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메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펠메니는 밀가루 반죽에 고기소를 넣고 빚어 삶거나 튀겨 먹는 만두의 일종이다. 어원은 핀우그리아어족 언어에서 '귀 빵'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13세기 몽골 제국 시대에 시베리아로 전래되어 러시아 요리에 영향을 미쳤다. 펠메니는 지역에 따라 소의 재료와 조리법이 다르며, 쇠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등 육류를 사용하거나 생선, 버섯 등을 넣기도 한다. 삶은 펠메니는 버터, 스메타나, 겨자 등과 함께 먹으며, 튀기거나 수프에 넣어 먹기도 한다. 펠메니는 우크라이나의 우슈카, 폴란드의 피에로기와 유사하며, 만두의 일종으로서 몽골의 반시, 중국의 자오쯔, 한국의 만두 등과도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미 문화 - 코미어
코미어는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페름 조어에서 분화되어 성립되었고, 러시아어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문자를 사용하며, 17개의 격을 가지는 교착어이다. - 시베리아의 문화 - 말라하이
말라하이는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만들어진 러시아 전통 모자로, 기원에 대한 여러 설이 있으며, 과거 방한용이나 마부의 상징, 때로는 헬멧처럼 사용되기도 했지만, 구교도들에게는 특정 형태가 금지되기도 했다. - 시베리아의 문화 - 스트로가니나
스트로가니나는 늦가을에 잡은 냉동 생선을 얇게 썰어 소금과 후추를 곁들여 차갑게 먹는 요리이며, 보드카와 함께 곁들여 먹거나 순록 고기 등으로 변형되기도 한다. - 소련 요리 - 힌칼리
힌칼리는 조지아의 대표적인 만두 요리로, 육즙이 풍부한 고기소와 쫄깃한 반죽이 특징이며, 다양한 재료와 지역별 레시피로 변형되어 발전해 왔고, 손으로 먹는 독특한 식사 예절로 유명하다. - 소련 요리 - 피에로기
피에로기는 다진 고기, 으깬 감자, 치즈, 과일 등 다양한 소를 넣어 만든 동유럽 만두 요리로, 슬라브 국가에서 즐겨 먹으며 각 지역 문화와 재료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여 축제 음식으로도 애용되고 북미 지역에도 널리 알려져 있다.
펠메니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펠메니 |
로마자 표기 | pelmeni |
러시아어 표기 | пельмени |
러시아어 발음 | pʲɪlʲˈmʲenʲɪ |
벨라루스어 표기 | пяльмені |
타타르어 표기 | pilmän(när)/пилмән(нәр) |
우드무르트어 표기 | пельнянь |
![]() | |
종류 | |
음식 종류 | 만두 |
기원 | |
기원 국가 | 현재의 러시아 (시베리아 또는 우랄) |
주요 재료 | |
만두피 | 밀가루, 물, 때로는 달걀 |
만두소 | 다진 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쇠고기, 생선, 또는 다른 종류의 고기) 또는 버섯, 소금, 후추, 때로는 허브와 양파 |
2. 어원
러시아어 "펠멘(пельменьru)"은 우드무르트어나 코미어 등 페름어파 언어에서 유래했을 것이라 추정된다. 이 언어들에서 "펠냔(l2=kv|пельняньudm)"이라 불리는데, 이는 "귀"를 뜻하는 "펠(l2=kv|пельudm)"과 "빵"을 뜻하는 "냔(l2=kv|няньudm)"의 합성어로, "귀 빵"이라는 뜻이다.[13][14] 핀우그리아어족의 코미어와 우드무르트어로 "귀 빵"을 뜻하는 ''펠냐난'''(пельнянь)에서 유래되었다.[8]
펠메니가 언제 시베리아 원주민 요리에 들어왔는지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대개 몽골의 지배가 있었던 13세기로 본다.[13] 펠메니라는 단어는 핀우그리아어족의 코미어와 우드무르트어로 "귀 빵"을 뜻하는 ''펠냐난''(pel'nyan'/пельняньkv)에서 유래되었다.[8]
펠메니는 만두의 일종으로, 우크라이나의 우슈카, 폴란드의 ''uszka''와 관련이 있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동유럽 만두를 통칭하여 ''피에로기'' 또는 ''피로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펠메니는 몽골의 ''반시'', 중국의 ''자오쯔'' (광둥어로는 가우), ''훈툰'' (광둥어로는 완탄)과 유사하다.
3. 역사
펠메니가 언제 시베리아 원주민의 요리에 들어왔고, 러시아 요리에 처음 등장했는지는 불분명하다. 한 가지 이론에 따르면, 펠메니 또는 일반적으로 속을 채운 삶은 만두는 시베리아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중국의 자오즈를 단순화한 것으로 보인다.[9][10] 펠메니는 몽골족에 의해 중국에서 시베리아와 우랄로 전해졌을 수 있으며, 그곳에서 동유럽까지 점차 퍼져나갔다.[9][10]
우드무르트 공화국은 "펠메니의 본고장"이라는 명칭을 획득하기 위해 2015년부터 매년 "세계 펠메니의 날"을 기념하고 있다.[11]
러시아는 다민족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과거 수 세기 동안 다양한 문화와 공존해 온 역사를 가지고 있어 주변 국가에서 전래되어 정착한 러시아 요리가 존재한다. 펠메니도 원래는 핀우그르어족 민족의 요리였으나, 현재는 러시아 요리로 간주된다.[12]
타타르 요리에는 펠메니와 비슷한 필멘(Pilmäntt)이 있으며, 맑은 국물 형태의 수프에 넣어 먹는다. 또한, 폴란드와 우크라이나에는 펠메니와 비슷하게 "작은 귀"라는 의미의 우슈카(uszkapl)가 있다. 펠메니는 만두와도 유사하며, 폴란드의 피에로기나 우크라이나의 바레니키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4. 종류
또한, 아르메니아, 터키, 카자흐의 ''만티'', 조지아의 ''힝칼리'', 네팔 및 티베트의 ''모모'', 위구르와 우즈베키스탄의 ''추추바라'', 한국의 ''만두'', 일본의 ''교자'', 이탈리아의 ''토르텔리니''와 ''라비올리'', 슈바벤의 ''마울타셴''과도 비슷하다. 히스패닉 문화권의 튀기거나 구운 ''엠파나다''와도 유사한 면이 있다.
펠메니는 ''바레니키'', ''피에로기''와 비교했을 때 반죽 껍질이 얇고 속 재료의 비율이 높다는 특징이 있다.[5] 또한, 펠메니는 단맛이 나는 속 재료를 사용하지 않으며, 속 재료는 일반적으로 날것을 사용하는 반면, ''바레니키''와 ''피에로기''는 미리 조리된 속 재료를 사용한다. 펠메니와 모모의 주요 차이점은 크기인데, 일반적인 펠메니는 지름이 약 2to(-)인 반면, 모모는 종종 그 크기의 두 배 이상이다.
현대 러시아와 벨라루스에서 시판되는 펠메니는 학생들이 선호하는 패스트 푸드와 비슷한 음식으로 여겨진다.
4. 1. 소 재료에 따른 분류
펠메니 반죽은 밀가루와 물로 만들며, 때로는 소량의 달걀을 넣기도 한다.[3]
소는 다진 고기(돼지고기, 양고기, 쇠고기, 생선 또는 기타 고기, 특히 추운 지방에서는 사슴고기)나 식용 버섯, 또는 둘을 조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고기를 함께 섞는 것도 인기가 있다. 전통적인 우드무르티야식 조리법은 쇠고기 45%, 양고기 35%, 돼지고기 20%를 섞어 사용한다.[4] 지방에 따라 고기 대신 생선, 버섯, 순무, 자우어크라우트를 넣기도 한다.
4. 2. 지역별 특징
시베리아에서 펠메니는 전통적으로 겨울철에 야외에서 얼려 보존 식품으로 취급되었다. 타이가로 향하는 사냥꾼이나 탐험가들은 오랫동안 냉동 보관이 가능하고 쉽게 조리할 수 있기 때문에 식량과 함께 냉동 펠메니 자루를 가지고 다녔다.[6]
우랄에서는 펠메니를 맹물에 삶지만, 시베리아에서는 소금물이나 때로는 고기 또는 닭 육수에 삶는다.[6] 익힌 펠메니는 녹인 버터, 스메타나(사워크림), 겨자, 고추냉이, 토마토 소스, 식초와 같은 조미료와 함께 단독으로 제공된다. 러시아 극동에서는 일반적으로 간장을 첨가한다.
일부 조리법에서는 펠메니를 삶은 후 황금빛 갈색이 될 때까지 튀기기도 한다. 펠메니는 맑은 수프에 제공될 수도 있지만,[7] 시베리아에서는 이것을 품위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펠메니를 제공하기 전에 조심스럽게 걸러낸다.[6] 타타르 요리에서 ''필멘''(타타르 펠메니와 동일)은 전통적인 요리이며, 항상 맑은 수프와 딜 또는 기타 갓 자른 허브를 곁들여 제공된다. 펠메니는 폴란드 요리의 일부이기도 하다.
냉동 포장된 펠메니는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 식료품점에서 흔히 찾을 수 있다. 타이가에서 운반되는 것과 같은 냉동 펠메니 팩은 일반적으로 "시베리아 펠메니"라고 표시되어 있다.[6] 시판 펠메니는 아리엔티 앤 카타네오, 이마, 오스토니, 잠보니 등 이탈리아 회사가 대부분 제조한 산업 기계로 만들어진다.
현대 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문화에서, 시판 펠메니는 인스턴트 라면과 마찬가지로 학생이나 미혼 남성의 생활 방식과 관련된 일종의 간편식으로 간주되는 반면,[7] 집에서 만든 펠메니는 푸짐하고 건강한 음식으로 간주된다.
5. 조리법
펠메니는 보통 냉동 보관하며, 먹기 직전에 뜨거운 물이나 끓는 부이용에 넣어 떠오른 후 4~6분 더 삶는다. 속 재료는 쇠고기, 돼지고기, 양고기 등 육류를 사용하며, 소금, 후추, 양파를 넣어 간을 한다. 전통적인 Ural (region)|우랄영어 지방 조리법은 쇠고기 45%, 양고기 35%, 돼지고기 20%를 혼합한다. 지방에 따라 고기 대신 생선, 버섯, 순무, 자우어크라우트를 넣기도 한다. 우랄 지방에서는 뜨거운 물에 삶지만, 시베리아에서는 부이용에 삶는다.
타타르 요리에서 ''필멘''(타타르 펠메니와 동일)은 전통적인 요리이며, 항상 맑은 수프와 딜 또는 기타 갓 자른 허브를 곁들여 제공된다. 펠메니는 폴란드 요리의 일부이기도 하다. 맑은 수프에 제공될 수도 있지만,[7] 시베리아에서는 이것을 품위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펠메니를 제공하기 전에 조심스럽게 걸러낸다.[6]
5. 1. 반죽 및 소 만들기
피는 밀가루와 물로 반죽하며 지역에 따라 달걀을 넣기도 한다. 반죽은 밀대로 밀어서 얇게 펴고 지름 6~7cm 정도 되는 둥근 틀로 찍어서 자른다.[3] 소는 다진 고기(돼지고기, 양고기, 쇠고기, 생선 등)에 다진 양파와 마늘 등 향신채, 소금 및 후춧가루 등 향신료를 넣고 버무린 것이 사용되는데, 고기 대신 생선이나 식용 버섯을 쓰는 경우도 있다. 전통적인 우드무르티야 레시피는 쇠고기 45%, 양고기 35%, 돼지고기 20%를 섞어 사용한다.[4] 피에 소를 넣고 가장자리를 눌러 봉한 다음, 끝을 붙여서 둥근 모양으로 만든다. 손으로 빚는 대신 펠메니 틀을 사용해 만들기도 한다. 특정 지역에서는 다진 고기에 소량의 양배추, 토마토, 고추냉이를 넣기도 한다. 온도와 습도는 반죽의 질감과 안정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5. 2. 펠메니 빚기
피는 밀가루와 물로 반죽하며 지역에 따라 달걀을 넣기도 한다. 반죽은 밀대로 밀어서 얇게 펴고 지름 6~7cm 정도 되는 둥근 틀로 찍어서 자른다. 소는 다진 고기에 다진 양파와 마늘 등 향신채, 소금 및 후춧가루 등 향신료를 넣고 버무린 것이 사용되는데, 고기 대신 생선이나 버섯을 쓰는 경우도 있다. 피에 소를 넣고 가장자리를 눌러 봉한 다음, 끝을 붙여서 둥근 모양으로 만든다. 손으로 빚는 대신 펠메니 틀을 사용해 만들기도 한다.5. 3. 삶기 및 튀기기
펠메니는 먹기 직전에 소금물에 삶아 떠오른 후 2~5분 정도 더 익혀 조리한다. 우랄에서는 맹물에 삶지만, 시베리아에서는 소금물이나 고기 또는 닭 육수에 삶는다.[6] 익힌 펠메니는 녹인 버터, 스메타나 (사워크림), 겨자, 고추냉이, 토마토 소스, 식초와 같은 조미료와 함께 낸다. 러시아 극동에서는 간장을 곁들이기도 한다.삶은 펠메니를 황금빛 갈색이 될 때까지 튀기기도 한다.
6. 곁들이는 음식
펠메니는 버터나 스메타나(사워크림), 겨자, 식초 등과 같은 향신료나 크림류를 곁들여 먹는다. 러시아 유럽 지역에서는 버터나 스메타나를, 시베리아 지역에서는 겨자나 식초를 선호한다. 삶은 펠메니를 황금색이 될 때까지 튀기거나, 콘소메 형태의 수프 재료로 사용하여 수프로 먹기도 한다.[3] 사워크림, 마요네즈, 딜, 적양파 또한 곁들이는 음식으로, 이들은 시베리아 기후에서 생산될 수 있는 전통적인 음식이다.[4]
7. 유사한 음식
펠메니는 우크라이나의 우슈카(вушка) 및 폴란드의 우슈카와 관련 있는 만두의 일종이다. 몽골의 반시, 중국의 자오쯔(餃子, 광둥어: 가우), 훈툰(馄饨, 광둥어: 완탄)과도 유사하다. 아르메니아, 터키, 카자흐의 만티, 조지아의 힝칼리, 네팔 및 티베트의 모모, 위구르와 우즈베키스탄의 추추바라, 한국의 만두, 일본의 교자, 이탈리아의 토르텔리니와 라비올리, 슈바벤의 마울타셴과도 사촌 격이다. 히스패닉 문화권의 튀기거나 구운 엠파나다와도 비슷하다.
펠메니는 바레니키, 피에로기와 반죽 껍질의 두께에서 차이가 나는데, 펠메니는 얇을수록 좋고 속 재료와 반죽의 비율이 더 높다.[5] 또한 펠메니는 달콤한 속 재료와 함께 제공되지 않으며, 속 재료는 일반적으로 날것인 반면, 바레니키와 피에로기는 미리 조리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펠메니와 모모의 주요 차이점은 크기인데, 일반적인 펠메니는 지름이 약 2cm에서 3cm 사이인 반면, 모모는 종종 그 크기의 두 배 이상이다.
타타르 요리에는 펠메니와 비슷한 필멘(Pilmäntt)이 있으며, 맑은 국물 형태의 수프에 넣어 먹는다. 폴란드와 우크라이나에는 펠메니와 비슷하게 "작은 귀"라는 의미의 우슈카(uszkapl)가 있다.
참조
[1]
뉴스
Pelmeni, Siberian Meat Dumplings
http://foodperestroi[...]
Food Perestroika
2017-06-24
[2]
웹사이트
What is Pelmeni?
https://pelandmeni.c[...]
pelandmeni.com
2019-01-30
[3]
웹사이트
Step-by-step instructions for preparation of pelmeni
http://www.gotovim.r[...]
[4]
웹사이트
Уральские пельмени. Рецепт уральских пельменей. Пельмени.
https://www.pelemeni[...]
[5]
웹사이트
'Пельменів не буде — будуть равіолі?'
http://vidido.ua/ind[...]
[6]
웹사이트
Сибирские пельмени. История сибирских пельменей.
https://www.pelemeni[...]
[7]
웹사이트
Pelmeni, A Tasty History – on Folkways.Today, Run by SRAS.org, formerly the School of Russian and Asian Studies, California
https://folkways.tod[...]
2020-06-22
[8]
문서
Vasmer|пельмень
[9]
서적
Dumplings: A Global History
Reaktion Books
[10]
웹사이트
What is Pelmeni?
https://pelandmeni.c[...]
2019-01-30
[11]
웹사이트
О фестивале
https://pelmenfest.r[...]
2024-04-28
[12]
뉴스
「ロシア料理の“里帰り” - 2013年06月20日寄稿」
https://jp.rbth.com/[...]
Russia Beyond The Headlines(ロシア政府発行紙)
2015-05-31
[13]
뉴스
오강돈의 중국 마케팅 (50) 중국과 러시아 <9>
https://biz.chosun.c[...]
조선비즈
2018-07-24
[14]
간행물
Коми-пермяцкие заимствования в русских говорах Верхнего Прикамья
https://elar.urfu.r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