는 콰가와 유사한 첫 번째 개체로 간주되는 망아지가 태어났다. 이 콰가와 유사한 얼룩말은 공식적으로 Rau 콰가로 알려져 있는데, 콰가와 비슷한 것 이상이라는 확신이 없기 때문이다. 그루트 슈어 병원 위의 동물 캠프에는 몇 마리의 잘 생긴 Rau 콰가가 있지만, 불행히도 게임 캠프 내부에서만 쉽게 볼 수 없으며, 게임 캠프는 상당히 크고 울퉁불퉁하며, 동물은 거의 없다. 동물 캠프는 일반인에게 공개되지 않는다.
7. 역사
약 6천만 년 전까지 케이프반도는 섬이었으나, 해저에서 케이프 플랫츠가 융기하면서 육지와 연결되었다.
케이프반도에는 20만 년 이상 된 수렵 채집인의 거주 흔적이 남아있다. 초기 산족 거주자들은 사냥감 확보와 식물 채집을 위해 자연 식생을 관리하는 '파이어스틱 농법'을 사용했다. 이러한 오랜 관행은 덤불이 우세했을 지역에 파인보스 식생의 발달과 식물 다양성 증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 약 2000년 전, 산족은 건기 동안 반도 중북부 저지대에서 양과 소를 키우던 유목민 목축업자 코이코이족으로 대체되었다.
네덜란드의 식민지화는 반도 북부 저지대 생태계에 즉각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농업이 도입되고 테이블 만과 윈버그 사이에서 빠르게 확장되면서, 테이블 마운틴 동쪽 경사면과 평지, 후트 베이 계곡의 숲은 곧 고갈되었다. 1655년경부터 자연 숲을 대체하기 위해 네덜란드에서 참나무와 소나무 같은 외래 식물이 도입되었다. 남부 반도로의 확장은 접근성의 어려움으로 더뎠지만, 테이블 만이 북서풍 폭풍에 취약하여 많은 배가 좌초되자 1743년부터 사이먼스 타운을 겨울 정박지로 사용하면서 촉진되었다. 이 지역의 농장은 주로 사냥과 제한적인 원예에 사용되었다. 식민지 확장과 천연두 유행은 1713년까지 코이코이족 사회의 경제적, 사회적 붕괴를 초래했다.
1806년 영국이 케이프 식민지를 다시 점령한 후 무역이 자유화되면서 반도의 인구는 급격히 증가했다. 당시 대케이프타운 지역의 인구는 정착민 약 22,000명, 노예 약 25,000명, 그리고 남아있는 코이코이족으로 구성되었다. 1820년 정착민의 도착으로 유럽계 인구는 약 47,000명으로 늘어났다. 영국은 사이먼스타운을 공식 해군 기지로 삼았고, 이는 지역의 교통 및 기타 기반 시설 성장을 촉진했다. 사이먼스타운은 앵글로-보어 전쟁과 두 차례의 세계 대전 동안 번성했지만, 반도의 농업은 지형과 토양의 한계로 인해 제한적이었다. 방문하는 선박에 공급되는 농산물 대부분은 케이프 플랫츠와 그 너머 지역에서 생산되었다.
19세기 중후반에는 중앙 반도와 테이블 마운틴 경사면(주로 소나무와 유칼립투스), 그리고 케이프 플랫츠의 모래 지역(주로 호주 아카시아)에 빠르게 자라는 외래 나무 농장이 광범위하게 조성되었다. 이는 반도의 남아있는 자연 생태계를 위협하는 외래 식물 침입 문제로 이어졌다. 도시 지역 또한 테이블 마운틴의 동쪽 경사면을 따라 확장되었고, 이후 서쪽 경사면, 케이프 플랫츠, 그리고 무이젠버그에서 사이먼스타운까지 이어지는 남부 반도 동쪽 해안으로 확장되었다.
케이프타운은 20세기 동안 급격히 성장했다. 1960년대 인구는 50만 명에 달했고, 1980년대 후반 차별적인 법률이 완화되면서 많은 농촌 인구가 이주하여 빈터에 비공식 정착촌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1994년 인구는 220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2020년에는 400만 명을 넘어섰다. 이러한 급격한 성장은 특히 자연 생태계를 지탱하던 토지가 점유되면서 환경에 대한 압력을 증가시켰다.
1996년 기준으로 지역의 약 37%가 농업 및 도시화에 사용되었고, 남아있는 자연 식생 지역의 44%가 외래 식물에 의해 침입당한 상태였다. 그러나 반도의 약 64%는 세 개의 주요 자연 보호 구역을 포함하며 이후 테이블 마운틴 국립공원으로 선포된 '케이프 반도 보호 자연 환경' 내에 포함되어 보호받고 있다. 2000년의 지방 자치 단체 구조 조정으로 케이프반도 전체는 케이프타운 시 행정 구역에 포함되었다.
8. 인류의 영향
케이프반도에는 20만 년 이상 전부터 수렵 채집인들이 거주했다. 초기 산족(San) 거주자들은 사냥감과 땅에서 나는 식물을 관리하기 위해 불을 이용하는 '파이어스틱 농법'을 사용했다. 이러한 오랜 관행은 원래 덤불이 우세했을 지역에 파인보스 식생이 발달하고 식물 다양성이 증가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여겨진다. 약 2000년 전, 산족은 코이코이족(Khoikhoi)으로 대체되었는데, 이들은 건기 동안 반도 중북부 저지대에서 양과 소를 키우는 유목 목축민이었다.
1652년 네덜란드의 식민지화는 반도 북부 저지대 생태계에 즉각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농업이 도입되고 테이블 마운틴과 윈버그(Wynberg) 사이에서 빠르게 확장되었으며, 테이블 마운틴 동쪽 경사면과 평지, 후트 베이(Hout Bay) 계곡의 숲은 빠르게 고갈되었다. 1655년경부터는 자연림을 대체하기 위해 네덜란드에서 참나무와 소나무 같은 외래 식물이 도입되었다. 남부 반도로의 네덜란드 확장은 접근이 어려워 더뎠지만, 테이블만(Table Bay)이 북서풍 폭풍에 취약하여 많은 배가 좌초되자 1743년부터 사이먼스만(Simon's Bay)을 겨울철 정박지로 사용하면서 촉진되었다. 이 지역에 '자유 시민'에게 주어진 농장은 주로 사냥과 제한적인 원예 재배에 이용되었다. 식민지 확장과 천연두 유행으로 인해 1713년까지 코이코이족의 사회적, 경제적 기반은 붕괴되었다.
1806년 영국이 케이프 식민지를 두 번째로 점령한 후, 무역 자유화는 반도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이어졌다. 당시 대 케이프타운 지역의 인구는 정착민 약 22,000명, 노예 25,000명, 그리고 남아있는 코이코이족으로 구성되었다. 1820년 정착민의 도착으로 유럽계 인구는 약 47,000명으로 증가했다. 영국은 사이먼스타운을 공식 해군 기지로 지정했고, 이는 이 지역의 교통 및 기타 기반 시설 성장을 촉진했다. 사이먼스타운은 앵글로-보어 전쟁과 두 차례의 세계 대전 동안 번성했지만, 반도의 농업은 지형과 토양의 한계로 인해 제한적이었다. 방문하는 배에 공급되는 대부분의 농산물은 케이프 플랫츠(Cape Flats)와 그 너머 지역에서 생산되었다.
19세기 중후반에는 중앙 반도와 테이블 마운틴 경사면(주로 소나무와 유칼립투스), 그리고 케이프 플랫츠의 모래 지역(주로 호주 아카시아)에 빠르게 자라는 외래 나무들이 광범위하게 심어졌다. 이는 반도의 남아있는 자연 생태계를 위협하는 외래 식물 침입 문제로 이어졌다. 도시 지역 또한 테이블 마운틴의 동쪽 경사면을 따라 확장되었고, 이후에는 서쪽 경사면, 케이프 플랫츠, 그리고 무이젠버그(Muizenberg)에서 사이먼스타운까지 이어지는 남부 반도 동쪽 해안을 따라 확장되었다.
케이프타운은 20세기 동안 급격히 성장했다. 1960년대에 인구는 50만 명에 달했고, 1980년대 후반에는 차별적인 법률이 완화되면서 많은 농촌 인구가 이주하여 빈터에 비공식 정착촌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1994년에는 인구가 220만 명으로 증가했으며, 2020년에는 400만 명을 넘어섰다. 이러한 급격한 인구 성장은 특히 자연 생태계를 지탱하던 토지가 점유되면서 자연 환경에 대한 압력을 증가시켰다.
1996년 기준으로 케이프반도 지역의 약 37%가 농업 및 도시화에 사용되었고, 남아있는 자연 식생 지역의 44%가 외래 식물에 의해 침입된 상태였다. 그러나 반도의 약 64%는 세 개의 주요 자연 보호 구역을 포함하는 케이프 반도 보호 자연 환경(Cape Peninsula Protected Natural Environment, CPPNE) 내에 속해 있었으며, 이 지역은 나중에 테이블 마운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9. 교통
케이프타운에서 폴스만 연안의 도시 뮤젠버그[2]를 거쳐 사이먼스타운까지 근교 노선인 메트로레일 남부선이 운행되고 있다.
10. 보존 노력
케이프반도의 독특한 자연환경은 오랜 시간 동안 인간 활동의 영향을 받아왔다. 초기 산족은 '파이어스틱 농법'이라는 방식으로 자연 식생을 관리하며 파인보스 생태계 형성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코이코이족의 목축 활동이 이어졌으나, 17세기 네덜란드 식민지화 이후 농업 도입과 도시 개발로 인해 북부 반도의 저지대 생태계는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특히 테이블 마운틴 동쪽 경사면과 후트 베이 계곡의 숲은 빠르게 고갈되었고, 이를 대체하기 위해 유럽에서 들여온 참나무나 소나무 같은 외래종이 심어졌다.
19세기 영국 식민 통치 하에서는 인구가 급증하고 사이먼스타운이 해군 기지로 개발되면서 인프라가 확장되었다. 이 시기에는 목재 수요 충족과 모래 언덕 안정화를 위해 소나무, 유칼립투스, 호주 아카시아 등 빠르게 자라는 외래 나무들이 대규모로 심어졌다. 그러나 이는 오히려 토착 생태계를 위협하는 외래 식물 침입 문제로 이어졌다.
20세기 들어 케이프타운의 급격한 도시 팽창은 자연 환경에 더 큰 압력을 가했다. 특히 1980년대 후반 이후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비공식 정착촌이 확산되었고, 이는 자연 서식지 파괴로 이어졌다. 1994년에는 인구가 220만 명에 달했으며, 2020년에는 400만 명을 넘어섰다.
이러한 환경 파괴와 변화 속에서 케이프반도의 자연을 보존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1996년 조사 당시 반도 면적의 약 37%가 농경지나 도시 지역으로 개발되었고, 남아있는 자연 식생 지역의 44%가 외래 식물의 침입을 받은 상태였다. 하지만 동시에 반도 전체 면적의 약 64%가 Cape Peninsula Protected Natural Environment|CPPNEeng(케이프 반도 보호 자연 환경)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었으며, 이는 이후 테이블 마운틴 국립공원의 핵심 지역이 되었다. 이는 도시화와 개발 압력 속에서도 케이프반도의 독특하고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지키기 위한 중요한 조치로 평가된다.
참조
[1]
간행물
Information gleaned from reports in the Cape Bird Club's newsletters from the 1950s onwards
[2]
서적
世界の美しい階段
エクスナレッ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