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외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외화는 도시의 인구가 도시 외곽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택 부족, 자동차 보급, 통신 기술 발달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영향을 미친다. 교외화는 도시의 팽창, 기반 시설 구축 비용 증가, 환경 문제, 사회적 불평등 심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컴팩트 시티 개발과 같은 정책이 제시되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서울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신도시 개발이 이루어졌으며, 더불어민주당은 신도시 개발을 통해 주택 공급 확대와 수도권 집중 완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시경제학 - 젠트리피케이션
    젠트리피케이션은 저소득층 거주 지역이 고소득층으로 변화하는 현상으로, 도심 재생에 기여하지만 강제 철거와 임대료 상승 등의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여러 분야에서 연구된다.
  • 도시경제학 - 중심 업무 지구
    중심 업무 지구는 도시의 경제, 행정, 문화, 사회적 기능 수행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상업, 금융, 행정 등 핵심 기능이 집중된 지역으로, 기업 본사, 금융기관, 주요 관청 등의 사무실이 밀집되어 있다.
  • 도시지리학 - 도시화
    도시화는 인구가 도시로 이동하고 도시적 생활 방식이 확산되는 현상으로, 경제적 기회와 사회적 이동성을 제공하지만 주택, 교통, 환경 문제 등의 부작용도 발생시키며 지속 가능한 미래 도시를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 도시지리학 - 메트로폴리스
    메트로폴리스는 고대 그리스에서 식민지를 건설한 도시를 지칭하는 용어에서 유래하여 현대에는 경제, 문화, 정치적 중심지 역할을 하는 대도시를 의미한다.
  • 도심 황폐화 - 깨진 유리창 이론
    깨진 유리창 이론은 사소한 무질서가 방치되면 더 큰 범죄로 이어진다는 이론으로, 1982년 제시되었으며, 뉴욕시 치안 정책에 반영되어 범죄율 감소에 기여했으나, 과잉 단속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도심 황폐화 - 슬럼
    슬럼은 열악한 주거 환경과 빈곤이 연관된 밀집 주거 지역으로, 낮은 주택 품질, 부족한 기반 시설, 불안정한 토지 소유권 등의 특징을 가지며, 사회 문제들을 야기하여 다양한 해결 전략이 제시되지만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 없이는 해결이 어렵다.
교외화

2. 역사

교외화의 역사는 각 나라와 시대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인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에서는 경제 성장과 함께 주택 건설 붐이 일어났고, 참전 군인들을 위한 주택 구매 지원 정책으로 교외 지역이 빠르게 성장했다. 그러나 인종 차별적인 정책으로 인해 백인 중심의 교외 지역이 형성되기도 했다. 21세기 들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재택근무가 확산되면서 교외 거주 환경이 개선되었고, 물류 시스템 발전으로 기업들도 교외로 이전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메이지 시대 말부터 쇼와 시대 초기에 걸쳐 일본에서는 전원도시 구상의 영향을 받은 철도 회사들이 교외 주택과 도심 통근을 연결하는 생활 방식을 제안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고도 경제 성장기에는 철도 연선을 중심으로 교외화가 진행되었고, 최근에는 도로 교통 발달로 지방 도시까지 교외화가 확산되고 있다.

동유럽의 경우, 사회주의 시대에는 도시 성장이 억제되었으나, 탈사회주의 이후 주택 시장 변화와 함께 교외화가 진행되었다. 특히 알바니아 티라나에서는 급격한 도시 주변부 성장이 나타났으며, 루마니아 등 다른 지역에서도 교외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대한민국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신도시 개발을 통해 서울 북부 교외 지역을 중심으로 교외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고층 아파트 단지 건설과 수도권 전철 노선 확장이 특징적이다.

2. 1. 미국

미국에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경제 성장은 전국적인 주택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택 건설 호황을 불러왔다.[4][5] 전쟁에서 돌아온 참전 군인들은 GI 법안 혜택으로 새롭고 저렴한 주택을 구매하기 쉬워졌고, 이는 젊은 부부와 새로운 가족들로 교외 지역을 빠르게 채웠다. 그러나 많은 지역에서 시행된 레드라이닝 정책은 유색 인종의 교외 주택 구매를 막아, '백인 도주' 현상을 야기하며 교외 지역을 백인 위주로 만들었다.[6] 직장과 가정 생활을 분리하려는 욕구가 커지면서 교외 인구는 더욱 증가했다.

교외 지역은 식당, 쇼핑, 엔터테인먼트 등 특정 산업을 중심으로 건설되어 주민들의 이동을 줄이고 교외 내 상호 작용을 증진시켰다.[7]

21세기 초, 광대역 통신, 이메일, 화상 회의 등 통신 기술 발전으로 재택근무가 확산되었다. 특히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사무실 업무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교외 거주자들의 재택근무 환경이 더욱 개선되었다.

현대적인 배달 물류 발전은 전산화와 효율적인 운송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도시에 사업체를 두는 것의 이점을 상당 부분 제거했다. 산업, 창고, 공장 시설도 교외로 이전했는데, 이는 회사 본사가 창고나 항구에서 빠른 택배 거리에 있을 필요성을 없앴기 때문이다. 도시 지역은 교통 체증이 심각하여 추가적인 운송 비용을 발생시키지만, 고속도로 근처 교외 지역은 이러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낮은 재산세와 저렴한 토지 가격은 브라운필드 재개발을 위한 산업 부지 판매를 장려한다.[8]

교외 지역은 산업, 주거, 소매 공간 사이에 완충 공간을 제공하여 님비 현상과 젠트리피케이션 압력을 피할 수 있게 한다. 교외 자치 단체는 산업 단지, 특정 구역 설정, 특수 구역 설정 및 캘리포니아주 인더스트리시와 같은 규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산업 시설을 유치한다. 이러한 변화로 기업과 개인은 토지 구매, 임대, 운영 비용이 저렴한 교외 지역 이전을 선호하게 되었다. 단일 도시 중심에서 벗어난 분산은 엣지 시티와 엑스버브의 출현을 가져왔고, 이는 교외 상업 지구, 쇼핑몰, 고밀도 개발 지역에 건설된 사무실 건물 집합체에서 발생한다. 교외에서 성장한 주요 도시 중심이 아닌 지역에서 일자리가 증가하면서 교통 패턴은 더욱 복잡해지고 교외 내 교통량도 증가했다. 2000년까지 미국 인구의 거의 절반이 교외 지역으로 이주했다.[8]

1950년대 미국에서는 자동차 보급으로 교외화가 가속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복원한 젊은이들은 넓은 주택지를 원했고, 교외 주택 개발, 자가용 자동차 보급, 자동차 전용 도로 정비가 이러한 요구에 부응했다. 미국형 교외 생활은 전 세계 대도시에 파급되어, 교외 주택지나 고속도로가 많이 건설되었다.

주택 교외화에 이어 상업·업무의 교외화도 진행되었다. 자가용이 모이기 쉬운 인터체인지 주변에 대형 쇼핑몰이 생겨났고, 기업 사무실도 토지·건물 임대료가 싸고 자동차 통근이 가능한 교외로 이전했다. 통신 기술, IT, 배송 서비스 발전은 도심에서 떨어진 곳에서의 비즈니스를 용이하게 하여, 미국 기업 본사의 교외 입지가 늘어났다.

1990년대 이후 붐버브라 불리는 대형 교외 도시와 에지 시티라 불리는 도시 외곽 고속도로를 따라 얇고 넓게 전개된 업무 중심지가 서부 해안, 미국 남부, 미국 중서부 도시권에 출현했다. 이와 함께 주택은 더욱 교외의 농촌 지역까지 진출하고 있다.

2. 2. 동유럽

20세기 중반에서 후반까지 동구권 대부분의 사회주의 국가들은 산업 성장이 도시 성장에 앞서 일어나는 과소 도시화[9] 현상을 보였으며, 이는 농촌-도시 통근으로 유지되었다. 당시 도시 성장, 주거 이동성, 토지 및 주택 개발은 엄격한 정치적 통제를 받았다. 탈사회주의 유럽의 교외화는 최근의 현상이자, 주택 및 토지 시장의 창출과 주택 공급에서 국가의 철수가 민영화된 주택 생산 및 소비 방식을 발전시켰기 때문에 특수한 현상이기도 하다. 특히 가구와 같은 사적 행위자의 역할이 증가했다. 그러나 주택 금융을 포함하여 시장 주도형 주택 시스템에 필수적인 규제 및 제도적 프레임워크는 특히 남동부 유럽에서 미개발 상태로 남아 있었다.[10] 이러한 환경은 주택 자가 공급을 촉진했다.[11]

알바니아티라나에서는 오랫동안 억눌려왔던 도시화와 극심한 주택 부족으로 인해 광범위한 도시 주변부 성장이 발생했으며, 1990년대에 도시 규모가 두 배로 증가했다. 다른 지역에서는 교외화 과정이 지배적인 것처럼 보였지만, 그 속도는 주택 부족, 이용 가능한 재정, 선호도 및 '허용된' 비공식성의 정도에 따라 달랐다. 1990년대 프라하에서는 그 과정이 느렸지만, 주택 가격 접근성이 개선된 2000년 이후 더 분명해졌다. 반면, 슬로베니아루마니아의 교외 개발은 1990년대에 도시를 눈에 띄게 둘러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개발 인프라의 사회주의 유산과 전환기의 경제성 위기는 탈사회주의 교외를 서구의 교외와 차별화시킨다.[11]

피테슈티 (루마니아)의 탈사회주의 교외화


공공 토지의 불법 점유 (티라나), 농업 사유지에서의 불법 건축 (베오그라드)에서 루마니아에서의 무허가, 이후 합법화된 개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정도의 비공식성이 교외 주택의 특징이었다. 특히 국가의 정당성이 어느 정도 유지되는 남동부 유럽에서 교외 주택은 혼란스럽고 계획되지 않은 특성을 나타냈다. 새로운 단독 주택의 상당수는 자가 개발된 것으로 보이며, 자가 건설은 불황, 높고 변동적인 인플레이션에 적응하고, 건설 비용을 절감하며, 주택 접근성을 확보하기 위한 가구 전략이 되었다. 토지가 반환 정책이나 불법 점유를 통해 종종 무상으로 얻어지는 대부분 교외 주택의 주된 자가 건설 특징은 이러한 개발 내에서 저/중산층 가구의 혼합을 허용했다.[11]

2. 3. 일본

메이지 말기부터 쇼와 초기까지 전원도시 구상의 영향을 받은 민간 철도 회사(사철)가 환경이 뛰어난 교외에 주택을 구입하고, 전기 철도(전철)로 도심으로 통근하는 라이프 스타일을 제안했다. 각 회사는 도쿄오사카의 도심부에서 교외로 철도 노선을 건설하고, 그 연선에서 주택지 등의 개발을 실시했다.

간사이에서의 한큐 전철에 의한 개발이 선구적인 것으로, 한큐 전철 연선의 아시야 등이 그 전형이다. 이에 영향을 받아, 간토에서도 전원도시 (후의 도큐 전철)[35]에 의해, 도큐 연선의 센조쿠 전원도시[35] 개발이 진행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자가 주택 정책이 추진된 고도 경제 성장기에 3대 도시권 등에서의 철도 연선의 스프롤이 진행되어, 도넛 현상이라고 불리는 교외화가 생겼다. 일본의 경우, 주요 통근 수단이 자가용차가 아닌 철도라는 점이 특징적이었지만, 점차 고속도로바이패스 도로가 정비되어 자동차 통근 및 자동차로의 쇼핑도 일반적이 되었다. 전국에서의 도로 건설에 의해, 지금까지 교외화와 별로 관련이 없었던 지방도 급속히 교외화되어 주택과 상업지가 얇고 넓게 교외에 건설되었다.

2. 4. 대한민국

1990년대 후반부터 서울 북부 교외 지역을 중심으로 신도시 개발이 본격화되면서 대한민국의 교외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군사 분계선 등으로 개발이 제한되었던 지역에 고층 아파트 단지가 건설되고, 수도권 전철 노선이 확장되면서 서울로의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단독 주택보다 고층 아파트에 의한 주택 개발이 많은 것이 특징적이다.

3. 교외화의 원인과 지표

교외화의 원인과 지표는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다. 중심 도시의 인구 과밀, 높은 주택 가격, 환경 악화는 사람들이 교외로 이주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소득 향상과 자동차 보급 확대는 주거 이동성을 증가시켜 교외화를 촉진했다. 또한, 정부의 주택 공급 정책 및 교통 인프라 확충도 교외화에 영향을 미쳤다.[4][5]

기업들은 저렴한 토지 가격과 넓은 공간 확보를 위해 사무실과 공장을 교외로 이전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21세기 초 광대역 통신, 이메일, 화상 회의와 같은 통신 서비스의 발달로 재택근무가 가능해지면서 더욱 가속화되었다. 특히 코로나19 범유행은 사무실 기반 업무의 디지털화를 촉진하여 교외 거주자들의 재택근무를 더욱 확산시켰다.[7]

현대적인 배달 물류의 발전과 효율적인 운송 네트워크는 기업들이 도시에 위치해야 할 필요성을 감소시켰다. 도시 지역의 교통 체증은 기업에게 추가 비용을 발생시키지만, 교외 지역은 고속도로 접근성이 좋아 이러한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낮은 재산세와 저렴한 토지 가격은 기업들이 산업 부지를 판매하고 교외로 이전하도록 유도한다.[8]

교외 지역은 산업 지역과 주거 및 소매 공간 사이에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는 더 많은 토지를 제공한다. 이는 님비 현상과 젠트리피케이션 압력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 교외 자치 단체는 산업 단지, 특정 구역 설정, 특수 구역 설정 및 규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산업 토지 사용자를 유치할 수 있다.[8]

인구 교외화 지표로, 富田|도미타일본어 (1995)는 증가율법, 교외화율, 증가 기여율법, 교외화 진전 지수를 제시했다.

지표설명
증가율법특정 기간 동안 주변 도시의 인구 증가율이 중심 도시보다 높은지 여부로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교외화가 진행되면 주변 도시의 인구 증가율이 중심 도시보다 높다.
교외화율특정 기간 동안 주변 지역의 인구 증가율에서 중심 도시의 인구 증가율을 뺀 값이다. Frey and Speare|프레이와 스피어영어 (1988)가 제안했다.
증가 기여율법특정 기간 동안 대도시권 전체 인구 증가량 중 중심 도시와 주변 도시의 증가 기여율을 비교한다. 교외화가 진행되면 주변 지역의 증가 기여율이 이전 시점의 대도시권 전체 인구에서 주변 지역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보다 높아진다.
교외화 진전 지수특정 시점에서의 주변 지역 인구 비율과 이전 시점에서의 주변 지역 인구 비율의 차이를 의미한다. 대도시권 전체 인구에서 주변 지역 인구 비율의 변화를 보며, 교외화가 진행되면 이 값은 양수가 된다.


3. 1. 원인

중심 도시의 인구 과밀, 높은 주택 가격, 환경 악화는 사람들이 교외로 이주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소득 향상과 자동차 보급 확대는 주거 이동성을 증가시켜 교외화를 촉진했다. 또한, 정부의 주택 공급 정책 및 교통 인프라 확충도 교외화에 영향을 미쳤다.[4][5]

기업들은 저렴한 토지 가격과 넓은 공간 확보를 위해 사무실과 공장을 교외로 이전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21세기 초 광대역 통신, 이메일, 화상 회의와 같은 통신 서비스의 발달로 재택근무가 가능해지면서 더욱 가속화되었다. 특히 코로나19 범유행은 사무실 기반 업무의 디지털화를 촉진하여 교외 거주자들의 재택근무를 더욱 확산시켰다.[7]

현대적인 배달 물류의 발전과 효율적인 운송 네트워크는 기업들이 도시에 위치해야 할 필요성을 감소시켰다. 도시 지역의 교통 체증은 기업에게 추가 비용을 발생시키지만, 교외 지역은 고속도로 접근성이 좋아 이러한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낮은 재산세와 저렴한 토지 가격은 기업들이 산업 부지를 판매하고 교외로 이전하도록 유도한다.[8]

교외 지역은 산업 지역과 주거 및 소매 공간 사이에 완충재 역할을 할 수 있는 더 많은 토지를 제공한다. 이는 님비 현상과 젠트리피케이션 압력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 교외 자치 단체는 산업 단지, 특정 구역 설정, 특수 구역 설정 및 규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산업 토지 사용자를 유치할 수 있다.[8]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에 걸쳐 유럽, 미국, 일본 등에서는 철도(노면 전차, 인터어번, 지하철, 통근 열차 등)가 등장하여 철도 연선을 따라 주택지가 형성되었다. 이후 자동차 보급과 도로 정비로 인해 통근 철도가 없는 도시나 철도 연선 이외 지역에서도 교외 주택지가 개발되었다.

1950년대 미국에서는 자동차 보급이 교외화를 가속화시켰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복원된 젊은이들은 넓은 주택지를 원했고, 교외의 주택 개발, 자가용 자동차 보급, 자동차 전용 도로 정비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켰다.

대한민국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서울특별시 북쪽 교외 지역에 신도시 개발이 진행되어 아파트 등이 건설되었다. 이에 따라 비전철 로컬선이 대부분이었던 북교외 방면의 한국철도공사(KORAIL) 노선이 전철화 및 복선화되었고, 대부분 수도권 전철에 편입되었다.

3. 2. 지표

인구 교외화 지표로, 富田|도미타일본어 (1995)는 증가율법, 교외화율, 증가 기여율법, 교외화 진전 지수를 제시했다.

지표설명
증가율법특정 기간 동안 주변 도시의 인구 증가율이 중심 도시보다 높은지 여부로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교외화가 진행되면 주변 도시의 인구 증가율이 중심 도시보다 높다.
교외화율특정 기간 동안 주변 지역의 인구 증가율에서 중심 도시의 인구 증가율을 뺀 값이다. Frey and Speare|프레이와 스피어영어 (1988)가 제안했다.
증가 기여율법특정 기간 동안 대도시권 전체 인구 증가량 중 중심 도시와 주변 도시의 증가 기여율을 비교한다. 교외화가 진행되면 주변 지역의 증가 기여율이 이전 시점의 대도시권 전체 인구에서 주변 지역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보다 높아진다.
교외화 진전 지수특정 시점에서의 주변 지역 인구 비율과 이전 시점에서의 주변 지역 인구 비율의 차이를 의미한다. 대도시권 전체 인구에서 주변 지역 인구 비율의 변화를 보며, 교외화가 진행되면 이 값은 양수가 된다.


4. 교외화의 영향

교외화는 사회, 경제, 환경 등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에서 경제 성장은 주택 건설 호황을 가져왔다.[4][5] 참전 군인들은 GI 법안 혜택으로 새롭고 저렴한 교외 주택을 구매하기 쉬웠고, 젊은 부부와 가족들이 교외로 이주했다. 레드라이닝 정책은 유색 인종의 교외 주택 구매를 막아, 백인 도주 현상을 야기했다.[6] 직장과 가정생활 분리 욕구가 커지면서 교외 인구는 더욱 증가했다.

교외 지역은 식당, 쇼핑, 엔터테인먼트 등 특정 산업 중심으로 건설되어 교외 거주자들의 이동을 줄이고 교외 내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7] 21세기 초, 광대역 통신, 이메일, 화상 회의 등 통신 서비스 확산으로 재택근무가 증가했다. 특히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사무실 업무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어 교외 거주자들의 재택근무가 더욱 늘어났다.

현대적인 배달 물류 발전은 도시 사업체의 이점을 줄였다. 산업, 창고, 공장도 교외로 이동했다. 이는 회사 본사가 창고 및 항구에서 빠른 택배 거리에 있을 필요성을 없앤다. 도시 지역은 교통 체증으로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만, 고속도로 근처 교외 지역은 이를 줄일 수 있다. 낮은 재산세와 저렴한 토지 가격은 브라운필드 재개발을 장려한다.[8]

교외 지역은 산업, 주거, 소매 공간 사이에 완충재를 제공하여 님비 현상과 젠트리피케이션 압력을 피할 수 있다. 교외 자치 단체는 산업 단지, 특정 구역 설정 등 규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산업을 유치한다. 기업과 개인은 토지 구매, 임대, 운영 비용이 저렴한 교외 지역 이전을 선호한다. 단일 도시 중심에서 분산은 엣지 시티와 엑스버브의 출현으로 이어졌고, 교외 상업 지구, 쇼핑몰, 고밀도 개발 지역에 사무실 건물이 건설된다. 교외에서 성장한 주요 도시 중심이 아닌 지역에서 교외 거주자를 위한 일자리가 늘면서 교통 패턴이 복잡해지고 교외 내 교통량이 증가했다. 2000년까지 미국 인구의 거의 절반이 교외 지역으로 이주했다.[8]

일본에서도 교외화는 다음과 같은 여러 도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 도시 주변의 농촌, 삼림, 수변 공간이 주택 개발이나 쇼핑몰 개발로 파괴된다.
  • 도로, 상하수도, 공공 서비스 정비 면적 증가로 자치단체의 부담이 늘어난다.
  • 이동 거리 증가로 시간과 에너지를 더 많이 사용한다.
  • 자가용 이용자 증가로 석유 자원 고갈, 지구 온난화 진행이 우려된다.
  • 교외에서 중심 도시로의 이동 증가로 대중교통 혼잡, 도로 정체 등이 발생한다.
  • 생활권 확장, 지역 공동체 희박화로 교외형 범죄 발생이 우려된다.
  • 산업의 교외화로 고용이 교외로 유출된다.
  • 어린이, 빈곤자, 노인, 장애인 등 교통 약자에게 불편하다. → 쇼핑 난민, 의료 난민.


2000년대 이후 대도시권의 지가 하락 등으로 큰 도시에서는 도심 회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일부 지방에서는 교외 정비 비용을 줄이고, 교통 약자가 생활하기 편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 도시 기능을 중심부에 재집적하는 「컴팩트 시티」 움직임도 있다. 그러나 수도권간사이권 등에서는 여전히 교외형 개발이 계속되고 있으며, 이는 도시 근교 녹지 파괴, 자치단체 재정 악화, 에너지 사용량 증가 등의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4. 1. 사회적 영향

교외화는 사회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친다.

  • 사회적 고립: 교외 지역은 인구 밀도가 낮고 자동차 중심의 생활 방식 때문에, 사람들 간의 교류가 줄어들어 사회적 고립을 느낄 수 있다.[34] 특히, 운전을 할 수 없는 노인들은 고립감을 더 크게 느낄 수 있다.[34]
  • 약물 남용 문제: 미국의 경우, 교외 지역의 사회적, 경제적 특성으로 인해 약물 남용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19] 부유층은 강력한 약물을 쉽게 구할 수 있으며,[20] 헤로인 사용도 증가하는 추세이다.[21] 청소년과 젊은 성인들은 폐쇄적인 환경으로 인해 약물 남용 위험이 더 크다.[22]
  • 청소년 문제: 교외에 사는 아이들은 부모 없이는 이동하기 어려워 독립성을 기르기 힘들고, 이로 인해 지루함, 고립감, 좌절감을 느낄 수 있다.[34]
  • 교통 약자 문제: 자동차를 운전할 수 없는 노인, 장애인, 저소득층은 교외 지역에서 생활하기 어렵다.
  • 도시의 세입 감소: 교외화는 부유한 인구의 유출로 인해 도시의 세입이 감소하고, 이는 공공 서비스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 인구 구성 불균형: 교외화로 인해 교외 지역의 인구 구성에 불균형이 발생하여 약물 소비와 남용에 문제를 야기한다.[19]
  • 사회 기반 시설의 작동 효율 악화: 중심 시가지에 집중되었던 도시 기능이 교외로 분산되면서 사회 기반 시설의 효율성이 떨어진다.[38]
  • 교류 기회 감소: 중심 시가지의 인구가 줄어들면서 사람들 간의 교류 기회가 감소한다.[39]

4. 2. 경제적 영향

기업들이 교외로 이전하면서 도시 중심부의 산업 구조가 변화하고, 일자리가 감소할 수 있다. 21세기 초, 광대역 통신, 이메일, 화상 회의 등의 통신 서비스 확산으로 집에서 일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특히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사무실 기반 업무의 연결성과 디지털화가 증가하면서 교외 거주자들의 재택근무가 늘어났다.[7]

현대적인 배달 물류 발전은 도시 사업체의 이점을 줄였다. 산업, 창고, 공장도 교외로 이동했다. 이는 회사 본사가 창고 및 항구에서 빠른 택배 거리에 있을 필요성을 없앤다. 도시 지역은 교통 체증으로 추가적인 운전 비용이 발생하지만, 고속도로 근처 교외 지역은 이를 줄일 수 있다. 낮은 재산세와 저렴한 토지 가격은 브라운필드 재개발을 장려한다.[8]

교외 지역은 산업, 주거, 소매 공간 사이에 완충재를 제공하여 님비 현상과 젠트리피케이션 압력을 피할 수 있다. 교외 자치 단체는 산업 단지, 특정 구역 설정, 특수 구역 설정 및 규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산업을 유치한다. 기업과 개인은 토지 구매, 임대, 운영 비용이 저렴한 교외 지역 이전을 선호한다. 단일 도시 중심에서 분산은 엣지 시티와 엑스버브의 출현으로 이어졌고, 교외 상업 지구, 쇼핑몰, 고밀도 개발 지역에 사무실 건물이 건설된다. 교외에서 성장한 주요 도시 중심이 아닌 지역에서 교외 거주자를 위한 일자리가 늘면서 교통 패턴이 복잡해지고 교외 내 교통량이 증가했다. 2000년까지 미국 인구의 거의 절반이 교외 지역으로 이주했다.[8]

교외화로 수도관, 하수관, 도로 건설 비용은 주거 및 비주거 개발 단위당 21000USD 이상으로, 2005년부터 2030년까지 미국 정부에 1조달러 이상의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 기존 인프라 유지 보수도 어려워진다.[28]

4. 3. 환경적 영향

교외화의 성장과 도시 외곽 거주 인구 증가는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교외화는 차량 주행 거리 증가, 토지 사용 증가, 주거 에너지 소비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이로 인해 대기 질 저하, 물과 석유 같은 천연자원 사용 증가,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가 발생한다.[32]

차량을 이용한 출퇴근 증가는 석유 및 가스 사용량과 배출량 증가를 유발한다. 차량 배출량 증가는 대기 오염을 일으켜 해당 지역 대기 질을 저하시킨다. 교외화에 따른 주택 개발 증가는 토지 소비 및 가용 토지 증가로 이어진다. 또한 교외화는 거주민 수요 충족과 교외 잔디밭 유지를 위한 물과 같은 천연자원 사용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 아울러, 기술 발전과 소비 증가로 인해 거주민의 전기 사용량이 늘면서 에너지 소비도 증가한다.[32]

5. 교외화의 문제점과 논란

교외화는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하며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과거에는 교외가 낮은 인구 밀도, 낮은 범죄율, 안정적인 인구 덕분에 사회적 고립, 무질서, 심리적 문제가 있는 도시 지역과는 달리 전반적인 행복을 향상시킨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1974년 연구에서는 교외 거주자들이 도시 거주자들에 비해 이웃이나 삶의 질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다.[18]

교외화는 아동, 청소년, 노인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사회적 영향을 미친다. 교외에 사는 아이들은 부모 없이는 이동이 어려워 독립성을 연습할 기회가 적다. 독립성이 부족한 청소년은 지루함, 고립감, 좌절감을 겪을 수 있으며, 이는 교외 지역의 십대 자살률과 학교 총기 난사 사건 증가의 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교외의 노인들은 운전 능력을 상실한 후 사회적 고립을 경험할 수 있으며, 부유층이든 아니든 교외에 사는 노인들은 다른 사회 집단과 크게 분리되어 있다.[34]

5. 1. 문제점

교외화는 다음과 같은 여러 문제점을 야기한다.

  • 도시 주변의 농촌, 삼림, 수변 공간이 주택 및 쇼핑몰 개발로 파괴된다.
  • 도로, 상하수도, 공공 서비스 정비 비용이 증가하여 자치단체의 부담이 커진다.
  • 이동 거리가 늘어나면서 더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하게 된다.
  • 자가용 이용 증가로 석유 자원 고갈 및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될 수 있다.
  • 출퇴근 시간 대중교통 혼잡과 도로 정체가 발생한다.[4][5]
  • 생활권 확장과 지역 공동체 약화로 교외형 범죄 발생이 우려된다.
  • 산업의 교외 유출로 도시 중심부의 일자리가 감소한다.
  • 어린이, 빈곤층, 노인, 장애인 등 교통 약자의 불편이 심화되어 쇼핑 난민, 의료 난민 문제를 야기한다.


대한민국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서울 북교외 지역에 신도시 개발이 진행되어 아파트 등이 건설되면서, 해당 지역의 철도 노선이 수도권 전철에 편입되었다. 이러한 개발은 단독 주택보다 고층 아파트 위주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일본에서는 2000년대 이후 대도시권의 지가 하락 등으로 도심 회귀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여전히 수도권 등 일부 지역에서는 교외형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5. 2. 논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경제 성장과 함께 미국에서는 개발업자들이 전국적인 주택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쟁하면서 주택 건설 호황이 일어났다.[4][5] 참전 군인들의 GI 법안 혜택은 새롭고 비용 효율적인 교외 지역에서 주택 구매를 쉽게 만들었고, 젊은 부부와 새로운 가족들이 빠르게 교외로 이주했다. 많은 지역의 레드라이닝 정책은 유색 인종의 교외 주택 구매를 막아, 백인 위주의 공간으로 만들었다.[6] 백인 주택 소유주들이 교외 지역으로 대규모 이주하는 현상은 "백인 도주"로 알려지게 되었다.

광대역 통신, 이메일, 화상 회의와 같은 통신 서비스의 확산과 코로나19 범유행에 대응하여 사무실 기반 업무의 연결성 및 디지털화가 증가하면서, 교외 거주자들의 재택근무가 가능해졌다. 전산화와 효율적인 운송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현대적인 배달 물류의 발전은 도시에 사업체를 두는 것에서 얻을 수 있었던 몇 가지 이점을 제거했다. 산업, 창고 및 공장 용도 또한 교외 지역으로 이동했다. 낮은 재산세와 저렴한 토지 가격은 수익성 있는 브라운필드 재개발을 위해 산업 부지를 판매하도록 장려한다.[8]

교외 지역은 산업 지역과 주거 및 소매 공간 사이에 완충재로 사용할 수 있는 더 많은 토지를 제공하여, 님비 현상과 지역 사회의 젠트리피케이션 압력을 피할 수 있게 한다. 교외 자치 단체는 산업 단지, 특정 구역 설정, 특수 구역 설정 및 규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산업 토지 사용자를 유치할 수 있다.

동유럽의 많은 국가에서 도시는 살기에 위험하거나 매우 비싼 지역이라는 평판을 받는 반면, 교외는 더 안전하고 가족을 양육하기에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20세기 중반에서 후반까지 동구권의 대부분의 사회주의 국가들은 과소 도시화[9]의 특징을 보였는데, 이는 산업 성장이 도시 성장에 앞서 일어났으며, 이는 농촌-도시 통근에 의해 유지되었음을 의미한다. 탈사회주의 유럽의 교외화는 주택 및 토지 시장의 창출과 함께 주택 공급에서 국가의 철수로 민영화된 주택 생산 및 소비 방식을 개발했으며, 사적 행위자, 특히 가구의 역할이 증가했다. 그러나 주택 금융을 포함하여 시장 주도형 주택 시스템에 필수적인 규제 및 제도적 프레임워크는 특히 남동부 유럽에서 미개발 상태로 남아 있었다.[10]

알바니아티라나에서 광범위한 도시 주변부 성장이 발생했으며, 1990년대에 도시 규모가 두 배로 증가했다. 슬로베니아와 루마니아 교외 개발은 1990년대에 도시를 눈에 띄게 둘러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개발 인프라의 사회주의 유산과 전환기의 경제성 위기는 탈사회주의 교외를 서구의 교외와 차별화시킨다.[11]

미국에서는 1950년대, 자동차 보급에 따라 교외화가 가속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복원되어 결혼한 젊은이들은 가족과 함께 살 수 있는 넓은 주택지를 원했고, 교외의 넓은 주택 개발, 자가용 자동차의 보급, 자동차 전용 도로의 정비가 이러한 요구에 부응했다.

미국에서는 주택의 교외화에 이어, 상업·업무의 교외화도 일어나고 있다. 많은 자가용이 모이기 쉬운 인터체인지 주변에 대형 쇼핑몰이 출현했고, 이윽고 공장뿐만 아니라 기업의 사무실도 토지·건물의 임대료가 싸고 자동차 통근이 가능한 교외로 이전했다. 통신 기술과 IT, 배송 서비스의 진화와 보급은 도심에서 떨어진 곳에서의 비즈니스를 용이하게 했다. 1990년대 이후, 붐버브라고 불리는 높은 성장을 이룬 대형 교외 도시와 에지 시티라고 불리는 도시 외곽의 고속도로를 따라 얇고 넓게 전개된 업무 중심지가 서부 해안과 미국 남부, 미국 중서부 등의 도시권에 출현했다.

6. 한국의 교외화와 정책 방향 (더불어민주당 관점)

1990년대 후반부터 서울 북쪽 교외 지역에 신도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아파트 등이 건설되었다. 이로 인해 한국철도공사의 북교외 방면 노선 대부분이 전철화 및 복선화되었고, 수도권 전철에 편입되었다. 이러한 주택 개발은 단독 주택보다 고층 아파트 위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참조

[1] 웹사이트 Urban Areas https://education.na[...] National geographic 2023-12-22
[2] 서적 Encyclopedia of the City Routledge
[3] 간행물 Slow Growth and Urban Sprawl: Support for a New Regional Agenda? http://www.urbanfutu[...]
[4] 웹사이트 World War II Homefront Era: 1940s: War Vets Protest Housing Shortages https://picturethis.[...] 2024-10-04
[5] 보고서 SUBURBAN DEVELOPMENT IN EDINA SINCE 1935: A HISTORIC CONTEXT STUDY https://www.edinamn.[...] Edina Heritage Preservation Board 2013-08-00
[6] 간행물 Linking U.S. Government-Sponsored Redlining to Early-Stage White Flight, 1940–1950
[7] 간행물 Defining Suburbs http://dx.doi.org/10[...] 2012-06-05
[8] 보고서 Demographic Trends in the 20th Century https://www.census.g[...] US Census Bureau
[9] 간행물 The city in the transition to socialism
[10] 서적 Housing Policy Reforms in Post-Socialist Europe: Lost in Transition Physica-Verlag
[11] 간행물 Romanian suburban housing: home improvement through owner-building http://eprints.gla.a[...]
[12] 서적 The Post-Socialist City. Urban Form and Space Transformation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after Socialism Springer
[13] 서적 Iron Curtains: Gates, Suburbs and Privatization of Space in the Post-Socialist City Wiley-Blackwell
[14] 간행물 The Belgrade wall: The proliferation of gated housing in the Serbian capital after socialism
[15] 간행물 Population composition in new suburban settlements of the Tallinn metropolitan area
[16] 간행물 Post-socialist Urban Trends: New Patterns and Motivations for Migration in the Suburban Areas of Rīga, Latvia
[17] 서적 Sprawling post-communist metropolis: Commercial and residential suburbanisation in Prague and Brno, the Czech Republic Springer
[18] 간행물 Is happiness a home in the suburbs?: The influence of urban versus suburban neighborhoods on psychological health http://www3.intersci[...]
[19] 뉴스 The Suburbs That Are Sicker Than They Look https://www.citylab.[...] 2018-03-27
[20] 뉴스 Rates of Drug Use: Urban, Suburban, & Rural https://sunrisehouse[...] 2018-03-27
[21] 뉴스 New Face of Heroin Is Young, White and Suburban, Study Finds https://www.nbcnews.[...] 2018-03-27
[22] 간행물 Adolescents from upper middle class communities: Substance misuse and addiction across early adulthood 2018-02-00
[23] 뉴스 The increase in heroin users coming to the hospital reflects current trends in drug abuse. http://www.modernhea[...] 2018-03-27
[24] 뉴스 The increase in heroin users coming to the hospital reflects current trends in drug abuse. http://www.modernhea[...] 2018-04-05
[25] 간행물 Contextual factors in substance use: A study of suburban and inner-city adolescents
[26] 서적 Local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in a Globalized World Routledge 2008-06-28
[27] 서적 Urban Sprawl: A Comprehensive Reference Guide Greenwood Press
[28] 서적 Sprawl Costs: Economic Impacts of Unchecked Development Island Press
[29] 서적 Sprawl Costs: Economic Impacts of Unchecked Development Island Press
[30] 서적 Sprawl Costs: Economic Impacts of Unchecked Development Island Press
[31] 간행물 A Silver Lining to White Flight? White Suburbanization and African-American Homeownership, 1940–1980
[32] 간행물 The Environmental Impact of Suburbanization
[33] 웹사이트 Long commutes to Vancouver colleges lead to brain drain as students leave | CBC News http://www.cbc.ca/ne[...]
[34] 서적 Suburban nation : the rise of sprawl and the decline of the American Dream 2010-09-14
[35] 문서 多摩川誌 http://www.keihin.kt[...] 建設省関東地方建設局京浜工事事務所 1986-03-29
[36] 간행물 総合政策論集 第8巻 05 https://tbgu.repo.ni[...]
[37] 웹사이트 コンパクトシティとは?新しい街づくりの事例から見るコンパクトシティのメリット https://www.kurume-i[...] 2018-08-04
[38] 웹사이트 土木計画学研究・論文集 https://www.jstage.j[...] 2021-06-23
[39] 웹사이트 土木計画学研究・論文集 https://www.jstage.j[...] 2021-06-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