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귀울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울림은 한쪽 또는 양쪽 귀에서 소리가 울리는 증상으로, 다양한 소리로 표현될 수 있으며 간헐적이거나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청력 손실, 심리적 영향, 특정 약물 부작용, 신경계 및 대사 장애 등이 귀울림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자각적 귀울림과 타각적 귀울림으로 분류된다. 진단은 병력 청취, 청력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소음 노출을 피하고 이독성 약물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예방에 중요하다. 치료는 인지 행동 치료, 소리 치료, 보청기 등이 사용되며, 특정 원인이 밝혀진 경우 원인 치료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귀울림은 완치가 어렵지만 대부분 적응하며, 전 세계 인구의 10~15%가 경험하는 흔한 증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청지각 - 음높이
    음높이는 소리의 높낮이를 구별하는 청각적 특성으로, 음파의 주파수, 음압, 음색, 지속 시간과 청취자의 주관적인 경험에 영향을 받으며, 음악에서 음계 구성, 악기 조율, 화음 인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다양한 음계 시스템에 따라 관계가 달라지며, 확정/불확정 음높이로 구분되는 악기 소리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이다.
  • 청지각 - 화성 (음악)
    화성은 음고의 조합인 화음을 사용하여 음악을 구성하는 기법으로, 서양 종교 음악에서 시작되어 다양한 시대를 거치며 발전해 왔으며, 토닉, 도미넌트, 서브도미넌트 등의 기능으로 구분된다.
  • 이과학 - 골전도
    골전도는 두개골 뼈를 통해 소리를 내이로 전달하여 청력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청력 손실 환자에게 도움을 주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골전도 헤드폰 등 관련 기술도 발전하고 있다.
  • 이과학 - 청각학
    청각학은 청력, 이명, 평형 문제와 같은 청각 및 전정 계통 장애를 진단, 관리, 치료하며, 보청기 및 인공 와우와 같은 청각 임플란트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학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발전하여 국제적인 학술 및 실무 정보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 증상 - 피로
    피로는 신체적, 정신적 에너지 고갈 상태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며, 약물 치료, 정신 건강 도구 활용, 생활 습관 개선 등 다양한 방식으로 관리될 수 있다.
  • 증상 - 설사
    설사는 세계보건기구(WHO) 정의에 따라 하루 세 번 이상 묽은 변을 보거나 평소보다 많은 변을 보는 상태로, 급성, 지속성, 만성으로 나뉘며, 소화흡수능력 저하, 감염, 약물 부작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고, 물 같은 변, 복통, 구토, 탈수 증상을 동반하며, 위생적인 생활 습관과 수분 및 전해질 보충으로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다.
귀울림
일반 정보
분야이비인후과학, 청각학, 신경학
발음IPA: 또는
증상 및 합병증
증상외부 소리가 없을 때 소리가 들림
합병증집중력 저하, 불안, 우울증
발병 및 기간
발병점진적
지속 시간불명
원인 및 위험 요인
원인소음성 난청
귀 감염
심혈관 질환
메니에르병
뇌종양
내이 종양
정신적 스트레스
외상성 뇌손상
과도한 귀지
위험 요인불명
진단 및 감별 진단
진단증상, 청력도, 신경학적 검사를 기반으로 함
감별 진단불명
예방 및 치료
예방불명
치료상담, 소리 발생기, 보청기
약물불명
예후 및 빈도
예후불명
빈도~12.5%

2. 특징

귀울림은 한쪽 또는 양쪽 귀에서 들리는 소리로, 울림, 윙윙거림, '쉭' 소리, 귀뚜라미나 개구리 울음소리, 비프음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188] 이러한 소리는 간헐적으로 나타나거나 계속될 수 있으며, 개인에 따라 어깨, 머리, 혀, 턱, 눈의 움직임에 따라 소리의 강도가 변하기도 한다.[189] [15]

귀울림은 청력 손실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지만, 청력 검사 결과가 정상인 경우도 있다. 이는 고음/저음 청력 검사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미세한 청각 세포 손상 때문일 수 있다.[190] 청력 손실이 있는 경우, 손실된 주파수 대역의 외부 소리를 명확하게 듣지 못할 수 있으며, 이는 등쪽달팽이핵 청신경의 항상성 반응을 유발하여 귀울림을 일으킬 수 있다.[192] 무향실에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윙윙거림이나 휘파람 같은 소리를 듣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93]

일반적으로 귀울림은 난청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가벼운 불쾌감에서 불면증, 우울증 등 크고 작은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다. 귀울림은 본인에게만 들리는 자각적 귀울림과 외부에서 청취 가능한 타각적 귀울림으로 분류된다. 갑자기 생긴 귀울림이 급성 감각 신경성 난청의 유일한 자각 증상일 수도 있으므로, 이비인후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다. 드물지만, 맥박과 동조하는 귀울림 중 일부는 종양이나 혈관 병변에 기인하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2. 1. 심리적 영향

지속적인 귀울림은 과민 반응, 피로, 때로는 임상적인 우울증을 초래할 수 있다.[194][195] 귀울림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적응할 수 있는 짜증나는 질환이지만, 일부 사람들에게는 불안과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다.[19][20] 귀울림으로 인한 짜증은 소리의 크기나 주파수 범위보다는 환자의 심리 상태와 더 강하게 관련되어 있다.[21][22] 심한 짜증을 느끼는 귀울림 환자는 우울증, 불안, 수면 장애, 집중 곤란과 같은 심리적 문제를 겪는 경우가 흔하다.[25][23] 연구에 따르면 귀울림 환자의 45%는 일생 동안 어느 시점에서 불안 장애를 겪는다.[24]

심리학 연구는 귀울림의 심각성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귀울림으로 인한 고통 반응에 초점을 맞춰왔다.[25][26][27][28] 귀울림을 처음 지각했을 때 발생한 조건화가 공포와 불안 같은 부정적인 감정과 연결되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9]

3. 원인

귀울림은 크게 타각적 귀울림과 자각적 귀울림으로 나뉜다.

타각적 귀울림은 의사가 환자의 귀에서 나오는 실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경우이다. 반면, 자각적 귀울림은 환자 본인만 들을 수 있으며, 대부분의 귀울림이 여기에 해당한다.

주관적인 귀울림은 가장 흔한 유형이며, 청력 손실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내이 또는 청신경의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 "이(otic)"성 귀울림이라고 부른다.[30] 이러한 이과적 또는 신경학적 장애에는 감염, 약물, 외상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31] 외상성 소음 노출로 인해 내이의 유모 세포가 손상되는 것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32]

내이 또는 청신경의 장애와 관련이 없는 경우는 "비이(non-otic)"성 귀울림이라고 부른다. 귀울림 환자의 30% 정도는 체감각계의 영향을 받는데, 예를 들어 얼굴, 머리, 턱 또는 목을 움직여 귀울림을 조절할 수 있다.[34]

일부 귀울림은 중추 청각 경로의 신경가소성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청력 손실로 인한 감각 입력 방해가 중추 청각 시스템 뉴런의 항상성 반응을 초래하여 귀울림을 유발한다는 이론이다.[36][35]

3. 1. 타각적 귀울림

의사가 환자의 귀에서 실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경우를 '''타각적 귀울림'''(또는 객관적 귀울림)이라고 한다.[197] 중이(中耳) 주위 근육 경련으로 '찰칵' 또는 '탁탁' 하는 소리가 날 수 있다.[197]

어떤 사람들은 맥박에 맞추어 소리를 듣는 '''박동성 귀울림'''을 경험한다. 이는 혈류 변화나 귀 주위 정맥 흐름 때문에 생길 수 있지만,[198] 귓속 혈액 흐름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한 자각적 증상일 수도 있다. 드물게 박동성 귀울림은 경동맥 동맥류,[199] 경동맥 박리,[200] 거대세포 동맥염[57] 등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의 증상일 수 있다.

타각적 귀울림은 근육 수축이나 맥박 소리를 듣는 것이 특징이며, 턱 근육 움직임이나 목, 얼굴의 혈류와 관련된 소리 때문이다.[49] 이는 근육 또는 근육 집단의 불수의적 경련(근간대성 경련)이나 혈관 상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49]

자발적 이음향 방사(SOAE)—내이에서 생성되어 귀 안에서 측정할 수 있는 희미한 고주파 음—도 이명을 유발할 수 있다.[50]

박동성 귀울림의 감별 진단은 광범위하며 혈관성 원인, 종양, 중이 또는 내이 질환 등을 포함한다.[55] 구체적인 원인은 다음과 같다.

원인 종류세부 원인
혈관성 원인높은 위치에 있거나 개방된 경정맥구, S상 정맥동 게실, 경부 동맥경화증, 경동맥 동맥류,[56] 경동맥 박리,[57] 경막 동정맥루 또는 동정맥 기형[57]
종양부신경절종 (예: 고실 종양, 경정맥 종양), 혈관종 (예: 안면 신경 또는 해면상 혈관종)
중이 원인개방성 이관, 이경화증, 중이 근간대성 수축 (예: 등골근 또는 고막장근 근간대성 수축)
내이 원인상반고리관 개방 증후군[58]



박동성 귀울림은 특발성 두개내 고혈압을 나타낼 수도 있다.[59]

타각적 귀울림은 병변 부위에서 실제로 음파가 발생하여 객관적으로 청취 가능한 귀울림이다. 근육 경련이나 혈관 병변의 박동 등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관 병변이 원인인 경우 치명적일 수 있으므로, 심박에 동조하는 박동성 귀울림을 호소하는 경우 신경외과나 이비인후과 진찰이 필요하다.

3. 2. 자각적 귀울림

자각적 귀울림은 환자 본인만 들을 수 있는 귀울림으로, 대부분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환자에 따라 울리는 소리, 전기 장치 소리, 윙윙거리는 소리, '쉭'하는 소리, 귀뚜라미나 개구리 울음소리, 비프음 등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188] 간헐적 또는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소리 강도는 어깨, 머리, 혀, 턱, 눈 움직임에 따라 변하기도 한다.[189]

청력 검사상 이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는 청력에 이상이 없는데도 귀울림을 겪는 환자도 있다. 특히 10~30대의 경우, 고음/저음부 청력 검사에서는 정상이나 미세한 청각 세포 손상으로 인해 귀울림이 발생하기도 한다.[190] 이는 청각 입력 감소를 보상하기 위해 청신경이 과잉 반응을 일으키는 등쪽달팽이핵 청신경의 항상성 반응으로 설명할 수 있다.[192]

지속적인 귀울림은 과민 반응, 피로,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다.[194][195] 귀울림은 조용한 환경부터 큰 소리까지 다양하게 감지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심한 경우를 '귀울림'이라 부른다. 한 대학 연구에서는 귀울림이 없는 학생 중 93%가 무향실에서 윙윙거리는 소리나 휘파람 소리를 들었다고 한다.[193] 귀울림과 관련된 잠재적 소리 원인(예: 전기 배선, 신호 송수신)은 분석에서 배제해야 한다.[196]

귀울림의 가장 흔한 유형은 주관적 귀울림이다. 내이 또는 청신경 장애로 발생하는 경우 '이(otic)'라고 부르며,[30] 감염, 약물, 외상 등이 원인일 수 있다.[31] 외상성 소음 노출로 인한 내이 유모 세포 손상[32], 교통 소음 공해 장기간 노출[33]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내이, 청신경 장애와 관련 없는 경우는 '비이(non-otic)'라고 부르며, 체감각계 영향을 받는 경우가 30% 정도이다.[34] 머리, 목 움직임만 영향을 주는 경우는 체성 또는 두경부 귀울림이라고 한다.[30]

일부 귀울림은 중추 청각 경로의 신경가소성 변화로 발생할 수 있다. 청력 손실로 인한 감각 입력 방해가 중추 청각 시스템 뉴런의 항상성 반응을 초래하여 귀울림을 유발한다는 이론이다.[36][35] 청력 손실로 특정 주파수 소리가 들리지 않으면, 청각 시스템이 해당 주파수를 증폭하여 보상하므로 외부 소리 없이도 해당 주파수에서 지속적으로 소리 감각이 생성된다.

귀울림의 가장 흔한 원인은 청력 손실이며,[36] 달팽이관 손상이 가장 큰 원인이다. 대부분 근본 원인은 밝혀지지 않는다.[6][37] 이독성 약물은 청력 손실을 유발하거나,[14] 큰 소음 노출로 인한 손상을 악화시켜 주관적 귀울림을 유발할 수 있다.[38] 이러한 손상은 이독성으로 간주되지 않는 용량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39]

벤조디아제핀 치료 중단으로 인해 귀울림이 발생할 수 있으며, 벤조디아제핀 금단 증후군의 장기 증상으로 수개월 지속되기도 한다.[41][42] 부프로피온 같은 약물도 귀울림을 유발할 수 있다.[43] 난청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외유모세포 손상이 원인으로 추정되지만,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병원을 찾은 이명 환자의 80~90%는 난청을 동반한다. 따라서 이명 자각 시 조기에 이비인후과 진찰 및 고막, 청력 검사를 받아야 한다.

3. 2. 1. 자각적 귀울림의 다양한 원인

자각적 귀울림은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대개 청력 손실을 유발하는 이과적 장애와 관련이 있다. 가장 흔한 원인은 소음으로 인한 청력 상실로, 과도하거나 큰 소음에 노출되어 발생한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청력 손실과 함께 뚜렷한 외부 요인이 없는 경우도 있다. 이독성을 가진 약물 또한 자각적 귀울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약물은 난청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독성이 없는 투여량에서도 큰 소음에 의한 손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201]

아스피린과 같은 일부 약물의 부작용으로 자각성 귀울림이 나타날 수 있으며, 항부정맥약인 퀴니딘의 부작용으로도 발생할 수 있다. 260가지가 넘는 약물이 부작용으로 귀울림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02]

자각성 귀울림의 원인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지만, 주로 이러한 증상이나 질병이 귀울림을 유발한다는 의미이며, 반드시 이러한 증상이나 약물만이 귀울림을 일으킨다는 것은 아니다.[203]

원인세부 내용
이과학적 문제 및 청각 손상
신경계 장애
물질 대사 장애
기타 원인


3. 2. 2. 항생제와 귀울림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클로람페니콜, 에리스로마이신, 테트라시클린, 토브라마이신, 반코마이신, 독시사이클린(비브라마이신)[205] 등의 항생제이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201] 이독성은 독소에 의해 귀 내부 기관, 특히 달팽이관, 청신경, 전정 기관 등이 손상되는 것이다. 젠타마이신, 토브라마이신 등이 이독성을 유발할 수 있는 대표적인 항생제이다.[205]

루프 이뇨제는 시간 당 240mg 이상 몸에 흡수되면 이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 이독성 약물을 지속적으로 처방받아야 한다면, 전문의사의 정밀한 검사를 통해 처방량을 최소화해야 한다. 약물로 인한 이독성이 장기간 지속되면 귀 내부 기관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귀울림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면 해당 약물 섭취 중단을 고려해야 한다.[205]

4. 종류

객관적 이명은 자신의 근육 수축이나 맥박 소리를 듣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턱 근육의 움직임이나 목, 얼굴의 혈류와 관련된 소리 때문에 발생한다.[49] 이는 근육 또는 근육 집단의 불수의적 경련(근간대성 경련)이나 혈관 상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중이 주변 근육 경련이 이명을 유발하기도 한다.[49]

자발적 이음향 방사(SOAE)는 내이에서 생성되어 민감한 마이크로 귀 안에서 측정할 수 있는 희미한 고주파 음인데, 이 역시 이명을 유발할 수 있다.[50] SOAE와 이명이 있는 사람의 약 8%는 SOAE 관련 이명을 가지고 있으며, SOAE로 인한 모든 이명 사례는 4% 정도로 추정된다.[50]

5. 병태 생리

귀울림은 뇌의 청각 뇌간 신경 활동 증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61] 청력 손실로 인한 감각 입력 방해가 중추 청각 시스템 뉴런의 항상성 반응을 초래하여 귀울림을 유발할 수 있다.[36][35] 청력 손실 때문에 특정 주파수의 소리가 들리지 않게 되면, 청각 시스템은 해당 주파수를 증폭하여 보상하며, 결국 외부 소리가 없더라도 해당 주파수에서 지속적으로 소리 감각을 생성한다.

교통량이 많은 곳에서의 소음 공해에 장기간 노출되면 귀울림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33] 외상성 소음 노출로 인해 내이의 유모 세포가 손상되는 것도 귀울림의 원인이 될 수 있다.[32]

최근 연구에서는 뇌의 오작동으로 귀울림이 인지된다는 설도 유력하게 여겨지고 있다. 노화 등으로 청각 세포가 손상되면 해당 음높이의 신호를 뇌로 보내지 않게 된다. 그러면 뇌는 해당 음높이의 신호가 오지 않으므로 감도를 높인다. 그래도 신호가 오지 않으면 더욱 감도를 높인다. 이러한 과정에서 신호의 울림과 같은 현상이 일어나며, 이것이 귀울림으로 인식된다는 것이다. 이 경우, 보청기를 사용하여 인식하기 어려운 음높이 부분을 증폭시켜주면 내이에서 소리가 들리게 되고, 뇌도 감도를 높이는 일이 없어지며, 귀울림도 사라진다는 보고가 있다.

6. 진단

귀울림 진단은 증상에 대한 병력 청취, 머리, 목, 신경계 검사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37] 일반적으로 청력 검사(청력도)를 실시하며, 경우에 따라 의료 영상이나 전기안진검사를 시행한다.[37]

이명 평가에는 청력 검사(청력도), 이명의 음조 및 크기와 같은 음향 매개변수 측정, 그리고 이명의 심각성과 관련된 우울증, 불안, 스트레스와 같은 동반 질환에 대한 심리적 평가가 포함될 수 있다.

순음 청력 검사를 통해 얻은 청력도 검사 결과는 원인을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청력 손실이 심각한 경우 보청기 착용을 돕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명의 음높이는 종종 청력 손실 범위 내에 있다. 이명의 음향적 특성 평가는 단음성 이명의 경우 주파수, 좁은 대역 소음 이명의 경우 주파수 범위와 대역폭, 지정된 주파수에서 청력 역치 이상의 dB로 측정되는 소리의 크기, 혼합 지점, 및 최소 차폐 수준과 같은 여러 음향적 매개변수의 측정을 포함한다.[69] 대부분의 경우, 이명의 음조 또는 주파수 범위는 5 kHz에서 10 kHz 사이이며,[70] 소리의 크기는 청력 역치보다 5~15 dB 높다.[71]

이명의 또 다른 관련 매개변수는 잔여 억제인데, 이는 차폐 기간 후에 이명이 일시적으로 억제되거나 사라지는 현상이다. 잔여 억제의 정도는 이명 차폐기가 치료로서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72][73]

이명의 빈번한 동반 증상인 과청각증에 대한 평가도 이루어질 수 있다.[74][75] 과청각증은 소리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과 관련이 있으며 여러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측정할 수 있는 한 가지 매개변수는 청력 주파수 범위 내에서 특정 주파수에서 급성 불쾌감을 느끼는 주관적인 수준인 dB 단위의 소리 불쾌 수준(Loudness Discomfort Level, LDL)이다. 이는 해당 주파수에서의 청력 역치와 소리 불쾌 수준 사이의 동적 범위를 정의한다. 정상적인 청력 역치는 일반적으로 0~20 데시벨(dB)로 정의된다. 정상적인 소리 불쾌 수준은 85~90+ dB이며, 일부 권위자들은 100 dB를 언급한다. 55 dB 이하의 동적 범위는 과청각증을 나타낸다.[76][77]

치료 가능한 질환으로는 중이염, 청신경종, 뇌진탕, 이경화증 등이 있다.[66]

귀울림은 본인에게만 들리는 자각적 귀울림과 외부에서 청취 가능한 타각적 귀울림으로 분류된다. 갑자기 생긴 귀울림이 급성 감각 신경성 난청의 유일한 자각 증상일 수도 있으므로, 되도록 빨리 이비인후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다. 또한 빈도는 적지만, 맥박과 동조하는 귀울림 중 일부는 종양이나 혈관 병변에 기인하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타각적 이명은 병변 부위에서 실제로 음파가 발생하여 본인 외에도 객관적으로 청취가 가능한 이명을 말한다. 심박에 동조하는 박동성 이명을 호소하는 경우에는 신경외과나 이비인후과를 조기에 진찰받아야 한다.

6. 1. 중증도

이명은 수면, 조용한 활동, 일상 활동에 대한 방해 정도에 따라 "경미함"에서 "심각함"까지 평가된다.[78] 이명과 관련된 심리적 과정에 대한 평가는 검증된 자기 보고식 이명 설문지를 통해 주관적으로 측정되는 이명 심각도 및 고통을 측정한다.[25] 이러한 설문지는 청력, 생활 방식, 건강 및 정서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하여 이명과 관련된 심리적 고통과 장애의 정도를 측정한다.[79][80][81]

6. 2. 감별 진단

귀울림 진단 시에는 귀울림과 유사한 소리를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잠재적 원인을 배제해야 한다. 예를 들어, 매우 높은 음은 현대 전기 배선이나 신호 송수신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다.[196] 귀울림과 유사하여 오진되는 흔한 질환으로는 무선 주파수(RF) 청력이 있는데, 이 질환을 겪는 사람들은 귀울림과 유사하게 객관적으로 들리는 고음의 전송 주파수를 듣는다.[88][89]

7. 예방

장기간의 크고 높은 소리 또는 소음 수준 노출은 귀울림으로 이어질 수 있다.[90] 귀마개 등 보호 조치는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고용주는 청력 손실 예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위험한 수준의 소음 노출을 교육하고 예방할 수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관련 규정을 통해 근로자가 프로토콜을 따르면 청력에 영구적인 손상을 입을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한다.[91]

귀 보호를 요구하는 영국 정부 규정의 안전 표지판


오토바이 운전자의 바람 소리와 같이 큰 소음에 과도하게 노출되어 발생하는 귀울림 위험을 피하기 위해 군인,[38] 음악가,[93] DJ,[94] 농업 종사자,[95] 건설 노동자[96] 등 특정 그룹은 귀마개 착용이 권장된다. 이들은 일반 인구에 비해 귀울림 위험이 더 크기 때문이다.

여러 약물이 이독성 효과를 가지며, 이는 소음에 의해 발생하는 손상을 증가시키는 누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38] 이독성 약물 투여 시, 의사가 용량 및 투여 간격 등 처방 세부 사항에 주의를 기울이면 손상을 줄일 수 있다.[14][97][98][99]

8. 관리

특정 원인이 밝혀진 경우, 원인 치료가 귀울림 증상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1] 근본적인 원인 치료가 어려운 경우 대화 치료법,[7] 소리 치료법, 보청기 등이 주요 치료법으로 사용된다. 귀울림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은 없다.[1][100][101]

8. 1. 심리 치료

지속적인 귀울림은 일부 사람들에게 불안과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다.[19][20] 귀울림으로 인한 짜증은 지각되는 소리의 크기나 주파수 범위보다 그 사람의 심리 상태와 더 강하게 관련되어 있다.[21][22] 심한 짜증을 느끼는 귀울림 환자에게는 우울증, 불안, 수면 장애, 집중 곤란과 같은 심리적 문제가 흔하게 나타난다.[25][23] 귀울림 환자의 45%는 일생 동안 어느 시점에서 불안 장애를 겪는다.[24]

연구에 따르면 귀울림의 초기 지각 시 발생한 조건화가 공포와 불안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과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29]

인지 행동 치료(CBT)는 귀울림 환자들이 느끼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이다.[7][84][103][102] 이는 우울증이나 불안에 미치는 영향과는 별개인 것으로 보인다.[103] 수용 전념 치료(ACT) 또한 귀울림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04] 이완 기법 또한 도움이 될 수 있다.[1] 미국 보훈부에서는 점진적 이명 관리라고 불리는 임상 프로토콜을 개발했다.[105]

8. 2. 소리 기반 치료

보청기나 이명 마스크를 이용한 소리 치료는 뇌가 특정 이명 주파수를 무시하도록 돕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증거가 충분하지 않지만, 부정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06][107] 이명 소리 치료에는 여러 접근 방식이 있는데, 개인의 청력 손실을 보상하기 위한 소리 수정과 이명 주파수에 맞춘 음악 치료가 있다. 맞춤형 음악 치료는 신경 영역의 측면 억제에 영향을 주어 이명을 억제할 수 있다.[108][109]

이명 재훈련 치료는 이명 관련 뉴런 활동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뒷받침하는 잠정적인 증거가 존재한다.[1][110][109] 마스킹, 소리 치료, 이완 운동 등을 포함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치료법도 있으며, 이는 독립형 장치나 보청기 제어 시스템으로 작동할 수 있다.[111][112][113]

뉴로모닉스는 소리 기반 치료법 중 하나로, 체계적 둔감화 원리에 기반하여 12개월 동안 진행되는 구조화된 재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뉴로모닉스 치료는 환자가 착용하는 장치를 통해 맞춤형 소리 신호를 전달하여 이명 인지와 관련된 특정 주파수 범위를 목표로 한다.[114]

8. 3. 물리 치료

귀울림에 대한 물리 치료는 턱과 목 근육을 이완시켜 증상을 완화하는 데 중점을 둔다. 특히 교근과 내측익돌근 같은 턱 근육의 긴장은 귀로 퍼져 '''체성 귀울림'''을 유발할 수 있다. 전문 물리 치료사는 신경 근육 기법을 사용하여 이러한 부위의 긴장을 완화시켜 귀울림의 강도와 턱, 치아, 귀 등 관련 부위의 통증을 줄일 수 있다.[115]

8. 4. 약물 치료

특발성 이명에 효과적인 약물은 없다.[1][90][116] 항우울제[117]아캄프로세이트가 유용한지 판단할 증거가 충분하지 않다.[118] 이명의 벤조디아제핀 효과에 대한 연구는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1][116][119][120] 2015년 기준으로 멜라토닌의 유용성은 불분명하다.[121] 항경련제가 이명 치료에 유용한지는 불분명하다.[1][122] 중이에 스테로이드 주사를 하는 것도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123][124] 이명 치료에 베타히스틴 사용이 효과적이라는 증거는 없다.[125]

보툴리눔 독소 주사는 구개 진전으로 인한 객관적 이명의 드문 경우에 성공했다.[126]

카로베린은 이명 치료에 몇몇 국가에서 사용된다.[127] 그 유용성에 대한 증거는 매우 미약하다.[128]

8. 5. 신경 조절

2020년 임상 시험에 대한 정보에 따르면 양극성 신경 조절술이 귀울림 증상을 완화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는 소리를 들려주는 동시에 혀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비침습적 기술이다.[129]

2023년 3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뉴로모드의 레니레(Lenire) 장치를 귀울림 치료 옵션으로 승인했다.[130][131][132] 2024년 6월, 미국 보훈부(VA)는 귀울림 환자인 참전용사에게 해당 치료를 제공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이는 미국 정부로부터 연방 공급 일정(FSS) 계약을 받은 최초의 양극성 신경 조절 장치가 되었다.[132]

일부 증거는 경두개 자기 자극,[1][133] 경두개 직류 자극, 그리고 뇌파 되먹임과 같은 신경 조절 기술을 뒷받침한다.

8. 6. 대체 의학

은행나무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116][134] 미국 이비인후과학회는 멜라토닌이나 아연 보충제를 복용하여 귀울림 증상을 완화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으며, 리보플라보노이드, 마늘, 한의학, 꿀벌 애벌레, 기타 여러 비타민과 미네랄, 동종요법 제제와 같은 많은 식이 보충제의 효과에 대한 증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고했다.[90] 2016년 코크란 리뷰(Cochrane Review) 역시 귀울림과 관련된 증상을 줄이기 위해 아연 보충제를 복용하는 것을 뒷받침할 증거가 충분하지 않다고 결론 내렸다.[135]

9. 예후

귀울림은 완치가 어렵지만, 대부분의 환자는 시간이 지나면서 이명에 적응하게 된다.[7] 소수의 환자에게는 심각한 문제로 남을 수 있다.[7]

10. 역학

전 세계 인구의 10~15%가 귀울림을 경험한다.[7] 55세 이상 북미인의 약 3분의 1이 귀울림을 경험하며,[136] 유럽에서는 7,000만 명이 귀울림을 앓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138][139] 성인의 3분의 1은 일생 중 어느 시점에 귀울림을 경험하고, 10~15%는 의료 평가가 필요할 정도로 귀울림으로 인해 고통받는다.[137]

귀울림은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여겨져 어린이에게는 간과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청력 손실이 있는 어린이는 소아 귀울림 발생률이 높다.[140][141] 어린이들은 귀울림을 자발적으로 보고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증상을 호소하더라도 심각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 있다.[142] 귀울림을 호소하는 어린이들 중에서는 편두통, 소아 메니에르병, 만성 화농성 중이염과 같은 관련 이비인후과 또는 신경과 질환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143] 정상 청력 임계값을 가진 어린이의 귀울림 유병률은 12~36%로 보고되며, 청력 손실이 있는 어린이의 경우 최대 66%까지 보고된다. 약 3~10%의 어린이가 귀울림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44]

참조

[1] 논문 Tinnitus http://eprints.notti[...] 2013-11
[2] 서적 The Human Auditory System – Fundamental Organization and Clinical Disorders
[3] 웹사이트 Tinnitus – noises in the ears or head https://entkent.com/[...] 2021-01-20
[4] 논문 Depression in Patients with Tinnitus: A Systematic Review
[5] 논문 Relationships Between Tinnitus And The Prevalence Of Anxiety And Depression
[6] 웹사이트 Tinnitus http://www.nidcd.nih[...] 2017-03-06
[7] 논문 Tinnitus: causes and clinical management 2013-09
[8] 웹사이트 Taming tinnitus https://www.tinnitus[...]
[9] 웹사이트 Why Does My Tinnitus Get Worse when I'm Stressed? https://jhbi.org/why[...] 2021-05-17
[10] 서적 Ciba Foundation Symposium 85 – Tinnitus
[11] 논문 Tinnitus: characteristics, causes, mechanisms, and treatments 2009-03
[12] 논문 A review of tinnitus 2018-04-01
[13] 논문 Stress and tinnitus—from bedside to bench and back
[14] 논문 Drug-Induced Ototoxicity: A Comprehensive Review and Reference Guide 2020-12
[15] 논문 Head, Neck, and Eye Movements That Modulate Tinnitus
[16] 서적 Tinnitus: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Blackwell Publishing Ltd.
[17] 논문 Incidence, persistence, and progression of tinnitus symptoms in older adults: the Blue Mountains Hearing Study
[18] 논문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tinnitus among US adults
[19] 논문 Psychological aspects of tinnitus and the application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20] 논문 Some psychological aspects of tinnitus
[21] 논문 Mechanisms of tinnitus
[22] 논문 Pulsed versus Continuous Tones for Evaluating the Loudness of Tinnitus 1999-05
[23] 서적 Tinnitus Handbook Singular
[24] 논문 Tinnitus and anxiety disorders: A review https://repository.u[...]
[25] 논문 General review of tinnitus: Prevalence, mechanisms, effects, and management
[26] 서적 Tinnitus Handbook Singular
[27] 논문 Understanding tinnitus distress: Introducing the concepts of moderators and mediators
[28] 논문 The role of catastrophizing in recent onset tinnitus: its nature and association with tinnitus distress and medical utilization
[29] 서적 Tinnitus Retraining Therapy: Implementing the neurophysiological model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논문 Somatic (craniocervical) tinnitus and the dorsal cochlear nucleus hypothesis 1999
[31] 논문 Tinnitus: etiology, classification,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http://www.discovery[...]
[32] 논문 A Review on Peripheral Tinnitus, Causes, and Treat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Autophagy 2022-08-31
[33] 논문 Transportation Noise and Risk of Tinnitus: A Nationwide Cohort Study from Denmark 2023
[34] 논문 Prevalence of Signs and Symptoms of Craniomandibular Disorders in Tinnitus Patients 1990
[35] 논문 Tinnitus with a Normal Audiogram: Physiological Evidence for Hidden Hearing Loss and Computational Model 2011-09-21
[36] 논문 Relationship between Audiometric Slope and Tinnitus Pitch in Tinnitus Patients: Insights into the Mechanisms of Tinnitus Generation 2012-04-18
[37] 논문 Diagnostic approach to patients with tinnitus. 2014-01-15
[38] 논문 Noise: Acoustic Trauma and Tinnitus, the US Military Experience 2020-08
[39] 서적 Ciba Foundation Symposium 85 – Tinnitus
[40] 웹사이트 6) What are some ototoxic drugs? http://stason.org/TU[...] Stason.org 2012-10-26
[41] 서적 Clinical manual of emergency psychiatry https://books.google[...]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42] 서적 Seizures: medical causes and management https://books.google[...] Humana Press
[43] 논문 Tinnitus psychopharmacology: A comprehensive review of its pathomechanisms and management
[44] 논문 Diagnostic approach to tinnitus
[45] 논문 Noise exposure and public health
[46] 서적 Handbook of vitamin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4
[47] 서적 TiHKAL: the continuation http://www.erowid.or[...] Transform Press 2012-10-27
[48] 웹사이트 Erowid Experience Vaults: DiPT – More Tripping & Revelations – 26540 https://www.erowid.o[...]
[49] 웹사이트 MEM, Tinnitus and Ear Drum Spasms https://tinnitusandy[...] 2022-05-24
[50] 논문 General Review of Tinnitus: Prevalence, Mechanisms, Effects, and Management 2005-10
[51] 논문 Pediatric tinnitus: Incidence of imaging anomalies and the impact of hearing loss 2017-12
[52] 논문 Pediatric tinnitus: The role of neuroimaging 2022-05
[53] 웹사이트 Pulsatile tinnitus https://www.actionon[...] Royal National Institute for Deaf People (RNID) 2018-07-22
[54] 논문 Diagnosis and cure of venous hum tinnitus
[55] 논문 Pulsatile Tinnitus: Differential Diagnosis and Radiological Work-Up 2017
[56] 논문 Otologic manifestations of petrous carotid aneurysms
[57] 논문 Carotid artery dissection 2004-06
[58] 논문 Superior Canal Dehiscence Syndrome: Lessons from the First 20 Years 2017-04-28
[59] 논문 Objective Tinnitus in Benign Intracranial Hypertension: An Update 1990-01
[60] 백과사전 Arteriovenous Malformation (AVM) Springer
[61] 논문 Characteristics of tinnitus and etiology of associated hearing loss: a study of 123 patients
[62] 논문 Sensorineural Tinnitus: Its Pathology and Probable Therapies
[63] 논문 An Integrative Tinnitus Model Based on Sensory Precision
[64] 논문 Maladaptive plasticity in tinnitus – triggers, mechanisms and treatment
[65] 논문 Management of palatal myoclonic tinnitus based on clinical characteristics: a large case series study 2020-07-02
[66] 논문 Diagnostic Approach to Tinnitus 2004
[67] 논문 The prevalence of hearing impairment and reported hearing disability among adults in Great Britain
[68] 논문 “Measurement” of Tinnitus 2016
[69] 논문 Psychoacoustic measures of tinnitus. 2000-03
[70] 논문 The Relevance of the High Frequency Audiometry in Tinnitus Patients with Normal Hearing in Conventional Pure-Tone Audiometry
[71] 논문 Psychoacoustic assessment to improve tinnitus diagnosis
[72] 서적 Tinnitus: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73] 논문 Residual inhibition functions overlap tinnitus spectra and the region of auditory threshold shift
[74] 논문 Advances in the neurobiology of hearing disorders: recent developments regarding the basis of tinnitus and hyperacusis
[75] 논문 A Review of Hyperacusis and Future Directions: Part I. Definitions and Manifestations 2014-12
[76] 논문 Estimates of Loudness, Loudness Discomfort, and the Auditory Dynamic Range: Normative Estimates, Comparison of Procedures, and Test-Retest Reliability 2005-02
[77] 논문 A Review of Hyperacusis and Future Directions: Part II. Measurement, Mechanisms, and Treatment 2014-12
[78] 논문 Guidelines for the grading of tinnitus severity: the results of a working group commissioned by the British Association of Otolaryngologists, Head and Neck Surgeons, 1999 2001-10
[79] 서적 Tinnitus: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80] 서적 Tinnitus: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81] 논문 The Tinnitus Functional Index: Development of a New Clinical Measure for Chronic, Intrusive Tinnitus 2012-03
[82] 서적 The Psychological Management of Chronic Tinnitus: A Cognitive Behavioural Approach Allyn and Bacon
[83] 논문 Methodological aspects of clinical trials in tinnitus: A proposal for international standard
[84] 논문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for tinnitus https://www.hopefort[...] 2010-09-08
[85] 논문 Pulsatile Tinnitus: Differential Diagnosis and Radiological Work-Up
[86] 논문 Pulsatile tinnitus: imaging and differential diagnosis
[87] 논문 Pulsatile tinnitus: contemporary assessment and management 2011-10
[88] 논문 Auditory response to pulsed radiofrequency energy
[89] 논문 Hearing of microwave pulses by humans and animals: effects, mechanism, and thresholds
[90] 논문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innitus
[91] 웹사이트 NIOSH Program Portfolio : Hearing Loss Prevention : Program Description https://www.cdc.gov/[...] 2019-02-05
[92] 웹사이트 Bike news https://www.carolena[...] null
[93] 논문 Surrounded by Sound: The Impact of Tinnitus on Musicians 2021-08-27
[94] 웹사이트 DJs Shouldn't Have to Live With Constant Ringing in Their Ears https://www.vice.com[...] 2016-08-09
[95] 논문 Hearing Difficulties and Tinnitus in Construction, Agricultural, Music, and Finance Industries: Contributions of Demographic, Health, and Lifestyle Factors 2019-01
[96] 웹사이트 Construction Statistics – Occupational Hearing Loss Surveillance | NIOSH | CDC https://www.cdc.gov/[...] 2021-11-12
[97] 논문 Pharmacological drugs inducing ototoxicity, vestibular symptoms and tinnitus: a reasoned and updated guide. 2011-06
[98] 논문 Drug-induced otoxicity: current status 2001-07
[99] 논문 Drug-induced tinnitus and other hearing disorders
[100] 웹사이트 Drug Therapies https://www.ata.org/[...] 2015-03-20
[101] 논문 Avenue for Future Tinnitus Treatments 2020-08
[102] 논문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tinnitus distress
[103] 논문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examining tinnitus management
[104] 논문 The efficacy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4-10
[105] 웹사이트 Chapter 9 – Level 5 Individualized Support http://www.ncrar.res[...] US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National Center for Rehabilitative Auditory Research
[106] 논문 Sound therapy for tinnitus management: practicable options
[107] 논문 Sound therapy (using amplification devices and/or sound generators) for tinnitus 2018-12-27
[108] 논문 Maladaptive plasticity in tinnitus – triggers, mechanisms and treatment 2016-03
[109] 논문 Evidence and evidence gaps in tinnitus therapy 2016-12-15
[110] 논문 Tinnitus Retraining Therapy (TRT) for tinnitus
[111] 논문 Mobile applications in otolaryngology for patients: An update: Otolaryngology Apps for Patients 2018-12
[112]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Healthcare Applications for Smartphones 2012-12
[113] 논문 Review of Smart Services for Tinnitus Self-Help, Diagnostics and Treatments 2018-08-20
[114] 논문 Sound therapy (masking) in the management of tinnitus in adults 2012-11-14
[115] 논문 The Effect of Physical Therapy on Somatosensory Tinnitus https://doi.org/10.3[...]
[116] 논문 Tinnitus 2018-03
[117] 논문 Antidepressants for patients with tinnitus 2012-09-12
[118] 논문 Tinnitus 2009-11-12
[119] 논문 Tinnitus 2014-10
[120] 논문 Review of Pharmacotherapy for Tinnitus 2021-06
[121] 논문 Clinical pharmacology of melatonin in the treatment of tinnitus: a review. 2015-03
[122] 논문 Anticonvulsants for tinnitus 2011-07-06
[123] 논문 Evaluation and Treatment of Tinnitus: Comparative Effectiveness https://www.ncbi.nlm[...] 2013
[124] 논문 Intratympanic corticosteroids injections: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2015-06-23
[125] 논문 Betahistine for tinnitus 2018
[126] 논문 Botulinum Toxin Treatment of Objective Tinnitus Because of Essential Palatal Tremor: A Systematic Review
[127] 서적 Martindale Pharmaceutical Press 2009
[128] 논문 Emerging pharmacotherapy of tinnitus. 2009-12
[129] 논문 New Tinnitus Treatment Alleviated Annoying Ringing in the Ears https://www.scientif[...] Springer Nature America, Inc. 2020-10-07
[130] 웹사이트 First Bimodal Neuromodulation Device for Tinnitus Gets FDA Nod https://www.medpaget[...] 2023-03-08
[131] 웹사이트 FDA Grants De Novo Approval to Non-Invasive Tinnitus Treatment Device https://www.drugtopi[...] 2023-03-14
[132] 웹사이트 Neuromod inks contract to treat US veterans with tinnitus device https://www.medicald[...] 2024-06-18
[133] 논문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for tinnitus 2011-10-05
[134] 논문 Ginkgo biloba for tinnitus 2013-03-28
[135] 논문 Zinc supplements for tinnitus 2016-11-23
[136] 논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somatosensory tinnitus: review article
[137] 논문 Classification and epidemiology of tinnitus
[138] 웹사이트 Transkribering av #89: Varför får man tinnitus? https://ki.se/forskn[...] Karolinska Institutet
[139] 웹사이트 Almost 15% of Europe's adults have a ringing in their ears, say researchers https://cordis.europ[...] European Commission: CORDIS
[140] 논문 Tinnitus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in children with hearing loss
[141] 논문 Risk factors of pediatric tinnitu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06
[142] 논문 Tinnitus in childhood
[143] 서적 Ballantyne's Deafness Wiley-Blackwell
[144] 논문 Tinnitus in children: an uncommon symptom? 2010-08-01
[145] 서적 Clinical manual of emergency psychiatry https://books.google[...]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 2010-04-12
[146] 서적 Seizures: medical causes and management https://books.google[...] Humana Press 2001-11-27
[147] 논문 Tinnitus: causes and clinical management 2013-09
[148] 웹사이트 Drug Therapies https://www.ata.org/[...] 2015-03-20
[149] 논문 Avenue for Future Tinnitus Treatments 2020-08
[150] 논문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for tinnitus 2010-09-08
[151] 논문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tinnitus distress
[152] 논문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e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examining tinnitus management
[153] 논문 The efficacy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4-10
[154] 웹사이트 Chapter 9 – Level 5 Individualized Support http://www.ncrar.res[...] US Department of Veterans Affairs, National Center for Rehabilitative Auditory Research
[155] 논문 Sound therapy for tinnitus management: practicable options
[156] 논문 Sound therapy (using amplification devices and/or sound generators) for tinnitus 2018-12-27
[157] 논문 Maladaptive plasticity in tinnitus – triggers, mechanisms and treatment 2016-03
[158] 논문 Evidence and evidence gaps in tinnitus therapy 2016-12-15
[159] 논문 Tinnitus Retraining Therapy (TRT) for tinnitus
[160] 논문 Mobile applications in otolaryngology for patients: An update: Otolaryngology Apps for Patients 2018-12
[161]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Healthcare Applications for Smartphones 2012-12
[162] 논문 Review of Smart Services for Tinnitus Self-Help, Diagnostics and Treatments 2018-08-20
[163] 논문 Sound therapy (masking) in the management of tinnitus in adults 2012-11-14
[164] 논문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innitus
[165] 논문 Tinnitus 2018-03
[166] 논문 Antidepressants for patients with tinnitus 2012-09-12
[167] 논문 Tinnitus 2009-11-12
[168] 논문 Tinnitus http://eprints.notti[...] 2013-11
[169] 논문 Tinnitus 2014-10
[170] 논문 Review of Pharmacotherapy for Tinnitus 2021-06
[171] 논문 Clinical pharmacology of melatonin in the treatment of tinnitus: a review. 2015-03
[172] 논문 Anticonvulsants for tinnitus 2011-07-06
[173] 논문 Evaluation and Treatment of Tinnitus: Comparative Effectiveness https://www.ncbi.nlm[...] 2013
[174] 논문 Intratympanic corticosteroids injections: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2015-06-23
[175] 논문 Betahistine for tinnitus 2018
[176] 서적 Martindale Pharmaceutical Press 2009
[177] 저널 Emerging pharmacotherapy of tinnitus. 2009-12
[178] 저널 Botulinum Toxin Treatment of Objective Tinnitus Because of Essential Palatal Tremor: A Systematic Review
[179] 저널 New Tinnitus Treatment Alleviated Annoying Ringing in the Ears https://www.scientif[...] Springer Nature America, Inc. 2020-10-07
[180] 웹사이트 First Bimodal Neuromodulation Device for Tinnitus Gets FDA Nod https://www.medpaget[...] 2023-03-08
[181] 웹사이트 FDA Grants De Novo Approval to Non-Invasive Tinnitus Treatment Device https://www.drugtopi[...] 2023-03-14
[182] 웹사이트 Neuromod inks contract to treat US veterans with tinnitus device https://www.medicald[...] 2024-06-18
[183] 저널 Repetitiv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for tinnitus 2011-10-05
[184] 저널 Ginkgo biloba for tinnitus 2013-03-28
[185] 저널 Zinc supplements for tinnitus 2016-11-23
[186] 웹인용 Guidelines for the Grading of Tinnitus Severity http://www.otohns.ne[...] 2011-04-16
[187] 서적 Prevalence of tinnitus and audiometric shape
[188] 문서 Tinnitus http://www.nlm.nih.g[...]
[189] 저널 Head, Neck, and Eye Movements That Modulate Tinnitus.
[190] 저널 Characteristics of tinnitus and etiology of associated hearing loss: a study of 123 patients.
[191] 저널 Course of hearing loss and occurrence of tinnitus.
[192] 저널 Development of tinnitus-related neuronal hyperactivity through homeostatic plasticity after hearing loss: a computational model
[193] 저널 Noise exposure and subjective hearing symptoms among school children in Sweden http://openurl.ingen[...]
[194] 저널 Psychiatry of subjective tinnitus: conceptual, historical and clinical aspects
[195] 저널 Psychiatric Morbidity in subjects with inner ear disease
[196] 문서 Auditory response to pulsed radiofrequency energy http://cat.inist.fr/[...]
[197] 웹인용 ENT Health Information > Hearing > Tinnitus http://www.entnet.or[...] 2011-04-19
[198] 저널 Diagnosis and cure of venous hum tinnitus
[199] 저널 Otologic manifestations of petrous carotid aneurysms http://www.ajnr.org/[...]
[200] 저널 Carotid Artery Dissection http://www.treatment[...] 2011-04-19
[201] 저널 Ototoxic drugs and noise
[202] 문서 What are some ototoxic drugs? http://stason.org/TU[...]
[203] 저널 Diagnostic approach to tinnitus
[204] 저널 Noise exposure and public health
[205] 웹인용 Vibramycin, Vibramycin 50, Patient Information Leaflet from the eMC http://emc.medicines[...] 2011-04-20
[206] 문서 ', Erowid Online Books : "TIHKAL" - #36. 5-MEO-DET http://www.erowid.or[...]
[207] 문서 Experience Vaults: DiPT - More Tripping & Revelations - 26540 https://www.erowid.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