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화구륜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화구륜초(Primula veris)는 앵초과의 다년생 식물로, 노란색 꽃이 특징이다. 영어 명칭인 카우슬립(cowslip)은 젖소 목초지에서 자라는 특성에서 유래되었으며, 봄의 시작을 알리는 꽃으로 여겨진다. 유럽, 시베리아, 터키 등지에 분포하며, 샐러드, 허브차, 와인 등 식용으로 사용되거나, 민간요법에 활용되기도 한다. 또한, '천국의 열쇠'나 '요정의 꽃'과 같은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지니며,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에도 등장한다. 큰앵초 등 유사한 종이 있으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앵초속 - 큰앵초
깊은 산 습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인 큰앵초는 둥글거나 신장상 심장형 잎과 얕게 갈라진 잎 가장자리를 가지며, 7~8월에 진분홍색 통꽃이 여러 층으로 피는 특징이 있다. - 아일랜드의 식물상 - 양벚나무
양벚나무는 잎자루에 붉은색 샘이 있고, 흰색 꽃이 피며 식용 열매를 맺는 낙엽활엽수로, 관상수, 목재, 약재 등으로 활용된다. - 아일랜드의 식물상 - 사리풀
사리풀은 유라시아 원산의 유독성 식물로, 전통 약초 의학에서 사용되었으나 강력한 향정신성 작용과 독성으로 인해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며, 히요스치아민, 스코폴라민 등의 트로판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환각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 라트비아의 식물상 - 치커리
치커리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 식물로, 잎은 샐러드, 뿌리는 커피 대용품, 일부 품종은 사료로 사용되며 전통 의학에도 활용되는 등 다양한 용도로 식용된다. - 라트비아의 식물상 - 사리풀
사리풀은 유라시아 원산의 유독성 식물로, 전통 약초 의학에서 사용되었으나 강력한 향정신성 작용과 독성으로 인해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며, 히요스치아민, 스코폴라민 등의 트로판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환각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 황화구륜초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Primula veris |
| 명명자 | L. |
| 아종 | Primula veris subsp. macrocalyx |
| 구별 | 카우스립 (소의 발 질환) |
| 명칭 | |
| 일본어 | 키바나노크린자쿠라 (黄花九輪桜) |
| 영어 | 카우스립 (cowslip) 페이지 (paigle) 키 플라워 (key flower) 페어리 컵스 (fairy cups) |
2. 명칭
"카우슬립(cowslip)"이라는 일반 명칭은 젖소 목초지에서 자주 발견되는 이 식물의 특성 때문에 젖소 배설물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다.[3] 또는 이 식물이 자라는 미끄럽고 질퍽한 땅을 의미할 수도 있다.[4] "카우슬롭(cowslop)"이라는 고대 영어 표현이 일부 방언에서 사용되기도 하지만, 16세기에 "카우슬립"이 표준 명칭으로 자리 잡았다.[5]
황화구륜초는 상록(또는 반상록)의 다년생 식물로, 키와 폭은 모두 25cm까지 자란다. 잎은 로제트 모양으로 뿌리에서 잎이 나오며, 길이 5–15 cm, 너비 2–6 cm이다. 잎의 표면에는 주름이 있으며, 잎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으로 약간 바깥쪽으로 말려 들어가고 불규칙한 잔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굵고, 날개를 가진다.
황화구륜초는 앵초보다 더 트인 땅에서 자주 발견되며, 개방된 들판, 초원, 해안 사구, 절벽 꼭대기를 포함한다. 스칸디나비아 반도 북부, 러시아 북부, 지중해 연안 일부를 제외한 전 유럽 대륙에 분포한다. 동쪽으로는 우랄 남부, 시베리아 남부까지, 남쪽으로는 터키 북동부, 코카서스, 이란 북부까지 분포한다.[34] 저지대에서 대략 해발 3,000m까지, 초원이나 고원에 널리 분포하지만,[29][34] 현재는 개발, 과도한 채취, 제초제의 영향 등으로 인해 이전만큼은 보이지 않게 되었다.[29]
황화구륜초(Primula veris영어)는 1970년대와 1980년대 영국에서 농업 방식 변화로 개체수가 감소했다. 그래서 지역에 따라 희귀할 수 있지만, 발견되는 곳에서는 많이 자랄 수 있다. 씨앗은 고속도로변이나 토목 공사 지역 조경에 사용되는 야생화 씨앗 혼합물에 자주 포함되어, 이러한 곳에서 빽빽하게 자라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해 황화구륜초의 생존이 다시 활기를 띠게 되었다.
황화구륜초의 뿌리는 프라임베린[16]과 프리뮬라베린과 같은 5-메톡시살리실산 메틸 에스테르의 여러 배당체를 함유하고 있다.[17] 건조된 뿌리에서는 페놀 아글리콘이 메틸 살리실레이트 또는 아네톨을 연상시키는 냄새의 원인이다. 건조된 뿌리는 프라임라산 I/II와 같은 상당량의 트리테르펜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으며, 꽃에서는 이러한 성분이 꽃받침에 주로 분포하고, 주성분은 플라보노이드이다.[18] 사포닌의 부작용으로는 드물게 메스꺼움이나 설사가 있을 수 있으며, 일부 페놀 성분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19][20]
황화구륜초는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종명 "베리스(veris)"는 라틴어 ver|베르la('봄')의 소유격 형태로, '봄의'라는 뜻이다.[6]
'''키바나노쿠린자쿠라'''(黄花九輪桜)는 일본식 이름이다. 꽃 모양이 구륜초를 닮았고 노란색을 띠는 데서 유래했다.[35] "구륜(九輪)"은 불탑 꼭대기에 설치되는 상륜의 부품을 가리킨다.[36]
영어 이름 '''카우슬립'''(cowslip)은 고대 영어 "cu-slyppe"에서 왔으며, "소의 똥"을 의미한다.[29][37] 소가 이 풀을 먹거나 동물의 똥이 있는 곳을 좋아하는 것은 아니지만, "소의 똥이 떨어진 시골길이라면 어디에서든 자란다"는 뜻이다.[37]
그 외에도 cuy lippe, herb peter, paigle 또는 pagil,[8] peggle, key flower, key of heaven, fairy cups, petty mulleins, crewel, buckles, palsywort, plumrocks와 같은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9]
3. 형태
봄부터 초여름에 걸쳐, 잔털이 있는 높이 10~20cm의 꽃줄기를 몇 개 뻗어, 그 꼭대기에 다수의 꽃차례를 산형으로 낸다. 꽃받침은 종 모양으로 5개로 얕게 갈라진다. 꽃부리는 통 모양이며 끝이 5갈래로 갈라지고, 색깔은 노란색이며 중심에 붉은 반점이 있지만, 다양한 색상의 원예 품종도 존재한다. 꽃은 향기를 가진다.
진한 노란색 꽃은 봄에 피며, 한 줄기에 10~30송이가 핀다.[10] 각 꽃의 너비는 9–15 mm이다. 붉은색 및 주황색 꽃이 피는 식물은 드물지만, 색깔이 있는 앵초(Primula) 잡종이 토종 황화구륜초와 동시에 개화하여 상호 수분을 가능하게 하는 지역에서는 국지적으로 널리 퍼져 있을 수 있다. 겨울에는 뿌리줄기가 남아, 끝에 비늘눈을 붙인 상태로 월동한다.[34]
4. 분포 및 서식지
1970년대와 1980년대 영국에서 농업 관행의 변화로 인해 이 식물은 쇠퇴를 겪었다. 따라서 지역적으로 희귀할 수 있지만, 발견되는 곳에서는 풍부하게 자랄 수 있다. 씨앗은 이제 고속도로변 및 이와 유사한 토목 공사 토목 공사를 조경하는 데 사용되는 야생화 씨앗 혼합물에 자주 포함되며, 이곳에서 식물들이 빽빽하게 자라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관행으로 인해 이 식물의 생존이 부활했다.
5. 보존
6. 재배
7. 화학 성분
시베리아에서 자라는 아종 ''macrocalyx''는 페놀 화합물인 리카르딘 C를 함유하고 있다.[21]
8. 이용
영국에서는 꽃을 과실주[22]와 식초의 풍미를 더하는 데 사용하고, 설탕에 절여 먹거나 샐러드에 넣어 먹기도 한다. 쇠뜨기 즙은 튀김용 개똥쑥을 준비하는 데 사용하기도 한다. 쇠뜨기와 비슷한 앵초 ''P. vulgaris''는 꽃을 디저트 착색제로 사용하기도 한다.
잉글랜드 중부 및 남부 지방에서는 쇠뜨기 꽃으로 머스캣과 비슷한 와인을 만들기도 한다.[23]
8. 1. 식용
부드러운 어린 잎은 샐러드 채소로 먹으며[39], 향기로운 꽃은 말려서 허브티로 사용하거나[27], 설탕 절임으로 만들어 케이크나 디저트 장식에 사용한다[39]. 잼이나 피클의 향료로 사용하기도 한다[27]. 영국에서는 황화구륜초 꽃을 대량으로 채취하여 "카우슬립 와인"을 만드는 문화가 있는데[39][40], 이는 포도 와인에 꽃 향기를 더한 향미 와인이 아니라 카우슬립 꽃으로 시럽을 만들어 발효시킨 음료이다. 영국의 작가 비아트릭스 포터의 그림책 피터 래빗 시리즈 중 하나인 Cecily Parsley's Nursery Rhymes|세실리 파슬리의 자장가영어에도 토끼 안주인이 카우슬립 와인을 만드는 장면이 나온다[39].
8. 2. 약용
황화구륜초의 뿌리와 꽃은 민간요법에서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 진정 및 이완 효과가 있어 신경계 증상에 사용되었으며[29][41], 불면증에는 황화구륜초 차를 마셨다[29]。 중풍 치료에도 사용되어 'palsywort'(마비 풀)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다[29][40]。 미용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한때 화장품에 사용되기도 했으나[42][43], 체질에 따라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다[27]。
9. 문화
쇠뜨기 잎은 전통적으로 스페인 요리에서 샐러드 채소로 사용되어 왔다. 영국 요리에서는 꽃을 사용하여 과실주[22]와 식초의 풍미를 더하고, 설탕에 절여 달콤하게 먹거나 샐러드의 일부로 먹는다. 쇠뜨기 즙은 튀김용 개똥쑥을 준비하는 데 사용된다. 쇠뜨기의 가까운 친척인 앵초 ''P. vulgaris''는 종종 쇠뜨기와 혼동되어 왔으며, 요리에서의 용도는 유사하고 꽃은 디저트의 착색제로 사용된다.
영국의 아동 작가 앨리슨 우틀리는 "시골 아이"(1931)에서 쇠뜨기를 여주인공이 가장 좋아하는 꽃 중 하나로 묘사하며, 쇠뜨기 와인을 만들기 위해 쇠뜨기를 준비하는 과정을 언급한다. 쇠뜨기 와인은 "반짝이는 노란색 와인으로 변하고" 농장의 "아침 방문객"에게 비스킷과 함께 제공되었다.
앤 프랫은 잉글랜드 중부 및 남부 카운티에서는 쇠뜨기 꽃으로 머스캣과 비슷한 달콤하고 쾌적한 와인을 만들며, 이것은 가장 건강하고 쾌적한 홈메이드 와인 중 하나이며 약간의 마취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23]
9. 1. 봄을 알리는 꽃
앵초, 벚꽃앵초 등과 함께, 초봄에 피어 봄을 알리는 꽃으로 여겨진다.[37][40][46] 러시아어로는 Первоцвет(첫 꽃)이라고 불리며, 눈이 녹은 직후에 피는 초봄의 대표적인 꽃 중 하나이다.[53][54]9. 2. 열쇠의 꽃
줄기 끝에 선명한 노란색 꽃이 아래를 향해 밀집해 있는 모습을 열쇠의 묶음에 비유하여 영어로 key flower라고도 불린다.[28] 북유럽 신화에서는 이 꽃이 미와 풍요의 여신 프레이야에게 바쳐졌으며, 프레이야가 소유한 보물전의 열쇠를 여는 힘이 있다고 여겨졌다.[29] 기독교권에서는 예수로부터 천국의 열쇠를 받은 사도베드로의 전승과 결부되어, 천국의 입구에서 열쇠를 관리하던 성 베드로가 그만 열쇠 묶음을 지상에 떨어뜨렸고, 그 자리에서 싹이 튼 식물이라고 전해진다.[55] 여기에서 영어로 key of heaven이라는 별칭이 있으며, 독일어에서도 Himmelsschlüssel (Himmel=천국, schlüssel=열쇠)라고 불린다.[28][42]9. 3. 요정의 꽃
본종의 종 모양 꽃은 작은 요정의 은신처로 사용되었다고 여겨진다.[28] 영어로 fairy cups라는 이칭이 있다.[29] 꽃차례에 생긴 반점은 요정이 만진 흔적이라고 한다.[43][58] 또한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극 『한여름 밤의 꿈』에서는 요정의 대사 속에 카우슬립(황화구륜초)이 등장한다.[59][60]| 한여름 밤의 꿈 제2막 1장 |
|---|
| 요정: 키 큰 카우슬립은 티타니아 여왕님의 하인들 황금 코트에서 보이는 점들은 그것은 루비, 요정의 총애 그 주근깨에서 그들의 향기가 살아있네 나는 이슬 방울을 찾아야 해 그리고 각 카우슬립의 귓가에 진주를 걸어줘야지 |
| 요정: 키 큰 카우슬립은 여왕님의 하인들 황금 코트에서 보이는 점은 총애의 증표인 루비 그 반점에는 좋은 향기 나는 이슬 방울을 찾아서 카우슬립의 귓불에 진주를 걸어줘야 해 |
10. 근연종
Primula vulgaris영어[45][46] (앵초코자쿠라)[47]는 영어로 프림로즈(primrose)[34] 또는 잉글리시 프림로즈라고 불린다.[41][48] 유럽에서는 황화구륜초(카우슬립)와 함께 봄을 알리는 앵초속 식물로,[37][40][46] 식용 꽃과 허브로 사용된다.[27] 엘리자베스 시대에는 황화구륜초와 교배를 통해 프리뮬러 품종 개량의 기원이 되었다.[31]
Primula elatior영어[49] (옥슬립)[50]은 유럽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앵초속 식물이다. 황화구륜초와 비슷하지만, 황화구륜초는 꽃차례가 줄기 전체에 피는 반면 옥슬립은 줄기 한쪽에만 꽃이 핀다.[34] 황화구륜초와 자연 교잡종이 생길 수 있다.[30][51]
클린앵초( ''Primula'' × ''polyantha'')[52]는 프리뮬러 폴리안사, 폴리안서스, 폴리안타 등으로 불리는 원예 품종이다. 황화구륜초, 프림로즈, 옥슬립 등 여러 종을 교잡하여 만들었다.[31][41]
11. 그림


참조
[1]
웹사이트
Primula veris L.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3-03-19
[2]
서적
New Atlas of the British Flora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
웹사이트
Cowslip
http://www.word-orig[...]
Word-Origins.com
2010-05-08
[4]
서적
Shorter Oxford English dictionary, 6th ed.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A Dictionary of English Plant Names
Allen Lane
[6]
문서
L&S
[7]
서적
Excursion flora of the British is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8]
문서
Notes to Beachy Head; with Other Poems
1807
[9]
웹사이트
Cowslip
http://botanical.com[...]
[10]
서적
RHS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Dorling Kindersley
[11]
웹사이트
Primula veris – Online Atlas of the British and Irish Flora
http://www.brc.ac.uk[...]
[12]
웹사이트
Cowslip – Primula veris
http://www.naturespo[...]
[13]
웹사이트
Cowslip
https://web.archive.[...]
2022-05-29
[14]
웹사이트
RHS Plant Selector – Primula veris
https://www.rhs.org.[...]
2020-04-15
[15]
웹사이트
AGM Plants – Ornamental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8-05-14
[16]
PubChem
PubChem
[17]
웹사이트
Merck Index monograph
http://www.rsc.org/M[...]
[18]
서적
Herbal Drugs and Phytopharmaceuticals: A Handbook for Practice on a Scientific Basis
CRC Press
2004
[19]
서적
Traditional Folk Remedies: A Comprehensive Herbal
Century
1987
[20]
웹사이트
Glykosidy
http://www.biotox.cz[...]
biotox.cz
[21]
논문
Seasonal Dynamics of Riccardin C Accumulation in Primula macrocalyx Bge
[22]
서적
The Country Child
Faber and Faber
[23]
문서
Anne Pratt
[24]
웹사이트
History of Pre-Clusian Botany in Its Relation to Aster
https://books.google[...]
1902-01
[25]
웹사이트
Primula veris L. subsp. veris キバナノクリンザクラ
http://ylist.info/yl[...]
米倉浩司・梶田忠 (2003-)「BG Plants 和名-学名インデックス」(YList)
2012-05-11
[26]
문서
原色世界植物大図鑑
[27]
문서
ブレムネス
[28]
문서
スキナー
[29]
문서
マッキンタイア
[30]
문서
園芸植物大事典
[31]
문서
世界のプリムラ
[32]
서적
Species Plantarum
https://www.biodiver[...]
Laurentius Salvius
[33]
문서
牧野1996
[34]
문서
世界のプリムラ
[35]
문서
新分類牧野日本植物図鑑
[36]
서적
園芸植物大事典
[37]
서적
北野
[38]
간행물
ビール
福音館書店
[39]
서적
北野
[40]
서적
フリーマン
[41]
서적
世界有用植物事典
[42]
서적
フリーマン
[43]
서적
マッキンタイア
[44]
서적
フローラ
[45]
서적
原色世界植物大図鑑
[46]
서적
萩尾
[47]
웹사이트
Primula vulgaris Huds. イチゲコザクラ
http://ylist.info/yl[...]
米倉浩司・梶田忠 (2003-)「BG Plants 和名-学名インデックス」(YList)
2012-05-10
[48]
서적
フローラ
[49]
웹사이트
Primula elatior (L.) Hill セイタカサクラソウ
http://ylist.info/yl[...]
米倉浩司・梶田忠 (2003-)「BG Plants 和名-学名インデックス」(YList)
2009-06-24
[50]
서적
朝日百科
[51]
서적
園芸植物大事典
[52]
웹사이트
Primula x polyantha Hort. ex L.H.Bailey クリンザクラ
http://ylist.info/yl[...]
米倉浩司・梶田忠 (2003-)「BG Plants 和名-学名インデックス」(YList)
2009-06-24
[53]
서적
狩野
[54]
문서
サクラソウ属
[55]
서적
北野
[56]
서적
狩野
[57]
서적
狩野
[58]
서적
スキナー
[59]
서적
安部
[60]
서적
金城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