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우그리아어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핀우그리아어파는 우랄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의 한 갈래로,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헝가리어 등을 포함한다. 이 언어들은 어휘와 문법에서 유사성을 보이며, 우랄 산맥과 발트해 사이 지역에서 기원한 것으로 추정된다. 핀우그리아어파는 핀-페름어파와 우그리아어파로 나뉘며, 핀-페름어파는 다시 여러 하위 그룹으로 세분된다. 핀우그리아어 사용 인구는 헝가리, 핀란드, 에스토니아 등에 분포하며, 국제 핀우그리아 학술 회의와 세계 핀우그리아 민족 회의 등을 통해 문화와 언어 연구가 진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우그리아어파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핀우그리아어파 - 메앤키엘리
메앤키엘리는 스웨덴 북부 토르네 강 계곡에서 쓰이는 핀란드어 기반의 소수 언어로, 스웨덴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으로 발전했으며, 스웨덴 소수 언어로 인정받아 보존 노력이 이어지고 있고, 핀란드어 방언인지 독립적인 언어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핀우그리아어파 | |
---|---|
언어 정보 | |
이름 | 핀우그리아어파 |
다른 이름 | 핀우고르어파, 페노-우그리아어파, 우고르-핀어파 |
지역 | 동유럽, 중앙유럽, 북유럽, 북아시아 |
어족 | 우랄어족 |
ISO 639-2 | fiu |
ISO 639-5 | fiu |
어족 분류 | |
전통적 분류 1 | 핀-페름어군 |
전통적 분류 2 | 우그리아어군 |
언어 지도 | |
![]() |
2. 기원 및 역사
핀우그리아어가 계통군으로서 타당한지에 대해서는 현재 논쟁이 있으며,[10][11] 일부 언어학자들은 핀-페름어파가 우고르어파와 시베리아에서 사용되는 사모예드어파만큼이나 다르다고 주장한다.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견해는 가장 동쪽에 위치한 사모예드어가 먼저 분리되었고, 우고르어와 핀-페름어로의 분기는 나중에 일어났다는 것이지만, 이러한 재구성은 언어학적 데이터의 강력한 지지를 받지 못한다.[11]
역사 언어학을 통해 모든 우랄어족 언어의 공통 조상인 우랄조어를 재구성하려는 시도는 사모예드어를 제외하고는 거의 우랄조어와 구별되지 않으며, 핀우그리아어가 역사적인 그룹이 아니라 지리적인 그룹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우랄조어가 사용된 지역은 발트해와 우랄 산맥 사이에 이르는 것으로 제안되었다.[12]
전통적으로 핀우그리아어의 유전적 제안에 대한 주요 증거는 어휘에서 나왔다. 많은 어휘(예: 숫자 "하나", "셋", "넷" 및 "여섯"; 신체 부위 용어 "손", "머리")는 우랄조어 수준까지만 재구성되며, 사모예드어와 동등한 단어만 우랄조어에 대해 재구성되었다.
사모예드어군은 더 오랜 기간 동안 독립적인 발전을 겪었으며, 그 분기된 어휘는 언어 접촉과 같은 대체 메커니즘에 의해 발생했을 수 있다. 핀우그리아어군은 보통 약 4,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고, 사모예드어군은 2,000년이 조금 넘는다.
자음 ''*š'' (무성 후치경 마찰음)은 전통적인 우랄조어 어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지만 일부 핀우그리아어 자료에서 입증되었다. 핀우그리아어 어휘에서 입증된 또 다른 특징은 ''*i''가 이제 전후 모음 조화와 관련하여 중성 모음으로 작용하여 ''*niwa-'' "가죽에서 털을 제거하다"와 같은 어근이 있다는 것이다.[13]
이 단계에서 제안된 규칙적인 음운 변화는 거의 없고 해석의 여지가 남아 있다. Sammallahti (1988)[13]는 Janhunen (1981)의 핀-페름어파 재구성을 따라 다섯 가지를 제안한다.
- 보상적 장음화: 모음과 알려지지 않은 품질의 특정 음절 최종 요소의 클러스터에서 긴 모음의 발전, ''*x''로 기호화됨
- 긴 개 ''*aa'' 및 ''*ää''는 각각 중간 ''*oo'' 및 ''*ee''로 상승한다.
- 예: ''*ńäxli-'' → ''*ńääli-'' → ''*ńeeli-'' "삼키다" (→ 핀란드어 ''niele-'', 헝가리어 ''nyel'' 등)
- 후속 ''*i'' 앞에 열린 음절에서 짧은 ''*o''가 ''*u''로 상승
- 닫힌 음절과 후속 열린 모음 ''*a'', ''*ä'' 앞에서 긴 모음의 단축, ''*ää'' 및 ''*ee''의 상승 이전
- 예: ''*ńäxl+mä'' → ''*ńäälmä'' → ''*ńälmä'' "혀" (→ 북부 사미어 ''njalbmi'', 헝가리어 ''nyelv'' 등)
Janhunen (2007, 2009)[16][17]는 핀우그리아어에서 ''*ńoma'' "토끼" → ''*ńoma-la'', (vs. 사모예드어 ''*ńomå''), ''*pexli'' "측면" → ''*peel-ka'' → ''*pelka'' "엄지"를 포함하여 다수의 파생 형태소 혁신을 언급하지만, 우랄조어 파생 요소가 포함된다.
핀우그리아어파의 기원은 우랄 산맥 서쪽의 러시아 중부·북부에 있는 상트페테르부르크 부근의 잉그리아 (Ingria, 잉게르만란트)로 보는 설, 우랄 산맥 중남부로 보는 설[49], 더 나아가 동쪽의 알타이·사얀 지역으로 보는 설 등이 있으며, 어족으로서의 형성은 기원전 3천년기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전해진다. 재구축된 조어에는 인도이란어파로부터의 차용어("꿀벌", "꿀" 등)도 포함되어 있으며, 인도-이란계 민족(스키타이 등)이 유라시아 스텝에 살았던 시대의 것으로 생각된다.
슬라브어파 주민이 현재의 러시아에 퍼지기 전, 이러한 언어들은 이미 우랄 산맥에서 발트해에 이르는 범위에 퍼져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신석기 시대의 빗살무늬 토기 문화 (Comb Ceramic Culture)의 범위와 겹치며, 이것이 기원전 4200년부터 2000년경의 핀-우고르어파의 문화에 대응한다고 여겨진다. 핀-우고르어파는 우고르 제어(우랄 산맥 동쪽의 유그라 지방 [현재의 한티-만시 자치구]의 언어와 헝가리어로 구성)와 핀-페름 제어 (러시아의 우랄 이서, 핀란드·발트해 연안까지)로 나뉘며, 핀-페름 제어는 더 많은 하위 분류로 나뉜다. 우고르(Ugric languages영어)는 만시족의 옛 이름 "Voguls"에서 유래하며, 지명 "유그라"(Yugra영어)와 함께 "헝가리"(Hungary영어)와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다는 설도 있다.
발트-핀 제어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등)의 어휘에는 다른 핀-우고르어파와 공통되지 않는 것이 있으며, 오래된 기층 언어(발트어파와 공통될 수 있다)에 기반할 가능성도 있다. 또한 특히 사미어 (라프어)에 관해서는, 조상은 다른 언어를 사용했고, 나중에 핀-우고르어를 받아들였다는 가능성이 높다.
3. 특징
핀우그리아어가 계통군으로서 타당한지에 대해서는 현재 논쟁이 있으며,[10][11] 일부 언어학자들은 핀-페름어파가 우고르어파와 시베리아에서 사용되는 사모예드어파만큼이나 다르다고 주장한다. 심지어 핀우그리아어, 핀페름어, 우고르어 분파 중 어떤 것도 확립되지 않았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견해는 가장 동쪽에 위치한 (그리고 가장 늦게 발견된) 사모예드어가 먼저 분리되었고, 우고르어와 핀페름어로의 분기는 나중에 일어났다는 것이지만, 이러한 재구성은 언어학적 데이터의 강력한 지지를 받지 못한다.[11]
역사 언어학을 통해 모든 우랄어족 언어의 공통 조상인 우랄조어(Proto-Finno-Ugric)를 재구성하려는 시도는 사모예드어를 제외하고는 거의 우랄조어와 구별되지 않으며, 핀우그리아어가 역사적인 그룹이 아니라 지리적인 그룹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즉, 사모예드어는 역사적으로 분기되기보다는 어휘 차용에 의해 구별된다는 것이다.
핀우그리아어의 유전적 제안에 대한 주요 증거는 전통적으로 어휘에서 나왔다. 숫자 "하나", "셋", "넷", "여섯" 및 신체 부위 용어 "손", "머리"와 같은 많은 어휘는 우랄조어 수준까지만 재구성되며, 사모예드어와 동등한 단어만 우랄조어에 대해 재구성되었다.
사모예드어군은 더 오랜 기간 동안 독립적인 발전을 겪었으며, 그 분기된 어휘는 언어 접촉과 같은 대체 메커니즘에 의해 발생했을 수 있다. 핀우그리아어군은 보통 약 4,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고, 사모예드어군은 2,000년이 조금 넘는다.
자음 ''*š'' (무성 후치경 마찰음, )는 전통적인 우랄조어 어휘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결정적으로 나타나지 않았지만 일부 핀우그리아어 자료에서 입증되었다. 핀우그리아어 어휘에서 입증된 또 다른 특징은 ''*i''가 이제 전후 모음 조화와 관련하여 중성 모음으로 작용하여 ''*niwa-'' "가죽에서 털을 제거하다"와 같은 어근이 있다는 것이다.[13]
이 단계에서 제안된 규칙적인 음운 변화는 거의 없고 해석의 여지가 남아 있다. Sammallahti (1988)[13]는 Janhunen (1981)의 핀-페름어파 재구성을 따라 다섯 가지를 제안한다.
- 보상적 장음화: 모음과 알려지지 않은 품질의 특정 음절 최종 요소의 클러스터에서 긴 모음의 발전. ''*x''로 기호화됨
- 긴 개 ''*aa'' 및 ''*ää''는 각각 중간 ''*oo'' 및 ''*ee''로 상승.
- 예: ''*ńäxli-'' → ''*ńääli-'' → ''*ńeeli-'' "삼키다" (→ 핀란드어 ''niele-'', 헝가리어 ''nyel'' 등)
- 후속 ''*i'' 앞에 열린 음절에서 짧은 ''*o''가 ''*u''로 상승
- 닫힌 음절과 후속 열린 모음 ''*a'', ''*ä'' 앞에서 긴 모음의 단축, ''*ää'' 및 ''*ee''의 상승 이전
- 예: ''*ńäxl+mä'' → ''*ńäälmä'' → ''*ńälmä'' "혀" (→ 북부 사미어 ''njalbmi'', 헝가리어 ''nyelv'' 등)
핀우그리아어파는 전체 우랄어족과 유형론적으로 구별되지 않으며, 이 그룹에서 가장 널리 퍼진 구조적 특징은 사모예드어파에도 확장된다.
Häkkinen(1983)에 따르면, 주장되는 원시 핀우그리아어 차용어는 헝가리어와 페름어에서 과도하게 많이 나타나고, 캅-우그리아어에서는 과도하게 적게 나타난다. 따라서 이러한 단어들은 우랄어족이 개별 방언으로 처음 분화된 후에 언어에 의해 획득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사모예드어에서 차용어가 부족한 것은 주변적인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25]
핀우그리아어는 사모예드어와 숫자 체계가 특히 다르다. "2", "5", "7"은 사모예드어와 동계어가 있지만, "1", "3", "4", "6", "10"은 모든 또는 대부분의 핀우그리아어에서 공유된다.
다음은 여러 핀우그리아어의 1에서 10까지의 숫자이다. ''이탤릭체'' 형식은 재구성된 형식에서 파생되지 않는다.
숫자 | 발트 핀어 | 사미어 | 모르도바어 | 마리어 | 페름어 | 우그리아어 | 원시- 핀우그리아어 | |||||||
---|---|---|---|---|---|---|---|---|---|---|---|---|---|---|
핀란드어 | 에스토니아어 | 보로어 | 리보니아어 | 북부 사미어 | 이나리 사미어 | 에르자어 | 목샤어 | 초원 마리어 | 코미-지리안어 | 만시어 | 칸티어 | 헝가리어 | ||
1 | yksi|윅시fi (gen. yhden|위흐덴fi, part. yhtä|위흐태fi) | üks|윅스et (gen. ühe|위헤et, part. üht(e)|위흐트(에)et) | ütś|윗시vro | ikš|익시liv | okta|옥타se | ohtâ|오흐타smn | vejke|베이케myv | fkä|프캐mdf | 이크/이키트/익티트/익테 | 외티 | 아크바 | 이 | egy|에지hu[26] | *ükte|*윅테fiu |
2 | kaksi|칵시fi (gen. kahden|카흐덴fi, part. kahta|카흐타fi) | kaks|칵스et (gen. kahe|카헤et, part. kaht(e)|카흐트(에)et) | katś|캇시vro | kakš|칵시liv | guokte|구옥테se | kyeh´ti|키에흐티smn | kavto|카브토myv | kaftə|카프터mdf | 콕/코키트/콕티트 | 큭 | kitig|키티그mns | kat|카트kca | kettő/két|케퇴/케트hu | *kakta |
3 | kolme|콜메fi | kolm|콜름et | kolm|콜름vro | kuolm|쿠올름liv | golbma|골브마se | kulmâ|쿨마smn | kolmo|콜모myv | kolmə|콜머mdf | 쿰/쿠미트 | 쿠임 | xūrum|후룸mns | xołəm|홀럼kca | három, harm-|하롬, 하름-hu | *kolme |
4 | neljä|넬얘fi | neli|넬리et | nelli|넬리vro | nēļa|넬랴liv | njeallje|녜알례se | nelji|넬리smn | ńiľe|닐레myv | ńiľä|닐얘mdf | 닐/닐리트 | 뇔 | ńila|닐라mns | ńał|냘kca | négy|네지hu | *neljä |
5 | viisi|비시fi | viis|비스et | viiś|비스vro | vīž|비주liv | vihtta|비흐타se | vittâ|비타smn | veƭe|베테myv | veťä|베탸mdf | 비츠/비지트 | 비트 | at|아트mns | wet|웨트kca | öt|외트hu | *viite |
6 | kuusi|쿠시fi | kuus|쿠스et | kuuś|쿠시vro | kūž|쿠주liv | guhtta|구흐타se | kuttâ|쿠타smn | koto|코토myv | kotə|코터mdf | 쿠드/쿠디트 | 콰이트 | xōt|호트mns | xot|호트kca | hat|허트hu | *kuute |
7 | seitsemän|세이체맨fi | seitse|세이체et | säidse|새이드세vro | seis|세이스liv | čieža|치에자se | čiččâm|치참smn | śiśem|시솀myv | śiśäm|시섐mdf | 심/시미트 | 시짐 | sāt|사트mns | łapət|와্প엇kca | hét|헤트hu | śäjććemä |
8 | kahdeksan|카흐덱산fi | kaheksa|카힉사et | katõsa|카터사vro | kōdõks|코덕스liv | gávcci|가브치se | käävci|캐브치smn | kavsok|카브속myv | kafksə|카프크서mdf | 칸다슈/칸다셰 | 쾨캬미스 | ńololow|뇰로로브mns | niwł|니우트kca | nyolc|뇬츠hu | N/A |
9 | yhdeksän|위흐덱샌fi | üheksa|위힉사et | ütesä|위테새vro | īdõks|이덕스liv | ovcci|오브치se | oovcce|오브체smn | vejkse|베잌세myv | veçksə|베츠크서mdf | 인데슈/인데셰 | 외크미스 | ontolow|온톨로브mns | jarťaŋ|야르탄kca | kilenc|킬렌츠hu | N/A |
10 | kymmenen|큄메넨fi | kümme|큄메et | kümme|큄메vro | kim|킴liv | logi|로기se | love|로베smn | kemeń|케멘myv | keməń|케머mdf | 루 | 다스 | low|로브mns | jaŋ|얀kca | tíz|티즈hu | luka/kümmen |
약 200개의 공통 기초 어휘가 밝혀졌으며, 친족 명칭, 인체 어휘 외에도 어로, 수렵·목축(특히 순록), 기술·건축, 날씨 등의 어휘가 있다. 구조적으로도 유사한 성질이 많으며, 이 또한 조어(祖語)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생각된다.
모음조화가 있다. 격 변화는 일본어의 격조사와 유사한 접미사에 의해 나타나며, 격은 종류가 많다(최소한 핀란드어는 15격, 헝가리어는 18격). 동사는 주어의 인칭·수에 따라 (일부 언어에서는 목적어에 따라서도) 활용한다. 문법적인 성은 없고, 대명사에도 그와 그녀의 구별은 없다. 일반적으로 소유 형용사가 없고, 그 대신 피소유물 명사에 소유자의 인칭 접미사를 붙이며, 또한 일부 언어에서는 인칭 대명사의 속격으로 나타낸다. 어순은 기본적으로 SOV형이었을지도 모르지만, 핀란드어에서는 SVO형이 보통이 되었으며, 헝가리어에서는 어순으로 주제·평언 관계를 나타내기 때문에 SOV, SVO, VOS 등의 어순이 존재하여, 언뜻 정해진 어순이 없는 것처럼 보이기조차 한다.
4. 하위 분류
핀우그리아어파는 크게 우고르어파와 핀-페름어파로 나뉜다. 그러나 핀우그리아어가 계통군으로서 타당한지에 대해서는 논쟁이 있다.[10][11] 일부 언어학자들은 핀-페름어파가 우고르어파와 사모예드어파만큼이나 다르며, 핀우그리아어, 핀-페름어, 우고르어 중 어떤 분파도 확립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견해는 가장 동쪽에 위치한 사모예드어가 먼저 분리되었고, 우고르어와 핀-페름어로의 분기는 나중에 일어났다는 것이지만, 이러한 재구성은 언어학적 데이터의 강력한 지지를 받지 못한다.[11]
역사 언어학을 통해 모든 우랄어족 언어의 공통 조상인 우랄조어를 재구성하려는 시도는 사모예드어를 제외하고는 거의 우랄조어와 구별되지 않는다. 이는 핀우그리아어가 역사적인 그룹이 아니라 지리적인 그룹일 수 있음을 시사하며, 사모예드어는 실제로 역사적으로 분기되기보다는 어휘 차용에 의해 구별된다.
현대 언어학 연구에 따르면 볼가어파는 언어학적 분류가 아닌 지리적 분류로 밝혀졌는데, 이는 모르도바어가 핀-사미어파와 마리어보다 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핀우그리아어파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어파 | 하위 어파 | 언어 |
---|---|---|
우고르어파 | 오비-우고르어파 | 한티어(구칭 오스차크어) |
만시어(구칭 보굴어) | ||
헝가리어(마자르어) | ||
핀-페름어파 | 페름어파 | 우드무르트어(보차크어) |
코미어(지리엔어) | ||
볼가 핀어파 | 마리어(체레미스어) | |
모르도바어파 | 에르자어, 목샤어 | |
사미어파(랩어) | ||
발트 핀어파(핀어파) | 핀란드어(수오미어), 에스토니아어, 카렐리아어, 베프스어, 이조르어, 보트어, 리보니아어 |
각 어파별 계통 관계에 대한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핀-페름어파, 핀-볼가어파, 핀-사미어파 등의 분류가 제시되기도 한다.
4. 1. 우고르어파
우고르어파에는 다음 언어들이 속한다.4. 2. 핀페름어파
페름어파는 핀우그리아어파의 한 어파이다.5. 사용자
핀우그리아어를 사용하는 네 개의 가장 큰 민족 집단은 헝가리인(1,450만 명), 핀란드인(650만 명), 에스토니아인(110만 명), 그리고 모르도바인(85만 명)이다. 헝가리인, 핀란드인, 에스토니아인 등 세 민족은 각기 유럽의 국가인 헝가리, 핀란드, 에스토니아에 거주하며, 모르도바인은 러시아 내의 모르도비아 공화국에 상당수가 거주한다.[27]
사미족의 고유 지역은 사프미로 알려져 있으며, 페노스칸디아 반도의 북부에 위치해 있다. 핀우그리아어를 사용하는 다른 민족들은 과거에 러시아 내의 자치 공화국으로 지정되었다. 이들은 카렐리야인(카렐리야 공화국), 코미족(코미 공화국), 우드무르트인(우드무르트 공화국), 그리고 마리족(마리 엘 공화국)이다. 한티-만시 자치구는 러시아의 한티족과 만시족을 위해 설치되었다. 한때 자치권을 가졌던 코미-페르미야크 자치구는 코미 공화국 외부에 코미족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을 위해 설치되었다.
핀우그리아어를 사용하는 민족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민족 | 세부 집단 |
---|---|
발트 핀족 | 에스토니아인, 핀란드인, 이조라인, 카렐리야인, 리보니아인, 세토인, 베프스인, 보트인, 토르네달리안, 케빈족 |
볼가 핀족 | 메르야인 †, 메시초라†, 무로마인 †, 마리족, 목샤인, 에르자 |
사미족 | |
페름족 | 베세르먄, 코미족, 우드무르트인 |
헝가리인 | 세켈리, 창고, 야스족, 쿤족, 팔로츠 |
우그리아족 | 한티족, 만시족 |
6. 국제 핀우그리아 학술 회의
국제 핀우그리아 연구 학술 회의는 핀우그리아 민족의 문화와 언어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참여하는 최대 규모의 학술 회의로, 5년마다 개최된다.[40][41] 첫 번째 회의는 1960년 부다페스트에서 개최되었으며, 마지막 회의는 2022년 빈에서 열렸고,[42] 다음 회의는 2025년 에스토니아 타르투에서 열릴 예정이다.[43]
참조
[1]
웹사이트
Finno-Ugric
http://www.collinsdi[...]
Collins English Dictionary – Complete & Unabridged 11th Edition
2012-09-04
[2]
논문
The rise of the Finno-Ugric language family
http://www.helsinki.[...]
Mémoires de la Société Finno-Ougrienne 242; Helsinki
[3]
백과사전
Proto-Uralic
https://www.academia[...]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5-18
[4]
서적
Mood in the Languages of Europ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5]
학술지
Introduction
https://doi.org/10.1[...]
2022-03-24
[6]
학술지
The Uralic Languages
https://www.persee.f[...]
[7]
웹사이트
Conceptualizing language kinship or How Finnocentric is Finno-Ugricity?
https://www.academia[...]
2023-01-01
[8]
서적
Einführung in die finnisch-ugrische Sprachwissenschaft
http://archive.org/d[...]
Otto Harrassowitz
[9]
서적
125 éves a Budapesti Finnugor Tanszék: jubileumi kötet
ELTE, BFT
[10]
웹사이트
Problems in the taxonomy of the Uralic languages in the light of modern comparative studies
http://www.helsinki.[...]
[11]
백과사전
Chapter 1: Proto-Uralic
https://www.academia[...]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5-18
[12]
서적
Historical linguistics: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MIT Press
[13]
서적
The Uralic languages – Description, history and foreign influences
BRILL
[14]
웹사이트
Kantauralin ajoitus ja paikannus: perustelut puntarissa
http://www.sgr.fi/su[...]
[15]
학술지
On Finnic long vowels, Samoyed vowel sequences, and Proto-Uralic *x
[16]
학술지
The primary laryngeal in Uralic and beyond
http://www.sgr.fi/su[...]
2010-05-05
[17]
학술지
Proto-Uralic – what, where and when?
http://www.sgr.fi/su[...]
2012-05-24
[18]
서적
The Uralic Language Family: Facts, Myths and Statistics
Blackwell
[19]
학술지
Angela Marcantonio, The Uralic Language Family: Facts, Myths and Statistics
[20]
학술지
The Uralic Language Family. Facts, Myths and Statistics
https://www.research[...]
[21]
학술지
Marcantonio, Angela: The Uralic Language Family. Facts, Myths and Statistics
[22]
학술지
The Uralic Language Family: Facts, Myths and Statistics. Angela Marcantonio.
[23]
학술지
Myyttejä uralistiikasta. Angela Marcantonio. The Uralic Language Family: Facts, Myths and Statistics
[24]
학술지
Sprachwissenschaftliche Spiegelfechterei (Angela Marcantonio: The Uralic language family. Facts, myths and statistics)
https://www.academia[...]
[25]
논문
Suomen kielen vanhimmasta sanastosta ja sen tutkimisesta
Turun yliopisto
[26]
서적
Etimológiai szótár
Tinta
[27]
학술지
The Mordvins: Dilemmas of Mobilization in a Biethnic Community
https://www.cambridg[...]
2001-03
[28]
웹사이트
7th World Congress of the Finno-Ugric Peoples
http://lahti2016.fuc[...]
World Congress of the Finno-Ugric Peoples
2016-07-15
[29]
웹사이트
Statutes of the Consultative Committee of Finno-Ugrian peoples
http://www.suri.ee/d[...]
Finno-Ugric Peoples' Consultative Committee
2016-07-13
[30]
웹사이트
The Congress of the Finno-Ugric Peoples
http://rkomi.ru/en/p[...]
Russia
2016-07-15
[31]
웹사이트
Fenno-Ugria
http://jabadaba.eki.[...]
Estonia
2016-07-15
[32]
웹사이트
The VII (7th) World Congress of Finno-Ugric Peoples
https://fennougria.e[...]
Fenno-Ugria
2021-08-17
[33]
웹사이트
The VIII(8th) World Congress of Finno-Ugric Peoples
https://fennougria.e[...]
Fenno-Ugria
2021-08-17
[34]
웹사이트
Finno-Ugric Peoples' Consultative Committee, Members
http://www.suri.ee/c[...]
Finno-Ugric Peoples' Consultative Committee
2016-07-15
[35]
웹사이트
Suomalais-Ugrilainen Seura (in Finnish)
http://www.sgr.fi/en[...]
Finno-Ugrian Society (in English)
2016-07-15
[36]
웹사이트
International Festival of the Finno-Ugric Peoples
http://en.kremlin.ru[...]
Press Release from the Kremlin in Russia
2007-07-19
[37]
뉴스
Press Statements by President Vladimir Putin, leaders of Finland and Hungary
http://en.kremlin.ru[...]
Press Release from the Kremlin in Russia
2007-07-19
[38]
웹사이트
IFUSCO comes back to "fatherland" from Syktyvkar
http://finugor.ru/en[...]
[39]
웹사이트
IFUSCO XXXVII Prague 2022 FAQ
https://ifusco2022.f[...]
[40]
논문
The 11th International Congress for Finno-Ugric Studies: Finno-Ugric Peoples and Languages in the 21st Century
https://full.btk.ppk[...]
[41]
논문
The 12th International Congress for Finno-Ugric Studies
https://full.btk.ppk[...]
[42]
웹사이트
13th International Congress for Finno-Ugric Studies
https://fennougria.e[...]
[43]
웹사이트
Congressus XIV Internationalis Fenno-Ugristarum. August 2025, Tartu.
https://cifu14.ut.ee[...]
[44]
서적
Grammatical Proof of the Affinity of the Hungarian Language with Languages of Fennic Origin: (Gottingen Dieterich, 1799)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45]
웹사이트
Where do Finnish come from?
http://finland.fi/pu[...]
2014-11-19
[46]
논문
European Journal of Human Genetics – Abstract of article: A counter-clockwise northern route of the Y-chromosome haplogroup N from Southeast Asia towards Europe
2007-02
[47]
웹사이트
Journals Home
http://www.journals.[...]
[48]
논문
Living on the edge : Population genetics of Finno-Ugric-speaking humans in North Eurasia
https://helda.helsin[...]
University of Helsinki, Finland
[49]
문서
핀-우고르어파의 우고르어족(오비-우고르어족)에 속하는 마자르인(헝가리인)의 고향을 우랄산맥 중남부의 초원 지대라고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