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랑스의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 마르세예즈"는 1792년 프랑스 혁명 당시 클로드 조제프 루제 드 릴이 작사, 작곡한 노래로, 프랑스의 국가가 되었다. 이 곡은 프랑스 혁명 전쟁에 참전하는 군인들의 사기를 고취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이후 마르세유에서 온 자원병들이 부르면서 "라 마르세예즈"로 불리게 되었다. 1795년 국민 공회에서 국가로 지정되었으나, 나폴레옹 1세 치하에서는 지위를 잃고, 이후 여러 차례 금지되기도 했다. 하지만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동안 프랑스 국민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다시 사용되었으며, 1879년에 공식 국가로 인정받았다. "라 마르세예즈"는 프랑스 혁명의 정신과 주요 사건들을 반영하며 애국심을 고취하는 역할을 하지만, 호전적인 가사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이 곡은 여러 음악 작품에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1919년 3·1 운동 당시 한국 독립운동가들이 시위곡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상징 - 프랑스의 국기
    프랑스의 국기는 파랑, 하양, 빨강의 세로 줄무늬 삼색기로, 프랑스 혁명 시기의 코카드에서 유래되었으며, 프랑스의 역사와 이상을 상징한다.
  • 프랑스의 상징 - 프랑스의 국장
    프랑스의 국장은 프랑스를 상징하는 엠블럼으로, 사자 머리와 독수리 머리가 있는 방패, RF 모노그램, 월계수 가지, 참나무 가지, 속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953년부터 1905년 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비공식 문장이 사용되고 있다.
  • 프랑스의 노래 - Non, je ne regrette rien
    에디트 피아프가 1960년에 발표한 "Non, je ne regrette rien"은 과거를 잊고 새로운 시작을 다짐하는 내용으로, 프랑스 외인부대의 상징적인 노래이자 여러 매체에서 활용되며 대중문화에 깊이 자리 잡았고, 대한민국에서도 용기와 희망을 주는 노래로 널리 알려져 민주화 운동 시위 현장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다.
  • 프랑스의 노래 - O Holy Night
    O Holy Night은 플라시드 카포가 작사하고 아돌프 아당이 작곡한 크리스마스 캐럴로, 존 설리번 드와이트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어 예수 탄생 경축과 사회 정의 메시지를 담아 널리 알려졌으며, 다양한 아티스트에 의해 리메이크되어 현재까지 불리고 있다.
프랑스의 국가
기본 정보
'마르세유 의용병들의 출발', [[개선문 (파리)|파리 개선문]] 조각상
'마르세유 의용병들의 출발', 파리 개선문 조각상
제목라 마르세예즈
영어 제목'마르세유의 노래'
다른 제목(라인 군대를 위한 전쟁 노래)
작사클로드 조제프 루제 드 릴
작사 연도1792년
작곡클로드 조제프 루제 드 릴
작곡 연도1792년
채택1795년 7월 14일
사용 중단1799년
재채택1870년
국가 정보
국가프랑스
국가 공동체프랑스 본토
프랑스령 기아나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과들루프
마르티니크
마요트
누벨칼레도니
레위니옹
생바르텔레미
생마르탱
생피에르 미클롱
왈리스 푸투나
과거 국가프랑스령 인도차이나 (식민지 안남)
통킹 보호국 (식민지 안남)
안남 보호국 (식민지 안남)
프랑스령 코친차이나
프랑스령 인도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프랑스령 수단
프랑스령 기니
프랑스령 오트볼타
프랑스령 다호메이
프랑스령 니제르
프랑스령 모리타니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프랑스령 우방기샤리
프랑스령 차드
프랑스령 알제리
프랑스령 소말릴란드
프랑스령 마다가스카르
프랑스 보호령 튀니지
프랑스 보호령 모로코

2. 역사

「라 마르세예즈」의 악보


「라 마르세예즈」는 프랑스 혁명 시기에 탄생하여 프랑스의 국가로 제정된 역사적인 노래이다.

1792년 4월 25일, 프랑스 혁명 정부가 오스트리아에 선전포고를 한 직후, 스트라스부르에 주둔하던 공병 대위 클로드 조제프 루제 드 릴이 '라인 군을 위한 전쟁의 노래(Chant de guerre pour l' armée du Rhin프랑스어)'라는 제목으로 작사·작곡했다. 이후 튈르리 궁 습격 때 마르세유 의용군이 이 노래를 부르며 파리에 입성하면서 '라 마르세예즈'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1795년 7월 14일 국민 공회에 의해 프랑스 국가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총재 정부 수립 이후 나폴레옹 시대와 부르봉 왕조 시대에는 "폭군을 쓰러뜨리는" 가사 내용 때문에 금지곡이 되기도 했다. 1830년 7월 혁명 이후 다시 국가로 부활했으며, 제3공화국, 제4공화국, 제5공화국 헌법에도 국가로 명시되었다.

1830년에는 엑토르 베를리오즈가 독창자와 이중 합창, 오케스트라를 위한 편곡을 하였고, 비틀즈의 "All You Need Is Love" 인트로에도 사용되었다. 1979년 세르주 갱스부르는 레게 버전으로 발표하기도 했다. 또한 차이콥스키의 "1812년 서곡"과 로베르트 슈만의 "두 사람의 척탄병"은 나폴레옹 군대의 상징으로 인용되기도 했다.

1942년 영화 《카사블랑카》에서는 라인강의 수비와 라 마르세예즈가 맞붙는 장면이 등장한다.

2015년 파리 테러 당시에는 전 세계 각지에서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테러에 맞선다는 의미로 널리 불렸으며,[62] 스타드 드 프랑스 경기장의 8만 관중이 대피하면서 일제히 라 마르세예즈를 불렀다.[63] 11월 17일 프랑스 의회에서는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의 대테러 연설 직후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 각료와 상하원 전 의원이 97년 만에 원내에서 합창하기도 했다.[64][65]

2016년 프랑수아 올랑드 정부는 2016년을 '라 마르세예즈의 해'로 선언하고, 프랑스 전국의 초등학교에 학생들이 국가를 잘 부를 수 있도록 교육하라는 지침을 내렸다.[66]

2. 1. 기원

이 노래는 프랑스 혁명 정부가 오스트리아에 선전 포고를 한 1792년 4월 25일부터 다음날 26일 밤 사이에, 스트라스부르에 주둔하고 있던 공병 대위 클로드 조제프 루제 드 릴이 출정 부대를 고무하기 위해 하룻밤 만에 작사·작곡한 것이다. 이때 붙여진 제목은 '라인 군을 위한 전쟁의 노래(Chant de guerre pour l'armée du Rhin프랑스어)'였다.[48] 릴 대위는 이 곡을 당시 라인 방면군 사령관 니콜라 뤼크네르 원수에게 바쳤다. 초기에는 6절까지 있었으나, 현재 7절까지 있는 가운데 마지막 부분(“아이들의 절”)은 같은 해 10월에 장 밥티스트 뒤부아, 마리 조제프 세니에, 뒤부아 신부의 작품이라고 알려져 있다. 모두 15절까지 있으나 7절까지만 부르고 있다.

프랑스 혁명이 계속되면서 유럽의 군주국들은 혁명의 열기가 자국으로 확산될 것을 우려했다.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은 혁명을 막거나, 적어도 프랑스 내로 제한하려는 노력이었다. 처음에는 프랑스 군대가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고, 동맹군이 프랑스를 침공했다. 1792년 4월 25일, 스트라스부르 시장이자 지역 프리메이슨 로지의 장의였던 필리프 프레데리크 드 디트리히 남작은 그의 프리메이슨 손님인 루제 드 릴에게 "위협받는 조국을 지키기 위해 모든 곳에서 온 우리 군인들을 결집시킬 노래"를 작곡해달라고 요청했다.[9][10] 그날 저녁, 루제 드 릴은 Chant de guerre pour l'Armée du Rhin프랑스어(라인 군대를 위한 군가)[11]를 썼고, 이 노래를 원수 니콜라 뤼크네르, 바이에른 출신으로 프랑스 군에서 복무한 프리메이슨에게 헌정했다.[12] 드 디트리히의 집이 있었던 브로이 광장의 건물에는 이 사건을 기념하는 현판이 있다.[13]

루제 드 릴, "라 마르세예즈"의 작곡가가 스트라스부르 시장 디트리히의 집에서 처음 노래를 부르다(1849년 이자도르 필스의 그림, 스트라스부르 역사 박물관).


이후 이 노래는 전국에 팸플릿 형태로 유포되었고, 8월 10일 사건(튈르리 궁 습격) 약 2주 전에 마르세유 연맹 병사들이 파리에 입성할 때 흥얼거렸던 것을 계기로 파리 시민들 사이에서 유행했다. 이 때문에 원래 제목이 아닌 현재의 '라 마르세예즈'[48]라는 형태로 정착되었다.

2. 2. 프랑스 국가로 채택

이 노래는 프랑스 혁명 정부가 오스트리아에 선전 포고를 한 소식이 스트라스부르에 도착한 1792년 4월 25일부터 다음날 26일 밤에 걸쳐 현지에 주둔하고 있던 공병 대위 클로드 조제프 루제 드 릴이 출정하는 부대를 격려하기 위해 하룻밤 만에 작사·작곡한 것이다. 이때 붙여진 제목은 '라인 군을 위한 군가(''Chant de guerre pour l'armée du Rhin''프랑스어)'였다. 릴 대위는 이 곡을 당시 라인 방면군 사령관 니콜라 뤼크네르 원수에게 헌정했다.

이후 이 노래는 전국에 팸플릿 형태로 유포되었고, 8월 10일 사건(튈르리 궁 습격) 약 2주 전에 마르세유 연맹 병사들이 파리에 입성할 때 흥얼거렸던 것을 계기로 파리 시민들 사이에서 유행했다. 이 때문에 원래 제목이 아닌 현재의 '라 마르세예즈[48]'라는 형태로 정착되었다. 1795년 7월 14일에는 국민 공회에서 국가로 채택되었다.

2. 3. 수난과 부활

이 노래는 1795년 7월 14일에 국가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총재 정부 수립 이후부터 나폴레옹, 부르봉 왕조까지는 “폭군을 쓰러 뜨리는” 내용 때문에 금지되었다.[18] 1830년 7월 혁명 이후 해금되어, 제3 공화국 하에 다시 국가로 제정되었고, 제4공화국의 《1946년 헌법》, 제5공화국의 《1958년 헌법》에도 ‘라 마르세예즈’를 국가로 결정한 취지가 명기되어 있다.[18]

1804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황제가 되자 "폭군(참주)을 타도하라"라는 부분은 세습 군주 전반을 가리키는 것이기에, 국가는 『출정의 노래』로 변경되었다. 그리고 『라 마르세예즈』는 제1 제정에서 왕정 복고에 걸쳐 특별한 허가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공공 장소에서 부르는 것이 금지되었다. 1830년의 7월 혁명 이후 해금되었고, 같은 해에 엑토르 베를리오즈가 독창자와 이중 합창, 오케스트라를 위한 편곡을 했다. 나폴레옹 3세에 의한 제2 제정 때는 다시 금지되었고, 제3 공화국 아래에서도 너무 강한 혁명의 이미지 때문에 정부에서 기피되었지만, 이보다 더 국민에게 인기와 지명도가 있는 노래가 없어 1879년에 다시 국가로 정해졌다.

프랑스 국기(삼색기)와 함께, 라 마르세예즈는 19세기 유럽에서 보편적인 자유와 혁명의 상징으로서 높은 인지도를 자랑했다. 1848년 혁명으로 유럽 각국에서 불린 데서 기인하여 제3공화국도 성립 초기에는 라 마르세예즈를 국가로 지정하는 것을 주저했다. 그러나 보불 전쟁 패배 이후 프랑스에서는 독일 제국에 대한 복수를 맹세하는 분위기가 강해졌고, 국내에서는 오히려 우익의 애국가로 정착되었다.

라 마르세예즈가 갖는 사상적인 울림, 다른 국가의 국가와 비교하여 호전적인 가사는 21세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번 물의를 빚고 있지만, 두 번의 세계 대전을 겪고도 이 노래는 프랑스 국민의 단결의 상징으로 널리 수용되고 있다.

3. 가사

라 마르세예즈는 1792년 4월 25일부터 다음날 26일 밤 걸쳐 클로드 조제프 루제 드 릴이 작사·작곡한 노래이다. 처음 붙여진 제목은 '라인군을 위한 전쟁의 노래'(''Chant de guerre pour l' armée du Rhin'')였다.[9][10][11] 튈르리 궁 습격 당시 파리에 입성했던 마르세유 의용군이 부르면서 현재의 ‘라 마르세예즈’라는 이름이 붙었고, 1795년 7월 14일 국가로 지정되었다.[17]

이 노래는 주로 1절만 불린다.

'라 마르세예즈'는 호전적인 가사 때문에 비판을 받기도 한다. 1992년에는 대통령 부인 등 저명인사들이 가사 개정을 요구하는 청원에 나서기도 했다. 이 노래에 담긴 강한 민족의식은 수많은 이민자와 그 후손들이 섞여 사는 현대 프랑스와 어울리지 않는다는 지적도 있다.[67] 또한, 가사가 아이들이 부르기에 너무 과격하고, 유럽 통합이 진행되는 현대에 주변국에 대한 적의가 담긴 노래를 유지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의견도 있다.

'라 마르세예즈'에는 여러 버전의 가사가 있지만, 여기서는 공식 프랑스어 가사를 싣는다.[55]

7절까지 모두 부를 수 있는 국민은 적으며, 가사를 기억하지 못하는 사람도 많다. 학교에서는 1절까지만 배우고, 국가를 제창할 때도 1절만 부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라 마르세예즈 가사 (1절과 후렴)
가사 내용혁명 정신
1절조국의 자녀들에게 영광의 날이 왔음을 알리고, 폭군의 피 묻은 깃발에 맞서 싸울 것을 촉구한다. 적들이 처자식의 목을 베러 온다고 외치며 공포감을 조성한다.애국심, 자유 수호, 폭정에 대한 저항
후렴시민들에게 무장하고 대오를 갖춰 전진하며, 적들의 "더러운 피"가 밭고랑을 적시도록 하자는 호소를 한다.결사항전, 희생을 통한 승리 추구


3. 1. 프랑스어 가사 및 번역

로마자 표기발음IPA 표기한국어 번역


3. 2. 가사의 의미와 비판

'라 마르세예즈'는 호전적이고 폭력적인 가사로 인해 비판을 받아왔다. 특히 "더러운 피"와 같은 표현은 외국인 혐오를 조장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67] 1992년에는 대통령 부인을 포함한 저명인사들이 국가 가사 개정을 요구하는 청원에 나서기도 했다.[67]

이러한 가사는 프랑스 혁명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한 것으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라 마르세예즈 가사 (1절과 후렴)
가사 내용혁명 정신
1절조국의 자녀들에게 영광의 날이 왔음을 알리고, 폭군의 피 묻은 깃발에 맞서 싸울 것을 촉구한다. 적들이 처자식의 목을 베러 온다고 외치며 공포감을 조성한다.애국심, 자유 수호, 폭정에 대한 저항
후렴시민들에게 무장하고 대오를 갖춰 전진하며, 적들의 "더러운 피"가 밭고랑을 적시도록 하자는 호소를 한다.결사항전, 희생을 통한 승리 추구



이처럼 '라 마르세예즈'는 강한 민족의식을 담고 있어, 이민자와 그 후손들이 많은 현대 프랑스 사회와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비판도 제기된다.[67] 또한, 유럽 통합이 진행되는 현대에 주변국에 대한 적의가 담긴 노래를 유지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의견도 있다.[67]

4. 논란과 비판

'라 마르세예즈'는 프랑스 혁명 정신을 담고 있는 노래이지만, 여러 논란과 비판에 직면해 왔다.

1992년에는 다니엘 미테랑을 비롯한 저명인사들이 가사 개정을 요구하는 청원에 나서기도 했다.[67] 이들은 '라 마르세예즈'의 가사가 호전적이며, 여러 민족과 이민자들이 함께 살아가는 현대 프랑스 사회와 어울리지 않고, 유럽 통합 상황에서 주변국에 대한 적의를 담은 노래를 국가로 유지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67]

1979년 세르주 갱스부르가 레게 버전의 '라 마르세예즈'를 발표하여 논란이 일었다.[45][46] ''르 피가로''는 갱스부르가 국가를 상업적으로 이용하고 반유대주의를 조장한다고 비난했다.

2015년 파리 테러 이후 '라 마르세예즈'는 테러에 맞서는 프랑스 국민들의 단결과 용기를 상징하는 노래로 다시 주목받았다.[62] 테러 당시 스타드 드 프랑스 경기장에서 대피하던 8만 관중이 일제히 노래를 불렀고,[63] 11월 17일 프랑스 의회에서는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의 대테러 연설 직후 '라 마르세예즈'를 합창했다.[64][65]

2016년 프랑수아 올랑드 정부는 2016년을 '라 마르세예즈의 해'로 선언하고, 프랑스 전국의 초등학교에 '라 마르세예즈' 교육 지침을 내렸다.[66]

4. 1. 가사의 호전성

'라 마르세예즈'는 가사가 지나치게 호전적이고 폭력적이라는 비판을 꾸준히 받아왔다.[67] 특히, 피로 얼룩진 깃발, 불순한 피 등의 표현은 현대 사회와 어울리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다.[67]

1992년에는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 부인 다니엘 미테랑 등 저명인사들이 가사 개정을 요구하는 청원에 나서기도 했다.[43][67] 이들은 강한 민족주의적 표현이 이민자와 그 후손들이 섞여 사는 현대 프랑스와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67] 또한, 아이들이 부르기에 부적절한 내용과 유럽 통합을 추구하는 시대에 주변국에 대한 적대감을 드러내는 가사가 부적절하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67]

제러미 벤담프랑스 혁명의 이상에 공감하여 프랑스 명예 시민권을 받았지만, 1796년 "라 마르세예즈"를 "무정부 상태의 전쟁 외침"이라고 비판하며, "신이여, 국왕을 구하소서"의 "아름다움"과 "단순함"에 비해 "매우 우울하고 평탄하며 불쾌한 곡조"라고 평가했다.[41]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프랑스 대통령은 현대 민주주의 독일의 총리가 파리에서 사열을 받는 상황에서, 프랑스 들판을 프로이센의 피로 적시는 내용의 노래를 부르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언급했다.[42]

2015년 파리 테러 이후, 영국의 역사학자 사이먼 샤마BBC 라디오 4의 ''투데이'' 프로그램에서 "라 마르세예즈"가 "위험에 직면했을 때 용기와 연대의 훌륭한 예시"이며, 특히 "우리 앞에는 폭정이 있고, 폭정의 피 묻은 깃발이 솟아올랐다"는 구절은 ISIS와 같은 현대의 폭정에 맞서는 프랑스인들의 심정을 대변한다고 옹호했다.[44]

1979년 세르주 갱스부르는 레게 버전인 "Aux armes et cætera"를 발표했지만, ''르 피가로'' 등에서 국가를 이용해 돈을 벌고 반유대주의를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노래의 군사적인 측면을 제거했다는 비판도 있었다.[45][46]

4. 2. 시대적 부적합성

'라 마르세예즈'는 프랑스 혁명 시기에 만들어져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는 그 가사가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67]

특히, 여러 민족과 이민자들이 함께 살아가는 다문화 사회인 현대 프랑스와는 맞지 않는 강한 민족의식이 담겨 있다는 지적이 있다.[67] 1992년에는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 부인을 포함한 저명인사들이 국가 가사 개정을 요구하는 청원을 하기도 했다.[43]

또한, 유럽 통합이 추진되는 현대에 주변국에 대한 적의를 담은 노래를 국가로 유지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의견도 있다.[67]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프랑스 대통령은 현대 민주주의 독일 총리가 파리에서 사열을 받는데, 프랑스 들판을 프로이센의 피로 적시는 내용의 노래를 부르는 것은 터무니없다고 말하기도 했다.[42]

제러미 벤담프랑스 혁명의 이상에 공감하여 프랑스 명예 시민권을 받았지만, "라 마르세예즈"에 대해서는 "매우 우울하고 평탄하며 불쾌한 곡조"라고 평가했다.[41]

4. 3. 세르주 갱스부르의 레게 버전 논란

1979년 세르주 갱스부르가 발표한 레게 버전의 "Aux armes et cætera"는 프랑스에서 큰 논란을 일으켰다.[45][46] 특히 ''르 피가로''는 갱스부르가 국가를 이용해 돈을 벌고 반유대주의를 조장한다고 비난했다. 갱스부르는 또한 노래의 군사적인 측면을 제거했다는 비판도 받았다.

5. 다른 음악 작품에 미친 영향

"라 마르세예즈"는 프랑스 혁명의 상징으로서 여러 음악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1830년 헥토르 베를리오즈는 이 노래를 소프라노, 합창단, 오케스트라를 위해 편곡했고,[28] 프란츠 리스트는 피아노 편곡을 만들었다.[29]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제임스 리스 유로프가 재즈 버전을 연주하기도 했다.[30]

비틀즈의 노래 "사랑은 모든 것"(1967년) 인트로에 사용되었고,[37] 1979년 세르주 갱스부르는 앨범 《자메이카로 날아가다》에서 레게 버전으로 불렀다.[30] 표트르 차이콥스키의 "1812년 서곡"(1880년)과 로베르트 슈만의 "두 사람의 척탄병"(1840년)은 나폴레옹 군대의 상징으로 인용되었다.[33]

1942년 영화 《카사블랑카》에서는 라 마르세예즈가 라인강의 수비와 대립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2015년 파리 테러 이후에는 전 세계 각지에서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테러에 맞서는 의미로 널리 불렸다.[62]

일제 치하대한민국에서 3·1 운동 당시 시위곡으로 사용되기도 했다.[31]

5. 1. 클래식 음악

헥토르 베를리오즈는 1830년경 이 노래를 소프라노, 합창단, 오케스트라를 위해 편곡했다.[28] 프란츠 리스트는 이 국가를 위한 피아노 편곡을 썼다.[29]

로베르트 슈만은 그의 피아노 독주곡인 ''빈 사육제의 광대극''(1839)의 첫 악장 "알레그로"에서 "라 마르세예즈"의 짧은 인용구를 사용했으며,[32] 그의 노래 "두 명의 척탄병" Op. 49 no. 1 (1840)의 마지막 절에서도 이 멜로디를 인용했다. 리하르트 바그너 역시 "Les deux grenadiers"(1840)의 마지막 절에서 이 멜로디를 인용했다. 표트르 차이콥스키는 그의 ''1812년 서곡''(1880)에서 나폴레옹 휘하의 프랑스군을 묘사하며 "라 마르세예즈"를 인용했지만, 보로디노 전투에서 러시아의 방어를 상징하는 대포 사격에 의해 묻힌다.[33]

5. 2. 대중음악

비틀즈의 노래 "사랑은 모든 것"(1967년) 인트로에 사용되었다.[37] 1979년 세르주 갱스부르는 앨범 《자메이카로 날아가다》에서 레게 버전으로 불렀다.[30] 표트르 차이콥스키의 "1812년 서곡"(1880년)과 로베르트 슈만의 "두 사람의 척탄병"(1840년)은 나폴레옹 군대의 상징으로 인용되었다.[33]

사라 샤흐너는 비디오 게임 ''어쌔신 크리드 유니티''(2014)의 공식 사운드트랙에 포함된 "노예가 되느니 차라리 죽음을"이라는 트랙에서 "라 마르세예즈"의 멜로디를 사용하고 재해석했는데, 이 게임은 프랑스 혁명을 배경으로 한다.[39]

6. 한국과의 관계

라 마르세예즈는 한국 근현대사에서 단순한 외국 국가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들은 이 노래를 통해 억압에 맞서는 용기와 희망을 얻었다.

6. 1. 독립운동가들의 애창곡

일제강점기 한국 독립운동가들은 프랑스의 국가인 라 마르세예즈를 애창하며 독립 의지를 불태웠다. 3·1 운동 당시 시위곡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31]

7. 기타

프랑스는 오랜 역사를 거치며 국가의 관습이 정착된 시기에 체제가 여러 번 바뀌었기 때문에, 한때 국가 또는 준국가로 사용되었던 노래들이 많다.[1]

7. 1. 프랑스의 다른 국가들

프랑스는 역사가 길고 국가의 관습이 정착된 시대에 체제가 여러 번 바뀌었기 때문에, 한때 국가·준국가였던 노래도 많다.[1]

  • 앙리 4세 만세(Vive Henri Ⅳ!) - 프랑스 혁명 전, 그리고 프랑스 복고 왕정 시대의 국가.[1]
  • 신은 위대한 왕을 지켜주소서(Domine, salvum fac regem) - 프랑스 왕국의 준국가, 왕실가.[1]
  • 출발의 노래(Le chant du depart) - 프랑스 제1 제정 시대의 국가.[1]
  • 라 파리지엔(La Parisinenne) - 7월 왕정 시대의 국가.[1]
  • 지롱드파의 노래(Le chant des girondins) - 프랑스 제2 공화정 시대의 국가.[1]
  • 시리아로 떠나가며(Partant pour la Syrie) - 프랑스 제2 제정 시대의 준국가.[1]
  • 인터내셔널(L'Internationale) - 파리 코뮌의 혁명가, 후의 소련 국가. 정치 정세에 따라서는 프랑스의 국가가 되었을 가능성도 있었다.[1]
  • 원수여, 우리 여기 있소!(Marechal, nous voila!) - 비시 정권의 준국가. 독일 점령 지역에서는 삼색기와 라 마르세예즈는 금지되었다.[1]
  • Le Chant des partisans|파르티잔의 노래프랑스어 - 자유 프랑스의 준국가. 프랑스 제4 공화국의 국가 자리를 라 마르세예즈와 다퉜다.[1]

참조

[1] 웹사이트 La Marsigliese? E' di un italiano https://video.espres[...] 2013-05-13
[2] 웹사이트 Giovanni Battista Viotti - Tema e variazioni in do maggiore (Best known as "La Marseillaise") https://www.youtube.[...] 2018-07-13
[3] 뉴스 La Marseillaise, un hymne à l'histoire tourmentée http://www.latribune[...]
[4] 웹사이트 Progetti Viotti http://www.guidorimo[...]
[5] 웹사이트 Six quatuor d'airs connus dialogués et variés pour deux violons, alto et violoncelle, divisés en deux Parties. 1° parte – Giovanni Battista Viotti https://edl.cultura.[...] 2024-05-23
[6] 서적 Giovanni Battista Viotti: «professione musicista»: Sguardo sull'opera, lo stile, le fonti https://books.google[...] Società Editrice di Musicologia 2017-12-31
[7] 웹사이트 Miscellanea: "Viotti e la Marsigliese. Falso e vero o i bufalari smascherati" di Giuseppina La Face e Carlo Vitali https://www.accademi[...] Accademia della Bufala 2024-05-23
[8] 웹사이트 Curiosità: l'hymne français a-t-il été composé par un Italien ? https://www.alliance[...] 2020-10-15
[9] 문서 ''Dictionnaire Universelle de la Franc-Maçonnerie'' Jode and Cara (Larousse 2011)
[10] 웹사이트 La Marseillaise https://web.archive.[...] National Assembly of France 2012-04-24
[11] 서적 Peasants into Frenchmen: The Modernization of Rural France, 1870–1914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2-04-24
[12] 간행물 Story of La Marseillaise https://books.google[...] Oliver Ditson Company 2012-04-24
[13] 웹사이트 Plaque Frédéric De Dietrich http://www.archi-wik[...] Archi-Wiki 2017-09-19
[14] 서적 Frederic de Dietrich, premier maire de Strasbourg https://books.google[...] Strasbourgh, Vve. Berger-Levrault & fils 1857
[15] 웹사이트 General François Mireur http://www.arcdetrio[...] 2015-01-26
[16] 문서 Wochenblatt, dem Unterricht des Landvolks gewidmet, Colmar 1792 http://mfa.allegrone[...]
[17]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Cultural References in Modern French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1-11-23
[18] 웹사이트 Modern History Sourcebook: La Marseillaise https://sourcebooks.[...] 2023-01-22
[19] 뉴스 "La Marseillaise, un hymne à l'histoire tourmentée" http://www.latribune[...] La Tribune 2015-11-20
[20] 웹사이트 Progetti Viotti http://www.guidorimo[...] 2019-08-24
[21] 웹사이트 La Marsigliese e il mistero attorno alla sua paternità https://www.ilfattoq[...] 2020-01-10
[22] 웹사이트 Six quatuor d'airs connus dialogués et variés pour deux violons, alto et violoncelle, divisés en deux Parties. 1° parte – Giovanni Battista Viotti https://edl.cultura.[...] 2024-05-23
[23] 웹사이트 Piano Concerto No. 25 in C major, K. 503 https://web.archive.[...] 2013-02-03
[24] 서적 La Marseillaise: enquête sur son véritable auteur https://books.google[...] V. Palmé, 1886; Nouvelles Éditions Latines 1992 1886
[25] 문서 Marseillaise
[26] 문서 Marseillaise
[27] 간행물 Is the Marseillaise a German composition? (The history of a hoax) 1922-04
[28] 문서 Hector Berlioz; Selections from His Letters, and Aesthetic, Humorous, and Satirical Writings Henry Holt, New York 1879
[29] 문서 Stokes' Encyclopedia of Music and Musicians Frederick Stokes, New York 1909
[30] 서적 Torchbearers of Democracy: African American Soldiers in the World War I Era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2010
[31] 웹사이트 "[외신속 3·1 운동] ⑩ 일제 치하서 울려퍼진 佛혁명가 '라 마르세예즈'" https://www.yna.co.k[...] 2019-02-21
[32] 웹사이트 Faschingsschwank aus Wien, Op. 26 (Carnival of Vienna) | Mimi Solomon | Piano Music | Free classical music online https://www.classica[...] 2023-11-18
[33] 웹사이트 Why does everyone love the Marseillaise, France's national anthem? https://www.classicf[...] 2023-03-26
[34] 웹사이트 The National Anthem's predecessor and influences https://web.archive.[...] Malacañang Palace 2014-06-10
[35] 문서 BBC Radio 3's CD Review program "Building a Library: Elgar: Violin Concerto" http://www.bbc.co.uk[...] 2012-01-14
[36] 웹사이트 Origins of our Club song https://www.lions.co[...] 2023-03-23
[37] 간행물 How the Beatles' 'All You Need Is Love' Made History https://www.rollings[...] 2014-08-28
[38] 웹사이트 The Spiritual French Revolution: A Miracle in Our Times, 5752 (1992) https://www.chabad.o[...] Chabad.org 2020-06-21
[39] 웹사이트 Access the Animus – Interview with Sarah Schachner https://www.accessth[...] www.accesstheanimus.com 2022-12-21
[40] 논문 Из истории отечественных государственных гимнов http://www.hymn.ru/p[...]
[41] 서적 Writings on the Poor Laws, Vol. I Clarendon Press
[42] 뉴스 Cannes star denounces 'racist' Marseillaise at festival opening http://www.thetimes.[...] 2014-05-14
[43] 뉴스 Aux Barricades! 'La Marseillaise' Is Besieged https://www.nytimes.[...] 1992-03-05
[44] 뉴스 Simon Schama explains La Marseillaise https://www.bbc.co.u[...] 2015-11-17
[45] 웹사이트 Revisiting Serge Gainsbourg's version of 'La Marseillaise' https://faroutmagazi[...] 2022-04-02
[46] Youtube Aux armes et caetera https://www.youtube.[...] 2018-06-07
[47] 웹사이트 【W杯】「ラ・マルセイエーズ」熱唱するフランスがベルギーを粉砕 グローバルだからこそ国歌斉唱は必要だ https://news.yahoo.c[...] ヤフーニュース 2018-07-11
[48] 문서 直訳すると「マルセイユの女」となってしまって不自然。"La Marseillaise armée"(マルセイユ軍)から"armée"が省略されたものと理解できよう。
[49] 웹사이트 Quand Valéry Giscard d'Estaing remaniait la Marseillaise https://www.cmf-musi[...] 2020-12-04
[50] Youtube "La Marseillaise" entonnée par les députés à l'Assemblée nationale https://www.youtube.[...] France24
[51] Youtube French parliament sings La Marseillaise - BBC News https://www.youtube.[...] BBC News
[52] Youtube La Marseillaise interprétée par l’Académie de l’Opéra de Paris et le Chœur de l’Armée https://www.youtube.[...] BFMTV
[53] Youtube La Marseillaise à Notre-Dame de Paris https://www.youtube.[...] la Croix
[54] Youtube 17.11.2015 - Wembley friendly match England - France national anthems https://www.youtube.[...] pridisi
[55] 문서 프랑스 정부는 공식な他国語の訳を発表していない。
[56] 문서 Dictionnaire Universelle de la Franc-Maçonnerie page 601 - Jode and Cara (Larousse - 2011)
[57] 문서 Story of La Marseillaise https://books.google[...] Benjamin F. Stevens, Oliver Ditson Company 1896-01
[58] 문서 Plaque Frédéric De Dietrich http://www.archi-wik[...] Archi-Wiki
[59] 문서 Frederic de Dietrich, premier maire de Strasbourg https://books.google[...] Louis Spach, Strasbourgh, Vve. Berger-Levrault & fils 1857
[60] 문서 General François Mireur http://www.arcdetrio[...]
[61] 문서 The Routledge Dictionary of Cultural References in Modern French https://books.google[...] Michael Mould, Taylor & Francis 2011
[62] 뉴스 "<파리 테러> \"겁먹지마…자유는 테러보다 강하다\" 지구촌 물결"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11-14
[63] 뉴스 전세계서 합창 프랑스국가…”호전적” 지적도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TV 2015-11-19
[64] 뉴스 올랑드 佛대통령 "프랑스는 전쟁 중…테러리즘 뿌리뽑겠다"(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11-17
[65] 뉴스 "[뉴스 7] 97년 만에 佛 의회서 울려퍼진 '라 마르세예즈'" http://news.tvchosun[...] TV조선 2015-11-15
[66] 뉴스 佛 "초등생들이 國歌 잘 부르게 교육하라" http://news.chosun.c[...] 조선닷컴 2016-02-12
[67] 뉴스 "<추왕훈의 데자뷔> 라 마르세예즈와 님을 위한 행진곡"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6-05-18
[68] 문서 프랑스 왕당파의 장군으로, 반혁명 분자를 대표하는 인물로서 언급된다.
[69] 문서 일반적인 경우 생략되어 불리지 않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