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한승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한승수는 대한민국의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제39대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와 영국 요크 대학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요크 대학교, 캠브리지 대학교, 서울대학교 등에서 경제학 교수로 재직했다. 1988년 국회의원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상공부 장관, 외교통상부 장관, 유엔총회 의장 등을 역임했으며, 2008년에는 이명박 정부의 국무총리를 지냈다. 또한, 2014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위원회 위원장을 맡았고, 현재는 유엔총회의장협의회 의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재정경제원 장관 - 홍재형
    홍재형은 재무부 사무관으로 공직을 시작해 재무부 장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등을 역임한 경제 관료 출신 정치인이며, 국회의원과 국회부의장, 관세청장, 한국외환은행장, KBO 총재를 지냈다.
  • 대한민국의 재정경제원 장관 - 강경식 (1936년)
    강경식은 1936년 경상북도 영주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재무부 장관, 경제부총리를 역임하며 금융실명제 추진, IMF 구제금융 사태 처리 등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며 영화 《국가부도의 날》에 등장한다.
  • 대한민국의 외교통상부 장관 - 김성환 (1953년)
    김성환(1953년)은 외무고시 합격 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여러 국가의 대사를 역임하고 외교통상부 장관을 지냈으며, 현재는 대학교수, 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외교통상부 장관 - 반기문
    반기문은 대한민국의 외교관이자 제8대 유엔 사무총장으로, 외교관 생활을 거쳐 유엔 사무총장으로 재임하며 국제 현안 해결에 기여하고 파리 기후 협정 체결을 이끌었으며 퇴임 후에도 국제기구에서 활동하고 있다.
한승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승수
2009년 한승수
이름한승수
로마자 표기Han Seungsu
한자 표기韓昇洙
한국어 표기한승수
춘강(春崗)
출생일1936년 12월 28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강원도 춘천읍
정당국민의힘
본관청주
종교천주교(세례명: 다니엘)
배우자홍소자
자녀슬하 1남 1녀
군 복무대한민국 육군
복무 기간1958년~1961년
근무 부대제1군사령부
계급학사장교
학력연세대학교 (문학사)
서울대학교 (행정학 석사)
요크 대학교 (철학 박사)
주요 직책
제39대 국무총리대통령: 이명박
임기 시작: 2008년 2월 29일
임기 종료: 2009년 9월 28일
전임: 한덕수
후임: 정운찬
제30대 외교통상부 장관대통령: 김대중
임기 시작: 2001년 3월 26일
임기 종료: 2002년 2월 4일
대통령 비서실장대통령: 김영삼
임기 시작: 1994년 12월 23일
임기 종료: 1995년 12월 21일
전임: 박관용
후임: 김광일
주미 대한민국 대사대통령: 김영삼
임기 시작: 1993년 6월 23일
임기 종료: 1994년 12월 23일
전임: 현홍주
후임: 박건우
제56대 국제 연합 총회 의장임기 시작: 2001년 9월 18일
임기 종료: 2002년 9월 17일
전임: 하리 홀케리
후임: 얀 카반
기타 정보
웹사이트Concordia 프로필
유엔 기후변화 특사유엔 기후변화 특사
유엔 재해 위험 감소 및 물 특별 특사유엔 재해 위험 감소 및 물 특별 특사
유엔 총회 의장유엔 총회 의장
대한민국헌정회대한민국헌정회

2. 학력

2. 1. 명예 박사 학위

3. 경력

학계에서 경제학 교수로 활동하다 정계에 입문하여 다양한 고위직을 역임했다. 국무총리, 외교통상부 장관, 부총리 겸 재정경제원 장관, 대통령 비서실장, 주미국 대사 등 국내 주요 직책을 거쳤다.

국제 무대에서도 활발히 활동하여, 1989년 상공부 장관 시절 APEC 창설에 기여한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1], 1996년 부총리 겸 재정경제원 장관으로 재직 시에는 협상 책임자로서 대한민국OECD 가입을 이끌었다.[1] 2001년에는 제56대 유엔총회의장으로 선출되어 활동했으며[1], 2007년에는 유엔 기후변화 특사로 임명되기도 했다.[1]

이명박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로 재임 중이던 2008년 7월 29일, 현직 총리로는 처음으로 독도를 방문하여 영유권 수호 의지를 나타냈다.[8][9][10]

2014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올림픽 유치에 기여했으며[18], 현재도 유엔 물과 재해 관련 고위급 회의 사회자, 아시아개발은행 수자원 자문 그룹 의장, 마드리드 클럽 부회장 등 다양한 국제 직책을 맡아 활동하고 있다.[1]

3. 1. 초기 활동 (1965년 ~ 1987년)

강원도 춘천읍 출신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영국 요크 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학위 취득 후 영국과 한국의 대학에서 경제학 교수로 활동하며 학문적 경력을 쌓았다. 주요 교수 경력은 다음과 같다.

기간기관직위비고
1965년 ~ 1968년영국 요크 대학교경제학과 교수
1968년 ~ 1970년영국 캠브리지 대학교 임마누엘 칼리지응용경제학과 연구교수
1971년 ~ 1988년서울대학교경제학과 교수
1985년 8월 ~ 1986년 8월미국 하버드 대학교경제학과 풀브라이트 교환교수서울대 재직 중
1986년 ~ 1987년일본 도쿄대학교교양학부 객원교수서울대 재직 중



이 시기 베네수엘라 초청 재정 자문관, 세계은행 재정 자문관, 요르단 정부 재정 고문 등을 역임하며 국제적인 경험을 쌓았다.

박정희 대통령 사망 이후, 1980년 하나회의 군사 쿠데타로 집권한 전두환 신군부 정권 하에서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6]

1987년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무역위원회 초대 위원장으로 임명되어 처음으로 공직에 진출했다.

3. 2. 1980년대 활동 (1980년 ~ 1990년)

박정희 대통령 사후 제5공화국 시기인 1980년, 전두환 신군부가 설치한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위원으로 활동했다.[6] 이는 하나회의 군사 쿠데타 이후 비상 계엄령 하에 대통령을 보좌하기 위해 설립된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의 후속 기구 성격이었다.

학계 활동도 이어가, 1985년에는 미국 하버드대학교 경제학과에서 풀브라이트 교환교수로 활동했으며, 1986년부터 1987년까지는 일본 도쿄대학교 교양학부에서 객원교수로 강의했다.

1987년에는 상공부 산하 무역위원회의 초대 위원장으로 임명되어 처음으로 정부 관직을 맡았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는 민주정의당 후보로 강원도 춘천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됨으로써 정계에 입문했다. 이후 무소속을 거쳐 민주자유당으로 당적을 옮겼다. 같은 해 노태우 정부에서 상공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1990년까지 재직했다.

3. 3. 문민정부 이후 (1993년 ~ 현재)

1993년 김영삼의 문민정부 출범 이후, 한승수는 여러 정부를 거치며 국내 정치 및 외교 무대에서 주요 역할을 수행했다. 주미국 대사, 대통령 비서실장, 부총리 겸 재정경제원 장관, 외교통상부 장관, 국무총리 등 다양한 고위직을 역임했다.

국제 무대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이전 시기인 1989년 상공부 장관 재직 시 APEC 창설을 주도한 인물 중 한 명이었으며, 1996년 부총리 겸 재정경제원 장관으로 재직할 때는 협상 책임자로서 대한민국OECD 가입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1]

2001년 외교통상부 장관으로 임명된 시기에는 9·11 테러 발생 직후 국제 사회의 위기 관리에 참여했으며, 같은 해 9월 제56대 유엔총회의장으로 선출되어 2002년 9월까지 활동했다.[1] 2001년 12월에는 유엔노벨 평화상을 수상함에 따라, 유엔 총회 의장 자격으로 코피 아난 당시 유엔 사무총장과 함께 노벨상 시상식에 참석하기도 했다.[1]

2007년 5월에는 유엔 기후변화 특사로 임명되어 국제적인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 기여했으며, 이명박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로 재임 중이던 2008년에는 OECD 각료이사회 의장을 맡아 만장일치 결의 채택을 이끌어내는 성과를 거두었다.[1]

또한, 2014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동계 올림픽 유치 활동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18], 이후에도 유엔 물과 재해 관련 특별 주제 회의 사회자(2013년~), 아시아개발은행 수자원 자문 그룹 의장(2014년~) 등 물 관련 국제 이슈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1]

2019년 12월에는 유한재단 이사장으로서 북한 출신 대학생 70명에게 1인당 300만장학금을 지원하는 등 사회 공헌 활동에도 참여했다.[11] 현재도 마드리드 클럽 부회장, 세계기상기구 물 및 기후 지도자 패널 위원 등 다수의 국제적인 직책을 맡으며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1]

3. 3. 1. 문민정부 (1993년 ~ 1998년)

김영삼의 문민정부 시기에도 주요 직책을 맡았다. 1993년 4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주미국 대사로 활동했으며[17], 이후 1994년부터 1995년까지 대통령 비서실장을 역임했다.

1996년 제15대 총선에서는 신한국당 후보로 강원도 춘천시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재선에 성공했다. 같은 해 8월에는 부총리 겸 재정경제원 장관으로 임명되어 1997년 3월까지 재직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협상 책임자로서 대한민국OECD 가입을 이끌었다.

3. 3. 2. 국민의정부 (1998년 ~ 2003년)

1998년 한나라당 경제정책위원회 위원장을 맡았다. 2000년 제16대 총선거에서 강원도 춘천 지역구에 민주국민당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며 3선 의원이 되었다. 이후 무소속을 거쳐 한나라당으로 당적을 옮겼다.

김대중 정권에서는 다시 외교 무대에서 활약하게 되어, 국제의원연맹 한국이사회 의장, 2001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제30대 외교통상부 장관을 역임했다. 또한 2001년 9월부터 2002년 9월까지 제56대 유엔총회의장으로 선출되어 활동했다. 2001년 12월 10일에는 유엔이 노벨평화상을 수상하게 되자, 유엔 총회 의장 자격으로 코피 아난 당시 유엔사무총장과 함께 노벨상 시상식에 참석했다.

2002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는 2002년 11월부터 12월까지 이회창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의 외교담당 특별자문역을 맡았다.

3. 3. 3. 참여정부 (2003년 ~ 2008년)

참여정부 시기에는 주로 국제 기구 활동과 국내 사회 활동에 주력하였다.

연도주요 경력 및 활동
2003년소버린 사외이사
2004년춘천 문화재단 이사장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문
2004년 ~ 2006년일본 정책연구대학원대학 특임연구교수
2005년 3월 ~ 2007년2014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 위원장[18]
2006년 ~ 2008년학교법인 연세대학교 이사회 이사
사단법인 한국물포럼 총재
2007년유엔 사무총장 기후변화 특사
유엔 사무총장 물과 위생부문 자문위원회 위원
2007년 ~ 2008년유엔 물과재해고위급전문가회의 의장



2005년 3월부터 2007년까지 2014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동계 올림픽 유치 활동을 이끌었으며, 2007년에는 반기문 당시 유엔 사무총장에 의해 유엔 기후변화 특사로 임명되어 국제 사회의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 기여했다. 또한 물 관련 문제에도 깊은 관심을 보여 유엔 물과 위생부문 자문위원회 위원, 유엔 물과재해고위급전문가회의 의장 등을 역임하며 해당 분야에서 전문성을 발휘했다.

3. 3. 4. 이명박 정부 (2008년 ~ 2013년)

2008년 2월 25일 이명박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로 임명되어, 2009년 9월 28일까지 제39대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재임 중인 2008년에는 대한민국 건국 60주년 기념사업위원회 위원장(5월~8월)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각료이사회 의장을 맡았다.

2008년 7월 22일, 한 불교 지도자가 "독도는 물론 쓰시마가 잠시나마 우리나라 영토였던 적이 있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 독도 영유권에 대해서는 동의했으나 쓰시마에 대해서는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7] 같은 해 7월 29일에는 대한민국의 현직 국무총리로서는 처음으로 독도를 방문하여 영유권 수호 의지를 보였다.[8][9][10]

국무총리 재임 중 2009년 5월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 국민장의 공동 장의위원장을, 같은 해 8월에는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의 장의위원장을 맡았다.

국무총리 퇴임 후인 2009년 10월부터 김앤장 법률사무소 고문으로 활동했으며, 2010년 6월에는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이사회 의장, 같은 해 8월에는 글로벌 서스테이너빌리티 위원으로 위촉되었다. 또한, 2014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3. 3. 5. 박근혜 정부 (2013년 ~ 2017년)

2013년 12월, 유엔 물과 재해위험 감소 사무총장 특사로 임명되며 박근혜 정부 시기에도 국내외에서 다양한 활동을 이어갔다.

이 시기에 시작하거나 지속한 주요 활동 및 직책은 다음과 같다.

시기주요 활동 및 직책
2013년 12월 ~유엔 물과 재해위험 감소 사무총장 특사
2013년 ~유엔 물과 재해에 관한 특별 주제 회의 사회자
2014년 ~아시아개발은행 수자원 자문 그룹 의장
2015년 3월 ~두산인프라코어 사외이사
2016년 6월 ~ 2022년 6월유한재단 이사장



또한 이 시기 동안 김&장 법률사무소 고문으로 활동했으며, 고위급 전문가 및 지도자 패널(HELP, 2007~), 마드리드 클럽 부회장, 세계기상기구 물 및 기후 지도자 패널 위원 등 다수의 국제 기구 및 단체에서의 활동도 지속했다.

3. 3. 6. 윤석열 정부 (2022년 ~ 현재)

2022년 10월 유엔총회의장협의회 의장을 맡았다.[1]

현재 다음과 같은 다양한 국제기구 및 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다.[1]

기구/기관직책임기 시작
고위급 전문가 및 지도자 패널 (HELP)위원2007년
유엔 물과 재해에 관한 특별 주제 회의사회자2013년
아시아개발은행 수자원 자문 그룹의장2014년
마드리드 클럽부회장-
세계기상기구 물 및 기후 지도자 패널위원-
모린 앤 마이크 맨스필드 재단국제 자문위원회 위원-
자이드 지속가능성상심사위원 부의장-
국제금융포럼 (IFF, 중국)공동의장-
IFF 글로벌 녹색 금융상심사위원장-
저장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석좌교수-
중국 인민대학교 국제통화연구소(IMI)최고 국제 고문-
아세안 경제 연구소 (샤오싱, 중국)고문-
GG56 Ltd. (빅데이터 및 블록체인 스타트업)설립자-


4. 국제기구 활동

베네수엘라 초청 재정 자문관, 세계은행 재정 자문관, 요르단 정부 재정 고문 등을 역임하며 일찍부터 국제 무대에서 활동했다.

1989년 상공부 장관 재직 시에는 APEC 창설을 주도한 인물 중 한 명이었으며, 1996년 부총리 겸 재정경제원 장관으로서는 OECD 가입 협상을 이끌었다. 김대중 정부 시기인 2001년 3월 외교통상부 장관으로 임명되었고, 임명 당일 발생한 9.11 테러 이후 국제적 위기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같은 해 제56대 유엔총회의장으로 선출되어 활동했으며, 2001년 12월 10일 유엔이 노벨평화상을 수상했을 때 코피 아난 유엔 사무총장과 함께 유엔을 대표하여 시상식에 참석했다. 2007년 5월부터는 유엔 기후변화 특사로 활동하며 국제적인 환경 문제 해결에도 기여했다.

현재도 다양한 국제기구 및 단체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현재 주요 국제 활동
기구/단체직책임기 시작
고위급 전문가 및 지도자 패널(HELP)위원2007년
유엔 물과 재해에 관한 특별 주제 회의사회자2013년
아시아개발은행(ADB) 수자원 자문 그룹의장2014년
마드리드 클럽부회장-
세계기상기구(WMO) 물 및 기후 지도자 패널위원-
모린 앤 마이크 맨스필드 재단국제 자문위원회 위원-
자이드 지속가능성상심사위원 부의장-
국제금융포럼(IFF, 중국)공동의장-
IFF 글로벌 녹색 금융상심사위원장-
저장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석좌교수-
중국인민대학 국제통화연구소(IMI)최고 국제 고문-
아세안 경제 연구소(샤오싱, 중국)고문-
GG56 Ltd. (빅데이터/블록체인 스타트업)설립자-



이 외에도 2014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며 성공적인 유치에 기여했다.

5. 가족 관계

박정희 전 대통령의 처조카 사위이다. 아내와의 사이에 1남 1녀를 두었다.

장모는 교육자인 육인순(陸寅順)이며, 사위는 김세연국회의원이다.

배우자의 삼촌은 전 국회의원 육인수이고, 고모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부인인 육영수이다. 이에 따라 전 대통령 박근혜, 사회사업가 박근령, EG 회장인 박지만은 배우자의 사촌이다. 또한 배우자의 자매 남편들, 즉 동서로는 전 농수산부 장관 장덕진과 전 국회의원 윤석민이 있다.[12][13]

6. 저서


  • 경제 정책론
  • 신경제정책론
  • 중동경제
  • 영국의 사회복지
  • '''세계 공동선을 위하여: 한승수 연설집''' (YBM, 서울, 2015) - 이 책은 중국어로 번역되어 칭화대학교 출판사에서 2016년에 출판되었다.
  • '''9/11의 그림자 너머; 유엔총회에서의 1년''' (SAIS, 워싱턴 D.C., 2007)

7. 서훈 내역

8. 기타

9.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연도선거 종류대수직책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88년총선13대국회의원강원 춘천시민주정의당34,166표 (42.30%)1위당선초선
1992년총선14대국회의원강원 춘천시민주자유당32,804표 (37.45%)2위낙선
1996년총선15대국회의원강원 춘천시 갑신한국당29,990표 (57.80%)1위당선재선
2000년총선16대국회의원강원 춘천시민주국민당30,719표 (28.70%)1위당선3선


참조

[1] 웹사이트 UN Secretary-General Ban Ki-moon Appoints Special Envoys on Climate Change https://www.un.org/c[...] United Nations 2007-08-03
[2] 웹사이트 Secretary-General Appoints Han Seung-Soo of Republic of Korea Special Envoy on Disaster Risk Reduction and Water https://www.un.org/N[...] United Nations 2013-12-19
[3] 웹사이트 Dr. Han Seung-soo, President of the 56th session of the UN General Assembly https://www.un.org/e[...] 2022-02-14
[4] 웹사이트 H.E. Han Seung-Soo https://www.concordi[...] 2024-02-22
[5]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2-03-13
[6] 기타
[7] 뉴스 (제목 없음) http://news.chosun.c[...] 朝鮮日報 2008-07-22
[8] 간행물 독도를 방문한 한승수 총리、「독도는 우리의 땅」 http://jpn-tokyo.mof[...] 주일 대한민국 대사관
[9] 뉴스 한승수 총리가 독도 방문 https://japanese.joi[...] 중앙일보 2008-07-30
[10] 웹사이트 (제목 없음) http://www.jiji.com/[...] 2008-07-29
[11] 웹사이트 한승수 유한재단 이사장 북 출신 대학생 70명에 장학금 http://biz.heraldcor[...] 2019-12-02
[12] 웹사이트 그래픽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가계도) https://www.yna.co.k[...] 2012-12-20
[13] 웹사이트 박근혜를 파헤친다 가계도 완벽 분석-4촌 이내 https://ilyo.co.kr/?[...] 2012-09-02
[14] 웹사이트 밀어주고 끌어준 15년 한승수-반기문의 인연 https://www.joongang[...] 2008-01-29
[15] 웹사이트 Every Celebrity Mocked on South Park Over Its Sixteen Seasons https://www.vulture.[...] 2013-02-27
[16] 뉴스 한승수 전 총리, 유엔총회의장협의회 의장 선출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17] 뉴스 한승수 주미대사 http://dna.naver.com[...] 동아일보 1993-04-11
[18] 뉴스 IOC총회 한승수 유치위원장, 끝내 눈물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7-07-05
[19] 뉴스 한승수 유한재단 이사장 북 출신 대학생 70명에 장학금 https://n.news.nave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