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8세기 독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세기 독일은 프로이센의 부상과 계몽주의의 영향을 받아 정치, 사회적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 프로이센은 군사력 강화와 영토 확장을 통해 강대국으로 성장했으며, 오스트리아와의 경쟁 속에서 독일의 주도권을 다투었다. 계몽주의는 사회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쳐 법률 개혁, 농노 해방, 교육 장려를 이끌었으며, 문학과 예술 분야에서도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다. 또한, 프로이센은 폴란드 분할에 참여하여 영토를 확장했으나, 이는 폴란드인들의 반발을 초래했다.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은 독일을 전쟁의 소용돌이로 몰아넣었지만, 프로이센은 결국 승리하여 영토를 확대하고 유럽 열강으로서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연방 - 카를스바트 결의
    카를스바트 결의는 1819년 메테르니히가 독일 연방 내 자유주의와 민족주의 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발표한 법령으로, 부르셴샤프트 해산, 대학 감시 강화, 출판물 검열 등을 통해 언론, 학문, 집회의 자유를 억압하였다.
  • 독일 연방 - 독일인의 조국은 무엇인가
    독일인의 조국은 무엇인가'는 독일의 애국적인 노래로, 독일인의 조국을 특정 지역이 아닌 독일어 사용 지역, 즉 언어와 문화적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더 넓은 개념으로 정의하며, 지역주의를 넘어선 통일된 독일의 염원을 드러낸다.
  • 신성 로마 제국 -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
    알브레히트 폰 발렌슈타인은 30년 전쟁 당시 신성 로마 제국 황제를 위해 활약한 보헤미아 출신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막대한 부와 권력을 축적했으나 독자적인 행보로 인해 암살당했다.
  • 신성 로마 제국 - 괴팅겐 대학교
    1737년 조지 2세에 의해 설립된 괴팅겐 대학교는 독일 니더작센주에 위치한 공법상 재단 형태의 종합대학교로, 수학, 자연과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학자들과 수많은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며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연구 중심 대학이다.
  • 독일의 역사 - 프로이센
    프로이센은 중세 시대 발트족에서 유래하여 튜턴 기사단, 프로이센 공국, 왕국 시대를 거치며 군사 강국으로 성장했고, 독일 통일을 주도하여 독일 제국을 건설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패배로 해체되었다.
  • 독일의 역사 - 홀로코스트
    홀로코스트는 원래 번제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나, 20세기 중반 이후 나치 독일의 유대인 대량 학살을 지칭하는 용어로 굳어졌으며, 나치의 아리아인 우월주의에 기반하여 700만 명이 넘는 유대인과 기타 소수 민족이 조직적인 학살과 잔혹한 생체 실험으로 희생된 사건이다.
18세기 독일
개요
시기1701년 ~ 1800년
주요 사건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7년 전쟁
바이에른 왕위 계승 전쟁
프랑스 혁명
신성 로마 제국 해체
정치
주요 국가프로이센 왕국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조
작센 선제후국
바이에른 선제후국
하노버 선제후국
정치 체제군주제 (대부분)
공화정 (일부 자유 도시)
신성 로마 제국 황제레오폴트 1세 (1705년 사망)
요제프 1세
카를 6세
카를 7세
프란츠 1세
요제프 2세
레오폴트 2세
프란츠 2세 (제국 해체까지)
프로이센 국왕프리드리히 1세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프리드리히 2세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사회
계층 구조귀족
성직자
부르주아
농민
주요 사상계몽주의
경건주의
인구 변화인구 증가 추세, 특히 프로이센 중심
경제
경제 특징중상주의 정책 강화
지역별 경제 발전 차이
주요 산업농업
수공업
광업
무역국내 무역 활발, 해외 무역은 제한적
문화
주요 문화바로크 (18세기 초)
로코코 (18세기 중반)
고전주의 (18세기 후반)
주요 인물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음악가)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음악가)
임마누엘 칸트 (철학자)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작가)
프리드리히 실러 (작가)
군사
군사력프로이센 군대의 성장
상비군 체제 강화
주요 전쟁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7년 전쟁
프랑스 혁명 전쟁

2. 군사 및 외교사

18세기 독일, 좀 더 정확히는 옛 신성 로마 제국은 쇠퇴기에 접어들었고, 이는 결국 나폴레옹 전쟁 중 제국의 해체로 이어졌다.[2]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제국은 수많은 독립 국가들(클라인슈타테라이)로 분열되었다.[2]

요제프 2세프랑크푸르트에서 로마인의 왕으로 대관식을 치르기 위해 가는 모습


스웨덴 제국대북방 전쟁 (1700–21)에서 러시아, 작센, 폴란드, 덴마크-노르웨이, 하노버 및 프로이센에 패배하면서 발트해 남쪽 해안에서 스웨덴의 주요 세력은 종말을 고했다.[4] 스톡홀름 조약 (1720년 1월)을 통해 프로이센은 슈체틴(슈체친)과 스웨덴령 포메라니아의 다른 지역을 되찾았다.[4]

1740년, 프리드리히 2세 (프리드리히 대왕)가 왕위에 올랐다. 그는 1537년 조약을 구실로 실레지아를 침공하여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0–48)을 일으켰다.[6] 1748년 아헨 조약으로 프로이센은 실레지아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6] 이후 프리드리히 2세는 1756–57년에 작센과 보헤미아를 선제 침공하여 7년 전쟁을 시작했다.[6]

루이 들라로셰트가 제작한 지도, 제목은 ''독일 제국 지도: 프로이센 왕국과 함께 이 이름으로 포함된 모든 주 포함'', 1782년 CE


1772–95년, 프로이센은 폴란드 분할에 참여하여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서부 영토를 점령했고, 이는 독일 통치에 대한 수세기 동안의 폴란드 저항과 박해로 이어졌다.[7] 프로이센은 로열 프로이센의 대부분과 바르미아를 포함한 폴란드 지방을 병합하여 서프로이센 주를 조직했다.[7] 1793년에는 서부 폴란드의 많은 부분을 획득했다.[7] 1795년 폴란드 왕국이 소멸하면서 동프로이센 남쪽의 넓은 지역(바르샤바 포함)이 프로이센의 새 실레지아, 남프로이센, 새 동프로이센 주로 편입되었다.[7]

2. 1. 18세기 프로이센의 부상과 독일 이원주의

18세기 초,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은 프로이센 왕국으로 승격되었다.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1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레오폴트 1세의 동의를 얻어 '프로이센의 왕' 칭호를 사용하게 되었고, 이는 위트레흐트 조약을 통해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3] 1713년부터 1740년까지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는 '병정왕'이라는 별명처럼 강력한 군대를 육성하고 중앙집권화를 추진하여 프로이센을 군국주의 국가로 만들었다.[2]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 대왕 (1712–1786)


1740년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가 즉위하면서 프로이센은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을 일으켜 실레지아를 차지했다.[6] 이후 7년 전쟁에서 프로이센은 러시아, 오스트리아 등 유럽 대부분의 국가와 맞서 싸웠다. 러시아의 엘리자베스 여제 사후 즉위한 러시아의 표트르 3세의 친프로이센 정책과 부르케르스도르프 전투 승리, 영국의 지원에 힘입어 프로이센은 전쟁 전의 상태를 유지하며 유럽의 강대국으로 부상했다.[6]

이러한 프로이센의 부상은 오스트리아와의 독일 내 주도권 경쟁, 즉 '독일 이원주의'를 심화시켰다.[6] 1763년부터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는 계몽 절대주의를 채택하여 경제 발전, 법률 개혁, 교육 장려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다.[8]

2. 2.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

프랑스 혁명은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를 포함한 프랑스의 여러 동부 이웃 국가 사이에 새로운 전쟁을 촉발했다. 독일은 프랑스 혁명에 대해 처음에는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독일 지식인들은 이 혁명의 발발을 축하하며 이성의 승리와 계몽주의를 기대했다.[1] 그러나 1793년 프랑스 국왕의 처형과 공포 정치의 시작은 빌둥스뷔르거툼(교양 있는 중산층)을 실망시켰다.[1]

1795년 프로이센과의 바젤 조약 이후, 라인강 서안은 프랑스에 양도되었다. 프랑스는 라인란트를 장악하고 프랑스식 개혁을 강요했으며, 봉건제를 폐지하고, 헌법을 제정했으며, 종교의 자유를 증진하고, 유대인을 해방하고, 재능 있는 일반 시민에게 관료제를 개방했으며, 귀족에게 부상하는 중산층과 권력을 공유하도록 강요했다. 나폴레옹은 모범적인 국가인 베스트팔렌 왕국 (1807–1813)을 세웠다.[19] 이러한 개혁은 대체로 영구적이었고 독일 서부를 근대화했다.

나폴레옹은 신성 로마 제국에 대항하여 전쟁을 재개했다. 1803년, ''"제국 대표자 결의"''(레겐스부르크에서 열린 영구 제국 의회 위원회의 결의)에 따라 그는 거의 모든 교회와 소규모 세속 국가, 그리고 대부분의 제국 자유 도시를 폐지했다. 새로운 중형 국가들이 독일 남서부에 설립되었다. 신성 로마 제국은 마지막 신성 로마 황제 프란츠 2세 (1804년부터 오스트리아의 프란츠 1세 황제)가 사임하면서 1806년 8월 6일에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1806년, 라인 연방이 나폴레옹의 보호 아래 설립되었다.[20]

독일 민족주의가 급증하면서, 프로이센은 1806년 나폴레옹과 전쟁을 벌였다. 나폴레옹은 예나 전투 (1806)에서 쉽게 프로이센군을 짓밟았다. 나폴레옹은 베를린을 점령했고, 프로이센은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하고 프랑스 점령군에게 자금을 지원해야 하는 등 혹독한 대가를 치렀다. 프로이센은 최근에 획득한 독일 서부 영토를 잃었고, 군대는 42,000명으로 줄었으며, 영국과의 무역은 허용되지 않았다.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 실패 이후, 프로이센은 러시아와 합류했다. 1813년 말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나폴레옹이 패배한 이후, 그의 제국은 빠르게 무너졌다. 연합군은 1814년 초 프랑스를 침공했고, 파리가 함락되었으며, 4월에 나폴레옹은 항복했다. 그는 1815년 100일 동안 복귀했지만, 워털루에서 영국군과 독일군에게 최종적으로 패배했다. 프로이센은 빈 평화 회의에서 광범위한 영토를 획득하며 큰 승자가 되었다.[1]

3. 정치

1640년부터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은 대선제후 프리드리히 빌헬름 아래에서 부상하기 시작했으며,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으로 동포메라니아를 획득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 1713년부터 1740년까지 "군인왕"으로도 알려진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는 오스트리아(900만 명)보다 적은 약 300만 명의 농촌 인구를 가진 고도로 중앙 집권화되고 군사화된 국가를 건설했다.[1]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1740–48)에서 마리아 테레지아는 왕위 계승권을 인정받았으나, 슐레지엔 전쟁과 7년 전쟁에서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2세에게 슐레지엔의 95%를 할양해야 했다. 1763년 오스트리아, 프로이센, 작센 간의 후베르투스부르크 조약 이후 프로이센은 유럽 열강으로 부상했으며, 이는 독일의 주도권을 놓고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 사이의 경쟁의 시작을 알렸다.

1763년 이후 프로이센은 유럽 열강으로 부상했다. 독일 지배권을 놓고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 사이의 경쟁이 시작되었다.


1763년부터 귀족과 시민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통치자가 철학자들의 가르침에 따라 통치하는 "계몽 절대주의"가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에 확립되었다. 경제가 발전하고 고문 폐지 및 유대인의 지위 개선을 포함한 법률 개혁이 이루어졌다. 농민 해방이 서서히 시작되었고, 의무 교육이 시행되었다.

1772–1795년에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는 폴란드 분할에 참여했다. 프로이센은 기존 프로이센 영토를 둘러싼 이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서부 영토를 점령했고, 오스트리아는 남쪽의 갈리치아 영토를 차지했다. 이 점령은 독일화에 대한 수 세기에 걸친 폴란드 저항으로 이어졌다.

4. 사회

18세기 독일은 농업 중심 사회였으며, 토지는 사회 경제의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동부 지역의 융커들은 광대한 토지를 소유하고 농민들을 지배하며 프로이센 왕실과 군대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5] 농민들은 마을을 중심으로 공동체 생활을 했으며, 귀족에게 임대료를 지불하고 의무적인 노동을 제공하며 농사를 지었다.[6][7]

1770년에서 1830년 사이, 독일 역사에서 농노 해방이 점진적으로 진행되었다. 1797년 슐레스비히 귀족들이 먼저 농노 해방에 동의했고, 1804년에는 덴마크와 독일의 왕족 및 정치 지도자들이 이를 승인했다.[8] 해방된 농민들은 토지를 소유, 매매하고 자유롭게 이주할 권리를 얻었다. 남작 폰 슈타인 등은 계몽주의애덤 스미스의 자유 시장 경제 이론에 영향을 받아 농노 해방을 추진했다.[9]

18세기 중반 계몽주의("Aufklärung")는 음악, 철학, 과학, 문학에서 독일 고급 문화를 변화시켰다. 크리스티안 볼프는 독일어로 계몽주의를 설명한 선구자였다.[13]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프리드리히 실러 등은 바이마르 고전주의를 통해 새로운 인문주의를 확립하려 했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요제프 하이든,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루트비히 판 베토벤 등은 독일 음악을 발전시켰다.[15] 이마누엘 칸트는 합리주의와 종교적 믿음, 개인의 자유와 정치적 권위를 조화시키려 했다.[16]

4. 1. 귀족과 농민

18세기 독일 사회는 농업 중심 사회였으며, 토지는 사회 경제의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동부 지역의 융커로 불리는 귀족들은 광대한 토지를 소유하고 농민들을 지배하며 지역 사회뿐만 아니라 프로이센 왕실과 군대에도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5] 1815년 이후 프로이센 정부는 귀족들의 권한을 점차적으로 흡수했지만, 농민들에 대한 통제력은 여전히 강력했다. 1809년에는 귀족들의 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용 기관을 설립하고, 1849년에는 대출 네트워크를 농민들에게까지 확대하여 농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려 했다.[5] 1871년 독일 제국이 수립된 후에도 융커 귀족들은 군대, 해군, 관료제, 왕실을 장악하며 정부 정책 결정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5]

농민들의 삶은 마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그들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공동 자원을 관리하고 공동체 생활을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 동독의 농민들은 토지에 영구적으로 묶인 농노 신분이었다. 독일 대부분 지역의 농민들은 귀족에게 임대료를 지불하고 의무적인 노동을 제공하며 농사를 지었다. 농민 지도자들은 밭과 도랑, 방목 권리를 감독하고, 공공 질서와 도덕을 유지하며, 마을 법정을 통해 경미한 범죄를 처리했다. 가족 내에서는 가장이 모든 결정을 내리고 자녀들의 결혼을 주선했다. 마을의 공동체 생활은 주로 교회 예배와 공휴일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프로이센에서는 농민들이 추첨을 통해 군대에 징집되었다. 귀족들은 자신이 지배하는 마을의 대외 관계와 정치를 담당했으며, 일상적인 활동에는 거의 관여하지 않았다.[6][7]

1770년에서 1830년 사이, 독일 역사에서 농노 해방이 점진적으로 진행되었다. 1797년 슐레스비히의 귀족들이 먼저 농노 해방에 동의했고, 1804년에는 덴마크와 독일의 왕족 및 정치 지도자들이 이를 승인했다.[8] 농노 신분에서 해방된 농민들은 자신의 토지를 소유하고, 사고팔 수 있게 되었으며, 자유롭게 이주할 수 있는 권리를 얻었다. 귀족들 역시 농민 소유의 토지를 구매할 수 있게 되면서 토지 소유 구조에 변화가 일어났다. 남작 폰 슈타인과 같은 주요 개혁가들은 계몽주의 사상, 특히 애덤 스미스의 자유 시장 경제 이론에 영향을 받아 농노 해방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9] 농노제의 종식은 농민들의 개인적인 법적 지위를 향상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토지 소유자들이 농민으로부터 토지를 구매할 수 있도록 정부 자금을 지원하는 은행이 설립되었고, 이를 통해 대규모 토지 소유자들은 더 많은 토지를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나 농민들은 1850년까지 토지 구매를 위한 자금 대출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많은 농민들이 토지를 잃고 소작농이 되거나 도시 또는 미국으로 이주해야 했다. 다른 독일 국가들도 1815년 이후 프로이센의 개혁을 모방하여 농노 해방을 추진했다. 프랑스 혁명과 달리 독일의 토지 개혁은 평화롭게 진행되었다. 슐레스비히에서는 계몽주의의 영향을 받은 농민들이 개혁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지만, 다른 지역에서는 농민들의 참여가 소극적이었다. 대부분의 농민들은 오랫동안 귀족에게 복종하는 관습과 전통을 유지했으며, 농민들의 법적 권한은 여전히 귀족에게 귀속되어 있었다. 동프로이센에서는 이러한 가부장적 관계가 20세기까지 지속되었다.[6]

1770년에서 1870년 사이 북서부 독일에서는 진보적인 정부와 지역 엘리트들의 주도로 농업 개혁이 추진되었다. 봉건적 의무가 폐지되고 공동 소유였던 공유지가 사유지로 분할되면서, 시장 지향적인 농촌 경제가 형성되어 생산성과 인구가 증가했다. 그러나 부유한 농민들이 이전 공유지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농촌 프롤레타리아는 토지를 잃게 되면서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되었다. 많은 농민들이 도시나 미국으로 이주했고, 공유지 분할은 귀족과 농민 사이의 사회적 갈등을 완화하는 완충 역할을 수행했다.[10] 동부 지역에서는 농노가 해방되었지만 융커 계급은 여전히 대규모 토지를 소유하고 정치 권력을 독점했다.[11]

1800년경에는 대규모 토지를 소유하고 있던 가톨릭 수도원이 국유화되어 정부에 의해 매각되었다. 바이에른에서는 수도원이 전체 토지의 56%를 소유하고 있었다.[12]

4. 2. 계몽주의와 사회 변화



18세기 중반까지 "Aufklärung"(계몽주의)은 음악, 철학, 과학, 문학 분야에서 독일의 고급 문화를 변화시켰다. 1750년 이전 독일 상류층은 지적, 문화적, 건축적 리더십을 위해 프랑스(또는 이전에는 이탈리아)를 주로 참고했으며, 프랑스어는 상류 사회의 언어였다. 크리스티안 볼프(1679–1754)는 독일 독자들에게 계몽주의를 설명한 선구적인 작가였으며, 독일어를 철학적 언어로 정당화했다.[13]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1744–1803)는 초기 낭만주의 운동인 질풍노도 운동의 지도자로서 철학과 시에서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바이마르 고전주의("Weimarer Klassik")는 낭만주의, 고전주의, 계몽주의 사상을 종합하여 새로운 인문주의를 확립하려는 바이마르 기반의 문화 및 문학 운동이었다. 1772년부터 1805년까지 이어진 이 운동에는 헤르더뿐만 아니라 박식가 요한 볼프강 폰 괴테(1749–1832)와 시인이자 역사가인 프리드리히 실러(1759–1805)도 참여했다. 헤르더는 모든 민족이 언어와 문화로 표현되는 고유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독일어와 문화의 진흥을 정당화했으며 독일 민족주의의 발전에 기여했다. 실러의 희곡은 사회적 압력과 운명의 힘에 맞서 영웅의 투쟁을 묘사하며 그의 세대의 불안한 정신을 표현했다.[14]

독일 음악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1685–1750), 요제프 하이든(1732–1809),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1756–1791), 루트비히 판 베토벤과 같은 작곡가들에 의해, 상류층의 후원을 받으며 성숙해졌다.[15]

외딴 쾨니히스베르크에서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1724–1804)는 합리주의와 종교적 믿음, 개인의 자유, 정치적 권위를 조화시키려 했다. 칸트의 저작에는 독일 사상, 그리고 20세기까지 유럽 전체의 철학을 계속 형성할 기본적인 긴장이 담겨 있었다.[16]

독일 계몽주의는 군주, 귀족, 중산층의 지지를 얻었으며 문화를 영구적으로 변화시켰다.[17]

5. 소국

thumb (뷔르템베르크)]]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 외에도 독일에는 다양한 소국들이 존재했다. 신성 로마 제국의 정치 구조는 복잡했기 때문에 각 소국의 상황은 매우 다양했다. 1750년 이후, 특히 1770년 이후에는 중산층의 경제적, 정치적 상황이 전반적으로 약간 개선되었다는 인식이 있었다. 여러 크고 작은 주에서 개혁이 이루어졌는데, 낭비적이고 무능한 통치자도 있었지만, 뛰어난 인물들도 있었다. 관료들은 부패한 경우가 많았지만, 이전보다 더 유능하고 교육을 잘 받은 경우가 많았다.[2]

작센은 독일 문화 활동의 중심지였고, 상업 및 산업도 발달했지만, 정치적으로는 이웃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에 뒤졌다. 바이에른은 부채가 많고 성장 중심지가 거의 없는 농촌 지역으로 상황이 좋지 않았다. 뷔르템베르크에서는 공작이 궁전, 정부, 축제, 사냥 등에 많은 자금을 쏟아부었다. 작은 공작들 중에는 불쾌한 인물들도 많았지만, 바덴의 카를 프리드리히 변경백과 같은 뛰어난 인물들도 있었다. 계몽주의를 지지한 카를 프리드리히의 통치 아래, 바덴은 작은 주들 중에서 가장 훌륭한 정부를 가진 곳 중 하나였다. 1783년에는 농노제가 폐지되었는데, 이는 농민 불안과 1781년 요제프 2세의 오스트리아 농노제 폐지 이후 바덴 농민들이 인근 브라이스가우로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3]

독일의 상당 지역은 주교들의 통치 아래 있었다. 이 교회 영주국의 상황은 세속 국가와 마찬가지로 다양했다. 주교들은 대부분 왕족이나 귀족 출신이었으며, 세속 군주처럼 행동하는 정치적 통치자로 여겨졌다. 그들의 책임감과 영토 관리 능력은 매우 다양했지만, 일부 왕조 국가가 획득하기 시작한 정부의 연속성을 달성하기는 어려웠다.[2]

헤센-카셀에서는 프리드리히 2세가 1760년부터 1785년까지 계몽 군주로 통치하며 미국 독립 전쟁을 돕기 위해 영국에 군인 ("헤센)을 고용하여 자금을 모았다. 그는 계몽주의 사상과 기독교 가치, 중상주의적 경제 통제, 군사적 외교 접근 방식을 결합했다.[4]

하노버는 통치자들이 영국 왕을 겸했기 때문에 런던에 거주하여 사치스러운 궁정을 지원할 필요가 없었다. 1760년부터 1820년까지 하노버의 선제후였던 조지 3세는 하노버를 방문한 적이 없었다. 지역 귀족들은 1737년에 괴팅겐 대학교를 설립하여 곧 세계적인 지적 중심지가 되었다.

참조

[1] 서적 German History: 1770–1866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2] 서적 A History of Modern Germany: 1648–1840 https://archive.org/[...]
[3] 서적 Germany and the Holy Roman Empire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Hessian Mercenary State: Ideas, Institutions, and Reform under Frederick II, 1760–1785
[5] 서적 A Social History of Germany: 1648–1914
[6] 서적 A Social History of Germany: 1648–1914 https://archive.org/[...]
[7] 간행물 Jans Stauffer: A Farmer in Germany before his Emigration to Pennsylvania Genealogist 2008-09
[8] 웹사이트 Decree on the Abolition of Personal Serfdom in Schleswig-Holstein http://ghdi.ghi-dc.o[...] 1804
[9] 서적 Stein and the era of reform in Prussia, 1807–1815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 논문 Agrarian Individualism in North-Western Germany, 1770–1870 1994-04
[11] 논문 Dualism in German Agrarian Historiography 1986-04
[12] 서적 Germany from Napoleon to Bismarck: 1800–1866 https://archive.org/[...]
[13] 서적 Germany under the Old Regime, 1600–1790
[14] 간행물 The Literature of Weimar Classicism
[15] 서적 Music at German Courts, 1715–1760: Changing Artistic Priorities
[16] 서적 Kant: A Biography
[17] 서적 The Society of the Enlightenment: The Rise of the Middle Class and Enlightenment Culture in Germany
[18] 서적 Reich and Nation. The Holy Roman Empire as Idea and Reality, 1763-1806 Indiana University Press, Bloomington
[19] 서적 Napoleon's satellite kingdoms
[20] 서적 History of Germany from the Medieval Empire to the Prese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