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품종개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품종개량은 선사 시대부터 시작되어 작물과 가축의 수확량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위적으로 특정 형질을 선택하고 번식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고대 로마 시대부터 기록이 남아 있으며, 18세기 영국 농업 혁명 시기 로버트 베이커웰은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가축 품종개량을 주도했다. 찰스 다윈은 선택적 육종을 자연 선택 과정의 예시로 언급했다. 한국에서는 1960년대 통일벼를 도입했으나 냉해와 밥맛 문제로 외면받았다. 품종개량은 광합성 효율, 광둔감성, 단간성, 내병성 등 다양한 형질을 개선하는 데 사용되며, 벼, 개, 수산 양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유전적 다양성 감소, 신체적 문제 발생, 유전자변형작물(GMO) 논란과 같은 윤리적 문제와 한계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택 - 자연선택
    자연선택은 찰스 다윈과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가 제시한 이론으로,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형질을 가진 개체가 더 많은 자손을 남겨 유전형질이 다음 세대에 더 많이 전달되는 진화의 주요 메커니즘이며, 개체변이, 유전, 환경에 따른 생존 및 번식률 차이 등의 조건과 다양한 유형 및 수준에서 작용하는 복잡한 과정을 포함한다.
  • 선택 - 집단 선택
    집단 선택은 진화론에서 개체 수준뿐 아니라 집단 수준에서도 자연 선택이 작용하여 진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이론으로, 찰스 다윈의 초기 아이디어 제시 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발전되었으나, 논리적 오류에 대한 비판과 함께 새로운 관점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 육종 - 우장춘
    우장춘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기를 거치며 한국 농업 발전에 기여한 농학자로, '종의 합성' 이론을 제창하고 한국농업과학연구소를 설립하여 종자 개발과 품종 개량에 전념했으며, "한국 근대 농업의 아버지"로 불린다.
  • 육종 - 근친교배
    근친교배는 유전적으로 가까운 개체 간의 교배를 의미하며, 유전 질환 발현 가능성을 높이는 등 생물학적 영향과 품종 개량 및 연구에 활용된다.
  • 생명공학 - 사이보그
    사이보그는 인공 부위를 이식받아 신체 기능이 복원되거나 향상된 개조 생명체로, 보철, 인공 장기 등의 기술을 포함하며 의료, 윤리, 군사적 측면에서 다양한 논의를 낳고 있다.
  • 생명공학 - CRISPR
    CRISPR은 세균과 고세균이 외래 유전 물질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적응 면역 시스템으로, CRISPR-Cas9 시스템은 유전자 편집 기술로 발전하여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유전 질환 치료,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잠재력을 지닌다.
품종개량

2. 역사

품종개량은 선사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 , 와 같은 주요 작물과 가축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인류는 식량 효율이 높은 개체의 자손을 골라 가축이나 농작물을 번식시켜 왔다. 야생 양배추는 현재의 품종에 비해 품질이 현저히 떨어졌으나, 품종개량(인위 선택)을 통해 식용에 적합하게 변화되었다.[6]

고대 로마 시대에도 품종개량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으며, 2,000년 전 논문에는 다양한 목적에 맞는 동물을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조언이 담겨 있다.[7] 11세기 페르시아의 학자 아부 라이한 비루니는 저서 《인도》에서 품종개량에 대한 개념을 언급하며, 농부, 산림 관리인, 벌의 사례를 예시로 들었다.[8]

농부는 필요한 만큼 자라도록 하고 나머지를 뽑아내면서 옥수수를 선택한다. 산림 관리인은 훌륭하다고 생각되는 가지를 남겨두고 다른 모든 가지를 잘라낸다. 벌들은 꿀통에서 일하지 않고 먹기만 하는 동족을 죽인다.|아부 라이한 비루니ar

18세기 영국 농업 혁명 시기 로버트 베이커웰은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가축 품종개량을 주도했다. 그는 양, 소, 말 등의 품종을 개량하여 농장 동물의 크기와 품질을 크게 향상시켰다. 특히 양 품종개량에서 큰 성과를 거두어 링컨 롱울을 개량하고, 뉴(또는 디슐리) 레스터 품종을 개발했다.[9] 1700년 도살용 수소의 평균 무게는 168kg이었으나, 1786년에는 381kg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10]

찰스 다윈은 저서 종의 기원에서 인위적 선택이 자연선택의 한 예시임을 강조했다. 그는 인공 선택과 자연 선택 모두 오랜 시간에 걸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11]

선택 과정이 느리더라도, 연약한 인간이 인공 선택의 힘으로 많은 것을 할 수 있다면, 나는 모든 유기체가 서로, 그리고 그들의 물리적 삶의 조건과 서로 적응하는 아름다움과 무한한 복잡성에 자연의 선택력이 오랜 시간에 걸쳐 가져올 수 있는 변화의 양에 제한이 없다고 생각한다.|찰스 다윈영어

우리는 미세하고 중요하지 않은 변이를 일으키는 원인에 대해 깊이 무지하며, 이는 특히 인공 선택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덜 문명화된 국가에서 가축의 품종 차이를 반성함으로써 즉시 인식하게 된다.|찰스 다윈영어

의 다양한 품종 역시 인위 선택의 결과이다. 약 1만 5천 년 전 늑대에서 분화된 이후, 치와와부터 세인트 버나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품종이 만들어졌다. 헤이케게에 관한 설화는 "무서운 모습의 게"만 살아남는 인위 선택의 사례로 볼 수 있다.

러시아의 류드밀라 니콜라예브나 트루트와 드미트리 벨랴예프는 여우를 이용한 인위 선택 실험을 통해, 40세대 만에 개처럼 인간에게 친근한 여우를 만들어냈다.[58][59]

2. 1. 한국의 품종개량 역사

대한민국에서는 1960년대 식량 증대를 목표로 필리핀에서 개발된 단간성 벼 품종을 "통일벼"라는 이름으로 도입하였다. 통일벼는 성장 기간이 짧아 2모작이 가능하고 수확량이 많아 전국적으로 재배되었으나, 냉해에 약하고 밥맛이 좋지 않아 결국 외면받게 되었다.[67]

3. 작물의 육종

농작물의 수확량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품종을 개량하는 것을 육종이라 한다. 농작물의 수량은 생리적, 생화학적 상호작용의 결과물이다. 높은 수확량을 얻기 위한 개량에는 식물생리학, 유전학, 재배학의 지식이 동원된다.[65] 농작물 수확량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65]


  • 광합성 효율 개량: 수광 효율을 늘릴 수 있는 직립성 잎과 각도를 갖는 품종을 개량한다.
  • 광둔감성 작물: , 옥수수와 같은 주요 곡물의 경우 장일 조건이나 단일 조건 모두에서 개화할 수 있도록 개량된 광둔감성 작물이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 유한신육성 작물: 마디가 적고 착엽이 빠르며 생육기간이 짧은 작물 품종을 개량하여 농업 일수를 단축하고 기계화 도입을 용이하게 한다.
  • 단간성 작물: 키가 작은 왜성 작물의 육종은 농업 혁명에 크게 기여하였다. 왜성 작물은 뿌리가 깊어 수분 흡수량이 높고 비료를 많이 주어도 잘 자라며 수확지수가 높다.
  • 조숙성 육종: 생육기간이 짧은 조숙성 품종은 이모작을 가능하게 하였다.
  • 수확지수 개량: 벼, , 보리, 옥수수와 같은 곡물은 높은 수확지수를 띄는 형질이 낮은 수확지수를 띄는 형질에 비해 우성이기 때문에 여러 대에 걸친 육종의 결과 수확률이 개선되었다.
  • 수량 안정성 육종: 환경 변화가 크더라도 수확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형질을 갖춘 작물을 육종한다.
  • 수량 육종: 보다 많은 열매를 맺게 하는 형질은 유전력이 매우 낮아 육종하기 어렵다.
  • 품질 개량 육종: 맛이나 향과 같은 품질을 향상시키는 육종이다. 최근에는 기능성 품질을 향상시키는 육종이 주목받고 있다.
  • 내병성 육종: 병원균에 대한 내성을 지니는 품종을 육종한다.
  • 기타: 가뭄이나 병충해에 강한 작물을 키우기 위한 육종 등이 있다.


유전공학의 발달과 함께 실험실에서 유전자 조작을 통해 품종을 개량하게 되었다. 유전자 조작을 통한 품종개량은 원하는 형질을 얻기 위해 기존의 품종을 개량한다는 점은 같지만, 자연적인 생식을 통하지 않고 유전자를 직접 조작하여 단시간 안에 결과물을 도출하고, 다른 의 유전자에서도 형질을 가져 올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슈퍼옥수수나 토마토와 같이 일부 유전자 조작 농수산물은 이미 산업화되어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2006년 대한민국의 수입 농수산물 가운데 10%는 유전자 조작 생물이었다. 특히 몬산토노바티스 같은 다국적 농약 및 종자 회사가 작물 육종에 유전자 조작 식물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은 유전자 조작 식물이 병충해에 강해 적은 비료와 농약으로도 많은 수확량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충분히 검증되지는 않았다.[64]

미국 농무부(USDA)에서 다양한 색상의 당근을 선택적으로 육종했다.

3. 1. 벼 육종

벼는 대한민국 사람들의 주식으로서, 오랜 기간 동안 품종개량, 즉 육종이 이루어져 왔다. 1960년대 국제쌀연구소에서 개발된 단간성 벼는 대한민국에서 "통일벼"라는 이름으로 도입되었다.[67] 통일벼는 성장 기간이 짧아 2모작이 가능하고 수확량이 많아 전국적으로 재배되었으나, 냉해에 약하고 밥맛이 좋지 않아 결국 외면받게 되었다.[67]

4. 동물의 개량

와 같은 애완동물의 품종개량은 매우 오래전부터 있어왔다. 진돗개처럼 한 지역 안에서 고립되어 자연적으로 품종이 생겨난 경우도 있지만, 아키타견이나 차우차우처럼 인위적으로 개발된 종도 있다.[66]

선사 시대부터 실행되어 온 선택적 육종은 영국 농업 혁명 시기 로버트 베이커웰에 의해 과학적 관행으로 확립되었다. 베이커웰은 토종 가축을 이용하여 크지만 뼈가 가늘고 윤기 있는 긴 털을 가진 양을 빠르게 선택할 수 있었다. 그가 개량한 링컨 롱울은 뉴(또는 디슐리) 레스터라고 불리는 품종을 개발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양은 무각 가축이었으며 사각형의 살집이 많고 곧은 윗선이 있었다.[9] 이 양들은 오스트레일리아북아메리카를 포함하여 널리 수출되었으며, 수많은 현대 품종에 기여했다.

베이커웰은 소를 주로 쇠고기용으로 사육한 최초의 사람이기도 하다. 이전에는 소가 무엇보다 먼저 쟁기를 끄는 황소로 사용되었지만,[10] 그는 긴 뿔을 가진 암소와 웨스트모어랜드 수소를 교배하여 디슐리 롱혼을 만들었다. 더 많은 농부들이 그의 선례를 따르면서 농장 동물의 크기와 품질이 극적으로 증가했다. 1700년, 도살용으로 판매된 수소의 평균 무게는 168kg였으나, 1786년에는 381kg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그러나 그의 사후, 디슐리 롱혼은 쇼트혼 버전으로 대체되었다. 그는 또한 개선된 블랙 카트 말을 사육했는데, 이 말은 나중에 샤이어 말이 되었다.

찰스 다윈은 '선택적 육종'이라는 용어를 만들었으며, 자연 선택 과정의 예시로서 이 과정에 관심이 있었다. 다윈은 많은 가축과 식물이 바람직한 특성을 보이는 개체로부터 의도적인 축산업과 식물 육종을 통해 개발된 특별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덜 바람직한 특성을 가진 개체의 번식을 억제한다고 언급했다.

외모, 행동 및 기타 특성이 동질적인 동물은 특정 품종 또는 순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정 특성을 가진 동물을 도태시키고 다른 특성을 가진 동물을 선택하여 번식시킴으로써 번식된다. 순종 동물은 단일하고 인식 가능한 품종을 가지고 있으며, 기록된 계보를 가진 순종은 혈통이라고 한다. 교배종은 두 순종의 혼합인 반면, 잡종은 여러 품종의 혼합이며, 종종 알려지지 않았다. 순종 번식은 동물이 다음 세대에 전달할 안정적인 특성을 확립하고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고 중 최고를 번식"시키고, 일정 수준의 근친 교배, 상당한 도태, "우수한" 품질 선택을 통해 원래 기본 축보다 특정 측면에서 우수한 혈통을 개발할 수 있다. 그러나 단일 특성 번식, 즉 다른 모든 특성에 비해 단 하나의 특성만을 위해 번식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13]

잡종 강세의 관찰 가능한 현상은 품종 순수성의 개념과 대조를 이룬다. 그러나 반면에, 교배종 또는 잡종 동물의 무차별적인 번식은 품질 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다.

러시아의 신경세포학자 류드밀라 니콜라예브나 트루트와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유전학자 드미트리 벨랴예프는 여우의 인위 선택에 의한 길들이기 실험을 했다.[58][59] 100마리 정도의 여우를 교배하여 인간에게 가장 잘 따르는 개체를 선택하여 배합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불과 40세대 만에 개처럼 꼬리를 흔들고 인간에게 따르는 개체를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다. 동시에, 귀가 둥글게 되는 등 애완견과 같은 형질이 발현되는 것도 관찰되었다.[60][61][62]

5. 수산 양식에서의 품종개량

수산 양식은 육상 가축에 비해 품종개량의 역사가 짧지만,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성장률, 생존율, 육질, 질병 저항성 등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24][23]

연어는 노르웨이 AKVAFORSK 유전학 센터에서 성장률, 사료 섭취량, 단백질 및 에너지 보유율, 사료 효율 등을 개선한 품종을 개발했다. 야생 대서양 연어에 비해 성장률이 2배 높고, 사료 효율이 20% 향상되었다.[26] 전염성 췌장 괴사 바이러스(IPNV) 저항성 품종은 야생 종보다 사망률이 낮았다.[27] 무지개 송어는 7~10세대에 걸친 품종개량으로 성장률이 향상되었으며,[28] 일본에서는 IPNV 저항성이 높은 품종이 개발되었다.[31] 코호 연어는 4세대 품종개량 후 체중이 60% 이상 증가했고,[32] 산란 시기가 앞당겨졌다.[33]

잉어는 성장, 형태, 질병 저항성 등을 개선하기 위한 품종개량이 이루어졌다. 소련에서는 성장 속도가 빠르고 추위에 강한 Ropsha 잉어가 개발되었고,[34] 베트남에서도 잉어 성장률을 높이는 연구가 진행되었다.[35] 점박이메기는 품종개량으로 성장이 12~20% 증가했다.[37]

이처럼 다양한 어종에 대한 품종개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수산 양식 산업의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5. 1. 한국의 수산 양식 품종개량

한국에서는 , 미역 등 해조류 품종개량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넙치는 성장 속도가 빠르고 질병에 강한 품종 개발이 이루어졌다. 전복은 육질과 성장이 우수한 품종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수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수산 종자 개발 및 보급을 지원하고 있다.[24][23][26][27]

6. 인위 선택의 예시

인류는 오랫동안 식량 효율(영양, 내한성, 내병성 등)을 높이기 위해 가축농작물을 인위적으로 선택해왔다. 야생 는 결실량이나 맛 모두 현재의 벼에 비해 훨씬 못 미치며, 야생 양배추는 쓴맛이 강하고 먹을 수 있는 부분이 거의 없었다. 이러한 작물들이 현재와 같이 식용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게 된 것은 품종 개량, 즉 인위 선택의 결과이다.[58][59]

다양한 종류의 가 존재하는 것 역시 인위 선택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개는 약 1만 5천 년 전 늑대에서 분화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치와와에서 세인트 버나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품종이 만들어진 것은 불과 수천 년에 불과하다. 이처럼 짧은 기간에 다양한 형태를 가지게 된 것은 인위 선택에 의한 강력한 선택 압력 때문이다. 고등 생물 중에서 개만큼 짧은 기간에 다양한 분화에 성공한 종은 없다.

품종개량의 결과 개는 다양한 품종으로 개발되었다.


헤이케게의 경우, "무서운 모습의 개체는 먹지 않고 놓아주는" 소극적인 방식으로 인해 "무서운 모습의 게"만 살아남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이 설이 사실이라면, 이 역시 인위 선택에 의한 진화의 한 예시라고 할 수 있다.

러시아에서는 여우를 길들이기 위한 인위 선택 실험이 진행되었다. 신경세포학자 류드밀라 니콜라예브나 트루트와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의 유전학자 드미트리 벨랴예프는 100마리 정도의 여우를 교배하여 인간에게 가장 잘 따르는 개체를 선택하고, 다시 이들을 교배하는 과정을 반복했다. 그 결과, 불과 40세대 만에 개처럼 꼬리를 흔들고 인간에게 따르는 여우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귀가 둥글게 되는 등 애완견과 유사한 형질이 발현되는 것도 관찰되었다.[60][61][62] 이는 친근함이라는 성질이 인위적으로 선택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7. 품종개량의 윤리적 문제와 한계

품종개량은 유전적 다양성 감소와 예상치 못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레나페 감자처럼 독성 물질 함량이 높아지는 경우가 발생하거나,[55] 1970년대 미국에서 남부 옥수수 잎마름병이 유행하여 옥수수 작물의 15%가 파괴된 사례처럼,[56][57] 유전적 다양성 부족은 특정 질병, 환경 변화에 취약하게 만들 수 있다.

선택적 육종은 동물의 복지를 저해할 수 있다는 비판도 받는다.[54] 자연적인 번식이 어렵거나, 멸종 위기에 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원종 교배 등 유전적 다양성 확보 연구가 진행 중이다.

7. 1. 유전자변형작물(GMO) 논란

유전공학의 발달로 실험실에서 유전자 조작을 통해 품종을 개량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유전자 조작은 기존의 품종개량과 목적은 같지만, 유전자를 직접 조작하여 단시간 안에 결과물을 얻고 다른 의 유전자도 활용할 수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유전자변형작물(GMO)은 슈퍼옥수수나 토마토와 같이 이미 상용화되었다. 2006년 대한민국의 수입 농수산물 중 10%는 유전자 조작 생물이었다.[64]

몬산토와 같은 다국적 기업들은 유전자 조작 식물이 병충해에 강해 적은 비료와 농약으로도 많은 수확량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에 대한 충분한 검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64]

양식업에서의 선발 육종은 생산성 향상으로 경제적 이점을 제공하지만, 생물 다양성 감소 및 생태계 교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51],[52] 특히 양식 어류가 탈출하여 토착 어류와 경쟁하거나 유전적 다양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은 주의해야 할 문제이다.[52]

참조

[1] 웹사이트 Noun definition 1 https://www.merriam-[...]
[2] 서적 On the Origin of Species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 or The Preservation of Favoured Races in the Struggle for Life Bantam Books
[3] 서적 The Blind Watchmaker: Why the Evidence of Evolution Reveals a Universe Without Design W. W. Norton & Company
[4] 서적 Moral Origins: The Evolution of Virtue, Altruism, and Shame Basic Books
[5] 논문 The nature of selection during plant domestication
[6] 서적 Arid Agriculture; A Hand-Book for the Western Farmer and Stockman https://books.google[...] Read Books 2008
[7] 서적 Animal Breeding Plans https://books.google[...] Orchard Press 2008
[8] 논문 On the Presumed Darwinism of Alberuni Eight Hundred Years before Darwin
[9] 웹사이트 Robert Bakewell (1725–1795) https://www.bbc.co.u[...] BBC History 2012-07-20
[10] 서적 Trail of the Viking Finger Troubador Publishing
[11] 문서 Darwin http://darwin-online[...]
[12] 문서 Darwin http://darwin-online[...]
[13] 서적 Animals in Translation https://archive.org/[...] Scribner
[14] 웹사이트 Жили-были крысы http://www.znanie-si[...] 2014-08-09
[15] 논문 Selection experiments as a tool in evolutionary and comparative physiology: insights into complex traits—an introduction to the symposium http://biology.ucr.e[...]
[16] 문서 Vertebrate Biomechanics and Evolution http://www.biology.u[...]
[17] 문서 Experimental Evolution: Concepts, Methods, and Applications of Selection Experiment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8]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https://education.na[...] 2024-02-14
[19] 웹사이트 Human History Gets a Rewrite https://www.theatlan[...] 2021-10-18
[20] 웹사이트 Hunter-Gatherer Culture https://education.na[...] 2024-02-14
[21] 서적 The botany of desire: a plant's-eye view of the world Random House 2002
[22] 서적 Plant breeding – Mendelian to molecular approach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4
[23] 논문 Improvement of productivity through breeding schemes
[24] 논문 Genetic variation in quantitative traits and selective breeding in fish and shellfish
[25] 논문 Maternal, dominance and additive genetic effects in Nile tilapia; influence on growth, fillet yield and body size traits 2018-01
[26] 논문 Feed intake, growth and feed utilization of offspring from wild and selected Atlantic salmon (''Salmo salar'')
[27] 논문 Response to selection for resistance against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in Atlantic salmon (''Salmo salar'' L.)
[28] 논문 Development of Rainbow Trout Brood Stock by Selective Breeding
[29] 논문 Three Generations of Selection for Growth Rate in Fall-Spawning Rainbow Trout
[30] 논문 Genetic trends in growth, sexual maturity and skeletal deformations, and rate of inbreeding in a breeding programme for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31] 논문 Resistance of a rainbow trout strain to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32] 논문 Genetic changes in the growth of coho salmon (''Oncorhynchus kisutch'') in marine net-pens, produced by ten years of selection
[33] 논문 Genetic improvement in coho salmon (''Oncorhynchus kisutch''). II: Selection response for early spawning date http://www.captura.u[...] 2015-09-04
[34] 서적 Genetics in Aquaculture
[35] 논문 Selection of common carp (''Cyprinus carpio'' L.) in Vietnam
[36] 논문 Two-way selection for growth rate in the common carp (''Cyprinus carpio'' L.)
[37] 논문 Response to bidirectional selection for body weight in channel catfish
[38] 논문 Yields of cultured Pacific oysters Crassostrea gigas Thunberg improved after one generation of selection
[39] 논문 Progress in a Sydney rock oyster, Saccostrea commercialis (Iredale and Roughley), breeding program
[40] 논문 Third generation evaluation of Sydney rock oyster Saccostrea commercialis (Iredale and Roughley) breeding lines
[41] 논문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ve resistance of Irish flat oysters ''Ostrea edulis'' L. to the parasite ''Bonamia ostreae''
[42] 논문 Potential resistance of a number of populations of the oyster ''Ostrea edulis'' to the parasite ''Bonamia ostreae''
[43] 논문 Dual disease resistance in a selectively bred eastern oyster, ''Crassostrea virginica'', strain tested in Chesapeake Bay
[44] 논문 IFREMER's shrimp genetics program
[45] 논문 Response to selection and heritability for growth in the Kuruma prawn, ''Penaeus japonicus''
[46] 논문 Selective breeding of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for growth and resistance to Taura Syndrome Virus
[47] 논문 Breeding for disease resistance of Penaeid shrimps
[48] 논문 Postlarvae and juveniles of a selected line of ''Penaeus stylirostris'' are resistant to infectious hypodermal and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infection
[49] 웹사이트 What Is the Main Idea of Overproduction in Natural Selection? https://sciencing.co[...] 2024-01-28
[50] 서적 Selective breeding in Aquaculture: An Introduction Springer 2009
[51] 논문 Selective Breeding in Fish and Conservation of Genetic Resources for Aquaculture https://onlinelibrar[...] 2012-08
[52] 웹사이트 Prevent farmed fish escapes https://www.seafoodw[...] 2024-02-27
[53] 논문 Artificial Selection: A Powerful Tool for Ecologists
[54] 웹사이트 Dogs That Changed The World ~ Selective Breeding Problems https://www.pbs.org/[...] 2024-01-29
[55] 간행물 Unintended Effects from Breeding https://www.ncbi.nlm[...] National Academies Press (US) 2024-01-29
[56] 서적 Marijuana Botany And/Or Pr 1981
[57] 논문 Southern Corn Leaf Blight: A Story Worth Retelling 2017-08
[58] 웹사이트 動物好きな研究者の夢 -- 40年の研究からペットギツネが誕生 http://siberiandream[...]
[59] 웹사이트 実験飼育場で遊ぶキツネ http://jp.rbth.com/a[...]
[60] 웹사이트 地球ドラマチック「不自然な“進化”~今 動物に何が!?~」 http://www4.nhk.or.j[...]
[61] 웹사이트 特集:野生動物 ペットへの道 http://nationalgeogr[...]
[62] 웹사이트 ロシア科学アカデミーシベリア支部 細胞学・遺伝学研究所の「キツネの家畜化研究」 http://www.tokyoprog[...]
[63] 서적 The Origin of Species CRW Publishing Limited 2004
[64] 서적 현대 과학 기술과 법 동국대학교출판부 2007
[65] 서적 인간과 식량 고려대학교출판부 2007
[66] 서적 애견번식학 한진 2005
[67] 서적 하늘을 나는 달팽이 지성사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