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aster of Puppets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aster of Puppets》는 1986년에 발매된 메탈리카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스래시 메탈의 대표작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제임스 헷필드와 라르스 울리히가 작곡을 주도하고 클리프 버튼, 커크 해밋이 참여했으며, 덴마크에서 플레밍 라스무센과 함께 녹음했다. 앨범은 통제, 권력 남용, 억압 등 어두운 주제를 다루며, "Battery", "Master of Puppets", "Welcome Home (Sanitarium)" 등 다양한 곡들로 구성되어 있다. 발매 당시 평론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스래시 메탈 최초의 플래티넘 앨범이 되었다. 롤링 스톤, 타임 등 여러 매체에서 역대 최고의 앨범으로 선정되었으며, 2016년에는 미국 국립 녹음 보존소에 보존될 정도로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탈리카의 음반 - Beyond Magnetic
    Beyond Magnetic은 메탈리카가 Death Magnetic 음반 제작 당시 녹음한 4곡을 모아 발매한 EP로, 팬들에게 선물하는 의미로 공개되었으며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 메탈리카의 음반 - St. Anger
    St. Anger는 2003년에 발매된 메탈리카의 여덟 번째 정규 앨범으로, 베이시스트의 탈퇴와 멤버의 알코올 중독 치료 등의 어려움 속에서 제작되었으며, 스네어 드럼 사운드와 기타 솔로 부재 등으로 비판을 받았지만 빌보드 200 차트 1위를 기록하고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메탈 퍼포먼스상을 수상했다.
  • 메탈리카 - 제임스 헷필드
    제임스 헷필드는 1963년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난 미국의 음악가로, 헤비 메탈 밴드 메탈리카의 리드 보컬, 리듬 기타리스트, 공동 창립 멤버이며, 알코올 중독으로 재활 치료를 받고 공연 중 화상 사고를 겪었으며, 뛰어난 기타 연주 실력으로 많은 곡을 작곡하고 영화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 메탈리카 - Beyond Magnetic
    Beyond Magnetic은 메탈리카가 Death Magnetic 음반 제작 당시 녹음한 4곡을 모아 발매한 EP로, 팬들에게 선물하는 의미로 공개되었으며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 1986년 음반 - 천공의 성 라퓨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스튜디오 지브리 애니메이션 영화 《천공의 성 라퓨타》는 하늘에 떠 있는 전설의 섬 라퓨타를 찾아 떠나는 시타와 파즈의 모험을 그린 작품으로, 첨단 과학 기술과 자연의 조화, 순수함과 탐욕의 대비되는 주제를 다룬다.
  • 1986년 음반 - Bedtime for Democracy
    데드 케네디스가 1986년에 발표한 네 번째 앨범인 Bedtime for Democracy는 젤로 비아프라를 포함한 멤버들이 작사 및 제작에 참여한 21곡이 수록된 앨범으로, 영국 인디 차트 1위를 기록하고 비평가들로부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Master of Puppets - [음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흰색 십자가가 묶인 묘지, 피로 물든 붉은 하늘에서 손이 조종하고, 지평선은 불타는 듯한 오렌지색
앨범 커버
아티스트메탈리카
발매일1986년 3월 3일
녹음일1985년 9월 1일 - 12월 27일
스튜디오스위트 사일런스 스튜디오, 코펜하겐
장르스래시 메탈
길이54분 52초
레이블엘렉트라 레코드
프로듀서플레밍 라스무센
메탈리카
연대기
이전 앨범라이드 더 라이트닝(1984)
다음 앨범더 $5.98 E.P. – 개러지 데이즈 리-리비지티드(1987)
싱글
싱글 1마스터 오브 퍼펫츠 (노래) (1986년 7월 2일)

2. 배경 및 녹음

메탈리카의 1983년 데뷔 앨범 ''킬 뎀 올''은 공격적인 연주와 신랄한 가사로 스래시 메탈의 토대를 마련했으며[3], 1984년 두 번째 앨범 ''라이드 더 라이트닝''은 더욱 세련된 작곡과 향상된 프로덕션으로 장르의 한계를 넓혔다. 이 앨범은 일렉트라 레코드의 관계자 마이클 알라고의 주목을 받아 1984년 가을, 8개 앨범 계약을 체결하게 되었다.[31] 일렉트라는 11월 19일에 ''라이드 더 라이트닝''을 재발매했고, 밴드는 1985년 동안 더 큰 공연장과 페스티벌 투어를 진행했다. 이전 매니저 존 자줄라와 결별한 후, 메탈리카는 Q Prime 소속의 클리프 번스타인과 피터 멘쉬를 새로운 매니저로 고용했다. 번스타인은 메탈리카가 주류와 언더그라운드 메탈 팬 모두에게 어필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았다고 회상했다.[7] 그 해 여름, 밴드는 캐슬 도닝턴에서 열린 몬스터스 오브 록 페스티벌에서 본 조비, 랫과 함께 70,000명의 관객 앞에서 공연했다.[4]

비평가와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는 앨범을 만들고자 하는 의욕으로, 메탈리카는 1985년 중반부터 새로운 곡 작업에 착수했다. 리드 보컬이자 리듬 기타리스트인 제임스 헷필드와 드러머 라스 울리히가 앨범의 주요 작곡가였으며, 앨범 제목은 이미 ''마스터 오브 퍼펫츠''로 정해져 있었다. 두 사람은 캘리포니아주 엘 세리토에 있는 차고에서 아이디어를 발전시킨 후, 베이시스트 클리프 버튼과 기타리스트 커크 해밋을 리허설에 초대하여 곡 작업을 함께 진행했다.[5] 헷필드와 울리히는 작곡 과정을 "기타 리프에서 시작하여 노래처럼 들릴 때까지 조립하고 재조립한다"라고 설명했다. 이후 밴드는 곡의 제목과 주제를 정했고, 헷필드는 그 제목에 맞춰 가사를 썼다.[6] ''마스터 오브 퍼펫츠''는 메탈리카의 앨범 중 전 리드 기타리스트 데이브 머스테인의 작곡 크레딧이 없는 첫 번째 앨범이다. 머스테인은 "Leper Messiah"가 자신이 과거에 작곡했던 "The Hills Ran Red"라는 곡을 기반으로 만들어졌다고 주장했으나, 밴드는 이를 부인하면서도 해당 곡의 한 부분에 머스테인의 아이디어가 포함되어 있음을 인정했다.[72]

밴드는 미국 내 여러 스튜디오의 음향 시설에 만족하지 못했고, 결국 울리히의 고향인 덴마크에서 앨범을 녹음하기로 결정했다.[23] 녹음에 앞서 울리히는 드럼 레슨을 받았고, 해밋은 조 새트리아니와 함께 작업하며 보다 효율적인 녹음 방법을 익혔다.[5] 울리히는 러쉬의 베이시스트이자 보컬리스트인 게디 리와 앨범 프로듀싱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지만, 서로의 일정이 맞지 않아 협업은 성사되지 못했다.[8]

메탈리카는 프로듀서 플레밍 라스무센과 함께 1985년 9월 1일부터 12월 27일까지 덴마크 코펜하겐의 스위트 사일런스 스튜디오에서 앨범 녹음을 진행했다.[9] 이는 전작 ''라이드 더 라이트닝''을 녹음했던 곳이기도 하다. "오리온"(Orion)과 "The Thing That Should Not Be"를 제외한 모든 곡의 작곡은 밴드가 코펜하겐에 도착하기 전에 이미 완료된 상태였다.[72] 라스무센은 밴드가 잘 준비된 데모 곡들을 가져왔으며, 스튜디오에서는 작곡에 약간의 변경만 이루어졌다고 회고했다.[10] 이 시기 메탈리카는 완벽주의적인 성향을 갖게 되었고 더 높은 음악적 야망을 품게 되면서, 녹음 과정은 이전 앨범들보다 더 오랜 시간이 소요되었다.[23]

메탈리카는 동시대 하드 록글램 메탈 앨범들의 매끄러운 프로덕션 스타일과 신시사이저 사용을 의도적으로 피했다. 평소 술을 즐기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밴드 멤버들은 녹음하는 날에는 술을 마시지 않았다.[72] 커크 해밋은 당시 밴드가 "그저 또 다른 앨범을 만들고 있었을 뿐"이라며 "이 음반이 그렇게 광범위한 영향력을 가질 것이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못했다"고 회상했다. 그는 또한 밴드가 당시 "분명히 정점에 달하고 있었고" 앨범에는 "정말로 잘 어울리고, 함께 일하는 방법을 정말로 배우는 밴드의 사운드"가 담겨 있다고 덧붙였다.[11]

라스무센과 메탈리카는 계획대로 믹싱 작업을 완료하지 못했다. 대신, 녹음된 멀티트랙 테이프는 1986년 1월 로스앤젤레스로 보내져 마이클 와게너가 앨범의 최종 믹싱을 마무리했다.[5]

앨범 커버 아트는 메탈리카와 피터 멘쉬가 구상했으며, 돈 브로티감이 그림을 그렸다. 이 커버는 피가 뚝뚝 떨어지는 듯한 붉은 하늘 아래, 끈에 매달린 흰색 십자가 모양의 묘비들이 거대한 손에 의해 조종되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울리히는 이 삽화가 앨범의 가사 내용, 즉 사람들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어떻게 조종당하는지를 요약적으로 보여준다고 설명했다.[12] 이 커버 아트의 원본 그림은 2008년 뉴욕 로커펠러 플라자에서 열린 경매에서 2.8만달러에 판매되었다.[13] 밴드는 당시 PMRC가 주도했던 음반 경고 스티커 부착 운동을 조롱하며, 앨범 커버에 익살스러운 유해물 표시 라벨을 붙였다: "이 곡('Damage, Inc.')은 여러 번의 악명 높은 'F' 단어 사용으로 인해 아마 재생하고 싶지 않을 트랙일 것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 음반에는 7개의 더러운 단어인 '똥', '엿', '오줌', '보지', '개자식', 또는 '자위'가 어디에도 없습니다".[23]

앨범 녹음에 사용된 주요 장비는 다음과 같다:


  • 커크 해밋: 1974년산 깁슨 플라잉 V, 잭슨 렌디 로즈, 펀데스 스트라토캐스터 복제 기타[14]
  • 제임스 헷필드: 잭슨 킹 V 기타, Mesa Boogie Mark IIC+ 앰프 (프리앰프로 개조하여 사용)[15]
  • 클리프 버튼: 아리아 프로 II SB1000 베이스, Mesa Boogie 앰프 헤드 및 캐비닛[77]
  • 라스 울리히: 타마 드럼 키트, 데프 레퍼드의 드러머 릭 앨런에게 빌린 희귀한 러드비히 블랙 뷰티 스네어 드럼[16]

3. 음악 및 가사

''Master of Puppets''는 역동적인 음악과 웅장한 편곡을 특징으로 한다. 메탈리카는 이전 두 앨범 ''Kill 'Em All''과 ''Ride the Lightning''에 비해 더 세련된 접근 방식과 연주를 선보였으며, 다층적인 곡 구성과 기술적인 기교를 보여주었다.[25] 이 앨범과 전작 ''Ride the Lightning''은 비슷한 트랙 순서를 따른다. 두 앨범 모두 어쿠스틱 인트로가 있는 업템포 곡으로 시작하여, 긴 제목의 곡, 그리고 발라드적인 특징을 가진 네 번째 트랙으로 이어진다.[72] 두 앨범은 구조적으로 유사하지만, ''Master of Puppets''의 음악성은 더 강력하고 웅장하며, 탄탄한 리듬과 섬세한 기타 솔로가 돋보인다.[64] 음악 평론가 조엘 맥아이버에 따르면, ''Master of Puppets''는 스래시 메탈에 새로운 수준의 헤비함과 복잡성을 도입하여, 분위기 있고 정교하게 연주된 곡들을 선보였다. 헷필드의 보컬은 이전 두 앨범의 거친 샤우팅에서 벗어나 더 깊고, 절제되면서도 공격적인 스타일로 성숙했다.[23]

이 앨범의 곡들은 통제와 권력 남용과 같은 주제를 탐구한다. 가사는 소외, 억압, 무력감의 결과를 묘사한다. 작가 라이언 무어는 가사가 "무력한 인간에게 완전한 통제를 행사하는 불길하지만 이름 없는 권력의 힘"을 묘사한다고 생각했다.[17] 가사는 통찰력 있고 비참하며, 작가 브록 헬란더는 정직하고 사회 의식이 있다고 칭찬했다.[18] BBC Music의 이먼 스택은 곡의 웅장한 규모에 대해 "이 시점에서 메탈리카는 단순히 노래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고 말했다.[39] 작곡과 편곡은 베이시스트 클리프 버튼의 클래식 음악 훈련과 화성에 대한 이해로부터 영향을 받았다.[23]

'''Battery'''는 "폭행과 상해(Battery)"라는 용어처럼 분노에 찬 폭력을 의미한다. 일부 평론가들은 제목이 포병 부대(artillery battery)를 의미하며, "공격자로서 전쟁 전술을 노래하는 헤트필드"로 해석하여 파괴를 의인화한다고 주장했다. 이 곡은 다중 트랙으로 녹음된 베이스가 강한 어쿠스틱 기타 연주로 시작하여, 왜곡된 일렉트릭 기타의 음향 벽과 합쳐진다.[23] 이후, 오프 비트 리듬과 루트-파이브 파워 코드 대신 심하게 왜곡된 마이너 2음 음정을 특징으로 하는 빠르고 공격적인 리프가 시작된다. 이 리프는 헤트필드가 런던에서 휴식 중에 즉흥적으로 만든 것이다.[14] 곡 제목은 야구 용어에서 유래했다는 해석도 있으며, 밴드를 과소평가하는 평론가 등에 대한 분노와 팬과의 유대, 즉 배터리(투수와 포수 조합)가 테마라는 설명도 있다.

'''Master of Puppets'''는 여러 리프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이한 박자와 멜로디 솔로가 있는 깨끗한 톤의 중간 부분이 특징이다. 이 곡은 밴드의 첫 앨범 ''Kill 'Em All''의 "The Four Horsemen"과 비슷한 구조를 공유한다. 두 개의 벌스-코러스 세트가 긴 간주로 이어지고, 다시 벌스-코러스 세트가 반복된다.[67] 오프닝 및 프리-벌스 섹션은 약 212 비트/분으로 빠르게 다운 피킹된 반음계 리프를 특징으로 하며, 주로 4/4 박자이다.[14] 각 벌스의 네 번째 마디와 아웃트로는 한 박자 이상 짧게 잘린다. 이러한 마디의 박자표는 종종 5/8 박자로 분석되지만,[67] 세 번째 박자 뒤에 지연을 주어 연주되므로 21/32 박자 ((4+4+5+4+4)/32 박자)에 더 가깝다.[19] 두 번째 코러스 다음에 긴 간주가 이어지며, 깨끗하고 아르페지오된 부분으로 시작하여 헤트필드가 멜로디 솔로를 추가한다. 리프는 점차 왜곡되고 헤비해지며, 햄멧은 기교적인 솔로를 선보이고, 곡은 다시 메인 벌스로 돌아온다.[67] 데이비드 보위의 "Andy Warhol" (0:48 지점)의 리프가 이 곡의 6분 19초 지점에서 인용되는데, 이는 버튼과 햄멧이 보위에게 받은 영향에 대한 오마주이다.[20] 곡은 불길한 웃음소리가 페이드 아웃되며 끝난다. 가사의 주제는 약물 중독, 특히 코카인 중독의 공포이다.[36] "거울 위에서 아침 식사를 조각한다(chop your breakfast on a mirror)"는 구절은 코카인 사용을 암시한다. 작가 믹 월은 앨범 전체에 걸쳐 "우리 삶을 지배하는 보이지 않는 통제의 힘"에 의한 조작이라는 주제가 나타난다고 보았다.[72] 이 곡은 『롤링 스톤』지가 선정한 '역대 가장 위대한 기타 곡 100선'에서 33위에 랭크되었다.[105]

'''The Thing That Should Not Be'''는 공포 작가 H.P. 러브크래프트가 창조한 크툴루 신화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그의 소설 ''인스머스의 그림자''[38]크툴루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특징이다. 크툴루는 이 곡 코러스의 주제이다. 앨범에서 가장 헤비한 트랙 중 하나로 여겨지며, 메인 리프는 바다로 기어 들어가는 괴물을 연상시킨다. 블랙 사바스의 영향을 받은 기타는 다운 튜닝되어 느리고 음울한 분위기를 조성한다.[14]

'''Welcome Home (Sanitarium)'''은 켄 키지의 소설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를 기반으로 하며, 새니테리엄, 즉 격리 병동에 부당하게 갇힌 정신질환자의 생각을 전달한다.[38] 곡은 깨끗한 톤의 단선율과 기타 하모닉스 섹션으로 시작된다. 깨끗하고 아르페지오로 연주되는 메인 리프는 4/4 박자와 6/4 박자를 번갈아 사용한다.[14] 벌스에서는 우울한 클린 기타, 코러스에서는 왜곡된 헤비 리프를 교대로 사용하여 점차 공격적인 피날레로 발전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는 메탈리카가 ''Ride the Lightning''의 "Fade to Black"으로 시작하여, ''...And Justice for All''의 "One", 이후 ''Death Magnetic''의 "The Day That Never Comes"로 이어지는 파워 발라드의 패턴을 따른다.[67] 이 곡의 주제는 광기이며, 정직함과 진실에 대한 은유로도 해석된다.[21] 철학자 윌리엄 어윈은 "Welcome Home (Sanitarium)"이 메탈리카의 곡 중 광기를 다룬 가장 대표적인 곡일 것이라고 평했다.[22] 이 곡의 구조와 주제는 차기작 ''...And Justice for All''의 수록곡이자 그래미상 베스트 메탈 퍼포먼스 부문을 수상한 "One"으로 이어진다.

'''Disposable Heroes'''는 상관의 명령에 맹종하며 전선으로 내몰리는 젊은 병사에 대한 반전(反戰) 노래이다. 제목은 "소모품 영웅들"로 직역될 수 있다. 분당 220비트로 연주되는 섹션이 포함되어 있어, 앨범에서 가장 강렬한 트랙 중 하나이다.[37] 각 벌스 끝부분의 기타 패시지는 햄멧이 전쟁 영화 음악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것이다.[72]

'''Leper Messiah'''의 싱코페이션 리프는 1980년대에 성행했던 텔레뱅젤리즘의 위선을 비판한다. 이 곡은 사람들이 생각 없이 지시를 따르며 맹목적인 컬트 종교 추종자가 되어가는 모습을 묘사한다.[22] 벌스의 분당 136비트 중간 템포 리프는 코러스에서 하강하는 반음계 리프로 이어진다. 중간 부분은 분당 184비트로 빨라지며 "Lie!"라는 왜곡된 외침으로 절정에 달한다.[67] 곡 제목은 데이비드 보위의 노래 "Ziggy Stardust"의 가사("making love with his ego Ziggy sucked up into his mind, like a leper messiah")에서 따왔다.[72]

'''Orion'''은 클리프 버튼의 베이스 연주를 중심으로 한 다악장 기악곡이다. 제목은 별자리 "오리온자리"에서 유래했다. 오케스트라 사운드를 모방하도록 가공된 페이드인 베이스 섹션으로 시작하여 중간 템포의 리프가 이어지고, 다시 절반 속도의 베이스 리프가 나온다. 후반부로 갈수록 템포가 빨라지며 곡은 페이드 아웃으로 끝난다.[77] 버튼은 음울한 베이스 라인과 다중 기타 하모니가 특징인 중간 부분을 편곡했다.[72]

'''Damage, Inc.'''는 특정 대상을 향한 무의미한 폭력과 보복을 노래한다.[23] 바흐의 칸타타 아리아 "오, 달콤한 죽음이여, 오, 복된 안식이여"(BWV 478)의 코랄 전주곡을 기반으로 한 일련의 반전된 베이스 코드로 시작한다.[72] 이후, 햄멧이 딥 퍼플의 영향을 받았다고 밝힌, E음을 페달 포인트로 사용하는 빠른 리듬으로 전환된다.[14]

4. 앨범 커버

(내용 없음 - 제공된 원본 소스에는 앨범 커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5. 평가

비평가점수
올뮤직5/5[25]
시카고 트리뷴4/4[26]
크리스가우의 음반 가이드: 80년대B−[27]
헤비 메탈 컬렉터 가이드10/10[28]
대중음악 백과사전4/5[29]
위대한 록 디스코그래피9/10[30]
케랑!5/5[31]
뮤직하운드 록4/5[32]
피치포크10/10[33]
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5/5[34]



《Master of Puppets》는 발매 당시부터 스래시 메탈 팬뿐만 아니라 주류 평론가들에게도 걸작으로 널리 칭송받았으며, 일부는 이 앨범을 스래시 메탈 장르 최고의 앨범으로 평가한다.[25] 당시 롤링 스톤의 팀 홈즈는 앨범의 기술적 기량과 섬세함이 헤비 메탈을 재정의했다고 평가하며 "세계적 편집증의 소리"라고 묘사했다.[35] 영국 음악 잡지 케랑!은 이 앨범이 "마침내 메탈리카를 그들이 속해야 할 큰 리그에 올려놓았다"고 평했으며,[5] 편집장 톰 킹은 메탈리카가 녹음 기간 동안 "믿을 수 없는 작곡의 정점"에 도달했고, 이는 부분적으로 베이시스트 클리프 버튼의 작곡 기여 덕분이라고 언급했다.[36] 반면, 스핀의 심사위원 I-랭킨은 프로덕션은 훌륭하고 실험 정신은 칭찬할 만하지만, 데뷔 앨범 《Kill 'Em All》의 덜 "지적인" 접근 방식을 버리고 MDC에서 영감을 받은 듯한 일관성 없는 방향으로 나아갔다며 실망감을 표했다.[37]

회고적 평론에서도 찬사는 이어졌다. 올뮤직의 스티브 휴이는 《Master of Puppets》를 메탈리카 최고의 앨범으로 보며, 전작 《Ride the Lightning》만큼 예상 밖의 충격을 주지는 않았지만 음악적으로나 주제적으로 더 일관성이 있다고 평가했다.[25] 시카고 트리뷴의 그렉 코트는 앨범의 곡들이 밴드의 가장 강렬한 작품들이며, 러시의 "프로그레시브 성향"을 보여준다고 언급했다.[26] PopMatters의 아드리엔 베그란드는 앨범의 프로덕션을 "필 스펙터월 오브 사운드의 메탈 버전"이라 칭찬하며, 이후 메탈리카 앨범 중 어떤 것도 이 앨범의 열정적이고 강렬한 음악적 수준을 따라가지 못했다고 평가했다.[38] BBC 뮤직의 이몬 스택은 앨범을 "탄탄하고, 빠르고, 본질이 있는 록"이라 부르며, 곡들을 "성경적 규모"의 이야기에 비유했다.[39] 캐나다 언론인 마틴 포포프는 《Master of Puppets》가 《Ride the Lightning》과 유사한 "압도적인 힘과 효과"를 지녔지만 단순한 리메이크는 아니라고 보았다.[28] 음악 평론가 로버트 크리스트가우는 ''크리스가우의 음반 가이드: 80년대''(1990)에서 밴드의 에너지와 정치적 동기는 존경할 만하지만, 음악은 "무지한 남성 우월주의자"인 "혁명 영웅"의 진부한 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고 다소 비판적인 시각을 보였다.[27]

1986년 3월 3일 발매된 이 앨범은 빌보드 200 앨범 차트에 72주간 머물렀으며, 최고 순위 29위를 기록하여 밴드에게 첫 미국 40위권 진입과 첫 골드 인증을 안겨주었다.[4][6] 빌보드는 발매 3주 만에 30만 장이 판매되었다고 보도했으며,[41] 라디오 방송이나 뮤직 비디오 없이도 첫해에 5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42] 2003년에는 미국 음반 산업 협회 (RIAA)로부터 6× 플래티넘 인증을 받아 미국 내 출하량 600만 장을 기록했다. 닐슨 사운드스캔 집계가 시작된 1991년부터 2023년까지 미국에서 7,980,000장이 판매되었다.[43] 국제적으로는 발매 첫 해에 핀란드에서 5위, 독일 및 스위스 앨범 차트에서 40위 안에 들었다.[44] 이후 2004년 스웨덴에서 15위 안에 들었고, 2008년에는 호주 및 노르웨이 앨범 차트에서 40위 안에 진입했다.[45] 캐나다에서는 뮤직 캐나다로부터 6×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고, 영국에서는 영국 음반 산업 (BPI)으로부터 골드 인증을 받았다.

현재 베이시스트인 로버트 트루히요는 《Master of Puppets》를 가장 좋아하는 앨범으로 꼽으며, "기악곡, 훌륭한 전환부, 훌륭한 리프 등 모든 것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Disposable Heroes"를 메탈리카 곡 중 가장 좋아한다고 덧붙였다.[46] 이 앨범은 베이시스트 클리프 버튼이 참여한 마지막 정규 앨범이기도 하다.

롤링 스톤지는 '역대 가장 위대한 앨범 500장' 목록에서 이 앨범을 97위로 선정했다. 2006년, 메탈리카는 앨범 발매 20주년을 기념하여 라이브 공연에서 앨범 전곡을 순서대로 연주했으며, 특히 "Orion"이 인트로를 포함한 완전한 형태로 연주된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다. 같은 해 8월 섬머 소닉 페스티벌에서도 비슷한 공연을 선보여 큰 화제를 모았다.

2016년 3월 23일, 《Master of Puppets》는 미국 의회 도서관의 전미 녹음 자료 등록부에 "문화적, 역사적, 예술적으로 중요한 녹음물"로 등재되었다.

6. 투어 및 클리프 버튼의 사망

메탈리카는 앨범 홍보를 위해 싱글이나 뮤직 비디오를 발매하는 대신 대규모 투어를 선택했다.[72] Damage, Inc. 투어는 1986년 3월에 시작되었으며, 밴드는 3월부터 8월까지 오지 오스본의 오프닝 밴드로 미국 투어를 진행했다. 이는 메탈리카가 아레나급 관객 앞에서 공연한 첫 번째 투어였다.[4] 투어 중 사운드 체크 시간에 블랙 사바스의 리프를 연주하기도 했는데, 오지 오스본은 이를 자신을 조롱하는 것으로 받아들이기도 했다. 그러나 라르스 울리히는 오스본과 함께 공연하는 것을 영광으로 생각했으며, 오스본 역시 투어 내내 밴드를 잘 대해주었다고 밝혔다.[7] 메탈리카는 이 시기 과도한 음주 습관으로 언론의 주목을 받으며 "Alcoholica"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31] 밴드 멤버들은 때때로 "Alcoholica/Drank 'Em All"이라고 적힌 풍자적인 티셔츠를 입기도 했다.[7]

밴드는 보통 45분 정도 공연했으며 종종 앙코르를 했다. 울리히에 따르면, 대도시 관객들은 메탈리카의 음악에 이미 익숙했지만 작은 도시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그는 "B급 시장에서는 사람들이 우리에 대해 잘 몰라요. 하지만 45분에서 50분 정도 지나면 그들을 사로잡았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그리고 오지 오스본을 들으러 온 팬들도 집에 갈 때는 메탈리카를 좋아하게 되죠."라고 말했다.[73] 메탈리카는 오스본의 팬들을 점차 사로잡으며 주류 팬층을 형성하기 시작했다.[74] 투어 중 제임스 헷필드가 스케이트보드를 타다 손목을 다치는 사고가 발생하여, 기타 기술자였던 존 마샬이 몇 차례 공연에서 리듬 기타를 대신 연주하기도 했다.[75]

미국 투어 이후 1986년 9월부터는 앤스랙스를 서포팅 밴드로 하여 유럽 투어를 시작했다.[72] 그러나 9월 26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의 공연을 마친 다음 날 아침인 9월 27일, 밴드가 타고 있던 투어 버스가 도로에서 미끄러져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베이시스트 클리프 버튼이 버스 창문 밖으로 튕겨 나가 현장에서 즉사했다.[72] 버스 운전기사는 도로 위의 블랙 아이스 때문에 사고가 났다고 주장했지만, 일각에서는 운전기사가 술에 취했거나 운전 중 졸았을 것이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운전기사는 과실치사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유죄 판결을 받지는 않았다.[72]

갑작스러운 비극으로 투어를 중단한 밴드는 미국 샌프란시스코로 돌아갔고, 새로운 베이시스트를 물색한 끝에 플롯섬 앤 제트섬 출신의 제이슨 뉴스테드를 영입했다.[76] ''Master of Puppets''는 클리프 버튼이 참여한 마지막 메탈리카 앨범이 되었다. 밴드의 다음 앨범인 ''...And Justice for All''에 수록된 많은 곡들은 버튼이 밴드에 있을 당시 작곡된 것들이다.[77]

7. 수록곡

Long–haired guitarist soloing on a colored guitar
1990년대 후반 "Master of Puppets" 솔로 연주를 하는 햄멧


앨범에 수록된 모든 곡들은 라이브로 공연되었으며, 일부 곡들은 메탈리카의 콘서트 세트 리스트에 고정적인 레퍼토리가 되었다.[78] 앨범 발매 후 진행된 투어의 9곡 세트 리스트에는 "Battery", "Master of Puppets", "Welcome Home (Sanitarium)", "Damage, Inc." 등 4개의 앨범 수록곡이 포함되었다.[23]

특히 프랑스에서 싱글로 발매되기도 한[79] 타이틀 곡 "Master of Puppets"는 밴드의 라이브 공연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필수곡이자 가장 많이 연주된 곡이 되었다. ''Loudwire''의 채드 차일더스는 이 곡의 라이브 연주를 "격렬하다"고 표현하며 세트의 하이라이트로 꼽았으며,[80] ''롤링 스톤''지는 "8분간의 영광을 모두 담은 고전"이라고 묘사했다.[81] 2013년 로저스 아레나에서 3D 영화 ''Metallica: Through the Never'' 촬영 당시에는 이 곡 연주 중에 앨범 커버 아트를 연상시키는 십자가들이 무대 위로 솟아오르는 연출을 선보이기도 했다.[82]

"Welcome Home (Sanitarium)"은 앨범에서 두 번째로 많이 연주된 곡으로,[83] 라이브 공연에서는 종종 레이저 조명, 화려한 특수 효과, 영상 스크린 등이 함께 사용된다.[82] "Battery"는 주로 세트 리스트의 시작이나 앙코르 중에 연주되며, 레이저와 불기둥 효과가 동반된다.[84] "Disposable Heroes"는 2009년 멕시코시티의 Foro Sol 공연 실황을 담은 비디오 앨범 ''Orgullo, Pasión, y Gloria: Tres Noches en la Ciudad de México''에 수록되었다.[85]

앨범 수록곡 중 가장 적게 연주된 곡은 "Orion"이다.[83] 이 곡의 첫 라이브 연주는 앨범 발매 20주년을 기념하여 앨범 전체를 연주했던 Escape from the Studio '06 투어에서 이루어졌다.[86] 당시 밴드는 세트 중간에 ''Master of Puppets'' 앨범 전곡을 순서대로 연주했다.[87] "Battery", "Welcome Home (Sanitarium)", "Damage, Inc." 그리고 "Master of Puppets" 전곡 연주는 수년간 연주되지 않다가 1997년과 1998년 밴드의 콘서트에서 다시 연주되었다.[67]

7. 1. 오리지널 앨범

''Master of Puppets''는 역동적인 음악과 웅장한 편곡을 특징으로 하며, 이전 두 앨범에 비해 더 세련된 접근 방식과 연주, 다층적인 곡 구성과 기술적인 기교를 보여준다.[25] 이 앨범은 전작 ''Ride the Lightning''과 유사한 트랙 순서(어쿠스틱 인트로의 업템포 곡 시작, 긴 제목의 타이틀 곡, 발라드 특징의 네 번째 트랙)를 따르지만,[72] 음악성은 더욱 강력하고 웅장하며, 탄탄한 리듬과 섬세한 기타 솔로가 돋보인다.[64] 음악 평론가 조엘 맥아이버는 이 앨범이 스래시 메탈에 새로운 수준의 헤비함과 복잡성을 도입했다고 평가했다. 제임스 헷필드의 보컬 역시 이전의 거친 샤우팅에서 벗어나 더 깊고 절제되면서도 공격적인 스타일로 성숙했다.[23]

앨범의 가사는 주로 통제와 권력 남용, 그리고 그로 인한 소외, 억압, 무력감과 같은 주제를 탐구한다.[17] 가사는 통찰력 있고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18] BBC Music의 이먼 스택은 "메탈리카는 단순히 노래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고 평했다.[39] 베이시스트 클리프 버튼의 클래식 음악에 대한 이해는 작곡과 편곡에 깊이를 더했다.[23] 모든 곡의 작사는 제임스 헷필드가 맡았다.

'''오리지널 앨범 트랙 리스트'''
#제목작곡재생 시간
Side One
1Battery제임스 헷필드, 라스 울리히5:13
2Master of Puppets헷필드, 울리히, 클리프 버튼, 커크 해밋8:36
3The Thing That Should Not Be헷필드, 울리히, 해밋6:37
4Welcome Home (Sanitarium)헷필드, 울리히, 해밋6:28
Side Two
5Disposable Heroes헷필드, 울리히, 해밋8:17
6Leper Messiah헷필드, 울리히5:40
7Orion (연주곡)헷필드, 울리히, 버튼8:28
8Damage, Inc.헷필드, 울리히, 버튼, 해밋5:33
총 재생 시간54:52


7. 1. 1. Side One

'''1. Battery''' (작사/작곡: 제임스 헷필드, 라스 울리히) – 5:13

이 곡의 제목은 "폭행과 상해"라는 용어처럼 분노에 찬 폭력을 의미하며, 일부에서는 포병 부대를 뜻하여 파괴를 의인화한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23] 다른 해석으로는 야구 용어에서 유래했으며, 밴드를 과소평가하는 평론가에 대한 분노와 팬과의 유대(배터리)를 주제로 한다고 본다. 조용한 어쿠스틱 기타 인트로로 시작하여 다중 트랙으로 쌓인 베이스 위로 왜곡된 일렉트릭 기타의 음향 벽과 합쳐지며 공격적인 연주로 전환된다.[23] 이후 오프 비트 리듬과 루트-파이브 파워 코드 대신 심하게 왜곡된 마이너 2음 음정을 특징으로 하는 빠르고 공격적인 리프가 이어진다. 이 리프는 헷필드가 런던에서 휴식 중 즉흥적으로 만들었다.[14]

'''2. Master of Puppets''' (작사/작곡: 헷필드, 울리히, 클리프 버튼, 커크 해밋) – 8:36

인간을 조종하는 약물 중독, 특히 코카인 중독("거울 위에서 아침 식사를 조각한다"는 구절)의 공포를 다룬다.[36] 작가 믹 월은 이 곡을 포함한 앨범 전체가 "우리 삶을 지배하는 보이지 않는 통제의 힘"에 의한 조작을 주제로 한다고 보았다.[72] 곡은 여러 리프, 이상한 박자, 멜로디 솔로가 있는 깨끗하게 뜯어낸 중간 섹션으로 구성된다. 구조적으로는 밴드의 첫 앨범 곡 "The Four Horsemen"과 유사하다.[67] 오프닝과 프리-벌스 섹션은 약 212 비트/분의 빠른 다운 피킹 반음계 리프가 특징이며, 주로 4/4 박자이다.[14] 각 벌스의 네 번째 마디와 아웃트로는 한 박자 이상 짧게 잘리는데, 이 부분의 박자는 종종 5/8 박자로 분석되지만[67] 실제 연주는 세 번째 박자 뒤에 지연을 두어 21/32 박자 (4+4+5+4+4/32 박자)에 더 가깝다.[19] 두 번째 코러스 후 긴 간주 부분은 깨끗한 아르페지오로 시작하여 헷필드의 멜로디 솔로가 이어지고, 리프는 점차 왜곡되고 헤비해지며 해밋의 솔로가 나온 뒤 메인 벌스로 돌아간다.[67] 곡의 6분 19초 부분에는 데이비드 보위의 "Andy Warhol" (0:48 지점) 리프가 인용되는데, 이는 보위에게 큰 영향을 받은 버튼과 해밋의 오마주이다.[20] 곡은 불길한 웃음소리와 함께 페이드 아웃된다. 이 곡은 『롤링 스톤』지가 선정한 '올타임 그레이티스트 기타 송 100'에서 33위에 올랐다.[105]

'''3. The Thing That Should Not Be''' (작사/작곡: 헷필드, 울리히, 해밋) – 6:37

유명 공포 작가 H.P. 러브크래프트가 창조한 크툴루 신화에서 영감을 얻었으며, 그의 소설 ''The Shadow over Innsmouth''[38]크툴루 자체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특징이다. 크툴루는 이 곡 코러스의 주제이기도 하다. 앨범에서 가장 헤비한 트랙 중 하나로 여겨지며, 메인 리프는 마치 괴물이 바다로 기어 들어가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블랙 사바스의 영향을 받은 기타는 다운 튜닝되어 느리고 우울한 분위기를 조성한다.[14]

'''4. Welcome Home (Sanitarium)''' (작사/작곡: 헷필드, 울리히, 해밋) – 6:28

켄 키지의 소설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를 기반으로, 정신병원(새니테리엄, 즉 격리 병동)에 부당하게 갇힌 정신병 환자의 생각을 전달한다.[38] 이 곡의 주제는 광기이며, 정직함과 진실에 대한 은유로도 작용한다.[21] 철학자 윌리엄 어윈은 이 곡이 메탈리카의 광기를 다룬 곡 중 가장 두드러진다고 평가했다.[22] 곡은 깨끗한 싱글 스트링과 기타 하모닉스 섹션으로 시작하며, 깨끗하고 아르페지오된 메인 리프는 4/4 박자와 6/4 박자를 번갈아 사용한다.[14] 벌스에서는 우울한 클린 기타를, 코러스에서는 왜곡된 헤비 리프를 교대로 사용하며 공격적인 피날레로 발전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는 메탈리카가 ''Ride the Lightning''의 "Fade to Black"으로 시작하여 ''...And Justice for All''의 "One", ''Death Magnetic''의 "The Day That Never Comes"로 이어지는 파워 발라드의 패턴을 따른다.[67] 이 곡을 발전시킨 것이 차기작 『...앤 저스티스 포 올』의 수록곡이자 그래미상 베스트 메탈 퍼포먼스 부문을 수상한 "One"이다.

7. 1. 2. Side Two

'''Disposable Heroes'''는 상관의 명령에 따라 전쟁터로 내몰리는 젊은 병사의 비극을 그린 반전 노래이다.[37] 제목처럼 병사들이 마치 '소모품'처럼 취급되는 현실을 비판한다. 분당 220비트(BPM)에 달하는 빠른 속도로 연주되는 등, 앨범에서 가장 강렬한 곡 중 하나로 꼽힌다.[37] 각 절(verse)이 끝날 때 나오는 기타 연주는 커크 해밋이 전쟁 영화의 음악을 듣고 영감을 받아 만든 것이다.[72] (작곡: 제임스 헷필드, 라스 울리히, 커크 해밋)

'''Leper Messiah'''는 1980년대 미국 등지에서 성행했던 텔레뱅젤리즘(TV 설교)의 위선과 대중을 현혹하는 사이비 종교 지도자들을 비판하는 곡이다.[22] 제목은 '나병 환자 메시아'라는 뜻으로,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 없이 맹목적으로 종교적 지시를 따르게 되는지를 묘사한다.[22] 곡은 싱코페이션(엇박자) 리듬이 특징인 리프로 시작하며, 벌스(verse)는 분당 136비트의 중간 빠르기로 진행되다가 코러스(후렴)에서 하강하는 반음계 리프로 이어진다. 중간 부분에서는 분당 184비트로 빨라지며 "Lie!"(거짓말!)라는 외침으로 절정에 달한다.[67] 곡 제목은 데이비드 보위의 노래 "Ziggy Stardust"의 가사에서 영감을 받았다.[72] (작곡: 제임스 헷필드, 라스 울리히)

'''Orion'''은 베이시스트 클리프 버튼의 뛰어난 베이스 연주를 중심으로 구성된 다악장 형식의 기악곡이다.[77] 제목은 밤하늘의 오리온자리에서 따왔다. 곡은 마치 오케스트라처럼 여러 효과가 더해진 베이스 연주가 서서히 커지며 시작된다. 이후 중간 빠르기의 기타 리프와 느린 베이스 리프가 이어지고, 후반부로 갈수록 곡의 빠르기가 고조되다가 점차 사라지며 마무리된다.[77] 특히 중간 부분은 버튼이 직접 편곡한 부분으로, 서정적이면서도 우울한 분위기의 베이스 라인과 여러 겹으로 쌓인 기타 하모니가 인상적이다.[72] (작곡: 제임스 헷필드, 라스 울리히, 클리프 버튼)

'''Damage, Inc.'''는 뚜렷한 대상 없이 행해지는 무분별한 폭력과 파괴 행위를 비판하는 곡이다.[23] 곡의 시작은 클리프 버튼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코랄 전주곡인 Komm, süßer Tod, komm selge Ruh|콤, 쥐서 토트, 콤 젤게 루de(오, 달콤한 죽음이여, 오, 행복한 안식이여)를 기반으로 하여 거꾸로 연주한 듯한 독특한 베이스 코드로 문을 연다.[72] 이후 분위기가 급변하여, 커크 해밋딥 퍼플에게서 영향을 받았다고 밝힌 E음을 지속적으로 연주하는(페달 포인트) 빠른 리듬의 리프로 전환된다.[14] (작곡: 제임스 헷필드, 라스 울리히, 클리프 버튼, 커크 해밋)

7. 2. 디지털 재발매 보너스 트랙

번호제목정보재생 시간
9BatteryLive in Seattle 19894:53
10The Thing That Should Not BeLive in Seattle 19897:02


8. 참여

앨범 제작 참여자 명단은 음반 부클릿과 라이너 노트를 기반으로 한다.[106][90]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한다.

8. 1. 메탈리카

wikitext

이름역할
제임스 헷필드보컬, 리듬 기타, "Master of Puppets"의 첫 번째 기타 솔로, "Orion"의 두 번째 기타 솔로[90][106]
라스 울리히드럼, 퍼커션[90][106]
클리프 버튼베이스 기타, 백 보컬[90][106]
커크 해밋리드 기타[90][106]


8. 2. 스태프

앨범 제작 참여자 [106][90]
구분이름역할
메탈리카제임스 헷필드보컬, 리듬 기타, "Master of Puppets" 첫 번째 기타 솔로, "Orion" 두 번째 기타 솔로, 어쿠스틱 기타 ("Battery"), 커버 컨셉, 프로듀싱, 전곡 편곡
라스 울리히드럼, 퍼커션, 커버 컨셉, 프로듀싱, 전곡 편곡
클리프 버튼베이스 기타, 백 보컬
커크 해밋리드 기타
제작 및 기타플레밍 라스무센프로듀서, 엔지니어
Andy Wroblewski보조 엔지니어
마이클 와게너믹싱 (아미고 스튜디오)
Mark Wilzcak보조 믹싱 엔지니어
조지 마리노마스터링 (Sterling Sound), 1995년 재발매판 리마스터링
하우이 와인버그2017년 리마스터링
Gentry Studer2017년 리마스터링
피터 멘쉬커버 컨셉
Don Brautigam커버 일러스트레이션
로스 핼핀사진 (이너 슬리브, 커크 해밋, 제임스 헷필드, 뒷면)
Rich Likong사진 (클리프 버튼, 뒷면)
Rob Ellsi사진 (라스 울리히, 뒷면)
ICM/Marsha Vlasic (뉴욕)에이전시 대표
Fair Warning/John Jackson (런던)에이전시 대표
Peter Paterno (로스앤젤레스)법률 대표
Joni Schneider, Fred Duffin (Siegal&Feldstein, 샌프란시스코)결산
Q-Prime, Inc.매니지먼트
디지털 재발매
(보너스 트랙)
제이슨 뉴스테드베이스 기타, 백 보컬
Mike Gillies믹싱


9. 차트

《Master of Puppets》는 발매와 동시에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여러 국가에서 차트에 진입했다. 미국에서는 빌보드 200에서 29위까지 올랐고, 2003년 11월 22일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로부터 6×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2016년 3월 기준으로 미국 내 판매량은 천만 장을 넘어섰다. 영국에서는 영국 음반 차트에서 41위를 기록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30위, 스웨덴에서는 18위, 뉴질랜드에서는 23위, 독일에서는 15위를 기록하는 등 여러 국가 차트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9. 1. 주간 차트

순위오스트레일리아 앨범 차트 (ARIA 차트)33오스트리아 앨범 차트 (Ö3 오스트리아 탑 40)10벨기에 앨범 차트 (플랑드르) (울트라톱)94캐나다 앨범 차트 (빌보드)28캐나다 앨범 차트 (RPM)[91]52네덜란드 앨범 차트 (메하하르츠)17핀란드 앨범 차트 (수오멘 비랄리넨 리스타)[92]5프랑스 앨범 차트 (SNEP)111독일 앨범 차트 (GfK 엔터테인먼트 차트)4헝가리 앨범 차트 (Mahasz)24아일랜드 앨범 차트 (IRMA)42이탈리아 앨범 차트 (FIMI)65일본 앨범 차트 (오리콘)[93]87뉴질랜드 앨범 차트 (리코디드 뮤직 NZ)33노르웨이 앨범 차트 (VG-리스타)30폴란드 앨범 차트 (ZPAV)3포르투갈 앨범 차트 (AFP)8스코틀랜드 앨범 차트 (오피셜 차트 컴퍼니)26스페인 앨범 차트 (푸로무시카에)26스웨덴 앨범 차트 (스베리예토프리스탄)14스위스 앨범 차트 (슈바이처 히트파라데)17영국 앨범 차트 (오피셜 차트 컴퍼니)41미국 빌보드 20029미국 톱 록 앨범 (빌보드)7


9. 2. 연말 차트

wikitext

《Master of Puppets》 연말 차트 성적
연도차트순위
1986미국 빌보드 200[94]87
2002캐나다 메탈 앨범 (닐슨 사운드스캔)[95]89
2015미국 빌보드 200[96]182
미국 톱 카탈로그 앨범 (빌보드)[97]13
2016미국 톱 카탈로그 앨범 (빌보드)[98]11
2018미국 톱 록 앨범 (빌보드)[99]81
2020폴란드 앨범 (ZPAV)[100]37
2021폴란드 앨범 (ZPAV)[101]42


10. 인증

wikitext

지역인증 내역인증 연도비고
아르헨티나플래티넘1991[107][102]
호주3× 플래티넘2024접근일: 2024년 3월 8일
벨기에골드2001
캐나다6× 플래티넘
핀란드플래티넘판매량: 81,051
독일플래티넘2019접근일: 2019년 5월 25일
이탈리아골드20162009년 이후 판매량, 접근일: 2016년 11월 2일
뉴질랜드플래티넘접근일: 2021년 11월 9일
폴란드플래티넘2020접근일: 2020년 12월 17일
영국플래티넘2016
미국6× 플래티넘판매량: 7,980,000[108][43]


11. 유산 및 영향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 29위, 영국 앨범 차트에서 41위를 기록하며 메탈리카에게 첫 미국 40위권 진입이라는 성과를 안겨주었다. 현재까지 미국에서만 60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 이 앨범은 베이시스트 클리프 버튼이 참여한 마지막 앨범이기도 하다.

음악 전문 잡지 롤링 스톤이 선정한 '역대 최고의 앨범 500선'(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eng)에서는 97위에 올랐다.

앨범 발표 20년 후인 2006년, 메탈리카는 이 앨범 전곡을 라이브로 연주하는 공연을 가졌다. 특히 수록곡 "Orion"은 인트로를 포함한 완전한 형태로 처음 연주되었다. 같은 해 8월 일본에서 열린 섬머 소닉 페스티벌에서도 비슷한 구성의 공연을 선보여 큰 주목을 받았다.

2016년 3월 23일, 미국 의회 도서관은 '문화적, 역사적, 예술적으로 중요한 녹음물'을 보존하기 위해 매년 선정하는 전미 녹음 자료 등록부(National Recording Registry)의 2015년 등재 작품으로 이 앨범을 선정했다.

참조

[1] 웹사이트 MASTER OF PUPPETS https://metallica.co[...] metallica.com 2017-02-21
[2] 웹사이트 Kirk Hammett Picks His Favorite Metallica Album https://www.revolver[...] 2024-10-13
[3] 웹사이트 Metallica Biography https://rockhall.com[...] Rock and Roll Hall of Fame 2014-11-12
[4] 서적 Guitar Gods: The 25 Players Who Made Rock History ABC-CLIO
[5] 서적 Enter Night: A Biography of Metallica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6] 뉴스 Heavy Metal, Weighty Words https://www.nytimes.[...] 1988-07-10
[7] 간행물 Road Warriors https://books.google[...] 1986-08
[8] 웹사이트 Ulrich bored Hammett in Metallica's Puppet sessions http://www.teamrock.[...] 2015-12-11
[9] 서적 The Illustrated Collector's Guide to Metallica: Fuel & Fire https://archive.org/[...] Collector's Guide Publishing
[10] 서적 Recording Techniques of the Guitar Masters Course Technology
[11] 웹사이트 Ulrich bored Hammett in Metallica's Puppet sessions http://www.classicro[...] 2012-10-03
[12] 서적 Rock and Roll Always Forgets: A Quarter Century of Music Criticism https://archive.org/[...] Duke University Press 2011
[13] 웹사이트 Original Master of Puppets Artwork Up for Auction http://www.guitarwor[...] 2008-10-29
[14] 간행물 Master Class 2006-01
[15] 웹사이트 Gear: Metallica –The Ultimate Shredhead's Guide http://www.australia[...] 2013-03-24
[16] 웹사이트 30 Battering Master of Puppets Facts https://ultimateclas[...] 2016-03-03
[17] 서적 Sells Like Teen Spirit: Music, Youth Culture, and Social Crisis https://archive.org/[...] New York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Rock Who's who https://archive.org/[...] Schirmer Books
[19] AV media Metallica and the Missing 32nd Note- Master of Puppets Analyzed https://www.youtube.[...] 2017-08-02
[20] 문서 'To Live is to Die, the life and death of Metallica’s Cliff Burton' Jawbone Press
[21] 서적 Metallica: The Music and the Mayhem Omnibus Press
[22] 서적 Metallica and Philosophy: A Crash Course in Brain Surgery John Wiley & Sons
[23] 서적 Justice For All – The Truth About Metallica https://archive.org/[...] Omnibus Press
[24] 웹사이트 Master of Puppets [Remastered & Expanded Edition] by Metallica Reviews and Tracks https://www.metacrit[...] 2021-10-15
[25] 웹사이트 Master of Puppets https://www.allmusic[...] 2018-05-16
[26] 뉴스 A Guide to Metallica's Recordings https://www.chicagot[...] 1991-12-01
[27]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The '80s Pantheon Books
[28] 서적 The Collector's Guide to Heavy Metal: The Eighties Collector's Guide Publishing
[29] 서적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30] 서적 The Great Rock Discography Canongate Books
[31] 서적 Birth School Metallica Death, Volume 1 Faber and Faber
[32] 서적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Visible Ink Press
[33] 웹사이트 Metallica: Master of Puppets Album Review https://pitchfork.co[...] 2017-12-02
[34]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2004
[35] 간행물 Master of Puppets https://www.rollings[...] 1986-06-05
[36] 서적 Metallica – Uncensored On the Record Coda Books Ltd
[37] 간행물 Spins https://books.google[...] 2013-07-28
[38] 웹사이트 Metallica: Master of Puppets https://www.popmatte[...] 2013-06-11
[39] 웹사이트 Master of Puppets Review – Metallica https://www.bbc.co.u[...] BBC Music 2012-02-28
[40] 간행물 Top Pop Albums https://books.google[...] Nielsen Business Media 1986-03-29
[41] 간행물 Indies Grab Torch from Majors—And Run https://books.google[...] 1986-05-10
[42] 웹사이트 Master of Puppets 25th Anniversary http://rockhall.com/[...] Rock and Roll Hall of Fame 2013-07-27
[43] 웹사이트 Here are the astonishing US sales stats for every Metallica album https://www.louderso[...] 2023-03-12
[44] 웹사이트 Finnish Album Charts http://suomenalbumil[...] Timo Pennanen 2019-04-21
[45] 웹사이트 Metallica – Master of Puppets http://hitparade.ch/[...] Hung Medien 2013-08-01
[46] 웹사이트 ROBERT TRUJILLO Names His Favorite METALLICA Album https://blabbermouth[...] 2023-05-09
[47] 간행물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13-07-29
[48] 웹사이트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s definitive list of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19-09-18
[49] 웹사이트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021-04-01
[50] 간행물 100 Greatest Metal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Wenner Media LLC 2017-06-21
[51] 간행물 The All-TIME 100 Albums: Master of Puppets https://entertainmen[...] 2014-10-22
[52] 웹사이트 Best Albums of the 1980s http://www.slantmaga[...] 2013-07-26
[53] 서적 1001 Albums You Must Hear Before You Die Universe Publishing
[54] 웹사이트 Top 25 Metal Albums http://www.ign.com/a[...] 2013-06-11
[55] 서적 The Top 500 Heavy Metal Albums of All Time ECW Press
[56] 서적 Best of Rock & Metal - Die 500 stärksten Scheiben aller Zeiten Rock Hard 2024-05-08
[57] 웹사이트 50 Greatest Guitar Albums http://www.guitarwor[...] 2013-06-09
[58] 웹사이트 100 Greatest Guitar Solos: 51–100 http://www.guitarwor[...] 2013-07-30
[59] 뉴스 Guns N' Roses top rock riff poll http://news.bbc.co.u[...] 2013-07-31
[60] 뉴스 Machine Head, Trivium, Mastodon Pay Tribute to Metallica On 'Remastered' CD http://www.blabbermo[...] 2013-06-11
[6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merican Music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11-19
[62] 서적 Heavy Metal Music in Britain Ashgate Publishing Limited
[63] 서적 The Secret History of Rock 'n' Roll Cleis Press
[64] 웹사이트 Classic Album of the month: Metallica – Master of puppets http://www.guitarpla[...] 2013-07-31
[65] 웹사이트 Metallica's Master Of Puppets Turns 25 http://newsroom.mtv.[...] MTV 2013-07-31
[66] 웹사이트 Metallica's 'Master of Puppets' Celebrates 25th Anniversary http://www.noisecree[...] 2013-06-11
[67] 서적 Damage Incorporated: Metallica and the Production of Musical Identity Taylor & Francis
[68] 뉴스 Metallica First Metal Recording in US Historical Registry https://news.yahoo.c[...] 2016-03-23
[69] 뉴스 Metallica's 'Masters of Puppets' Streaming Surge Possible After 'Stranger Things' Feature https://www.musictim[...] 2022-07-01
[70] 뉴스 The "Stranger Things" season 4 finale gives Metallica's "Master of Puppets" the Kate Bush push https://www.salon.co[...] 2022-07-02
[71] 웹사이트 "'Master of Puppets' got some 'Stranger Things' love. Now Metallica returns the favor" https://www.latimes.[...] 2022-07-05
[72] 간행물 Master Piece 2006-01
[73] 서적 Rock and Roll Always Forgets: A Quarter Century of Music Criticism Duke University Press
[74] 서적 Music of the 1980s ABC-CLIO
[75] 서적 Metallica: The Complete Illustrated History Voyageur Press 2013
[76] 서적 Disco, Punk, New Wave, Heavy Metal, and More: Music in the 1970s and 1980s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77] 서적 To Live Is to Die: The Life and Death of Metallica's Cliff Burton Jawbone Press
[78] 뉴스 Metallica's Hetfield And Ulrich Discuss Importance Of 'Master Of Puppets' http://www.blabbermo[...] 2006-08-31
[79] 웹사이트 Master of Puppets release date http://www.metallica[...] Metallica.com null
[80] 웹사이트 Metallica Unveil 'Quebec Magnetic' Footage of 'Master of Puppets' Performance http://loudwire.com/[...] 2012-12-05
[81] 간행물 Metallica Tear Through 'Master of Puppets' in Quebec https://www.rollings[...] 2012-12-05
[82] 뉴스 Metallica at Rogers Arena, Vancouver http://www.thesnipen[...] 2012-08-26
[83] 웹사이트 Songs http://www.metallica[...] Metallica.com null
[84] 간행물 Metallica Dig Deep for Orion Fest Setlist https://www.rollings[...] 2013-06-10
[85] 웹사이트 Metallica Post 'Disposable Heroes' Video from 'Three Nights in Mexico City' DVD http://www.guitarwor[...] 2012-03-22
[86] 웹사이트 Metallica treat Kiwi fans to 'Orion' http://www.3news.co.[...] 3 News 2010-10-15
[87] 웹사이트 Metallica perform Master of Puppets in its entirety http://www.mtv.com/n[...] MTV 2006-06-05
[88] 웹사이트 Metallica Put Catalog On iTunes — Quietly http://www.mtv.com/n[...] MTV 2006-06-26
[89] 웹사이트 Master of Puppets (Remastered Deluxe Box Set) https://www.metallic[...] Metallica, Blackened Recordings null
[90] AV media notes Master of Puppets Elektra Records
[91] 웹사이트 Top Albums/CDs http://collectionsca[...] 1986-05-10
[92] 서적 Sisältää hitin – levyt ja esittäjät Suomen musiikkilistoilla vuodesta 1972 Kustannusosakeyhtiö Otava
[93] 웹사이트 メタル・マスター {{!}} メタリカ https://www.oricon.c[...] Oricon null
[94] 간행물 Top Billboard 200 Albums – Year-End 1986 http://www.billboard[...] null
[95] 웹사이트 Top 100 Metal Albums of 2002 http://www.jamshowbi[...] null
[96] 간행물 Top Billboard 200 Albums – Year-End 2015 https://www.billboar[...] null
[97] 간행물 Top Catalog Albums: 2015 Year-End Charts http://www.billboard[...] null
[98] 간행물 Top Catalog Albums: 2016 Year-End Charts http://www.billboard[...] null
[99] 간행물 Top Rock Albums – Year-End 2018 https://www.billboar[...] null
[100] 웹사이트 Najpopularniejsze single radiowe i najlepiej sprzedające się płyty 2020 roku http://bestsellery.z[...] Polish Society of the Phonographic Industry null
[101] 웹사이트 sanah podbija sprzedaż fizyczną w Polsce http://bestsellery.z[...] Polish Society of the Phonographic Industry null
[102] 웹사이트 Discos de oro y platino http://www.capif.org[...] Cámara Argentina de Productores de Fonogramas y Videogramas null
[103] 웹사이트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20-09-22
[104] 뉴스 메탈리카、존・코르트레인、산타나、빌리・조엘 등이 새롭게 등록、미국 의회 도서관에 의한 국가 보존 중요 녹음 등록 제도의 2016년도 작품이 분명히 http://amass.jp/7065[...] null 2016-03-24
[105] 문서 https://web.archive.[...]
[106] 문서 《Master of Puppets》 라이너 노츠
[107] 웹인용 Discos de oro y platino https://archive.toda[...] Cámara Argentina de Productores de Fonogramas y Videogramas 2019-10-04
[108] 웹인용 Here are the astonishing US sales stats for every Metallica album https://www.louderso[...] 2023-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