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리스토포로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스토포로스는 소아시아에서 사망하고 5세기에 비티니아에서 숭배받은 기독교 성인이다. 전승에 따르면, 그는 본래 가나안 출신 거인으로, 예수를 어깨에 메고 강을 건넌 일로 '그리스도를 짊어진 자'라는 뜻의 크리스토포로스라는 이름을 얻었다. 로마 황제 데키우스 시대에 순교했으며, 가톨릭과 동방 정교회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는 여행자, 운송업자, 운동선수 등의 수호성인이며, 그의 이름과 이미지가 새겨진 묵주는 여행의 안전을 기원하는 펜던트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와 개 - 술 (지지)
    술(戌)은 십이지의 열한 번째 지지로서 멸망을 의미하며 개를 상징하고, 오행상 토에 해당하며, 한국 문화에서는 개의 해로 출산과 관련된 길일로 여겨진다.
  • 종교와 개 - 케르베로스
    케르베로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여러 개의 머리를 가진 개로 저승의 입구를 지키며, 머리 개수와 모습에 대한 묘사는 다양하지만 헤라클레스의 과업 중 하나로 유명하다.
  • 251년 사망 - 사마의
    후한 말기부터 삼국 시대 위나라의 정치가이자 군사가였던 사마의는 조조, 조비, 조예 3대에 걸쳐 중용되며 위나라의 권력을 장악했으나, 고평릉의 변을 일으켜 정권을 찬탈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251년 사망 - 등지
    등지는 삼국 시대 촉한의 외교 및 군사 인물로, 유비의 신임을 받아 요직을 두루 거치며 오나라와의 동맹을 재건하여 촉한의 외교적 입지를 강화했으며, 검소하고 청렴한 삶을 살다가 251년에 사망했다.
  • 3세기 기독교 순교자 - 베레나
    3세기 로마 제국 출신 성녀 베레나는 테반 군단 간호사로 파견 후 스위스에서 은둔하며 병자를 돌봤고, 중세 시대 스위스에서 존경받는 성인 중 한 명으로 가난한 이와 나병 환자를 돌보는 모습으로 묘사되며, 그녀의 이름과 관련된 지명이 스위스에 남아있다.
  • 3세기 기독교 순교자 - 교황 식스토 2세
    교황 식스토 2세는 257년부터 258년까지 로마 교황으로 재임했으며 발레리아누스 황제의 박해로 순교했고, 아프리카 및 동방 교회와의 관계 회복에 기여했으며, 저술 활동의 진위 여부는 논란이 있다.
크리스토포로스

2. 전승

크리스토포로스에 관한 이야기는 여러 갈래로 전해지지만, 공통적으로 그가 소아시아에서 순교했고, 5세기에 비티니아(오늘날의 튀르키예)에서 공경받았다는 점은 같다.

크리스토포로스는 원래 레프로부스라는 이름의 가나안 출신 거인이었다. 그는 세상에서 가장 힘센 사람을 섬기고자 했다. 처음에는 왕을 섬겼으나 왕이 악마를 두려워하는 것을 보고 악마를 찾아갔다. 그러나 악마가 십자가를 피하는 것을 보고, 악마보다 더 강한 존재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레프로부스는 은수자를 만나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설교를 듣고, 가난한 사람들을 섬기는 것이 그리스도를 섬기는 것이라는 가르침을 받았다. 은수자는 레프로부스에게 강가에서 배를 타지 못하는 가난한 여행객들을 건네주는 일을 하라고 조언했다.

어느 날, 레프로부스는 작은 어린아이를 어깨에 메고 강을 건너게 되었다. 그런데 강을 건너는 동안 아이의 무게는 점점 무거워져 마치 온 세상을 짊어진 듯한 느낌을 받았다. 아이는 자신이 그리스도임을 밝혔고, 뭍에 닿은 레프로부스의 지팡이에서 푸른 잎이 돋아나 종려나무가 되는 기적이 일어났다. 이후 레프로부스는 '그리스도를 업고 가는 사람'이라는 뜻의 크리스토포로스라 불리게 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크리스토포로스는 로마 황제 데키우스 때 리치아에서 순교했다고 한다. 그는 화살을 맞고도 기적적으로 살아남았으나, 결국 참수형을 당했다. 그의 피를 진흙에 섞어 다그누스 왕의 눈에 바르자 눈이 낫는 기적이 일어났고, 왕은 기독교로 개종했다. 450년경 칼케돈에서 그를 기념하는 성당이 건립되었다.

크리스토포로스의 생애와 죽음에 대한 전설은 6세기에 그리스에서 처음 나타났고, 9세기에는 프랑스까지 퍼져나갔다. 13세기의 ''황금 전설''은 널리 알려진 판본 중 하나이다.[23][6] 크리스토포로스라는 이름은 ( 또는 )에서 유래되었으며, '그리스도를 지닌 자'라는 뜻이다.[10][11] 일본 정교회에서는 "성 치명자 하리스토폴"로 표기한다.

2. 1. 가톨릭 교회 전승

가나안 출신의 거인 레프로부스(혹은 로마인)는 세상에서 가장 힘센 사람을 섬기고자 했다. 그는 왕을 섬겼으나 왕이 악마를 두려워하는 것을 보고 악마를 찾아갔다. 그러나 악마가 십자가를 피하는 것을 보고 더 강한 존재인 예수를 섬기기로 결심했다. 은수자의 조언에 따라 강가에서 사람들을 건네주는 일을 하던 중, 어린아이로 변장한 예수를 만나 그의 무게에 놀라고, 그가 예수임을 알게 된다.[23][6] 예수는 그에게 "크리스토포로스"(그리스도를 짊어진 자)라는 새 이름을 주고, 그의 지팡이가 종려나무로 변하는 기적을 보여준다. 이후 크리스토포로스는 로마 황제 데키우스 시대에 리치아에서 순교했다고 전해진다.[9] 그는 군병들에 의해 포박된 뒤 기둥에 묶여 여러 개의 화살을 맞았으나 기적적으로 살아남았고, 결국 참수형에 처해졌다.

그리스도를 업고 가는 크리스토포로스.


오라치오 젠틸레스키의 ''성 크리스토포로스의 풍경''


악마와 함께 있는 성 크리스토퍼의 대가, c. 1515, ''성 크리스토퍼의 순교''

2. 2. 동방 정교회 전승

동방 정교회에서 크리스토포로스는 종종 개의 머리를 가진 인물로 묘사된다.[35] 이러한 묘사는 그가 키레나이카(북아프리카)의 베르베르족 부족인 "말마리테족" 출신이라는 전승에 기인한다. 이 부족은 용맹하고 개 머리를 가진 식인 풍습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크리스토포로스는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여 가르침을 전파하다가 안티오키아 총독(혹은 황제)에게 체포되어 처형당했다. 그의 처형은 여러 번 실패했으나, 결국 많은 사람들을 신앙으로 이끌었다고 한다.

정교회에서는 5월 9일을 크리스토포로스 기념일로 지킨다.[35] 이콘에서는 종종 개의 머리를 가진 인물로 묘사된다. 1722년, 러시아 정교회의 주류파인 성무회원은 개의 머리를 가진 크리스토포로스 묘사를 금지했지만, 정교 고의식파에서는 그 후에도 현재에 이르기까지 오래된 전통을 지킨 이콘이 계속 그려지고 있으며, 주류파 교회의 금령은 이콘에 대한 존경심을 더욱 강하게 만들 뿐이었다.[35] 스비야시스크의 전통에 따라 그려지는 고의식파의 이콘에서는 말머리 인물로 묘사되기도 한다.[35][36]

2. 3. 기타 전승

어니스트 톰슨 시턴이 채집한 이야기에 따르면, 거인 골름은 가장 위대한 주인을 찾아 섬기는 여정을 떠난다. 그는 아버지를 떠나 왕을 섬겼으나 왕이 악마를 두려워하는 것을 보고 악마를 찾아간다. 악마는 골름에게 마을을 파괴하라고 명령했지만, 교회는 "왕 중의 왕"이 사는 곳이라며 파괴를 금지했다. 골름은 악마와 헤어져 "왕 중의 왕"을 찾아 나섰다.

어느 강가에서 골름은 "왕 중의 왕"이 곧 강을 건널 것이라는 말을 듣고, 사람들을 무상으로 강 건너편으로 옮겨주며 그를 기다렸다. 수십 년 후, 한 작은 남자아이가 강을 건너고 싶다고 하자 늙은 골름은 아이를 태우고 강을 건넜다. 강을 다 건너자 아이는 예수 그리스도로 변했다. 예수는 골름이 강을 건네준 모든 사람들이 자신이었다고 말하며, 그에게 "크리스토포로스"라는 이름을 주었다.

영국의 민속학자 서바인 베어링-굴드는 데번주 브로드우드 위저의 울프 강 여울에 사는 괴물 이야기가 지역 교회에 걸려 있던 성 크리스토포로스 상에 대한 신앙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37]

3. 역사적 배경

크리스토포로스에 관한 수많은 이야기들 중 확실한 사실은 그가 소아시아에서 순교했다는 것과 5세기 비티니아(오늘날의 튀르키예)에서 공경받았다는 것이다. 성 크리스토포로스의 생애와 죽음에 대한 전설은 6세기에 그리스에서 처음 나타났고 9세기에는 프랑스로 퍼져나갔다.[23][6] 가장 널리 알려진 이야기는 13세기 황금 전설에 수록되어 있다.[23][6]

450년칼케돈에서 그를 기념하는 성당이 건립되었다. 찰케돈 인근의 고대 도시 유적에서 2x 크기의 석비가 발견되었으며, 현재 이곳은 이스탄불에 가깝다. 이 비문은 "성 크리스토퍼 순교"를 기념하기 위한 교회의 초석, 건설, 축성에 대한 증언을 담고 있다. 비문은 이 성 크리스토퍼 교회가 칼케돈 공의회인 제4차 에큐메니컬 공의회 시대에 지어졌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비문에는 비잔틴 제국의 국무 장관과 교회의 초석, 건설 또는 축성에 관여한 교회 장관들의 이름이 언급되어 있다.[16]

1970년 일반 로마력에서 그의 기념일은 삭제되었는데, 이는 비교적 늦은 시기(약 1550년)와 로마 전례력에 받아들여진 제한적인 방식으로 볼 때 로마 전통에 속하지 않기 때문이다.[14] 그러나 그의 축일은 지역적으로 계속 지켜지고 있다.[15]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인력에서는 "역사적 사실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제외되었다.

4. 상징과 도상학

성 크리스토포로스는 보통 어깨에 어린아이(예수)를 태우고 한 손에는 지팡이를 든 거인의 모습으로 묘사된다.[25] 잉글랜드에는 다른 어떤 성인보다 성 크리스토포로스의 벽화가 더 많다.[15] 1904년, 영국 고고학 협회를 위해 글을 쓴 콜리어 부인은 성 크리스토포로스의 그림, 조각상 및 기타 표현이 183개에 달해 성모 마리아를 제외한 다른 모든 성인들보다 더 많다고 보고했다.[26]

동방 정교회에서는 특정 성화에서 성 크리스토포로스를 개의 머리를 한 모습으로 묘사하기도 한다. -- 이러한 그림은 이집트의 개 머리 신 아누비스의 잔상일 수 있다. 개 머리 성인의 묘사가 늑대인간이나 괴물 종족에 대한 이야기와 연관되면서, 러시아 정교회는 18세기에 개 머리를 한 성인의 묘사를 금지했다.[27] 그러나 정교 고의식파에서는 그 후에도 현재에 이르기까지 오래된 전통을 지킨 이콘이 계속 그려지고 있으며, 주류파 교회의 금령은 이콘에 대한 존경심을 더욱 강하게 만들 뿐이었다.[35] 스비야시스크의 전통에 따라 그려지는 고의식파의 이콘에서는 말머리 인물로 묘사된다.[35][36]

이러한 도상학의 기원은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 치세의 전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야기에는 레프레부스(Reprebus, 레브레부스(Rebrebus) 또는 레프로부스(Reprobus), '악인' 또는 '불한당'이라는 뜻)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그는 이집트 서쪽의 키레나이카에 거주하는 부족과 싸우는 로마 군대에 붙잡혀 로마 numerus Marmaritarumla(마르마리타이 부대)에 강제로 합류하게 된다. 그는 키가 매우 크고 사람 대신 개의 머리를 하고 있었다고 한다. 이는 당시 마르마리타이가 키가 크고 강하며 난폭하다는 문화적 믿음과 일치했다. 키노세팔리였던 것 또한 이러한 이미지와 일치했다. 로마 작가 대 플리니우스는 "에티오피아의 Cynamolgigrc cynocephaligrc는 개의 머리를 가진 사람들이었다"라고 보고했다. 플리니우스의 저서 박물지는 서기 1세기경 로마 과학의 존경받는 개요였다. 이 책은 키레나이카의 사람들에 대한 받아들여진 "지식"을 보고한다. 플리니우스는 이 "개 머리 인간"이 알렉산드리아 이집트 서쪽과 남쪽의 아프리카 지역을 포괄하는 이름으로 사용된 "에티오피아"에 거주했다고 언급했다.[28][29] 레프레부스와 그 부대는 나중에 시리아의 안티오크로 이송되었고, 거기서 아탈리아의 주교 베드로가 그에게 세례를 주고, 그는 308년에 순교했다.[30]

학자들은 성 크리스토포로스가 개 머리를 한 모습으로 비잔틴 시대에 묘사된 것은 그가 식인종과 개 머리 사람들이 사는 마르마리타이 부족의 일원이라고 여겨졌기 때문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리스 전통은 이를 문자 그대로 해석하여 비잔틴 성화에서 종종 성 크리스토포로스를 개의 머리로 묘사했다. 라틴 전통은 원래 그리스어 용어 "개 머리"(kunokephalos)를 문자 그대로 번역하는 것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움직였다. 라틴 전통은 이 용어를 "개 같은"(canineus)로 번역했을 수 있다. 이는 나중에 Cananeusla (가나안)이라는 라틴어 용어를 잘못 읽는 것으로 이어졌고, 결국 크리스토포로스를 가나안인으로 만들었다.[31]

중세 아일랜드의 성 크리스토포로스 수난기에 따르면, "이 크리스토포로스는 개의 머리를 가지고 사람의 살을 먹는 종족인 개 머리 중 한 사람이었다."[32] 당시에는 여러 종류의 종족이 있다고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으며, 개 머리 사람인 키노세팔루스가 세상에 존재한다고 믿어지는 많은 종족 중 하나였다. 독일의 주교이자 시인인 슈파이어의 발터는 성 크리스토포로스를 사람의 살을 먹고 짖는 가나안 땅의 키노세팔 종족의 거인으로 묘사했다. 결국 크리스토포로스는 그리스도 아이를 만나 자신의 이전 행동을 후회하고 세례를 받았다. 그 또한 인간의 모습으로 보상을 받았고, 그 후 자신의 삶을 기독교 봉사에 헌신하여 하나님의 운동가, 즉 군인 성인 중 한 명이 되었다.[33]

5. 숭배와 수호성인

크리스토포로스는 특히 운동선수, 선원, 나룻배 사공, 여행자 등 이동과 관련된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진 성인이다.[23] 그는 14 성인 협조자 중 한 명으로 존경받으며, 여행과 관련된 것들과 여행자들을 보호하는 수호성인으로 여겨진다. 또한, 번개전염병으로부터 보호해주고, 궁술가, 미혼남, 뱃사공, 군인, 제본인, 간질, 홍수, 과일 상인, 모직물 정련공, 정원사, 성스러운 죽음, 선원, 시장 운반자, 자동차 운전자, 뱃사람, 폭풍, 서퍼, 치통, 등산, 운송업자들의 수호성인이기도 하다.[24]

성 크리스토포로스의 이름이나 이미지가 새겨진 묵주는 그의 축복을 구하고 헌신을 보여주는 의미로, 특히 여행자들이 펜던트로 자주 착용한다. 소형 조각상은 자동차에 자주 전시된다. 프랑스어에서는 이러한 메달에 "Regarde St Christophe et va-t-en rassuré" (성 크리스토포로스를 보고 안심하고 가세요, 때로는 "성 크리스토포로스를 보시고 안전하게 가십시오"로 번역됨)라는 문구가 흔히 사용된다. 스페인어 성 크리스토포로스 메달과 성화에는 "Si en San Cristóbal confías, de accidente no morirás" (만약 성 크리스토포로스를 믿는다면, 사고로 죽지 않을 것이다)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22]

크리스토포로는 바덴, 독일, 바르가, 이탈리아, 브런즈윅, 독일, 메클렌부르크, 독일, 라브, 크로아티아, 로에르몬트, 네덜란드, 세인트 크리스토퍼 섬 (세인트 키츠), 토세스, 카탈루냐, 스페인, 몬딤 드 바스토, 포르투갈, 아그리니오, 그리스, 빌뉴스, 리투아니아, 리가, 라트비아, 아바나, 쿠바, 산 크리스토발, 도미니카 공화국, 파에테, 라구나, 필리핀, 티빔, 고아, 인도 등 여러 지역의 수호 성인이다.

동방 정교회, 비 칼케돈파, 성공회, 루터교회에서 성인으로 여겨진다. 전통적으로 7월 25일이 크리스토포로스의 축일이었으나, 현재 로마 가톨릭교회의 성인력에서는 "역사적 사실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제외되었다. 일본 정교회에서는 "성 치명자 하리스토폴"로 표기한다.

5. 1. 유물

크로아티아 라브에 있는 성 유스티나 교회(Sveta Justina) 내 성 미술관(Museum of Sacred Art)에는 금으로 도금된 성유물함에 성 크리스토포로의 두개골이 보관되어 있다고 전해진다. 교회 전승에 따르면, 1075년 한 주교가 이탈리아-노르만 군대의 도시 포위를 끝내기 위해 도시 성벽에서 이 성유물을 보여주었다고 한다.[19][20]

시베니크의 성 야고보 대성당(Cathedral of St. James)은 성인의 썩지 않는 다리라고 주장되는 성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이 유물은 1484년에 콘스탄티노플에서 코르푸를 거쳐 옮겨졌으며, 원래 코르출라로 옮겨질 예정이었다. 성 크리스토포로 축일은 시베니크에서 7월 27일에 기념된다.[21]

그레베나, 필로테이, 시아티스타의 그리스 정교회에서도 성인의 다른 성유물을 보관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청동 성 크리스토포로 메달


후기 중세 시대에 성 크리스토포로스의 것으로 추정되는 큰 이빨이 베르첼리의 교회로 옮겨졌다. 18세기 말까지 유럽 전역에서 순례자들이 이 유물을 보기 위해 몰려들었지만, 한 자연학자가 그것이 하마의 이빨이라고 밝혀냈다. 이후 이 이빨은 제단에서 제거되었고, 숭배는 금지되었다.[8]

참조

[1] 웹사이트 Ὁ Ἅγιος Χριστοφόρος ὁ Μεγαλομάρτυρας. http://www.synaxario[...]
[2] 웹사이트 الشهيد خريستوفوروس حامل المسيح https://st-takla.org[...] St-Takla.org 2022-08-05
[3] 서적 Monstrosity, Disability, and the Posthuman in the Medieval and Early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Springer Nature 2019-11-21
[4] 서적 T.D. Barnes, The New Empire of Diocletian and Constantine (Cambridge, MA, 1982)
[5] 웹사이트 Saint Christopher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4-10-25
[6] 간행물 The gigantic tooth of St. Christopher 2019-02
[7] 웹사이트 Weniger, Francis X., "St. Christopher, Martyr, (1876) http://catholicharbo[...]
[8] 간행물 The gigantic tooth of St. Christopher 2019-02-22
[9] 웹사이트 Saint Christopher martyr third century http://www.ewtn.com/[...]
[10] 백과사전 Christopher dmnes.org 2021
[11] 서적 History of Christian Names Macmillan 1884
[12] 웹사이트 Christopher the Martyr of Lycea http://goarch.org/ch[...] Greek Orthodox Archdiocese of America 2013-04-16
[13] 서적 Martyrolog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1
[14] 서적 Calendarium Romanum Libreria Editrice Vaticana 1969
[15] 서적 Butler's lives of the saints, Volume 7 https://books.google[...] Liturgical Press 2010-10-25
[16] 간행물 Inscription chrétienne de Bithynie https://www.persee.f[...] 1878
[17] 문서 Carl Maria Kaufmann: Handbook of Early Christian Epigraphy Herder, Freiburg i. 1917, page 391([https://archive.org/details/HandbuchaltchristlichenEpigraphik/page/n204 Digitalisat]) The inscription reads:With God was laid the cornerstone of the martyrdom of Saint Christopher in the third [[indiction]] in the month of May under the Consulate of the illustrious Protogenes and Asturius under the Emperor [[Theodosius II]] and Bishop Eulalios of Chalcedon. But it was built by the venerable chamberlain Euphemidus, and the consecration took place at the end of the fifth indiction in the month of September, on the 22nd., under the consulate of the illustrious Sporacius and Herculanus.
[18] 문서 Dr. Werner Chrobak: Christophorus, Heiliger Riese, Nothelfer, Verkehrspatron | Sadifa Media Verlags GmbH | Kehl am Rhein 2004, p. 2
[19] 웹사이트 The legend of St. Christopher http://www.rab-visit[...]
[20] 웹사이트 Portal Grada Raba: Povijest 14. ZAŠTITNIK RABA SV. KRISTOFOR http://www.rab.hr/gr[...]
[21] 웹사이트 Danas slavimo drugog zaštitnika grada Šibenika i Šibenske biskupije sv. Kristofora. U katedrali je otvoren relikvijar sa svečevom neraspadnutom nogom. https://www.sibenska[...] 2022-07-27
[22] 서적 A Year in the Life of Medieval England https://books.google[...] Amberley Publishing
[23] 백과사전 St. Christopher 1908
[24] 웹사이트 Diocese of Orange hosts First Annual Blessing of the Waves in Surf City http://www.rcbo.org/[...]
[25] 서적 Dictionary of World Biography: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0-10-25
[26] 간행물 Saint Christopher and Some Representations of Him in English Churches https://books.google[...] 2010-10-25
[27]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Dog-Headed Icon of St-Christopher https://www.orthodox[...] 2013-07-08
[28] 웹사이트 Fantastical Humans Roamed Pliny's "Natural History" https://medium.com/e[...] 2022-04-12
[29] 서적 Natural History Harvard University Press 1963
[30] 간행물 'St. Christopher, Bishop Peter of Attalia, and the Cohors Marmaritarum: A Fresh Examination' 1994-06
[31] 웹사이트 The Origin of the Cult of St. Christopher https://web.archive.[...]
[32] 웹사이트 Irish Passion of St. Christopher http://www.ucc.ie/mi[...]
[33] 문서 Walter of Speyer, Vita et passio sancti Christopher martyris, 75.
[34] 문서 日本ハリストス正教会『正教会暦』2008年版
[35] 웹사이트 Святой с собачьей головой — Христофор Псеглавец https://a-mokeev.liv[...]
[36] 웹사이트 Святой Христофор с лошадиной головой — Журнал ТАТАРСТАН http://protatarstan.[...]
[37] 서적 民俗学の話 角川文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