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리마역은 세이부 철도의 이케부쿠로선, 토시마선, 유라쿠초선, 그리고 도쿄 도 교통국의 오에도선이 환승하는 역이다. 세이부 철도 역은 토시마선과 유라쿠초선의 기점이며, 이케부쿠로선, 토시마선, 유라쿠초선이 지난다. 4면 4선의 고가역으로, 유라쿠초선 열차는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 부도심선, 도큐 도요코선, 요코하마 고속 철도 미나토미라이선과 직결 운행한다. 도쿄 도 교통국 오에도선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다. 역 구조는 세이부 철도와 도쿄 도 교통국 역사가 분리되어 있으며, 세이부 철도는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 고가역, 오에도선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지하역이다. 네리마역은 세이부 철도와 도영 지하철 모두 이용객이 많은 역으로, 주변에는 네리마구청, 네리마 문화 센터 등의 시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세이부 유라쿠초선 - 고타케무카이하라역 고타케무카이하라역은 도쿄도 네리마구와 이타바시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 세이부 유라쿠초선이 지나며 각 노선은 직결 운행하고, 과거 평면 교차 문제 개선을 위한 연락선 건설 후 스위치에서 제작한 발차 멜로디가 사용되고 있다.
세이부 유라쿠초선 - 신사쿠라다이역 신사쿠라다이역은 도쿄도 네리마구에 위치한 세이부 철도 세이부 유라쿠초선의 지하역으로, 세이부 이케부쿠로선과 직결 운행하며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 후쿠토신선과 상호 직통 운전을 시행하고, 주변에는 무사시 대학, 무사시노 음악 대학 등의 교육 시설과 라이프 코퍼레이션과 같은 상업 시설이 있다.
네리마구의 철도역 - 나카무라바시역 나카무라바시역은 도쿄도 네리마구에 위치한 세이부 철도 이케부쿠로 선의 고가역으로, 각역정차 열차만 정차하며 도큐 도요코선, 미나토미라이선과 직결 운행하고, 역 주변에는 네리마구립 미술관 등의 문화 시설과 세이유 등의 상업 시설이 있다.
네리마구의 철도역 - 고타케무카이하라역 고타케무카이하라역은 도쿄도 네리마구와 이타바시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도쿄 메트로 유라쿠초선, 도쿄 메트로 후쿠토신선, 세이부 유라쿠초선이 지나며 각 노선은 직결 운행하고, 과거 평면 교차 문제 개선을 위한 연락선 건설 후 스위치에서 제작한 발차 멜로디가 사용되고 있다.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 이루마시역 이루마시역은 사이타마현 이루마시에 있는 세이부 철도 이케부쿠로선의 역으로, 1915년 개업하여 1967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3면 4선의 지상역으로 모든 여객 영업 열차가 정차하고, 2023년 기준 하루 평균 약 29,667명이 이용한다.
세이부 이케부쿠로선 - 기요세역 기요세역은 1924년 개업한 도쿄도 기요세시 소재 세이부 철도 이케부쿠로 선의 역으로, 주요 교통 거점이며 2024년에는 개업 100주년을 기념하여 발차 멜로디를 변경했다.
네리마역은 세이부 철도와 도에이 지하철의 역사가 분리되어 있다. 세이부 철도는 2개의 상대식 승강장과 4개의 선로를 갖춘 고가역이며, 통과 열차를 위한 별도의 선로가 양쪽에 있다.[2] 도에이 지하철은 2개의 선로를 갖춘 지하 섬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다.[2] 각 승강장과 개찰구는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로 연결되며, 대기실도 갖추고 있다.
3. 1. 세이부 철도
네리마역은 2면 4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으로, 통과 열차를 위한 별도의 선로가 양쪽에 있다.[2] 승강장과 개찰구 사이에는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역에는 대합실도 마련되어 있다.
세이부 유라쿠초선은 네리마역 도착 시 자동 안내 방송에서 "세이부 유라쿠초선"이라고 안내하지 않고, 직통처인 "지하철 유라쿠초선·후쿠토신선"으로 안내한다.
특급열차는 대부분 네리마역을 통과하지만, 킨챠쿠다 만다라케·치치부 시바자쿠라 개화 시 또는 세이부 돔에서 "국제 장미와 가드닝 쇼" 개최 시에는 일부 특급 열차가 임시 정차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네리마역과 이케부쿠로·도코로자와 사이는 이용할 수 없다.[25]
쾌속 급행은 지하철 직통 열차만 정차하며, 이케부쿠로역 착발 열차는 모두 통과한다. 2020년 3월 14일 개정 이후 하행 쾌속 급행은 모두 네리마역에 정차하며, 2022년 3월 12일 개정으로 네리마역을 통과하는 이케부쿠로행 쾌속 급행은 평일 아침 1편만 남게 되었다.
과거 고가화 이전에는 "열리지 않는 건널목"과 영화관이 있었다.
8량 편성 열차는 승강장 중간 부근에 정차한다.
유료 좌석 지정 열차 "S-TRAIN"은 평일 하행(도코로자와 방면)만 하차 전용역으로 정차한다.[26]
4. 2. 도쿄 도 교통국
- 도영 오에도 선 승강장이 있으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갖춘 지하역이다. 도초마에, 롯폰기, 다이몬 방면(이다바시, 료고쿠 방면은 도초마에 역에서 환승)과 히카리가오카 방면 열차가 운행된다.[22]
승강장과 개찰구, 개찰구와 A2 출입구 사이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장과 개찰구, 개찰구와 A1 출입구, 세이부선 연락구 사이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화장실은 지하 1층 개찰구 안에 있으며, "모두를 위한 화장실"도 설치되어 있다. 도초마에역무관구 네리마역무구로서, 히카리가오카역 - 히가시나카노역 간의 각 역을 관리하고 있다.
2000년 (헤이세이 12년) 4월 20일: 도영 지하철 12호선이 오에도 선으로 명칭 변경.
6. 이용 현황
네리마역은 세이부 철도와 도에이 지하철 모두에서 이용객이 많은 역 중 하나이다. 2013 회계 연도에 네리마역은 세이부 철도 네트워크에서 4번째로 승객이 많은 역으로, 하루 평균 118,601명이 이용했다.[5] 2012 회계 연도에는 도에이 지하철 역을 하루 평균 35,765명의 승객이 이용했다.[6]
1915년 개업 당시부터 1950년대까지는 1일 평균 승차 인원이 수백 명에서 수천 명 수준이었으나, 이후 이케부쿠로선 개통과 함께 승객 수가 급증하였다. 1991년 도에이 지하철 12호선(현 오에도선)이 개통되면서 환승객이 더해져 이용객이 더욱 늘어났다.
네리마역 북쪽 출구 로터리에는 다양한 버스 노선들이 발착하며, 주변 지역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남쪽 출구 센카와 거리에서 노선 버스가 발착했으나, 2003년 북쪽 출구 로터리가 완성된 이후로는 대부분의 노선이 북쪽 출구 터미널을 이용하고 있다.[127][128] 도영 버스 신에62계통(2013년 3월 31일 폐지)만 남쪽 출구에서 발착했었다.
칸에츠 자동차도를 경유하는 고속버스 정류장은 남쪽 출구에서 도보 약 5분 거리인 메지로 거리 상의 "네리마구청 앞" 버스 정류장에 있다. 고속버스 안내에서는 '''네리마역 (네리마구청 앞)'''으로 표시된다. 하행은 승차 전용, 상행은 하차 전용이며, 대합실이나 공중 전화 등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다음은 네리마역 북쪽 출구 로터리 버스 승강장과 네리마구청 앞 고속버스 정류장의 노선 정보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