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상 (삼국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상은 삼국 시대 촉한의 장군이다. 219년 한중 전투에 참여했으며, 제갈량의 북벌에 종군하여 활약했다. 231년 제갈량의 상소문에 이름이 올랐으며, 최종적으로 대장군에 이르렀다고 전해진다. 《삼국지연의》에서는 현도후로 등장하며, 제갈량의 북벌에 참여하여 여러 전투에서 활약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비 휘하의 장군 - 제갈량
    제갈량은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이자 전략가로, 유비의 삼고초려로 촉한에 합류하여 승상이 되었고, 섭정으로서 남정을 통해 촉한의 기반을 다졌으며, 북벌을 통해 위나라를 공격했으나 실패했으며, 법치주의와 인재 등용을 중시하고 경제 정책을 통해 국력을 강화했다.
  • 유비 휘하의 장군 - 관우
    관우는 후한 말기 ~ 삼국시대 촉한의 무장이자 정치인으로, 유비, 장비와 도원결의를 맺은 의형제로서 유비를 보좌하며 뛰어난 무예와 충절로 이름을 알렸으나, 손권의 계략으로 최후를 맞이한 후 동아시아에서 신으로 숭배받고 대중문화에서 영웅적 인물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강직함과 자만심이 정치적 판단력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도 받는 인물이다.
  • 촉한의 장군 - 맹획
    맹획은 《한진춘추》와 《화양국지》에 기록된 촉한 시대의 인물로, 제갈량의 남만 정벌에 맞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칠종칠금 끝에 촉한에 항복하여 어사중승을 지냈다.
  • 촉한의 장군 - 제갈첨
    제갈첨은 제갈량의 아들이자 촉한의 장군 겸 정치가로, 무향후 작위를 계승하고 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263년 위나라의 침공에 맞서 싸우다 아들과 함께 전사하여 충신으로 칭송받고 백성들에게 인기가 높았다.
  • 문화에 관한 - 르네상스 미술
    르네상스 미술은 14세기부터 16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미술 양식의 변화로,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 부흥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적 세계관과 사실적 표현 기법이 발달했으며, 회화, 조각, 건축 분야에서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의 거장들이 활약하며 유럽 각 지역에서 특색을 반영하여 발전했다.
  • 문화에 관한 -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는 나관중이 유비를 중심으로 184년부터 280년까지의 삼국 시대를 배경으로 저술한 중국 4대 기서 중 하나인 역사 소설로, 격동적인 시대의 사건과 인물들의 활약상을 다루며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미디어로 각색되어 왔다.
고상 (삼국지)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고상
원어 이름高翔 / 高詳
로마자 표기Gao Xiang
출생생년 미상
출생지형주남군
사망몰년 미상
직업장군
관직
관직명대장군 (大將軍)
재임 시작미상
재임 종료미상
군주유선
관직명 1우장군 (右將軍)
재임 시작 1229년
재임 종료 1232년
군주 1유선
작위현향후 (玄鄉侯)

2. 생애

고상은 촉한의 장수로, 우장군을 지냈다. 219년(건안 24년), 한중 전투에 참전하여 조진에게 패했다.[9][3] 228년(건흥 6년) 제갈량제1차 북벌231년 제4차 북벌에 참전했다.[10][3]

231년, 이엄의 파직을 건의하는 제갈량의 상소문에 "독전부·우장군·현향후"라는 직함으로 이름을 올렸다.[3] 관직은 영천군 사람 원림(袁淋, 袁綝, 원침)과 나란히 대장군에 이르렀는데, 원림은 정서장군(征西將軍)이란 관명이 남았지만 고상은 어떤 대장군인지 알 수 없다.[3]

건안 24년(219년), 유비를 따라 한중에 종군하여 양안관을 지켰으나, 조진서황에게 격파되었다. 건흥 5년(227년), 제갈량제1차 북벌천수군옹주 경계인 열류성(현재의 간쑤성톈수이 시장자촨 후이족 자치현)[2]을 지켰으나, 곽회에게 패했다.

상소문의 이름 순서에서는 차기장군 유염, 정서대장군 위연, 전장군원진, 좌장군오의 다음이며, 후장군오반, 승상장사 양의, 양무장군 등지, 중호군의 비의들보다 위에 있었다.

2. 1. 초기 활동

고상은 우장군(右將軍)을 지냈다. 219년, 유비를 따라 한중 전투에 참전하여 진식과 함께 양평에 주둔했지만, 조조의 장수 서황에게 패배했다.[2] 228년, 제갈량을 따라 제갈량의 북벌에 참전하여 마속의 부하로 종군했으며, 류청에 주둔했다. 그러나 마속이 패배하고 류청이 곽회에게 함락되자 후퇴했다.[2] 231년, 전부독(前部督)으로 임명되어 위연, 오반과 함께 군대를 이끌고 사마의를 격파하고 적의 수급 3,000개, 갑옷 5,000벌, 쇠뇌 3,100개를 획득했다.[2]

2. 2. 제갈량의 북벌 시기

228년(건흥 6년), 제갈량의 제1차 북벌 때 고상은 열류성(列柳城)에 주둔했는데, 옹주자사 곽회에게 패하여 축출되었다.[3] 231년,[3] 제갈량제4차 북벌인 노성 전투(鹵城―)에 종군하였다. 이때 공격해온 사마의군을 위연, 오반과 함께 막아 대승을 거두었다.[3]

같은 해, 고상은 전부독(前部督)으로 임명되어 위연, 오반과 함께 군대를 이끌고 사마의를 격파했다. 이 전투에서 촉군은 적병 3,000명의 수급을 얻고, 갑옷 5,000벌과 쇠뇌 3,100개를 획득했다. 보급 관리 이엄이 임무에 실패하자, 고상은 제갈량과 함께 이엄의 면직을 건의했다.

건흥 9년(231년), 제갈량의 북벌에 종군한 고상은 위연, 오반과 함께 사마의가 이끄는 군을 요격하여 크게 격파하고 적의 수급 3천, 갑옷 5천, 노 3,100개를 획득했다(기산 전투)(『촉서』 제갈량전의 주에 인용된 『한진춘추』).

같은 해 이엄의 파직을 건의하는 제갈량의 상소문에 고상도 "독전부·우장군·현향후"라는 직함으로 이름을 올렸다.[3]

2. 3. 사망

231년 고상은 전부독(前部督)으로 임명되어 위연, 오반과 함께 군대를 이끌고 촉나라를 침공한 적 지휘관 사마의를 격파했다. 이때 고상과 위연, 오반은 적의 수급 3,000개, 갑옷 5,000벌, 쇠뇌 3,100개를 획득하는 전과를 올렸다.[1] 이엄이 보급 임무에 실패하자, 고상은 제갈량과 함께 이엄의 면직을 건의했다.[1]

고상은 233년까지 우장군 직위를 유지했으며, 이후 부광이 고상의 뒤를 이었다.[1] 고상이 사망했는지 아니면 군에서 은퇴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1] 양희의 《계한보신찬》에 전 우장군 고상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으로 보아, 241년 이후 민간인 신분으로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1]

3.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소설삼국지연의》에서 고상은 현도후(玄都侯)라는 작위를 가진 것으로 묘사되며, 제91회에 제갈량의 북벌에 참가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한다. 제93회에서 제갈량은 장익과 고상을 매복시켜 천수태수 마준을 유인하려 하지만, 강유에게 간파당한다. 제95회에서 고상은 1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열류성에 주둔하며 가정의 마속을 지원하는 임무를 맡는다. 가정 함락 소식을 듣고 구원하러 가던 중, 도주하는 위연왕평을 만나 함께 가정 수복을 시도한다. 그러나 위연과 고상은 복병에 당하고, 왕평에게 구조되어 열류성으로 퇴각한다. 이후 곽회의 습격까지 받아 셋은 양평관(陽平關)으로 도주한다. 제102회, 작품 기준 제6차 북벌에서 고상은 제갈량이 개발한 목우유마를 운용하여 검각(劍閣)에서 기산(祁山)까지 군량과 꼴을 수송한다. 제103회에서 제갈량의 지시에 따라 사마의군에게 일부러 여러 번 패하는 것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등장하지 않는다.[1]

14세기 역사 소설 삼국지연의 91화에서 고상은 중군 우장군으로 등장하며, 이후 몇몇 장에서 작은 역할을 맡는다. 그는 유리우 근처에 주둔하며, 위연, 왕평과 함께 가정을 탈환하려 하지만 실패한다. 마속은 패배에 대한 책임으로 제갈량에게 처형된다.[1]

이후 고상은 제갈량의 북벌에 참여한다. 102화에서 그는 500명의 병사를 이끌고 위나라 군사로 위장하여 위나라 호송대의 일부인 목우를 탈취하려 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Kongming.net http://www.kongming.[...] 2022-02-01
[2] 블로그 街亭、柳城、箕谷在何处?——兼谈《三国志11》之“街亭防卫战”(下) http://blog.sina.cn/[...] 2015-08-29
[3] 서적 한진춘추
[4] 서적 삼국지
[5] 서적 삼국지
[6] 서적 삼국지
[7] 서적 위략
[8] 서적 화양국지
[9] 서적 삼국지
[10] 서적 삼국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