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티루넬벨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루넬벨리는 타밀나두 주 남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넬라이아파르 사원을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했다. 판디아 왕조의 부 수도였으며, 1790년 영국 동인도 회사에 의해 티네벨리 구가 설립되었다. 현재는 타미라바라니 강을 경계로 티루넬벨리 지구와 팔라얌코타이 지역으로 나뉘며, 1994년 시립 법인으로 승격되었다. 주요 산업으로는 농업, 제조업, IT, 관광 등이 있으며, 첸나이, 마두라이 등 주변 도시와 도로, 철도, 항공으로 연결되어 있다. 티루넬벨리 할와로 유명하며, 넬라이아파르 사원을 비롯한 여러 문화 유적과 교육 시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밀나두주 - 아담의 다리
    아담의 다리는 인도 팜반 섬과 스리랑카 만나르 섬 사이의 사주로, 힌두교와 이슬람교에서 종교적 의미를 가지며, 역사적으로 해상 교통의 장애물이었고 현재는 해운 운하 프로젝트와 교량 건설 구상으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 타밀나두주 - 타랑감바디
    타랑감바디는 덴마크에 의해 건설된 단스보르 요새를 중심으로 덴마크 식민지 역사를 간직한 타밀나두 주의 해안 도시로, 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개신교 교회 유적과 비자야나가라 제국 및 탄자부르 나야크 왕국 시대 유물을 소장한 박물관이 있다.
  • 인도의 도시 및 마을 - 뉴델리
    뉴델리는 인도의 수도이자 델리 수도권에 위치한 도시로, 영국령 인도 제국 시대에 건설되어 인도 독립 후에도 수도 기능을 유지하며 주요 정부 기관과 외교 공관이 위치해 있지만, 대기 오염 및 교통 혼잡, 재개발 관련 사회적 논쟁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인도의 도시 및 마을 - 아가르탈라
    인도 트리푸라 주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인 아가르탈라는 기원전 1900년경부터 힌두 왕국의 수도였으며, 무굴 제국과 영국령 인도 시대를 거쳐 1874~75년 시로 승격 후 계획 도시로 재건, 1947년 인도 독립 이후 급속한 성장으로 다문화 도시가 되었으나, 교통 혼잡, 주택 부족, 환경 오염 등의 문제도 안고 있다.
티루넬벨리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티루넬벨리
다른 이름넬라이 (단축)
티네벨리 (식민지 시대)
유형대도시
위치인도, 타밀 나두 주, 판디아 나두, 티루넬벨리 구
구성 구역티루넬벨리 타운
팔라얌콧타이
멜라팔라얌
페타이
타차날루르
티루넬벨리 시
시계 방향으로 왼쪽 상단부터: 스와미 넬라이아파르 사원, 티루넬벨리 정션 철도역, 티루발루바르 다리 – 항공 뷰, 마을 아치, 바나라페타이 근처 스피커 첼라판디안 고가도로 야경, 티루넬벨리 시 스카이라인, 티루넬벨리 다운타운과 코키라쿨람을 연결하는 타미라바라니 강을 가로지르는 술로차나 무달리아르 다리 구시가지 야경, NH 44가 레디야르파티 언덕을 가로지르는 모습, 티루넬벨리 다운타운과 코키라쿨람 사이를 흐르는 타미라바라니 강, 티루넬벨리 시립 공사 건물
지리
좌표위도 8°42′49″N, 경도 77°45′24″E
해발 고도73m
면적189.9km²
인구 통계
총 인구 (2011년)473,637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광역 도시권 인구968,874명
타밀 나두 내 순위8위
인구 통계학적 명칭티루넬벨리안, 넬라이카란 (남성), 넬라이카리 (여성)
언어공식 언어: 타밀어
행정
정치 체제시립 공사
행정 기관티루넬벨리 시립 공사
시장정보 없음
식별 번호
우편 번호627001
627002
627003
627004
627005
627006
627007
627008
627009
627010
627011
627012
627051
627353
627357
627358
전화 지역 코드91 (0)462, (0)4633
차량 등록 번호TN 72
기타
시간대IST
UTC 오프셋+5:30
웹사이트티루넬벨리 공식 웹사이트

2. 어원

티루넬벨리는 특정 종류의 나무나 관목이 우거진 숲, 무리 또는 덤불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여러 사원 도시 중 하나로, 해당 나무나 관목이 주신을 보호한다고 여겨진다. 이 지역은 과거 '베누 바남'(대나무 숲)으로 덮여 있었다고 전해져 '베누바남'이라고도 불렸다. 티루넬벨리라는 이름은 삼반다르가 7세기에 쓴 사비아교 경전인 ''테바람''에 처음 등장한다. 넬라이아파 사원의 비문에 따르면, 시바 신(브리히브리테스와라)이 신도의 벼 작물을 보호하기 위해 울타리와 지붕의 모습으로 내려왔다고 기록되어 있다. 힌두교 전설에 따르면, 이 장소는 신이 나타났다고 여겨지는 사원에 대나무가 많아 '베누바나'("대나무 숲")로 알려졌다.

역사적으로 티루넬벨리는 여러 왕조에 의해 다른 이름으로 불렸다. 초기 판디아 왕조는 '텐판디아 나두' 또는 '텐판디아 시마이'라고 불렀고, 촐라 왕조는 '무디콘다 촐라만달람', 나야크 왕조는 '티루넬벨리 시마이'라고 명명했다. 영국 식민지 시기에는 '티넬벨리'로 불렸으며, 인도 독립 후 현재의 이름인 '티루넬벨리'가 되었다. '티루넬벨리'라는 단어는 타밀어의 세 단어, 즉 '티루'(신성한), '넬'(벼), '벨리'(울타리)가 합쳐져 "신성한 벼 울타리"를 의미한다.

3. 역사

티루넬벨리는 고대 판디아 왕조의 부 수도였으며, 이후 촐라 왕조, 다시 판디아 왕조, 비자야나가라 제국, 마두라이 나야크 왕조의 지배를 거치며 변화를 겪었다. 이 시기 넬라이아파르 사원은 도시의 중요한 중심지였다.

18세기에는 무굴 제국과 아르코트의 나바브의 영향 아래 있었으나, 실질적인 권력은 지역 토호 세력인 폴리가르들이 장악하고 있었다. 이후 영국 동인도 회사와의 폴리가르 전쟁을 거치며 영국의 직접적인 통치하에 놓이게 되었다.

1790년 영국은 티네벨리 구(Tinnevelly district)를 설립했으며, 이 지역의 역사는 기독교 선교사 로버트 콜드웰에 의해 연구되기도 했다. 인도 독립 후 티루넬벨리는 원래 이름을 되찾고 티루넬벨리 구의 수도가 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행정 구역 개편을 통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3. 1. 고대

활을 든 사람의 조각상이 있는 화강암 기둥
넬라이아파르 사원(티루넬벨리에서 가장 큰 사원)의 조각된 기둥


티루넬벨리는 고대 판디아 왕조의 통치 아래 있었으며, 마두라이가 주요 수도였던 반면 티루넬벨리는 부 수도 역할을 했다. 이 지역의 판디아 왕조는 기원전 수 세기 전부터 시작되었으며, 아소카 대왕(기원전 304–232년)의 비문과 ''마하밤사'', ''브리하트-삼히타'', 그리고 메가스테네스(기원전 350–290년)의 기록에도 언급된다.

1064년, 라젠드라 촐라 1세가 이끄는 촐라 왕조가 이 지역을 통치하게 되었는데, 정복을 통해 얻었는지 자발적으로 편입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티루넬벨리는 13세기 초까지 촐라 왕조의 지배를 받았고, 이후 마두라이를 수도로 하는 두 번째 판디아 제국이 세워졌다.

넬라이아파르 사원은 13세기와 14세기 후기 판디아 왕조의 왕실 사원이었으며, 이 시기 왕실의 후원으로 건설된 댐 덕분에 도시는 번영했다. 마라바르만 쿨라세카라 판디안 1세(1268–1308)가 사망한 후, 16세기 동안 이 지역은 비자야나가라 제국 통치자와 마라바 추장(팔라야카르 또는 ''폴리가르'')에게 점령되었다. 마라바르족은 서쪽 산기슭을 점령했고, 텔루구족과 칸나다족은 비옥한 검은 토양이 있는 동쪽 지역에 정착했다. 티루넬벨리는 마두라이 나야크의 부 수도였으며, 비스와나타 나야크(1529–64) 통치 시기인 1560년경 도시가 재건되었다. 넬라이아파르 사원의 비문에는 사원에 대한 나야크 왕조의 관대한 기부가 기록되어 있다. 나야크의 통치는 1736년에 끝났다.

이후 이 지역은 무굴 제국의 영향을 받던 찬다 사히브(1740–1754)와 같은 인물들에게 점령되었는데, 찬다 사히브는 스스로를 "티네벨리 나바브"라고 칭했으며 카르나틱의 나바브와도 관련이 있었다. 1743년, 데칸 고원의 부관인 니잠-울-물크가 이 지역에서 마라타족을 몰아내면서 티루넬벨리는 아르코트의 나바브 통치하에 들어갔다. 그러나 실제 권력은 본래 나야크의 군사 지도자였던 ''폴리가르''들이 쥐고 있었다. 이 도시는 당시 넬라이 치마이로 알려졌는데, ''치마이''는 "발달된 외국 도시"를 의미한다. ''폴리가르''들은 언덕에 요새를 짓고 약 3만 명의 병력을 보유하며 서로 전쟁을 벌이기도 했다.

1755년, 영국 동인도 회사는 질서를 회복한다는 명분으로 메이저 헤론과 마흐푸즈 칸의 지휘 아래 군대를 파견했고, 마흐푸즈 칸에게 도시를 넘겨주었다. ''폴리가르''들은 티루넬벨리에서 약 약 11.27km 떨어진 곳에서 마흐푸즈 칸과 싸웠으나 패배했다. 마흐푸즈 칸이 통치에 실패하자 동인도 회사는 무함마드 유수프를 지원했다. 유수프 칸은 통치자가 되었지만 1763년에 반란을 일으켰고 결국 1764년에 처형되었다. 1758년에는 풀러턴 대령이 이끄는 영국군이 베에라판디야 카타보만 휘하의 ''폴리가르'' 거점을 공격했다. 1797년, 영국군(배너먼 소령 지휘)과 카타보만이 이끄는 ''폴리가르'' 사이에 첫 번째 폴리가르 전쟁이 발발했다. 일부 ''폴리가르''(에타이야푸람의 수장 등)는 영국군을 도왔고, 결국 카타보만은 패배하여 그의 고향인 판찰라구루치에서 처형되었다. 2년 후 또 다른 반란이 일어나 제2차 폴리가르 전쟁으로 이어졌다. 이 전쟁 이후 카르나틱 지역은 영국 통치하에 놓이게 되었다.

1790년 9월 1일(티루넬벨리 데이), 영국 동인도 회사는 티루넬벨리 구를 설립하고 티네벨리 구(Tinnevelly district)라고 명명했다. 이 지역의 역사는 이곳을 방문했던 기독교 선교사 로버트 콜드웰(1814–91)에 의해 연구되기도 했다. 1801년 영국이 아르코트의 나바브로부터 티루넬벨리를 인수한 후, 영국은 도시 이름을 "티네벨리"로 바꾸고 티네벨리 구의 본부로 삼았다. 행정 및 군사 본부는 ''폴리가르''에 대한 공격 거점이었던 팔라얌코타이("팔란코타")에 위치했다. 인도의 독립 이후 두 도시는 원래 이름을 되찾았고, 티루넬벨리는 티루넬벨리 구의 수도로 남았다. 1900년대 초, 티루넬벨리 구의 일부가 라마나타푸람 구와 비루두나가르 구로 분리되었다. 1986년에는 행정 편의를 위해 티루넬벨리 구가 치담바라나르 구(현재의 투티코린 구)와 넬라이-카타보만 구(나중에 티루넬벨리-카타보만 구, 현재의 티루넬벨리 구)로 다시 분할되었다. 2019년에는 텐카시가 티루넬벨리 구에서 분리되어 텐카시 구를 형성했다.

3. 2. 중세



티루넬벨리는 판디아 왕조의 통치 아래 있었으며, 마두라이가 주요 수도였던 반면 티루넬벨리는 부 수도 역할을 했다. 이 지역의 판디아 왕조는 기원전 수 세기 전부터 시작되었으며, 아소카 (기원전 304–232년)의 비문과 ''마하밤사'', ''브리하트-삼히타'' 및 메가스테네스 (기원전 350–290년)의 저술에도 언급된다.

1064년, 라젠드라 촐라 1세 치하의 촐라 왕조가 이 지역을 통치하기 시작했는데, 그가 이 지역을 정복했는지 아니면 자발적으로 얻었는지는 불분명하다. 티루넬벨리는 13세기 초까지 촐라 왕조의 통치하에 있었으며, 그 후 마두라이를 수도로 하는 두 번째 판디아 제국이 세워졌다.

넬라이아파르 사원은 13세기와 14세기 동안 후기 판디아 왕조의 왕실 사원이었으며, 이 기간 동안 왕실의 후원으로 건설된 댐 덕분에 도시가 번영했다. 쿨라세카라 판디안 (1268–1308)의 사망 이후, 이 지역은 16세기 동안 비자야나가라 통치자와 '팔라야카르'(또는 ''폴리가르'')라고 불리는 마라바 추장들에 의해 점령되었다. 마라바족은 서부 산기슭을 점령했고, 텔루구족과 칸나다족은 비옥한 검은 토양이 있는 동부 지역에 정착했다. 티루넬벨리는 마두라이 나야크 왕조의 부 수도였으며, 비스와나타 나야크 (1529–64) 치하에서 1560년경 도시가 재건되었다. 넬라이아파르 사원의 비문에는 사원에 대한 나야크 왕조의 관대한 기부가 기록되어 있다. 나야크 왕조의 통치는 1736년에 끝났다.

3. 3. 근세

16세기 동안 이 지역은 비자야나가라 통치자와 마라바 추장(폴리가르)에게 점령되었다. 마라바르족은 서부 산기슭을 점령했고, 텔루구족과 칸나다족은 비옥한 검은 토양이 있는 동부 지역에 정착했다. 티루넬벨리는 마두라이 나야크의 부 수도였으며, 비스와나타 나야크 (1529–64) 치하에서 1560년경 도시가 재건되었다.

넬라이아파르 사원의 비문은 당시 사원에 대한 관대한 기부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나야크의 통치는 1736년에 끝났다.

이후 이 지역은 무굴 제국의 영향을 받던 찬다 사히브 (1740–1754)와 같은 세력에게 점령되었는데, 찬다 사히브는 스스로를 "티네벨리 나바브"라고 칭하기도 했으며, 카르나틱의 나바브 역시 이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1743년, 데칸 고원의 니잠-울-물크가 이 지역에서 마라타 세력을 몰아내면서 티루넬벨리는 아르코트의 나바브 통치하에 들어갔다. 그러나 실질적인 권력은 나야크의 군사 지도자였던 폴리가르들이 쥐고 있었다. 당시 도시는 넬라이 치마이(Nellai Cheemai)로 알려졌는데, '치마이'는 "발달된 외국 도시"를 의미한다. 폴리가르들은 언덕에 요새를 구축하고 약 3만 명의 병력을 보유하며 서로 경쟁하거나 충돌했다.

1755년, 영국 동인도 회사는 질서를 회복한다는 명분으로 메이저 헤론과 나바브의 동생인 마흐푸즈 칸(Mahfuz Khan)이 지휘하는 군대를 파견했고, 마흐푸즈 칸에게 도시 통치권을 부여했다. 폴리가르들은 티루넬벨리에서 약 약 11.27km 떨어진 곳에서 마흐푸즈 칸과 전투를 벌였으나 패배했다. 마흐푸즈 칸이 지역 장악에 실패하자, 동인도 회사는 무함마드 유수프 칸(Muhammad Yusuf Khan)을 지원했다. 유수프 칸은 통치자가 되었지만 1763년에 영국에 반기를 들었고, 결국 1764년에 처형되었다. 1758년에는 풀러턴 대령이 이끄는 영국군이 베에라판디야 카타보만(Veerapandiya Kattabomman) 휘하 폴리가르의 거점을 공격하기도 했다.

1797년, 영국군(배너먼 소령 지휘)과 카타보만이 이끄는 폴리가르 사이에 첫 번째 폴리가르 전쟁이 발발했다. 에타이야푸람(Ettayapuram)의 추장과 같은 일부 폴리가르들은 영국군을 도왔고, 결국 카타보만은 패배하여 그의 고향인 판찰란쿠리치(Panchalankurichi)에서 처형당했다. 2년 후인 1799년, 또 다른 폴리가르 봉기가 일어나 제2차 폴리가르 전쟁으로 이어졌다. 이 전쟁 이후 카르나틱 지역은 영국 통치하에 놓이게 되었다.

3. 4. 근대

1736년 마두라이 나야크 왕조의 통치가 끝난 후, 이 지역은 무굴 제국의 영향 아래 있던 찬다 사히브(1740–1754)와 카르나틱의 나바브 등에게 점령되었다. 찬다 사히브는 스스로를 "티네벨리 나바브"라고 칭했다. 1743년, 데칸 고원의 니잠-울-물크가 이 지역에서 마라타족을 몰아내면서 티루넬벨리는 아르코트의 나바브의 통치하에 들어갔다. 그러나 실질적인 권력은 나야크 시대의 군사 지도자였던 '팔라야카르' 또는 Polygar|폴리가르영어라고 불리는 지역 토호 세력에게 있었다. 당시 이 도시는 '넬라이 치마이'로 알려졌는데, '치마이'는 "발달된 외국 도시"를 의미한다. ''폴리가르''들은 언덕에 요새를 짓고 약 3만 명의 병력을 보유하며 서로 전쟁을 벌였다.

1755년, 영국 동인도 회사는 질서를 회복한다는 명분으로 메이저 헤론과 나바브의 동생인 마흐푸즈 칸의 지휘 아래 군대를 파견했고, 마흐푸즈 칸에게 도시 통치권을 주려 했다. ''폴리가르''들은 티루넬벨리에서 약 약 11.27km 떨어진 곳에서 마흐푸즈 칸과 싸웠으나 패배했다. 마흐푸즈 칸이 통치에 실패하자 동인도 회사는 무함마드 유수프 칸을 지원하여 통치자로 세웠다. 그러나 유수프 칸은 1763년에 영국에 반란을 일으켰고, 결국 1764년에 처형되었다. 1758년에는 풀러턴 대령이 이끄는 영국군이 베에라판디야 카타보만이 이끄는 ''폴리가르''의 거점을 공격하기도 했다.

1797년, 영국군(배너먼 소령 지휘)과 카타보만이 이끄는 ''폴리가르'' 사이에 제1차 폴리가르 전쟁이 발발했다. 에타이야푸람의 수장과 같은 일부 ''폴리가르''는 영국군을 도왔고, 결국 카타보만은 패배하여 그의 고향인 판찰라구루치에서 처형되었다. 2년 후 다시 반란이 일어나 제2차 폴리가르 전쟁으로 이어졌다. 이 전쟁 이후 카르나틱 지역은 완전히 영국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

1790년 9월 1일(티루넬벨리 데이), 영국 동인도 회사는 티루넬벨리 구(Tinnevelly district)를 설립했다. 이 지역의 역사는 기독교 선교사이자 학자인 로버트 콜드웰(1814–1891)에 의해 깊이 연구되었다. 1801년, 영국은 아르코트의 나바브로부터 티루넬벨리를 공식적으로 인수하고, 이름을 "티네벨리"로 변경하며 구의 본부로 삼았다. 행정 및 군사 본부는 팔라얌코타이(당시 명칭 '팔란코타')에 두었는데, 이곳은 ''폴리가르''에 대한 군사 작전의 중심지였다. 인도 독립 후, 두 도시는 원래 이름을 되찾았고 티루넬벨리는 티루넬벨리 구의 수도 지위를 유지했다.

20세기 들어 행정 구역 개편이 이루어졌다. 1900년대 초, 티루넬벨리 구의 일부가 라마나타푸람 구와 비루두나가르 구로 분리되었다. 1986년에는 행정 편의를 위해 티루넬벨리 구가 치담바라나르 구(현재의 투티코린 구)와 넬라이-카타보만 구(나중에 티루넬벨리-카타보만 구, 현재의 티루넬벨리 구)로 다시 분할되었다. 가장 최근인 2019년에는 텐카시 지역이 티루넬벨리 구에서 분리되어 새로운 텐카시 구가 형성되었다.

3. 5. 현대

18세기 중반, 이 지역은 무굴 제국의 영향 아래 있던 찬다 사히브 (1740–1754)와 카르나틱의 나바브 등에게 점령되었다. 찬다 사히브는 스스로 "티네벨리 나바브"를 자칭하기도 했다. 1743년, 데칸 고원의 니잠-울-물크가 마라타족을 몰아내면서 티루넬벨리는 아르코트의 나바브 통치하에 들어갔다. 그러나 실질적인 권력은 나야크 왕조 시절의 군사 지도자들이었던 '폴리가르'(பாளையக்காரர்கள்|팔라이야카라르ta)들의 손에 있었다. 당시 도시는 넬라이 치마이(Nellai Chimai)로 알려졌는데, '치마이'는 "발달된 외국 도시"를 의미한다. 폴리가르들은 언덕에 요새를 건설하고 약 3만 명의 병력을 보유하며 서로 전쟁을 벌였다.

1755년, 영국 동인도 회사는 질서 회복을 명분으로 메이저 헤론과 마흐푸즈 칸(Mahfuz Khan)의 지휘 아래 군대를 파견하여 마흐푸즈 칸에게 도시 통치권을 부여했다. 폴리가르들은 티루넬벨리에서 약 약 11.27km 떨어진 곳에서 마흐푸즈 칸과 싸웠지만 패배했다. 마흐푸즈 칸의 통치가 실패하자 동인도 회사는 무함마드 유수프 칸을 지원하여 통치자로 세웠다. 그러나 칸은 1763년 반란을 일으켰고 1764년에 처형되었다. 1758년, 풀러턴 대령 휘하의 영국군은 베에라판디야 카타보만이 이끄는 폴리가르의 거점을 공격했다.

1797년에는 영국군(배너먼 소령 지휘)과 카타보만이 이끄는 폴리가르 사이에 제1차 폴리가르 전쟁이 발발했다. 에타이야푸람(Ettayapuram)의 수장과 같은 일부 폴리가르는 영국군을 도왔고, 결국 카타보만은 패배하여 그의 고향인 판찰란쿠리치(Panchalankurichi)에서 처형되었다. 2년 후 또 다른 반란이 일어나 제2차 폴리가르 전쟁으로 이어졌으며, 이후 카르나틱 지역은 영국 통치하에 놓이게 되었다.

1790년 9월 1일(티루넬벨리 데이), 영국 동인도 회사는 티루넬벨리 구(Tinnevelly district)를 설립했다. 이 지역의 역사는 이곳을 방문했던 기독교 선교사 로버트 콜드웰 (1814–1891)에 의해 기록되고 연구되었다. 1801년 아르코트 나바브로부터 티루넬벨리를 인수한 영국은 이곳을 티네벨리 구의 본부로 삼았다. 행정 및 군사 본부는 팔라얌코타이(Palayamkottai)에 위치했으며, 이곳은 폴리가르에 대한 군사 작전의 거점이었다.

인도 독립 후, 두 도시는 원래 이름으로 되돌아갔고, 티루넬벨리는 티루넬벨리 구의 수도로 남았다. 1900년대 초, 티루넬벨리 구의 일부는 라마나타푸람(Ramanathapuram) 구와 비루두나가르(Virudhunagar) 구로 분리되었다. 1986년에는 행정 편의를 위해 티루넬벨리 구가 치담바라나르(Chidambaranar, 현재의 투티코린 구)와 넬라이-카타보만(Nellai-Kattabomman, 나중에는 티루넬벨리-카타보만, 현재의 티루넬벨리 구)이라는 두 개의 구로 다시 분할되었다. 2019년에는 텐카시 지역이 티루넬벨리 구에서 분리되어 텐카시 구를 형성했다.

4. 지리

티루넬벨리는 북위 8° 43′ 41.82″, 동경 77° 41′ 43.94″에 위치하며, 평균 해발 고도는 47m이다. 이곳은 데칸 고원의 최남단에 자리 잡고 있다. 타미라바라니 강은 도시를 티루넬벨리 지구와 팔라얌코타이 지역으로 나누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강과 그 지류인 치타르 강 등은 주요 관개 수원이 되며, 북동 몬순과 남서 몬순의 영향을 받는다. 도시 안에는 나이나르 쿨람, 베인탄 쿨람, 엘란타 쿨람, 우다야르페티 쿨람 등 여러 개의 작은 호수(쿨람)가 있다. 타미라바라니 강과 치타르 강 주변에는 코다가, 팔라얀, 티루넬벨리, 마루두르 동, 마루두르 서 등 5개의 개울이 있으며, 치타르 강은 추가로 15개의 수로에 물을 공급한다. 이 지역의 토양은 부드럽고 붉은색을 띠며 모래가 많은 편이다.

아가스티야말라이 언덕은 남서 몬순으로부터 티루넬벨리를 차단하여 강수음영 지역을 만든다.


MGR 버스 정류장에서 바라본 베인탄 쿨람


티루넬벨리는 비교적 드문 건조한 여름을 가진 열대 사바나 기후 (쾨펜: ''As'')와 접해 있는 열대 반건조 기후 (쾨펜: ''BSh'')를 보인다.[13] 이러한 기후는 전 세계적으로는 드물지만, 락샤드위프 해 근처 지역에서는 비교적 흔하게 나타난다. 티루넬벨리의 기후는 일반적으로 덥고 습하다. 여름철(3월~6월) 평균 기온은 25°C에서 41°C 사이이며, 나머지 기간에는 18°C에서 29°C 사이를 오간다.[4][5] 연평균 강수량은 약 680mm이며, 대부분의 비는 북동 몬순 기간(10월~12월)에 집중된다.[4][5] 또한, 아가스티야말라이 언덕이 남서 몬순을 막아 강수음영 지역을 형성하기도 한다. 농업이 지역 경제의 기반이기 때문에, 타미라바라니 강의 범람이나 몬순 강우량의 변화는 경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주요 재배 작물은 목화이다. 파인애플은 16세기에, 고추담배는 16세기 후반에, 감자는 17세기 초에 이 지역에 도입되었다. 가장 흔한 나무는 야자수이며, 이는 수공업의 중요한 원료가 된다. 그 외에도 티크, 야생 , 만자카담부, 벤티크, 벵가이, 필라이마루투, 카리마루투, 대나무 등이 자란다. 지역의 주요 가축으로는 소, 물소, 염소, 양 등이 있다.

티루넬벨리는 타밀나두 주 남서부의 티루넬벨리 구 동부 중앙에 위치한다. 주요 도시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5. 행정

티루넬벨리 시는 영국 통치 시대인 1866년에 설립되었다.[6] 1994년 시립 법인으로 승격되면서 팔라얌코타이와 멜라팔라얌 시, 타차날루르 타운 판차야트 및 11개의 다른 마을 판차야트를 시 경계 내로 편입했다. 현재 시립 법인은 티루넬벨리, 타차날루르, 팔라얌코타이, 페타이, 멜라팔라얌의 5개 구역으로 나뉜다. 시 전체에는 55개의 구(ward)가 있으며, 각 구에서는 시의원을 선출한다.[6][6]

시 행정은 일반 행정 및 인사, 엔지니어링, 세입, 공중 보건, 도시 계획, 정보 기술(IT) 등 6개 부서로 구성된다.[6] 모든 부서는 시의원의 통제를 받는다.[6] 입법 권한은 각 구에서 선출된 55명의 시의원으로 구성된 위원회에 있으며,[6] 이 위원회는 부시장의 보좌를 받는 시장이 이끈다.[6] 티루넬벨리시는 티루넬벨리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행정 공무원
구청장 (타밀나두)K.P. 카르티케얀[6]
시 공무원
시장 (타밀나두)P.M. 사라바난
시의원 (타밀나두)V. 시바크리쉬나무르티
부시장 (타밀나두)K.R. 라주
경찰청장 (타밀나두)딥악 M. 다모르, IPS[6]
주의회 의원 (MLA)
티루넬벨리나이나르 나겐드란 (BJP)
팔라얌코타이압둘 와합 (DMK)
국회의원 (MP)
티루넬벨리C. 로버트 브루스 (INC)



이 도시는 티루넬벨리와 팔라얌코타이라는 두 개의 타밀나두 주의회 선거구에 속하며, 각 선거구에서는 5년마다 주의회 의원(MLA)을 1명씩 선출한다.[6][6] 현재 티루넬벨리 선거구의 MLA는 BJP 소속의 나이나르 나겐드란 전 장관이며, 그는 타밀나두 주의회 내 BJP의 지도자이기도 하다.[7][6] 팔라얌코타이 선거구의 MLA는 DMK 소속의 압둘 와합이다.

또한 티루넬벨리는 티루넬벨리 로크 사바 선거구의 일부이다. 이 선거구는 티루넬벨리, 난군게리, 암바사무드람, 알랑굴람, 라다푸람, 팔라얌코타이 등 6개의 주의회 선거구를 포함한다.[6] 현재 이 선거구의 국회의원(MP)은 INC 소속의 C. 로버트 브루스이다. 1957년 이후 티루넬벨리 로크 사바 선거구에서는 인도 국민회의(INC)가 4번(1957–1961, 1962–67, 2004–09, 2009–14), 스와탄트라당이 1번(1967–1971), 인도 공산당(CPI)이 1번(1971–77), DMK가 2번(1980–84, 1996–98), ADMK가 7번(1977–80, 1984–89, 1989–91, 1991–96, 1998, 1999–2004, 2014) 승리했다.[6][6][6][6][6][6][6][6][6][6][6][6][6][6][6]

도시의 법과 질서는 청장이 이끄는 타밀나두 경찰의 티루넬벨리 시 부서에서 담당한다.[6] 이 부서 내에는 금지 집행, 구 범죄, 사회 정의 및 인권, 구 범죄 기록, 특별 부서 등이 있으며, 각 부서는 경찰 부청장이 지휘한다.[6]

이 도시의 면적은 108.65km2이다. 주요 사용 언어는 타밀어이며, 특히 이 지역에서 사용되는 타밀어 방언은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영어 사용도 비교적 흔하며, 대부분의 교육 기관과 서비스 부문 사무실에서 교육 매체로 사용된다.[6][6]

6. 정치

'''주요 공직자'''
행정 공무원
구청장K.P. 카르티케얀[6]
시 공무원
시장P.M. 사라바난
시의원V. 시바크리쉬나무르티
부시장K.R. 라주
경찰청장딥악 M. 다모르, IPS
입법의원 (MLA)
티루넬벨리나이나르 나겐드란 (BJP)
팔라얌코타이압둘 와합 (DMK)
국회의원 (MP)
티루넬벨리C. 로버트 브루스



티루넬벨리 시는 영국 통치 시기인 1866년에 설립되었다. 1994년에는 시립 법인으로 승격되어 팔라얌코타이와 멜라팔라얌 시, 타차날루르 타운 판차야트 및 11개 마을 판차야트를 행정 구역 내로 편입했다. 현재 시는 티루넬벨리, 타차날루르, 팔라얌코타이, 페타이, 멜라팔라얌의 5개 구역으로 나뉘며, 총 55개의 구(ward)로 구성되어 있다. 각 구에서는 시의원을 선출한다. 시 행정은 일반 행정 및 인사, 엔지니어링, 세입, 공중 보건, 도시 계획, 정보 기술(IT) 등 6개 부서가 담당하며, 모든 부서는 시의원의 통제를 받는다. 입법 권한은 55명의 선출된 시의원에게 있으며, 입법 기관은 부시장의 보좌를 받는 선출직 의장이 이끈다. 티루넬벨리시는 티루넬벨리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티루넬벨리 시는 타밀나두 주의회의 티루넬벨리와 팔라얌코타이 두 선거구에 걸쳐 있으며, 각 선거구에서는 5년마다 주의회 의원(MLA)을 1명씩 선출한다. 현재 티루넬벨리 선거구의 MLA는 BJP 소속의 전 장관인 나이나르 나겐드란이다.[7] 팔라얌코타이 선거구의 MLA는 DMK 소속의 압둘 와합이다. 2001년 주의회 선거에서는 AIADMK의 나이나르 나겐드란이 티루넬벨리에서 당선되었으나, 2006년 선거에서는 DMK의 N. 마라이 라잔이 당선된 바 있다.

연방 하원인 로크 사바 선거의 경우, 티루넬벨리는 티루넬벨리 로크 사바 선거구에 속한다. 이 선거구는 티루넬벨리, 난군게리, 암바사무드람, 알랑굴람, 라다푸람, 팔라얌코타이 등 6개의 주의회 선거구를 포함한다. 현재 이 선거구의 국회의원(MP)은 C. 로버트 브루스이다.

'''티루넬벨리 로크 사바 선거구 역대 주요 정당별 승리'''
정당승리 횟수승리 연도 (선거 차수)
AIADMK71977–1980 (6대), 1984–1989 (8대), 1989–1991 (9대), 1991–1996 (10대), 1998 (12대), 1999–2004 (13대), 2014 (16대)
INC41957–1961 (2대), 1962–1967 (3대), 2004–2009 (14대), 2009–2014 (15대)
DMK21980–1984 (7대), 1996–1998 (11대)
스와탄트라당11967–1971 (4대)
CPI11971–1977 (5대)



도시의 법과 질서는 청장이 이끄는 타밀나두 경찰의 티루넬벨리 시 부서에서 담당한다. 산하에는 금지 집행, 구 범죄, 사회 정의 및 인권, 구 범죄 기록, 특별 부서 등이 있으며, 각 부서는 경찰 부청장이 지휘한다.

7. 경제

8세기부터 14세기까지 판디아 왕조, 촐라 왕조, 후기 텐카시 판디아 왕조의 통치 기간 동안 작성된 비문들은 티루넬벨리가 넬라이아파르 사원을 중심으로 경제 성장의 중심지로 발전했음을 보여준다. 이 지역의 건조한 지역 역시 비자야나가라 왕들의 통치 아래 번성했다. 1550년부터 초기 근대 시대에 걸쳐 다른 지역으로부터의 이주가 흔했으며, 도시 지역은 제조업과 상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티루넬벨리는 반도의 동부와 서부를 연결하는 전략적 요충지이자 무역 중심지였다. 1700년에서 1850년 사이의 해상 및 육상 무역 기록은 스리랑카와 케랄라와의 긴밀한 무역 관계를 나타낸다. 1840년대에는 이 지역에서 생산된 면화가 영국 공장에서 높은 수요를 보였다. 영국 통치 기간 동안 주요 수출품은 면화, 자구리, 고추, 담배, 팔미라 섬유, 소금, 건조 염수어 및 가축이었다.

현재 티루넬벨리의 주요 경제 활동은 행정, 농업 무역, 관광, 은행, 농업 기계, 시멘트 제조, 정보 기술 및 교육 서비스와 같은 서비스 부문이다. 1991년 티루넬벨리 지역은 여성 근로자 수에서 타밀나두 주 내 2위를 기록했다. 특히 종교 관광의 성장으로 관광과 같은 서비스 부문이 발전했다. 티루넬벨리에는 비디와 시멘트 공장, 담배 회사, 철강 제품 작업장, 면직물, 방적 및 제직 공장이 있으며, 피혁 공장과 벽돌 가마와 같은 소규모 산업도 활발하다. 농업 지역, 손으로 짠 옷 및 가내 수공업 역시 도시의 경제 성장에 기여한다. 1990년대 후반부터 식품 가공 산업이 발전하여 지구 차원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 부문으로 자리 잡았다. 쌀 가공, 청색 젤리 금속 제조, 잼 생산과 관련된 산업은 도시 외곽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의 주요 농산물은 와 면화이다. 1990년대 비디 생산은 티루넬벨리, 티루치라팔리, 벨로르 세 지역에서 연간 1900억인도 루피의 수익과 80억인도 루피의 외환 수입을 창출했다.

티루넬벨리는 풍력 발전의 주요 중심지이기도 하다. 타밀나두의 대부분의 풍력 발전 설비는 티루넬벨리 및 칸야쿠마리 지구에 집중되어 있다. 2005년에는 주 전체 발전 용량에 2036.9MW를 기여했다. 많은 사립 및 다국적 풍력 회사가 도시 외곽에서 운영 중이다.

ELCOT IT 파크는 강가이콘단에 위치하며, IT 기업들을 위한 자체 건물을 보유하고 있다. ATOS는 100에이커 규모의 IT 캠퍼스를 운영하며, 이는 그들의 글로벌 딜리버리 센터(GDC) 중 하나이다. TATA solar는 강가이콘단에서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Vikram solar는 태양광 발전소를 건설 중이다.

2007년 6월, 타타 그룹은 티루넬벨리 구와 투투쿠디 구에 이산화 티타늄 공장을 건설하기 위해 주 정부와 250억인도 루피 규모의 양해 각서(MOU)를 체결했다. 그러나 주민들의 반대 시위가 거세지자 주 정부는 이 프로젝트를 보류했다.

8. 교통

NH7에서 MGR 버스 정류장 입구. 2022년 1월


티루넬벨리 기차역 입구. 2011년 11월


티루넬벨리는 광범위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으며 도로, 철도, 항공을 통해 다른 주요 도시와 잘 연결되어 있다. 시는 총 763.3km의 도로를 관리하고 있으며, 이 중 134.88km는 콘크리트 도로, 375.51km는 BT 도로, 94.291km는 수성 맥아담 도로, 76.31km는 비포장 도로, 82.3km는 고속도로이다. 22km의 고속도로는 주 고속도로 부서에서, 30km는 국도 부서에서 관리한다. 1844년 호슬리 대령은 타미라바라니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를 건설하여 티루넬벨리와 팔라얌코타이를 연결했다. 이 도시는 NH 44 도로상에 위치하며, 마두라이에서 남쪽으로 150km, 칸야쿠마리에서 북쪽으로 91km 떨어져 있다. NH 138은 팔라얌코타이와 투티코린 항구를 연결한다. 티루넬벨리는 또한 주요 고속도로를 통해 콜람, 티루첸두르, 라자팔라얌, 상카랑코빌, 암바사무드람, 나사렛과 연결되어 있다.

2003년에 개장한 주요 버스 정류장(일반적으로 뉴 버스 정류장으로 알려짐)은 베인탄쿨람에 위치해 있으며, 시내를 오가는 정기 버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버스 정류장은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총 50.72억인도 루피의 비용으로 개발되었다. 바라트 라트나 닥터 MGR 버스 정류장으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2021년 12월 8일 M.K. 스탈린 총리가 화상 회의를 통해 개장했다.[8][9] 다른 버스 정류장으로는 정션 버스 정류장과 팔라야 버스 정류장(시내 서비스용)이 있다. 타밀나두 주 교통 공사는 여러 도시에 매일 버스를 운행하며, 주요 버스 정류장에 컴퓨터 예약 센터를 운영한다. 또한 시와 인근 마을을 운행하는 시내 버스도 운영한다. 일반적으로 구 버스 정류장으로 알려진 페리야르 버스 정류장은 완전히 철거되었으며, 스마트 시티 계획에 따라 새로운 버스 정류장이 건설될 예정이다. 주 고속도로 운송 공사는 방갈로르, 첸나이, 칸야쿠마리, 트리반드룸 및 기타 도시로 시외 버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티루넬벨리 정션 기차역은 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기차역 중 하나이다. 타밀나두의 두 번째 반데 바라트 익스프레스(20665, 20666)는 티루넬벨리에서 첸나이까지 낮 시간 동안 운행되며, 예약률이 110%에 달할 정도로 인기가 높다. 가장 수요가 많은 넬라이 익스프레스(12631, 12632) 역시 최대 수용량으로 운행된다. 티루넬벨리에서 셍고타이 기차역까지의 노선은 1903년에 개통되었으며, 이후 퀼론(콜람)과의 연결이 완공되면서 영국령 인도에서 트라방코르 지방으로 가는 중요한 무역로가 되었다. 이 도시는 철도를 통해 사방의 주요 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북쪽으로는 마두라이와 상카랑코빌, 남쪽으로는 나게르코일과 트리반드룸, 서쪽으로는 셍고타이와 콜람, 동쪽으로는 티루첸두르와 연결된다. 티루넬벨리는 또한 첸나이, 코임바토르, 티루치라팔리, 탄자부르, 마두라이, 라마나타푸람, 라메스와람, 비루두나가르, 테니, 딘디굴, 칸야쿠마리, 살렘, 티루파티, 호수르, 방갈로르, 하이데라바드, 망갈로르, 에르나쿨람, 트리반드룸, 뭄바이, 구루바유르, 콜카타, 자발푸르, 바라나시, 델리, 자무, 콜람, 팔가트, 아메다바드 등 인도의 주요 도시로 매일 운행하는 기차 서비스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투티코린, 마두라이, 티루첸두르, 테니, 딘디굴, 라마나타푸람, 라메스와람, 티루치라팔리, 탄자부르, 코임바토르, 마일라두투라이, 나게르코일, 팔가트, 콜람으로는 매일 여객 서비스가 운행된다.

티루넬벨리에서 가장 가까운 공항은 도시에서 동쪽으로 22km 떨어진 투티코린 공항 (TCR)으로, 투토쿠디 지구의 바가이쿨람에 있다. 이 공항에서는 첸나이와 방갈로르로 매일 항공편이 운행된다. 가장 가까운 국제 공항은 150km 떨어진 마두라이 국제 공항과 약 130km 떨어진 트리반드룸 국제 공항 (TRV)이다.

타밀나두 주 남서부의 티루넬벨리 구 동부 중앙에 위치하며, 주 내 주요 도시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9. 문화

넬라이아파 사원은 넬라이아파 형태의 시바 신에게 헌정된 힌두교 사원이다. 이 신은 7세기 사이바(Shaiva) 작품인 삼반다르의 ''테바람'' 구절에서 존경받고 있다. 사원은 16세기 나야크 시대에 대폭 확장되었으며, 음악 기둥을 포함한 여러 건축적 매력을 가지고 있다. 이 사원에서는 여러 축제가 열리는데, 그중 가장 중요한 것은 사원의 전차를 사원 근처 거리로 가져오는 연례 축제이다. 이곳은 시바의 춤추는 형태인 나타라자가 우주의 춤을 추었다고 전해지는 다섯 왕궁, 즉 ''판차 사바이'' 사원 중 하나이다. 사원의 나타라자 사당은 구리를 상징하며 많은 구리 조각품이 특징이다. 티루넬벨리에는 고대부터 이어져 온 사원이 상당수 있으며, 특히 넬라이아파 사원이 위치한 곳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또한 티루넬벨리에는 아시아에서 가장 큰 가나파티 사원 중 하나인 우치쉬타 가나파티 사원이 있다. 이 사원은 티루넬벨리 정션 기차역에서 약 2km 떨어진 타미라바라니 강둑에 위치해 있다.

티루넬벨리는 밀, 설탕, (ghee)로 만든 달콤한 음식인 할와로도 유명하다. 할와는 1800년대 중반에 처음 만들어졌으며, 당시 문을 연 락슈미 빌라스 상점은 여전히 운영 중이다. 이 달콤한 음식을 만드는 기술은 나가르코일, 스리빌리푸투르, 투티코린 등 타밀 나두의 다른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티루넬벨리 할와는 1900년에 문을 연 이루투카다이 할와 상점을 통해 대중화되었는데, 이 가게는 해 질 녘에만 과자를 판매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티루넬벨리의 센트럴 극장


티루넬벨리에는 주로 타밀 영화를 상영하는 여러 영화관이 있다. 또한 인도의 FM 라디오 방송국이 있는 40개 도시 중 하나이다. 티루넬벨리의 주요 방송국으로는 티루넬벨리 바놀리 닐라얌(올 인디아 라디오), 수리안 FM(93.5 MHz, 선 네트워크 운영), 헬로 FM(106.4 MHz, 말라이 말라르 그룹 운영)이 있다.

티루넬벨리에서는 매년 여러 주 및 국가 수준의 스포츠 행사가 개최된다. VOC 운동장(중앙 팔라얌코타이)과 안나 경기장(세인트 토마스 로드)은 도시의 주요 스포츠 시설이며, 일부 행사는 학교 스포츠 시설에서도 열린다. 인도 전역에서 인기 있는 크리켓이 이곳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이다. 또한 타밀 나두 스포츠 개발 당국의 티루넬벨리 지부에서 제공하는 시설을 통해 축구, 배구, 수영, 하키 등도 즐길 수 있다.

매년 전시장에서 열리는 정부 주관 전시회는 티루넬벨리 안팎에서 수천 명의 방문객을 끌어모은다. 도시 중심부에는 티루넬벨리 지구 과학 센터가 위치해 있다. 도시 근처에는 마니무타르 댐, 파파나삼 댐, 아리아쿨람 및 쿤타쿨람 조류 보호 구역, 만졸라이, 어퍼 코다이야르 등 지역 관광 명소가 있다.

10. 교육

티루넬벨리 의과대학 강당


1790년대에 타밀 기독교인들은 티루넬벨리에 많은 수의 학교를 세웠다. 선교사 교육 시스템은 초등학교, 기숙학교, 신학교, 산업학교, 고아원 및 대학을 포함했다. 여성을 위한 최초의 기숙학교는 1821년에 문을 열었으나, 기독교 교육에 대한 강조가 그 확산을 다소 제한하기도 했다. 영국 동인도 회사의 일원이었던 토마스 먼로(1761–1827)는 마드라스 관구에 2단계 학교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는 법률을 가르치는 구립 학교와 토착 언어를 가르치는 하위 구립 학교로 구성되었다. 티루넬벨리에는 4개의 하위 구립 학교가 있었는데, 두 곳에서는 타밀어를, 다른 두 곳에서는 각각 텔루구어와 페르시아어를 가르쳤다.

현재 티루넬벨리 시에는 총 80개의 학교가 있으며, 시 당국이 이 중 33개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학교 종류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구분개수
고등학교 (Higher Secondary)12
중학교 (High School)29
중학교 (Middle School)22
초등학교 (Primary School)17
총계80



또한, 이 도시에는 8개의 인문 과학 대학과 6개의 전문 대학이 있다. 마논마니암 순다라나르 대학교는 타밀나두 주의 주가(州歌)인 ''"타밀 타이 바르투"''를 쓴 시인 마논마니암 순다라나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도시의 많은 기독교 학교와 대학은 팔라얌코타이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2007년에 설립된 안나 기술 대학교 티루넬벨리는 학부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공학 및 기술 과정을 제공한다. 티루넬벨리 의과 대학, 수의과 대학 및 연구소, 티루넬벨리 정부 법과 대학, 티루넬벨리 정부 공과 대학은 타밀나두 주 정부에서 운영하는 전문 대학이다. 사라 터커 칼리지는 남인도 최초의 여자 대학이었다.[10]

인도 지구자기학 연구소(IIG)는 이곳에서 적도 지구 물리학 연구소를 운영하며, 지자기학 및 대기, 우주 과학 연구를 수행한다. 또한, 이 도시에는 방갈로르의 비스베스와라야 산업 기술 박물관의 위성 부서인 지구 과학 센터가 있다. 이 센터는 영구 전시, 과학 쇼, 대화형 셀프 가이드 투어, 미니 플라네타륨, 하늘 관측 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티루넬벨리 및 그 주변 지역은 아동 노동 비율이 높은 편이다. 또한, 15세에서 19세 사이 여성의 학교 출석률 감소 폭은 타밀나두 다른 지역 평균의 거의 4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 공공 서비스

티루넬벨리의 전기 서비스는 타밀나두 전력 위원회(TNEB)가 규제하고 배급한다. 이 도시는 TNEB의 티루넬벨리 지역 본부 산하 4개 구역으로 나뉘며, 교외 지역과 함께 티루넬벨리 전력 배급 구역을 형성한다. 지역 본부에는 수석 배급 엔지니어가 배치되어 있다. 상수도는 티루넬벨리 시립 공사가 타미라바라니 강에서 물을 끌어와 도시 전체에 공급한다.

하루 약 100 미터톤의 고형 폐기물이 각 가정에서 수거되며, 이는 티루넬벨리 시립 공사의 위생 부서에서 분리 수거 및 처리를 담당한다. 1998년에 구축된 지하 배수 시스템은 시 공사 관할 구역의 22%를 처리하며, 나머지 지역의 하수는 정화조와 공중 화장실을 통해 처리된다. 시 공사는 총 184.8km의 우수관을 유지 관리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 도로 길이의 27%에 해당한다. 시 공사가 운영하는 진료소에서는 가족 복지 및 예방 접종 프로그램을 통해 도시 빈곤층에게 기본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외에도 민간 병원과 진료소들이 시민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통신 서비스는 인도 국영 통신사인 바라트 산차르 니감 리미티드(BSNL)의 티루넬벨리 통신 지구가 담당한다. GSM 및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방식의 이동 통신 서비스가 모두 제공되며, BSNL은 통신 서비스 외에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도 제공한다. 티루넬벨리는 BSNL의 발신자 회선 식별(CLI) 기반 인터넷 서비스인 Netone을 이용할 수 있는 인도 내 몇 안 되는 도시 중 하나이다. 또한, 이 도시에는 공공-민간 부문 협력으로 운영되는 여권 서비스 센터(Passport Seva Kendra)가 있어, 마두라이에 있는 지역 여권 사무소에 티루넬벨리 지역 주민들의 여권 신청서를 접수하는 업무를 처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Census 2011 https://censusindia.[...]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2024-04-20
[2] 뉴스 Palayamkottai electorate earn a dubious distinction https://www.thehindu[...] 2024-09-14
[3] 뉴스 A case for Madurai https://www.thehindu[...] 2024-09-14
[4] 웹사이트 Station: Palayamkottai Climatological Table 1981–2010 https://imdpune.gov.[...]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2020-03-29
[5] 웹사이트 Extremes of Temperature & Rainfall for Indian Stations (Up to 2012) https://imdpune.gov.[...] India Meteorological Department 2020-03-29
[6] 웹사이트 List Of Collectors {{!}} Tirunelveli District, Government of Tamil Nadu {{!}} India https://tirunelveli.[...] 2024-03-17
[7] 웹사이트 Nainar Nagendran elected BJP's legislative party leader https://www.dtnext.i[...] 2021-06-01
[8] 웹사이트 The Hon'ble Chief Minister inaugurated the renewed Bharat Ratna Dr. MGR Bus Stand and Palayamkottai Bus Stand under the Smart City Projects through video conferencing https://cdn.s3waas.g[...] 2022-01-09
[9] 뉴스 Bus terminal, parks opened in Tirunelveli https://timesofindia[...] 2022-01-09
[10] 웹사이트 First Women's Colleges in India https://www.thehindu[...] 2023-01-28
[11] 웹사이트 Provisional Population Totals, Census of India 2011 - Cities having population 1 lakh and above http://www.censusind[...] インド内務省 2013-08-12
[12] 웹사이트 Provisional Population Totals, Census of India 2011 - Urban Agglomerations/Cities having population 1 lakh and above http://www.censusind[...] インド内務省 2013-08-12
[13] Unknown "CLIMATE: TIRUNELVELI, Tamil Nadu" http://en.climate-da[...] Climate-Data.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