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조 다카토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조 다카토키는 가마쿠라 시대의 인물로, 호조 사다토키의 아들이자 가마쿠라 막부의 14대 싯켄이었다. 1304년에 태어나 1311년 아버지 사다토키의 사망으로 9세의 나이에 가독을 상속받았으며, 1316년 14세의 나이로 싯켄에 취임했다. 그는 싯켄 재임 기간 동안 사회적 혼란과 고다이고 천황의 막부 전복 계획을 겪었으며, 1326년 병으로 싯켄직에서 물러났다. 1333년 닛타 요시사다의 공격으로 가마쿠라가 함락되자 호조 일족과 함께 자결했다. 사후 고다이고 천황으로부터 '도쿠소다이곤겐'이라는 신호를 받고 신으로 모셔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03년 출생 - 원 영종 (9대)
원 영종(9대)은 원 인종의 아들이자 쿠빌라이 칸의 증손으로, 유교적 통치 이념을 바탕으로 개혁 정치를 추진했으나 몽골 귀족들의 반발로 1323년 암살당했다. - 1303년 출생 - 하즙
하즙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음서로 출사하여 판도좌랑을 지냈고 문과 급제 후 정치도감 정치관으로 전민 겸병 문제 해결에 노력했으며 문하찬성사로 치사, 진천부원군에 책봉, 시호는 원정이다. - 1333년 사망 - 브와디스와프 1세
브와디스와프 1세 워키에테크는 피아스트 왕조 시대에 폴란드 대부분을 재통일한 왕으로, 쿠야비 공국의 영주에서 폴란드 왕으로 즉위하여 폴란드 재통합과 독립 왕국임을 선포하고 독일 기사단과의 전쟁에 힘썼다. - 1333년 사망 - 호조 히데토키
호조 히데토키는 가마쿠라 시대 말기의 무장으로 진제이 단다이를 지냈으며 가마쿠라 막부 타도 운동 진압에 힘썼으나 막부 멸망 후 자결했고, 와카에 능통하여 규슈 니조파 와카계의 중심 인물로 평가받으며 그가 남긴 서장들은 역사 자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 득종 - 호조 도키무네
호조 도키무네는 가마쿠라 막부 시대의 싯켄으로, 몽골의 일본 침략을 격퇴하고 권력을 강화했지만, 강경한 외교 정책과 권위주의적 통치로 평가가 엇갈린다. - 득종 - 호조 야스토키
호조 야스토키는 가마쿠라 막부의 무장이자 제3대 싯켄으로, 조큐의 난에서 활약하고 《고세이바이시키모쿠》를 제정하며 합의제 정치를 도입하는 등 정치 개혁을 추진했다.
호조 다카토키 | |
---|---|
기본 정보 | |
이름 | 호조 다카토키 |
로마자 표기 | Hōjō Takatoki |
한자 표기 | 北条 高時 |
출생일 | 1304년 1월 9일 |
사망일 | 1333년 7월 4일 |
별칭 | 성수마루 (유년명) |
법명 | 숭감 |
신호 | 덕숭대권현 |
계명 | 일륜사전 숭감 |
묘소 | 가마쿠라시 고마치 동승사 터의 야구라 |
관직 정보 | |
관위 | 정오위 하, 사가미국 국사, 수리권대부, 종사위 하 |
막부 | 가마쿠라 막부 제14대 싯켄 |
주군 | 모리쿠니 친왕 |
가계 | |
씨족 | 호조씨 (도쿠소) |
아버지 | 호조 사다토키 |
어머니 | 가쿠카이엔조 |
배우자 | 아다치 도키아키의 딸 |
측실 | 도키와마에 니이노쓰보네 |
자녀 | 호조 구니토키 호조 도키유키 딸 2명 |
양자 | 호조 하루토키 |
정치 경력 | |
싯켄 취임 | 1316년 |
싯켄 퇴임 | 1326년 |
재임 기간의 군주 | 하나조노 천황 고다이고 천황 |
전임자 | 호조 모토토키 |
후임자 | 호조 사다아키 |
쇼군 | 모리쿠니 친왕 |
렌쇼 | 호조 사다아키 |
기타 | |
![]() |
2. 생애
1326년 호조 다카토키는 23세의 젊은 나이에 병으로 싯켄직에서 물러나 출가했지만, 막부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했다.[1] 다카토키의 후계 문제를 두고 친아들 구니토키(邦時)를 지지하던 나가사키 씨와 동생 야스이에(泰家)를 지지하던 아다치 씨 사이에 가레키 소동이 일어났다. 이 소동은 가네자와 사다아키가 싯켄에 취임했다가 얼마 안 되어 사임하고, 아카바시 모리토키가 취임하는 것으로 수습되었다.[10]
같은 해, 막부 정부는 고다이고 천황에게 은거정치와 황실 계승 과정에서의 황족 분파 교대를 요구했다. 고다이고 천황이 이를 거부하고 통치를 유지하면서 남북조 시대 전쟁으로 이어졌다. 조지 샌섬(George Sansom)은 막부의 이러한 행동을 "치명적인 실수"라고 묘사했다.[1]
1331년 겐코의 난이 일어나자, 다카토키는 히노 씨(Hino clan) 등이 막부에 대항하여 음모를 꾸민 분에이코의 난(Burei-kō plot)에 대한 대응을 놓고 조언자 나가사키와 논쟁을 벌였다. 막부는 군대를 파견해 겐코의 난을 진압하고 고다이고 천황을 오키 섬으로 유배 보냈다.
1333년 고다이고 천황이 오키 섬을 탈출하고,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막부를 배신하였다. 닛타 요시사다가 이끄는 군대가 가마쿠라를 공격하자, 다카토키는 도쇼지(東勝寺)로 피신하여 호조 일족 및 가신들과 함께 자결했다.[2] 그의 장남 호조 구니토키(Hojo Kunitoki)는 가마쿠라 공방전에서 사망했고, 차남 호조 도키유키(Hojo Tokiyuki)는 호조 씨(Hojo Clan)의 마지막 아들이었다. 다카토키의 형제 호조 야스이에(Hojo Yasuie)는 아버지의 자살 후 호조 도키유키(Hojo Tokiyuki)를 도왔다.
2. 1. 탄생과 원복
가겐(嘉元) 원년 (1304년) 1월 9일, 호조 사다토키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셋째 아들이었지만, 형인 호조 기쿠주마루와 호조 긴주마루가 일찍 죽었기 때문에 사실상의 장남이었다.엔쿄 2년(1309년)에 7세의 나이로 원복하였다(『가마쿠라 연대기(鎌倉年代記)』). 그 이전의 도쿠소 당주였던 호조 야스토키, 호조 쓰네토키, 호조 도키요리, 호조 도키무네의 원복 상황은 『아즈마카가미』에, 아버지 사다토키의 원복 상황은 『겐지 3년기(建治三年記)』에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아마도 그들과 마찬가지로 막부의 고쇼(御所)에서 쇼군(당시는 모리쿠니 친왕)을 에보시오야(烏帽子親)로 하여 원복 의식이 거행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원복할 때 에보시오야의 편휘(偏諱)(실명의 한 글자)를 받는 경우가 많았지만, "다카토키"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쇼군의 편휘는 받지 않은 것 같다. 같은 시대(상위 직책)의 인물 중 "다카(高)" 자를 사용하는 인물은 없으며, 연구에서는 조상으로 여겨지는 다이라노 '''다카'''모치(高望王)를 따른 것이라는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 호소카와 시게오가 이 설을 주장했지만 근거가 없다는 이유로 논문 등에서는 제시하지 않았으나, 쓰노다 도모히코가 근거를 밝혀 이를 지지하고 있다. 이는 호조 도키무네(다카토키의 조부) 시대에 도쿠소에 의한 정치 지배 체제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그 정통성을 주장하기 위해 조상인 호조 요시토키를 다케노우치노 스쿠네에 비유하는 전설이 생겨 유포되었던 것[4][5]과, 도키무네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던 다이라노 요리쓰나(사다토키의 유모의 남편)가 자신의 가문의 지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둘째 아들 이나누마 스케무네(스케무네는 助宗라고도 씀)의 이름(이름의 한 글자)을 다이라노 스케모리에서 따왔을 가능성이 있는 것[6]을 언급하고 있으며, 이러한 생각이 가능하다면, 마찬가지로 도키무네가 자신의 장남의 이름을 다이라노 사다모리에서, 사다토키도 장남의 이름을 다카모치 왕에게서 각각 따왔다고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이유 때문이다. 덧붙여 쓰노다 도모히코는 사다토키・다카토키 시대에는 쇼군→고케닌이라는 편휘 수여의 방식은 존재하지 않았고, 도쿠소 당주인 사다토키의 "사다(貞)"자나 다카토키의 "다카(高)"자가 다른 고케닌에게 주어지는 방식이 이 시대에 성립했던 것이 고케닌의 이름에서 엿볼 수 있으며[8], 이는 도쿠소 권력이 확립되었다는 증거 중 하나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하고 있다.[9]
2. 2. 가독 상속과 싯켄 취임
오초(応長) 원년(1311년), 아버지 사다토키가 사망하면서 9세의 어린 나이로 막부의 가독을 상속받았다.[1] 쇼와 5년(1316년)에는 14세의 나이로 제14대 싯켄(執権)에 취임하였다.[1] 그러나 실질적인 권력은 그의 외척인 아다치 도키아키(安達時顕)와 나가사키 엔키(長崎円喜) 및 그의 아들 다카스케(高資)가 장악하였다.[1]다카토키는 니치렌(日蓮)의 제자 니치로(日朗)에게 여러 불교 종파와의 종교 논쟁을 명하여 불교계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다. 니치로는 고령을 이유로 제자인 니치인(日印)을 대신 보냈고, 분포 2년(1318년) 12월 30일부터 이듬해 9월 15일에 걸쳐 가마쿠라 막부의 쇼군 앞에서 '가마쿠라 전중 문답(鎌倉殿中問答)'이라 불리는 불교 토론이 벌어졌다. 이 토론에서 니치인이 승리하여 제목종(題目宗)의 포교를 허락받았다.
다카토키의 재임 기간 동안 각지에서 '악당'(悪党)이라 불리는 세력들이 발호하고, 오슈(奥州)에서 에조(蝦夷)의 반란과 이들을 총괄하는 안도 씨(安藤氏)의 가독 다툼으로부터 불거진 '안도 씨의 난' 등이 일어나는 등 사회적 혼란이 가중되었다.
쇼추(正中) 원년(1324년)에는 고다이고 천황(後醍醐天皇)의 막부 전복 계획(쇼추의 변)을 사전에 발각하여 관련자들을 처벌하였다.
2. 3. 싯켄 퇴임 후부터 최후까지
1326년 병으로 24세에 싯켄직에서 물러나 출가하였다. 다카토키의 후계를 둘러싸고 친아들 구니토키(邦時)를 지지하던 나가사키 씨(長崎氏)와 동생 야스이에(泰家)를 지지하던 아다치 씨(安達氏)의 대립인 가레키 소동(嘉暦の騒動)이 일어났다. 소동은 가네자와 사다아키(金沢貞顕)가 싯켄에 취임했다가 얼마 안 되어 사임하고, 아카바시 모리토키(赤橋守時)가 취임하는 것으로 수습되었다.[10]1331년 겐코의 난(元弘の乱)이 일어나자, 막부는 군대를 파견해 진압하고 고다이고 천황을 오키 섬(隠岐島)으로 유배 보냈다.
1333년 고다이고 천황이 오키 섬을 탈출하고,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막부를 배신하였다. 닛타 요시사다(新田義貞)가 이끄는 군대가 가마쿠라를 공격하자, 다카토키는 도쇼지(東勝寺)로 피신하여 호조 일족 및 가신들과 함께 자결했다.[2]
3. 도쿠소다이곤겐(徳崇大権現)
가마쿠라 막부 멸망 후, 고다이고 천황은 다카토키에게 '도쿠소다이곤겐(徳崇大権現)'이라는 신호(神号)를 내려 신으로 모셨다.[28][12] 호케이지에서 그를 기리는 의식이 이루어졌다.[28]
5월 22일에는 다카토키의 위령을 위한 도쿠소 대권현회(徳崇大権現会)와 대반야경 전독회(大般若経転読会)가 거행되었다.[28][12] 경내 도쿠소 대권현당(徳崇大権現堂)에 모셔져 있던 다카토키의 상이 수레에 실려 본당으로 옮겨졌고, 대반야경 전독회가 거행되었다.[28][12] 대반야경의 정식 명칭은 대반야바라밀다경(大般若波羅蜜多経)으로, 현장삼장이 인도에서 가져온 600권에 달하는 불경이다.[28][12] 전독이 끝나면 다카토키의 신상은 권현당으로 돌아갔다.
4. 인물
《태평기》(太平記)나 《마스카가미(増鏡)》 등 후세의 기록에서는 덴가쿠(田楽)와 투견에 빠져 정치를 소홀히 한 암군(暗君)으로 묘사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병약한 체질이었으며, 무소 소세키(夢窓疎石) 등의 선승(禪僧)들과 교류하고 불화(佛畵)를 그리는 등 문화적인 면모도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13] 다카토키의 통치 스타일은 당시 도쿠소(得宗)의 권력이 약화되고 가신들의 합의에 의해 정치가 운영되는 상황과 무관하지 않았다는 견해도 있다.[22][23]
조지 샌섬(George Sansom)은 막부의 행동을 "치명적인 실수"라고 묘사하고 다카토키를 "정신적으로 온전하지 못했다. 그의 판단력은 부족했고 행동은 변덕스러웠다. 그는 극도의 사치와 방탕에 빠져 있었다"라고 묘사한다. 은퇴 후 그는 자신의 직무를 "몇몇 부적절한 대리인"들에게 넘겼다.[1]
1884년(메이지 17년) 11월 도쿄 사루야쿠좌(東京猿若座)에서 초연된 가와타케 모쿠아미(河竹黙阿弥) 작 신가부키(新歌舞伎) 『호조 9대 명가의 공적』(北条九代名家功) ・ 통칭 『다카토키』에서는 다카토키 역을 맡은 이치카와 단주로(市川團十郎)가 그의 고독하면서도 우둔한 심층 심리에 대한 사실적인 내면묘사로 큰 인기를 끌었고 이것은 현대 일본에서의 다카토키의 인물상으로 굳어지게 되었다(작품 자체는 현대에까지 공연되는 인기작이다). 또한 소설가 요시카와 에이지의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NHK 대하드라마 『태평기』(여기서는 가타오카 쓰루타로가 다카토키 역을 맡음)의 영향으로, 병약한 몸에 만사에 허무감을 느끼는 인물로 정착되기도 했다.
5. 가계
- 아버지: 호조 사다토키(北条貞時)
- 어머니: 가쿠카이엔세이(覚海円成) - 아다치 야스무네(安達泰宗)의 딸
- 정실: 아다치 도키아키(安達時顕)의 딸
- 측실: 쇼요젠(常葉前) - 고다이인 무네시게(五大院宗繁)의 여동생 또는 딸 (『계도산요』의 호조씨 계도에서는 무네시게의 딸)
- 측실: 이위국(二位局)
- 아들: 호조 구니토키(北条邦時)
- 아들: 호조 도키유키(北条時行)
- 딸:[3]
- 딸:[3]
6. 경력
엔쿄 2년(1309년)에 7세의 나이로 원복(元服)하였다.[22] 이때 쇼군이었던 모리쿠니 친왕을 에보시오야(烏帽子親)로 하여 의식을 치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다카토키'라는 이름은 쇼군의 이름에서 딴 것이 아니라, 호조 가문의 조상인 다이라노 '''다카'''모치(平'''高'''望)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23][24]
오초 원년(1311년) 아버지 호조 사다토키가 사망했을 때, 다카토키는 9세였고 원복을 치른 지 2년밖에 되지 않았다. 아버지 사다토키는 죽으면서 다카토키의 장인인 아다치 도키아키(安達時顕)와 나이간레이(内管領) 나가사키 엔키(長崎円喜)를 후견인으로 지목했다. 이후 3대에 걸친 중계 싯켄[25]을 거쳐 쇼와 5년(1316년)에 아버지와 같은 나이인 14세로 14대 싯켄이 되었다.
다카토키는 니치렌의 제자 니치로에게 여러 불교 종파와의 문답 대결을 명했고, 분포 2년(1318년)부터 이듬해까지 가마쿠라 막부 쇼군 앞에서 '가마쿠라 전중 문답'이라 불리는 불교 토론이 벌어졌다. 결과는 니치로의 문하생 니치인이 승리하여 제목종(題目宗)의 포교를 허락받았다.
다카토키가 싯켄으로 있던 무렵, 각지에서 '악당'이라 불리는 세력들이 발호했고, 오슈에서 에조의 반란과 안도 씨의 가독 다툼으로 인한 전란(안도 씨의 난)이 일어났다. 쇼추 원년(1324년)에는 교토에서 고다이고 천황의 막부 전복 계획이 발각되어 관련자들이 처벌받았다(쇼추의 변).
쇼추 3년(1326년) 병으로 24세에 싯켄직에서 물러나 출가하여 법명을 슌칸(崇鑑)이라 하였다. 다카토키의 후계를 둘러싸고 나가사키 씨와 아다치 씨가 대립하는 '가레키 소동(嘉暦の騒動)'이 일어났으나, 가네자와 사다아키와 아카바시 모리토키가 차례로 싯켄에 취임하면서 수습되었다.
겐코 원년(1331년) 고다이고 천황이 다시 막부 타도 계획을 꾸미고 구스노키 마사시게가 거병하자(겐코의 난), 막부는 군을 파견해 진압하고 고다이고 천황을 오키 섬으로 유배 보냈다.
겐코 3년/쇼쿄 2년(1333년) 고다이고 천황이 오키를 탈출하여 거병하자, 막부는 아시카가 다카우지 등을 파견했지만, 다카우지는 고다이고 천황 편에 서서 로쿠하라 단다이를 공격했다. 간토에서는 닛타 요시사다가 거병하여 가마쿠라로 진격했다.
1333년 5월 18일, 닛타 군이 가마쿠라를 침공하여 5월 22일에 가마쿠라 수비가 돌파되자, 다카토키는 도쇼지(東勝寺)로 물러나 호조 일족 870명과 함께 자결했다. 향년 31세였다.
다카토키의 관직 경력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1311년(오초 원년) 1월 17일 | 막부 고자무라이도코로(小侍所) 부교(奉行) 취임 |
1311년(오초 원년) 6월 23일 | 종5위하 사마노곤노카미(左馬権頭) 임관 |
1316년(쇼와 5년) 1월 5일 | 종5위상 승진, 사마노곤노카미 유임 |
1316년(쇼와 5년) 1월 13일 | 단바노곤노카미(但馬権守) 겸임 |
1316년(쇼와 5년) 7월 10일 | 싯켄 취임 |
1317년(분포 원년) 3월 10일 | 사가미노카미(相摸守) 전임, 사마노곤노카미・단바노곤노카미 겸임 |
1317년(분포 원년) 3월 27일 | 단바노곤노카미 사임 |
1317년(분포 원년) 4월 19일 | 정5위하 승진, 사가미노카미・사마노곤노카미 유임 |
1319년(분포 3년) 1월 | 슈리노곤노다이후(修理権大夫) 전임, 사마노곤노카미 겸임 |
1319년(분포 3년) 2월 | 사마노곤노카미 사임 |
1326년(쇼추 3년) 3월 13일 | 출가, 법명 슌칸(崇鑑) |
1333년(겐코 3년/쇼쿄 2년) 5월 22일 | 자결 |
1366년(조지 5년) 5월 20일 | 정4위하 추증 |
7. 편휘(偏諱)를 받은 인물
다카토키는 자신의 이름 중 '다카(高)' 자를 여러 가신들에게 하사했다. 이는 당시 도쿠소 권력의 확립을 보여주는 한 예로 해석된다.[27] 다카토키 시대에 '高'자를 하사받은 인물은 다음과 같다.
인물 | 비고 |
---|---|
대불 고선 | 제11대 섭정 대불 종선의 손자[7][14] |
대불 고나오 | 고선의 동생[14] |
규구 고마사 | |
명월 고이에 | |
아시카가 고요시 | [15] |
아시카가 고우지 | 고요시의 동생, 후에 아시카가 다카우지(고다이고 천황의 편휘를 받고 개명)[14][15] |
아시카가 고쿠니 | 고요시·고우지의 동생, 후에 아시카가 다다요시[15][16] |
아시카가 고쓰네 | |
아다치 고카게 | 다카토키와 의형제 |
우쓰노미야 고쓰나 | 후에 우쓰노미야 기미쓰나[17] |
오다 고치 | 후에 오다 하루히사[14] |
고야마 고토모 | 후에 고야마 히데토모[14] |
오가사와라 고나가 | |
가사이 고키요 | |
가와고에 고시게 | [14] |
구도 고카게 | |
고다이인 고시게 | |
사사키 도키노부 | [14] |
사사키 고미치 | [14][18] |
사사키 세이고 | [14] |
시오야 고사다 | [14] |
다이죠 고모토 | |
지바 고타네 | [19] |
나가이 고후유 | 후에 나가이 교후유[14] |
나가이 고히로 | 나가이 사다시게의 아들[14] |
셋쓰 고치카 | |
셋쓰 사다카 | |
나가사키 고쓰나 | |
나가사키 고요리 | |
나가사키 고스케 | |
나가사키 고사다 | |
나가사키 고시게 | |
하타케야마 고쿠니 | |
도키 고사다 | [20] |
미우라 고쓰구 | |
유키 아사고 | 후에 유키 아사스케[21] |
8. 관련 작품
- 고바야시 나오키(高橋直樹)의 소설 《호조 다카토키의 최후》(『가마쿠라 요란』에 수록, 분게이슌주/분춘문고, 1996년)가 있다.
- 1991년 NHK 대하드라마 태평기에서는 가타오카 쓰루타로가 호조 다카토키를 연기했다.
- 2001년 NHK 대하드라마 호조 도키무네에서는 아사리 요스케가 다카토키의 어린 시절을 연기했다.
- 유구치 세이코(湯口聖子)의 만화 《꿈 이야기 시리즈 바람의 묘비》(아키타 쇼텐, 1989-1991년)가 있다.
- 사와다 히로후미(沢田ひろふみ)의 만화 《산적왕》(고단샤, 2000-2009년)이 있다.
- 마츠이 유세이의 만화 도망치는 젊은 군주(슈에이샤, 2021년-)에 조연으로 등장한다.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Japan to 1334
Stan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A history of Japan 1334–1615
Charles E. Tuttle Company
[3]
서적
中先代の乱
中央公論新社
[4]
학술지
北条得宗家成立試論
[5]
학술지
得宗専制政治の論理
[6]
학술지
飯沼大夫判官と両統迭立
[7]
인용
[8]
학술지
武家社会における加冠と一字付与の政治性について : 鎌倉幕府御家人の場合
中央大学
1979-03
[9]
학술지
偏諱の話
[10]
서적
鎌倉幕府と朝廷
岩波新書
[11]
문서
鎌倉年代記, 保暦間記
[12]
웹사이트
主な行事:徳崇大権現会・大般若経転読会
http://hokaiji.com/a[...]
金龍山釈満院円頓宝戒寺
2016-03-23
[13]
간행물
横浜開港一五〇周年記念特別展「原三溪と美術ー蒐集家三溪の旧蔵品」
[14]
학술지
武家社会における加冠と一字付与の政治性について
[15]
인용
[16]
서적
足利尊氏のすべて
新人物往来社
[17]
서적
下野宇都宮氏
戎光祥出版
[18]
서적
佐々木導誉
吉川弘文館
[19]
학술지
中世肥前千葉氏の足跡 : 小京都小城の源流
https://hdl.handle.n[...]
佐賀県小城市教育委員会
2011
[20]
문서
群書系図部集 四, 大友系図, 立花系図, 入江文書
[21]
문서
結城市史
[22]
학술지
北条得宗家成立試論
[23]
학술지
得宗専制政治の論理
[24]
학술지
飯沼大夫判官と両統迭立
[25]
인용
[26]
학술지
武家社会における加冠と一字付与の政治性について
[27]
학술지
偏諱の話
[28]
웹사이트
主な行事:徳崇大権現会・大般若経転読会
http://hokaiji.com/a[...]
金龍山釈満院円頓宝戒寺
2016-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