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인조이재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이버 인조이재팬은 2002년 한일 월드컵을 계기로 한국과 일본 네티즌 간의 교류를 위해 개설된 온라인 커뮤니티였다. 한국어와 일본어 기계 번역 시스템을 통해 양국 사용자 간의 소통을 지원했으며, 여행, 문화, 음식, 스포츠 등 다양한 주제의 게시판을 운영했다. 특히 역사 관련 게시판에서는 양국 간의 역사 인식을 둘러싼 격렬한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인조이재팬은 일본에서 '엔코리'로 불렸으며, 혐한 단체인 재일 특권을 용납하지 않는 시민 모임(재특회) 결성의 기반이 되기도 했다. 2009년 서비스를 종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자 게시판 - ANSI 아트
ANSI 아트는 확장된 ASCII 문자 세트와 ANSI 이스케이프 코드를 사용하여 색상과 그래픽을 표현하는 텍스트 기반 시각 예술의 한 형태로, PC 통신과 BBS 시스템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나 인터넷의 등장 후 쇠퇴, 2000년대 이후 리눅스 환경 등에서 다시 부활하고 있다. - 전자 게시판 - 스레드 플로트형 게시판
스레드 플로트형 게시판은 최신 게시글을 기준으로 스레드 목록을 정렬하여 새 글이 올라올 때마다 해당 스레드가 최상단으로 이동하는 게시판으로, 일본에서 처음 등장하여 익명 게시판 문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한민국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 없어진 웹사이트 - 판도라TV
1996년 시작시스템즈로 출발한 판도라TV는 국내 최초 동영상 서비스 론칭 후 사업을 다각화했으나, 2023년 동영상 플랫폼 서비스를 종료하고 블록체인 전문 기업으로 전환하여 현재는 자회사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 없어진 웹사이트 - 구글 버즈
구글 버즈는 구글이 출시한 소셜 네트워킹 및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로 Gmail과 통합되어 소셜 네트워크를 형성하려 했으나, 개인 정보 보호 문제로 비판받고 2011년에 종료되어 사용자 데이터는 구글 드라이브로 이전되었다. - 네이버의 서비스 - 네이버 뉴스
네이버 뉴스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뉴스 서비스로, 뉴스 스탠드와 뉴스 라이브러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뉴스 스탠드는 이용률 저조 등의 문제점을 겪고, 뉴스 라이브러리는 과거 신문 기사를 제공한다. - 네이버의 서비스 - 네이버페이
네이버페이는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및 모바일 결제 서비스로, 간편 결제 기능과 네이버페이 포인트 적립, 삼성페이 연동 등의 주요 기능을 제공하며, 체크카드와 신용카드 출시 및 다양한 이벤트와 제휴를 통해 사용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네이버 인조이재팬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웹사이트 정보 | |
이름 | 네이버 인조이재팬 |
종류 | 번역 게시판 |
소유자 | 네이버 |
제작자 | 네이버 |
시작일 | 2002년 6월 |
언어 | 한국어, 일본어 |
현재 상태 | 종료 |
2. 개설 배경 및 목적
2002년 한일 월드컵 개최를 계기로 대한민국과 일본 네티즌 간의 교류를 위한 장소로 개설되었다. 한국어와 일본어 간 기계번역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어 사이트 번역은 물론 댓글 번역도 지원되었다. 한국 측 사용자가 한국어로 글을 작성하면 기계번역을 거쳐 일본어로 번역된 뒤 일본 측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방식이며, 그 반대도 성립한다.[1]
2002년 한일 월드컵 개최를 계기로 대한민국과 일본의 네티즌 교류를 위해 개설되었다. 한국어와 일본어 간 기계번역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어 사이트 번역은 물론 댓글 번역도 지원되었다. 한국측 사용자가 한국어로 글을 작성하면 기계번역을 거쳐 일본어로 번역된 뒤 일본측 사용자에게 표시되는 방식이었다. 그 반대도 성립한다.
인조이재팬의 '역사', '전통', '시사뉴스' 등 일부 게시판에서는 한일 양국 네티즌 간의 역사 인식을 둘러싼 논쟁이 격화되었다. 특히 역사 게시판은 가장 격렬한 논쟁이 벌어지는 곳이었다. 주요 논점은 한일병합의 국제법상 적법성 여부, 일본 제국의 조선에 대한 식민지 근대화론 문제, 일본 제국에 의한 한글 탄압 정책의 진위 여부, 창씨개명, 종군 위안부, 한일청구권협정 문제 등 다방면에 걸쳤다.[3]
3. 주요 기능 및 특징
인조이재팬에는 여러 게시판이 마련되어 있었다. ‘여행’, ‘생활/문화’, ‘음식’, ‘스포츠’ 등 취미 활동과 관련된 게시판은 양국 유저들의 정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고, 특히 ‘만화/애니’ 게시판에서는 한일 교류의 취지에 맞게 공동창작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한편 ‘역사’, ‘전통’, ‘시사뉴스’ 게시판에서는 양국 간 다양한 문제를 둘러싸고 격렬한 논쟁이 벌어지는 경우가 잦았다. 특히 역사판은 한일 간 역사 인식의 문제를 두고 격렬한 논쟁이 벌어지는 곳이었다.
4. 역사 논쟁
초기에는 네이버가 운영했던 서비스인 만큼 한국 측 사용자가 압도적으로 많아 일본 측 사용자가 수적으로 밀리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일본의 익명 커뮤니티 사이트인 2채널(지금의 5채널)에서 한일 관계와 역사 문제에 관심을 가진 사용자들이 유입되면서 상황이 변화하였다. 한국 측 사용자는 주로 고등학생, 대학생 등 10대가 많았으므로 의무교육 과정의 교과서와 학습 만화책을 통해 배운 지식으로 토론을 전개했으나, 일본 측 사용자는 2채널 방식의 '출처 지상주의'에 기반하여 아시아역사자료센터(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일본어)[3] 소재의 기록 및 외교 문서 등 1차 자료와 논문, 연구서 등 2차 자료를 통한 실증주의적 토론에 능숙했다. 또한 일본 측에는 자료 공유와 논쟁을 지원하는 NAVER Watch 등의 정리 사이트가 개설되어 조직적으로 역사 논쟁에 참여하게 되었다.[3]
4. 1. 네이버 총독부
인조이재팬에서 벌어진 역사 논쟁에서 일본 측 역사 '논객'이 조직화되어 나타난 결과가 바로 네이버 총독부(寧覇総督府|네이버 총독부일본어)이다. 당초 익명제였던 방침을 개정하여 2003년 5월부터 고정 ID 제도가 도입되자, 몇몇 유력한 사용자가 눈에 띄게 되면서 일부 논객을 중심으로 집단 정체성이 형성되었다. 특히 유력한 논자였던 jpn1_rok0, zeong, polalis는 '삼악인'(三悪人|삼악인일본어)으로 불리며 네이버 총독부의 수뇌격이 되었다. 네이버 총독부는 위키 사이트를 통해 사료를 공유하고 토론을 지원하는 한편, 연대기 형식의 일기를 작성하여 인조이재팬에서 벌어진 논쟁의 경과를 체계적으로 기록하였다.
또한, 네이버 총독부는 엔초(延懲|엔초일본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거나 플래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 등 인터넷 밈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4. 2. 청산리 전투 논쟁
2003년 9월 29일, 인조이재팬 문화 게시판에서 한국측 사용자 dymaxion이 청산리 전투에 관한 스레드를 개설하면서 논쟁이 시작되었다. 한국측은 신용하 교수와 박은식의 《한국독립운동지혈사》를 근거로 김좌진 장군이 이끈 한국독립군이 일본군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다고 주장했다. 한국측 자료에 따르면 일본군 사상자는 천 명에서 3천 명 정도로 추산되었다.[3]
그러나 일본측 사용자는 청산리 ‘대첩’을 대한민국의 ‘건국 신화’로 치부하며 반박했다. dymaxion은 김좌진 장군 기념사업회 홈페이지에서 청산리 대첩에서 퇴각하는 일본군이라는 설명이 달린 사진을 증거로 제시했지만, 일본측의 고증에 의하면 이 사진은 1938년 이후의 사진으로 밝혀졌다. 또한 일본 아시아역사자료센터(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아시아 역사자료 센터일본어)의 출병 사료와 야스쿠니 신사의 합사 기록에서도 일본군의 피해는 사망자 10명 정도로 경미했다. 군사사학회( 軍事史学会|군사사학회일본어)의 학회지 《군사사학》(軍事史学|군사사학일본어) 1979년 제15-3호에 기고된 논문[4] 역시 일본군의 피해가 경미했음을 뒷받침했다.
한국측 논객 고람거사(孤藍居士, gulanjushi)가 일본 후생성 문서가 날조되었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사상자와 사망자를 혼동한 해프닝이었다. 한국측이 전사했다고 지목한 가노 노부테루(加納信暉|가노 노부테루일본어) 대좌는 일본 육군성 장교 명부에 따르면 1922년까지 연대장을 맡았다는 기록이 발견되어 한국측 주장은 설득력을 잃었다.
일본측은 조선측 장군이 독립운동을 포기하고 일본측에 원조를 요청한 것으로 추정되는 교섭 사료를 아시아역사자료센터에서 발견하여 제시하면서, 청산리 전투 논쟁은 일본측의 압승으로 끝났다.[4]
이 논쟁으로 인해 청산리 전투가 보천보 전투처럼 과장되거나 신화화되었다는 인식이 퍼졌고, 일부 인터넷 역사 커뮤니티가 한국의 전통적인 사관(史觀)을 버리고 일본의 사관으로 전향하는 결과를 낳았다.
4. 3. 〈버퍼린 작전〉
〈버퍼린 작전〉은 을미사변을 둘러싸고 네이버 총독부가 이태진 교수에게 공개 질문장을 보낸 사건을 일본에서 부르는 명칭이다. 이 사건은 2005년 1월 13일 중앙일보의 〈명성황후, 마당으로 끌려나가 시해당해〉 기사[5]에서 시작되었다. 이 기사는 이태진 교수가 새로 발견했다는 일본 외무성 기록 문서 《한국왕비살해일건》(韓国王妃殺害一件일본어)을 바탕으로, 명성황후가 침소 방 안이 아닌 마당으로 끌려나가 살해되었다고 주장했다.
일본측 사용자 zeong은 이 기사를 네이버 총독부에 알렸고, 곧바로 사료 검증이 진행되었다. 1월 15일, 네이버 총독부 신년회에서 이 사건을 〈버퍼린 작전〉으로 명명하고 이태진 교수를 공격하기로 결정했다. 이들은 일본 외무성 외교사료관에서 《한국왕비살해일건》을 복사하고 관련 자료를 수집했다. 그 결과, 해당 자료가 1971년에 이미 공개되었고 인터넷에서도 공개된 정보임을 확인했다.[5] 이는 이태진 교수가 자료를 처음 발견하여 공개했다는 주장과 배치되는 것이었다.
네이버 총독부는 자료 검토 후 의문점을 정리하여 공개 질문장을 작성, 이태진 교수에게 보내기로 했다. 2월 8일, 총 51개 질문을 모집하여 최종 14개 항목으로 추렸다. 2월 14일, 일본어판 질문장을 이메일과 우편으로 조선일보, 이태진 교수 등에게 보냈고, 2월 19일에는 영문판도 전송했다.[5]
이태진 교수는 3월 중순까지 답장을 보내겠다고 밝혔고, 3월 18일에 답장이 공개되었다. 그러나 모든 질문에 명확한 답변은 없었고, 네이버 총독부는 플래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여 이태진 교수와 대한민국을 조롱했다.
4. 4. 주일본 미국 대사관의 반달리즘
2006년 10월 24일, 주일본 미국 대사관에서 접속한 IP 사용자가 일본어 위키백과의 〈한국의 역사#근대〉 문단을 삭제하고 "조선에 역사 없음 예로부터 중국, 일본, 편협만족의 속국"(朝鮮に歴史なし 昔から中国、日本、偏狭蛮族の属国일본어)이라는 글을 작성한 사실이 밝혀져 인조이재팬에서 논란이 되었다.[6][7]
5. 영향 및 평가
네이버 인조이재팬은 2002년 한일 월드컵을 계기로 한국과 일본 네티즌 간의 교류를 위해 만들어진 인터넷 커뮤니티였다. 한국어와 일본어 간의 기계 번역 시스템 덕분에 언어 장벽 없이 소통할 수 있었지만, 잦은 오역은 불가피했다.
인조이재팬에는 '여행', '생활/문화', '음식', '스포츠', '만화/애니' 등 다양한 주제의 게시판이 있었는데, 이 게시판들에서는 양국 사용자들이 활발하게 정보를 교환하며 긍정적인 교류가 이루어졌다. 특히 '만화/애니' 게시판에서는 공동 창작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역사', '전통', '시사뉴스' 게시판에서는 역사 인식 차이 등으로 인해 격렬한 논쟁이 자주 벌어졌다. 이러한 갈등은 일부 사용자들에게 혐한 정서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했으며, 일본 측에서는 인조이재팬에서의 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혐한 단체인 재일 특권을 용납하지 않는 시민 모임(재특회)을 결성하기도 했다.
5. 1. 재일 특권을 용납하지 않는 시민 모임 (재특회)
2채널의 한글 게시판과 네이버 인조이재팬을 기반으로, 혐한을 핵심 의제로 하는 새로운 커뮤니티가 사쿠라이 마코토(ja)의 주도로 형성되었다.[1] 사쿠라이 마코토는 이후 2006년에 재특회(ja)를 결성하여 혐한 거리 시위를 주도하는 등 넷 우익의 활동 범위를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길거리로 확장하여 현재화(顯在化)했다.[1] 그는 2002년 한일 월드컵 이후 반한 감정을 품기 시작하여 중앙일보가 운영했던 번역 게시판에서 'konkon'이라는 ID로 활동하다가 인조이재팬으로 거점을 옮기고 'Doronpa'라는 ID를 사용했다. 사쿠라이는 한국측 사용자를 상대로 역사 문제를 둘러싼 토론의 선봉장으로 알려졌으나, 그의 학식은 교과서 수준에 그쳤기 때문에 네이버 총독부의 멤버처럼 특별시되지는 않았다.[1]사쿠라이 마코토는 2005년에 닛폰TV 계열의 토론 프로그램에서 한류 특집 방송에 패널로 출연한 뒤 큰 반향을 일으켰다. 이를 계기로 토론 방송에 자주 출연하면서 새로운 혐한 커뮤니티의 리더가 되었다.[2] 이후 〈일한역사문제연구회〉(ja)라는 단체를 설립하여 2005년 7월 30일에는 텔레비전 게시판 토론회 출연자에 의한 심포지엄을 진행했다. 당초 해당 심포지엄에는 네이버 총독부의 ‘삼악인’(ja) 중 한 명인 'zeong'이 주요 등단자로 참여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zeong은 공동선언 채택 계획에 이의를 제기하며 “정치적 발언을 하는 것을 불가피한 전제로 삼아, (중략) 많은 문제점을 포함하는 공동 선언을 하는 심포지엄에 (중략) 동조할 의지는” 없으며, “정체 불명의 정치 집회로 변모한 심포지엄에 이름을 내거는 것은 단호히 거부한다”는 이유로 등단을 사퇴했다. zeong은 “심포지엄은 토론의 자리”이며 “특정 결론에 이르러서는 안 된다”, 따라서 “‘공동’을 주장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삼악인’의 나머지 멤버인 'jpn1_rok0', 'polalis' 역시 이에 찬동했다.[3] 사쿠라이의 세력은 인조이재팬에서 출발하여 네이버 총독부와 마찬가지로 혐한 의제를 공유하지만, 결과적으로는 별개의 성격으로 현재화(顯在化)했음을 보여준다.
6. 연혁
インジョイジャパン|인조이재팬일본어은 2002년 6월에 서비스를 시작했다.[1] 2009년 2월 20일에는 주요 기능 제공이 중지되었고 신규 가입이 불가능해졌다.[2] 2009년 6월에 서비스를 종료했다.[3]
참조
[1]
뉴스
言葉も国境も越える!日韓リアルタイム翻訳掲示板
http://www.enjoykore[...]
enjoy korea
2007-09-22
[2]
뉴스
嫌韓意識を煽るアメリカ大使館
http://kikko.cocolog[...]
きっこの日記
2007-09-21
[3]
웹인용
아시아역사자료센터
https://www.jacar.go[...]
2024-05-15
[4]
서적
軍事史学
錦正社
1979
[5]
웹인용
一次史料で読むバファリン作戦
http://soutokufu.s14[...]
[6]
뉴스
言葉も国境も越える!日韓リアルタイム翻訳掲示板
http://www.enjoykore[...]
enjoy korea
2024-05-15
[7]
뉴스
嫌韓意識を煽るアメリカ大使館
http://kikko.cocolog[...]
きっこの日記
2007-09-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