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지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건강은 중국 난징의 옛 이름으로, 삼국 시대 오나라의 수도였으며 이후 동진과 남조 시대의 수도 역할을 했다. 313년 건업에서 건강으로 개명되었으며, 남북조 시대에는 상업 중심지로 번성하여 100만 명의 인구를 기록했다. 549년 후경의 난으로 파괴되었으며, 이후 금릉, 강녕, 남경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명나라 시대에는 남경으로 개명되어 현재까지 그 이름이 유지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진 - 사문불경왕자론
사문불경왕자론은 동진 시대 혜원이 환현의 압박에 맞서 사문은 왕자에게 경의를 표할 필요가 없음을 주장한 이론으로, 불교계의 독립성을 지키는 데 기여했으나 이후 왕법에 종속되었으며 재가, 출가 등의 5부로 구성되어 불교의 사회적 역할과 사상적 독립성을 다룬다. - 동오 - 오왕
오왕은 주나라 시대 오나라 군주에서 유래하여 춘추시대 오나라 군주, 한나라 초기 제후왕, 삼국시대 오나라 손권, 당나라 왕족, 오대십국시대 남오 지배자, 명나라 초 주원장 등이 사용하거나 책봉받은 칭호이다. - 동오 - 오 (삼국)
오 (삼국)은 손권이 건국하여 중국 남부에 존속했던 삼국시대 국가로, 손견과 손책을 거치며 성장하여 적벽대전에서 승리했으나, 손권 말년의 혼란으로 쇠퇴하여 진나라에 멸망했다. - 난징시의 역사 - 난징 대학살
난징 대학살은 1937년 중일 전쟁 중 일본군이 난징을 점령한 후 6주 동안 자행한 대규모 학살 및 전쟁범죄로, 희생자 수에 대한 논쟁은 있지만 국제사회는 일본 제국주의의 잔혹한 범죄로 인정하고 있다. - 난징시의 역사 - 난징 원인
난징 원인은 중국 난징에서 발견된 호모 에렉투스 화석으로, 동아시아의 호모 에렉투스 정착 시기를 앞당기는 중요한 발견이며, 난징 원인 화석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건강 (지명) | |
---|---|
지리 정보 | |
위치 | 현재의 난징시 |
역사 | |
다른 이름 | 건업 (建業) 금릉 (金陵) |
국가 | 오 동진 유송 남제 양 진 |
존속 기간 | 229년 ~ 589년 |
수도 | 각 왕조의 수도 |
이전 | 오나라: 무창에서 천도 동진: 뤄양에서 천도 |
이후 | 수나라: 폐지 및 장안으로 천도 |
행정 구역 | |
속한 주 | 양주 |
2. 역사
수나라가 남조의 진을 멸망시킨 후 건강은 파괴되었으나, 당나라 시기에 재건되어 금릉(金陵)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오대 십국 시대에는 강녕(江寧)으로 불렸으며, 남송 시기에는 다시 건강으로 불렸다. 명나라를 건국한 홍무제는 1368년 건강을 수도로 삼고 남경(南京)으로 개명했으며, 이후 현재까지 이 이름이 유지되고 있다.[1]
2. 1. 고대
삼국 시대 때 '''말릉'''(秣陵)에서 '''건업'''(建業)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동오(東吳)의 수도였다. 동진(東晉) 초대 황제인 원제(元帝)가 서진(西晉) 마지막 황제인 민제(愍帝) 사마업(司馬業)의 휘(諱)인 '업'과 건업의 '업'이 같아, 피휘를 위해 313년 건업을 '''건강'''(建康)으로 개명하였으며, 이후 동진과 남조(南朝) 시대의 수도 역할을 담당하였다.[1] 남북조 시대에 화남의 상업 중심지로 자리잡았으며, 인구가 100만에 이르러 북조(北朝)의 수도인 낙양에 비견되었다.[2] 후경의 난 당시인 549년에 후경(侯景)에 의해 포위되었으며, 1년여 동안의 공성전 동안 많은 사람이 살해되거나 굶어 죽었다.당나라 역사가 쉬쏭(許嵩)은 그의 저서 《건강실록(建康實錄)》에서, 이 지역을 중심으로 세력을 떨쳤던 여러 왕조들을 통칭하는 용어 "육조 시대"를 만들었다.
6세기 당시 건강은 인구가 100만 명이 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세계 최대의 도시였을 가능성이 높다. 당시 로마는 인구가 10만 명 미만이었고,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약 50만 명, 낙양은 50만 명 이상이었다.
건강 지역의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시기 | 사건 |
---|---|
춘추 시대 | 초 초 무왕이 금릉 설치 |
기원전 210년 | 진나라에 의해 말릉현이 설치되어 회계군에 속함 |
한나라 | 말릉현은 양주 단양군에 속함 |
211년 | 손권이 장굉의 진언을 받아들여 치소를 오현에서 말릉현으로 옮김 |
212년 | 손권이 석두성을 축조하고 말릉을 건업으로 고침 |
221년 | 손권이 악성 (무창)으로 천도 |
229년 | 손권이 건업으로 천도 |
247년 | 태초궁 축조, 이듬해 완성 |
255년 | 오나라 손량이 태묘 건립 |
265년 | 오나라 손호가 보천의 진언에 따라 무창으로 천도 |
266년 | 손호가 건업으로 환도 |
267년 | 소명궁(현명궁) 건립, 손호 거처 이동 |
313년 | 건업을 건강으로 개칭 |
317년 | 동진 원제가 종묘와 사직을 건강에 건립 |
319년 | 청송관 건립 |
329년 | 소석 (소준의 아들)이 대성을 공격, 태극동당과 비각 소실. 건평원에 궁궐 설치 |
330년 | 신궁 조영, 원성 수리 |
332년 | 동진 성제 신궁으로 이동 |
378년 | 신궁 조영, 동진 효무제 신궁으로 이동 |
391년 | 태묘 개축, 9월 신묘 완성 |
396년 | 청서전 조영, 영안궁 건립 |
404년 | 유유가 환현의 난 토벌, 건강 점령 |
414년 | 동부성 축조 |
438년 | 동궁 건립 |
443년 | 대성 동서에 만춘문, 천추문 설치 |
446년 | 낙유원 북쪽에 현무호 개통, 화림원에 경양산 축조 |
454년 | 정광전 건립 |
459년 | 현무호 북쪽에 상림원 건립, 황후 잠궁 서교에 건립 |
461년 | 창합문에서 주작문까지 치도 건립 |
462년 | 대항문 건립, 복주산에 능실 설치 및 얼음 저장 |
465년 | 석두성-장락궁, 동부성-미앙궁, 북저-건장궁, 남제-장양궁 |
483년 | 청계구궁 축조 |
487년 | 신림원 건립 |
501년 | 소연 건강 점령 |
513년 | 남조 양 무제(소연) 명으로 태극전 건립 |
548년 | 후경 건강 포위, 이듬해 대성 함락(후경의 난) |
552년 | 왕승변 건강 탈환, 후경 도주. 군인 실화로 태극전, 동서당 등 소실. 원제 강릉 도읍 |
554년 | 경제 건강 즉위 |
558년 | 남조 진 무제 명으로 태극전 재건 |
589년 | 수나라 남조 진 멸망, 건강 대성 평지 |
2. 2. 중세
삼국 시대 때 '''말릉'''(秣陵)에서 '''건업'''(建業)으로 이름이 바뀌었으며, 동오(東吳)의 수도였다. 이후 동진(東晉)의 초대 황제인 원제(元帝)가 서진(西晉)의 마지막 황제인 민제(愍帝) 사마업(司馬業)의 휘(諱)인 '업'과 건업의 '업'의 글자가 같아, 피휘를 위해 313년 건업을 '''건강'''(建康)으로 개명하였으며, 이후 동진과 남조(南朝) 시대의 수도 역할을 담당하였다.[1] 남북조 시대에 화남의 상업 중심지로 자리잡았으며, 인구가 100만에 이르러 북조(北朝)의 수도인 낙양에 비견되었다.[2]후경의 난 당시인 549년에 후경(侯景)에 의해 포위되었으며, 1년여 동안의 공성전 동안 많은 사람이 살해되거나 굶어 죽었다.[2] 수나라의 통일 당시에 파괴되었으며, 당나라 시기에 재건되어 이름을 '''금릉'''(金陵)으로 고쳤다. 오대 십국 시대에는 '''강녕'''(江寧)으로 불렸으며, 남송 당시에는 '''건강'''으로 회귀하였다.
당나라 역사가 쉬쏭(許嵩)은 그의 저서 《건강실록(建康實錄)》에서, 이 지역을 중심으로 세력을 떨쳤던 여러 왕조들을 통칭하는 용어 "육조 시대"를 만들었다.
6세기 당시 건강은 인구가 100만 명이 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세계 최대의 도시였을 가능성이 높다. 당시 로마는 인구가 10만 명 미만이었고,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약 50만 명, 낙양은 50만 명 이상이었다.
건강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시기 | 사건 |
---|---|
211년 | 손권이 장굉의 진언을 받아들여 치소를 오현에서 말릉현으로 옮겼다. |
212년 | 손권이 석두성을 축조하고 말릉을 건업으로 고쳤다. |
221년 | 손권이 악성 (무창)으로 천도했다. |
229년 | 손권이 건업으로 천도했다. |
247년 | 태초궁이 만들어지고, 이듬해에 완성되었다. |
255년 | 오나라 손량이 태묘를 지었다. |
265년 | 오나라 손호가 보천의 진언에 따라 무창으로 천도했다. |
266년 | 손호가 건업으로 환도했다. |
267년 | 소명궁(현명궁)이 세워지고, 손호가 거처를 옮겼다. |
313년 | 건업의 칭호를 건강으로 고쳤다. |
317년 | 동진의 원제가 종묘와 사직을 건강에 세웠다. |
319년 | 새로 청송관이 세워졌다. |
329년 | 소석 (소준의 아들)이 대성을 공격하고, 태극동당과 비각이 불탔다. 건평원에 궁궐이 설치되었다. |
330년 | 신궁이 조영되고, 처음으로 원성이 수리되었다. |
332년 | 동진의 성제가 신궁으로 옮겨갔다. |
378년 | 신궁이 조영되고, 동진의 효무제가 신궁으로 옮겨갔다. |
391년 | 태묘가 개축되고, 9월에 신묘가 완성되었다. |
396년 | 청서전이 조영되고, 영안궁이 만들어졌다. |
404년 | 유유가 환현의 난을 토벌하고, 건강을 점령했다. |
414년 | 동부성이 축조되었다. |
438년 | 새롭게 동궁이 만들어졌다. |
443년 | 대성의 동서에 만춘문과 천추문이 설치되었다. |
446년 | 낙유원의 북쪽에 현무호가 개통되고, 화림원에 경양산이 축조되었다. |
454년 | 정광전이 세워졌다. |
459년 | 현무호의 북쪽에 상림원이 세워졌다. 황후 잠궁이 서교에 세워졌다. |
461년 | 창합문에서 주작문에 이르는 치도가 세워졌다. |
462년 | 새롭게 대항문이 만들어졌다. 복주산에 능실을 두고 얼음을 저장했다. |
465년 | 석두성을 장락궁으로 하고, 동부성을 미앙궁으로 했다. 북저를 건장궁으로 하고, 남제를 장양궁으로 했다. |
483년 | 청계구궁이 축조되었다. |
487년 | 신림원이 세워졌다. |
501년 | 소연이 건강을 점령했다. |
513년 | 남조 양의 무제(소연)의 명에 따라 새롭게 태극전이 만들어졌다. |
548년 | 후경이 건강을 포위했고, 이듬해에 대성을 함락시켰다(후경의 난). |
552년 | 왕승변이 건강을 탈환하고, 후경은 도망갔다. 이때 군인의 실화로 태극전과 동서당 등이 소실되었다. 원제는 강릉에 도읍을 정했다. |
554년 | 경제가 건강에서 즉위했다. |
558년 | 남조 진의 무제의 명에 따라 태극전이 재건되었다. |
589년 | 수나라가 남조 진을 멸망시키고, 건강의 대성은 평지가 되었다. |
2. 3. 근세
삼국 시대 때 '''말릉'''(秣陵)에서 '''건업'''(建業)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동오의 수도였다. 이후 동진의 초대 황제인 원제가 서진의 마지막 황제인 민제 사마업(司馬業)의 휘(諱)인 '업'과 건업의 '업'의 글자가 같아, 피휘를 위해 313년 건업을 '''건강'''(建康)으로 개명하였으며, 이후 동진과 남조 시대의 수도 역할을 담당하였다.[1] 남북조 시대에 화남의 상업 중심지로 자리잡았으며, 인구가 100만에 이르러 북조의 수도인 낙양에 비견되었다.[2] 후경의 난 당시인 549년에 후경에 의해 포위되었으며, 1년여 동안의 공성전 동안 많은 사람이 살해되거나 굶어 죽었다. 수나라의 통일 당시에 파괴되었으며, 당나라 시기에 재건되어 이름을 '''금릉'''(金陵)으로 고쳤다. 오대 십국 시대에는 '''강녕'''(江寧)으로 불렸으며, 남송 당시에는 '''건강'''으로 회귀하였다.2. 4. 근현대
삼국 시대 때 '''말릉'''(秣陵)에서 '''건업'''(建業)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며, 동오의 수도였다. 이후 동진(東晉)의 초대 황제인 원제(元帝)가 서진(西晉)의 마지막 황제인 민제(愍帝) 사마업(司馬業)의 휘(諱)인 '업'과 건업의 '업'의 글자가 같아, 피휘를 위해 313년 건업을 '''건강'''(建康)으로 개명하였으며, 이후 동진과 남조 시대의 수도 역할을 담당하였다.[1] 남북조 시대에 화남의 상업 중심지로 자리잡았으며, 인구가 100만에 이르러 북조의 수도인 낙양에 비견되었다.[2] 후경의 난 당시인 549년에 후경(侯景)에 의해 포위되었으며, 1년여 동안의 공성전 동안 많은 사람이 살해되거나 굶어 죽었다. 수나라의 통일 당시에 파괴되었으며, 당나라 시기에 재건되어 이름을 '''금릉'''(金陵)으로 고쳤다. 오대 십국 시대에는 '''강녕'''(江寧)으로 불렸으며, 남송 당시에는 '''건강'''으로 회귀하였다. 홍무제 주원장이 1368년에 명나라를 건국했을 때, 건강을 중국의 수도로 삼고 이름을 난징(南京)으로 개명했다.3. 주요 유적
- 춘추 시대, 초의 초 무왕이 금릉을 설치했다.
- 기원전 210년, 진나라에 의해 말릉현이 설치되어 회계군에 속했다.
- 한나라의 말릉현은 양주 단양군에 속했다.
- 211년, 손권이 장굉의 진언을 받아들여 치소를 오현에서 말릉현으로 옮겼다.
- 212년, 손권이 석두성을 축조하고 말릉을 건업으로 고쳤다.
- 221년, 손권이 악성 (무창)으로 천도했다.
- 229년, 손권이 건업으로 천도했다.
- 247년, 태초궁이 만들어지고, 이듬해에 완성되었다.
- 255년, 오나라 손량이 태묘를 지었다.
- 265년, 오나라 손호가 보천의 진언에 따라 무창으로 천도했다.
- 266년, 손호가 건업으로 환도했다.
- 267년, 소명궁(현명궁)이 세워지고, 손호가 거처를 옮겼다.
- 313년, 건업의 칭호를 건강으로 고쳤다.
- 317년, 동진의 원제가 종묘와 사직을 건강에 세웠다.
- 319년, 새로 청송관이 세워졌다.
- 329년, 소석 (소준의 아들)이 대성을 공격하고, 태극동당과 비각이 불탔다. 건평원에 궁궐이 설치되었다.
- 330년, 신궁이 조영되고, 처음으로 원성이 수리되었다.
- 332년, 동진의 성제가 신궁으로 옮겨갔다.
- 378년, 신궁이 조영되고, 동진의 효무제가 신궁으로 옮겨갔다.
- 391년, 태묘가 개축되고, 9월에 신묘가 완성되었다.
- 396년, 청서전이 조영되고, 영안궁이 만들어졌다.
- 404년, 유유가 환현의 난을 토벌하고, 건강을 점령했다.
- 414년, 동부성이 축조되었다.
- 438년, 새롭게 동궁이 만들어졌다.
- 443년, 대성의 동서에 만춘문과 천추문이 설치되었다.
- 446년, 낙유원의 북쪽에 쉬안우호가 개통되고, 화림원에 경양산이 축조되었다.
- 454년, 정광전이 세워졌다.
- 459년, 쉬안우호의 북쪽에 상림원이 세워졌다. 황후 잠궁이 서교에 세워졌다.
- 461년, 창합문에서 주작문에 이르는 치도가 세워졌다.
- 462년, 새롭게 대항문이 만들어졌다. 복주산에 능실을 두고 얼음을 저장했다.
- 465년, 석두성을 장락궁으로 하고, 동부성을 미앙궁으로 했다. 북저를 건장궁으로 하고, 남제를 장양궁으로 했다.
- 483년, 청계구궁이 축조되었다.
- 487년, 신림원이 세워졌다.
- 501년, 소연이 건강을 점령했다.
- 513년, 남조 양의 무제(소연)의 명에 따라 새롭게 태극전이 만들어졌다.
- 548년, 후경이 건강을 포위했고, 이듬해에 대성을 함락시켰다(후경의 난).
- 552년, 왕승변이 건강을 탈환하고, 후경은 도망갔다. 이때 군인의 실화로 태극전과 동서당 등이 소실되었다. 원제는 강릉에 도읍을 정했다.
- 554년, 경제가 건강에서 즉위했다.
- 558년, 남조 진의 무제의 명에 따라 태극전이 재건되었다.
- 589년, 수나라가 남조 진을 멸망시키고, 건강의 대성은 평지가 되었다.[17]
- 스토우청
- 둥푸청(미앙궁)
- 시저우청(젠예현 치)
- 단양군 성
- 바이시러이(바이샤청, 랑야청)
- 예청
- 위에청
- 쉬안우호
- 옌취에호
- 주취안항
- 중산
- 친화이허
3. 1. 육조 시대 유적
쉬쏭(許嵩)은 그의 저서 《건강실록(建康實錄)》에서, 이 지역을 중심으로 세력을 떨쳤던 여러 왕조들을 통칭하는 용어 "육조 시대"를 만들었다.[1]
6세기 당시 건강은 인구가 100만 명이 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세계 최대의 도시였을 가능성이 높다. 당시 로마는 인구가 10만 명 미만이었고,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약 50만 명, 낙양은 50만 명 이상이었다.[2]
수나라가 남조 진을 멸망시킬 때 깎여 나가고 개간되었으며, 도시가 발전하면서 난징시 아래에 묻혔다. 그 때문에 유적 조사가 쉽지 않아, 장소나 개요는 오랫동안 불명확했다. 또한, 개발에 따른 파괴도 생각되었다.
광의의 육조 건강성(六朝建康城)은 궁성(宮城)·도성(都城)·외곽(外郭)의 삼중 성벽과 해자를 포함하며, 더욱이 주변에는 석두성·둥푸청(東府城)·시저우청(西州城)·단양군성(丹陽郡城)·바이샤청(白下城)·예청(冶城)·위에청(越城) 등을 대표로 하는 위성 도시군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그 사이에는 널리 분포되어 있는 예제(礼制)·종교·관가(官街)·시장·리팡(里坊)·정원 등의 각종 건물, 그리고 도시 교통의 생명선인 도로와 수로 등이 있다.[17]
2012년 3월 20일, 난징시 문물 보호 단위로 지정되었다.
3. 2. 명나라 시대 유적
홍무제 주원장이 1368년에 명나라를 건국했을 때, 지안캉을 중국의 수도로 삼고 이름을 난징, 즉 "남쪽 수도"로 개명했다.[1]
4. 현대 도시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주어진 지시사항에 따라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과 동일하게 빈 결과를 출력합니다.)
참조
[1]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2]
논문
Jiankang and the Commercial Empire of the Southern Dynasties
Pearce, Spiro, Ebrey eds. ''Culture and Power''
[3]
서적
漢書』巻28上 地理志上
[4]
서적
『三国志』巻47 呉書2 呉主伝
[5]
서적
『三国志』巻48 呉書3 三嗣主伝
[6]
서적
『晋書』巻5 孝愍帝紀
[7]
서적
『晋書』巻6 元帝紀
[8]
서적
『晋書』巻7 成帝紀
[9]
서적
『晋書』巻9 孝武帝紀
[10]
서적
『宋書』巻5 文帝紀
[11]
서적
『宋書』巻6 孝武帝紀
[12]
서적
『宋書』巻7 前廃帝紀
[13]
서적
『南斉書』巻3 武帝紀
[14]
서적
『梁書』巻2 武帝紀中
[15]
서적
『梁書』巻45 王僧弁伝
[16]
서적
『陳書』巻2 高祖紀下
[17]
간행물
019 六朝建康城の主要発掘調査成果
https://hdl.handle.n[...]
国立文化財機構奈良文化財研究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