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백 (중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백은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황하의 신으로, 강을 다스리는 존재로 묘사된다. 탐욕스럽고 예측 불가능하며 파괴적인 존재로 여겨지기도 하며, 용, 거북이, 물고기 등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하백은 인신 제사의 대상이었으며, 젊은 여성을 제물로 바치는 풍습이 존재했다. 이러한 하백 숭배는 문화적 영향을 미쳐, 문학 작품에 등장하고 비디오 게임의 소재로 활용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갓파의 기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하 수계 - 정국거
    정국거는 전국시대 말 진나라의 국력 강화에 기여한 수리 시설로, 관중 지역의 농업 생산량을 증대시켜 진나라의 천하통일 기반을 마련했으며, 중국 3대 수리 시설이자 세계 관개 시설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황하 수계 - 곤우치수
    곤우치수는 중국 신화에서 요 임금 시대의 대홍수를 곤과 우가 다스리는 과정을 다루며, 우가 배수 중심의 방법으로 홍수를 성공적으로 다스려 하나라를 건국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 하천의 의인화 - 크눔
    크눔은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나일강의 근원을 주관하며 생명을 창조하는 창조신이자 도공신으로, 엘레판티네와 에스나를 중심으로 숭배받았다.
  • 하천의 의인화 - 아누케트
    아누케트는 고대 이집트의 여신으로, 나일강 범람과 이집트 남부 국경을 수호하며, 크눔, 사티트와 함께 삼위일체를 이루어 숭배받았고, 신왕국 시대에는 축제가 열리기도 했다.
  • 중국 신화에 관한 - 팔선
    팔선은 중국 도교 신화에 등장하는 각기 다른 특징과 상징물을 가진 여덟 명의 신선으로, 시대와 매체에 따라 구성원이 다르게 나타나며 민간 신앙의 대상이자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등장한다.
  • 중국 신화에 관한 - 서유기
    《서유기》는 현장 일행의 서역 구법 여행을 그린 16세기 중국 소설로, 불교, 도교, 유교 사상이 융합된 상상력 넘치는 이야기와 해학적인 문체로 동아시아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저자는 오승은으로 알려져 있으나 논쟁 중이다.
하백 (중국)
일반 정보
강의 신 하백 그림
하백
다른 이름빙이 (冰夷)
직책강의 신
문화중국 신화
신화 속 이야기
거주지황하
배우자낙신
가족우사 (하인)
숭배
숭배 지역황하 유역
중국
관련 항목
관련 인물굴원

2. 어원

하(河)라는 글자는 일반적으로 강을 지칭하거나, 특정 하천을 지칭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하백(河伯)은 특히 중국의 황하와 주로 연관된다.

현대적인 의미의 백(伯)은 일반적으로 명예로운 칭호로 여겨지며, 무관 또는 귀족적 지위를 나타내는 것으로, 영어의 "백작(count)" 또는 "얼(earl)"로 번역되는 유럽의 귀족 작위와 유사하다. 또한, 아버지의 맏형과 같은 '삼촌'이라는 의미도 있다.

3. 신화 속 묘사 및 성격

''산해경'' 1597년 판에 묘사된 하백


하백(河伯중국어)은 황하의 신으로, 중국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세계 주요 강 중 하나인 황하를 의인화한 존재이다. 황하의 특성을 반영하여 자비롭지만, 탐욕스럽고 예측 불가능하며, 때로는 위험할 정도로 파괴적인 면모를 지닌 것으로 여겨져 왔다.

진나라 학자 곽박은 초기 삽화에서 하백이 구름 속에서 두 마리의 용이 끄는 전차를 타고 사방으로 질주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고 언급했다. ''초사''의 "구가"에서는 하백과의 결혼 여정을 묘사하는데, 이때 하백은 두 마리의 용이 끄는 전차를 타고 등장한다. 사자와 같은 초기 기록에서는 우왕에게 하도를 하사했으며, 인간의 하얀 얼굴에 물고기의 몸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하고 있다.

시 "천문"은 예가 하백을 쏘는 신화를 암시한다. 한나라의 주석가 왕일은 예가 흰 용으로 변신하여 강을 여행하던 하백의 왼쪽 눈을 쏘았고, 이에 하백이 천상의 신에게 불평했지만, 신은 오히려 하백의 잘못을 지적하고 예를 옹호했다는 이야기를 덧붙였다. ''회남자''는 예가 하백이 사람들을 익사시켰기 때문에 그를 쏘았다고 언급했다. ''장자''에서는 하백이 북해를 방문하여 바다의 신인 약(Ruo)을 만나는 이야기가 나온다.

하백은 사람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흰 거북, 혹은 , 혹은 용이 끄는 수레를 탄다고 여겨진다. 또는 흰 의 모습이거나 그 모습으로 변신한다고도 하며, 사람의 머리에 물고기의 몸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빙이(冰夷) 또는 병이(憑夷)라는 인간 남자였으며, 빙이가 황하에서 익사했을 때, 천제로부터 하백(황하의 )으로 임명되었다고 한다. 도교에서는 빙이가 강가에서 선약을 마시고 선인이 된 것이 하백이라고 한다.

젊은 여성을 생제물로 요구하여, 생제물이 끊기면 홍수를 일으킨다고 했다. 이 "하백의 시집보내기"의 습속은 은나라 때부터 있었다.[6] 전국 위에서는, 서문표가 꾀를 내어 이 습속을 폐지했다.[5]

황하의 지류낙수의 신 낙백과 싸웠으며[5], 혹은 낙수의 여신인 낙빈을 아내로 맞이했지만, 낙빈을 사랑한 후예에 의해 왼쪽 을 꿰뚫렸다.[6]

사기』하거서에도 그 이름이 보이며[7], 『초사』구가에는 하백의 시가 있다.[8]장자』추수편에서는 하백이 "우물 안 개구리"에 관한 대화를 하고 있다. "하백녀"라는 딸이 있었다.[6]

3. 1. 외형



하백은 황하의 신으로, 중국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세계 주요 강 중 하나이다. 황하의 의인화를 반영하여 하백은 자비롭지만 탐욕스럽고 예측 불가능하며 위험할 정도로 파괴적인 존재로 여겨져 왔다.[6]

진나라 학자 곽박은 초기 삽화에서 하백이 구름 속에서 두 마리의 용이 끄는 전차를 타고 사방으로 질주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고 언급했다.[6] ''초사''의 "구가"에서는 연기자가 두 마리의 용이 끄는 전차를 타고 그와 함께 결혼 여정을 떠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6] 사자와 같은 초기 기록에서는 하백이 우왕에게 하도를 하사했으며, 하백은 인간의 하얀 얼굴에 물고기의 몸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하고 있다.[6]

시 "천문"은 예가 하백을 쏘는 신화를 암시한다.[6] 한나라의 주석가 왕일은 이와 관련하여 예가 하백을 쏜 이유와 그에 대한 천상의 신의 반응에 대한 이야기를 덧붙였다. ''회남자''는 예가 하백이 사람들을 익사시켰기 때문에 그를 쏘았다고 언급했다.[6]

''장자''에서는 하백이 북해를 방문하여 바다의 신인 약(Ruo)을 만나는 이야기가 나온다.

하백은 사람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흰 거북, 혹은 , 혹은 용이 끄는 수레를 탄다고 여겨진다. 또는 흰 의 모습이거나 그 모습으로 변신한다고도 하며, 사람의 머리에 물고기의 몸을 가졌다고도 한다.

원래는 빙이(冰夷) 또는 병이(憑夷)라는 인간 남자였으며, 빙이가 황하에서 익사했을 때 천제로부터 하백(황하의 )으로 임명되었다고 한다. 도교에서는 빙이가 강가에서 선약을 마시고 선인이 된 것이 하백이라고 한다.

젊은 여성을 생제물로 요구하여, 생제물이 끊기면 홍수를 일으킨다고 했다. 이 "하백의 시집보내기" 풍습은 은나라 때부터 있었다.[6] 전국 위에서는 서문표가 꾀를 내어 이 풍습을 폐지했다(『사기』 활계열전)[5]

하백은 황하의 지류낙수의 신 낙백과 싸웠으며(『죽서기년』),[5] 혹은 낙수의 여신인 낙빈을 아내로 맞이했지만, 낙빈을 사랑한 후예에게 왼쪽 을 꿰뚫렸다(『초사천문)[6]

3. 2. 성격

하백은 황하의 신으로, 중국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강을 의인화한 존재이다. 하백은 자비로우면서도 탐욕스럽고, 예측 불가능하며 파괴적인 면모를 가진 신으로 여겨진다.[6]

진나라 학자 곽박은 하백이 두 마리의 용이 끄는 전차를 타고 하늘을 달리는 모습으로 묘사된다고 기록했다. 초사의 "구가"에서는 하백과 함께 하는 결혼 여정이 묘사되는데, 여기서도 두 마리 용이 끄는 전차가 등장한다. 사자와 같은 초기 기록에서는 하백이 우왕에게 하도를 주었다고 하며, 인간의 얼굴에 물고기 몸을 가진 존재로 묘사된다.[6]

천문에서는 예가 하백을 쏘았다는 신화가 언급된다. 한나라의 왕일은 예가 흰 용으로 변신하여 강을 여행하던 하백의 왼쪽 눈을 쏘았고, 이에 하백이 천상의 신에게 불평했지만, 신은 오히려 하백의 잘못을 지적하고 예를 옹호했다는 이야기를 덧붙였다.[6] 회남자에서는 예가 사람들을 익사시킨 하백을 벌하기 위해 활을 쏘았다고 전한다.[6]

장자에는 하백이 북해를 방문하여 바다의 신 약(Ruo)을 만나 자신의 어리석음을 깨닫는 이야기가 나온다. 하백은 황하의 거대함에 자만했지만, 북해의 광대함을 보고 자신의 무지를 깨닫고 겸손해진다.[6]

하백은 사람의 모습을 하거나, 흰 거북, , 또는 용이 끄는 수레를 타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흰 으로 변신하거나, 사람 머리에 물고기 몸을 가진 모습으로도 나타난다.[6]

원래는 빙이(冰夷) 또는 병이(憑夷)라는 인간 남자였는데, 황하에서 익사한 후 천제에 의해 하백으로 임명되었다고 한다. 도교에서는 빙이가 강가에서 선약을 먹고 선인이 되어 하백이 되었다고 한다.[6]

하백은 젊은 여성을 생제물로 요구했으며, 제물이 없으면 홍수를 일으킨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하백의 시집보내기" 습속은 은나라 때부터 있었으나, 전국 위에서 서문표에 의해 폐지되었다.[5]

하백은 황하의 지류낙수의 신 낙백과 싸웠다는 이야기도 있고, 낙빈을 아내로 맞이했지만 후예에게 왼쪽 을 꿰뚫렸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5]

3. 3. 주요 신화



황하의 신인 하백은 중국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강의 의인화이다. 하백은 자비로우면서도 탐욕스럽고, 예측 불가능하며 파괴적인 면모를 동시에 지닌 존재로 여겨져 왔다.

진나라 학자 곽박은 하백이 두 마리의 용이 끄는 전차를 타고 하늘을 질주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고 기록했다. ''초사''의 "구가"에서는 하백과의 결혼 여정을 묘사하며, 이때 하백은 두 마리의 용이 끄는 전차를 탄다. 사자와 같은 초기 기록에서는 하백이 우왕에게 하도를 주었으며, 인간의 얼굴에 물고기 몸을 가진 존재로 묘사된다.

천문"에서는 예가 하백을 쏘았다는 신화가 언급된다. 한나라의 왕일은 이 신화에 대한 주석을 덧붙였다. ''회남자''에서는 예가 하백이 사람들을 익사시켰기 때문에 그를 쏘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장자''의 한 장에서는 하백이 북해를 방문하여 바다의 신 약(Ruo)을 만나는 이야기가 나온다.

하백은 사람의 모습을 하고 흰 거북, , 혹은 용이 끄는 수레를 탄다고 여겨진다. 흰 으로 변신하거나, 사람 머리에 물고기 몸을 가졌다고도 한다. 원래는 빙이(冰夷) 또는 병이(憑夷)라는 인간 남자였으며, 황하에서 익사한 후 천제로부터 하백으로 임명되었다고 한다. 도교에서는 빙이가 강가에서 선약을 먹고 선인이 되어 하백이 되었다고 한다.

하백은 젊은 여성을 생제물로 요구했으며, 제물이 없으면 홍수를 일으켰다고 한다. 이러한 "하백의 시집보내기" 습속은 은나라 때부터 있었다[6].전국 위에서는 서문표가 이 습속을 폐지했다(『사기』활계열전)[5]

하백은 황하의 지류낙수의 신 낙백과 싸웠으며(『죽서기년』)[5], 낙빈을 아내로 맞이했지만 후예에게 왼쪽 을 꿰뚫렸다(『초사천문[6]).

사기』하거서에도 하백의 이름이 등장하며[7], 『초사』구가에는 하백의 시가 있다[8]。『장자』추수편에서는 하백이 "우물 안 개구리"에 관한 대화를 한다. "하백녀"라는 딸이 있었다[6]

4. 역사 속 숭배

소운총이 그린 ''이소''의 하백, 1645년 판화


황하는 신화 속 곤륜산에서 발원한 것으로 여겨져, 고대 중국 북서부와 중부 국가에서 하백 숭배가 시작되어 남쪽으로 퍼져나갔다.[3] 하백은 여러 시대에 걸쳐 인신 제사의 대상이자 황실 숭배의 대상이었다.[3] 우 임금이 대홍수를 종식시키는 데 도움을 준 것은 황하 지도를 제공했기 때문이라고 한다.[4]

상나라 시대 갑골 문자 비문을 보면 하백에게 희생 제물을 바쳤음을 알 수 있다.[3] 동물을 비롯해 젊은 여성들이 하백의 아내가 되기 위해 강에 빠져 희생되었다.[3] 인신 제사는 전국 시대까지 계속되었고, 특히 처녀를 신부 뗏목에 태워 하백에게 바치는 의식이 두드러졌다.[3] 이 관습은 야의 무당 학교 출신 학자 관료 서문표에 의해 끝난 것으로 보이나,[3] 진 시황제 시대까지 다른 곳에서는 신부 제사가 계속되었다.[4] ''장자''에는 의식을 담당하는 무(巫)와 주(祝)가 흰 이마를 가진 소, 들창코 돼지, 치질 환자는 제물로 부적절하다고 여겼다는 기록이 있다.[3] 사람들은 말을 물에 빠뜨리거나 귀중품을 강에 던져 희생하기도 했으며, 한나라 시대에는 옥과 함께 산 말을 바치는 제사가 기록되어 있다.[3]

4. 1. 중국

하백은 황하의 신으로, 곤륜산에서 발원한 황하의 특성 때문에 고대 중국 북서부와 중부 지역에서 숭배가 시작되어 남쪽으로 퍼져나갔다.[3] 여러 시대에 걸쳐 하백에게 인신공양이 이루어졌으며, 황실에서도 하백을 숭배했다.[3]

하백은 우 임금이 대홍수를 해결하는 데 황하 지도를 제공하여 도움을 주었다고 전해진다.[4] 하백의 아내가 되기 위해 동물을 비롯하여 젊은 여성들이 강에 빠져 희생되었다.[3] 갑골 문자 기록을 보면 상나라 시대에 하백에게 희생 제물을 바쳤음을 알 수 있다.[3]

인신공양은 전국 시대까지 계속되었는데, 특히 젊은 여성 신부를 뗏목에 태워 하백에게 바치는 의식이 성행했다.[3] 이러한 관습은 학자이자 관료인 서문표에 의해 (야의 무당 학교에서) 사라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3] 그러나 진 시황제 시대까지 다른 지역에서는 신부 제사가 계속되었다.[4] ''장자''에는 무당들이 흰 이마를 가진 소, 들창코 돼지, 치질 환자는 제물로 적합하지 않다고 여겼다는 기록이 있다.[3]

사람들은 말을 물에 빠뜨리거나 귀중품을 강에 던져 하백에게 제물로 바치기도 했다.[3] 한나라 시대에는 옥과 함께 산 말을 제물로 바치는 제사가 기록되어 있다.[3]

하백은 사람의 모습을 하고 흰 거북, , 또는 용이 끄는 수레를 탄다고 알려져 있다. 흰 의 모습이거나 그 모습으로 변신할 수 있다고도 하며, 사람 머리에 물고기 몸을 가졌다고도 한다.

원래 하백은 빙이(冰夷) 또는 병이(憑夷)라는 인간 남자였는데, 황하에서 익사한 후 천제로부터 하백(황하의 )으로 임명되었다고 한다. 도교에서는 빙이가 강가에서 선약을 먹고 선인이 되어 하백이 되었다고 한다.

하백은 젊은 여성을 생제물로 요구했으며, 제물이 끊기면 홍수를 일으킨다고 믿었다. "하백의 시집보내기" 풍습은 은나라 때부터 있었다.[6] 전국 시대 위나라 지역에서는 서문표가 계책을 써서 이 풍습을 없앴다(『사기』 활계열전).[5]

하백은 황하의 지류낙수의 신 낙백과 싸웠다고도 한다(『죽서기년』).[5] 혹은 낙수의 여신인 낙빈을 아내로 맞이했으나, 낙빈을 사랑한 후예에게 왼쪽 을 찔렸다고도 한다(『초사천문).[6]

사기』 하거서에도 하백의 이름이 등장한다.[7]초사』 구가에는 하백의 시가 있다.[8]장자』 추수편에서는 하백이 "우물 안 개구리"에 관한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나온다. 하백에게는 "하백녀"라는 딸이 있었다.[6]

5. 문화적 영향

하백은 고대 시집인 《초사》에 수록된 작품 《구가》의 등장인물 중 하나로, 주류 문화에 가장 많이 알려진 신이다.[1]

하백은 비디오 게임 에이지 오브 미쏠로지의 확장팩 '드래곤의 이야기'에서 선택 가능한 신으로 등장하며, MOBA SMITE에서는 플레이 가능한 마법사로 등장한다.

일본에서는 하백을 갓파의 다른 이름으로 보거나, "갓파"로 읽기도 한다. "카하쿠"가 "갓파"의 어원이라는 설도 있다. 이는 고대 기우제 의례의 일환으로 도교 주술 의례가 야마토 조정에 전래되어, 토착 강신(川神) 신앙과 합쳐진 것으로 여겨진다. 6세기 말부터 7세기에 걸친 유적에서 하백에게 바쳐진 것으로 보이는 소의 두개골이 출토되기도 했다.

서유기의 등장인물인 사오정은 일본에서는 갓파로 여겨지지만, 중국에서는 하백으로 여겨진다.

5. 1. 문학

하백은 고대 시집인 《초사》에 수록된 작품인 《구가》, 즉 "아홉 개의 노래"의 등장인물 중 하나이다. "하백"을 포함한 《구가》의 가사는 원래 의상, 안무, 음악 반주 및 기타 특징을 포함하는 고대 종교 드라마 공연의 서정적인 부분이었던 것으로 보이며, 가사와 달리 역사의 변화 속에서 살아남지 못했다. 이 작품에 언급된 신들 중에서 하백은 가장 주류 문화에 어필하는 신이다.

사람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흰 거북, 혹은 , 혹은 용이 끄는 수레를 탄다고 여겨진다. 또는 흰 의 모습이거나 그 모습으로 변신한다고도 하며, 사람의 머리에 물고기의 몸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빙이(冰夷) 또는 병이(憑夷)라는 인간 남자였으며, 빙이가 황하에서 익사했을 때, 천제로부터 하백(황하의 )으로 임명되었다고 한다. 도교에서는 빙이가 강가에서 선약을 마시고 선인이 된 것이 하백이라고 한다.

젊은 여성을 생제물로 요구하여, 생제물이 끊기면 홍수를 일으킨다고 했다. 이 "하백의 시집보내기"의 습속은 은나라 때부터 있었다[6].전국 위에서는, 서문표가 꾀를 내어 이 습속을 폐지했다(『사기』활계열전)[5]

황하의 지류낙수의 신 낙백과 싸웠다(『죽서기년』)[5]。혹은, 낙수의 여신인 낙빈을 아내로 맞이했지만, 낙빈을 사랑한 후예에 의해 왼쪽 을 꿰뚫렸다(『초사천문[6]

사기』하거서에도 그 이름이 보인다[7]。『초사』구가에는 하백의 시가 있다[8]。『장자』추수편에서는 하백이 "우물 안 개구리"에 관한 대화를 하고 있다. "하백녀"라는 딸이 있었다[6]

5. 2. 대중문화


  • 에이지 오브 미쏠로지의 확장팩 '드래곤의 이야기'에서 하백은 선택 가능한 신들 중 하나이다.
  • SMITE에서 하백은 플레이 가능한 마법사이다.

5. 3. 일본

일본에서는 하백을 갓파의 이명으로 삼거나, 하백을 "갓파"로 훈독하기도 한다. 또한, 일설에는 하백이 일본에 전해져 갓파가 되었다고 하며, "카하쿠"가 "갓파"의 어원이라고도 한다. 이는 고대에 기우제 의례의 일환으로 도교 주술 의례가 야마토 조정에 전래되어, 재지(在地)의 강신(川神) 신앙과 습합된 것으로 여겨진다. 일본의 6세기 말부터 7세기에 걸친 유적에서도 하백에게 바쳐진 것으로 보이는 소의 두개골이 출토되고 있다. 이 때문에, 연구자 중에는 서일본 갓파의 기원을 6세기 무렵으로 추정하는 사람도 있다.

서유기의 등장인물인 사오정은, 일본에서는 갓파로 여겨지지만, 중국에서는 하백으로 여겨진다.

참조

[1] 웹사이트 被水下的洛神惊艳,你可知道她的前世今生? http://yn.people.com[...] 2024-03-21
[2] 웹사이트 Luo Shen 洛神, the Goddess of the River Luo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2024-03-21
[3] 서적
[4] 서적
[5] 서적 中国文化史大事典 大修館書店
[6] 서적 中国神話・伝説大事典 大修館書店
[7] 위키문헌 史記/卷029
[8] 위키문헌 楚辭/九歌#河伯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