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ANZUS)은 1951년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간에 체결된 군사 동맹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아시아 지역의 안보 우려와 공산주의 세력 확산에 대한 대응으로,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와 유사한 형태의 동맹 결성이 추진되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제안으로 시작되어 한국 전쟁 참전 등을 계기로 미국이 동맹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 조약 체결이 이루어졌다. 조약은 3자 방위 조약으로 시작되었으나, 뉴질랜드의 반핵 정책으로 인해 미국과 뉴질랜드 간의 조약은 파기되었고, 현재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미국 간,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간의 양자 동맹으로 유지되고 있다. ANZUS는 냉전 시기 베트남 전쟁 참전, MX 미사일 시험 논란 등 주요 사건과 논란을 겪었으며, 탈냉전 이후에도 오스트레일리아와 미국의 긴밀한 관계를 기반으로 유지, 발전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질랜드-미국 관계 - 파이브 아이즈
파이브 아이즈는 미국,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5개국 간의 정보 동맹으로, 각국의 정보기관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공유하며 냉전 시기부터 현재까지 국제 정세에 대응하기 위해 감시 및 정보 공유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 뉴질랜드-미국 관계 - UKUSA
UKUSA는 냉전 시대 소련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과 영국이 체결한 정보 공유 협정으로, 통신 감청을 통해 정보 수집에 중점을 두었으며 '파이브 아이즈'로 확장되었고, 현재는 테러와의 전쟁 등 새로운 안보 위협에 대응하며 프라이버시 침해 논란을 빚고 있다. - 미국-오스트레일리아 관계 - 파이브 아이즈
파이브 아이즈는 미국, 영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5개국 간의 정보 동맹으로, 각국의 정보기관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공유하며 냉전 시기부터 현재까지 국제 정세에 대응하기 위해 감시 및 정보 공유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 미국-오스트레일리아 관계 - 쿼드 (국제 회의)
쿼드는 미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인도의 4개국 간 다자 대화 협의체로, 중국의 부상을 억제하고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와 경제 협력을 목표로 하며 군사 훈련을 통해 협력을 강화한다. - 1952년 발효된 조약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은 1951년 일본이 주권을 회복하고 국제 사회에 복귀하도록 한 평화 조약이나, 전후 처리 과정의 이견과 냉전으로 일부 국가가 배제되었고 영토 및 배상 문제에 대한 모호한 조항들이 동아시아 분쟁 요소로 남아 대한민국이 불리한 입장에 놓였다. - 1952년 발효된 조약 - 파리 조약 (1951년)
1951년 파리 조약은 유럽 석탄 및 강철 공동체(ECSC)를 설립하여 서독 등 6개국의 전쟁 재발 방지, 프랑스와 독일의 화해, 유럽 통합의 출발점을 마련했으나, 냉전으로 동유럽이 배제되는 한계가 있었다.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 | |
---|---|
지도 정보 | |
조약 정보 | |
조약명 |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미국 안전 보장 조약 |
원어명 | Australia, New Zealand, United States Security Treaty |
약칭 | ANZUS (앤저스) |
조약 유형 | 집단 안보 협정 |
서명일 | 1951년 9월 1일 |
서명 장소 | 샌프란시스코, 미국 |
발효일 | 1952년 4월 29일 |
참가국 |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부분적으로 중단됨) 미국 |
전문 | [1952] ATS 2 |
기구 정보 | |
조직 유형 | 군사 동맹 |
회원국 유형 | 가맹국 |
회원국 |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
설립일 | 1951년 9월 1일 |
목적 | 집단 방위 |
기여 지역 | 태평양 지역 |
추가 정보 | |
관련 내용 | ANZUS 조약 발효 미국, 뉴질랜드 군함 금지 해제 미국-뉴질랜드 관계 개선과 핵 정책 |
일본어 표기 | アンザス |
참고 자료 | 앙자스 조약 |
관련 문서 | 안전 보장 조약 |
2. 조약 체결 배경 및 역사
싱가포르 함락 이후 아시아에서 영국의 영향력이 약해지자, 오스트레일리아는 안보를 위해 새로운 동맹국을 찾기 시작했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는 일본의 재무장과 북쪽으로부터의 공산주의 확산에 대한 위협을 느꼈다.[11][12] 1950년, 오스트레일리아 외무장관 퍼시 스펜더는 미국을 포함한 더 넓은 태평양 안보 협정을 추진했으나, 당시 영국과 미국은 아시아와의 관계를 제한하려 했기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13][14]
1950년 중반 한국 전쟁 발발은 미국의 입장을 바꾸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영국보다 먼저 한국 전쟁에 참전하며 미국과의 관계 강화를 추진했다. 미국은 1949년 중국 공산당의 중국 내전 승리와 한국 전쟁으로 인해 공산주의에 맞서 서방을 강화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 조약은 일본이 다시 위협을 가할 것이라는 남반구 국가들의 우려를 해소하는 역할을 했다.[15][16]
미국은 처음에 주저하며 비공식적인 보호 보장을 제시했지만, 오스트레일리아는 더 공식적인 협정을 원했다. 이 조약에는 NATO와 같은 자동적인 무력 지원 약정은 포함되지 않았는데, 이는 미국 상원이 선전포고 권한을 유지하려 했기 때문이다. 대신 조약은 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공격을 "자신의 평화와 안보에 위험한 것"으로 간주한다는 몬로 독트린의 내용을 반영했다.[14]
1949년 3월 북대서양조약이 체결되어 NATO가 출범하자,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일부 국가에서는 태평양 지역에도 NATO와 유사한 군사 동맹을 만들자는 의견이 나왔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압력에 직면한 중화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전쟁을 치른 대한민국 등 공산주의 세력의 위협에 직접 맞서는 국가들을 포함하는 태평양 집단 안보 구상이 제안되었으나, 미국에 의해 거부되었다.[61] 오스트레일리아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이 영국군을 동남아시아에서 몰아내고 오스트레일리아를 공격한 경험을 바탕으로, 영국의 대안으로 미국을 의지해야 한다고 생각했다.[62]
오스트레일리아의 제안에 캐나다, 영국, 인도 등 영연방 국가들은 반대했다. 영국은 말레이 연방, 홍콩 등의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지만, 미국은 식민지 지배를 혐오했고, 미국이 참여하는 군사 동맹의 적용 범위가 영국 식민지에 미칠 가능성은 없었다. 또한,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의 반공주의 국가들을 포함하는 동맹은 전쟁에 휘말릴 위험이 있고, 범위를 좁히면 제외된 국가와 지역의 불안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다.[63][64] 초기 미국은 소극적이었지만,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후 오스트레일리아가 육해군을 신속하게 파병하자 오스트레일리아와의 동맹에 가치를 인정하게 되었다.[65] 오스트레일리아는 가입국을 3개국으로 제한하고 적용 범위도 그 주변으로 한정하여 범위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시기 미국과 영국은 일본과의 평화 조약을 앞두고 있었고,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 대한 양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협상 기한을 정하는 요인이 되었다. 1951년 2월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3개국 외무장관 회담(미국의 존 포스터 덜레스, 오스트레일리아의 퍼시 스펜더, 뉴질랜드의 프레데릭 도지)에서 오스트레일리아의 생각을 바탕으로 한 조약안이 작성되었다.[66] 미국의 의향에 따라 조약의 군사적 성격을 약화시키는 수정을 거친 조약안은 같은 해 7월, 대일 평화 조약안 발표 직전에 공표되었다. 조약은 1951년 9월 1일 샌프란시스코 강화 회의 시작 3일 전에 체결되었고,[67] 1952년 4월 29일에 발효되었다.[17]
2. 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정세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싱가포르 함락으로 아시아에서 영국의 영향력이 약해지자, 오스트레일리아는 안보를 위해 새로운 동맹국을 찾기 시작했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는 일본의 재무장과 북쪽으로부터의 공산주의 확산에 대한 위협을 느꼈다.[11][12] 오스트레일리아 외무장관 퍼시 스펜더는 1950년에 미국을 포함한 더 넓은 태평양 안보 협정을 추진했으나, 당시 영국과 미국은 아시아와의 관계를 제한하려 했기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13][14]1950년 중반 한국 전쟁 발발은 미국의 입장을 바꾸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영국보다 먼저 한국 전쟁에 참전하며 미국과의 관계 강화를 추진했다. 미국은 1949년 중국 공산당의 중국 내전 승리와 1950년부터 1953년까지의 한국 전쟁으로 인해 공산주의에 맞서 서방을 강화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 조약은 일본이 다시 위협을 가할 것이라는 남반구 국가들의 우려를 해소하는 역할을 했다.[15][16][14]
미국은 처음에 주저하며 비공식적인 보호 보장을 제시했지만, 오스트레일리아는 더 공식적인 협정을 원했다. 이 조약에는 NATO와 같은 자동적인 무력 지원 약정은 포함되지 않았는데, 이는 미국 상원이 선전포고 권한을 유지하려 했기 때문이다. 대신 조약은 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공격을 "자신의 평화와 안보에 위험한 것"으로 간주한다는 몬로 독트린의 내용을 반영했다.[14]
1949년 3월 북대서양조약이 체결되어 NATO가 출범하자,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일부 국가에서는 태평양 지역에도 NATO와 유사한 군사 동맹을 만들자는 의견이 나왔다. 중화인민공화국의 압력에 직면한 중화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전쟁을 치른 대한민국 등 공산주의 세력의 위협에 직접 맞서는 국가들을 포함하는 태평양 집단 안보 구상이 제안되었으나, 미국에 의해 거부되었다.[61] 오스트레일리아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이 영국군을 동남아시아에서 몰아내고 오스트레일리아를 공격한 경험을 바탕으로, 영국의 대안으로 미국을 의지해야 한다고 생각했다.[62]
오스트레일리아의 제안에 캐나다, 영국, 인도 등 영연방 국가들은 반대했다. 영국은 말레이 연방, 홍콩 등의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지만, 미국은 식민지 지배를 혐오했고, 미국이 참여하는 군사 동맹의 적용 범위가 영국 식민지에 미칠 가능성은 없었다. 또한,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의 반공주의 국가들을 포함하는 동맹은 전쟁에 휘말릴 위험이 있고, 범위를 좁히면 제외된 국가와 지역의 불안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다.[63][64] 초기 미국은 소극적이었지만,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후 오스트레일리아가 육해군을 신속하게 파병하자 오스트레일리아와의 동맹에 가치를 인정하게 되었다.[65] 오스트레일리아는 가입국을 3개국으로 제한하고 적용 범위도 그 주변으로 한정하여 범위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시기 미국과 영국은 일본과의 평화 조약을 앞두고 있었고,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 대한 양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협상 기한을 정하는 요인이 되었다. 1951년 2월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3개국 외무장관 회담(미국의 존 포스터 덜레스, 오스트레일리아의 퍼시 스펜더, 뉴질랜드의 프레데릭 도지)에서 오스트레일리아의 생각을 바탕으로 한 조약안이 작성되었다.[66]
2. 2. 한국 전쟁 발발
1949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출범 이후,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일부 국가에서 태평양 지역에도 군사 동맹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중화인민공화국(중국)의 압력에 직면한 중화민국(타이완), 대한민국(한국) 등 공산주의 위협에 맞서는 국가들을 포함하는 태평양 집단 안보 구상이 제기되었으나 미국은 이를 거부했다.[61]오스트레일리아는 제2차 세계 대전 경험을 바탕으로 영국 대신 미국을 의지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미국과 영국 연방 국가들을 묶는 동맹을 제안했다.[62] 그러나 영국은 이 동맹이 자국에 이익이 없고,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군사력을 영연방에서 빼앗는 것이라 여겨 반대했다.[63]
초기에 미국은 동맹 범위 설정의 부작용을 우려하여 소극적이었으나, 1950년 발발한 한국 전쟁에서 오스트레일리아가 신속하게 육해군을 파병하자 오스트레일리아와의 동맹 가치를 인정하게 되었다.[65] 오스트레일리아는 가입국을 3개국으로 제한하고 적용 범위도 그 주변으로 한정하여 범위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시기 미국과 영국은 일본과의 평화 조약을 앞두고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 양보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이는 협상 기한을 정하는 요인이 되었다. 1951년 2월, 미·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 3개국 외무장관 회담에서 조약안이 작성되었고,[66] 같은 해 7월, 샌프란시스코 강화 회의 시작 3일 전인 9월 1일에 조약이 서명되었다.[67]
2. 3. 조약 체결 과정
싱가포르 함락(Fall of Singapore) 이후 아시아에서 영국 세력이 쇠퇴하자, 오스트레일리아는 안보 확보를 위해 다른 동맹국을 찾기 시작했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는 부활하는 일본과 북쪽으로의 공산주의 확산에 대한 위협도 느꼈다.[11][12] 퍼시 스펜더(Percy Spender) 오스트레일리아 외무장관은 1950년에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기타 영연방 국가들과 미국을 포함하는 더 넓은 태평양 안보 협정을 추구했다. 스펜더는 "미국 없이는 의미가 없다"고 말했듯이 미국의 참여는 필수적이었다.[13] 그러나 이 시점에서 영국과 미국 모두 아시아와의 관계를 제한하려고 했기 때문에 이러한 협정에 관심이 없었다.[14]1950년 중반 한국 전쟁(Korean War) 발발은 미국의 입장을 바꾸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영국보다 먼저 한국 전쟁에 참전했고 미국과의 관계 강화를 계속 추진했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미래의 군사적 공격을 억제하기 위해 미국이 일본과 더욱 강경한 평화 조약을 체결하도록 설득할 수는 없었지만, 태평양 안보 결정에 대한 발언권을 유지하고 조약 승인에 대한 대가로 미국의 안보 공약을 더욱 확보하기 위해 압력을 가했다. 미국은 처음에는 주저했지만, 1949년 중국 공산당의 중국 내전 승리와 1950년부터 1953년까지의 한국 전쟁(Korean War)으로 공산주의에 맞서 서방을 강화할 필요성이 커졌다. 이 조약은 그러한 평화가 일본이 다시 그들을 위협하는 것을 허용할 것이라는 남반구 국가들의 우려를 불식시켰다.[15][16][14]
미국은 처음에 주저하며 대통령은 대신 비공식적인 보호 보장을 제시했다. 그러나 오스트레일리아는 스펜더가 “대통령은 오고 가지만”이라고 언급했듯이 더 공식적인 협정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 조약에는 NATO(NATO)와 같은 자동적인 무력 지원 약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고, 스펜더는 선전포고 권한을 유지하려는 미국 상원(US Senate)이 이를 비준하지 못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대신 조약의 텍스트는 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공격을 "자신의 평화와 안보에 위험한 것"으로 간주한다는 미대륙에 대한 몬로 독트린(Monroe Doctrine)의 텍스트를 반영했다.[14]
협정은 1951년 9월 1일 샌프란시스코에서 체결되었고 1952년 4월 29일 발효되었다.[17] 1949년 3월, NATO(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를 출범시킨 북대서양조약(North Atlantic Treaty)이 체결되자,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일부 국가에서는 태평양 지역에도 NATO에 상응하는 군사 동맹을 만들자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그중 하나는 중국(People's Republic of China)의 압력에 직면한 타이완(Republic of China), 북한(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과 전쟁을 치른 한국(Republic of Korea) 등 공산주의 세력의 위협에 직접 맞서는 국가들을 가입시키는 태평양 집단 안보 구상이었으나, 미국에 의해 거부되었다.[61] 또 다른 구상은 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과 영국 연방 국가들을 동맹으로 묶는 것이었는데, 이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주도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군이 영국군을 동남아시아에서 몰아내고 오스트레일리아를 공격한 경험을 바탕으로, 오스트레일리아의 외무장관 퍼시 스펜더는 영국의 대안으로 미국을 의지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62]
오스트레일리아의 제안에 캐나다(Canada), 영국(United Kingdom), 인도(India) 등 영연방 국가들은 일제히 반대하였다. 영국은 말레이 연방(Federation of Malaya)과 홍콩(Hong Kong) 등의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지만, 미국은 식민지 지배에 대해 혐오감을 가지고 있었고, 미국이 가입하는 군사 동맹의 적용 범위가 영국 식민지에 미칠 가능성은 없었다. 제안된 동맹은 영국에 이익이 없을 뿐만 아니라,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군사력을 영연방에서 빼앗는 것이라고 여겨졌다.[63] 또한,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의 반공주의 국가들을 광범위하게 포함하는 동맹이 되면 전쟁에 휘말릴 가능성이 높아지고, 범위를 좁히면 제외된 국가와 지역의 불안이 커지고 제외 지역에서 공산주의자들이 기세를 올릴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었다.[64] 초기에 미국은 범위 설정의 부작용을 꺼려 제안에 소극적이었지만, 1950년에 발발한 한국 전쟁에서 오스트레일리아가 육해군을 신속하게 파병하자 오스트레일리아와의 동맹에 가치를 인정하게 되었다.[65] 그래서 오스트레일리아는 가입국을 3개국으로 제한하고 적용 범위도 그 주변으로 한정함으로써 범위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유럽 이민으로 형성된 국가들로 범위를 한정하면, 아시아 국가들이 자국만 배제되었다고 느끼지 않을 것이고 전쟁에 휘말릴 가능성도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이 시기 미영 양국은 일본과의 평화 조약을 앞두고 대일 참전국의 동의를 얻으려고 하였다.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는 어떤 형태로든 양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고, 그것이 협상의 기한을 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1951년 2월 미·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 3개국 외무장관 회담 (미국의 존 포스터 덜레스(John Foster Dulles), 오스트레일리아의 퍼시 스펜더, 뉴질랜드의 프레데릭 도지(Frederick Dodds))에서 오스트레일리아의 생각을 바탕으로 한 조약안이 작성되었다.[66] 미국의 의향에 따라 조약의 군사적 성격을 약화시키는 수정을 거친 조약안은 같은 해 7월, 대일 평화 조약안 발표 직전에 공표되었다. 서명은 9월 1일, 샌프란시스코 강화 회의 시작 3일 전이었다.[67]
3. 조약의 주요 내용 및 구조
이 조약은 1984년 핵무기를 탑재할 수 있는 함선 및 잠수함[6] 또는 미국 해군(United States Navy)의 핵 추진 함선의 뉴질랜드 항구 방문권을 둘러싼 뉴질랜드와 미국 간의 분쟁으로 인해 파기되었다. 이 조약은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간,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와 미국 간에 체결되었다. 미국과 뉴질랜드 간의 조약은 만료되었지만, 이들 두 국가와 오스트레일리아 간에는 별도로 효력을 유지하고 있다.[7] 2000년 미국은 다시 뉴질랜드 왕립 해군에 자국 항구를 개방했고, 미국의 빌 클린턴 대통령과 뉴질랜드의 헬렌 클라크 정부 집권 하에 양국은 이후 방위 및 안보 분야에서 양자 협력을 재개했다.[8]
ANZUS는 1984년 분열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인식되지만, 오스트레일리아-미국 동맹은 여전히 완전한 효력을 유지하고 있다. 양국의 국방 장관들은 종종 연례 장관급 회의에 참석하며, 이는 미국 태평양 전투 사령관과 오스트레일리아 국방군 참모총장 간의 협의로 보완된다. 또한 하위 수준에서 두 정부 간에 정기적인 민간 및 군사 협의가 이루어진다.
ANZUS 방위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연례 회의는 미국 국방장관 및 국무장관과 오스트레일리아 국방장관 및 외교장관 간에 개최되며, 약칭 AUSMIN으로 알려져 있다. 2011년 AUSMIN 회의는 9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렸고, 2012년 AUSMIN 회의는 11월 서호주 퍼스에서 열렸다.[9] AUSMIN은 매년 계속해서 회의를 열고 있으며, 가장 최근에는 2023년에 열렸다.[10]
3. 1. 회원국의 의무
이 조약은 뉴질랜드와 미국 간의 핵무기 관련 분쟁으로 인해 1984년에 파기되었지만,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와 미국 간에는 여전히 유효하다.[7] 2000년 이후 미국과 뉴질랜드는 방위 및 안보 분야에서 양자 협력을 재개했다.[8]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와 달리 ANZUS는 통합된 방위 구조나 전담 부대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레일리아와 미국은 함대급 해상 및 상륙 훈련, 특수부대 훈련, 장교 상호 파견, 장비 및 작전 교리 표준화 등 다양한 공동 군사 활동을 수행한다. 또한 양국은 정찰 위성 지상국과 신호 정보 간첩 활동을 위한 ECHELON 네트워크 시설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공동 운영하고 있다.
2010년대에 뉴질랜드와 미국은 관계를 회복했지만, 이 파트너십이 1951년의 3자 조약 체제에 포함되는지는 불분명하다. 2010년 웰링턴 선언은 양국 간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정의했고, 뉴질랜드는 1984년 이후 처음으로 2012년 림팩 군사 훈련에 참가했으며, 이후 미국은 뉴질랜드 함선의 자국 기지 입항 금지 제재를 해제했다.[8]
3. 2. 분쟁 해결 절차
이 조약은 뉴질랜드와 미국 간의 핵무기 탑재 가능 함선 및 잠수함, 미국 해군의 핵 추진 함선의 뉴질랜드 항구 방문권을 둘러싼 분쟁으로 인해 파기되었다.[6] 그러나 미국과 뉴질랜드 간의 조약은 만료되었지만,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와 미국 간에는 별도로 효력을 유지하고 있다.[7]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와 달리 ANZUS는 통합된 방위 구조나 전담 부대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레일리아와 미국은 함대급 해상 및 상륙 훈련, 대대급 특수부대 훈련, 상호 군에 장교 파견, 장비 및 작전 교리 표준화 등 다양한 공동 군사 활동을 수행한다. 또한 두 국가는 정찰 위성 지상국과 동남아시아 및 동아시아의 신호 정보 간첩 활동을 위한 ECHELON 네트워크의 일부인 시설을 오스트레일리아에 여러 곳 운영하고 있다.
2010년대에 뉴질랜드와 미국은 긴밀한 관계를 재개했지만, 부활한 파트너십이 1951년 3자 조약의 틀 안에 드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2010년 웰링턴 선언은 뉴질랜드와 미국 간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정의했고, 뉴질랜드는 1984년 이후 처음으로 2012년 하와이 해상에서 열린 2년마다 열리는 림팩 군사 훈련에 참가했다. 2012년 훈련 이후 미국 기지에 뉴질랜드 함선이 입항하는 것을 금지한 미국의 제재가 해제되었다.[8]
4. ANZUS 동맹의 변화와 발전
1951년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ANZUS) 체결 당시에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미국 3국 간의 완전한 방위 조약이었다. 그러나 1984년, 핵무기 탑재 가능성이 있는 함선 및 잠수함[6] 또는 미국 해군의 핵 추진 함선의 뉴질랜드 항구 방문권을 둘러싸고 뉴질랜드와 미국 간의 분쟁이 발생하면서 조약이 파기되었다. 그 결과, ANZUS 조약은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 간,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와 미국 간에는 유효하지만, 미국과 뉴질랜드 간에는 효력이 중단되었다.[7]
1984년 ANZUS가 분열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오스트레일리아와 미국 간의 동맹은 여전히 굳건하다. 양국 국방 장관들은 연례 장관급 회의(AUSMIN)를 개최하여 국방 문제를 논의하며, 이는 미국 태평양 전투 사령관과 오스트레일리아 국방군 참모총장 간의 협의로 보완된다. 또한, 양국 정부 간에는 정기적인 민간 및 군사 협의도 이루어진다. AUSMIN 회의는 샌프란시스코(2011년), 서호주 퍼스(2012년),[9] 그리고 2023년에도 개최되었다.[10]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와 달리 ANZUS는 통합된 방위 구조나 전담 부대를 갖추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오스트레일리아와 미국은 함대급 해상 및 상륙 훈련부터 대대급 특수부대 훈련, 상호 군에 장교 파견, 장비 및 작전 교리 표준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공동 군사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양국은 정찰 위성 지상국과 동남아시아 및 동아시아의 신호 정보 간첩 활동을 위한 ECHELON 네트워크의 일부 시설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공동 운영하고 있다.
2000년대 들어 뉴질랜드와 미국은 관계를 회복하기 시작했다. 2000년 미국은 다시 뉴질랜드 왕립 해군에 자국 항구를 개방했고,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과 헬렌 클라크 뉴질랜드 총리 정부 하에 양국은 방위 및 안보 분야에서 양자 협력을 재개했다.[8] 1996년,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은 뉴질랜드를 주요 비나토 동맹국으로 지정하여 동맹국으로 인정했다.[38][39][40]
이 동맹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일부 정치적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특히 2003년 이라크 침공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사회 일각에서는 양국 관계 재평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동맹은 냉전 기간 동안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으며,[41] 현재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폭넓은 지지를 받고 있다.[42]
2021년 말,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미국은 3자 안보 파트너십인 AUKUS 협정에 서명했다. 뉴질랜드는 이 협정에 참여하지 않았으며, 이 협정에 따라 개발된 핵잠수함은 기존의 핵 제한 정책으로 인해 뉴질랜드 영해에 진입할 수 없다.[56]
4. 1. 뉴질랜드의 비핵화 정책과 동맹 관계 중단
1980년대 뉴질랜드는 핵무기에 대한 반대 여론이 높아지면서 독자적인 비핵화 정책을 추진했다. 1984년 뉴질랜드 노동당의 데이비드 랭 총리는 핵 추진 또는 핵무장 선박의 뉴질랜드 영해 진입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26] 당시 냉전 시기 군함과 지원함에 핵무기가 있는지 확인하거나 부인하기를 거부하는 정책을 유지하고 있던[27] 미국 해군의 함정들은 사실상 뉴질랜드 항구에 들어올 수 없게 되었다.1985년 2월, 미국은 RUR-5 ASROC 핵심해탄두를 발사할 수 있었던 유도 미사일 구축함 USS ''Buchanan''의 항구 방문을 요청했으나, 뉴질랜드는 이를 거부했다.[26] 미국은 뉴질랜드의 결정을 동맹에 대한 고의적인 무시로 해석했다.
뉴질랜드의 비핵화 정책은 1987년 뉴질랜드 무핵 지대, 군축 및 군비 통제법(New Zealand Nuclear Free Zone, Disarmament, and Arms Control Act 1987)으로 법제화되어 뉴질랜드 전역이 무핵 지대가 되었다.[33] 이로 인해 미국은 뉴질랜드에 대한 태평양 안전 보장 조약(ANZUS) 의무를 정지시키고, 뉴질랜드를 "친구이지만 동맹은 아니다"라고 선언했다.[30]
이 사건은 한국에도 영향을 주었다. 당시 한국은 미국의 핵우산 정책에 안보를 의존하고 있었지만, 뉴질랜드의 사례는 핵무기에 대한 국내 여론이 안보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1991년 뉴질랜드 여론 조사[32]에 따르면 응답자의 54%가 핵무장 또는 핵추진 선박의 재방문을 허용하기보다는 조약이 소멸되는 것을 선호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2000년대 이후 뉴질랜드와 미국은 관계를 회복하기 시작했다. 2010년 웰링턴 선언을 통해 양국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고,[50] 2012년에는 워싱턴 선언을 통해 군사 협력을 강화했다.[51]
4. 2. 2000년대 이후 관계 회복
2000년 미국은 뉴질랜드 왕립 해군에 자국 항구를 다시 개방했고, 빌 클린턴 대통령과 헬렌 클라크 뉴질랜드 총리 정부 하에 양국은 방위 및 안보 분야에서 양자 협력을 재개했다.[8]2006년 5월, 크리스토퍼 힐 미국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뉴질랜드의 반핵 정책을 "다소 낡은 것"이라고 표현하며, 미국이 뉴질랜드와 더 긴밀한 방위 관계를 원한다고 밝혔다. 그는 아프가니스탄 참전과 이라크 재건에 대한 뉴질랜드의 기여를 높이 평가했다.[46]
2008년 2월, 미국은 브루나이, 칠레, 뉴질랜드, 싱가포르와 '''"P-4"''' 협상에 참여한다고 발표했다. 이들 국가는 이미 환태평양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이라는 FTA를 체결했으며, 미국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참여를 확대하고자 했다.[48][49]
2010년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의 뉴질랜드 방문 중 양국은 웰링턴 선언에 서명했다. 이 선언으로 지난 25년간의 ANZUS 분쟁이 종식되었고, 2007년부터 양국 간 군사 협력이 재개되었음이 밝혀졌다.[50] 뉴질랜드는 1984년 이후 처음으로 2012년 하와이 해상에서 열린 림팩 군사 훈련에 참가했다. 2012년 훈련 이후, 미국은 뉴질랜드 함선의 자국 기지 입항 금지 조치를 해제했다.[8]
2012년 6월 19일, 양국은 워싱턴 선언에 서명하여 양자 방위 및 안보 협력을 강화했다.[51] 2012년 9월 20일, 레온 파네타 미국 국방장관은 26년간 지속된 뉴질랜드 군함의 미국 국방부 및 해안경비대 기지 방문 금지 조치를 해제한다고 발표했다.[52] 같은 해, 미국 해병대가 뉴질랜드에서 훈련을 받았고, 뉴질랜드 해군은 미국과 함께 RIMPAC 해상 훈련에 참가했다.[53]
2016년 11월, 뉴질랜드 왕립 해군(RNZN) 창립 75주년 기념 행사에 미 해군 구축함이 참가하여 33년 만에 미국 군함이 뉴질랜드를 방문했다. 존 키 뉴질랜드 총리는 뉴질랜드 핵무기 금지 구역, 군축 및 군비 통제법 1987에 따라 해당 함정이 핵무기나 핵 추진 함정이 아님을 확인하고 방문을 승인했다.[54] 2016년 카이코우라 지진 발생 후, 해당 함정은 다른 국가 군함들과 함께 카이코우라에 인도적 지원을 제공했다.[55]
5. ANZUS 동맹과 관련된 주요 사건 및 논란
30년 이상 동안 ANZUS 조약 자체는 논쟁의 대상이 되지 않았다. 뉴질랜드는 한국 전쟁과 말레이 비상사태에 영연방군의 일원으로 참전했고, 이후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대치 상황에도 참여했으며, ANZUS의 일원으로 베트남 전쟁에 직접 참전했다. 베트남 전쟁은 뉴질랜드가 오스트레일리아를 제외한 영국이나 다른 연방 국가와 관련 없이 참전한 최초의 분쟁이었다. ANZUS 회원국으로서 뉴질랜드는 1963년부터 1975년까지 베트남에서 미국의 전쟁 노력에 군사적 및 비군사적 지원을 제공했다.[18]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대한 대응으로 뉴질랜드는 수송기, 해상초계기, 호위함을 페르시아만으로 보냈고, 2001년 소수의 군인, SAS 병사, 의료 및 기타 다양한 평화유지군을 아프가니스탄에 파병했다.[19] 헬렌 클라크 총리가 2003년 이라크 전쟁에 대한 미국의 정당성을 공개적으로 비판했음에도 불구하고, 뉴질랜드는 2003년 이라크 침공 이후 이라크에 공병 부대를 파병했다.[19] 그러나 이 부대는 공식적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483호에 따라 재건 사업에 참여했으며, 비전투원이었다.
호주와 뉴질랜드는 모두 2001년 9월 11일 테러 공격에 대한 대응으로, 미군 주도의 "자유의 수호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특수부대와 군함을 포함한 군 부대를 파병하여 탈레반에 대항하는 세력을 지원했다. 호주는 1,550명의 병력을 파병하여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된 비NATO 국가 중 가장 많은 병력을 제공한 국가로 남아 있다. 뉴질랜드는 191명의 병력을 파병했다.[37]
1983년,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는 호주에 새로운 세대의 미국 대륙간탄도미사일인 MX 미사일 시험을 제안했다. 태평양의 미국 시험장은 장거리 미사일 시험에 부적합했고, 미국 군 당국은 태즈먼 해를 목표 지역으로 사용하려 했다. 호주 총리 말콤 프레이저(자유당)는 시드니 근처 감시 시설 제공에 동의했다.[20] 그러나 1985년, 새로 선출된 밥 호크 총리(노동당)는 호주를 시험 프로그램에서 철회시켜 레이건 행정부의 비판을 받았다. 호크는 노동당 좌파의 압력을 받았는데, 이들은 태즈먼 해에서의 MX 미사일 시험에 반대했다. 노동당 좌파는 뉴질랜드 제4차 노동당 정부의 반핵 정책에 공감하고 남태평양 핵무기 금지 구역을 지지했다.[21][22][23]
1985년 7월 10일, 프랑스 외국 정보국(Directorate-General for External Security) 요원들이 그린피스의 시위 선박 레인보우 워리어(Rainbow Warrior)호를 오클랜드에서 폭파시켜 1명이 사망했다.[35] 이 사건은 서방 지도자들이 우호국의 주권 침해를 비난하지 않아 뉴질랜드의 대외 및 방위 정책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핵기술의 군사적 응용에 대한 국내 반대를 강화시켰다.[35] 뉴질랜드는 전통적인 동맹국인 미국과 거리를 두고 호주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면서 소규모 남태평양 국가들과 관계를 구축했으며, 영국과는 다소 적은 정도로 관계를 유지했다.[36]
5. 1. 베트남 전쟁
30년 이상 동안 조약 자체는 논쟁의 대상이 되지 않았다. 뉴질랜드는 한국 전쟁과 말레이 비상사태에 영연방군의 일원으로 참전했고, 이후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대치 상황에 참여했으며, ANZUS의 일원으로 베트남 전쟁에 직접 참전했다. 베트남 전쟁은 뉴질랜드가 오스트레일리아를 제외한 영국이나 다른 연방 국가와 관련 없이 참전한 최초의 분쟁이었다. ANZUS 회원국으로서 뉴질랜드는 1963년부터 1975년까지 베트남에서 미국의 전쟁 노력에 군사적 및 비군사적 지원을 제공했다.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전투 부대는 1972년에 철수했고, 뉴질랜드의 비군사적 의료 지원은 1975년까지 계속되었다.[18]
5. 2. 아프가니스탄 전쟁 및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대한 대응으로 뉴질랜드는 수송기, 해상초계기, 호위함을 페르시아만으로 보냈고, 2001년 소수의 군인, SAS 병사, 의료 및 기타 다양한 평화유지군을 아프가니스탄에 파병했다.[19] 헬렌 클라크 총리가 2003년 이라크 전쟁에 대한 미국의 정당성을 공개적으로 비판했음에도 불구하고, 뉴질랜드는 2003년 이라크 침공 이후 이라크에 공병 부대를 파병했다.[19] 그러나 이 부대는 공식적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1483호에 따라 재건 사업에 참여했으며, 비전투원이었다.호주와 뉴질랜드는 모두 미군 주도의 "자유의 수호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특수부대와 군함을 포함한 군 부대를 파병하여 탈레반에 대항하는 세력을 지원했다. 이는 2001년 9월 11일 테러 공격에 대한 대응이었다. 호주는 1,550명의 병력을 파병하여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된 비NATO 국가 중 가장 많은 병력을 제공한 국가로 남아 있다. 뉴질랜드는 191명의 병력을 파병했다.[37]
5. 3. MX 미사일 시험 논란
1983년,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는 호주에 새로운 세대의 미국 대륙간탄도미사일인 MX 미사일 시험을 제안했다. 태평양의 미국 시험장은 장거리 미사일 시험에 부적합했고, 미국 군 당국은 태즈먼 해를 목표 지역으로 사용하려 했다. 호주 총리 말콤 프레이저(자유당)는 시드니 근처 감시 시설 제공에 동의했다.[20]그러나 1985년, 새로 선출된 밥 호크 총리(노동당)는 호주를 시험 프로그램에서 철회시켜 레이건 행정부의 비판을 받았다. 호크는 노동당 좌파의 압력을 받았는데, 이들은 태즈먼 해에서의 MX 미사일 시험에 반대했다. 노동당 좌파는 뉴질랜드 제4차 노동당 정부의 반핵 정책에 공감하고 남태평양 핵무기 금지 구역을 지지했다.[21][22][23]
5. 4. 레인보우 워리어 호 침몰 사건
1985년 7월 10일, 프랑스 외국 정보국(Directorate-General for External Security) 요원들이 그린피스의 시위 선박 레인보우 워리어(Rainbow Warrior)호를 오클랜드에서 폭파시켜 1명이 사망했다.[35] 이 사건은 서방 지도자들이 우호국의 주권 침해를 비난하지 않아 뉴질랜드의 대외 및 방위 정책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핵기술의 군사적 응용에 대한 국내 반대를 강화시켰다.[35] 뉴질랜드는 전통적인 동맹국인 미국과 거리를 두고 호주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면서 소규모 남태평양 국가들과 관계를 구축했으며, 영국과는 다소 적은 정도로 관계를 유지했다.[36]6. ANZUS 동맹과 한국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지침에 따라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고 검토 및 수정하여 출력하겠습니다.)
7. 2024년 현재 ANZUS 가입국 정상
7. 1. 미국
7. 2. 오스트레일리아
7. 3. 뉴질랜드
참조
[1]
웹사이트
ANZUS treaty comes into force
https://nzhistory.go[...]
New Zealand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21-10-05
[2]
웹사이트
Security Treaty between Australia, New Zealand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s://www.austlii.[...]
Australian Government Publishing Service
1951-09-01
[3]
서적
The ANZUS Treaty Alliance
Melbourne University Press
1965
[4]
뉴스
U.S. lifts ban on New Zealand warships, New Zealand keeps nuclear-free stance
https://www.chicagot[...]
Chicago Tribune
2012-09-21
[5]
웹사이트
In Warming US-NZ Relations, Outdated Nuclear Policy Remains Unnecessary Irritant
https://fas.org/blog[...]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12-09-23
[6]
간행물
The test for ship access was decided as nuclear capability not actual proof of nuclear armament by a NZLP 1984 committee of President Margaret Wilson, Chair of the Defence and Foreign Affairs Committee and MP and former President Jim Anderton and MP Fran Wilde
[7]
서적
The Penguin History of New Zealand
Penguin Books (NZ) Ltd
2003
[8]
웹사이트
New Zealand: U.S. Security Cooperation and the U.S. Rebalancing to Asia Strategy, government report, 8 March 2013,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https://fas.org/sgp/[...]
FAS.org
2013-03-08
[9]
웹사이트
AUSMIN 2011, media release, 14 September 2011, Australian Minister for Foreign Affairs
http://foreignminist[...]
Foreignminister.gov.au
2011-09-14
[10]
웹사이트
Fact Sheet: 2023 Australia – U.S. Ministerial Consultations (AUSMIN)
https://www.defense.[...]
2024-02-04
[11]
웹사이트
Milestones: 1945–1952 - Office of the Historian
https://history.stat[...]
2017-09-24
[12]
논문
Different fears, same alliance: Multilateralism, assurance and the origins of the 1951 United States–New Zealand–Australia alliance
http://journals.sage[...]
2022
[13]
서적
Parliamentary Deb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Offical Hansard
https://historichans[...]
1950-03-09
[14]
서적
Fear of Abandonment: Australia in the World since 1942
La Trobe University Press
2017
[15]
논문
Anzus Origins: A Reassessment
1990
[16]
웹사이트
ANZUS treaty comes into force {{!}} NZHistory, New Zealand history online
https://nzhistory.go[...]
2017-09-24
[17]
서적
Background to the Anzus Pact: Policy-Making, Strategy and Diplomacy, 1945-55
1994
[18]
웹사이트
Surgical and medical support
https://vietnamwar.g[...]
2022-12-22
[19]
뉴스
NZ PM backs Blair's Iraq conduct
http://news.bbc.co.u[...]
2003-07-11
[20]
뉴스
US planned to fire missile at Australia, secret Cabinet papers from the 1980s reveal
http://www.dailytele[...]
2012-01-01
[21]
뉴스
US rocket plan became Hawke's first setback
http://www.smh.com.a[...]
2013-01-01
[22]
웹사이트
Hawke Government events: 1985
http://www.library.u[...]
The Bob Hawke Prime Ministerial Library
2013-03-06
[23]
논문
Pursuing a Strategic Divorce: The U.S. and the Anzus Alliance
http://www.cato.org/[...]
Cato Institute
[24]
뉴스
US Ships to Visit Sydney
The Southland Times
1985-02-22
[25]
뉴스
US Ships to Visit Australian Ports
The New Zealand Herald
1985-02-22
[26]
논문
Why New Zealand took itself out of ANZUS: observing "opposition for autonomy" in asymmetric alliances.
[27]
웹사이트
Release of Information on Nuclear Weapons and on Nuclear Capabilities of U.S. Forces (OPNAVINST 5721.1F N5GP)
http://www.fas.org/i[...]
Department of the Navy – Office of the Chief of Naval Operations
2006-02-03
[28]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06-06-14
[29]
웹아카이브
https://web.archive.[...]
2009-02-13
[30]
서적
Nuclear Free: The New Zealand Way
Penguin Books
[31]
웹사이트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http://apsa2000.anu.[...]
2016-03-07
[32]
웹사이트
NZ Nationals move closer to US
https://web.archive.[...]
Green Left
1991-06-12
[33]
웹사이트
Nuclear-free legislation – nuclear-free New Zealand
http://www.nzhistory[...]
Ministry for Culture and Heritage
2012-08-30
[34]
웹사이트
U.S. Policy on the New Zealand Port Access Issue
https://fas.org/irp/[...]
Federation of American Scientists
2012-10-22
[35]
서적
A History of New Zealand
Penguin Books
[36]
서적
Nuclear Free: The New Zealand Way
Penguin Books
[37]
웹사이트
Australian Defence Force in Afghanistan
https://www.aph.gov.[...]
Commonwealth Parliament
2023-04-10
[38]
웹사이트
https://www.law.corn[...]
[39]
웹사이트
https://www.turnstar[...]
[40]
웹사이트
https://docs.uscode.[...]
[41]
웹사이트
ASSDA – Opinion Poll – M0004: Morgan Gallup Poll, May 1984 (Computer Reports)
http://assda.anu.edu[...]
[42]
뉴스
Destined to stay with the USA – OpinionGerardHenderson
http://www.smh.com.a[...]
2004-03-30
[43]
웹사이트
It's time to trade in, and trade up, the outdated ANZUS treaty – On Line Opinion – 15/4/2004
http://www.onlineopi[...]
On Line Opinion
2004-04-15
[44]
웹사이트
U.S. and Australia Sign Missile Defense Agreement – AUSMIN 2004
http://usembassy-aus[...]
[45]
웹사이트
Australia to Join US Missile Defence Program
https://web.archive.[...]
Foreignminister.gov.au
2003-12-04
[46]
뉴스
Better relations on the menu as Kiwi PM dines with Bush
https://web.archive.[...]
2007-03-22
[47]
웹사이트
New Zealand: US links free trade to repeal of NZ nuclear ships ban – November 2, 2002
https://web.archive.[...]
Newsweekly.com.au
2002-11-02
[48]
웹사이트
Office of the United States Trade Representative
http://www.ustr.gov/[...]
[49]
웹사이트
Recent Events
http://www.usnzcounc[...]
[50]
웹사이트
What the WikiLeaks cables say about NZ
https://web.archive.[...]
2010-12-20
[51]
웹사이트
Washington Declaration
http://usnzcouncil.o[...]
United States-New Zealand Council
2012-06-19
[52]
뉴스
US lifts ban on New Zealand naval ships
https://www.telegrap[...]
2012-09-21
[53]
뉴스
U.S. lifts 26-year-old ban on New Zealand warship visits to U.S. bases
http://www.chicagotr[...]
2012-09-20
[54]
뉴스
US warship USS Sampson heads to New Zealand
http://www.nzherald.[...]
2016-10-18
[55]
웹사이트
US Warship may help rescue stranded Kaikoura tourists
http://www.stuff.co.[...]
Fairfax Media
2016-11-15
[56]
뉴스
Aukus submarines banned from New Zealand as pact exposes divide with western allies
https://www.theguard[...]
2021-09-16
[57]
Kotobank
[58]
서적
The ANZUS Treaty Alliance
Melbourne University Press
1965
[59]
웹사이트
U.S. lifts ban on New Zealand warships, New Zealand keeps nuclear-free stance
http://articles.chic[...]
[60]
웹사이트
In Warming US-NZ Relations, Outdated Nuclear Policy Remains Unnecessary Irritant
https://fas.org/blog[...]
[61]
서적
講和の「代償」
[62]
서적
講和の「代償」
[63]
서적
講和の「代償」
[64]
서적
講和の「代償」
[65]
서적
講和の「代償」
[66]
서적
講和の「代償」
[67]
서적
講和の「代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