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선사 시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의 선사 시대는 지질학적 선사 시대와 인류학적 선사 시대로 구분된다. 지질학적 선사 시대는 선캄브리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중생대와 신생대를 거치며 한반도의 지형이 형성되었다. 인류학적 선사 시대는 3시대 구분법에 따라 빗살무늬 토기 시대(신석기 시대), 무문 토기 시대(청동기 시대), 삼한/원삼국 시대(철기 시대)로 나뉜다. 한반도에서 인류는 구석기 시대부터 거주했으며, 신석기 시대에는 빗살무늬 토기가 사용되었고, 청동기 시대를 거쳐 철기 시대로 접어들면서 사회가 변화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선사 시대 유적 - 서산 휴암리 선사유적지
서산 휴암리 선사유적지는 충청남도 서산시 휴암리에서 발견된 신석기시대 유적으로, 11개의 움집 터와 볍씨가 붙어 있는 민무늬토기를 통해 당시 벼농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는 '휴암리형 집터'가 특징이다. - 한국의 선사 시대 유적 - 청석굴
청석굴은 충청북도 청주시에 위치한 옥화9경 중 제1경으로, 옥천 누층군으로 구성된 동굴이다. - 한국의 선사 시대 - 한국의 신석기 시대
한국 신석기 시대는 기원전 8000년경부터 기원전 1500년경까지 한반도에서 빗살무늬토기와 간석기를 사용하며 농경과 어로 활동을 하고 움집을 중심으로 정착 생활을 한 시대로, 당시 자연환경 변화가 생활 방식과 사회 구조에 영향을 미쳤으며 애니미즘, 토테미즘, 샤머니즘 등의 신앙과 다양한 예술 활동의 흔적이 발견된다. - 한국의 선사 시대 - 민무늬토기 시대
민무늬토기 시대는 빗살무늬토기 시대 이후 한반도와 요하 유역에서 기원전 2000년부터 기원전 300년경까지 농경, 어로, 수렵, 채집 활동과 함께 고인돌과 대규모 취락이 나타난 시대이며, 전기, 중기(송국리 문화), 후기(철기 출현, 사회적 갈등 심화)로 구분된다. - 한국의 역사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5년간 지속된 시기로, 강제 병합, 경제적 착취, 정치적 억압, 문화적 동화 정책 등이 특징이며, 3·1 운동과 같은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고, 위안부 문제 등 심각한 인권 유린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논의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한국의 역사 - 국가재건최고회의
국가재건최고회의는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군사 정권 기구로, 헌법 일부 조항 효력 정지, 국회 해산 등 권위주의적 통치를 펼치며 경제 개발을 추진했으나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는 비판을 받았고, 1963년 제3공화국 출범과 함께 해산되었다.
한국의 선사 시대 | |
---|---|
개요 | |
![]() | |
시대 | 구석기 시대 ~ 청동기 시대 |
위치 | 한반도 |
시대별 개요 | |
구석기 시대 | 대략 70만 년 전부터 시작 |
신석기 시대 | 기원전 8000년경 시작 |
청동기 시대 | 기원전 2000년경 시작 |
철기 시대 | 기원전 700년경 시작 |
주요 문화 | |
구석기 시대 | 뗀석기 사용 |
신석기 시대 | 빗살무늬토기 사용, 농경 시작 |
청동기 시대 | 고인돌 축조, 계급 발생 |
주요 유적지 | |
구석기 시대 | 연천 전곡리 유적, 단양 금굴 유적 |
신석기 시대 | 서울 암사동 유적, 부산 동삼동 패총 |
청동기 시대 | 부여 송국리 유적, 울산 검단리 유적 |
사회 | |
신석기 시대 | 씨족 사회 |
청동기 시대 | 계급 사회 |
경제 | |
신석기 시대 | 농경 및 어로 |
청동기 시대 | 농경 생산력 증가, 잉여 생산물 발생 |
일본어 명칭 | |
명칭 | 朝鮮の先史時代 (ちょうせんのせんしじだい) |
2. 지질학적 선사 시대
지질학적 선사 시대는 한반도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부분이다.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은 선캄브리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 연천의 지질 시스템이 이에 해당하며, 서울 주위에서 북동쪽 방면으로 연천군까지 뻗어 있다.
한반도는 중생대에 활발한 지질학적 시기를 보냈으며, 이 시기에 많은 산맥이 형성되었고, 신생대에 들어서면서 점차 안정되었다.
2. 1. 선캄브리아 시대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은 선캄브리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1] 연천계는 이 시대에 해당하며, 서울 주변에서 북동쪽으로 연천군까지 뻗어 있다. 연천계는 상부와 하부로 나뉘며, 다음과 같은 암석들로 구성되어 있다.
2. 2. 중생대
한반도는 중생대에 활발한 지질학적 시기를 보냈으며, 이 시기에 많은 산맥이 형성되었다. 경상도를 중심으로 흑운모 화강암, 혈암, 사암, 역암질 안산암, 현무암, 유문암, 응회암 등이 형성되었다.[1]2. 3. 신생대
한반도는 중생대에 활발한 지질 활동으로 많은 산맥이 형성되었고, 신생대에 들어서면서 점차 안정되었다. 중생대에 형성된 주요 지층으로는 경상 누층군이 있으며, 경상북도 대부분 지역에 걸쳐 흑운모 화강암, 셰일, 사암, 역암, 안산암, 현무암, 유문암, 응회암 등이 분포한다.[1]3. 인류학적 선사 시대
한국의 역사학자들은 3시대 구분법을 사용하여 한국 선사 시대를 분류한다. 이 방법은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 제국주의 고고학자들이 "한국에는 청동기 시대가 없었다"는 주장에 반박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는 한국의 문명 시작이 일본보다 빨랐고, 청동기 시대의 한국이 철기 시대 이전의 일본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함이었다.[2]
3시대 구분법에 따르면 한국의 선사 시대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시대 | 시기 | 특징 |
---|---|---|
빗살무늬 토기 시대 (신석기 시대) | 기원전 8000년 ~ 1500년 | 빗살무늬토기 사용, 수렵, 채집, 초기 농경 |
무문 토기 시대 (청동기 시대) | 기원전 1500년 ~ 300년 | 무문토기 사용, 청동기 사용, 농경 발달 |
삼한 / 원삼국 시대 (철기 시대) | 기원전 100년 ~ 서기 300년 | 철기 사용, 초기 국가 형성 |
그러나 한국에 적용된 3시대 구분법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원래 이 용어는 정착, 토기, 농경이 함께 신석기 시대를 특징짓는 선사 유럽을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한국 고고학자들은 신석기 시대가 기원전 8000년에 시작되어 기원전 1500년까지 지속되었다고 주장하지만, 고고식물학 연구에 따르면 최초의 "진정한" 경작은 기원전 3500년경에 시작되었다. 따라서 기원전 8000년부터 3500년까지의 기간은 중석기 시대 문화 단계에 해당한다.[3]
또한, 한국 고고학자들은 전통적으로 청동기 시대의 시작을 기원전 1500년 또는 1000년으로 보았지만, 청동 기술은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기원전 700년경까지 채택되지 않았고, 고고학적 기록에 따르면 청동 물체는 기원전 400년 이후에야 비교적 대량으로 사용되었다.[4]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한국은 제대로 된 청동기 시대를 가졌지만, 청동 야금술이 널리 퍼진 직후 곧 철 야금술로 대체되면서 비교적 짧은 기간에 그쳤다고 볼 수 있다.[4]
원시 인류가 한반도에 나타나기 시작한 시기는 기원전 5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가장 빠른 출현이 구석기 시대 초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점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12] 방사성 탄소 측정에 따르면 한반도에서 고대인의 출현은 기원전 4만 년에서 3만 년 전 사이로 나타난다.[13] 이는 "신인류"가 아프리카에서 출현하여 전 세계로 퍼져나간 시기가 6만 년 전이라는 정설과도 부합한다.
충청남도 공주시 인근의 석장리 유적에서는 구석기 시대 초기의 특징을 가진 유적이 발굴되었으며, 양면을 깎은 석기와 긁는 도구, 주먹도끼와 클리버 등이 발견되었다. 제천시의 점말 동굴과 청주시의 두루봉 동굴에서는 코뿔소, 하이에나 등 멸종된 종의 화석과 함께 사냥 도구로 보이는 석기가 발견되었다.
구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지로는 라선특별시 선봉구역 굴포리, 황해북도 상원군 검은모루 동굴, 경기도 연천군 전곡리, 충청남도 공주시 석장리, 충청북도 청원군 만수리[14] 등이 있다.
3. 1. 구석기 시대
한반도에 인류가 처음 거주하기 시작한 시기는 기원전 5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다만, 초기 거주 시기를 구석기 시대 초기까지 소급하는 것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5]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는 한반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시기를 기원전 4만 년에서 3만 년 전 사이로 보여준다.[6]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주로 동굴이나 바위 그늘, 강가에서 생활하며, 사냥과 채집을 통해 식량을 얻었다. 이들은 효율적인 사냥을 위해 소규모 집단을 이루어 생활한 것으로 보인다. 구석기 시대는 사용한 석기에 따라 전기, 중기, 후기로 구분된다. 전기에는 주로 주먹도끼, 찍개 등의 뗀석기를 사용하였고, 중기에는 좀 더 다양한 형태의 뗀석기가 나타난다. 후기에는 슴베찌르개와 같이 정교한 석기가 등장한다.
구석기 시대는 기원전 8000년경 토기 생산이 시작되면서 끝난다.
3. 1. 1. 전기 구석기 시대
검은모루 유적, 연천 전곡리 유적 등은 한국 전기 구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적이다.[14] 이 시기 사람들은 주로 강가나 동굴, 바위 그늘에서 생활하며 사냥과 채집을 통해 식량을 얻었다.3. 1. 2. 중기 구석기 시대
충청남도 공주시 근처의 석장리 유적에서 구석기 시대 초기의 특징을 가진 유적이 가장 낮은 층에서 발굴되었다. 양면을 깎은 석기와 긁는 도구도 발견되었다. 후기 시대에 해당하는 유물로 보이는 주먹도끼와 클리버도 발굴되었다.[5]구석기 중기에는 고대인들이 동굴에서의 거주를 시작했고, 제천시의 점말 동굴과 청주시의 두루봉 동굴 등이 그 유적이다. 이 두 유적에서 코뿔소, 하이에나, 다양한 종류의 사슴 등 멸종된 종의 화석이 발굴되었다.
점말 동굴에서 사냥에 사용된 도구로 보이는 석기는 고대인의 뼈로 만든 것이며, 동물의 뼈 골각기와 함께 사냥을 할 때 음식물을 섭취하는 데 사용된 도구로 보인다. 영양 보충을 위한 동물의 가죽도 발굴되었다.
충청남도 공주 부근의 석장리 유적에서 구석기 전통을 가진 석기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고, 인근에 규암, 반암, 흑요석 등이 있는데, 구석기 전기의 아슐리안(Acheulean)과 르발루아(Levallois)의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석기는 무늬가 단순하며, 석영이나 화강암(페그마타이트)에서 채취한 것이다. 석장리 유적의 중기 층에서는 투척용 볼라 (무기)와 투척용 돌이 발굴되었다.
3. 1. 3. 후기 구석기 시대
굴포리 유적, 천지연 바위그늘 유적, 소로리 유적, 단양 수양개 유적 등은 한국 후기 구석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이다.[14] 이 시기에는 자루형 첨두라고 불리는 독특한 형태의 박편 석기가 사용되었다. 한국의 수렵 채집인들은 더 어려운 환경에서 사냥하기 위해 자루형 첨두를 사용했으며, 이 도구가 도입되는 동안 지역 온도는 점차 감소했다. 자루형 첨두의 사용은 더 정착적인 생활 방식과 관련이 있었으며, 그 출현은 인구 변화와는 관련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7]3. 2. 중석기 시대
구석기 시대와 신석기 시대 사이의 과도기이다. 1만여 년 전에 빙하기가 끝나고 기후가 따뜻해져서 자연환경이 바뀌면서 맘모스, 쌍코뿔이, 들소 등의 큰 짐승이 사라지고 작은 짐승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짐승을 잡기 위한 무기인 활, 화살촉 등이 등장했다. 통영 상노대도 조개더미 최하층이 대표적인 유적이다. 다만, 우리나라에서는 플라이스토세의 종말기 이후 수천 년 동안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에 대한 관련 증거가 불충분하여 중석기 시대 설정 여부는 학계에서 논란이 많다.[18]3. 3. 신석기 시대 (빗살무늬토기 시대)
한국의 신석기 시대는 약 1만 년 전(중석기를 포함할 경우) ~ 8000년 전부터 시작되었는데, 이 시대의 중요한 지표는 간석기와 빗살무늬토기이다. 신석기 시대 사람들은 주로 물가에 움집을 짓고 살면서 고기잡이와 사냥을 했고, 신석기 시대 후기에는 초기 농경 단계로 들어간 곳도 있다. 돌괭이, 돌보습, 돌낫, 갈돌 등의 농기구를 사용했다.
한국의 역사학자들은 한국 선사 시대를 분류하기 위해 3시대 구분법을 사용하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 제국주의 고고학자들이 "한국에는 청동기 시대가 없었다"라고 주장한 것을 반박하기 위한 것이었다.
빗살무늬 토기 시대는 기원전 8000년에서 1500년까지 지속되었다. 그러나 고고식물학 연구에 따르면 최초의 "진정한" 경작은 기원전 3500년경에 시작되었으며, 기원전 8000년부터 3500년까지의 기간은 육상 및 해양 자원의 수렵과 채집이 지배적인 중석기 시대 문화 단계에 해당한다.[3]
3. 3. 1. 초기 신석기 시대
한국의 신석기 시대는 약 1만 년 전(중석기를 포함할 경우) ~ 8000년 전부터 시작되었는데, 신석기 시대의 중요한 지표는 간석기와 빗살무늬토기로 대표되는 토기이다. 가장 초기에 알려진 한국의 토기는 기원전 8000년 또는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토기는 융기문토기로 알려져 있으며, 제주특별자치도의 고산리 유적, 울산광역시 세죽 유적 등 한반도 전역에서 발견된다.[8] 즐문토기(빗살무늬 토기)는 기원전 7000년 이후에 나타났다.3. 3. 2. 전기 신석기 시대

즐문토기(즐문토기한국어)는 기원전 7000년 이후에 나타났으며, 기원전 3500년에서 2000년 사이에는 서부-중부 한국의 암사동, 치탐리 등 여러 정착지에서 빗살무늬가 전체에 새겨진 토기가 집중적으로 발견된다.[8] 즐문토기는 러시아 연해주, 몽골, 만주의 아무르강과 쑹화강 유역, 중국 남동부의 백월, 그리고 일본의 조몬 문화와 기본적인 디자인 및 형태가 유사하다.[8]
즐문 시대 사람들은 사냥, 채집, 식량 채취, 그리고 야생 식물의 소규모 재배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경제 활동을 했다. 기장과 쌀 재배가 아시아 대륙에서 한반도로 유입된 것도 이 시기였다.
한반도에서 빗살무늬 토기는 기원전 4000년경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가장 오래된 빗살무늬 토기는 요하 문명에서 발견되었으며[15], 이는 당시 한반도가 우랄계 민족(하플로그룹 N (Y염색체))이 담당하는 요하 문명권[16]에 속했음을 시사한다.
3. 3. 3. 중기 신석기 시대
기원전 3500년에서 2000년 사이에는 암사동과 치탐리 등 서부-중부 한국의 여러 정착지에서 전체에 빗살무늬가 있는 토기가 집중적으로 발견된다.[8] 빗살무늬토기는 러시아 연해주, 몽골, 만주의 아무르강과 쑹화강 유역, 중국 남동부의 백월, 그리고 일본의 조몬 문화와 기본적인 디자인 및 형태가 유사하다.[8]
즐문 시대 사람들은 사냥, 채집, 식량 채취, 그리고 야생 식물의 소규모 재배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경제 활동을 했다. 기장과 쌀 재배가 아시아 대륙에서 한반도로 유입된 것도 이 시기였다.
3. 3. 4. 후기 신석기 시대
한반도에서 빗살무늬 토기는 기원전 4000년경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 가장 오래된 빗살무늬 토기는 요하 문명에서 발견되었으며[15], 당시 한반도는 우랄계 민족(하플로그룹 N (Y염색체))이 담당하는 요하 문명권[16]에 있었음을 시사한다. 즐문토기 또는 빗살무늬 토기(즐문토기|한국어)는 기원전 7000년 이후에 나타났으며, 전체에 빗살무늬가 있는 토기는 기원전 3500년에서 2000년 사이에 서부-중부 한국, 즉 암사동과 치탐리 등 여러 정착지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된다. 즐문토기는 러시아 연해주, 몽골, 만주의 아무르강과 쑹화강 유역, 중국 남동부의 백월 그리고 일본의 조몬 문화와 기본적인 디자인과 형태가 유사하다.[8]
즐문 시대 사람들은 사냥, 채집, 식량 채취, 그리고 야생 식물의 소규모 재배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경제 활동을 했다. 기장과 쌀 재배가 아시아 대륙에서 한반도로 유입된 것도 이 시기였다.
3. 4. 청동기 시대 (민무늬토기 시대)
한국의 청동기 시대는 구리와 주석 또는 아연을 조금씩 섞어 만든 청동기를 사용한 시대이다. 이 시대에는 일반적으로 민무늬토기와 미송리식 토기가 주로 쓰였다.[2] 신석기 시대처럼 돌괭이를 사용하여 땅을 개간하고 반달 돌칼로 곡식을 수확했다.민무늬토기 시대(기원전 1500~300년)에 농경 사회와 초기 형태의 사회-정치적 복잡성이 나타났다. 한반도 남부 사람들은 초기 민무늬토기 시대(기원전 1500~850년)에 다양한 작물을 재배하는 집약적인 밭농사와 논농사를 채택했다. 족장이 이끄는 최초의 사회는 중기 민무늬토기 시대(기원전 850~550년)에 나타났으며, 최초의 호화로운 지배층 매장은 후기 민무늬토기 시대(기원전 550~300년)로 거슬러 올라간다. 청동 생산은 중기 민무늬토기 시대에 시작되었고, 기원전 700년 이후 민무늬토기 시대 의례 및 정치 사회에서 점점 더 중요해졌다. 송국리, 대평 유적, 사천시 이금동 유적 등은 마을이 발생하고, 커지고, 쇠퇴한 민무늬토기 시대의 중요한 유적이다. 장거리 교역의 증가, 지역 갈등의 증가, 청동 및 철 야금술의 도입은 기원전 300년경 민무늬토기 시대의 종말을 가져왔다.

한국 고고학자들은 전통적으로 (1990년대까지) 청동기 시대의 시작을 기원전 1500년 또는 1000년으로 보았다. 그러나 청동 기술은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기원전 700년경까지 채택되지 않았고, 고고학적 기록에 따르면 청동 물체는 기원전 400년 이후에야 비교적 대량으로 사용되었다.[4]
강남에서 O1b2 (Y염색체)가 수도 재배를 가져온 것으로 추정된다.[17]
- 대평 유적
- 사천시 이금동 유적
3. 5. 철기 시대 (원삼국 시대)
고조선 후기, 남쪽의 진국, 서기 1세기에서 4세기의 원삼국 시대는 한국의 후기 청동기 시대에서 초기 철기 시대로의 전환기로, 기원전 4세기에 시작된다.[10] 기원전 300년 이후는 '원사(protohistoric)' 시대로, 이 시기에는 몇몇 기록 자료에서 한반도의 사회를 설명하는 듯하다. 삼국사기와 같은 고대 텍스트에 묘사된 역사적 정체들이 그 예이다.참조
[1]
웹사이트
The Beginning of Korean History (Prehistoric Era - Ancient Korea)
https://www.korea.ne[...]
[2]
논문
Political Competition and Social Transformation: The Development of Residence, Residential Ward, and Community in Prehistoric Taegongni of Southwestern Korea
University of Michigan
1996
[3]
논문
Current Perspectives on Settlement, Subsistence, and Cultivation in Prehistoric Korea
2002
[4]
논문
From Shellfish Gathering to Agriculture in Prehistoric Korea: The Chulmun to Mumun Transi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Madision. Proquest, Ann Arbor
2001
[5]
간행물
Observations on the Lower and Middle Paleolithic of Northeast Asia
1983
[6]
간행물
Radiocarbon Dates from Palaeolithic Sites in Korea
2002
[7]
논문
How did the introduction of stemmed points affect mobility and site occupation during the late Pleistocene in Korea?
https://osf.io/ws2tj[...]
2022-02
[8]
서적
Archaeology Of Asia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9]
서적
The Korea, A global studies handbook
2002
[10]
문서
[11]
서적
The Koreas: A Global Studies Handbook
https://archive.org/[...]
ABC-CLIO
[12]
간행물
Observations on the Lower and Middle Paleolithic of Northeast Asia
1983
[13]
간행물
Radiocarbon Dates from Palaeolithic Sites in Korea
2002
[14]
뉴스
「청원 만수리 구석기 유적 베이징 原人과 동시대 것」
http://www.donga.com[...]
동아닷컴
2007-11-26
[15]
웹사이트
中国北方新石器文化研究の新展開【詳細報告】「東北アジアにおける先史文化の交流」 王 巍(中国社会科学院考古研究所・副所長)
http://www.ipc.tohok[...]
[16]
논문
Y Chromosome analysis of prehistoric human populations in the West Liao River Valley, Northeast China.
http://bmcevolbiol.b[...]
2013
[17]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新・日本列島史 日本人集団・日本語の成立史
勉誠出版
[18]
서적
한국 고고학 강의
http://www.riss.kr/s[...]
(주)사회평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