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이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이라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운명의 세 여신을 지칭하며, '몫, 운명, 할당자'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μοῖρα (모이라)'에서 유래했다. 클로토, 라케시스, 아트로포스 세 자매로 구성되며, 각자 생명의 실을 잣고, 측정하고, 자르는 역할을 한다. 이들은 인간의 수명과 운명을 결정하며, 때로는 제우스조차도 그들의 결정에 따르는 것으로 묘사된다. 로마 신화의 파르카이, 북유럽 신화의 노른 등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다른 문화권의 여신들과도 비교된다. 모이라는 다양한 신화적 에피소드에 등장하며, 예술 작품과 문학 작품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활용되었다. 또한, 소행성의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여신 - 삼신할머니
    삼신할머니는 한국 무속 신앙에서 아이의 출생과 성장을 관장하는 여신이며, 아이가 태어난 순간부터 7세까지 보호하고, 출산, 생일, 명절에 제사를 지내며, 여성 중심적인 한국 무속 신앙의 특징을 보여준다.
  • 삼여신 - 고르고
    고르고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세 자매 괴물로, 메두사는 뱀의 머리카락과 흉측한 외모를 지녔으며, 그녀의 시선을 마주한 자는 돌로 변하고, 영웅 페르세우스는 아테나의 도움을 받아 메두사를 처치한다.
  • 시간과 운명의 여신 - 칼리
    칼리는 힌두교에서 시간, 죽음, 파괴의 여신이자 시바의 배우자로, '시간의 지배자' 또는 '검은 자'로 풀이되며, 다양한 설화와 형태로 숭배받고 벵골 지역에서 신앙이 깊을 뿐 아니라 탄트라 불교와 싱할라 불교에도 영향을 미쳤다.
  • 시간과 운명의 여신 - 노른
    노른은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운명의 여신들로, 과거, 현재, 미래를 상징하며 인간의 운명을 결정하는 강력한 존재이다.
  • 닉스 (그리스 신화)의 자식 - 에로스
    에로스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 욕망을 의미하는 신으로, 초기에는 우주 생성에 관여하고 후기에는 아프로디테의 아들로 묘사되며, 활과 화살로 사랑을 불러일으키며 다양한 신화와 예술 작품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닉스 (그리스 신화)의 자식 - 아이테르
    아이테르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신으로, 상층 대기 또는 우주의 물질적 요소를 의미하며,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는 에레보스와 닉스의 아들이자 헤메라의 형제로 묘사된다.
모이라
개요
아킬레우스의 부모인 펠레우스와 테티스 뒤에 서 있는 세 명의 모이라이 (클로토, 라케시스, 아트로포스).
아킬레우스의 부모인 펠레우스와 테티스 뒤에 서 있는 세 명의 모이라이: 클로토, 라케시스, 아트로포스 (키프로스 파포스 고고학 공원의 테세우스의 집 모자이크, 2세기 후반)
역할운명의 여신
상징실, 비둘기, 물레, 가위
로마 신화파르카이
신화적 관계
부모닉스
제우스테미스
이름
그리스어(단수)
(복수)
로마자 표기Moira (단수)
Moirai (복수)
구성원클로토 (실을 잣는 자)
라케시스 (운명을 할당하는 자)
아트로포스 (되돌릴 수 없는 자, 운명의 가위를 든 자)
상세 정보
특징인간과 신의 운명을 관장하며, 누구도 거스를 수 없는 힘을 가짐. 탄생, 삶, 죽음의 과정을 주관.
숭배주로 가정이나 특정 장소에서 숭배되었으며, 신전은 드물었다.
예술적 묘사물레, 실, 가위 등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됨.
때로는 노파의 모습으로, 때로는 아름다운 여성의 모습으로 나타남.

2. 어원

한스 피셔의 톤도 ''세 여신'' (c. 1530, 베를린 공예 박물관)


"모이라"(Moirai)는 "모이라이"(Moirae) 또는 "모에라이"(Mœræ)로도 표기되며,[3][4] μοῖραgrc에서 유래되었으며, "몫, 운명, 할당자"를 의미한다. 또한 전체의 부분 또는 몫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 단어는 "부분, 몫"을 의미하는 ''메로스''(meros), "운명, 파멸"을 의미하는 ''모로스''(moros)와 관련이 있다.[5] 파생 가능한 라틴어 ''메리툼''(meritum) "보상", 영어 ''메리트''(merit)는 인도유럽어 어근 ''*(s)mer'' "할당하다, 지정하다"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6]

''모이라''(Moira)는 다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

  • 전리품 분배의 몫 또는 부분 (ίση μοῖραgrc, , "동등한 전리품")[7]
  • 삶의 몫, 운, 운명 (μοῖραv ἔθηκαν ἀθάνατοιgrc, , "불멸의 존재들이 운명을 정했다")[8]
  • 죽음 (μοῖρα θανάτοιοgrc, , "죽음의 운명")[9]
  • 분배된 토지의 부분[9]
  • 정도와 권리 (κατὰ μοῖρανgrc, , "운명에 따라, 순서대로, 옳게")[10]


모이라(moira, μοῖραel)는 원래 그리스어로 "할당"이라는 의미였다. 인간에게는 "수명"이 할당된 것으로 가장 큰 관심사였기 때문에 수명, 죽음, 생명 등과 관련지어졌다. 또한 출산의 여신인 에일레이튀이아와도 관련지어졌으며, 결국 운명의 여신이 되었다.

3. 문화 간 유사성

로마 신화에서 유래된 세 명의 모이라는 영어로 페이츠(Fates)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파르카이 또는 파타(Parcae or Fata)이다.[11] 원시 인도유럽 문화에서 파생된 다른 유사한 존재들도 있다.

노르드 신화에서 노른은 신과 인간의 운명을 다스리며 생명의 실을 꼬는 세 명의 여성 존재이다. 그들은 법을 세우고 인간의 자녀들의 삶을 결정했다.[12] 그들의 이름은 우르드],

4. 세 명의 모이라이

19세기 파울 투만의 그림 《운명의 세 여신》


세 명의 모이라이(Moirai)는 다음과 같다.[36]

이름역할상징로마 신화 대응
클로토(Clotho) (Κλωθώ|클로토grc)물레에서 실패로 생명의 실을 뽑아냄물레노나(Nona)
라케시스(Lachesis) (Λάχεσις|라케시스grc)각 사람에게 할당된 생명의 실을 로 측정데키마(Decima)
아트로포스(Atropos) (Ἄτροπος|아트로포스grc)생명의 실을 자르고 죽음의 방식을 선택"혐오스러운 가위"[38]모르타(Morta)



플라톤의 《국가》에서 세 모이라이는 세이렌의 음악에 맞춰 화음을 넣는데, 라케시스는 과거, 클로토는 현재, 아트로포스는 미래의 일들을 노래한다.[39]

모이라는 클로토(실을 잣는 자), 라케시스(할당하는 자), 아트로포스(피할 수 없는 자, 죽음에 대한 은유) 세 자매였다.[56] 호메로스의 시에서 모이라 또는 아이사는 삶의 한계와 끝과 관련되며, 제우스는 운명의 인도자로 나타난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 세 모이라는 닉스의 딸로 의인화되어 신들을 지배한다.[48] 이후에는 신성한 질서와 법의 화신인 제우스와 테미스의 딸이 된다. 플라톤의 ''국가''에서 세 운명의 여신은 아난케(필연성)의 딸이다.[58]

프로메테우스가 인간을 창조함: 클로토와 라케시스가 포세이돈(삼지창을 든) 옆에 있고, 아마도 아트로포스아르테미스(초승달) 옆에 있으며, 로마 석관(루브르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모이라는 아이가 태어난 지 사흘 후에 나타나 그 아이의 인생 행로를 결정하는 것으로 여겨졌다.[59]

클로토의 부조, 미국 대법원 램프 받침대, 워싱턴 D.C.


로마 신화에서 모이라에 대응하는 여신은 '''파르카'''(Parca, "아이를 낳는 자"라는 뜻)이다.[91] 복수형은 '''파르카에'''(Parcae)이다. 역할과 성격은 그리스 신화 모이라의 모사이다. 클로토에 대응하는 것은 노나(Nona), 라케시스에 대응하는 것은 데키마(Decima), 아트로포스에 대응하는 것은 모르타(Morta)이다.

5. 기원

"모이라"(Moirai)는 μοῖραgrc에서 유래되었으며, "몫, 운명, 할당자"를 의미한다.[3][4] 이는 전체의 부분 또는 몫을 뜻하며, "부분, 몫"을 의미하는 ''메로스''(meros), "운명, 파멸"을 의미하는 ''모로스''(moros)와 관련이 있다.[5] 파생 가능한 라틴어 ''메리툼''(meritum) "보상", 영어 ''메리트''(merit)는 인도유럽어 어근 ''*(s)mer'' "할당하다, 지정하다"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6]

''모이라''(Moira)는 다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 전리품 분배의 몫 또는 부분 (ίση μοῖραgrc, , "동등한 전리품")[7]
  • 삶의 몫, 운, 운명 (μοῖραv ἔθηκαν ἀθάνατοιgrc, , "불멸의 존재들이 운명을 정했다")[8]
  • 죽음 (μοῖρα θανάτοιοgrc, , "죽음의 운명")
  • 분배된 토지의 부분[9]
  • 정도와 권리 (κατὰ μοῖρανgrc, , "운명에 따라, 순서대로, 옳게")[10]


아트로포스는 그리스 이전 시대의 미케네 종교에서 데몬 또는 정령인 아이사(Aisa)로 기원했다.[41] 미케네 종교의 많은 부분이 고전 그리스까지 살아남았지만, 고전 종교 신념이 어느 정도까지 미케네적인 것이고, 얼마나 많은 부분이 그리스 암흑기 또는 그 이후의 산물인지 알려져 있지 않다. 모세스 I. 핀리는 8세기 호메로스 세계에서 몇 안 되는 진정한 미케네 신념을 발견했다.[42] 그러한 신념 중 하나는 예상치 못한 사건을 특별한 사건에 나타나는 정령 또는 데몬에 귀속시키는 것이었다. 마틴 P. 닐슨은 이 데몬들을 가설적인 그리스 이전 종교와 연관시켰다.[43]

미케네 철학은 모든 사건이나 행동을 운명에 종속시키고 사물의 자연 질서의 불가피성을 받아들이는 것을 강조했는데, 오늘날 이것을 숙명론이라고 한다.[43]

''모이라''(moira)의 개념은 원래 전투에서 얻은 전리품의 몫, 즉 엄격한 전통에 따라 분배된 한 사람의 공정한 할당 또는 부분을 의미했다. 이 개념은 한 사람의 삶에서 공정한 할당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전리품이나 삶의 공정한 몫 이상을 얻는 것(ὑπὲρ μοῖραν, "몫 이상")은 가능했지만, 자연 질서에 대한 위반으로 간주되어 심각한 결과를 초래했다. ''일리아스''에서 아폴론파트로클로스가 트로이를 약탈하는 것을 세 번 막으며, "그의 몫 이상"이 될 것이라고 경고한다.[44]

자연 질서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출생과 죽음이었다. 삶에서 한 사람의 정해진 몫의 개념은 출생 순간에 죽을 적절한 때를 결정하는 ''아이사''(Aisa) 또는 ''모이라''(Moira)라는 정령 또는 데몬으로 의인화되기 시작했다.[41][43] ''모이라''(Moira)는 신들조차도 지배하는 힘이다.

''일리아스''에서 제우스는 아들 사르페돈이 파트로클로스에게 죽임을 당할 것이라는 것을 알지만, 그의 운명을 막을 수 없다.[45] ''케로스타시아''에서 제우스는 운명의 중재자로서 저울을 사용하여 헥토르의 운명을 결정한다.[46]

모이라가 사건의 과정을 결정하는 여신으로 격상된 것은 서사시의 새로운 부분에서 나타난다. ''오디세이아''에서, 그녀는 아직 별도의 이름을 가지고 있지 않은 운명의 화신인 "방적자들"과 동행한다.[47]

헤시오도스는 그의 글에서 호메로스 시에 없는 모이라에게 도덕적인 목적을 부여한다. 그의 개념에서, 모이라는 인간뿐만 아니라 신들의 죄도 처벌한다.[48] 헤시오도스는 『신통기』에서 모이라를 닉스의 딸이라고도 하고,[89] 제우스테미스 사이에서 태어났다고도 한다.[90]

핀다로스는 모이라를 테미스의 딸로 여기지 않고, 신부로서의 테미스의 수행자로서 세 여신을 등장시키고 있다.

6. 신화적 관계

세 명의 모이라는 영어로 페이츠(Fates)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로마 신화에서 유래되었다. 로마 신화에서 이들은 예언적 선언, 신탁 또는 운명을 의미하는 fatum|Fata, -orum (n)=la의 복수인 파르카이 또는 파타(Parcae or Fata)이다.[11] 원시 인도유럽 문화에서 파생된 다른 유사한 존재들도 있다.

노르드 신화에서 노른은 신과 인간의 운명을 다스리며 생명의 실을 꼬는 세 명의 여성 존재이다. 그들은 법을 세우고 인간의 자녀들의 삶을 결정했다.[12]

그들의 이름은 우르드], 고대 영어 ''

7. 신화 속 이야기

모이라(moira, μοῖραel)는 원래 그리스어로 "할당"이라는 의미이다. 인간에게는 "수명"이 할당된 것으로 가장 큰 관심사였기 때문에 수명, 죽음, 생명 등과 관련지어졌으며, 출산의 여신 에일레이튀이아와도 연관되어 결국 운명의 여신이 되었다.

처음에는 단수형으로 한 명의 여신이었지만, 나중에는 여러 명으로 생각되어 세 여신으로 한 조를 이루어 복수형으로 모이라이(Moirai)라고 불렸다. 인간 개개인의 운명은 모이라들이 할당하고, 재고, 끊어내는 "실의 길이"와 그 변형으로 생각되었다. "운명의 실"을 자신의 실타래에서 잣는 것은 클로토(Κλωθώel, Klotho, "잣는 자"라는 뜻)이며, 그 길이를 재는 것은 라케시스(Λάχεσιςel, Lakhesis, "길이를 재는 자"라는 뜻)이며, 마지막으로 할당된 이 실을 세 번째 아트로포스(Ἄτροποςel, Atropos, "피할 수 없는 것"이라는 뜻)가 끊었다.[87] 이처럼 인간의 수명은 결정된다.

세 명의 모이라이(Moirai)는 다음과 같다.[36]


  • '''클로토(Clotho)''' (Κλωθώ|클로토grc)는 물레에서 실패로 생명의 실을 뽑아냈다. 로마식 이름은 ''노나(Nona)'' ("아홉 번째")였다.
  • '''라케시스(Lachesis)''' (Λάχεσις|라케시스grc)는 각 사람에게 할당된 생명의 실을 로 측정했다. 로마식 이름은 ''데키마(Decima)'' ("열 번째")였다.
  • '''아트로포스(Atropos)''' (Ἄτροπος|아트로포스grc)는 생명의 실을 자르는 역할을 했다. 각 사람의 죽음 방식을 선택했고, 시간이 오면 "혐오스러운 가위"로 생명의 실을 잘랐다.[38] 로마식 이름은 ''모르타(Morta)'' ("죽은 자")였다.


플라톤의 《국가》에서 세 모이라이는 세이렌(Seirenes)의 음악에 맞춰 화음을 넣는다. 라케시스(Lachesis)는 과거, 클로토(Clotho)는 현재, 아트로포스(Atropos)는 미래의 일들을 노래한다.[39]

모이라는 세 자매였다: 클로토 (실을 잣는 자), 라케시스 (할당하는 자), 아트로포스 (피할 수 없는 자, 죽음에 대한 은유).[56]

호메로스의 시에서 모이라 또는 아이사는 삶의 한계와 끝과 관련이 있으며, 제우스는 운명의 인도자로 나타난다.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 세 모이라는 의인화되어 닉스의 딸이며 신들을 지배한다.[48] 나중에 그들은 신성한 질서와 법의 화신인 제우스와 테미스의 딸이 된다. 플라톤의 ''국가''에서 세 운명의 여신은 아난케 (필연성)의 딸이다.[58]

모이라는 아이가 태어난 지 사흘 후에 나타나 인생의 과정을 결정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멜레아거와 난로에서 꺼내 어머니가 생명을 연장하기 위해 보존한 불쏘시개에 대한 이야기가 그 예시이다.[59]

초기에는 한 명의 개별 여신으로 표현되었다.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는 모이라에 대해 말하며, 인간이 태어날 때 생명선을 잣는다. ''오디세이''에는 '실 잣는 자'인 ''클로테스''에 대한 언급이 있다.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기간토마키아에서 거인과 올림포스 신들의 전쟁에서 모이라는 청동 곤봉으로 거인 아그리오스와 토온을 죽였다.[68]

기간테스를 쳐 죽인 것 외에도[88], 튀폰을 속여 "무상(無常)의 열매"를 먹게 하여 힘을 빼앗아 신들의 승리에 기여했다.

테살리아의 왕 아드메토스아폴론의 협력을 얻어 알케스티스와 결혼했지만, 중병에 걸린다. 아폴론에게 연명을 의뢰받은 모이라들은 친족 중 누군가가 대리인이 된다는 조건 하에 승낙했다. 그러나 나서는 사람이 없었기에 알케스티스가 대리인이 되어 중병에 걸려 죽을 뻔한다. 헤라클레스가 찾아와 알케스티스를 데리러 온 죽음의 신 타나토스를 조르자, 그녀는 죽음을 면했다.

멜레아그로스의 이야기에 등장하여 알타이아에게 멜레아그로스의 운명을 예언하기도 했다. 플라톤의 『국가』의 말미에 있는 『에르의 이야기』에서는 클로토가 "현재", 라케시스가 "과거", 아트로포스가 "미래"를 관장하는 신으로 등장한다.

8. 제우스와 모이라

모이라(Moirai)는 제우스의 권위에 따르며, 제우스는 그들에게 사물의 자연스러운 질서가 존중되도록 조치하라고 명령했다고 여겨진다.[91] 그러나 트로이 전쟁 이야기에서는 제우스가 모이라의 결정에 거스를 수 없다는 것이 시사된다.[92] 이처럼 신과 운명의 관계는 종종 모순에 빠지는데, 제우스는 때로는 운명을 지배하는 듯하고, 때로는 운명의 결정에 따르는 듯이 묘사된다.[93]

호메로스의 시에서 모이라는 신들의 영향을 받지 않는 단일 존재로 묘사된다. 오직 신들의 수장인 제우스만이 그녀와 가깝고, 어떤 경우에는 그녀와 유사한 역할을 한다.[43] 제우스는 저울을 사용하여 헥토르의 "죽음의 운명"을 아킬레우스의 운명과 비교하는데, 헥토르의 운명이 기울어져 그는 운명에 따라 죽는다. 제우스는 모든 사람에게 적절한 몫을 부여하는 운명의 인도자로 나타난다.[70][71] 미케네 항아리에 묘사된 유사한 시나리오에서는 제우스가 두 전사 앞에 저울을 들고 있어 전투 전에 그들의 운명을 측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들이 전투에서 죽는다면, 이것이 그들의 올바른 운명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는 믿음이 있었다.[72]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 세 명의 모이라는 원시 여신 뉙스("밤")의 딸들로,[73] 신들 위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낸다.[48] 나중에는 그들이 제우스의 딸이 되었고 제우스는 그들에게 가장 큰 영예를 주었으며, 고대 법과 신성한 질서의 여신인 테미스가 그들의 어머니가 되었다.[50][51]

심지어 신들조차도 모이라 또는 운명의 여신을 두려워했는데,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신조차도 피할 수 없었다.[74] 델포이의 퓌티아 여사제는 제우스 역시 그들의 권력에 종속된다고 인정했지만, 고전 시대의 기록에는 불멸자들의 삶이 운명의 여신의 변덕에 어느 정도 영향을 받는지 명확하게 설명된 내용은 없다. 제우스와 모이라의 관계가 수 세기에 걸쳐 변하지 않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어느 경우든 고대에는 신들조차도 따라야 하는 질서에 대한 개념을 느낄 수 있다. 시모니데스는 이 권력을 아난케(필연성)(오르페우스적 우주론에서 모이라의 어머니)라고 부르며, 심지어 신들도 그것에 맞서 싸우지 않는다고 말한다.[75] 아이스킬로스는 운명과 필연성을 결합하여, 제우스조차도 정해진 것을 바꿀 수 없다고 주장한다.[76]

'제우스 모이라게테스'라는 가상의 칭호는 "모이라의 지도자 제우스"를 의미하며, 파우사니아스는 서기 2세기에 올림피아에서 본 비문에서 추론했다. 그는 "전차 경주 출발점으로 가면 '운명의 인도자에게'라는 비문이 있는 제단이 있다. 이것은 분명히 제우스의 별명이며, 그는 인간의 일, 운명이 그들에게 주는 모든 것, 그리고 그들에게 예정되지 않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라고 기록했다.[77][78] 파우사니아스는 메가라의 제우스 신전에서 본 부조 조각에서 "제우스의 머리 위에는 호라이와 모이라가 있으며, 모두가 그가 모이라에게 복종하는 유일한 신임을 알 수 있다."라고 추론했다. 파우사니아스의 추론은 종교 의례에서는 뒷받침되지 않지만, 그는 올림피아(5.15.4), 코린토스(2.4.7)와 스파르타(3.11.8)에도 모이라의 성소를 기록했으며, 테베 성문 밖의 테미스 성소에도 인접해 있었다.[79]

9. 숭배와 신전

요한 고트프리트 샤도우의 알렉산더 폰 데어 마크 묘에 있는 ''세 명의 모이라'' 부조 ( 구 국립 미술관, 베를린)


운명의 여신들은 고대 코린토스, 스파르타, 테베에 적어도 세 개의 알려진 신전을 가지고 있었다. 최소한 코린토스의 신전에는 그들의 조각상이 있었다.[80] 테베의 신전은 명백히 형상이 없었다.[81] 스파르타의 신전은 오레스테스의 무덤 옆에 위치해 있었다.[82]

실제 신전 외에도 모이라에게 바쳐진 제단도 있었다. 그중에는 제우스 모이라게테스의 제단 근처인 올림피아의 제단이 눈에 띄었는데, 아르카디아의 데스포이네 신전의 모이라 이미지와 델포이에서도 제우스 모이라게테스(운명의 인도자)뿐만 아니라 아폴론 모이라게테스(운명의 인도자)와 함께 묘사되었다.[84] 코르키라에서는 전설에 따르면 메데이아가 세운 아폴론 신전 역시 모이라와 님프에게 제물을 바치는 곳이었다.[85] 모이라에 대한 숭배는 파우사니아스가 시키온 근처의 그들의 제단에 대해 다음과 같이 묘사하였다.[86]

10. 천문학적 대상

소행성 (97) 클로토, (120) 라케시스, (273) 아트로포스는 운명의 여신들에서 이름을 따왔다.[1]

11. 참고 문헌


  • Robert A. Armour영어, ''Gods and Myths of Ancient Egypt영어''(고대 이집트의 신과 신화), American Univ. in Cairo Press영어, 2001.
  • ''브릴 신판 파울리: 고대 세계 백과사전. 고대, 제10권'', Hubert Cancikde, Helmuth Schneiderde 편집, 브릴, 2007. [https://referenceworks.brillonline.com/browse/brill-s-new-pauly 브릴 온라인 버전].
  • 호메로스, ''The Iliad with an English translation영어''(일리아스 영어 번역본 포함), A. T. Murray영어 박사 번역, 2권, 케임브리지, MA,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런던, William Heinemann Ltd영어, 1924.
  • 호메로스, ''The Odyssey with an English translation영어''(오디세이아 영어 번역본 포함), A. T. Murray영어 박사 번역, 2권, 케임브리지, MA,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런던, William Heinemann Ltd영어, 1919.
  • Thomas Blisniewskide, ''Kinder der dunkelen Nacht: Die Ikonographie der Parzen vom späten Mittelalter bis zum späten 18. Jahrhundertde''(어두운 밤의 아이들: 18세기 후반까지의 운명의 여신의 도상학), 쾰른, 1992.
  • Markos Giannoulisde, ''Die Moiren. Tradition und Wandel des Motivs der Schicksalsgöttinnen in der antiken und byzantinischen Kunst, Ergänzungsband zu Jahrbuch für Antike und Christentum, Kleine Reihe 6 (F. J. Dölger Institut)de''(모이라. 고대 및 비잔틴 예술에서 운명의 여신 모티프의 전통과 변화, 고대 기독교 연감 부록, 작은 시리즈 6 (F. J. Dölger 연구소)), Aschendorff Verlagde, 뮌스터, 2010.
  • 로버트 그레이브스, ''그리스 신화''.
  • 제인 엘렌 해리슨, ''그리스 종교 연구를 위한 서론'', 1903. (제6장, "처녀 삼위일체").
  • L. H. Jeffery영어, ''Archaic Greece. The City-States c. 700–500 BC영어''(고대 그리스. 기원전 700~500년의 도시 국가), Ernest Benn Ltd영어, 런던 & 톤브리지, 1976.
  • 카를 케레니, ''The Gods of the Greeks영어''(그리스의 신들), Thames & Hudson영어, 1951.
  • 마틴 P. 닐슨, ''Die Geschichte der Griechischen Religion. Vol Ide''(그리스 종교사. 제1권), C.F. Beck Verlagde, 뮌헨, 1967.
  • 버트런드 러셀, ''A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and its connections with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영어''(서양 철학사, 그리고 초기 시대부터 현재까지의 정치적, 사회적 상황과의 연관성), Simon & Schuster영어, 뉴욕, 1946.
  • 해리 서스턴 펙, ''Harper's Dictionary of Classical Antiquities영어''(하퍼 고전 고대 사전), 1898. [https://www.perseus.tufts.edu/cgi-bin/ptext?doc=Perseus%3Atext%3A1999.04.0062 perseus.tufts.edu]
  • Herbert Jennings Rose영어, ''Handbook of Greek Mythology영어''(그리스 신화 핸드북), 1928.
  • 칼 럭 및 대니 스테이플스, ''The World of Classical Myth영어''(고전 신화의 세계), 1994.
  • 윌리엄 스미스, ''그리스 및 로마 전기 및 신화 사전'', 1870, 모이라에 대한 항목, [https://web.archive.org/web/20051026221435/http://www.ancientlibrary.com/smith-bio/2217.html ancientlibrary.com]
  • R. G. Wunderlichde, ''The secret of Cretede''(크레타의 비밀), Efstathiadisde 그룹, 아테네, 1994. (영국판, Souvenir Press Ltd영어, 런던, 1975)

참조

[1] 서적 Brill's New Pauly Brill
[2] 웹사이트 Theoi project: Moirae and the Throne of Zeus http://www.theoi.com[...] Theoi.com 2013-01-24
[3] 웹사이트 Moirai ! Definition of Moirai in English by Oxford Dictionaries https://en.oxforddic[...] 2024-09-26
[4] Collins English Dictionary Moirai https://www.collinsd[...]
[5] 웹사이트 Moira ! Etymology of the name Moira by etymonline https://www.etymonli[...] 2024-09-26
[6] 웹사이트 merit ! Etymology of merit by etymonline https://www.etymonli[...] 2024-09-26
[7] 웹사이트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μοῖρα https://www.perseus.[...] 2024-09-26
[8] Odyssey Odyssey 19.152: Lidell, op.cit.
[9] 문서 The citizens of Sparta were called omoioi (equals), indicating that they had equal parts ("isomoiria" ἰσομοιρία) of the allotted land
[10] Iliad Iliad 16.367: Lidell, op.cit.
[11] Online Etymology Dictionar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12] Völuspá Völuspá 20; cf. Henry Adams Bellows' translation for The American-Scandinavian Foundation with clickable names http://cybersamurai.[...]
[13] 웹사이트 Svensk etymologisk ordbok https://runeberg.org[...] 2024-09-26
[14] Online Etymology Dictionar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15] Nordisk familjebook Nordisk familjebook https://runeberg.org[...] 1913
[16] 서적 Norse Mythology, a guide to the ghosts, heroes, rituals and beliefs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7] 서적 Of gods and men. Studies in Lithuanian Mythology Indiana University Press 1992
[18] Rigveda Related to "Iaksmlka", "mark, sign or token"
[19] 서적 Foreword to the past. A cultural history of Baltic people CEU Press 1999
[20] 간행물 'Unreal Mockery': Unreason and the Problem of Spectacle in Macbeth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89-10
[21] 웹사이트 Theoi project Hecate http://www.theoi.com[...] Theoi.com 2013-01-24
[22] 서적 The Day of Yahweh: A Study of Sacred Days and Ritual Forms in the Ancient Near East American Historical Association 1929
[23] 서적 Die Geschichte der griechischen Religion C. F. Beck, Munich 1967
[24] 문서 Cf. Ramakrishna (1965:153–168), James (1969:35–36)
[25] 간행물 Heraclitus and Iran
[26] 간행물 Zoroaster the Priest University of London 1970
[27] 서적 Angels A to Z https://archive.org/[...] Crown Publishing 1996
[28] 문서 Mahony (1998:3).
[29] 문서 See the philological work of Own Barfield, e.g Poetic Diction or Speaker's Meaning
[30] 서적 Die Religion des Veda Wilhelm Hertz, Berlin 1894
[31] 서적 Some Ethical Concepts for the Modern World from Hindu and Indian Buddhist Tradition Sahitya Akademi 1992
[32] 문서 "Origin and Growth of the Concept of ''Ṛta'' in Vedic Literature" University of Mysore 1965
[33] 서적 Gods and Myths of Ancient Egypt American Univ in Cairo Press 2001
[34] 서적 Egyptian Religion Cornell University Press 1992
[35] 서적 Ancient Egyptian Book of the Dead: Journey through the afterlife British Museum Press 2010
[36] 문서
[37] 문서
[38] 문서
[39] 서적 Republic https://archive.org/[...] Hackett Publishing Company, Inc. 1992
[40] 문서
[41] 문서
[42] 문서
[43] 문서
[44] 문서
[45] 문서
[46] 간행물 Meleager and the Moirai: A Note on Ps.-Apollodorus 1. 65
[47] 문서
[48] 문서
[49] 문서
[50] 문서
[51] 문서
[52] 문서
[53] 문서
[54] 문서
[55] 문서
[56] 웹사이트 The Princeton Dante Project (2.0) - Long Toynbee "Cloto" https://dante.prince[...]
[57] 웹사이트 Parcae from the McClintock and Strong Biblical Cyclopedia https://www.biblical[...]
[58] 문서
[59] 문서
[60] 간행물 Kerostasia, the Dictates of Fate, and the Will of Zeus in the Iliad
[61] 문서
[62] 문서
[63] 문서
[64] 웹사이트 Theoi Project Moirai http://www.theoi.com[...] Theoi.com 2013-01-24
[65] 문서
[66] 문서
[67] 문서
[68] 문서
[69] 문서
[70] 문서
[71] 서적 Ancient Egyptian Book of the Dead: Journey through the afterlife British Museum Press, London 2010
[72] 논문 Zeus-Schiksalwaage
[72] 서적 Die Geschichte der Griechischen Religion. Vol I C.F.Beck Verlag. München 1967
[73] 서적 Handbook of Greek Mythology
[74] 문서 Herodotus
[75] 문서 Diels-Kranz
[76] 문서 Prometheus Bound http://www.theoi.com[...]
[77] 문서 Moiragetes
[78] 문서
[79] 문서
[80] 문서
[81] 문서
[82] 문서
[83] 문서
[84] 문서
[85] 기타 Argonautica
[86] 문서
[87] 문서 グレイヴズ
[88] 문서
[89] 문서 ヘーシオドス『神統記』
[90] 문서 ヘーシオドス『神統記』
[91] 문서 ギラン
[92]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事典
[93]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