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y Generation (음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y Generation》은 1965년 발매된 영국의 록 밴드 더 후(The Who)의 데뷔 앨범이다. 앨범은 런던의 IBC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으며, 영국에서는 브런즈윅 레코드를 통해, 미국에서는 데카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 앨범에는 밴드의 오리지널 곡과 리듬 앤 블루스 커버곡이 수록되었으며, 영국 차트 5위를 기록했다. 앨범은 프로듀서와의 갈등으로 인해 절판되었다가, 여러 차례 재발매되었으며, 2002년에는 디럭스 에디션으로 리마스터링되어 발매되었다. 《My Generation》은 초기 록 음악의 에너지를 담아 헤비 메탈과 펑크 록에 영향을 미쳤으며, 평론가들로부터 "역사상 가장 하드한 록"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2003년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반에 이름을 올렸으며, 2009년에는 미국 의회 도서관에 의해 국립 녹음 보관소에 보존되도록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5년 데뷔 음반 - The Bee Gees Sing and Play 14 Barry Gibb Songs
    비 지스의 데뷔 앨범 《The Bee Gees Sing and Play 14 Barry Gibb Songs》는 1966년 호주에서 발매되었으며 배리 깁이 작곡한 14곡을 담아 초기 비트 음악 스타일과 포크 음악적 요소를 결합한 사운드로 호주에서 성공을 거두며 비 지스의 국제적인 스타덤 발돋움의 발판이 되었다.
  • 1965년 데뷔 음반 - Do You Believe in Magic (음반)
    Do You Believe in Magic은 러빈 스푼풀의 데뷔 음반으로, 다양한 장르의 혼합과 존 세바스찬의 작곡 능력이 돋보이며, 빌보드 200 차트 32위까지 오르고 타이틀곡이 밴드의 대표곡이 되었다.
  • 더 후의 음반 - The Who by Numbers
    The Who by Numbers는 더 후가 1975년에 발표한 일곱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피트 타운젠트의 작가적 슬럼프와 환멸 속에서 글린 존스가 프로듀싱하고 신시사이저 사용을 줄인 단순한 사운드와 개인적인 고뇌를 담은 가사가 특징이며, "스퀴즈 박스" 싱글 히트와 함께 월드 투어를 진행했다.
  • 더 후의 음반 - A Quick One
    A Quick One은 1966년 발매된 영국의 록 밴드 The Who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멤버들의 작곡 참여를 통해 다양한 곡들이 수록되었으며, 록 오페라의 초기 형태인 "A Quick One, While He's Away"가 포함되어 있다.
  • 데카 레코드 음반 - Sentimento
    안드레아 보첼리가 2002년에 발표한 앨범 Sentimento는 호아킨 로드리고를 포함한 여러 유명 작곡가들의 곡을 담아 발매 후 각국에서 높은 차트 순위와 플래티넘 및 골드 인증을 받으며 전 세계적으로 25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
  • 데카 레코드 음반 - Shades of a Blue Orphanage
    Shades of a Blue Orphanage는 씬 리지가 1972년에 발매한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밴드 결성 전 멤버들이 속했던 밴드 이름들을 합쳐 만들어졌으며, 리마스터 CD에는 아일랜드 민요를 번안한 싱글이 추가되었고, 발매 당시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밴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My Generation (음반) - [음악]에 관한 문서
앨범 정보
밴드가 위에서 찍은 사진으로, 카메라를 올려다보고 있다.
앨범 커버
아티스트더 후
발매일1965년 12월 3일
녹음일1965년 4월 12일 – 1965년 11월 12일
스튜디오IBC, 런던
장르개러지 록
파워 팝
R&B
모드 팝
길이35분 59초
레이블브런즈윅 (영국)
데카 (미국)
프로듀서셸 탈미
싱글
싱글 1My Generation (1965년 10월 29일)
싱글 2A Legal Matter (1966년 3월 7일)
싱글 3The Kids Are Alright (1966년 7월, 미국)
싱글 4La-La-La-Lies (1966년 11월 11일)
대체 커버
The Who Sings My Generation 앨범 커버
The Who Sings My Generation 앨범 커버
더 후 연대기
이전 앨범(없음)
다음 앨범Ready Steady Who (1966년)
더 후 미국 연대기
이전 앨범(없음)
앨범The Who Sings My Generation (1966년)
다음 앨범Happy Jack (1967년)

2. 역사

더 후의 데뷔 앨범인 《My Generation》은 밴드가 키스 문을 드러머로 영입하며 라인업을 완성한 후, 초기 "최대 R&B(Maximum R&B)" 시기를 거쳐 1965년 녹음되었다. 기타리스트 피트 타운젠드가 주도하여 작곡한 오리지널 곡들과 R&B 커버 곡들이 함께 수록되었으며, 녹음 과정에서 멤버 간의 갈등과 보컬 로저 달트리의 일시적 탈퇴 위기 등 내부적인 어려움을 겪었다.

앨범은 1965년 12월 영국에서 브런즈윅 레코드를 통해 처음 발매되었고, 이듬해 1966년에는 미국일본에서도 각각 다른 제목과 커버, 일부 다른 수록곡 구성으로 발매되었다. 특히 타이틀 곡 "My Generation"은 영국 싱글 차트 2위에 오르는 큰 성공을 거두었고, "The Kids Are Alright"와 함께 밴드의 가장 상징적인 곡이자 후대 록 음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곡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앨범 발매 이후, 프로듀서 셸 탈미와의 인세저작권 관련 분쟁이 발생하여 밴드는 그와 결별했다. 이 여파로 1967년 영국반이 절판되는 등 앨범은 오랫동안 공식적인 유통 목록에서 제외되어 구하기 어려운 상태가 되었다. 수십 년이 지난 2002년에 이르러서야 판권 문제가 해결되면서, 오리지널 마스터 테이프를 사용한 디럭스 에디션 발매를 시작으로 다양한 형태의 복각판이 출시되며 재조명받기 시작했다.

2. 1. 앨범 녹음 및 발매

1965년, 키스 문을 드러머로 영입하며 라인업을 완성한 더 후는 밴드 이름을 디투어스(Detours)에서 잠시 하이 넘버스(High Numbers)로 바꾸었다가 다시 더 후(The Who)로 확정하고 데뷔 앨범 준비에 들어갔다.[5] 1965년 봄, 밴드는 런던의 IBC 스튜디오에서 녹음을 시작했다. 이 시기는 밴드의 초기 "최대 R&B(Maximum R&B)" 시절로, 제임스 브라운의 곡 "I Don't Mind"와 "Please, Please, Please" 같은 R&B 커버 곡들과[5] 기타리스트 피트 타운젠드가 작곡한 초기 R&B 풍의 곡들이 주로 녹음되었다.

초기 녹음은 1965년 3월 19일과 4월 12일~14일에 걸쳐 진행되었고, 총 9곡이 녹음되었다. 원래 앨범은 7월 발매 예정이었으며 아세테이트반까지 제작되었으나, 음악 월간지 '비트 인스트루멘탈(Beat Instrumental)'의 리뷰에서 혹평을 받자 발매가 보류되었다.[35] 이후 1965년 10월 13일부터 14일까지 새로운 세션이 진행되었고, 이 과정에서 기존 녹음 일부는 폐기되고 타운젠드의 새로운 오리지널 곡들이 주로 녹음되었다. 이 시기 밴드 내부는 멤버 간의 잦은 다툼으로 인해 매우 험악한 분위기였으며,[36] 특히 9월에는 보컬 로저 달트리가 다른 멤버들과의 심각한 충돌로 밴드를 탈퇴할 뻔한 위기를 겪기도 했다.[37]

최종적으로 앨범에는 총 12곡이 수록되었는데, 그중 9곡은 밴드의 오리지널 곡이었고 나머지 3곡은 데뷔 전 무대에서 연주했던 R&B 및 초기 모타운 넘버의 커버 곡이었다. 동시대의 롤링 스톤스킹크스 같은 다른 록 밴드들의 데뷔 앨범과 비교하면 커버 곡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인데, 이는 앞서 언급된 '비트 인스트루멘탈' 리뷰에서 오리지널 곡 부족을 지적받은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35]

영국에서는 1965년 12월 3일, 브런즈윅 레코드를 통해 《My Generation》이라는 제목으로 모노럴 버전만 발매되었다.[35] 앨범 커버는 오일 드럼통 옆에 선 멤버들이 위를 올려다보는 사진으로, 존 엔트위슬유니언 잭 무늬 재킷을 걸치고 있고 피트 타운젠드는 모교의 스카프를 두르고 있다.[66] 이 앨범은 영국 앨범 차트에서 5위를 기록하며 상업적으로 성공했다.[38]

미국에서는 밴드가 프로듀서 셸 털미와 결별한 이후인 1966년 4월, 데카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다. 미국판은 《The Who Sings My Generation》으로 제목이 변경되었고, 앨범 커버도 빅 벤을 배경으로 한 멤버들의 사진으로 교체되었다.[66] 수록곡에도 변화가 있었는데, 성적인 내용을 문제 삼아 "I'm a Man"이 제외되었고, "The Kids Are Alright"는 곡 후반부의 연주 부분이 편집된 영국 싱글 버전이 대신 수록되었다. 또한 영국반과 달리 미국반은 모노럴과 인위적으로 스테레오 효과를 낸 가짜 스테레오 두 가지 버전으로 발매되었다.[33]

일본에서는 테이치쿠 레코드를 통해 1966년에 발매되었는데,[40] 영국반이나 미국반과는 또 다른 독자적인 수록곡 구성을 가졌다.[41] 앨범 재킷 역시 일본 고유의 디자인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기존 레코드 재킷 디자인을 재활용하여 아티스트 사진만 교체한 경우도 있었다.[42]

앨범 발매 전후로 여러 곡들이 싱글로 발표되었다. 타이틀 곡 "My Generation"은 앨범 발매 전에 싱글로 나와 영국 싱글 차트 2위를 기록하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A Legal Matter", "La-La-La Lies", "The Kids Are Alright" 등도 밴드가 리액션 레이블로 이적한 후인 1966년에 브런즈윅 레코드에서 싱글로 발매했지만, 밴드의 별다른 홍보 활동이 없어 "My Generation"만큼의 상업적 성공은 거두지 못했다. 다만 "The Kids Are Alright"는 스웨덴 싱글 차트에서 8위에 오르며 좋은 반응을 얻었다.

앨범 수록곡 중 특히 "My Generation"과 "The Kids Are Alright"는 이후 더 후의 가장 대표적인 곡이자 가장 많이 커버되는 곡이 되었다. "My Generation"은 거칠고 공격적인 사운드로 헤비 메탈펑크 록의 등장을 예견한 곡으로 평가받는 반면, "The Kids Are Alright"는 경쾌한 기타 리프와 3성부 화음, 인상적인 멜로디를 가진 세련된 팝 넘버이면서도 초기 더 후 특유의 강력한 리듬감을 유지하고 있다. 이 앨범은 후대 파워 팝 장르의 중요한 선구자로 평가받기도 한다. 수록곡 "Circles"는 영국의 프릭비트 밴드 Les Fleur de Lys에 의해 커버되어 주목받기도 했다.

하지만 정작 밴드 멤버들의 앨범에 대한 평가는 매우 낮았는데, 특히 피트 타운젠드는 "저런 건 최악이야, 쓰레기나 다름없어"라고 혹평하기도 했다.[37]

1966년, 밴드는 프로듀서 셸 털미와 인세 배분 문제로 갈등을 겪고 계약을 파기했다. 그러나 털미는 앨범의 저작권이 자신에게 있다고 주장하며 마스터 테이프와 판권을 넘겨주지 않았다. 1967년 브런즈윅 레코드가 문을 닫으면서 앨범은 절판되었고,[39] 오랫동안 더 후의 공식 음반 목록에서 제외되었다. 1979년 영국에서 모드 리바이벌 열풍이 불자 버진 레코드에서 영국 모노반이 잠시 재발매되기도 했으나, 이마저도 1980년에 다시 절판되어 2002년 디럭스 에디션이 발매되기 전까지는 공식적인 영국반 앨범을 구하기 어려웠다.

2. 2. 프로듀서와의 갈등 및 절판

1966년, 밴드는 프로듀서 셸 탈미(Shel Talmy)와 인세 배분 문제로 갈등을 겪었다. 결국 밴드는 탈미와의 계약을 파기했지만, 탈미는 자신의 프로듀싱 작품에 대한 저작권을 주장하며 앨범의 판권과 마스터 테이프에 대한 권리를 내세웠다. 1967년에는 음반을 유통하던 브런즈윅 레코드(Brunswick Records)가 문을 닫으면서 앨범은 절판되었다[39]. 이로 인해 앨범은 오랫동안 더 후의 공식 음반 목록에서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2. 3. 재발매 및 복각

1966년, 밴드는 프로듀서 셸 탈미와 인세 배분을 두고 갈등을 겪으며 계약을 파기했다. 그러나 탈미는 자신이 프로듀스한 작품의 저작권을 주장하며 앨범의 판권과 마스터 테이프를 보유했다. 1967년 브런즈윅 레코드가 문을 닫으면서 영국반은 절판되었고[39], 오랫동안 더 후의 공식 카탈로그에서 제외되었다.

미국에서는 1974년 MCA 레코드를 통해 1968년 컴필레이션 앨범 ''Magic Bus: The Who on Tour''와 함께 저가 더블 앨범 세트로 재발매되었다. 이 재발매 앨범은 빌보드 200 차트에서 185위를 기록했다.[7] 1980년대에는 미국에서 CD로도 발매되었다.[43]

영국에서는 모드 리바이벌이 한창이던 1979년 버진 레코드를 통해 모노 앨범이 잠시 재발매되었다. 당시 젊은 팬들은 더 후와 같은 독창적인 밴드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하지만 이 판본은 1980년에 절판되었고, 이후 2002년 디럭스 에디션이 나올 때까지 영국에서 공식적인 ''My Generation'' 앨범은 구할 수 없었다.[33] 1980년 재발매 당시 영국 차트 20위에 오르기도 했다.[33]

일본에서는 테이치쿠 레코드에서 1966년에 독자적인 사양으로 발매된 이후[40], 2002년까지 재발매되지 않았다.[40]

1995년부터 더 후의 카탈로그 정리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지만, 판권 문제로 인해 ''My Generation''의 복각은 지연되었다. 2002년, 마침내 셸 탈미와의 관계가 개선되고 판권 문제가 해결되면서 공식적인 복각이 이루어졌다. 2002년 8월 발매된 '''디럭스 에디션'''은 탈미가 보관하던 오리지널 마스터 테이프를 사용해 리마스터링되었고, 처음으로 실제 스테레오 리믹스가 이루어졌다. 리믹스 작업에는 탈미 본인이 참여했으며, 오리지널 앨범 미수록 싱글, 미발표 곡 및 버전 등이 보너스 트랙으로 추가되었다.[8] 이 스테레오 믹스는 더 선명한 사운드를 제공했지만, "A Legal Matter", "My Generation"의 리드 기타 파트나 일부 곡의 더블 트랙 보컬 등 오리지널 모노 믹스의 오버더빙 일부가 누락되기도 했다. 재킷은 영국 오리지널판을, 부클릿 표지는 미국판을 재현했다. 37년 만의 재발매였음에도 영국 차트 47위를 기록했다.[33] 공교롭게도 이 에디션 발매 3개월 전 존 엔트위슬이 세상을 떠났다.

2005년에는 영국 초회판 모노럴 믹스가 LP판으로 재발매되었다. 2008년에는 일본 시장 한정으로 오리지널 영국 모노 믹스를 리마스터링한 버전이 더블 CD 박스 세트와 싱글 CD 형태로 발매되었다. 이 박스 세트에는 모노 믹스와 2002년 디럭스 에디션의 스테레오 믹스가 함께 수록되었고, 각국 판본 및 관련 싱글 재킷 복각판이 포함되었다. 두 버전 모두 1965년 녹음된 보너스 트랙이 포함되었다.

2012년, 오리지널 마스터 테이프에서 직접 변환(플랫 트랜스퍼)한 모노 음원을 사용한 2디스크 모노/스테레오 세트가 일본 한정 '컬렉터스 에디션'으로 발매되었다.[9] 같은 해 영국에서는 보너스 트랙 없이 싱글 디스크 모노 앨범이 발매되었는데, 이는 오리지널 마스터에서 여러 번 복제된 테이프를 사용한 것이었다.[9]

2014년, 아이튠즈와 HDtracks를 통해 모노 및 스테레오 버전 디지털 음원이 전 세계에 배포되었다. 모노 버전은 2012년 일본 발매반과 동일한 소스를 사용했고, 스테레오 버전은 2002년 디럭스 에디션과는 다른 새로운 리믹스가 적용되었다. 이 새로운 스테레오 믹스에서는 2002년 버전에서 누락되었던 오버더빙 파트가 복원되었는데, 이를 위해 로저 달트리와 피트 타운센드가 일부 파트를 새로 녹음하기도 했다.[44]

2016년 11월 18일에는 5CD 구성의 '''슈퍼 디럭스 에디션'''이 발매되었다. 여기에는 오리지널 모노 믹스(디스크 1), 스테레오 믹스(디스크 2, 2014년 마스터 사용), 모노 믹스 보너스 트랙(디스크 3), 스테레오 믹스 보너스 트랙(디스크 4), 그리고 1964년~1965년 데모를 포함한 미발표 음원(디스크 5, Primal Scoop)이 수록되었다. 스테레오 믹스를 제외한 나머지 음원은 최신 리마스터링을 거쳤으며[44], 80페이지 분량의 사진집도 포함되었다.

3. 앨범 커버

영국 오리지널 발매반의 커버는 밴드 멤버들이 석유 드럼통 옆에 서서 카메라를 올려다보는 모습이다. 앨범 제목은 빨간색과 파란색 스텐실 문자로 표기되었고, 존 엔트위슬은 어깨에 유니언 잭 무늬 재킷을 걸치고 있었으며 피트 타운젠드는 학교 스카프를 두르고 있었다.[66] 미국 발매반의 경우, 빅 벤 아래에 서 있는 밴드의 사진으로 커버가 교체되었다.

일본 초판 역시 독자적인 디자인을 사용했는데, 중앙에 서 있는 여성 옆에 멤버 4명의 얼굴을 합성한 사진을 사용했다. 다만 이 재킷 디자인은 기존의 것을 재활용하여 아티스트 사진만 바꿔 넣은 다른 레코드도 존재한다.[42]

4. 수록곡

앨범의 모든 곡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피트 타운젠드가 작사, 작곡했다. 다만, 제임스 브라운의 "I Don't Mind"와 "Please, Please, Please", 보 디들리의 "I'm a Man"과 같은 커버 곡들이 포함되어 있다.[5] 기악곡 "The Ox"는 타운젠드, 존 엔트위슬, 키스 문, 니키 홉킨스가 공동 작곡했다.

4. 1. 영국 오리지널 버전 (1965)

1965년, 드러머로 키스 문을 영입한 더 후는 디투어스(Detours), 하이 넘버스(High Numbers)를 거쳐 최종적으로 더 후(The Who)라는 이름으로 활동 준비를 마쳤다.[5] 이 앨범은 1965년 봄, 밴드의 초기 "최대 R&B" 시기에 제작되기 시작했다. 초기 녹음에는 제임스 브라운의 곡인 "I Don't Mind"와 "Please, Please, Please" 같은 인기 R&B 커버 곡들이 포함되었으며, 기타리스트 피트 타운젠드가 작곡한 곡들 역시 R&B 성향을 띠고 있었다.[5] 처음에는 9개의 트랙이 녹음되었으나, 같은 해 10월에 시작된 새로운 녹음 세션에서는 타운젠드의 자작곡에 더 중점을 두면서 일부 초기 녹음 곡들이 제외되었다.

앨범에는 밴드의 대표곡 중 하나인 "My Generation"을 비롯하여, 이후 파워 팝 장르의 선구자로 평가받게 되는 여러 곡들이 수록되었다. 특히 "My Generation"은 거칠고 공격적인 사운드로 헤비 메탈펑크 록의 등장을 예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앨범은 더 후의 초기 음악 스타일과 에너지를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여겨진다.

4. 1. 1. A면

모든 곡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피트 타운젠드가 작사/작곡했다.

#제목작사/작곡길이
1Out in the Street2:31
2I Don't Mind제임스 브라운2:36
3The Good's Gone4:02
4La-La-La-Lies2:17
5Much Too Much2:47
6My Generation3:18


4. 1. 2. B면

#제목작사/작곡길이
1The Kids Are Alright피트 타운젠드3:04
2Please, Please, Please제임스 브라운, 조니 테리2:45
3It's Not True타운젠드2:31
4Im a Man보 디들리3:21
5A Legal Matter타운젠드2:48
6The Ox타운젠드, 존 엔트위슬, 키스 문, 니키 홉킨스3:50



B면에 수록된 곡 중 "Please, Please, Please"는 제임스 브라운의 곡을 커버한 것이다.[5] "I'm a Man"은 성적인 내용으로 인해 미국 발매판에서는 제외되었다. 또한 미국 앨범에서는 "The Kids Are Alright"의 영국 싱글 편집 버전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마지막 절 이전의 드럼 연주와 기타 피드백 부분이 잘려나간 버전이다.

"A Legal Matter"와 "The Kids Are Alright"는 밴드가 1966년 리액션 레이블에서 새로운 음반을 발매하기 시작한 후 브런즈윅(Brunswick)에서 싱글로 발매되었다. 밴드의 홍보 부족으로 이 싱글들은 "My Generation"만큼 상업적으로 성공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The Kids Are Alright"는 스웨덴 싱글 차트에서 8위를 기록하며 10위권 안에 드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 곡은 쨍한 기타 사운드와 3부 화음, 율동적인 보컬 멜로디를 가진 세련된 팝 음악으로 평가받으면서도, 당시 더 후의 다른 곡들처럼 강력한 리듬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4. 2. 미국 버전 (The Who Sings My Generation, 1966)

미국에서는 더 후와 프로듀서 셸 탈미가 결별한 후인 1966년 4월에 《The Who Sings My Generation》이라는 제목으로 앨범이 발매되었다. 미국반은 재킷 사진을 빅 벤을 배경으로 한 멤버들의 사진으로 교체했으며, 수록곡에도 약간의 변경이 있었다. 영국반에서는 모노럴 믹스만 발매되었지만, 미국반은 모노럴과 가짜 스테레오 두 가지 버전으로 발매되었다.[33]

수록곡 중 "I'm a Man"은 성적인 내용 때문에 미국 발매에서 제외되었고, 대신 "Instant Party (Circles)"가 수록되었다. 또한, "The Kids Are Alright"는 마지막 절 이전의 기악 섹션(드럼 롤과 기타 피드백 부분)이 편집된 영국 싱글 버전이 사용되었다.

미국반 트랙 리스트
Side one (총 재생 시간: 17:31)
#제목작사·작곡재생 시간
1Out in the Street타운젠드2:31
2I Don't Mind브라운2:36
3The Good's Gone타운젠드4:02
4La-La-La-Lies타운젠드2:17
5Much Too Much타운젠드2:46
6My Generation타운젠드3:18
Side two (총 재생 시간: 17:52)
#제목작사·작곡재생 시간
1The Kids Are Alright타운젠드2:46
2Please, Please, Please브라운, 테리2:45
3It's Not True타운젠드2:31
4The Ox타운젠드, 엔트위슬, , 홉킨스3:50
5A Legal Matter타운젠드2:48
6Instant Party (Circles)타운젠드3:12


4. 3. 디럭스 에디션 (2002)

2002년에 발매된 디럭스 에디션은 오리지널 앨범 수록곡들의 스테레오 리믹스 버전과 함께 오리지널 모노 버전, 그리고 다양한 보너스 트랙이 포함되었다.

특히 'A Legal Matter'와 'My Generation'의 스테레오 버전에서는 모노럴 버전에 오버더빙되었던 리드 기타 파트가 누락되었다. 이는 당시 사용된 3트랙 레코더의 한계와 음질 열화를 피하기 위해 믹싱 과정에서 오버더빙을 진행했기 때문이며, 스테레오 믹스를 염두에 두지 않고 제작되었음을 보여준다.[58] 이 때문에 2002년 디럭스 에디션에는 이 두 곡의 모노럴 버전이 특별히 함께 수록되었다. 이후 2014년에 아이튠즈 및 HDTracks 등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배포된 스테레오 버전에서는 리드 기타 파트가 복원되었으나, 이는 현재(2014년) 피트 타운젠드가 앨범 당시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여 새로 녹음한 것으로[44], 원본 모노 버전의 연주와는 차이가 있다.

또한, 법적 문제로 인해 "Instant Party"라는 제목으로 잘못 알려졌던 곡 "Circles"는 "Instant Party Mixture"라는 제목으로 디럭스 에디션에 수록되어 처음으로 공식 수록되었다.[40]

다음은 디럭스 에디션의 트랙 목록이다. ☆는 미발표곡, ★는 프랑스 외 미발표곡을 의미한다.

디스크 1
#곡명작사/작곡재생 시간비고
1Out in the Street피트 타운젠드2:32
2I Don't Mind제임스 브라운2:33
3The Good's Gone타운젠드4:00더블 트랙 보컬 미포함
4La-La-La Lies타운젠드2:18더블 트랙 보컬 미포함
5Much Too Much타운젠드2:45더블 트랙 보컬 미포함
6My Generation타운젠드3:21리드 기타 미포함, 디스크 2의 오리지널 모노 버전으로 제공
7The Kids Are Alright타운젠드3:10더블 트랙 보컬 미포함
8Please, Please, Please브라운, 조니 테리2:46
9It's Not True타운젠드2:34
10I'm a Man보 디들리3:23엔딩 포함
11A Legal Matter타운젠드2:54리드 기타 미포함, 디스크 2의 오리지널 모노 버전으로 제공
12The Ox타운젠드, 키스 문, 존 엔트위슬, 니키 홉킨스3:58엔딩 포함
13Circles (Instant Party)타운젠드3:13앤트위슬의 프렌치 호른 및 더블 트랙 보컬 미포함
14I Can't Explain타운젠드2:04탬버린 미포함
15Bald Headed Woman셸 탈미2:32
16Daddy Rolling Stone오티스 블랙웰2:55Thirty Years of Maximum R&B 수록 버전의 대체 버전
총 재생 시간:46:58



디스크 2
#곡명작사/작곡재생 시간비고
1Leaving Here홀랜드-도지어-홀랜드2:50Thirty Years of Maximum R&B 수록 버전의 대체 버전 ☆
2Lubie (Come Back Home)폴 리비어, 마크 린지3:40
3Shout and Shimmy브라운3:20
4(Love Is Like A) Heat Wave홀랜드-도지어-홀랜드2:41
5Motoring아이비 조 헌터, 필 존스, 윌리엄 "미키" 스티븐슨2:52
6Anytime You Want Me가넷 밈스2:38
7Anyway, Anyhow, Anywhere타운젠드, 로저 달트리2:43대체 테이크 ★
8Instant Party Mixture타운젠드3:24
9I Don't Mind브라운3:44풀 버전 ☆
10The Good's Gone타운젠드4:29풀 버전 ☆
11My Generation타운젠드3:27인스트루멘탈 버전 ☆
12Anytime You Want Me밈스2:29아카펠라 버전 ☆
13A Legal Matter타운젠드2:49기타 오버더빙이 있는 모노 버전
14My Generation타운젠드3:18기타 오버더빙이 있는 모노 버전
총 재생 시간:44:24


5. 음악적 특징 및 영향

음악 평론가 로버트 크리스토는 1967년 ''에스콰이어''에 기고한 글에서 《My Generation》을 "역사상 가장 하드한 록"이라고 평가했다.[19] 리치 언터버거는 올뮤직의 회고적 평가에서 이 음반을 "가장 하드한 모드 팝"이라고 칭하며 "발매 당시 이 음반은 록 음반에서 포착된 가장 강력한 기타와 드럼 사운드를 담고 있었다"고 언급했다.[21]

앨범의 대표곡 중 하나인 "My Generation"은 헤비 메탈펑크 록의 등장을 예견한 거칠고 공격적인 곡으로 평가받는다. 반면, "The Kids Are Alright"는 쨍한 기타 사운드, 3부 화음, 리듬감 있는 보컬 멜로디를 특징으로 하는 세련된 팝 넘버이지만, 당시 더 후의 다른 곡들처럼 강력한 리듬감을 유지하고 있다. 이 곡은 이후 등장하는 파워 팝 장르의 중요한 선구자로 여겨진다. 이 두 곡은 더 후의 곡들 중 가장 많이 커버되는 곡으로 남아 있다.

마크 켐프는 ''롤링 스톤 음반 가이드''(2004)에서 이 앨범이 거친 디스토션, 강력한 베이스와 드럼 연주, 격렬한 보컬이 어우러져 이후 개러지 록, 헤비 메탈, 펑크의 청사진을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롤링 스톤스비틀즈의 초기 앨범과 달리, 《My Generation》은 대중 음악의 경계를 적극적으로 확장했으며, 특히 피트 타운젠드의 독창적인 기타 실험은 지미 헨드릭스의 혁신에 앞서는 것이었다고 덧붙였다.

이 앨범은 여러 매체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명반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2003년 ''롤링 스톤'' 잡지의 역대 최고의 앨범 500장 목록에서 236위에 올랐으며,[24] 2012년 개정 목록에서는 237위를 기록했다.[25] ''모조'' 잡지는 이 앨범을 역대 최고의 기타 앨범 2위로 선정했고,[26] 2004년 ''Q'' 잡지는 역대 최고의 영국 앨범 50선 중 18위로,[27] 2006년 ''NME''는 100대 영국 앨범 중 49위로 선정했다.[28] 타이틀곡 "My Generation"은 2004년 ''롤링 스톤'' 선정 역대 최고의 노래 500곡 중 11위에 올랐으며, "The Kids Are Alright"는 2006년 피치포크가 선정한 1960년대 최고의 노래 200곡 중 34위에 랭크되었다.[29] 2009년 6월, 앨범의 미국 버전인 "The Who Sings My Generation"은 "문화적, 역사적, 미학적으로 중요"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미국 의회 도서관의 국립 녹음 보관소에 보존 대상으로 선정되었다.[30] BBC의 크리스 존스는 이 앨범을 "록앤롤을 사랑하는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이유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31]

6. 참여 음악가

구분음악가역할 / 악기비고 / 참여 곡
더 후로저 달트리리드 보컬, 하모니카
피트 타운젠드일렉트릭 기타, 백 보컬, 리드 보컬"A Legal Matter"에서 리드 보컬 담당
존 엔트위슬베이스 기타, 백 보컬
키스 문드럼, 퍼커션
추가 참여니키 홉킨스피아노
아이비 리그백 보컬"I Can't Explain", "Bald Headed Woman"
페리 포드피아노"I Can't Explain"
지미 페이지리드 기타"Bald Headed Woman"


7. 평가

이 음반은 발매 이후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꾸준히 호평을 받아왔다. 올뮤직과 ''롤링 스톤 음반 가이드''는 만점인 별 5개를 부여했으며,[21] ''대중음악 백과사전'', ''가디언'', ''라우더 사운드'', ''롤링 스톤'' 등 다수의 매체에서도 별 4개 이상의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10][12][13][16]

음악 평론가 로버트 크리스토는 1967년 ''에스콰이어'' 기고문에서 ''My Generation''을 "역사상 가장 하드한 록"이라고 칭했으며,[19] 1981년에는 이 음반의 미국 버전을 자신의 저서 ''크리스토의 음반 가이드: 70년대 록 앨범''에 수록된 1950년대와 1960년대 "기본 음반 목록"에 포함시켰다.[20][22] 올뮤직의 리치 언터버거는 회고적 평가에서 이 음반을 "가장 하드한 모드 팝"이라 극찬하며, "발매 당시 이 음반은 록 음반에서 포착된 가장 강력한 기타와 드럼 사운드를 담고 있었다"고 언급했다.[21]

''롤링 스톤 음반 가이드''(2004)에서 마크 켐프는 이 음반이 거칠게 왜곡된 기타 사운드, 울리는 듯한 베이스와 타악기 연주, 거친 보컬의 조합을 통해 이후 개러지 록, 헤비 메탈, 펑크의 청사진을 제시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롤링 스톤즈나 비틀즈의 초기 앨범들과 달리 ''My Generation''은 대중 음악의 경계를 적극적으로 확장했으며, 피트 타운젠드의 독창적인 기타 실험은 지미 헨드릭스의 혁신에 앞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음반은 여러 매체의 주요 목록에도 꾸준히 이름을 올렸다. 2003년 ''롤링 스톤'' 잡지가 선정한 역대 최고의 앨범 500장 목록에서 236위에 올랐고,[24] 2012년 개정판에서는 237위를 기록했다.[25] ''모조'' 잡지는 이 음반을 역대 최고의 기타 앨범 2위로 선정했으며,[26] 2004년 ''Q'' 잡지가 선정한 역대 최고의 영국 앨범 50선에서는 18위,[27] 2006년 ''NME''가 선정한 100대 영국 앨범에서는 49위에 올랐다.[28] 타이틀 곡 "My Generation"은 2004년 ''롤링 스톤'' 잡지의 역대 최고의 노래 500곡 중 11위에 선정되었고, 수록곡 "The Kids Are Alright"는 2006년 피치포크가 선정한 1960년대 최고의 노래 200곡 중 34위에 올랐다.[29]

음악가 엘비스 코스텔로는 2000년에 이 음반을 "당신의 삶을 개선할 수 있는 500개의 [가장 좋아하는] 앨범" 중 하나로 꼽으며 "내가 만든 모든 것보다 낫다"고 극찬했다.[23] 2009년 6월에는 이 음반의 미국 버전인 ''The Who Sings My Generation''이 "문화적, 역사적, 미학적으로 중요"하다는 평가와 함께 미국 의회 도서관의 국립 녹음 보관소에 영구 보존 대상으로 선정되었다.[30] BBC의 크리스 존스는 이 앨범을 "록앤롤을 사랑하는 가장 중요하고 중요한 이유 중 하나"라고 묘사했다.[31]

참조

[1] 웹사이트 Top 100 '60s Rock Albums https://ultimateclas[...] 2015-03-19
[2] 웹사이트 Classic Albums - My Generation https://www.artgalle[...] 2019-11-04
[3] 간행물 100 Best Debu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13-10-13
[4] 웹사이트 The Who Official Band Website – Roger Daltrey, Pete Townshend, John Entwistle, and Keith Moon, ''My Generation'' http://www.thewho.co[...] 1965-12-01
[5] 웹사이트 The Who – My Generation (album review 4) https://www.sputnikm[...] 2006-04-29
[6] 웹사이트 The Who’s Pete Townshend on Raiding Vaults for ‘My Generation’ Box Set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7] 간행물 The Who Chart History (''Billboard'' 200) https://www.billboar[...]
[8] 문서 Andy Neill Deluxe Edition liner notes, p.23
[9] 웹사이트 The Who My Generation http://forums.steveh[...]
[10]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Great Rock Discography Canongate Books
[12] 웹사이트 The Who: My Generation super deluxe box set review – contains buried treasure https://www.theguard[...] 2016-12-15
[13] 웹사이트 The Who - My Generation reissue album review https://www.louderso[...] 2016-11-14
[14] 서적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https://archive.org/[...] Visible Ink Press
[15] 간행물 The Who: My Generation (mono remaster) http://www.popmatter[...] 2013-01-08
[16] 간행물 My Generation: Deluxe Edition https://www.rollings[...] 2002-09-04
[17] 웹사이트 My Generation https://www.sputnikm[...] 2015-07-19
[18] 웹사이트 Grade List: The Who http://tomhull.com/o[...] n.d.
[19] 간행물 Secular Music (2) http://www.robertchr[...]
[20] 서적 Rock Albums of the '70s: A Critical Guide Da Capo Press
[21] 웹사이트 Allmusic review "{{AllMusic|class=al[...] All Media Guide
[22]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3] 간행물 Costello's 500 https://www.vanityfa[...] 2013-08-26
[24] 간행물 My Generation ranked 236 on 2003 Rolling Stone list http://www.rollingst[...] 2003
[25] 웹사이트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Rolling Stone's definitive list of the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26] 뉴스 Hendrix heads list of 100 guitar greats with 'Are You Experienced' https://www.independ[...] 2003-07-21
[27] 웹사이트 Q Magazine http://www.rocklistm[...]
[28] 웹사이트 NME http://www.rocklistm[...]
[29] 웹사이트 The 200 Greatest Songs of the 1960s – Page 3 http://pitchfork.com[...]
[30] 뉴스 New National Recording Registry entries announced http://archive.sltri[...] 2009-06-09
[31] 웹사이트 BBC – Music – Review of The Who – My Generation https://www.bbc.co.u[...]
[32] 서적 Sisältää hitin – levyt ja esittäjät Suomen musiikkilistoilla vuodesta 1972 Kustannusosakeyhtiö Otava
[33] 웹사이트 500 Greatest Albums of All Time: The Who, 'The Who Sings My Generation' http://www.rollingst[...] Rolling Stone
[34] 웹사이트 The 100 Best Debut Albums of All Time: 'The Who Sings My Generation' http://www.rollingst[...] Rolling Stone
[35] 문서 2002年版デラックス・エディション付属のアンディ・ニールによる解説より
[36] 문서 ニール、ケント
[37] 문서 『エニウェイ・エニハウ・エニウェア』
[38] 웹사이트 Official Charts Company http://www.officialc[...]
[39] 문서 アルティミット・ガイド
[40] 문서 2002年版デラックス・エディション(日本版)付属の保科好宏によるライナー・ノーツより
[41] 문서 アルティミット・ガイド
[42] 문서 アルティミット・ガイド
[43] 문서 アルティミット・ガイド
[44] 웹사이트 THE WHO | ザ・ フー - マイ・ジェネレイション<スーパー・デラックス・エディション> - UNIVERSAL MUSIC JAPAN https://www.universa[...]
[45] 문서 ザ・フー名義での1stシングル
[46] 문서 「アイ・キャント・エクスプレイン」のB面曲
[47] 문서 2ndシングル「エニウェイ・エニハウ・エニホエア」(UK版)のB面曲
[48] 문서 初出は1984年の編集アルバム「Who's Missing」
[49] 문서 3rdシングル「マイ・ジェネレーション」(UK版)のB面曲
[50] 문서 2ndアルバム「クイック・ワン」収録。
[51] 문서 初出は1985年の編集アルバム「Two's Missing」
[52] 문서 2ndシングル「エニウェイ・エニハウ・エニホエア」(US版)のB面曲
[53] 문서 ニール、ケント
[54] 문서 ニール、ケント
[55] 문서 ニール、ケント
[56] 문서 アルティミット・ガイド
[57] 문서 アルティミット・ガイド
[58] 문서 アルティミット・ガイド
[59] 웹인용 Allmusic review "{{올뮤직|class=album|i[...] All Media Guide 2011-11-30
[60] 웹인용 Top 100 '60s Rock Albums https://ultimateclas[...] 2020-03-16
[61] 웹인용 100 Best Debut Albums of All Time https://www.rollings[...] 2020-03-16
[62] 서적 MusicHound Rock: The Essential Album Guide https://archive.org/[...] Visible Ink Press
[63] 잡지 The Who: My Generation (mono remaster) http://www.popmatter[...] 2014-10-09
[64] 웹인용 Grade List: The Who http://tomhull.com/o[...] 2020-07-19
[65] 웹인용 The Who Official Band Website – Roger Daltrey, Pete Townshend, John Entwistle, and Keith Moon, ''My Generation'' http://www.thewho.co[...] 2011-05-15
[66] 뉴스 The Who’s Pete Townshend on Raiding Vaults for ‘My Generation’ Box Set https://www.rollings[...] Rolling Sto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