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깨는 참깨와 들깨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참깨는 유마, 지마, 호마 등으로, 들깨는 백소, 수임 등으로 불리며, 빛깔에 따라 참깨는 흰깨와 검은깨로 나뉜다. 한국 요리에서 참깨와 들깨는 기름, 씨, 잎, 꽃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며, 깨강정, 깨죽, 깻잎 등 다양한 음식의 재료로 사용된다. 또한, 깨는 다른 나라의 요리에도 사용되며, "깨가 쏟아지다", "깨소금 맛" 등과 같은 다양한 관용 표현으로도 쓰인다.
한국에서 참깨는 유마, 지마, 호마, 진임 등으로 불리며, 들깨는 백소, 수임, 야임, 임자 등으로 불린다.[1] 참깨는 빛깔에 따라 흰깨, 백유마, 백지마, 백호마(흰색), 검은깨, 검정깨, 흑유마, 흑지마, 흑호마, 거승, 흑임자(검은색) 등으로 불린다.[1] 흑임자는 검은 참깨를 뜻하지만, 임자는 들깨를 의미한다.[1]
참깨와 들깨는 참기름과 들기름을 짜는 데 쓰기도 하지만, 기름을 짜지 않고 씨를 볶아서 요리에 쓰기도 한다. 잎과 꽃도 먹는다. 깻잎 중 요리에 쓰는 것은 주로 들깻잎이고, 참깻잎은 한약재로 쓴다. 깨의 꽃을 쓰는 음식으로는 깨보숭이가 있는데, 들깨의 꽃송이에 찹쌀가루를 묻혀서 기름에 튀겨 만든다.
2. 이름
일본어로는 참깨를 '호마'(ゴマ/胡麻), 들깨를 '임호마'(エゴマ/荏胡麻)라고 부른다.[1] 중국어로는 참깨를 '지마'(芝麻), 들깨를 '백자소'(白紫苏)라고 부른다.[1] 중국어에서 '자소'(紫苏)는 들깨와 차조기 등을 포함하는 들깨종을, 일본어에서 '자소'(紫蘇)는 차조기를 일컫는 말로, 들깨를 가리키지 않는다.[1]
영어권에서는 참깨를 '새서미'(sesame), 들깨를 '퍼릴라'(perilla)로 구분한다.
2. 1. 한국
참깨는 유마(油麻), 지마(脂麻/芝麻), 호마(胡麻), 진임(眞荏) 등으로 불리며, 들깨는 백소(白蘇), 수임(水荏), 야임(野荏), 임자(荏子) 등으로 불린다.[1]
들깨는 빛깔에 따라 구분해 부르지 않지만, 참깨는 빛깔이 흰 것은 '''흰깨''', 백유마(白油麻), 백지마(白脂麻/白芝麻), 백호마(白胡麻) 등으로 부르고, 빛깔이 검은 것은 '''검은깨''', '''검정깨''', 흑유마(黑油麻), 흑지마(黑脂麻/黑芝麻), 흑호마(黑胡麻), 거승(苣蕂/苣勝/巨勝), 흑임자(黑荏子) 등으로 부른다.[1]
흑임자는 검은 참깨이지만 임자는 들깨이다.[1]
2. 2. 한자문화권
일본어에서 참깨는 '''호마'''(ゴマ/胡麻|고마일본어)로, 들깨는 '''임호마'''(エゴマ/荏胡麻|에고마일본어)로 부른다.[1]
중국어에서 참깨는 '''지마'''(芝麻|zhīma중국어)로, 들깨는 '''백자소'''(白紫苏|báizǐsū중국어)로 부른다.[1]
중국어에서 자소(紫苏|쯔쑤중국어)는 들깨와 차조기 등을 포함하는 들깨종(''Perilla frutescens'')을 일컫는 말로, 한국어에서 백소(白蘇), 청소(靑蘇), 적소(赤蘇)로 일컫는 아종들을 중국어에서는 백자소(白紫苏|바이쯔쑤중국어), 청자소(青紫苏|칭쯔쑤중국어), 홍자소(红紫苏|홍쯔쑤중국어)로 부른다.[1] 일본어에서 자소(紫蘇|시소일본어)는 차조기(''P. frutescens'' var. ''crispa'')를 일컫는 말로, 들깨를 가리키지 않는다.[1]
2. 3. 기타
영어권에서 참깨는 '''새서미'''(sesame영어)로, 들깨는 '''퍼릴라'''(perilla영어)로 구분해 부른다.
3. 쓰임새
3. 1. 한국의 요리
참깨와 들깨는 참기름과 들기름을 짜는 데 쓰기도 하지만, 기름을 짜지 않고 씨를 볶아서 요리에 쓰기도 한다. 잎과 꽃도 먹는다. 깻잎 중 요리에 쓰는 것은 주로 들깻잎이고, 참깻잎은 한약재로 쓴다. 깨의 꽃을 쓰는 음식으로는 깨보숭이가 있다. 들깨의 꽃송이에 찹쌀가루를 묻혀서 기름에 튀겨 만든다.
들깨와 검정깨는 현미, 찹쌀, 보리, 검정콩, 율무와 함께 불교 수도자들이 참선할 때 먹던 건강식의 재료이다. 선식은 위 일곱 가지 곡식으로 만들며 위에 부담을 주지 않고 머리를 맑게 한다.
3. 2. 다른 나라의 요리
참깨볼은 찹쌀가루로 만들어 튀긴 빵으로, 겉은 참깨로 덮여 있고 바삭하고 쫄깃한 식감을 가지고 있다.
4. 관용어
참조
[1]
웹인용
깨01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6-12-02
[2]
웹인용
깨소금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6-12-02
[3]
웹인용
깨춤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6-1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