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황 클레멘스 10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레멘스 10세는 1670년부터 1676년까지 재위한 교황이다. 1590년 로마에서 태어나 법학 박사 학위를 받고 교황청에서 외교관으로 일했으며, 1627년 카메리노의 주교가 되었다. 80세에 가까운 나이로 교황직을 수락한 그는 교황청의 재정 질서를 바로잡고 농업 개선에 힘썼으며, 1675년 성년을 선포했다. 그는 또한 루이 14세의 레갈 주장에 반대하고 폴란드를 지원했으며, 1676년 86세의 나이로 선종하여 성 베드로 대성당에 안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세기 교황 - 교황 알렉산데르 7세
    알렉산데르 7세는 1655년부터 1667년까지 재위한 교황으로, 로마 도시 계획과 건축 사업을 추진하고 중국 전통 의례를 허용했으며 얀센주의를 비판하며 금서 목록을 발행했다.
  • 17세기 교황 - 교황 그레고리오 15세
    그레고리오 15세는 1621년부터 1623년까지 재위한 교황으로, 콘클라베 선거 방식을 개정하고 포교성성을 설치하는 등 교황청 개혁을 추진했으며, 반종교개혁을 지원하고 여러 성인을 시성했다.
  • 1676년 사망 -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
    알렉세이 미하일로비치는 1645년부터 1676년까지 러시아 차르로 재위하며 중앙 집권화 강화, 영토 확장, 종교 개혁을 시도했으나 농노제 강화, 전쟁, 종교 분열 등의 문제도 겪었다.
  • 1676년 사망 - 상가희
    상가희는 명나라에서 청나라로 넘어가는 시기에 활동하며 청나라의 중국 통일에 기여했으나, 광주대도살에 책임이 있고 병자호란에 참전하여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군인이다.
  • 1590년 출생 - 코시모 2세 데 메디치
    코시모 2세 데 메디치는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후원자로 알려진 토스카나 대공국의 대공이었으나 병약하여 모후와 왕비의 영향력 아래 통치하며 대공국 쇠퇴를 초래했고 마리아 마달레나 디 오스트리아와의 사이에서 페르디난도 2세를 낳았다.
  • 1590년 출생 - 송응성
    송응성은 명나라 말기의 학자이자 관료로, 『천공개물』이라는 기술 백과사전을 저술했으며, 기와 형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 우주론 논문을 통해 철학적 견해를 제시했다.
교황 클레멘스 10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교황 클레멘스 10세의 초상화, 조반니 바티스타 가울리 작 (바치치오) -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조반니 바티스타 가울리 작, 1671년경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뉴욕)
이름클레멘스 10세
본명에밀리오 보나벤투라 알티에리
출생일1590년 7월 13일
출생지교황령, 로마
사망일1676년 7월 22일
사망지교황령, 로마
이전 직책카메리노 주교 (1627–1666)
나폴리 왕국 교황 대사 (1644–1652)
주교 및 수도자 성사성 장관 (1657–1667)
직책
교황로마 교구 주교
재임 기간 시작1670년 4월 29일
재임 기간 종료1676년 7월 22일
선임자클레멘스 9세
후임자인노첸시오 11세
서품1624년 4월 6일 마르칸토니오 바르바리고에 의해
성직 수임1627년 11월 30일
성직 수여자시피오네 카파렐리-보르게세
추기경 서임1669년 11월 29일
추기경 임명자클레멘스 9세
종교
소속 교회가톨릭 교회
문장
클레멘스 10세 문장
클레멘스 10세 문장

2. 생애

에밀리오 보네벤투라 알티에리는 1590년 로마에서 알티에리 가문의 로렌초와 베네치아 귀족인 델핀 가문의 비토리아 사이에서 태어났다. 알티에리 가문은 교황 귀족에 속했으며 수 세기 동안 로마에서 최고의 대우를 받았다. 그들은 때때로 콜론나 가문과 오르시니 가문과 동맹을 맺기도 했다. 이전 교황 재임 기간 동안, 알티에리 가문은 많은 중요한 직책을 맡았고 여러 민감한 임무를 위임받았다.[1]

1670년 4월 29일, 콘클라베에 참석한 59명의 추기경 중 단 두 명을 제외한 모두가 그에게 교황직을 제안했다. 하지만 그는 80세에 가까운 나이 때문에 너무 늙었다며 "그런 짐을 질 만큼 늙었습니다."라고 말하며 거절했다. 그는 프란체스코 마리아 브란카치오 추기경을 가리키며 그들이 선출해야 할 추기경이라고 말했다. 그는 더 이상 힘도 기억력도 없다며 거절을 고집했고, 마침내 눈물을 흘리며 교황직을 받아들였다. 은인의 은혜에 감사하며, 그는 10살 연하인 그의 후원자에게 감사하는 마음으로 클레멘스 10세라는 이름을 선택했다.[1] 그는 5월 11일에 대관식을 치렀다.

잔 로렌초 베르니니가 조각한 교황 클레멘스 10세의 흉상.


1670년 6월 8일, 클레멘스 10세는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전을 소유했다. 6월 11일, 그는 알렉산데르 7세와 클레멘스 9세의 칙령에 따라 성지를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부여된 특권과 면죄부에 따라 성지의 소수 옵서번트를 확정했다. 같은 달, 그는 교황청의 성직자-사제들에게 모자에 보라색 띠를 사용하는 것을 허가했다. 때때로 건망증이 심했던 그는 때때로 다른 사람들에게 같은 호의를 약속했고 그의 추기경 조카인 팔루초 팔루치 알티에리 델리 알베르토니 추기경에게 의존하게 되었다.[2]

알티에리 가문의 남성 자손 중 한 명을 제외한 모든 사람이 성직자의 길을 선택했다. 교황직에 오른 클레멘스 10세는 알티에리 가문의 멸족을 막기 위해 파올루치 가문을 입양하고, 팔루치 가문의 한 사람이 가문의 유일한 상속녀인 라우라 카테리나 알티에리와 결혼할 것을 제안했다. 알티에리 성을 입양하는 대가로 그는 파올루치 가문 사람 중 한 명을 추기경으로 임명할 것이었다. 그가 주례한 결혼식 이후, 그는 나이가 들어 감당할 수 없는 의무를 수행하기 위해 그의 조카의 처남인 팔루치 알티에리 추기경을 추기경 조카로 임명했다. 주요 활동은 교회의 돈을 투자하는 것이었고, 나이가 들면서 점차 업무 관리를 그에게 위임하여 로마인들은 그가 단순히 '축복하고 성화하는' 주교의 기능만 남겨두고, '다스리고 통치하는' 행정적 의무를 추기경에게 넘겼다고 말했다.[1]

클레멘스 10세는 기독교 군주들에게 서로 사랑하고 관대한 조치와 신중하고 세심한 행동으로 이를 증명할 것을 권고했다. 특히 교황은 스페인과 프랑스 사이의 우호적 관계의 갱신을 목격하기를 바랐다.

재위 6년 중 클레멘스 10세는 교황청의 재정 질서를 바로잡았고 농업 개선에 많은 관심을 보였으며 1670년 6월 21일 칙서를 내려 주교들과 수도회의 관계를 정상화시켰다. 클레멘스 10세는 체사르 데스트레 추기경의 도움을 받아 루이 14세가 주장한 레갈을 반대하고 오스만 제국을 침공한 폴란드를 지원하였으며 1675년 성년을 반포하였다.

1671년, 교황은 '귀족은 소매로 판매하지 않는 한, 귀족의 지위를 잃지 않고 상인이 될 수 있다'고 선언하는 칙령을 발표했다. 1676년, 잔 로렌초 베르니니는 그의 마지막 조각상 중 하나인 클레멘스 10세 흉상을 조각했다.

2. 1. 초기 생애

1590년 7월 13일 로마의 옛 귀족 가문 출신으로 태어났다. 1611년 로마 대학교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받고 교황 인노첸시오 10세와 함께 일했다.[1] 1623년 형의 권고로 신부가 되었고, 1624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주재 교황 대사조반니 바티스타 란첼로티의 ''감사''로 임명되어 폴란드 주재 교황청 대사관에서 근무하였다.[1] 1627년 이탈리아로 돌아와 형의 뒤를 이어 카메리노 주교로 임명되었고, 그 다음에는 로레토와 움브리아 전체의 총독으로 임명되었다.[1] 1644년 교황 인노첸시오 10세는 그를 나폴리 왕국의 교황 대사로 보냈고, 그곳에서 8년 동안 머물렀다. 그는 마사니엘로의 격동의 시기 이후 평화를 재건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 1652년 교구로 다시 돌아가 교황 알렉산데르 7세에 의해 종교재판의 참사가 되었다.[1] 교황 클레멘스 9세는 그를 교황 재무부 장관(교회의 재정을 담당)으로 임명했고, 1667년에는 그의 ''수석 시종''으로 임명되었으며, 주교 및 수도회 성직자 회의 서기가 되었다.[1] 클레멘스 9세는 사망 직전에 그를 추기경(Catholicism)|추기경]]으로 임명했다.[1]

2. 2. 주교와 추기경

1623년 형의 권고로 신부가 되었고, 폴란드 주재 교황청 대사관에서 근무하였다.[1] 1627년 이탈리아로 돌아와 형의 뒤를 이어 카메리노의 주교가 되었다.[1] 1644년 교황 인노첸시오 10세에 의하여 양시칠리아 왕국의 사절로 일한 후 1652년에 교구로 다시 돌아갔다.[1] 이후 교황 알렉산데르 7세에 의해 종교재판의 참사가 되었다.[1] 교황 클레멘스 9세가 선종하기 한 달 전에 추기경으로 임명되었다.[1]

2. 3. 교황 선출 (콘클라베)

교황 클레멘스 9세의 장례식 이후, 62명의 선거인이 1669년 12월 20일에 콘클라베에 들어갔다. 42표가 필요했고, 프랑스 파벌과 에스파냐 파벌 사이의 경쟁으로 인해 4개월 동안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다.[1] 추기경 잔니콜로 콘티는 22표를 얻었고, 전임 교황의 조카인 추기경 자코모 로스피글리오시는 30표(혹은 33표)를 얻었으며, '엑세소'에서 2표를 더 얻어 교황관을 얻기 위해 7표만 더 필요했다. 추기경 카를로 체리는 23표를 얻었다.

결국 추기경들은 노령의 추기경을 선출하는 오랜 방식을 사용하기로 합의하고, 80세에 가까운 알티에리 추기경을 제안했다. 그는 가톨릭 교회에 헌신하며 오랜 삶을 보냈고, 클레멘스 9세는 그를 죽기 직전에 추기경으로 임명했다. 이렇게 뛰어난 공적을 가진 고위 성직자가 말년에 추기경이 된 이유는, 그가 형을 위해 승진에 대한 자신의 권리를 포기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1]

3. 교황 재위 (1670년 - 1676년)

1670년 4월 29일, 교황 선거에 참석한 추기경 59명 중 57명이 클레멘스 10세에게 교황직을 제안했으나, 그는 80세에 가까운 나이와 건강을 이유로 사양했다. 그러나 추기경들의 간청에 결국 눈물을 흘리며 교황직을 수락했고,[1] 5월 11일에 대관식을 치렀다. 그는 자신을 후원했던 이전 교황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 '클레멘스 10세'라는 이름을 선택했다.[1]

클레멘스 10세는 고령과 건강 문제로 추기경 조카인 팔루초 팔루치 알티에리 델리 알베르토니 추기경에게 많은 업무를 위임했다. 로마인들은 그가 '축복하고 성화하는' 주교의 기능만 남겨두고, '다스리고 통치하는' 행정적 의무는 추기경에게 넘겼다고 평가했다.[1]

클레멘스 10세는 기독교 군주들에게 서로 사랑하고 관대한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했으며, 특히 스페인과 프랑스 사이의 우호 관계 회복을 희망했다.[1]

1675년, 클레멘스 10세는 14번째 희년을 기념했다. 그는 나이와 통풍에도 불구하고 여러 교회를 방문하고 순례자들을 위한 행사를 주관하며 그들에게 자선을 베풀었다.[6]

1676년, 잔 로렌초 베르니니는 그의 마지막 조각 중 하나인 클레멘스 10세 흉상을 조각했다. 같은 해 7월 22일, 클레멘스 10세는 통풍으로 인해 선종했으며,[7] 그의 무덤은 성 베드로 대성당에 있다.

마티아 데' 로시가 설계한 클레멘스 10세의 무덤, 성 베드로 대성당

3. 1. 교회 행정 및 개혁

1670년 4월 29일, 교황 선거에 참석한 추기경 59명 중 2명을 제외한 모두가 클레멘스 10세에게 교황직을 제안했다. 그러나 그는 나이가 80세에 가깝다며 "그런 짐을 질 만큼 늙었습니다."라고 거절했다. 그는 프란체스코 마리아 브란카치오 추기경을 추천하며 자신의 연약함을 이유로 거듭 사양했지만, 결국 눈물을 흘리며 교황직을 수락했다. 클레멘스 10세는 자신을 후원해 준 은인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담아 10살 연하인 그의 후원자의 이름을 따서 교황명을 선택했다.[1] 그는 5월 11일에 대관식을 치렀다.

6월 8일, 클레멘스 10세는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전을 소유했다. 6월 11일, 그는 알렉산데르 7세와 클레멘스 9세의 칙령에 따라 성지를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부여된 특권과 면죄부를 성지의 소수 옵서번트에게 확정했다. 같은 달, 그는 교황청 성직자들에게 모자에 보라색 띠를 사용하는 것을 허가했다. 그는 때때로 건망증이 심해 다른 사람들에게 같은 호의를 약속하는 일이 잦았고, 추기경 조카인 팔루초 팔루치 알티에리 델리 알베르토니 추기경에게 의존하게 되었다.[2]

알티에리 가문에서 성직자의 길을 선택하지 않은 남성은 한 명뿐이었다. 교황직에 오른 클레멘스 10세는 알티에리 가문이 단절되는 것을 막기 위해 파올루치 가문을 입양하고, 파올루치 가문의 한 명이 가문의 유일한 상속녀인 라우라 카테리나 알티에리와 결혼할 것을 제안했다. 그는 알티에리 성을 받는 대가로 파올루치 가문 사람 중 한 명을 추기경으로 임명할 것이었다. 클레멘스 10세는 그가 주례한 결혼식 이후, 나이 때문에 감당하기 어려운 의무를 수행하기 위해 조카의 처남인 팔루치 알티에리 추기경을 추기경 조카로 임명했다. 주요 활동은 교회의 돈을 투자하는 것이었고, 나이가 들면서 점차 업무 관리를 그에게 위임했다. 로마인들은 그가 '축복하고 성화하는' 주교의 기능만 남겨두고, '다스리고 통치하는' 행정적 의무는 추기경에게 넘겼다고 말했다.[1]

클레멘스 10세는 기독교 군주들에게 서로 사랑하고 관대한 조치와 신중하고 세심한 행동으로 이를 증명할 것을 권고했다. 특히 교황은 스페인과 프랑스 사이의 우호적 관계가 회복되기를 바랐다.

1671년, 교황은 귀족이 소매로 판매하지 않는 한, 상업에 종사해도 귀족 지위를 잃지 않는다는 칙령을 발표했다. 1676년, 잔 로렌초 베르니니는 그의 마지막 조각상 중 하나인 클레멘스 10세 흉상을 조각했다.

3. 2. 시성 및 시복

1671년 4월 12일, 클레멘스 10세는 다섯 명의 새로운 성인을 시성했다.[1]

  • 성 가에타노 데 티엔: 테아티노회로 더 잘 알려진 섭리의 수도회 설립자.
  • 성 프란치스코 보르자: 1510년 출생한 제4대 간디아 공작, 롬바이 후작, 카탈루냐 부왕. 1547년 예수회에 들어가 총장이 됨.
  • 성 필립 베니치: 피렌체 귀족 출신으로, 성모 마리아의 종 수도회 수도자. 교황 레오 10세가 1516년에 그를 복자로 선포함.
  • 성 루이스 벨트란: 성 빈센트 페레르 가문 출신의 도미니코회 소속 스페인 사람.
  • 성 로사 데 리마: 1586년 페루 리마에서 태어난 성 도미니코 제3회 회원. 클레멘스 9세에 의해 복자로 선포되었으며, 아메리카 대륙 최초의 아메리카 출신 성인.
  • 페르디난드 3세: 엘 산토(성인)로 불림 (1198/1199–1252년 5월 30일). 카스티야 왕국 (1217–1252)과 레온 왕국 (1230–1252)의 왕. 1231년에 카스티야 왕국레온 왕국을 영구적으로 통합. 1671년에 클레멘스 10세에 의해 시성됨. 스페인 제국 전역에 "산 페르난도"로 명명된 여러 장소가 설립됨.


1673년, 교황 레오 3세의 이름을 로마 순교록에 올렸다.

교황 비오 5세 (1566–72), 프란치스코 솔라노, 십자가의 요한복자로 선포. 이들은 후에 클레멘스 11세와 교황 베네딕토 13세 (1724–30)에 의해 시성됨. 클레멘스 10세는 또한 스페인 신비주의자 수녀 마리아 데 아그레다를 존경자로 선언했다.

1673년 11월 24일, 고린켐 (네덜란드)에서 포로로 잡혀 1572년 7월 9일 브리엘에서 가톨릭 신앙, 교황 수위권, 로마 교회를 증오하여 죽임을 당한 열아홉 명의 고르쿰 순교자를 복자로 선포했다. 고르쿰 순교자 19명 중 피터 아스카니우스와 코르넬리우스 비칸은 평신도였고, 11명은 프란체스코회 사제, 한 명은 도미니코회, 두 명은 프레몽트레 수도회, 한 명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정규 참사원, 네 명은 평신도 사제였다.[1]

1672년 1월 13일, 클레멘스 10세는 성인의 유물을 성스러운 묘지에서 옮길 때 준수해야 할 형식에 대해 규정했다. 추기경 대리의 허가 없이는 유물 제거 불가. 추기경이 검사하지 않은 유물은 경배를 위해 전시 불가. 순교자의 주요 유물(머리, 다리, 팔, 고통을 겪은 부분)은 교회에서만 전시. 개인에게 주어지지 않고 왕자 및 고위 성직자에게만 드물게 주어짐. 유물에 이름을 부여하는 사람에게는 엄중한 처벌. 봉인되고 진정한 유물에 대해 금액을 요구하는 사람에게는 파문 선언. 이 칙령과 이전 교황의 칙령은 1704년에 교황 클레멘스 11세 (1700–21)에 의해 확인되었다.[1]

3. 3. 외교 관계

클레멘스 10세는 기독교 군주들에게 서로 사랑하고 관대한 조치와 신중하고 세심한 행동으로 이를 증명할 것을 권고했다. 특히 교황은 스페인과 프랑스 사이의 우호적 관계 갱신을 원했다.[1]

1673년, 러시아 차르인 알렉세이의 사절단이 로마에 도착했다. 알렉세이는 교황에게 차르 칭호를 요청했지만, 이미 그의 선조들이 사용하던 칭호였다. 동시에 그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국왕 얀 3세 소비에스키오스만 제국 침략자들과 싸울 때 강력한 재정 지원을 제공했다는 점도 잊을 수 없었다. 그러나 스코틀랜드 출신 대사인 폴 메네시우스는 그 칭호를 승인받거나 허가받을 수 없었다. 그는 융숭한 대접을 받았고, 그의 군주에게 가져갈 많은 귀중한 선물을 받았음에도 말이다. 러시아 차르는 자신의 의도를 확신할 만한 방식으로 가톨릭 신앙을 고백하지 않았고, 폴란드 국왕은 이 외교 사절단을 불쾌하게 여겼다.[1]

3. 4. 로마와 교황령

1671년, 교황은 '귀족은 소매로 판매하지 않는 한, 귀족의 지위를 잃지 않고 상인이 될 수 있다'고 선언하는 칙령을 발표했다.[1]

한편, 정부 수반이었던 팔루치 알티에리 추기경은 수입을 늘리기 위해 시내로 들어오는 모든 상품에 대해 3%의 새로운 세금을 부과했다. 여기에는 추기경과 대사관의 물품까지 포함되었다. 정부는 대사들이 특권을 남용했다고 주장했지만, 외교단은 새로운 세법에서 명시적으로 면제되지 않은 것에 불만을 제기했다.[2]

새로운 세금을 납부하지 않은 모든 상품을 몰수하도록 하는 칙령이 발표되자, 추기경들은 온건하게 불만을 제기했지만 대사들은 따르지 않았다. 추기경 조카는 클레멘스 10세가 자신의 국가 내에서 원하는 규칙을 만들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자 제국, 프랑스, 스페인, 베네치아의 대사들이 교황의 알현을 요청했으나, 교황은 바쁘다는 이유로 4일 연속 거부했다. 클레멘스 10세는 자신이 그런 명령을 내린 적이 없다고 선언했고, 대사들은 팔루치 알티에리 추기경에게 알현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 추기경 조카는 교황 대사들에게 대사들의 과도한 행위 때문에 교황이 칙령을 공포하게 되었다고 해명했지만, 대사들은 이를 구실로 여겼다.[2]

이 갈등은 1년 이상 지속되었고, 클레멘스 10세는 결국 이 문제를 공의회에 회부했다. 얼마 후, 팔루치 알티에리 추기경은 칙령이 대사들을 포함하려는 의도가 아니었다고 선언했다.[2]

1655년 12월 로마로 이주하여 가톨릭 신자가 된 스웨덴의 크리스티나 여왕은 클레멘스 10세에게 사육제 기간 동안 유대인들을 거리에서 쫓는 관습을 금지하도록 했다. 1686년, 크리스티나 여왕은 로마 유대인들이 자신의 보호를 받는다는 선언을 발표했고, 서명은 'la Regina' – 여왕이었다.[5]

3. 5. 말년과 죽음

1671년, 교황은 '귀족은 소매로 판매하지 않는 한, 귀족의 지위를 잃지 않고 상인이 될 수 있다'고 선언하는 칙령을 발표했다.[1] 1676년, 잔 로렌초 베르니니는 그의 마지막 조각상 중 하나인 클레멘스 10세 흉상을 조각했다.

1676년 7월 22일, 통풍의 고통이 너무 심해져 클레멘스 10세는 그날 오후에 선종했다.[7] 그는 86세였으며, 6년 2개월 24일 동안 교회를 통치했다. 그의 무덤은 성 베드로 대성당에 있다.

4. 유산

그는 프랑스루이 14세(1643–1715)의 야망에 위협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유럽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루이 14세는 교회 문제에 있어 권위적인 군주였다. (이 갈등은 공석이 된 교구수도원의 수입인 'régale'과 관련된 것으로, 프랑스와의 지속적인 긴장을 초래했다.) 그는 현재에도 볼 수 있는 카라라 대리석으로 조각된 10개의 천사 조각상으로 산탄젤로 다리를 장식했다.[1]

교황 클레멘스 10세는 그의 기념비가 세워진 관람석 근처에 성 베드로 광장에 있는 두 개의 분수를 건설했다.[1] 그의 재임 기간 동안 로마 중심부에 있는 알티에리 궁전이 개조되었다.

클레멘스 10세는 프란체스코 로렌초 브란카티 디 라우리아를 바티칸 도서관의 관장으로 임명했다.

참조

[1] Catholic Pope Clement X http://www.newadvent[...] 2016-06-08
[2] 서적 Papal Genealogy: The Families and Descendants of the Pop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04-08-11
[3] 서적 The Lives of the Saints https://books.google[...] J. Hodges 2018-04-24
[4] 웹사이트 "Bull of Pope Clement X erecting into a diocese the Vicariate Apostolic of New France", Virtual Cathedral http://www.archivesv[...] 2008-12-15
[5] 간행물 Barokke damer Pax
[6] 웹사이트 "Silver piastra of Pope Clement X", British Museum https://artsandcultu[...]
[7] 웹사이트 "Monument to Clement X", St. Peter's Basilica - A Virtual Tour, Our Sunday Visitor http://stpetersbasi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