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보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보건은 인류의 건강 증진을 목표로 하며, 식민지 시대 열대 의학의 발흥을 시작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병원 중심 모델 시대를 거쳐 1970년대 풀뿌리 활동의 확대를 통해 지역 사회 기반 보건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1990년대 이후 세계화와 신종 감염병의 위협, 기후 변화 등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헬스'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등장했으며,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를 통해 글로벌 헬스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현재, 글로벌 헬스는 수직적, 수평적 접근 방식을 통해 다양한 과제를 해결하려 노력하며, 세계 보건 기구(WHO)를 비롯한 여러 국제 기구와 비정부 기구(NGO)의 활동, 기술 발전, 미국의 노력 등이 국제 보건 분야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국제보건은 주요 건강 관리, 감염병 대책, 기후 변화와 건강, 모자 보건, 영양, 정신 건강 등 다양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중위생, 역학, 개발 경제학 등 여러 학문 분야와 연관되어 있으며, 관련 학위를 제공하는 대학원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계보건 -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는 국제보건규칙에 따라 국제적 질병 확산으로 다른 국가에 공중보건 위험을 초래하여 조정된 국제적 대응이 필요한 특별한 사건을 의미하며,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이 긴급위원회의 자문을 거쳐 선포한다.
  • 세계보건 - 보건지리학
    보건지리학은 건강과 질병의 공간적 분포 및 건강 관리 서비스의 지리적 접근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적 요인을 장소 개념을 통해 분석하며 질병 지리, 건강 불평등, 지역 보건 정책 등을 주요 연구 분야로 한다.
  • 개발 - 국제개발연구센터
    국제개발연구센터는 개발도상국의 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 기술 및 지식 연구를 지원하며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캐나다의 연구 지원 기관이다.
  • 개발 - 도시화
    도시화는 인구가 도시로 이동하고 도시적 생활 방식이 확산되는 현상으로, 경제적 기회와 사회적 이동성을 제공하지만 주택, 교통, 환경 문제 등의 부작용도 발생시키며 지속 가능한 미래 도시를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국제보건
개요
학문 분야보건학
관련 학문역학
보건정책
생물통계학
사회과학
인류학
경제학
행동과학
간호학
지리학
약학
생리학
미생물학
기생충학
주요 내용
목표국경을 넘어선 건강 형평성 달성
중점 분야감염병 관리
모자 보건
보건 시스템 강화
인도적 지원
관련 기구세계 보건 기구(WHO)
유니세프(UNICEF)
국제 적십자사 연맹(IFRC)
국경없는의사회(MSF)
세계은행(World Bank)
각국 보건부(Ministries of Health)
국제 개발 협력 기구(International Development Agencies)
관련 이슈감염병 유행(Pandemics)
기후 변화(Climate Change)
난민 보건(Refugee Health)
만성 질환(Chronic Diseases)
보건 자원 부족(Health Resource Scarcity)
보건 불평등(Health Inequities)
접근 방법다자간 협력
보건 시스템 강화
기술 이전
역량 강화
연구 및 개발
역사
기원제국주의 시대의 열대 의학과 위생에서 기원
발전20세기 후반, 국제 교류 증가와 함께 발전
주요 사건천연두 박멸(Smallpox Eradication)
글로벌 펀드 설립(Establishment of the Global Fund)
새천년 개발 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관련 학문 분야 상세
역학질병 발생 패턴 분석 및 위험 요인 규명
보건정책보건 시스템 및 서비스 개선 전략 개발
생물통계학보건 데이터 분석 및 해석
사회과학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요인 연구
인류학건강과 질병에 대한 문화적 관점 연구
경제학보건 자원 배분 및 효율성 분석
행동과학건강 행동 변화 촉진 전략 개발
간호학국제 보건 간호 실무 및 교육
지리학질병 분포 및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지리적 요인 연구
약학의약품 접근성 및 안전성 향상
생리학건강 및 질병의 생리적 메커니즘 연구
미생물학감염병 원인균 연구 및 제어
기생충학기생충 감염 질환 연구 및 관리
추가 정보
중요성세계적인 건강 문제 해결 및 개선에 기여
미래지속적인 발전과 혁신을 통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

2. 역사

국제 보건의 기원은 유럽의 산업혁명과 그에 따른 식민주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19세기 개발도상국에서는 주술의나 약초사 등 전통 의학을 사용하는 치료사들이 보건의료를 담당했다. 한편, 식민지에는 유럽인들을 위한 의학 기반의 보건의료가 제공되었다. 당시 공중위생은 말라리아와 같은 유럽인들이 걸리는 질병에 대처하고, 노동자 건강 유지를 통해 이윤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것이 국제 보건의 원점인 '''열대의학'''이다[24].

식민지 시대 보건의료 시스템은 대부분 종주국 시스템을 모델로, 서양인이 주로 사는 대도시에 고비용 첨단 의료를 도입하는 방식이었다. 피지배층을 위한 공적인 보건의료는 매우 부족했고, 도시 지역 중심이었다. 농촌 지역이나 도시 슬럼가의 사람들은 전통적인 보건의료에 의존하거나, 아예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 20세기 중반까지 지속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950~60년대에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많은 국가들이 식민 지배에서 독립했다. 구 식민지 국가들은 농촌 지역까지 보건의료를 확대하려 했으나, 대부분 국제 원조 기관은 도시 지역 치료에 투자를 계속했다. 일부 국가는 도시 지역 고도 의료 시설 유지에 보건의료 예산의 절반 이상을 소비하기도 했다. 구미에서 훈련받은 의사들은 부유층 건강 문제에 집중하고, 대다수 빈곤층 건강 문제는 계속 무시했다[25].

이 시기, 공중위생에서 가장 의미 있었던 발전은 준(準)의사나 보건 보조원(헬스 어시스턴트)이 있는 보건 센터의 탄생이었다. 인도 보아 커미션이 추진한 이 접근 방식은 '''기본 건강 관리 접근(Basic Health Care Approach; BHCA)'''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 시기에 시작된 중요한 공중위생 캠페인으로 천연두, 말라리아 등 감염병 박멸 캠페인이 있다. 1958년 세계 보건기구 총회에서 '세계 천연두 근절 계획'이 가결되어 천연두 근절 계획이 시작되었다. 이 계획은 1980년 근절 선언으로 결실을 맺어, 국제 보건 역사상 훌륭한 성과 중 하나가 되었다[26].

2. 1. 식민지 시대와 열대 의학의 발흥

19세기 유럽의 산업혁명과 식민지 확장 시기에 열대 의학이 발달하였다. 당시 개발도상국에서는 주술사나 약초사 등 전통 의학을 활용하는 치료사들이 의료를 담당하였으나, 식민지에는 유럽인들을 위한 의학에 기반한 보건 의료가 제공되었다. 이러한 시대의 공중 보건은 말라리아와 같이 유럽인들이 열대 지역에서 걸리는 질병에 대처하고, 노동자의 건강을 유지하여 이윤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이것이 열대 지역 특유의 질병에 대한 의학이며, 국제 보건의 원점인 '''열대 의학(Tropical Medicine)'''이다[24][13].

식민지 시대의 보건 의료 시스템은 대부분 종주국의 시스템을 모델로 하여, 서양인이 주로 거주하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고비용의 첨단 의료가 도입되었다. 피지배층을 위한 공적인 보건 의료는 매우 제한적이었고, 도시 지역 중심이었다. 농촌 지역이나 도시 빈민가의 사람들은 전통적인 보건 의료에 의존하거나, 의료 서비스를 거의 받지 못하는 상황이 20세기 중반까지 이어졌다.

일본에서는 노구치 히데요아프리카 연구가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1942년 3월에는 '''나가사키 의과대학 부속 동아 풍토병 연구소'''(현 나가사키 대학 열대 의학 연구소)가 설립되어, 열대 의학 연구와 교육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14]. 이 시기 한국은 일본의 영향을 받아 제한적이나마 서구 의학을 접하게 되었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병원 중심 모델의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0~60년대,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많은 국가들이 식민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했다. 이들 국가는 농촌 지역의 질병 예방을 포함한 보건 의료 계획을 확대하려 했으나, 대부분의 국제 원조는 도시 지역의 치료에 집중 투자되었다. 일부 국가에서는 도시의 고도 의료 시설 유지에 보건 예산의 절반 이상을 사용했고, 서구에서 훈련받은 의사들은 부유층의 건강 문제에 집중하며 빈곤층의 건강 문제를 무시하는 경향을 보였다.[25]

이 시기, 공중 보건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발전은 준(準)의사나 보건 보조원이 있는 보건 센터의 등장이었다. 인도 보아 커미션이 추진한 이 접근 방식은 '기본 건강 관리 접근(BHCA)'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 시기에 시작된 중요한 공중 보건 캠페인으로는 천연두, 말라리아 등 감염병 퇴치 캠페인이 있다. 1958년 세계 보건기구 총회에서 '세계 천연두 근절 계획'이 가결되어 천연두 근절 계획이 시작되었다. 이 계획은 1980년 천연두 근절 선언으로 이어져 국제 보건 역사상 훌륭한 성과로 기록되었다.[26]

2. 3. 1970년대: 풀뿌리 활동의 확대와 알마아타 선언

1960년대 말에서 1970년대 초, 보건 및 개발 전문가들은 건강의 사회경제적 측면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건강이 기본적 인권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기초 보건 의료 접근(BHCA)을 국가 보건 서비스에 도입하는 것이 국제적 지지를 얻었다. 이전까지 병원 중심 접근을 주로 하던 원조 기관들도 지역 보건 프로그램을 중시하게 되었다. 1970년대에는 BHCA를 통해 개발도상국 농촌 지역의 건강 관리 서비스 접근성이 점차 개선되었고, '''지역주민주체 건강 관리(Community-based Health Care, CBHC)'''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CBHC의 핵심 주체는 지역 보건 요원이었다. 이들은 각 지역사회에서 선출되어 주민들의 요구에 맞춰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을 했다. 자립, 저비용, 건강 교육, 예방, 지역 자원 활용, 주민 참여가 중요하게 여겨졌다. 이러한 주민 참여형 풀뿌리 활동은 비정부 기구 등을 통해 여러 지역에서 이루어졌고, 주민들의 조직화와 역량 강화에 기여했다.

이러한 풀뿌리 활동의 성공은 기존 병원 중심 모델의 한계와 대조적이었다. 개발 및 보건 전문가들은 지역사회 기반 보건 프로그램(CBHP)을 국가 보건의료 서비스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1978년 카자흐스탄 알마 아타(현 알마티)에서 WHO와 UNICEF 합동 회의가 개최되었고, 이후 보건의료 정책의 기반이 되는 역사적인 선언인 '''알마아타 선언'''이 결의되었다.[27] 이 회의에서 당시 WHO 사무국장 마라 박사는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

> 세계의 건강 자원의 상당수는 소수의 한정된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와 그에 필요한 의학, 의료 연구 개발에 사용되고 있으며, 대다수는 이러한 혜택을 받지 못하고 매일 여러 질병으로 고통받고 있다. … 세계에는 기본적인 건강 관리 서비스조차 받을 수 없는 사람들이 수십억 명 있으며, 보건의료는 이러한 사람들이 건강을 개선하고 생산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최우선으로 추구해야 한다.

마라 박사는 이를 위한 방안으로 '''일차 보건 의료(Primary Health Care, PHC)'''를 제시하며, 사회 생활에서 건강의 중요성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사회 시스템 구축을 강조했다. 주요 건강 관리 전략은 이후 1986년 건강증진에 관한 오타와 헌장을 통해 '2000년과 그 이후까지 모든 사람에게 건강을(Health for All by the Year 2000 and beyond)'을 위한 구체적인 행동 계획으로 정리되었다.

2. 4. 포괄적 PHC와 선택적 PHC

1978년 카자흐스탄 알마아타 (현 알마티)에서 열린 WHO와 UNICEF의 합동 회의에서 알마아타 선언이 채택된 후, 1차 보건 의료(PHC)의 실현 방식을 두고 포괄적 PHC와 선택적 PHC 간의 논쟁이 벌어졌다.[27]

월시와 월렌은 알마아타 선언에서 주창된 PHC를 '''포괄적 PHC'''로 칭하며, 그 달성에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중간 단계로 특정 목표를 설정하는 '''선택적 PHC'''를 제창했다.[27] 확대 예방 접종 계획(EPI) 등이 선택적 PHC에 해당한다.

선택적 PHC는 효율성, 비용, 평가 용이성, 가시적 성과 등의 이유로 많은 원조 기관에서 채택되었고, 여러 선택적 PHC를 묶어 제공하는 방식이 일반화되었다.

그러나 포괄적 PHC 지지자들은 선택적 PHC에 대해 다음과 같은 비판을 제기했다.

  • 톱다운 방식에 가까워 주민 참여라는 알마아타 선언의 이념과 거리가 멀다.
  • 일시적 성과에 그쳐 지속 가능성이 떨어진다.
  • 기부 기관에 영합하여 의료적 접근으로 회귀할 가능성이 있다.


국제보건에서는 특정 질병 퇴치에 집중하는 수직적 프로그램(선택적 PHC)에 많은 자금이 투입되면서, 인재 이동으로 인해 기초 공중위생을 담당할 인력이 부족해지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수직적 프로그램을 보건 시스템 강화라는 수평적 프로그램(포괄적 PHC)과 통합해야 한다는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알마아타 선언 이후 30년이 지난 지금도, 선택적 PHC와 포괄적 PHC의 역할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다.

3. 현재

1990년대 이후 세계화신자유주의 확산으로 국가 간, 국내 간 건강 불평등이 심화되었다.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 H5N1 아형 인플루엔자(신종플루) 등 인수공통감염병(신종 감염병·재출현 감염병)의 유행은 국경을 초월한 보건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28][11]

3. 1. 국제 보건에서 글로벌 헬스로

1990년대에 들어 동서 냉전이 종식되면서 사람, 물건, 서비스, 자금이 국경을 넘어 왕래하는 세계화의 물결이 밀려왔다. 신자유주의적인 워싱턴 컨센서스에 기반한 세계화는 부의 편중을 불러와 국가 간, 그리고 국내의 경제적 격차를 확대시켰다. 개발도상국의 보건 의료 인력이 국외로 유출되는 브레인 드레인 현상도 큰 문제로 부상했고,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이나 H5N1 아형 인플루엔자 등 인수공통감염병(신종 감염병·재출현 감염병)이 국경을 넘어 쉽게 확산될 위험이 커졌다.[11]

또한 기후 변화로 인해 가뭄이나 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지구 온난화에 따른 질병 구조의 변화도 나타났다. 이러한 국경을 초월한 건강 문제들은 기존의 '국제 보건'의 틀, 즉 '부유한 나라가 가난한 나라를 지원한다'는 방식으로는 더 이상 대응하기 어려워졌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러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글로벌 헬스(Global Health)'가 제시되었다.[11]

3. 2. 밀레니엄 개발 목표(MDGs)와 글로벌 헬스의 확대

2000년 9월 뉴욕에서 개최된 유엔 천년 정상회담에 참가한 189개 가맹국은 21세기의 국제사회의 목표로서 유엔 천년 선언을 채택했다. 이 선언에서는 평화와 안전, 개발과 빈곤, 환경, 인권과 굿 통치 (좋은 통치), 아프리카의 특별한 요구 등을 과제로 내걸어 21세기의 유엔의 역할에 관한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했다. 밀레니엄 개발 목표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는 이 유엔 천년 선언과 1990년대에 개최된 주요한 국제 회의나 정상회담에서 채택된 국제 개발 목표를 통합해, 하나의 공통의 골조로 해서 정리한 것이다. MDGs는 2015년까지 달성해야 할 8개의 목표를 내걸고 있으며, 각 목표에는 구체적인 세부 목표와 수치목표가 정해져 있다.

MDGs에서는 국제 보건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8개 항목 중 3개 항목이 직접적으로 국제 보건에 관련된다. ('''보건 관련 MDG''')

  • 골4: 유아 사망률의 삭감
  • 골5: 임산부의 건강의 개선
  • 골 6: HIV/에이즈, 말라리아, 그 외의 질병의 만연 방지


147개국의 국가원수를 포함한 189개국이 참가한 이 정상회담은 사상 최대의 규모이며, 천년 선언은 매우 높은 수준의 정치적 약속이다. 그 때문에, 현재의 국제 보건의 대처의 상당수는 이 MDGs를 달성하는 목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MDGs에 의해 국제 보건의 우선순위가 매우 높게 설정된 이후, 여러 가지 분야로부터 국제 보건에의 자금 유입이 일어나고 있다. 각국의 정부개발원조에서 국제 보건 관련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민간 재단에 의한 출자도 활발해지고 있다. 세계 건강을 중심으로 자금을 출연하고 있는 재단으로서는 마이크로소프트 전 회장 빌 게이츠에 의한 세계 최대의 자선 기금 단체 '''빌 & 멀린다 게이츠 재단(B&MGF)'''이나, 전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에 의한 '''클린턴 재단''' 등이 있다. 이러한 민간에 의한 새로운 자금 조달 방법의 출현은 지금까지의 ODA를 중심으로 한 범위로부터 큰 패러다임의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예를 들면, 민간 재단이나 정부, 기업, 개인이 출자하는 '''세계 에이즈·결핵·말라리아 대책 기금 (GFATM)'''이나, '''GAVI 얼라이언스''' 등, 새로운 자금 창출 메커니즘을 가지는 기금도 태어나고 있으며, 민간, NGO, 국제기관, 정부의 원조 기관 등이 공동으로 파트너십을 형성하는 경우 (예를 들면, [http://www.who.int/pmnch/en/ The Partnership for Maternal Newborn and Child Health])도 많아지고 있다.

3. 3. 수직적 접근과 수평적 접근

1978년 카자흐스탄 알마 아타에서 열린 WHO와 UNICEF 합동 회의에서 알마 아타 선언이 채택되었다. 이 선언은 1차보건의료(Primary Health Care; PHC)를 통해 '2000년까지 모든 사람에게 건강을'이라는 목표를 제시했다. 그러나 각국의 상황과 PHC 실현 방법에 대한 이견으로 인해, 월시와 월렌은 '''선택적 PHC'''를 제안했다[27].

선택적 PHC는 포괄적 PHC의 장기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중간 단계로, 확대 예방 접종 계획과 같이 특정 목표를 설정하여 효율성과 가시적인 성과를 추구한다. 이는 원조 기관들에게 매력적이었지만, 포괄적 PHC 지지자들은 다음과 같은 비판을 제기했다.

  • 톱다운 방식: 알마 아타 선언의 주민 참여형 이념과 거리가 멀다.
  • 지속 불가능성: 일시적 성과에 그칠 수 있다.
  • 의료적 접근 회귀: 기부 기관에 영합하여 의료적 접근으로 돌아갈 수 있다.


2000년 유엔 천년 정상회담에서 채택된 MDGs는 국제 보건을 주요 과제로 설정하고, 막대한 자금이 유입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특정 질환 중심의 수직적 프로그램에 집중 투자되면서, 로리 개럿은 인재 유출과 기초 공중 보건 인력 부족 문제를 지적했다[29].

이후 수직적 접근 방식을 재검토하고, 보건 시스템 강화라는 수평적 프로그램과의 통합 필요성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알마아타 선언 30주년을 맞아, 선택적 PHC와 포괄적 PHC에 대한 논의가 다시 활발해지고 있다.

4. 한국과 글로벌 헬스

대한민국은 국제 보건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특히,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해 개발도상국의 보건 시스템 강화와 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있다.

4. 1.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와 글로벌 헬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0~60년대,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많은 국가들이 식민지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했다. 이들 국가는 농촌 지역의 질병 예방을 중요하게 생각했지만, 대부분의 국제 원조 기관은 도시 지역의 치료에 계속 투자했다. 일부 국가에서는 도시의 고급 의료 시설을 유지하는 데 보건 예산의 절반 이상을 사용했다. 서구에서 훈련받은 많은 의사들은 부유층의 건강 문제에 집중하고 대다수 빈곤층의 건강 문제를 무시했다.[15]

이 시기 공중 보건에서 가장 의미 있는 발전은 준(準)의사나 보건 보조원이 있는 보건소의 탄생이었다. 인도 보어 위원회가 추진한 이 방식은 '기본적 헬스케어 접근법(Basic Health Care Approach; BHCA)'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 시기에 시작된 중요한 공중 보건 캠페인으로는 천연두, 말라리아 등의 감염병 퇴치 운동이 있다. 1958년 세계 보건 기구 총회에서 "세계 천연두 근절 계획"이 가결되어 천연두 근절 계획이 시작되었다. 이 계획은 1980년 근절 선언으로 결실을 맺어, 국제 보건(글로벌 헬스) 역사의 빛나는 성과 중 하나가 되었다.[16]

4. 2. 일본의 글로벌 헬스 이니셔티브

1997년 덴버에서 개최된 G8 정상회담에서 당시 하시모토 류타로 일본 총리는 기생충증의 국제적 대책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이듬해 버밍엄 정상회담에서 이 제언이 "감염증 및 기생충증에 관한 상호 협력을 강화하고, 앞으로 이 분야에서 세계 보건 기구의 노력을 지원할 것"이라는 커뮤니케에 포함되어, 세계는 21세기를 향한 국제 기생충 전략을 국제 정치상 가장 높은 수준의 약속을 받아 전개하게 되었다. 이 제창을 '''하시모토 이니셔티브'''라고 부른다.[14] 국제 협력 기구(JICA)를 통해 태국·마히돈 대학교, 케냐·케냐 중앙 의학 연구소, 가나·노구치 기념 연구소에 기생충 대책 거점 "Centres of International Parasite Control: CIPACs"가 개설되어, 인재 개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 기생충 대책이 거점 주변 국가를 포함하여 전개되고 있다.

2000년 7월 규슈·오키나와 G8 정상 회담에서 일본은 의장국으로서 개발도상국의 감염증 문제를 주요 의제 중 하나로 삼아, 일본의 정부 개발 원조로 2000년부터 2004년까지 5년간 총 30억달러를 목표로 하는 포괄적인 감염증 대책 지원을 실시하는 "'''오키나와 감염증 대책 이니셔티브 (IDI)'''"를 발표했다.[14] IDI의 주요 방침은 다음과 같다.

  • 개발도상국의 주체적 노력(오너십) 강화
  • 인재 육성
  • 시민 사회 조직, 원조국, 국제 기구와의 연계
  • 남남 협력
  • 지역 사회 수준에서의 공중 보건 추진


일본이 감염증 문제에 대한 노력의 중요성을 국제 사회에 호소한 것이 계기가 되어, 널리 국제 사회 일반의 관심이 환기되었고, 2001년 유엔 에이즈 특별 총회나 제노바 G8 정상 회담에서의 논의를 거쳐, 2002년에는 세계 에이즈·결핵·말라리아 퇴치 기금 설립으로 이어졌다.

2008년 7월 홋카이도 도야코 서밋에서도 일본은 의장국으로서 다시 글로벌 헬스를 주요 과제로 삼아, 「국제 보건에 관한 도야코 행동 지침」(Toyako Framework for Action on Global Health) [http://www.g8summit.go.jp/doc/pdf/0708_09.pdf]을 발표했다.[14]

4. 3. 국제 보건 거버넌스와 행위자

세계 보건 기구(WHO)는 국가 간 보건 관련 정책 및 관행을 규제하고 관리하는 주요 국제 기구이다. WHO는 국제 보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과 조약을 사용하지만, 많은 정책이 구속력을 갖지 못하여 국가의 준수가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1] 그 결과, 국가 및 세계 보건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더 강력한 국내 책임 메커니즘(인센티브 및 제재 포함)을 사용할 '세계 보건 기본 협약'(FCGH)이 최근 제안되었다.[1]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FCGH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며, FCGH가 다른 세계 보건 거버넌스 노력을 중복시키고, 실현 가능성이 부족하며, 세계 보건 규제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주장한다.[2]

4. 4. 비정부 기구(NGO)의 역할

비정부 기구(NGO)는 국제 보건 분야에서 많은 역할을 수행한다. 이들은 직접적인 의료 서비스, 지역 사회 식수 공급, 비타민 보충, 풍토병 및 유행성 감염병, 영양실조 완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1] 국제 보건에 힘쓰는 NGO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NGO는 종종 유엔과 협력하며, 6,000개 이상의 NGO가 유엔 경제 사회 이사회(ECOSOC)와 협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지위는 NGO에게 책임과 혜택을 모두 부여하여 국제 보건과 같은 분야에서 특히 글로벌 노력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1]

이러한 단체들은 자연 재해나 분쟁으로 피해를 입은 사람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위험한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국경없는 의사회(Médecins Sans Frontières)는 다르푸르 지역에서 단원들을 잃었으며, 케어 인터내셔널(Care International)의 이라크 지부장인 마가렛 하산(Margaret Hassan)(오랫동안 이라크에 거주하며 이라크-영국 이중 국적을 가진 인물)은 이라크인들에게 공평하게 서비스를 제공했다는 "죄"로 알 카에다와 연계된 테러리스트들에게 인터넷상에서 잔혹하게 살해당했다. 국제의료협력단(International Medical Corps)은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후 아프가니스탄 국민들의 고통에 대응하기 위해 시작되었으며, 위험한 지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능숙하다 (인도주의 지원 활동가에 대한 공격 참조).[1]

4. 5. 기술 발전과 글로벌 헬스

1990년대 이후 세계화와 함께 발전한 기술은 비정부 기구(NGO)의 활동과 글로벌 헬스 사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지리 정보 서비스(GIS),[6] 휴대폰 및 위성 통신, 인터넷 등의 기술은 NGO가 필요한 지역에 노력을 집중하고, 변화하는 위기에 대응하며, 미래의 필요를 예측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일례로, 미국 홀로코스트 기념관(United States Holocaust Museum)은 구글 어스(Google Earth)와 협력하여 위기로 황폐해진 다르푸르의 기본 GIS 사진을 구축하고, 이를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하여 대중에게 공개했다. 인터넷 사용자들은 이 이미지를 통해 이전에 존재했던 마을들이 어떻게 파괴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수단 정부가 민족 청소나 집단 학살을 하지 않았다는 주장이 거짓임을 보여주었다.[7]

4. 6. 미국의 글로벌 헬스 노력

미국 국방부는 2007년 국제 보건부를 설치하고, 안정, 안보, 전환 및 재건(SSTR) 작전을 통해 글로벌 헬스에 기여하고 있다.[9] 이는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이 2005년에 서명한 국방부 지침 3000.05에 따른 것으로, 전쟁뿐만 아니라 안정, 안보, 전환 및 재건(SSTR)에도 동일한 중요성을 부여한다.[9]

SSTR은 안보가 법치와 경제 개발을 촉진하고, 이는 다시 교육, 공중 보건, 위생 등 필수 서비스의 기반을 제공하며, 필수 서비스는 안정과 경제적 기회 증가로 이어진다는 개념에 기반한다.[10] 일반 인구, 특히 노동력의 건강은 생산성과 안정에 필수적이다.[10]

국제 보건부는 개발도상국의 요구를 파악하고, 비정부 기구(NGO) 등과 협력하여 안정과 지속 가능성을 증진한다. 또한, 의료 시민 행동 프로젝트(MEDCAP)를 통해 지역 주민에게 직접적인 치료, 위생 및 기타 공중 보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활동은 베트남 전쟁 당시부터 시작되었으며, 구충, 치과 치료, 산전 교육, 수의학적 치료 등 장기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군은 의료 준비 훈련, 합동 연합 교환 훈련(JCET) 및 인도주의적 시민 행동(HCA) 훈련을 수행하며, 인도주의적 지원/재난 대응(HADR)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04년 인도양 지진으로 인한 2004년 아시아 지진해일, 2007년 페루 지진, 방글라데시 태풍 시드르[8] 등 재난 상황에서 신속하게 대응하여 미국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5. 주요 과제

글로벌 헬스는 다양한 분야의 학제 간 협력을 통해 다음과 같은 주요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분야주요 내용
주요 건강 관리보건 시스템 개선
3대 감염증 대책HIV/에이즈, 결핵, 말라리아
글로벌 공중위생 안전 보장신흥 감염증, 생물전
기후 변화와 건강
모자 보건/생식 건강
영양저영양, 미량 원소 결핍 등
기생충 감염증 대책
담배 규제
생활습관병 대책비전염성 질환 관리
건강의 사회적 결정 요인/사회역학
인구 이동(이주)과 건강재일 외국인의 건강
국제 긴급 원조
여행 의학/도항 의학
정신건강
직업안전건강
정신 건강/스트레스
기후 변화/대기 오염
신종 감염증/재흥 감염증/인수 공통 감염병
인류학/사회 역학
모자 보건/발달/여성 질환
개호 복지/간호
인간 안보/국가 안보생물 무기 등
약리학/약물 중독/흡연/알코올 중독
1차 보건 의료


6. 관련 학문 분야

글로벌 헬스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학문 분야와 연관되어 있다.

7. 관련 기관 및 학위

글로벌 헬스 분야에는 세계 보건 기구, 국립 국제 의료 연구 센터 등의 기관과 보건학 박사, 의학 박사, 약학 박사, 수의학 박사, 심신 건강 과학 박사, 보건학 석사, 간호학 석사 등의 학위 과정이 있다.

7. 1. 관련 기관



학교명학과 또는 연구과
나가사키 대학 대학원열대 의학・글로벌 헬스 연구과
홋카이도 대학 대학원의학 연구과 사회 의학 전공 예방 의학 강좌 국제 보건 의학 분야
도호쿠 대학 대학원의학계 연구과 국제 보건학 분야
도쿄 대학 대학원의학계 연구과 국제 보건학 전공
도쿄 의과 치과 대학 대학원의치학 종합 연구과 환경 사회 의치학계 국제 건강 개발학 강좌 건강 증진 의학 분야/국제 보건 의료 협력학 분야
나고야 대학 대학원의학계 연구과 건강 사회 의학 전공 국제 보건 의료학
교토 대학 대학원의학 연구과 사회 건강 의학계 전공 사회 역학 분야
고베 대학 대학원의학계 연구과 국제 환경 의학 강좌 국제 보건학 분야
존스홉킨스 대학 블룸버그 보건대학원국제보건, 역학, 보건통계, 인구학, 보건영양, 정신보건, 보건정책 및 관리
하버드 대학 TH Chan 보건대학원보건분야 전반 및 국제보건
런던대학 보건대학원열대의학과 보건분야 전반 및 국제보건
리버풀 대학 보건대학원열대의학과 보건분야 전반 및 국제보건


7. 2. 주요 대학원

대학원분야
존스홉킨스 대학 블룸버그 보건대학원국제보건, 역학, 보건통계, 인구학, 보건영양, 정신보건, 보건정책 및 관리
하버드 대학 TH Chan 보건대학원보건분야 전반 및 국제보건
런던대학 보건대학원열대의학과 보건분야 전반 및 국제보건
리버풀 대학 보건대학원열대의학과 보건분야 전반 및 국제보건
나가사키 대학 열대 의학 연구소국제 보건학
도호쿠 대학 대학원 의학계 연구과국제 보건학
도쿄대학 대학원 의학계 연구과국제 보건학
도쿄 의과치과대학 대학원 치학 종합 연구과 환경 사회의 치학계 국제 건강 개발학 강좌건강 추진 의학 / 국제 보건의료 협력학
나고야 대학 대학원 의학계 연구과 건강 사회의학 전공국제 보건의료학
교토 대학 대학원 의학 연구과 사회 건강 의학계 전공사회역학
고베 대학 대학원 의학계 연구과 국제 환경 의학 강좌국제 보건학
홋카이도 대학 대학원 의학 연구과 사회의학 전공 예방 의학 강좌국제 보건 의학
나가사키 대학 대학원 열대 의학・글로벌 헬스 연구과


7. 3. 관련 학위

관련 학위 및 기관


참조

[1] 웹사이트 FCGH - Framework Convention for Global Health http://www.globalhea[...] 2015-09-18
[2] 논문 "Dark Sides of the Proposed Framework Convention on Global Health's Many Virtues: A Systematic Review and Critical Analysis" 2013
[3] 간행물 Timothy Danforth Baker 2014-02
[4] 웹사이트 Dr. Timothy D. Baker, Hopkins professor of international health https://web.archive.[...] 2019-04-08
[5]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ECOSOC Consultative Status https://ecosoc.un.or[...] 2024-10-30
[6] 웹사이트 Mapping - IM Toolbox https://web.archive.[...] 2008-02-14
[7] 웹사이트 Crisis in Darfur https://web.archive.[...] 2007-12-11
[8] 웹사이트 Breaking News, World News & Multimedia http://www.iht.com/a[...] 2007-11-28
[9] 웹사이트 Directives Division https://web.archive.[...]
[10] 웹사이트 WHO - World Health Day 2007: International Health Security https://web.archive.[...]
[11] 논문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the Transition From "International" to "Global" Public Health http://www.ajph.org/[...] 2006
[12] 서적 国際保健医療学 杏林書院 2001
[13] 서적 Oxford Handbook of Tropical Medicine Oxford Medical Publications
[14] 웹사이트 熱研とは https://www.tm.nagas[...] 長崎大学熱帯医学研究所 2018-04-10
[15] 논문 The inverse care law http://www.sochealth[...] 1971
[16] 웹사이트 天然痘 http://www.who.int/m[...] 世界保健機関
[17] 논문 Selective primary health care: an interim strategy for disease control in developing countries 1979
[18] 웹사이트 The Challenge of Global Health http://www.foreignaf[...] 2007-01
[19] 웹사이트 橋本イニシアチブ http://wiki.livedoor[...] 日本国際保健医療学会/国際保健用語集
[20] 웹사이트 沖縄感染症対策イニシアティブ http://wiki.livedoor[...] 日本国際保健医療学会/国際保健用語集
[21] 웹사이트 「国際保健の課題と日本の貢献」研究・対話プロジェクト http://www.jcie.or.j[...]
[22] 논문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the Transition From "International" to "Global" Public Health http://www.ajph.org/[...] 2006
[23] 서적 국제 보건의료학 교오린 서원 2001
[24] 서적 Oxford Handbook of Tropical Medicine Oxford Medical Publications
[25] 논문 The inverse care law http://www.sochealth[...] 1971
[26] 웹사이트 천연두 http://www.who.int/m[...] 세계 보건기구
[27] 논문 Selective primary health care: an interim strategy for disease control in developing countries 1979
[28] 논문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the Transition From "International" to "Global" Public Health http://www.ajph.org/[...] 2006
[29] 웹사이트 The Challenge of Global Health http://www.foreignaf[...] 20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