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1TV 대하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S 1TV 대하드라마는 1981년 시작되어 주말 밤에 방송되는 장편 시대극이다. 초기에는 조선 시대를 주로 다루었으나, 삼국 시대, 고려 시대, 근현대사 등 다양한 시대를 배경으로 제작되었다. '용의 눈물', '태조 왕건', '왕과 비' 등은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전성기를 이끌었고, '불멸의 이순신', '대조영' 등은 국난 극복 영웅 서사로 국민들에게 희망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까지 제작 중단과 재개를 반복했으며, 2021년 '태종 이방원'을 시작으로 제작이 재개되었고, 2023년에는 '고려 거란 전쟁'이 방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방송공사 대하드라마 - 김구 (드라마)
김구의 일생을 그린 KBS 대하드라마 《김구》는 김상중과 조상건이 김구 역을 맡았고 안중근, 이완용, 이승만 등 주요 인물들이 등장하지만, 이승만 역 배우의 범죄 혐의 및 유족의 명예훼손 고소 등 논란이 있었다. - 한국방송공사 대하드라마 - 독립문 (드라마)
독립문은 1984년 KBS 1TV에서 방영된 드라마로, 대한제국 시기 독립운동가들의 활동을 다루었으며 총 44회로 방영되었다. -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
《사장님 귀는 당나귀 귀》는 다양한 분야의 보스들과 직원들의 직장 생활을 관찰하여 그 관계를 보여주는 KBS 2TV 예능 프로그램으로, 전현무, 김숙, 김희철이 진행하며 매주 일요일 오후 4시 40분에 방송된다. -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아침마당
《아침마당》은 1991년부터 KBS 1TV에서 평일 오전에 방송되는 교양 프로그램으로, 이웃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요일별 특화된 주제로 전달하며 감동, 재미, 가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드라마 - 양동근
양동근은 1987년 아역 배우로 데뷔하여 드라마와 영화에서 활동하며 YDG aka Madman이라는 예명으로 힙합 가수로도 데뷔하여 독특한 스타일과 개성 있는 음악으로 입지를 다진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힙합 래퍼이다. - 한국방송공사의 텔레비전 드라마 - 정용화
정용화는 1989년 서울 출생으로 록 밴드 씨엔블루의 리더 겸 보컬이자 싱어송라이터, 드라마 《미남이시네요》로 데뷔한 배우로서, 솔로 가수로서도 국내외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인기를 얻고 여러 논란을 겪었으나 무혐의 처분을 받았다.
KBS 1TV 대하 드라마 | |
---|---|
KBS 대하드라마 | |
![]() | |
드라마 정보 | |
방송 채널 | KBS 1TV |
방송 시간 | 매주 주말 밤 9시 40분 ~ 10시 30분 (50분) |
방송 기간 | 1981년 6월 ~ |
방송 횟수 | 100회 이상 (장편 드라마 위주) 50회 내외 (미니 시리즈) |
관련 정보 | |
관련 프로그램 | KBS TV 문학관 KBS 드라마 게임 |
유사 프로그램 | MBC 대하드라마 |
기타 | |
관련 문서 | KBS 1TV 대하 드라마 |
2. 방송 시간
KBS 대하드라마는 초기에는 월요일 또는 일요일 밤에 방송되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주말 밤 시간대로 변경되었다. 2008년에는 KBS 2TV로 채널을 옮겨 방송되기도 했으나[3], 이후 다시 KBS 1TV로 복귀하여 현재는 주말 밤 9시 25분(또는 9시 40분)에 방송되고 있다.
KBS 1TV 대하드라마는 일본 NHK의 대하드라마를 참고하여 제작되고 있다.[1] 1981년 1월에 방송된 『대명』이 첫 번째 작품이다.[1][9] 이후 1년에 한 작품씩 장편 시대극이 방송되었다.
3. 제작 배경 및 특징
1995년 8월, 『김구』로 대하드라마가 재개되었다. 2008년 4월, 『대왕 세종』 방송 중 방송 채널이 KBS1에서 KBS2로 이동했고,[3] 차기작 『천추태후』까지 같은 채널에서 방송되었다. 『천추태후』 방송 종료 후 잠시 중단되었다가 2010년 11월, 『근초고왕』으로 재개되면서 다시 KBS1 채널로 돌아왔다.
2013년, 『대왕의 꿈』 방송 종료 후 박태준의 생애를 다룬 드라마가 기획되었지만, 박정희 정권 미화 논란으로 제작이 중단되기도 했다.
3. 1. 정치적 논란과 제작 중단
2010년대 이후 KBS 대하드라마는 여러 차례 정치적 논란과 재정 문제에 직면했다. 2013년에는 박태준의 생애를 다룬 강철왕(가제)이 차기작으로 기획되었지만, "박정희 정권 미화로 이어진다"는 이유로 KBS 노동조합이 제작 중단을 요구했고[5][6], 결국 제작이 중단되었다.[7] (이후 '불꽃 속으로'라는 제목으로 TV조선에서 방송되었다)[7]
2016년 장영실을 마지막으로 대하드라마 제작이 중단되었다가[9], 시청자들의 부활 요구가 커지자 2021년 5년 만에 태종 이방원으로 대하드라마를 재개했다.[10][11]
4. 작품 목록
KBS 대하드라마는 1981년 대명을 시작으로 2024년 고려 거란 전쟁까지 총 34편의 작품이 제작되었다.
제목 | 방송 기간 (시작/종료) | 횟수 | 원작자 | 극본 | 주인공 | 비고 | ||
---|---|---|---|---|---|---|---|---|
1 | 대명 | 1981년 1월 5일 ~ 1981년 12월 28일 | 49회 | - | 이철향 | 인조 효종 | 김동훈 김흥기 | |
2 | 풍운 | 1982년 1월 10일 ~ 1982년 12월 26일 | 49회 | - | 신봉승 | 흥선대원군 고종 | 이순재 박지령 | |
3 | 개국 | 1983년 1월 2일 ~ 1983년 12월 18일 | 49회 | 이태원 | 이은성 이태원 | 이성계 공민왕 | 임동진 임혁 | |
4 | 독립문 | 1984년 1월 1일 ~ 1984년 12월 20일 | - | 이철향 | ||||
5 | 여명 | 1985년 2월 17일 ~ 1985년 12월 29일 | 46회 | - | 김교식, 오재호 이진욱, 홍성룡 | 이승만 김구 | 신구 이치우 | 방송 중 연출, 작가 교체[15] |
6 | 노다지 | 1986년 10월 25일 ~ 1987년 5월 31일 | 64회 | 선우휘 | 박병우 선우휘 | - | 이하늬 배종옥 | |
7 | 이화 | 1987년 6월 6일 ~ 1987년 10월 17일 | 44회 | W・A・노블 | 김항명 | - | 김서영 유동근 | |
8 | 토지 | 1987년 10월 24일 ~ 1989년 8월 6일 | 103회 | 박경리 | 김하림, 김원석 | 최서희 김길상 | 최수지 윤승원 | |
9 | 역사는 흐른다 | 1989년 9월 3일 ~ 1990년 9월 9일 | 54회 | 한무숙 | 박병우 | - | 유인촌 장미희 | |
10 | 여명의 그날 | 1990년 9월 16일 ~ 1990년 12월 16일 | 13회 | - | 김교식 | 이승만 김구 | 신구 이영후 | |
11 | 왕도 | 1991년 1월 6일 ~ 1991년 10월 5일 | 34회 | 유현종 | 김항명 | 홍국영 | 김영철 | |
12 |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 1991년 10월 12일 ~ 1992년 3월 28일 | 24회 | 유안진 | 이철향 | 김씨 유석 | 신혜수 전혜리 | |
13 | 삼국기 | 1992년 4월 12일 ~ 1993년 4월 17일 | 50회 | 이남교 | 유현종 | 김유신 계백 연개소문 | 서인석 유동근 조경환 | |
14 | 먼동 | 1993년 4월 24일 ~ 1994년 4월 16일 | 39회 | 홍성원 | 김항명 | 송보경 | 하희라 | |
15 | 김구 | 1995년 8월 5일 ~ 1995년 9월 24일 | 16회 | - | 이봉원, 홍승연, 정경아 | 김구 | 조상건 김상중 | |
16 | 찬란한 여명 | 1995년 10월 28일 ~ 1996년 11월 23일 | 100회 | 신봉승 | 유홍기 이동인 | 이정길 김갑수 | ||
17 | 용의 눈물 | 1996년 11월 24일 ~ 1998년 5월 31일 | 159회 | 박종화 | 이환경 | 이성계/태조 이방원/태종 | 김무생 유동근 | |
18 | 왕과 비 | 1998년 6월 6일 ~ 2000년 3월 26일 | 186회 | - | 정하연 | 수양대군/세조 인수대비 | 임동진 채시라 | |
19 | 태조 왕건 | 2000년 4월 1일 ~ 2002년 2월 24일 | 200회 | 이환경 | 왕건/태조 궁예 견훤 | 최수종 김영철 서인석 | ||
20 | 제국의 아침 | 2002년 3월 2일 ~ 2003년 1월 24일 | 94회 | - | 이환경 | 왕소/광종 | 김상중 | |
21 | 무인시대 | 2003년 2월 8일 ~ 2004년 8월 15일 | 158회 | - | 유동윤 | 이의방 정중부 경대승 이의민 최충헌 | 서인석 김흥기 박용우 이덕화 김갑수 | |
22 | 불멸의 이순신 | 2004년 9월 4일 ~ 2005년 8월 28일 | 104회 | 김훈 김탁환 | 윤선주, 박영숙 윤영수, 장기창 | 이순신 | 김명민 | |
23 | 서울 1945 | 2006년 1월 7일 ~ 2006년 9월 10일 | 71회 | - | 정성희 이한호 | 김해경 최우혁 이동우 문석경 | 한은정 류수영 김호진 소유진 | |
24 | 대조영 | 2006년 9월 16일 ~ 2007년 12월 23일 | 134회 | 유현종 | 장영철 | 대조영 | 최수종 | |
25 | 대왕 세종 | 2008년 1월 5일 ~ 2008년 11월 16일 | 86회 | - | 윤선주 김태희 | 충녕대군/세종 | 김상경 | KBS1→KBS2 이동 |
26 | 천추태후 | 2009년 1월 3일 ~ 2009년 9월 27일 | 78회 | - | 손영목, 이상민 강영란 | 천추태후 | 채시라 | KBS2 |
27 | 근초고왕 | 2010년 11월 6일 ~ 2011년 5월 29일 | 60회 | 이문열 | 정성희 유승열 | 근초고왕 | 감우성 | |
28 | 광개토태왕 | 2011년 6월 4일 ~ 2012년 4월 29일 | 92회 | 정리립 형민우 | 조명주, 장기창 최진영, 김주 | 광개토왕 | 이태곤 | |
29 | 대왕의 꿈 | 2012년 9월 8일 ~ 2013년 6월 9일 | 70회 | - | 윤성주 김선덕 | 김춘추/무열왕 | 최수종 | |
30 | 정도전 | 2014년 1월 4일 ~ 2014년 6월 29일 | 50회 | - | 정현민 | 정도전 이성계 | 조재현 유동근 | |
31 | 징비록 | 2015년 2월 14일 ~ 2015년 8월 2일 | 50회 | 유성룡 | 정형수 | 유성룡 선조 | 김상중 김태우 | |
32 | 장영실 | 2016년 1월 2일 ~ 2016년 3월 26일 | 24회 | - | 이명희 마창준 | 장영실 세종 | 송일국 김상경 | |
33 | 태종 이방원 | 2021년 12월 11일 ~ 2022년 5월 1일 | 32회 | - | 이정우 | 태종 이성계/태조 | 주상욱 김영철 | |
34 | 고려 거란 전쟁 | 2023년 11월 11일 ~ 2024년 3월 3일 | 32회 | - | 이정우 | 현종 강감찬 | 김동준 최수종 |
4. 1. 1980년대
1981년에는 효종의 이야기를 다룬 《대명》이, 1982년에는 흥선대원군의 일대기를 그린 《풍운》이 방영되었다.[1] 1983년에는 이성계를 중심으로 조선 건국 과정을 다룬 《개국》이 방영되었다.[1]1984년에는 가상 인물들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의 아픔을 그린 《독립문》이 제작되었다.[1] 1985년에는 이승만과 김구를 중심으로 해방 전후의 혼란스러웠던 시대를 배경으로 한 《새벽》이 방영되었다.[1]
1986년부터 1987년까지는 가상 인물 오성희의 일생을 통해 개화기 조선의 모습을 그린 《노다지》가,[1] 1987년에는 윌리엄 아서 노블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가상 인물 '이화'의 삶을 다룬 《이화》가 방영되었다.[1]
1987년부터 1989년까지는 박경리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토지》가 방영되어, 가상 인물 최서희를 중심으로 구한말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 격동기를 그려냈다.[1] 1989년부터 1990년까지는 한무숙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역사는 흐른다》가 방영되어, 가상 인물 박옥련과 이규직을 통해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의 역사를 조명했다.[1]
이 시기에는 주로 조선 시대와 근대 개항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들이 주를 이루었다.[1]
제목 | 방영일 (첫방/종방) | 총방영 횟수 | 원작자 | 극본 | 주인공 | 배우 | 비고 |
---|---|---|---|---|---|---|---|
《대명》 | 1981년 1월 5일 ~ 1981년 12월 28일 | 49회 | - | 이철향 | 효종 | 김흥기 | |
《풍운》 | 1982년 1월 10일 ~ 1982년 12월 26일 | 49회 | 유주현 | 신봉승 | 흥선대원군 | 이순재 | |
《개국》 | 1983년 1월 2일 ~ 1983년 12월 18일 | 49회 | 이태원 | 이은성 | 이성계 | 임동진 | |
《독립문》 | 1984년 1월 1일 ~ 1984년 12월 30일 | 50회 | - | 이철향 | 안영복 | 임혁 | 가상인물 사극 |
배정자 | 정윤희 | ||||||
《새벽》 | 1985년 2월 17일 ~ 1985년 12월 29일 | 46회 | - | 김교식 | 이승만 | 신구 | 작가가 도중에 변경 |
오재호 | 김구 | 이치우 | |||||
《노다지》 | 1986년 10월 25일 ~ 1987년 5월 31일 | 64회 | 선우휘 | 박병우 | 오성희 | 한혜숙 | 가상인물 사극 |
《이화》 | 1987년 6월 6일 ~ 1987년 10월 18일 | 44회 | 윌리엄 아서 노블 | 김항명 | 이화 | 김소연 | 가상인물 사극 |
《토지》 | 1987년 10월 24일 ~ 1989년 8월 6일 | 103회 | 박경리 | 김원석 | 최서희 | 최수지 | 가상인물 사극 |
《역사는 흐른다》 | 1989년 9월 3일 ~ 1990년 9월 9일 | 54회 | 한무숙 | 박병우 | 박옥련 | 장미희 | 가상인물 사극 |
이규직 | 유인촌 |
4. 2. 1990년대
1990년대에는 다양한 사극들이 제작되어 방영되었다. 1990년에는 이승만과 김구를 다룬 《'''여명의 그날'''》이 방영되었고, 1991년에는 홍국영을 주인공으로 한 《'''왕도'''》가 방영되었다. 같은 해, 가상 인물 심씨와 유석우를 중심으로 한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도 방영되었다.1992년부터 1993년까지는 김유신, 계백, 연개소문 등 삼국시대 인물들을 다룬 《'''삼국기'''》가 방영되었다. 1993년부터 1994년까지는 가상 인물 송보경을 중심으로 한 《'''먼동'''》이 방영되었다. 1995년에는 김구의 일대기를 다룬 《'''김구'''》가 방영되었으며, 같은 해부터 1995년까지는 유홍기와 이동인을 다룬 《'''찬란한 여명'''》이 방영되었다.
특히, 1996년부터 1998년까지 방영된 《'''용의 눈물'''》은 태조 이성계와 태종 이방원의 이야기를 다루며 최고 시청률 49.6%를 기록하는 등 큰 인기를 얻었다.[17] 1998년부터 2000년까지 방영된 《'''왕과 비'''》는 세조와 인수대비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하며 최고 시청률 44.0%를 기록하며 많은 사랑을 받았다.
제목 | 방영일 (첫방/종방) | 총방영 횟수 | 원작자 | 극본 | 주인공 | 배우 | 최고 시청률 | 비고 |
---|---|---|---|---|---|---|---|---|
《여명의 그날》 | 1990년 9월 16일 ~ 1990년 12월 16일 | 13회 | - | 김교식 | 이승만, 김구 | 신구, 이영후 | - | |
《왕도》 | 1991년 1월 6일 ~ 1991년 10월 5일 | 34회 | 유현종 | 김항명 | 홍국영 | 김영철 | - | |
《바람꽃은 시들지 않는다》 | 1991년 10월 12일 ~ 1992년 3월 28일 | 24회 | 유안진 | 이철향 | 심씨, 유석우 | 신혜수, 정애리 | - | 가상인물 사극 |
《삼국기》 | 1992년 4월 12일 ~ 1993년 4월 17일 | 50회 | 이남교 | 유현종 | 김유신, 계백, 연개소문 | 서인석, 유동근, 조경환 | - | |
《먼동》 | 1993년 4월 24일 ~ 1994년 4월 16일 | 39회 | 홍성원 | 김항명 | 송보경 | 하희라 | - | 가상인물 사극 |
《김구》 | 1995년 8월 5일 ~ 1995년 9월 24일 | 16회 | - | 이봉원, 홍승연, 정경아 | 김구 | 조상건, 김상중 | - | |
《찬란한 여명》 | 1994년 10월 29일 ~ 1995년 11월 25일 | 100회 | 신봉승 | 신봉승 | 유홍기, 이동인 | 이정길, 김갑수 | - | |
《용의 눈물》 | 1996년 11월 24일 ~ 1998년 5월 31일 | 159회 | 박종화 | 이환경 | 태조 이성계, 태종 이방원 | 김무생, 유동근 | 49.6% | |
《왕과 비》 | 1998년 6월 6일 ~ 2000년 3월 26일 | 186회 | - | 정하연 | 세조, 인수대비 | 임동진, 채시라 | 44.0% |
4. 3. 2000년대
2000년대에는 태조 왕건, 제국의 아침, 무인시대, 불멸의 이순신, 서울 1945, 대조영, 대왕 세종, 천추태후 등의 작품이 제작되었다.제목 | 방영 기간 | 총 방영 횟수 | 극본 | 주인공 및 배우 | 최고 시청률 | 평균 시청률 |
---|---|---|---|---|---|---|
태조 왕건 | 2000년 4월 1일 ~ 2002년 2월 24일 | 200회 | 이환경 | 왕건 (최수종), 궁예 (김영철), 견훤 (서인석) | - | - |
제국의 아침 | 2002년 3월 2일 ~ 2003년 1월 26일 | 94회 | 이환경 | 광종 (김상중) | - | - |
무인시대 | 2003년 2월 8일 ~ 2004년 8월 15일 | 158회 | 유동윤 | 이의방 (서인석), 정중부 (김흥기), 경대승 (박용우), 이의민 (이덕화), 최충헌 (김갑수) | - | - |
불멸의 이순신 | 2004년 9월 4일 ~ 2005년 8월 26일 | 104회 | 윤선주, 박영숙 (김훈 원작), 윤영수, 장기창 (김탁환 원작) | 이순신 (김명민) | 33.1% | 22.0% |
서울 1945 | 2006년 1월 7일 ~ 2006년 9월 10일 | 71회 | 정성희, 이한호 | 김해경 (한은정), 최운혁 (류수영), 이동우 (김호진), 문석경 (소유진) | 17.9%[16] | 12.9%[16] |
대조영 | 2006년 9월 16일 ~ 2007년 12월 23일 | 134회 | 장영철 (유현종 원작) | 대조영 (최수종) | 36.8% | 26.9% |
대왕 세종 | 2008년 1월 5일 ~ 2008년 11월 16일 | 100회 | 윤선주, 김태희 | 세종 (김상경) | 23.0% | 15.3% |
천추태후 | 2009년 1월 3일 ~ 2009년 9월 27일 | 78회 | 손영목, 이상민, 강영란 | 천추태후 (채시라) | 23.1% | 15.6% |
4. 4. 2010년대
2010년대에는 근초고왕, 광개토태왕, 대왕의 꿈, 정도전, 징비록, 장영실 등의 작품이 제작되었다.[17] 이 시기에는 정치적 논란과 재정 문제로 인해 대하드라마 제작이 여러 차례 중단되기도 했다.제목 | 방영일 (시작/종영) | 총 횟수 | 극본 | 주인공 | 배우 | 최고 시청률 | 평균 시청률 | 비고 |
---|---|---|---|---|---|---|---|---|
근초고왕 | 2010년 11월 6일 ~ 2011년 5월 29일 | 60회 | 정성희, 유숭열 | 근초고왕 | 감우성 | 12.9% (제30회, 34회) | 11.0% | |
광개토태왕 | 2011년 6월 4일 ~ 2012년 4월 29일 | 92회 | 조명주, 장기창, 최진영, 김주 | 담덕 | 이태곤 | 20.9% (제45회) | 16.8% | |
대왕의 꿈 | 2012년 9월 8일 ~ 2013년 6월 9일 | 70회 | 유동윤, 김선덕 | 김춘추, 김유신 | 최수종, 김유석 | 13.9% (제13회, 25회) | 11.2% | |
정도전 | 2014년 1월 4일 ~ 2014년 6월 29일 | 50회 | 정현민 | 정도전 | 조재현 | 19.8% (제36회) | 15.8% | |
징비록 | 2015년 2월 14일 ~ 2015년 8월 2일 | 50회 | 정형수, 정지연 | 류성룡 | 김상중 | 13.8% (제22회) | -[17] | |
장영실 | 2016년 1월 2일 ~ 2016년 3월 26일 | 24회 | 이명희, 마창준 | 장영실 | 송일국 | 14.1% (제7회, 8회) | 11.6% |
4. 5. 2020년대
2021년 12월 11일부터 2022년 5월 1일까지 32부작으로 방영된 '''태종 이방원'''은 태종을 주인공으로 한 드라마로, 주상욱이 태종 역을 맡았다. 최고 시청률은 11.7%(제28회), 최저 시청률은 5.3%(제7회)를 기록했다.2023년 11월 11일부터 2024년 3월 10일까지 32부작으로 방영된 '''고려 거란 전쟁'''은 길승수 작가의 원작을 바탕으로 이정우 작가가 극본을 썼다. 강감찬 역은 최수종이, 현종 역은 김동준이, 양규 역은 지승현이 맡았다.
제목 | 방영일 (첫 방영 / 종영) | 총 방영 횟수 | 주인공 | 배우 | 최고 시청률 | 최저 시청률 |
---|---|---|---|---|---|---|
태종 이방원 | 2021년 12월 11일 ~ 2022년 5월 1일 | 32회 | 태종 | 주상욱 | 11.7% (28회) | 5.3% (7회) |
고려 거란 전쟁 | 2023년 11월 11일 ~ 2024년 3월 10일 | 32회 | 강감찬 | 최수종 | rowspan="3" | | rowspan="3" | |
현종 | 김동준 | |||||
양규 | 지승현 |
5. 평가 및 영향
KBS 대하드라마는 NHK의 대하드라마를 참고하여 제작되고 있으며,[1] 1981년 대명을 시작으로 한국 역사 드라마의 대표적인 장르로 자리 잡았다.[9]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에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와 웅장한 스케일로 전성기를 맞이하며 대중의 역사 인식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최근에는 여러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2013년에는 『대왕의 꿈』 종영 후 차기작으로 기획되었던 『강철왕』(강철왕한국어)이 박정희 정권 미화 논란으로 인해 KBS 노동조합의 제작 중단 요구를 받았다.[5][6] 결국 제작이 중단되었고, 이후 『불꽃 속으로한국어』라는 제목으로 TV조선에서 방송되었다.[7] 2015년에는 『징비록 (드라마)한국어』으로 재개되었으나, 재정 문제로 인해 방송 기간이 단축되고 휴지 기간을 갖는다는 발표가 있었다.[8] 2016년 『장영실』을 마지막으로 또다시 중단되었다.[9]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시청자들의 꾸준한 부활 요구에 따라 2021년 『태종 이방원』으로 5년 만에 대하드라마가 재개되었다.[10][11] 이는 KBS 대하드라마가 여전히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문화적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2023년에는 최수종 주연의 『고려 거란 전쟁』이 방송되어 강감찬 장군을 조명했다.
참조
[1]
뉴스
실존인물 감동적 삶 드라마로 KBS 「인간극장」봄개편때 선봬
http://newslibrary.n[...]
京郷新聞
1994-01-29
[2]
뉴스
[기자의 눈]"대하드라마는 예산절감 희생양(?) "
https://archive.is/o[...]
news.chol.com
1994-02-11
[3]
뉴스
チャンネル移動『大王世宗』、ストーリーも急展開
http://contents.inno[...]
innolife
2008-04-05
[4]
뉴스
『大王世宗』、視聴率不振と公営性後退の二重の苦
http://contents.inno[...]
innolife
2008-04-14
[5]
뉴스
'강철왕', '대왕의 꿈' 후속으로 방영될까
http://www.nocutnews[...]
nocutnews.co.kr
2013-02-08
[6]
뉴스
박정희 미화논란 '강철왕', '대왕의꿈' 후속 꿰찰까?
http://www.tvreport.[...]
TVレポート
2013-01-24
[7]
뉴스
KBS가 거부한 ‘강철왕’ TV조선이 방영한다
http://news959.ndsof[...]
News Finder
2016-11-02
[8]
뉴스
조대현 KBS 사장 "'징비록'부터 대하드라마 블랙아웃 없앤다"
http://entertain.nav[...]
TVレポート
2015-02-05
[9]
웹사이트
양승동 KBS 사장 "대하드라마, 내년에 부활시키려 한다"
https://www.msn.com/[...]
2020-10-15
[10]
뉴스
韓国KBSの正統派大河ドラマが復活へ。朝鮮王朝の太宗時代が舞台、年末から放送予定
https://sportsseoulw[...]
スポーツソウル
2021-03-24
[11]
뉴스
『不滅の恋人』出演俳優チュ・サンウク、KBS大河ドラマ『太宗イ・バンウォン』主人公役に決定
https://sportsseoulw[...]
スポーツソウル
2021-08-12
[12]
뉴스
放送開始「太宗イ・バンウォン」キム・ヨンチョルの決定でチュ・サンウクが危機に陥る
https://news.kstyle.[...]
Kstyle
2021-12-12
[13]
웹사이트
KBS、大河ドラマ「高麗契丹戦争」を制作へ…聞慶市と業務協約を締結
https://www.kbsworld[...]
2023-03-15
[14]
웹사이트
チェ・スジョン、約10年ぶりに大河ドラマ出演決定…KBS「高麗契丹戦争」にキャスティング
https://news.yahoo.c[...]
2023-03-15
[15]
뉴스
드라머「새벽」2부방영 KBS1TV 15일부터
http://newslibrary.n[...]
京郷新聞
1985-09-13
[16]
문서
가상인물을 주인공으로 하는 대하드라마.
[17]
문서
제48회 시청률의 오류로 인하여 평균 시청률의 미산출. 오류 된 48회의 시청률은 전국 기준 7.7%이며, 오류된 시청률을 포함한 평균시청률은 11.2%가 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